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1세기 중반 宋 – 거란의 접경 지역을 둘러싼 충돌과 외교 교섭

        이근명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8 중앙사론 Vol.0 No.47

        In February of 1042, Liao sent an envoy to Song and demanded the return of the ten counties of guan-nan region. Guan-Nan region was a strategic point. When Liao's request was announced, the imperial court of Song was shocked. The imperial court looked for an envoy to negotiate with Liao, but no one came forward. No one accepted to take on a dangerous role, as the outcome of a diplomatic compromise is extremely uncertain. In this situation, prime minister Lu Yi-jian recommended Fu Bi. Lu Yi-jian's recommendation was to put Fu Bi in trouble. When Fu Bi was decided to go to Liao, criticism erupted everywhere. In particular, Tai-jian criticized the prayer for the strange tactics and Fu Bi in a matched voice. The controversy over Fu Bi`s dispatch of Liao was likely to have a huge impact on Song's political career. This has highlighted Lu Yi-jian's dogmatic and unjust policy, as well as the opposition to him. In April of 1042, Fu Bi was sent to Liao as an envoy. Lu Yi-jian, in consultation with the prime minister and the executive, confirmed the direction of his response to Liao, put it in a national document and delivered it to Fu Bi. He also offered two alternatives to his request for Liao to return the ten-counties of guan-nan. It was an increase in marriage and Sui-bi to the Liao kingdom. However, there seems to have been a lot of theory inside Song about two alternatives to Liao. Inparticular, allegations have been raised that marriages far more damaging than Sui-bi's increase in national mail and mail, particularly among the critics of Lu Yi-jian. Liao finally chose to increase Sui-bi among the two alternatives presented by Song. It was in September, 1042, when Sui-bi's question of increase finally came to an agreement. Instead of Sui-bi increasing, Liao promised to press Xixia. However, Liao's pressure on Xixia did not go smoothly. Rather than acting as Liao suggested, Xixia even made a provocation against him on the border. As Xixia took a hostile attitude, in September 1044, Liao led a large army and invaded Xixia. Liao's expedition to Xixia was not to fulfill his promise to Song but to punish Xixia for his rudeness. Xixia sent an envoy to Song to avoid attacks from both Song and Liao when the army marched on. The peace treaty between Song and Xixia was finally concluded in October of 1044. The treaty was signed in a way far from what was agreed between Song-Liao, the format in which Liao would influence Xixia and speed up Song. The diplomatic compromise and negotiations between Song and Liao, which originated from Liao's demand for the ten counties of guan-nan region, were led by Lu Yi-jian, who was then in power. However, Song's unilateral acceptance, submission, and lack of diplomatic compromise have caused a huge backlash among young people centering on the admonition officers. In this way, the emperor eventually characterized Lu Yi-jian and named Fan Zhong-yan and Han Qi as members of the committee. The negotiations between Song and Liao in the mid-11th century served as a crucial catalyst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 pro-communist politics.

      • KCI등재

        11세기 중반 宋-거란의 접경 지역을 둘러싼 충돌과 외교 교섭

        이근명(Geun Myung Lee)(李瑾明)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8 중앙사론 Vol.0 No.47

        In February of 1042, Liao sent an envoy to Song and demanded the return of the ten counties of guan-nan region. Guan-Nan region was a strategic point. When Liao s request was announced, the imperial court of Song was shocked. The imperial court looked for an envoy to negotiate with Liao, but no one came forward. No one accepted to take on a dangerous role, as the outcome of a diplomatic compromise is extremely uncertain. In this situation, prime minister Lu Yi-jian recommended Fu Bi. Lu Yi-jian s recommendation was to put Fu Bi in trouble. When Fu Bi was decided to go to Liao, criticism erupted everywhere. In particular, Tai-jian criticized the prayer for the strange tactics and Fu Bi in a matched voice. The controversy over Fu Bi s dispatch of Liao was likely to have a huge impact on Song s political career. This has highlighted Lu Yi-jian s dogmatic and unjust policy, as well as the opposition to him. In April of 1042, Fu Bi was sent to Liao as an envoy. Lu Yi-jian, in consultation with the prime minister and the executive, confirmed the direction of his response to Liao, put it in a national document and delivered it to Fu Bi. He also offered two alternatives to his request for Liao to return the ten-counties of guan-nan. It was an increase in marriage and Sui-bi to the Liao kingdom. However, there seems to have been a lot of theory inside Song about two alternatives to Liao. Inparticular, allegations have been raised that marriages far more damaging than Sui-bi s increase in national mail and mail, particularly among the critics of Lu Yi-jian. Liao finally chose to increase Sui-bi among the two alternatives presented by Song. It was in September, 1042, when Sui-bi s question of increase finally came to an agreement. Instead of Sui-bi increasing, Liao promised to press Xixia. However, Liao s pressure on Xixia did not go smoothly. Rather than acting as Liao suggested, Xixia even made a provocation against him on the border. As Xixia took a hostile attitude, in September 1044, Liao led a large army and invaded Xixia. Liao s expedition to Xixia was not to fulfill his promise to Song but to punish Xixia for his rudeness. Xixia sent an envoy to Song to avoid attacks from both Song and Liao when the army marched on. The peace treaty between Song and Xixia was finally concluded in October of 1044. The treaty was signed in a way far from what was agreed between Song-Liao, the format in which Liao would influence Xixia and speed up Song. The diplomatic compromise and negotiations between Song and Liao, which originated from Liao s demand for the ten counties of guan-nan region, were led by Lu Yi-jian, who was then in power. However, Song s unilateral acceptance, submission, and lack of diplomatic compromise have caused a huge backlash among young people centering on the admonition officers. In this way, the emperor eventually characterized Lu Yi-jian and named Fan Zhong-yan and Han Qi as members of the committee. The negotiations between Song and Liao in the mid-11th century served as a crucial catalyst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 pro-communist politics.

