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쓰기 지식을 중심으로 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의 연구 경향

        손다정(Son, Da-jung),장미정(Jang, Mi-jung) 중앙어문학회 2013 語文論集 Vol.56 No.-

        이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앞으로의 연구에 시사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육에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개념이 도입된 이후 현재까지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을 뿐만 아니라 그 범위도 넓어졌다. 이중에서도 쓰기 교육 연구가 특히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는 학습자의 요구가 특히 높은 영역이기도 하거니와 학문 목적의 쓰기가 보이는 일반 목적의 쓰기와 다른 특징들 때문이다. 주제별로 연구 경향을 분석한 결과 교실에서 학습자들에게 쓰기를 어떻게 지도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과 학습자들이 학문 목적의 쓰기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분석한 연구가 많았다. 한편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가 성공적으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지식별로 연구 결과를 분석한 결과 학문 목적이라는 특수 상황의 맥락을 반영한 연구가 특히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의 연구는 이와 같은 맥락 지식을 더욱 구체화하는 동시에 학문적 담화공동체가 요구하는 내용, 언어, 쓰기 처리 지식이 무엇인지를 찾고 이를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방향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trends in researches which were published since the academic community has taken an interest in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Due to a growing number of students that are learning Korean language in order to pursue a bachelor’s or master’s degree, more spotlight has been on developing Korean academic writing education in order to meet their needs. It was necessary that contents and teaching method of such Korean education were tailored to meet the demand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particular, many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developing education for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Therefore, out of the 230 research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83 that were specifically about Korean academic writing education were analyz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rend by year showed an increasing total number of researches. When categorized by subject, most of the researches focused on general education plan and revealed a further need for expanding the scope of such research.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d the progress of researches that were done on content knowledge, context knowledge, language system knowledge, and writing process knowledge, which are said to be crucial for students to have in order to improve their Korean academic writing skills. Based on the analysis, most of the researches were found to be about forming context knowledge with its focus on genre. This may be the result of noting the fact that most of the students will have to write on specific genre that is required based on their different educational contexts and situations. However, building content knowledge and applying it in academic writing is equally as important a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genre. Specifically, there seems to be a need to conduct a research on students’ cross-textual knowledge an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ir integrated knowledge. Based on the analysis of existing researches on Korean academic writing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needs to be further studies on designing and developing specific contents and methodology for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 KCI등재후보

        대학 교양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구성을 위한 ‘읽기 후’ 전략 방안 연구

        이윤자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6 리터러시 연구 Vol.- No.16

        Korean learners have a system to some extent after entering university, thereby coming to receive the Korean learning in a little more deepened contents than before. This course is classified into ‘Korean for Academic purpose’ in Korean education. Out of it, General Academic Purpose in the curriculum is called ‘College Kor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nect a strategic method of proactive reading for the writing construction in college Korean learners. Teaching composition through a complementary role in the reading and writing function can maximize a teaching-learning effect. Also, the reading education can may develop the writing ability. The writing education improves the reading ability. Hence, it becomes the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and writing. The writing-construction eduction using the integrated activity of reading and writing is progressed with the teaching-learning activity of the stage before writing by using a strategy after reading in line with a learner's writing level through the selected learning material after seeking an effective teaching model. The strategies after reading, which are used at this time, are properly applied to the writing construction, thereby allowing a learner to remember the previously-acquired knowledge, to create an idea of writing, and to possibly express by structuring the writing contents. 한국어 학습자들은 대학 진학 후 어느 정도 체계를 갖추어 기존보다 좀 더 심화적인 내용의 한국어 학습을 받게 된다. 이 같은 과정을 한국어교육에서 ‘학문 목적 한국어’로 분류하고, 그 중 교양 교과과정의 한국어를 ‘교양 한국어’라 한다. 본 연구는 교양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구성을 위해 선행적 읽기의 전략적 방안을 연계하고자 하였다. 읽기와 쓰기 기능의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통해 작문을 지도하는 것은 교수-학습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읽기 교육이 쓰기 능력을 키울 수 있고, 쓰기 교육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읽기와 쓰기의 통합 교육이 된다. 읽기와 쓰기의 통합적 활동을 적용한 작문 구성의 교육은 효과적인 수업 모형을 모색한 후, 선정된 학습 자료를 통해 학습자의 작문 수준에 맞는 읽기 후의 전략을 이용하여, 쓰기 전 단계의 교수-학습 활동으로 진행한다. 이때 사용하는 읽기 후 전략들은 작문 구성에 적절하게 적용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이전 습득 지식을 기억하고, 작문의 아이디어를 생성하며, 작문의 내용을 조직해서 글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 KCI등재