      • KCI등재후보

        宋·遼·金·元墓 匙箸 및 鐵鋏 出土傾向- 高麗墓 副葬品과 關聯하여 -

        정의도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09 文物硏究 Vol.- No.15

        고려묘에서는 청동시저와 가위가 출토되는데 필자는 이것이 북말(요)의 영향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이번 논문에서는 이를 입증하기 위하여 중국에서 발간되는 [고고]와 [문물]에 보고된 송·요·금·원묘를 모두 정리하여 이들 묘에서 출토된 부장품 가운데 청동시저와 가위의 출토 경향을 분석하고 아울러 동전과 동경의 출토 경향을 밝혀 고려묘에서 출토되는 청동시저와 철제가위가 과연 어떤 배경에서 부장되게 되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우선 송묘~원묘까지 청동시저의 출토빈도가 가장 높은 시대는 전체 195기 가운데 21기에서 출토되어 약 11%를 상회하는 비율을 보이고 있는 요묘이다. 11%의 출토율은 자연멸실이나 훼손, 도굴 등을 감안하면 당시에 실제 부장되었을 가능성은 20% 가량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북송과 남송시대의 분묘에서는 청동시저가 모두 19점이 출토되어 빈도수가 3%에 불과하고 원묘에서도 역시 3%대에 머물러 송대 이후의 전통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이것은 요묘와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철제가위는 송묘는 11기, 원묘는 9기, 금묘 1기에 불과하고 원묘에서는 아예 출토 예가 없는데 비율로만 보면 요묘에서 높은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요묘에서는 도제로 가위의 형태를 만들어 부장한 예가 있는데 이것은 가위에 대한 요대 사람들의 특별한 인식의 결과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동전은 송묘에서는 30% 이상의 출토비를 보여주고 있지만 요묘에서는 18%에 불과하다. 금묘의 동전 출토비는 15.8% 정도지만 출토량이나 금전과 은전이 출토되는 상황은 남송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동전을 부장하는 풍습에 상당히 경도되어 있다. 그리고 원묘에서 동전은 23.5%의 비율로 확인되어 원의 문화 기저에는 송의 문화가 강하게 남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동전을 부장하는 것은 송묘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고려묘에서 출토되는 동전은 송의 영향을 배제하고 생각하기는 어렵고 고려묘에서 동전이 출토되는 배경에는 송의 영향이 지대하다고 볼 수밖에는 없을 것 같다. 동경은 송묘에서는 18%, 요묘에서는 14.3%, 금묘에서는 6.7%, 원묘에서는 15.5%로 금묘를 제외하면 거의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동전과 마찬가지로 송의 부장 양식을 요에서 받아들인 것이며 원은 그전까지 송대까지 확립된 전통이 그대로 계승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자료로 보아도 무방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이 송묘에서 보이는 동전과 동경의 부장이 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금과 원에도 계속하여 송의 전통이 이어진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고려묘에서 발견되는 동경이나 중국동전은 분명히 고려 자생의 부장풍습이 아니라 송에서 영향을 받아 시작된 것이거나 송에서 요나 금으로 전래된 풍습이 다시 고려로 전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청동숟가락은 요묘에서 가장 많이 출토되며 그 비율도 가장 높아 청동시저를 부장하는 전통은 요에서 먼저 확립되었고 고려에서 청동숟가락을 부장하게 된 것은 요의 영향이었다고 보아도 무방하지 않을까 한다. 또한 숟가락의 자루가 연미형인 것이 요묘에서만 출토되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수렵이 주된 생활이었고 시저를 늘 가지고 다니던 요에서 청동시저를 부장품에 포함시키는 전통을 확립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지 않을 ... The researcher has reported that spoons and scissors found from Goryeo tombs were influenced by Liao Dynasty, China. In order to prove the influence, this work shed light on other research journals such as [Kaogu/Archaeology/考古] and [Wenwu/Cultural Relics/文物] published from China which contain all reported artefacts found from tombs of Song, Liao, Jin and Yuan Period. Firstly the spoons and scissors from the tombs were analysed and then coins and mirrors were studies together to understand the burial tendency. Therefore this research targets to comprehend the background of the spoon and scissor burial of Goryeo Period. Those tombs from Song to Yuan Period are all 195 in its numbers and total 21 tombs (which is 11% overall) contain Bronze Spoons and they are all found from Liao Period tombs.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number 11% reached actually over 20% given natural extinction, illegal trading, and damages. Nineteen spoons from Song (including North and South) Period were found and it only reached 3% overall, in the mean time same amount of 3% were reported from Yuan tombs. So it seemed that Song and Yuan tombs share similar culture of burying rather small amounts of spoons and this is clearly different from Liao Tombs. In case of iron scissors, eleven from Song tombs, nine from Liao, one from Jin Tombs and no scissor has been reported from Yuan tombs. So this is also showing that Liao contain rather high numbers of iron scissors. It is also interesting to point out that scissor-shape baked clay has been buried in Liao tombs and this is well proving that how Liao people treat scissor in their everyday life. To a certain extent, therefore, burial of scissors in Goryeo tombs could be influenced by Liao tombs. Coins, found more than 30% from Song tombs were only reported 18% from Liao tombs. In the mean time, Jin coins were around 15.8% but gold and silver coins were also buried together which is similar culture with South Song Dynasty. In case of Yuan tombs, more than 23.5% coins were identified and so it is highly likely that Song culture had influenced Yuan Dynasty strongly. Burial coins were definitely a tradition of Song tombs, and this is in line with Goryeo tombs' burial of coins. So this can be noted that coin burial in Goryeo period had a concrete influence from Song Dynasty, China. Mirrors, found from 18% of Song tombs, 14.3% of Liao tombs, 6.7% of Jin tombs, and 15.5% of Yuan tombs. Apart from Jin tombs, they are all similar in numbers. Therefore, the way of Song to bury mirror together inside the tomb had been inherited by Liao and until Yuan Dynasty. Given the fact that burial tendency of Song tombs has been similar to Liao tombs, Song's burial culture had influenced other Dynasties such as Jin and Yuan. In this sense, we could understand how Goryeo tombs ended up burying mirrors and Chinese coins. Using other words, Goryeo tombs highly influenced by Song and its culture. However, bronze spoons were most likely found from Liao tombs and the amounts are also high compared to other periods. So in case of the spoons, the culture of Liao seemed to have strong impact onto Goryeo tomb burials. Liao's hunting culture is main way of life and also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people of Liao always carried spoons everywhere with themselves. In this sense, Liao's burying culture of spoons with the deceased is quite normal customs. To conclude this work, it is reasonable to believe that Goryeo had close relationship with Liao, sharing and influencing food and funeral culture. This naturally led to Goryeo burying spoons to the tombs. In terms of the time scale, 11th century is the most reasonable time to accpet this culture. Presumably, early Goryeo had a tradition of regarding bronze spoon as a priceless object in relation with Unified Silla Period. This importance of bronze spoon perhaps was enhanced when Goryeo started to have a international connection with Song and Liao. Burying spoons in tombs w...