        학문목적 한국어 글쓰기 교육에 필요한 교수요목과 교재 개발 방향

        이금희 ( Keum Hee Lee ) 반교어문학회 2012 泮橋語文硏究 Vol.0 No.33

        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학습자들은 구어나 일상적인 어휘나 조사, 연결어미등을 학습해 왔기 때문에 학술적인 글쓰기에 많은 오류를 보이고 있다. 일반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말하기-듣기``가 중요한 영역이라면 학문목적 한국어학습자들에게는 ``읽기-쓰기``가 더 중요한 영역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과제나 보고서, 시험 등 대부분 대학에서 진행하고 있는 학술적 활동이 읽기와 쓰기이기 때문이다. 본고는 기존에 발행된 학문목적 쓰기 교재와 학습자들의 과제물을 검토하여``학문목적 글쓰기에 필요한 교수요목``을 체계화해 보려 했다. 분야와 영역이 다르더라도 외국인 학습자들의 글쓰기에 필요하다면 교수되어야 하고, 이런 내용은 장기적으로 학문목적 글쓰기 교재의 내용이 되어야 한다고 믿는다.학문목적 글쓰기에는 학술적인 글인 설명적 글쓰기와 논증적 글쓰기의 여러방법과 함께 이들이 아직 배우지 않은 한국어 문어체의 특징, 그리고 맞춤법과 띄어쓰기, 외래어 표기법과 같은 정서법에 해당되는 내용, 문장과 문장, 단락과 단락의 응집성을 높이는 방법도 교수되어야 한다. 또한 글쓰기 교수요목에는 대학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해야 할 노트 필기하는 방법과 이를 다시 한국어 문장으로 기술할 수 있는 능력도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듣기의 어려움 때문에 노트필기에 대한 두려움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것처럼 이것에 대한 요령과 방법이 연습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술적인 활동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cademic writing syllabus required by the program of KAP(Korean for academic purpose), which is analyzing academic materials dealt with university students. Especially, this paper is to clarify what is needed to improve the academic writing ability of KAP learners.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enrolled in Korean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have difficulties to succeed in the academic mainstream of university. The main reason is that the most of Korean language courses taken by foreign students are designed for survival or general purposes. Therefore, the academic writing and speaking skill needed in the academic programs should be taught to KAP learners. In particular, this paper on the academic writing tried to clarify what is required syllabus. This is derived by analyzing academic materials, the students` term-paper and essay. The contents of academic writing should be included a note-taking, report writing method, the difference between oral and written language, method of correct spelling and spacing etc. And also there should be included essay and report writing techniques.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글쓰기 윤리 실천을 위한 학문 목적 쓰기 지도 방안 -자료 사용(Source use)을 중심으로-