      • KCI등재

        요 금 동하 원의 도성을 통해 본 발해 상경의 제문제

        정석배(Jung Sukbae) 백산학회 2015 白山學報 Vol.- No.103

        발해의역사에서上京은가장중요한정치적 문화적중심지였다. 그런데상경은발해에뿐만 아니라遼와金그리고東夏에도있었다. 元에는상경은아니나그와뜻이비슷한上都가있었다. 唐에서도 마지막 순간에는 수도를 상도라 불렀다. 이 글에서는 요, 금, 동하, 원의 상경 혹은 상도를 각 京혹은 都들과 함께 살펴보고 그리고 당 상도도 참고하여 발해 상경과 관련된 몇가지 문제들을 다양한 측면에서 고찰해 보았다. 각 나라 도성들의 상대적 위치에 대한 분석은 요와 금의 도성제가 발해의 도성제와 매우 긴밀한 구조적 유사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예를 들어, 발해, 요, 금의 5경 혹은 6경은 모두 十자 방위구도를 가지고 있고, 상경은 가장 북방에, 중경 혹은 중도는 교차지점에, 동경, 서경, 남경은 상응하는 각 방위 지점에 각각 위치한다. 하지만 당의 5경은 십자 방위구도를 가지는 것은 사실이나 십자 교차 지점에 상도가 위치하고 가장 북쪽에 북경이 배치되어 발해 및 요, 금과는 내용상에 있어 큰차이를 보여 주었다. 원은 카라코롬 이후 상도와 대도라는 양경제를 채택하였지만 상도가 북방에 배치된 점은 발해, 요, 금과 동일한 양상이라고 하겠다. 상경 혹은 상도의 평면 형태와 전체적인 구조는 발해 상경성과 당 상도 장안성이 서로 가장 가깝다. 평면형태는요상경성은日자모양, 금상경성은‘ ’자모양, 동하상경성은준삼각형인데 비해 발해 상경성과 당 상도 장안성은 북쪽 가운데 혹은 북동쪽 가운데가 튀어나온 장방형이다. 도성의구조는요와금상경성은내부가둘로나뉜점, 2중성인점, 궁성의위치가금상경성의 경우 남서쪽에 배치된 점 등이 발해 및 당의 것과는 차이를 보인다. 발해 상경성과 당 상도 장안성은 3중성인 점, 강조된 남북 중심축, 정연한 내부 구획 등이 서로 매우 유사하다. 성벽부속시설은 요와 금 그리고 동하의 상경성과 원 상도는 외성과 내성이 차이를 보이기는 하나대체로치와옹성시설을가지고있어, 이런시설들이없는발해상경성과는차이를보인다. 외곽성의규모는발해상경성이16,293m, 요상경성이6,398m, 금상경성이10,963m, 동하상경성이 약 7,000m, 원 상도가 약 8,800m로서 상경과 상도 중에서는, 당 상도 장안성을 제외하면, 발해 상경성이 가장 크다. 하지만 요에서는 중경성이 15,400m, 금에서는 중도가 18,690m 혹은 16,963m, 원에서는 대도가 28,600m로서 각국의 상경 혹은 상도보다 훨씬 더 큰 규모를 보이는점은 상경성이 가장 큰 규모를 보이는 발해와는 다른 점이다. 각 나라 상경 혹은 상도의 설치 순서에 대한 고찰은 발해에서 상경이 구국 다음으로는 가장 먼저 설치되었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예를 들어, 요와 금 그리고 동하에서는 상경이, 원에서는발해의구국에해당되는카라코롬을제외하면상도가각각가정먼저설치되었다. 발해에는 중경, 상경, 동경의 경우 설치시기가 아니라 천도시기에 대해서만이 알려져 있다. 때문에 천도를 한 시기는 중경이 비록 빠르나 설치시기는 상경이 먼저일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상경 및 상도의 위상과 관련해서는 발해와 요에서는 상경이 줄곧 가장 중요한 도성이었지만 금과 원에서는 처음에는 상경과 상도가, 나중에는 이와 다른중도와남경, 대도가 각각 제1수도역할을 하여 발해 및 요와는 약간 차이를 보인다. 상경이라는 용어는 후한서 조선전 에 한무제와 관련하여 처음 등장하지만 당시에는 실제상경이라는도성이존재하지않았다. 상경이실제도성의명칭으로사용된것은발해가처음이었다. 당이 장안성이 있는 수도 경조부를 762년부터 상도라 부르기는 하였으나 발해가 상경으로 천도한것은이보다이른755년혹은756년이었다. 어쩌면당이발해의예를따라수도경조부를 상도라고 부르기 시작하였을 수도 있을 것이다. 발해 당시 상경이 상경으로 불리고 있었음은 발해사신 왕효렴이 814년에 일본에서 지은 시에 보이는 ‘상경에서처럼 심히 취하였네’라는 한구절을 통해 파악된다. 마지막으로 상경 혹은 상도라는 명칭의 도성을 가진 요, 금, 원, 그리고 당은 모두 역사상 황제국의 나라였다. 이 사실은 발해 역시 황제국의 나라였음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증거라고 생각된다. Upper Capital was the most important political and cultural center in the history of Balhae. However, Upper capitals existed not only in Balhae, but in Liao, Jin and Dongxia as well. Upper City was also in Yuan and it had almost the same value as Upper capital. Tang China in the later period of its existence called its capital the Upper city, too. This paper reviewed some problems related to the Upper capital of Balhae. For this purpose, first we consider Upper capitals and Upper cities in Liao Jin, Dongxia and Yuan and other their capitals or capital cities. Upper city of Tang China was also taken into account. Analysis of the relative location of capitals in each state shows that the capitals’ system of Liao and Jin are very similar to the capitals’ system of Balhae. For example, 5 or 6 capitals of Balhae, Liao and Jin have irregular cruciform structure oriented to the cardinal directions. The Upper capital is located in the far north, the Middle capital or Middle city- at intersections, and Eastern, Western and Southern capitals - in corresponding cardinal directions. However, 5 capitals of Tang China, though they have a cruciform structure that is oriented to the cardinal directions, very differ from the capitals of above mentioned countries because the Upper city is located at the intersection, and Northern city - in the far north. In Yuan, where after Karakorum there were two capital cities, the Upper city and the Big city, The overall shape and planigraphy of the Upper capital of Balhae and the Upper city of Tang China are very similar. The form of these capitals or cities is represented by a rectangle with projections on the north or north-east. In contrast, the Upper capital of Liao has 日-shape, the Upper capital of Jin - L-shape, and the Upper capital of Dongxia -sub-triangular shape. The planigraphy of Liao’s and Jin’s Upper capitals is different from the Upper capital of Balhae and the Upper city of Tang China. At first ones the city was divided into two parts, with two defensive walls, in the Upper capital of Jin the core of the fortress there wa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The second ones have three defensive walls, underlining of the central south-northern axis, accurate division of the city by roads. In general, in Upper capitals and in the Upper city of Liao, Jin and Yuan such defensive constructions as tower and ongseong(ricetto),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xterior and interior cities. But in the Upper capital of Balhae there are no such constructions, so it differs from Liao, Yuan and Jin. Dimensions of external walls in the Upper capitals of Balhae, Liao, Jin and Dongxia - 16,293m, 6,398m, 10,963m and about 7,000m, in the Upper city of Yuan is about 8,800m. So the Upper capital of Balhae is the largest, except the Upper city of Tang China. But the overall length of the Middle capital of Liao is 15,400 m, the Middle city of Jin is 18,690meters, or 16,936meters, the Big city of Yuan is 28,600 m, so the size is bigger than the size of the Upper capital or Upper city of these countries. In contrast, the Upper capital of Balhae has the largest size among its capitals. Investigation of establishment of the Upper capital or the Upper city in every state showed the possibility that in Balhae the Upper capital was established the first after the "Old state". So, in Liao, Jin and Dongxia were primarily established Upper capitals, in Yuan also Upper city was established first after Karakorum, which can be compared with the "Old state" of Balhae. In case of Balhae we know only the time of relocation of the Middle, Eastern and Upper capitals, but not the time of their establishment. The relocation to the Middle capital was earlier than to the Upper capital, but more likely in fact the Upper capital was established earlier than the Middle capital. Due to the prestigious position of Upper capitals and the Upper city we can say that in Balhae and Liao the Upper capitals have always