        이윤진 ( Yun Jin Lee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7

        학문 목적 쓰기는 선행 연구에 대한 이해와 반영, 즉 넓은 의미에서의 자료 사용을 전제로 하는 글쓰기이다. 그런데 자료의 부적절한 사용은 곧 글쓰기 윤리의 위반으로 이어지기 쉽고 이것은 학문 목적 쓰기 능력의 신장이라는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외국인 유학생들의 경우는 자료 사용에 대한 다양한 시행착오들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쓰기 발달 과정에서 체계적인 자료 사용 교육을 바탕으로 극복되어 간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글은 학문 목적 쓰기에서 글쓰기 윤리 실천을 위한 자료 사용의 지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리고 자료 사용 교육은 크게 ‘자료의 선별’, ‘자료의 출처 표시’, ‘자료 내용의 구분 및 통합’에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먼저, 자료의 선별 교육에서는 학문 목적 쓰기에 있어서 ‘자료 사용의 가치’를 이해하고 ‘공신력 있는 자료에 대한 인식’을 갖게 한 후 ‘학술자료를 검색하는 연습’을 실시하고 자신의 글에 적절한 ‘자료 선택’을 하는 과정까지를 망라한다. 다음으로 자료의 출처 표시 교육에서는 ‘출처 표시의 필요성’을 알려준 후 출처 표시의 대표적인 방법인 ‘참고 자료 목록’과 ‘본문 각주(내각주/외각주)’의 기능을 구분하여 이해하도록 한다. 그리고 각각의 방법을 실습할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면서 외국인 유학생이 자주 혼동하는 사례를 교육 자료로 활용한다. 끝으로 자료 내용의 구분 및 반영 교육에서는 자료의 내용만을 그대로 빌려오는 경우, 그리고 자료의 내용을 옮겨오면서 자신의 의견과 통합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이 때 하나의 문장 안에서, 자료의 내용과 자신이 쓴 부분이 명확히 구분되면서도,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하는 데에 초점을 두도록 한다. 이상의 자료 사용 지도 방안은 교육 현장에서 글쓰기의 과정에 맞게 순차적으로 혹은 순환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향후에는 각 교육 단계별로 나타나는, 더욱 다양한 자료 사용의 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그것을 교수 설계에 다시 적용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글은 학문 목적 쓰기에서 글쓰기 윤리의 문제를 추상적이고 부정적으로 간주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적인 관점에서 구체적이고 긍정적으로 보아야 함을 부각시키고 하나의 실천 방안을 제시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Academic writing is a type of writing that requires both an understanding and a reflection of its prior studies, in other words, makes necessary the use of sources on a wider spectrum. However, the improper usage of information can easily lead to the violation of writing ethics and this in turn, affects negatively on the achievement of the original objective which is the growth of academic writing abilities. Especially in the cases of foreign international students, a variety of trial-and-error is presented in source usage and this is overcome during the writing development process with a systematic education of source usage. With this underlying fact in the background, this study argues that a specific content and teaching plan must be provided concerning source use in order to execution writing ethics. Moreover, it asserted that source use education should be made centralized on largely ``source selection``, ``citation(Source indication)`` and ``the content integration``. Firstly, source selection education comprises of the practice of ``researching academic information`` and ``source selection`` of information that is suitable for one`s writing after an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source usage`` and attainment of ``a recognition of source public confidence. Next, in the education of citation or source indication, after the notification of the ``necessity to cite the source document``, a separation or distinction of the function between the two main type of source indication which are the ``citations`` and the ``footnotes and endnote within writing``. Then, provide a sufficient chance to practice each method and make use of the cases that the foreign international students frequently confuse as the educative material. Lastly, in education of clear distinction and integration of content, cases can be divided into two cases: one of which is a case where the information from the source remain unaltered and the other a case of which the source information is integrated in with one`s own opinion in the process of transposing. At this moment the focus should be placed on the natural connection of these two separate parts within a sentence so that a clear distinction can be made between the source document`s information and one`s own writing. The content and the teaching plans about the source use education as posed above can be used either rotationally or consecutively according to the particular writing procedure used. In the future, through collection and analysis of variety of examples in information usage from each educational level, an attempt to reapply to educational content and construct a suitable solution should be made. This study does not consider the issue of writing ethics as an abstract or negative concept in the prospect of academic writing but as that of a meaningful one in a way that it emphasizes an educational perspective with the need to be examined from a concrete optimistic viewpoint and poses a measure of practice.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수 원리 -쓰기에서의 정직성을 중심으로-

        이윤진 ( Yun Jin Lee ) 이중언어학회 2012 이중언어학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tegrity of writing in KAP writing and contemplate on the feasible teaching principles. Honest writing is an essential element that backs up ``good writing``. If this element is absent from writing, one cannot expect the growth of skills that backs up academic writing. However, it is unreasonable to assume that just because the international students do not keep to honest writing. It is important to first build a sufficient amount of teacher`s interest and care as well as the implementation of consistent and fair principles as the background. All in all, it is of absolute importance the type of attitude and cognition a teacher has towards this matter concerning KAP writing. Secondly,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information about the implementation of honest writing should be actively pursued and reflected in KAP writing curriculum. Thirdly, it has been found that consistent and convenient communication before the submission of the final copy of the paper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writing process of each individual is the path to sustaining honest writing. Through this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the issue of ``integrity(honesty)`` in KAP writing education cannot be overlooked lightly and therefore, it is anticipated that it has been accentuated enough as to be interpreted and applied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Yonsei University)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문항의 개발 방향 모색