      • KCI등재

        논문 : 渤海(발해), 遼(요), 金(김)의 五京制(오경제)와 上京(상경)

        구난희 ( Nan Hee Ku ) 한국고대학회 2015 先史와 古代 Vol.45 No.-

        이 연구는 5경제가 발해, 요, 금에서 이루어진 독특한 다경제(多京制) 방식이라는 데 주목하고 이들 왕조의 5경제가 어떻게 계승, 변용되었는지를 다루었다. 발해의 경우 사료 부족으로 5경제의 형성 과정에 대한 세부적인 사실을 알 수가 없어 다양한 해석이 전개되는 가운데 이 연구에서는 세 왕조의 5경제 형성 과정과 구조로부터 발해의 형성 과정을 역으로 추론해보고자 했다. 요의 5경제는 120여 년의 긴 세월을 거치면서 지방 관제의 정비와 함께 형성되었다. 금의경우는 요의 5경제를 그대로 수용하였으므로 5경 체제가 먼저 갖추어진 후 지방 관제가 정비되었다. 이런 형성 과정의 왕조별 차이는 5(6)경과 지방 관제가 결합된 구조에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요의 경우는 5경을 중심으로 전체 지방체제가 5경도로 편성되어 있다. 이와 달리 금의 경우는 19로로 편성된 가운데 5(6)경이 포함된 경로(京路)와 경이 없는 일반로(藩路)의 이원 체제를 이루고 있다. 발해는 요보다는 금의 체제와 유사하다. 전체 15부 중 5경이 포함된 5개 경부와 10개의 일반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발해의 5경은 15부 62주의 지방 관제가 갖추어지기 이전에 형성되었음을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차례의 천도를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5경의 명칭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었다는 점으로부터 중경(中京)에서 상경(上京)으로 천도한 시점에 5경의 기본 틀을 갖추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아울러 5경제 속에서 상경이 담당한 역할과 그 의미를 검토하였다. 발해는 천도와 함께 상경이라는 명칭을 새로운 수도에 붙였으며 상경이라는 어의적 의미를 적극적으로 구현하였다. 중경이 발해 지배층의 ‘민족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상징적 중심지역이었다면, 상경은 북방으로 지배력을 확장하면서 다양한 민족을 아우르는 새로운 ‘국가적 정체성’을 표상하는 실질적 중심지역이었다. 요와 금에서도 상경은 도성 또는 그에 버금가는 기능과 역할을 담당했다. 양국이 모두 자신들의 발원지이자 초기 수도를 상경이라 칭하였던 것은 발해가 구현했던 상경의 의미를 계승한 것임은 말할 나위가 없다. 이후 한족 중심지로 영역이 확장되면서 새로운 정치 중심지로 중경(중도)을 설치하였지만 상경은 거란 및 여진족의 전통과 정체성을 유지하는 주요 기능을 이어 나갔다. 발해와는 반대로 이들 왕조에 있어서는 상경이 민족적 구심체였으며 중경은 국가적 구심체로 재설정되었다. 3국의 상경이 갖는 또 다른 공통점은 지리적으로 북위 44도 전후에 설치되어 농경지역과 유목지역을 아우르는 북방왕조의 주요 도시로서 역할을 하였다는 점이다. 농경 지역을 근거로 유목지역의 여러 민족을 아우르려는 발해, 유목지역을 근거로 농경 지역을 통합하려는 요와금의 동일한 관심이 상경의 설치와 운영이라는 공통성을 견지하였다. 이런 점에서 5경제를 동반한 상경이 발해, 요, 금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결코 우연이 아니며 그것을 최초로 구현했던 발해의 취지가 요, 금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그 의미는 주목할 만하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Five Capitals is a unique multiple capitals system developed in Parhae, Liao and Jin and deals with the succes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Five Capitals of these dynasties. This study aims to pursue new understanding on the forming process of the Five Capitals of Parhae and deduct it inversely from the forming process and structure of three dynasties. To this end, I first reviewed the forming process of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of Liao and Jin which have scarecely known to Korean academy. As a result, the Five Capitals of Liao had been formed for 120 years of long period along with the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while the Jin accepted the Five Capitals of Liao intact so that they could maintain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after building the Five Capitals. Such difference among forming processes of each dynasty is reflected on the combination structure of 5(6) Capitals and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In case of Liao, the Five Capitals became basic structure of entire government system and the local government units were organized under the Five Capitals. In case of Jin, on the other hand, 5(6) Capitals took the dual system of the capital provinces and the general provinces while enlarged government systems were settled down thereto. In this regard, Parhae has rather similar system with Jin rather than Liao. And we can infer that the Five Capitals of Parhae was formed before the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15 provinces 62 districts) was prepared. Also, I reviewed the roles and meaning of Sang-gyeong(the upper capital) in the Five Capitals. Parhae gave the name of Sang-gyeong to their new capital while they transferred the capital and actively realized the semantical meaning of Sang-gyeong. While Junggyeong( the center capital) was a symbolic center that forms ‘ethnic identity’ of Parhae hierarchy, Sang-gyeong was actual center that symbolized new ‘national identity’ for extending their control to the north and encompassing various nations. In Liao and Jin, Sang-gyeong took as much functions and roles as capital. It goes without saying that both countries called their source regions and initial capitals as Sang-gyeong succeeding the meaning of Sang-gyeong that Parhae realized. As the territory was extended to the center of Han race(漢族), they installed Jung-gyeong as new political center but Sang-gyeong kept main functions of maintaining the tradition and identity of Khitan(契丹) and Jurchen(女眞). Unlike Parhae, Sang-gyeong was ethnic centripetal body of these dynasties and Jung-gyeong was reset as national centripetal body. Another common ground of these three countries`` Sang-gyeong is that they were geographically located in 44 degrees north latitude taking the role of main cities of northern dynasties that encompassed farming and nomadic regions. The same interest of Parhae that tried to put a few ethnic groups of nomadic regions together based on farming region as well as Liao and Jin that tried to unify farming regions based on nomadic regions adhered to the common ground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Sang-gyeong. In this regard, the advent of Sang-gyeong along with Five Capitals System in Parhae, Liao and Jin was not by chance, and it is worthy of notice that the purpose of Parhae that first realized it was succeeded to Liao and Jin.

      • KCI등재

        2D 원통형 좌표계를 위한 FDTD 방법에서 UPML과 Liao 흡수경계조건의 비교

        홍익표,Hong, Ic-Pyo 한국정보통신학회 200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1 No.6

        본 논문에서는 2D 원통형 좌표계 구조를 해석하기 위한 전자기 수치 해석 방법 중 하나인 시간영역 유한차분법(FDTD)에서 필요한 흡수경계조건으로 UPML과 Liao 흡수경계조건을 비교하였다. 일반적인 2D 직각 좌표계에서는 UPML의 성능이 Liao의 흡수경계조건보다 우수하지만, 본 논문에서 가정한 2D 원통형 좌표계에서는 Liao에 의해 제안된 고유의 흡수경계조건이 UPML과 수정된 Liao 흡수경계조건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통형 좌표계는 축에 대해서 대칭이기 때문에 3D 구조를 2D 구조로 가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안테나를 비롯한 다양한 마이크로파 회로의 특성해석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데, 정확한 수치해석 결과를 얻기 위해서 다양한 구조에 대한 흡수경계조건들의 비교와 검증이 필요하다. In this paper, the comparison between UPML and Liao's absorbing boundary condition in the FDTD(Finite-Difference Time-Domain) method was performed for the analysis of the 2D cylindrical coordinate system. Generally, it is known as the absorbing characteristics of the UPML is bro than Liao's absorbing boundary condition in the 2D rectangular coordinate. The simulation results in this paper showed that Liao's original absorbing boundary condition is better than other two absorbing boundary conditions, Liao's modified condition and UPML. We concluded that more numerical, theoretical studies, simulations and verifications for various absorbing boundary conditions will be needed to get more accurate results for the design of useful 2D cylindrical microwave circuits.

      • KCI등재

        고려 선종대의 대외정책 연구

        류채영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5 한국문화연구 Vol.9 No.-

        In the latter half on the 11th century,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of Koryŏ was very much complicated. This thesis examined the specific changes of the diplomatic relations of King Seonjong's(宣宗) reign. Based on it, I explained the foreign policy under King Seonjong's rule. In the 25th year of King Munjong's(文宗)reign, Koryŏ, which was connected with Liao(遼) to the tribute system, started to resume itself diplomatic relations with Sung. Then the tri-relationship among Koryŏ, Sung(宋), and Liao had become destroyed the balance. complex. The statues of Koryŏ in the international order established much higher than before. In the chang of international political order. for King Seonjong made king, it was an important problem by which he was confronted how to use the nationalship between Sung and Liao. Specially, Sung and Liao of King Seonjong period changed internal politics. And their changes influenced their foreign policy that Koryŏ had to establish proper foreign policy. When the New Policies Party(新法黨) which was most favorable to Koryŏ lost power and Old Policies Party(舊法黨) hold the political power, anti-Koryŏ movement was raised by So Shih(蘇軾) etc. in Sung. On the other hands, Liao continued to maintaining peace and keep the friendly attitude towards Koryŏ, while attempting the border dispute. In such situation, King Seonjong choose to give priority to Liao in the foreign policy. And King Seonjong tried to keep going cultural exchanges between Sung and Koryŏ by exploiting a situation, Uicheon entered Sung. Under the late years of King Seonjong's rule, Koryŏ and Liao maintained the friendly relation. Based on this, Koryŏ attempted to recover the diplomatic relations with Sung. Therefore, Koryŏ dispatched embassies to Liao and Sung every year. As a result, Koryŏ could lead amicable foreign relationships with Sung and Liao. Through these sent envoys trading by diplomats became prosperous that many embassies who have been dispatched from Koryŏ to Sung and Liao were able to participating in buying lots of books, gold foils, luxurious goods and so on. 본 논문은 고려의 대외관계가 복잡해지는 11세기 후반 중에서 특히 선종대에 초점을 맞추어, 선종대의 대외관계 추이를 구체적으로 살피고 그것을 토대로 대외정책의 성격을 설명하고자 했다. 문종 25년 요와 조공관계를 맺고 있던 고려가 송과 국교를 재개하면서, 송과 요ㆍ고려 연합이 이루고 있던 균형이 흔들리는 계기를 만들었고, 고려의 국제질서 내에서의 입지는 이전보다 커졌다. 이와 같은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화 속에서 즉위한 선종에서 송ㆍ요 양국의 관계를 어떻게 이용하는가의 문제가 중요한 외교상의 과제로 대두되었다고 할 수 있다. 선종의 길지 않은 치세 기간 동안 의천의 입송, 각장 설치 문제, 소식의 고려배척론 등의 굵직한 외교 현안들이 등장하고 있는 점은 선종대에 의미있는 외교정책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선종이 즉위한 시기의 송과 요는 국내정치의 변화로 그들의 대외정책에도 영향을 미쳤고, 고려는 그에 대응하는 적절한 외교정책을 수립해야만 했다. 송에서 친고려정책을 추진하던 신법당이 물러나고 구법당이 집권하면서 소식 등에 의한 고려배척론이 적극적으로 제기되었다. 요는 고려를 더욱 후대하는 한편 각장 설치를 도모하여 국경 문제를 야기했다. 이 과정에서 고려는 요와의 관계를 우선적으로 안정화시키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는 한편 의천의 도송을 이용하여 송과의 문화적 교류를 계속적으로 이어가고자 하였다. 선종은 각장 개설 문제를 잘 해결한 뒤 고려는 요와의 안정적 우호관계를 지속하였고, 요의 정세를 예의 주시하며 송과의 관계를 회복하였다. 이러한 선종의 중립외교는 성과를 거두어 고려는 매년 송과 요에 꾸준히 사신을 파견하며 송ㆍ요 양국과의 외교관계를 원만히 유지하였고, 사신왕래를 통한 사행무역으로 경제적 이익을 꾀하였다. 당시 송에 파견된 고려 사신들은 서적ㆍ금박ㆍ사치품 등을 구입하는 등 활발한 매매활동을 함으로써 단절된 송상의 활동을 대신하였다. 이와 같은 선종대 대외정책은 유홍ㆍ박인량ㆍ소태보 등의 외교에 밝은 인물들이 중심이 되어 추진하였다. 이들은 선종 후반기 대요관계 안정과 송과의 관계 회복을 기반으로 경제적 실리를 얻고자 하였고, 북방지역 방어에도 뜻을 가지고 있었던 것 같다. 이러한 선종의 중립외교를 통한 대외관계 안정화는 숙종대에 지속적으로 송과 문화교류를 하는 기반이 되었고, 여진족에 대한 북방정책을 고려하는 기반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고려 전기 사회변동과 불탑 : 11-12세기 불탑의 북방적 영향

        강병희(Kang Py?nghee)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09 美術史學 Vol.23 No.-