        이영옥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questions in A-TOPIK and to develop or propose new types of writing questions for foreign students who hope to study at korean universities. Most of the foreigner students having advanced language ability or having taken intermediate or higher courses of korean language institutes in their university seem to have difficulties to accomplish their study.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has been recognized as the official test to evaluate language proficiency and communication skills for foreign students. But we know the fact that general TOPIK(S-TOPIK) has lack of questions having trouble of measuring their abilities properly just as we’d hoped. This paper was analyzed the types of questions in the writing section of S-TOPIK and pointed out several questions as a test for academic purpose based on the analysis of writing. Moreover this pap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use of learning strategies on acquiring the writing skills for academic purpose. It is also well known by many kinds of surveys that most of students studying Korean language use many strategies to save and retrieve information later easily. So this kinds of strategies should be selected and trained to students through the intensive course in classroom directly. This study is limited within writing part of TOPIK for academic purpose but it is some meaningful work to make it a good guidance in developing and suggesting the better types of questions in A-TOPIK for preferable content validity. 본고는 한국 대학에서 수학을 목적으로 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수학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서의 학문 목적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개발 방향에 있어서의 실제적인 문항 도구 제안에 목적을 둔다. 최근 한류에 따른 한국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고 국내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노력에 힘입어 국내 대학에서 학업 수행을 목적으로 입학하려는 외국인 유학생의 수는 증가하고 있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일반 목적 한국어능력시험(S-TOPIK)의 쓰기 문항을 살펴보면 전반적인 문형 중심의 이해 문제가 주를 이루며, 배운 문법 유형들을 잘 이해하고 있는가에 초점을 둔 어휘나 문장구조 등을 강화시키기 위한 연습 위주의 통제 작문 중심의 활동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한국어의 학습 목적이 대학이나 대학원에 진학하여 학업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라면 보다 실제적인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 중심의 학문 목적 쓰기 평가 도구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라고 본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재 활용되고 있는 일반 목적 한국어능력시험의 쓰기 문항을 살펴본 후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문제해결력과 비판력, 판단력 등의 실제적인 언어 사용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학문 목적 중심의 서술형 평가 문항의 유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윤리적 글쓰기 교육의 방향

        이윤진 ( Yun Jin Lee ) 이중언어학회 2011 이중언어학 Vol.45 No.-

        Bilingual Research 45, 167-188. This article has been written from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writing ethics, which was not dealt with extensively in KAP writing education. Foreign students sometimes, for various reasons, violate writing ethics. The reason why this is a serious issue is because an individual may become accustomed to undesirable and unethical writing habits without being aware of the immorality behind one`s own actions. However, solutions should not be found from simply accusing the learner of one`s dishonest attitude or consciousness, hut solutions should be found from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current Ethical writing` education and from searching for ``the direction that the education of writing ethics`` should take in KAP writing education. In this writing, studies on current writing ethics education has been done through writing materials for KAP learners, and reviewing the writing syllabuses for KAP learners. Moreover, several proposals concerning the direction of ``writing ethics education`` for both foreign and international students are made. Now, the placement of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n ``honest and sincere`` writing above the importance of teaching about the writing ``method`` and the required ``content`` is imperative. Therefore, henceforth, the issue of ``ethics`` should be dealt with in greater part in Korean writing and it is essential that a detailed education plan with its accommodation be developed.(Yonsei University)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 대상의 윤리적 글쓰기 지침서 개발 방안

        이윤진 ( Lee Yun-jin ) 한국작문학회 2011 작문연구 Vol.0 No.12

        이 글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윤리적 글쓰기 지침서 개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최근 국내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의 급증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연구가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가운데 학문 목적의 글쓰기 관련 논의가 눈에 띄게 많았다. 그런데 우리는 외국인 유학생이 글쓰기 과정에서 느끼는 여러 가지 애로점이나 다양한 상황들이, 종종 바람직하지 않은 방법으로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원인이 되고 있음을 간과해 왔다.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 목적의 글쓰기 능력 신장’은 ‘윤리적 글쓰기’를 전제로 하지 않는다면 그 ‘진정성’은 결코 보장될 수 없다. 이에 외국인 유학생의 불충분한 한국어 능력뿐만 아니라 외국인 유학생의 상황이 고려된 윤리적 글쓰기 지침서의 개발이 시급하다. 이 논의에서는 외국인 유학생 대상의 윤리적 글쓰기 지침서의 ‘개발 목표’, ‘개발 원리’, ‘구성 내용’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글의 결과는 향후 윤리적 글쓰기 지침서 개발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학문 목적의 한국어 교육에서 ‘성실하고 정직한 글쓰기’에 대한 가치를 부각시키고 ‘윤리적 글쓰기’ 실천을 위해 유용하게 쓰일 것이다. 지침서에 포함될 내용 및 실질적인 사례 등은 지속적으로 수집되고 보완되어야 할 것이며, 더욱 심도 있는 논의는 향후 과제로 남기기로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into the development of ethical writing guidebook for foreign international students. Lately, in universities within our nation are experiencing a broad scope of study on the education of KAP(Korean for academic purposes) due to the exponential growth in the inflow of foreign students from around the globe. Among everything, the number of articles on writing of KAP(Korean for academic purposes) has increased a manifold. However, we have overlooked the fact that many of the situational differences and difficulties international students come to confront at times are habitually dealt with in an unorthodox way. If the growth of an international student’s writing abilities is not based on a solid premise of ethical writing, its morality cannot be guaranteed. The establishment of a guidebook considering not only an international student’s insufficient Korean skills but also their particular environment is imperative. This article closely examined the ‘the objective’, ‘the prerequisites', ‘structural content’ and other elements behind the development of ethical writing guidebook targeted for foreign international students. The acquired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the cornerstone to the development of ethical writing guidebook in the future. Thus, it will be useful i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honest and sincere writing' and practicing ‘ethical writing’ in the writing education of KAP. The contents and examples to be included in the guidebook should be continuously collected and supplemented and deeper discussion into this study will be left for the future.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교육 박사 학위 논문 서론 텍스트 구조 분석