        고려 11-12세기의 석탑에서 주목되는 사항은 고려 현종대 호국적 銘文이 새겨진 탑들이 조성되는 것과 신라 말부터 나타나는 초층 탑신 밑의 별석받침 양식이 전 층으로 확산되는 각층 탑신 별석받침의 석탑이 등장하는 것이다. 고려 현종대 조성된 銘文 탑들은 4기로 모두 1010년, 1018년에 있었던 두 차례의 거란 침입과 관련된 호국적 기원이 새겨져 있어 북방 요 세력이 이 시기 고려 불탑 조성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淨兜寺址五層石塔의 하층대석 안상의 花頭文은 요의 陀羅尼石幢 받침석의 문양과 거의 유사하여 주로 북한 지역에 남아 있는 고려시대 다라니석당의 존재와 함께 다라니석당이 크게 유행하였던 요 문화의 영향을 짐작하게 한다. 별석 받침이 불탑에서 처음 등장하는 것은 통일신라 후기이다. 불탑의 초층 탑신 아래 놓이는 별석받침과 함께 고려시대 각층 별석받침은 건축물의 平坐 구조에서 비롯된 것으로 사료된다. 평좌는 지상에 세워져 高臺 등의 하부 기초를 이루는 지면평좌와 다층 건축의 적층을 위하여 결구되는 중간 평좌가 있다. 그리고 중간 평좌에는 귀틀식, 高柱와 영정주를 이용하는 방식, 상하층과 구별되는 독립적인 층단으로 구성되는 암층형 평좌 등이 있다. 盛唐시기 돈황석굴 제 217굴 북벽 觀無量壽經變의 목구조 高臺 건축은 지상으로부터 떠 있는 지면 평좌 구조를 활용하여 불보살들이 지상에 등장하는 광경을 표현하고 있는데 동일한 구조로 축조된 조형물이 통일신라시대 불국사 다보탑이다. 한편 불상 대좌, 승탑에서도 위와 같은 지면 평좌의 구조와 개념을 찾아 볼 수 있다. 즉 鳳巖寺靜眞大師圓悟塔 기단 면석 사리공양구에서 볼 수있듯이 舍利를 모시기 위해 받치는 승반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臺, 연꽃이나 구름 가운데 솟아 있는 佛像이나 僧舍利를 모신 臺를 표현하기 위한 받침구조가 그것이다. 오대, 송, 요, 금 시대 중국의 불탑은 10세기 말부터 목조 건축을 재현한 누각식 다층 塼, 石塔이 등장하여 전성기를 이룬다. 이 시기 누각식 전탑은 북방의 요와 남쪽의 송이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목조 건축에서도 찾아진다. 요의 상하층과 구별되는 독립적인 층단, 즉 암층형 평좌는 고려시대 각층 탑신 밑의 별석받침과 개념적, 구조적으로 일치한다. 이러한 요탑과 송탑의 차이는 요가 당의 중심지역에 위치하며 당의 문화를 기초로 삼았던 반면 반세기 늦게 건국한 송은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당을 바탕으로 새롭게 발전한 오대에서 찾았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오대의 문화에는 시기적 지리적 요인으로 인하여 중국 남부 지방의 문화적 전통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남북조 시기부터 남조와 북조가 서로 다른 결구 방법으로 다층 목탑을 건립하였는데 수, 당의 통일 이후에도 그러한 현상은 확인 된다. 한국 고려 전반기까지의 목탑 적층 구조는 남아 있는 유구나 기록으로 보아 남조적인 적층 구조가 기본적으로 반영되고 있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고려 초는 목탑적인 양식이 다시 강조되는 시대적 특징을 보인다. 그리고 이 시기의 중국 대륙은 거란이 세운 遼가 전성기를 맞이하여 그 문화적 영향력도 漢族이 세운 宋 못지않았다. 이상의 고찰을 통하여 각층 별석받침 양식은 다른 시기보다 밀접했던 북방과의 국제적 교류, 목탑적 양식의 재현이라는 당시 석탑 조성의 흐름 속에서 발생되었다고 사료되며 고려 현종대 명문 석탑과 각층 별석받침 양식은 북방요의 국가적, 건축적 영향에서 비롯되었음을 지적할 수 있겠다. Two most important factors found in the eleventh and twelfth century Goryeo stone pagoda are founding of pagodas with inscriptions with the contents of praying the national security during the reign of King Hyeonjong, and the appearance of pagodas with additional underpinning on each story of the lowermost part of the main body. Four pagodas with inscriptions erected during the King Hyeonjong's reign testify that Khitan's invasion in 1010 and 1018 stimulated the founding of Buddhist pagodas of that time. The flower patterns(Hwadoomoon 花頭文) decorated the connected arc shape frame(Ansang 眼象) in the lower footstone of the five-storied pagoda in the site of Jeongdusa temple are closely related to the decorations found in the Liao Dharani column. This fact is considered as influence of Liao culture when Dharani columns were widely popular. The additional underpinning in Buddhist pagoda first appeared during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when the idea of separate underpinning was indicated in the first story of stone pagoda, dais of sculpture, and funerary pagoda for monk. They and the additional underpinning on each story of the lowermost part of the main body in Goryo pagoda was originated from the storied-frame(pingzuo 平坐) of the wooden architecture Pingzuo type is classified of ground pingzuo and middle pingzuo. The former belongs to ground pingzuo, the latter belongs to middle pingzuo. Ground pingzuo whose early examples can be found in the wall painting of Amit?yur-dyana-s?tra(觀無量壽經變) in cave 217 at Dunhuang, and Dabo pagoda at Buhguksa temple. In China during the Five Dynasties, Song, Liao, and Jin, multi-storied mason and stone pagodas with pavilion-type became very popular. The style of Liao mason pagoda with pavilion-type is different from those erected in the Southern Song, and the stylistic difference can also be found in wooden architecture. The type of storied-frame which called a hidden story(暗層形 平坐) of Liao which is an independent tier separated from the upper and lower stories correspondents with the additional underpinning on each story of the lowermost part of the main body of pagoda in its concept and structure. The stylistic difference found in the pagodas of Liao and Song was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the Liao inherited the tradition of Tang culture whereas the Song found her cultural identity in the Five Dynasties where the Southern regional characteristics was strongly reflected in the cultural tradition. During the Six-dynasties period,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built multi-storied wooden pagoda in different structural methods which lasted after the unification of China in the Sui and Tang. The structure of storied-frame in Korean wooden pagoda until the early Goryeo adopted the Southern dynasty style exemplified in the five-storied pagoda at Horyu-ji temple. Also, in the early-Goryeo, wooden pagoda form was emphasized again in building Buddhist pagodas. This period was the heyday of Liao which Khitan established. Liao's cultural influence was not less than Sung which the Han race established. The style of additional underpinning on each story of the lowermost part of the main body began with the close contact with the northern Chinese culture and the reappearance of wooden pagoda style.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building of stone pagoda with the inscription in the King Hyeonjong's reign, and the addition of underpinning on each story of the lowermost part of the main body during the Goryeo were derived from the influence of Liao architectural style.