        손다정(Son Dajung),정다운(Chung Dawoon)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0 No.-

        이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이 작성한 한국어교육 박사 학위 논문 서론 텍스트의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논문은 장르적인 특징이 매우 뚜렷하기에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에서 성공적으로 학업을 마치기 위해서는 한국어 학위 논문의 장르적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반영하여 논문을 작성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본고는 이와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최근 발표된 한국어교육 박사 학위 논문 중 외국인이 작성한 논문 서론의 내용을 중심으로 텍스트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외국인 유학생들은 박사 학위 논문 서론에서 연구의 목적을 처음에 제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처음부터 바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기보다 연구 주제와 관련한 배경을 먼저 소개하고 해당 분야의 선행 연구를 살피거나 교육 현장의 필요를 부각하면서 연구 주제의 필요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한편 문헌 연구보다 실험 연구 등의 논문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연구 방법이나 가설을 설명하는 경우는 많이 나타나지 않았다. 외국인 유학생이 작성한 학위 논문 서론의 텍스트 구조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통해서 앞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보다 체계적인 학위 논문 작성 교육 내용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focusses on analyzing dissertations,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of text structure in the introduction section, written by foreign graduate students for a doctoral degree in Korean Education. Currently in the Korean educational environment, several students are mastering Korean as part of their academic studies. They must learn to write dissertations, as it is a required genre of academic writing. As a form of academic writing, dissertations are a tool to communicate with members of the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and, as a result, include typical genre characteristics that are agreed upon in the community. Therefore, students who are learning Korean for academic studie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issertation writing as a genre, and demonstrate the ability to write dissertations that reflect this understanding. Hence, we analyzed the introductions of research articles that were recently written by foreign doctoral students. We conducted a genre analysis on the structure of the introduction sections with an emphasis on content that produced a different result from previous researches. Systematic, genre-based instructions on writing the introduction section in Korean research articles are required, emphasizing the differences and gaps identified from previous researches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roductions in Korean doctoral dissertations as a genre.

      • KCI등재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교육을 위한 장르 분류와 분석의 틀 -장르기반 접근법 적용을 위하여-

        김영미 ( Young Mee Kim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0 텍스트언어학 Vol.29 No.-

        Since the definition of ``genre`` was given in the field of ESP(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genre-based approach has been discussed and considered 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ology for academic writing. Among studies on KAP writing pedagogy, however, the notion of ``genre`` and the factors for analysis in the writing classroom do not seem to have been discussed enough. Moreover, most of the studies emphasize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ext types and linguistic features in its application for teaching KAP writing. Hence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firstly, to study the concept of ``genre`` for the KAP writing classroom, then, to point out some problems in analysing particular linguistic features of each type of genres without taking socio-cultural factors of discourse into consideration, and finally, to propose a pragmatic framework for genr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that can be applied in a genre-based writing classroom. For these purposes, some model texts from a textbook material are analysed, and the prototypical structures of each text are compared. Through this analysis, it is shown that the linguistic features should not be the only distinguishing factor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of genre. In order to suggest a working framework, this paper uses a genre analysis model discussed by Paltridge(1995) to analyse the model texts, and proposes its possibilities in exploring model texts and classifying necessary genre types for the genre-based writing classro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