      • KCI등재

        고려시대 보살상의 圓筒形 寶冠의 源流와 전개

        권보경 동악미술사학회 2013 東岳美術史學 Vol.0 No.15

        고려시대에는 통일신라시대와 마찬가지로 불교가 매우 성행하였고, 불교 조상활동도 활발하였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고려시대 조각은 통일신라 시대를 계승하면서도 고려만의 독특한 특징이 나타났으며, 고려의 각 지방만의 특색들이 발현되는 지역성이 다양하게 표현된다. 이러한 특징에 따라 보살상들의 형태와양식이 다원적으로 나타나며, 보관 역시 다양한 형태가 있는데 이중 원통형 보관이 있다. 圓筒形 寶冠은 전면부가 높고, 정면부터 후면까지 통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말하며, 중부지역에 특히 많이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원통형 보관은 당시 거란인이 세웠던 遼에서 유행하던 보관 중 하나였다. 이 보관은 보살상 뿐 아니라 요의 귀족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착용하던 관으로서 여러 요대 墓에서 발굴된 바 있다. 거란인들이 직접 착용한 금속제 관과 사료의 기록을 통해 거란에는 國服이라는 전통 복식으로 국가 행사를 거행하였고, 이때 황제는 金文金冠을 착용하였으며, 신료들 역시 금관을 착용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관에 장식을 매다는보요관의 습성 역시 전통적인 것임을 알 수 있어 장식을 매단 통형의 보관이 거란족 전통과 긴밀함을 추정해보았다. 한편 관건의 착용이 거란인들에게 일반적인 것으로 거란인의 관모 중 毛氈의 경우 천 등이 늘어진 형태일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형상은 한송사지 상과 신복사지 상 등이 거란인의 관건 착용을 실제로 수용하여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보았다. 따라서 강릉일대 보살상의 건의 출현은 요의 영향과 관련이 깊을 것으로추정된다. 또한 원통형 보관의 분포를 통해 고려시대 고려 내의 거란인 분포 지역과의 관련성을 유추하였다. 즉 고려시대 거란과의 문화적인 교류 양상이 국가 간의 외교 관계 외에도 거란민의 수용이라는 차원에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직접적인 수용을 통해 거란의 요소가 유입되어 고려에서 전개될 가능성이 있다. 이후 원통형 보관은 반복적으로 모방하는 과정을 거쳐 고려 사회로 퍼져 나갔으며, 이러한 전개 과정 중에퇴화하거나 토속화되어 본래의 원통형 보관의 原形을 상실하기에 이른다. 보살상의 기본적인 양식은 고려라는 틀에 둔 채 원통형 보관이라는 새로운 장식 요소를 편입한 형태이다. 이러한 경향은 원통형 보관이 고려시대 불상 곳곳에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고려시대 불상의 본래 양식을바탕으로 융합한 결과이며, 고려인들은 새로운 문화를 자신들의 문화와 접목시켜 전개함으로써 발전시키고 토속화시켰다. As with Unified Silla period Buddhism was very prevalent during Goryeo period, a various Buddhist sculptures were produced throughout the period. In this background, Buddhist sculptures of Goryeo period had inherited those of Unified Silla. On the other hand, Goryeo showed unique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ir locality in expression of Buddhist sculpture. Of all of various Bodhisattva form and style, the most distinguishing features is the cylindrical crown of Bodhisattva. The characteristic of form is cylindrical shape that keep a high front and low back. The Bodhisattva with the cylindrical crown are distributed in the central region. The origin of cylindrical crown that was popular in Goryeo is Liao's. In Liao period this type crown was very prevalent from Buddhist Bodhisattvas to aristocratic class, and was excavated in aristocratic tomb of Liao period. According to Liao's record on clothes and customs, Liao emperor including noblemen wore Liao style gold crown with leaf-shaed decoration during their national ceremony. In addition the headscarf in crown was common to Liao people, so Bodhisattva that wore the cylindrical crown and inner headscarf of Hansongsa temple site and that of Shinboksa has something to do with Liao. The distribution of cylindrical crown is seem to be a close relation with living place of Liao people in Goryeo territory. The cylindrical crown of Goryeo was popular throughout the repeated imitation, however, after this stage,that of Goryeo was change or lost the original form. The Bodhisattva on the cylindrical crown of Goryeo period kept the basic style, but accepted new elements so called cylinder style crown influenced by Liao.

      • KCI등재

        高麗 宣宗朝 對宋外交와 貿易

        李鎭漢(Lee Jin-Han) 한국인물사연구소 2010 한국인물사연구 Vol.13 No.-

        The Khitan Liao and the Chinese Sung dynasty had been in long confrontation with each other when the king Seon jong of the Koryo was reigning his dynasty. The Liao was exercising its predominating military power against all the other members of the East Asian society. The Goryeo was a tributary state to the Liao, and the king Seonjong was also invested by the emperor of the Liao. However, when the king Seonjong was just enthroned he dispatched a royal messenger to the Sung. The Liao did not condone the Goryeo's effort to restore closer relations with the Sung, so the Liao raised a border dispute with the Goryeo. The border disputes successfully worked out and the Goryeo could not carry on its pro-Sung policies. Afterwards, the Goryeo sent envoys to the Sung only in the name of returning the Sung emperor's favor. As we have seen the Liao's diversionary moves prevented the Goryeo-Sung relations. However, king Seonjong did not give up the relations with the Sung in order to introduce the advanced culture and institutions of the Sung to his own court the king also could not neglect the profit from the tributary trade with the Sung court as the profit had benefitted the king's court as well as the dynasty. The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Sung in the earlier period of king Seon jong's reign underwent the Liao's pressure. Yet, in the later period in 1090 and 1093, the Goryeo's envoys to the Sung achieved their goals and also avoid any conflict with the Liao. It was clearly the king Seonjong's diplomatic sense and efficient management of the court that led to the suc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