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s of Narrative Identity and Historical Nostalgia and Inducing Factors on Historical Contents Evaluation

        Ah-Young LIM 한국유통과학회 2019 The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Vol.10 No.9

        Purpose - Consumers have memories of their past time that they have not experienced. So consumers want to experience the past time and get pleasure through historical contents such as movies or dramas. This is because the re-created the past time sets the identity of the consumers who live today, and in the process, it give consumers emotional comfort. Consumers do not remember and sympathize with all of their historical time. In general, consumers remember the time that their communities are proud of. As s result, historical content is seen as a hero, and through that, consumers can check their identity. Also consumers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such as self-esteem, gratitude and pride through identification with heroes. That is, through historical contents, consumers can identify themselves and replace the current negative emotions with positive one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narrative identity and historical nostalgia that can affect positive evaluation of historical contents and suggest the factors the can induce such effe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ain what the consumption effect of historical content is from a marketing perspective and what constitutes a component of historical content as a factor driving this effec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has developed a questionnaire with 8 Hypotheses. The Films (‘Masquerade(2012)’, ‘Roaring Current(2014)’, ‘Assassination(2015)’, ‘The Age of Shadow(2016)’) and dramas(‘Six Flying Dragon(2015-2016)’, ‘Mr. Sunshine(2018-2019)’) were used as experimental contents. 268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empirical stud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verify hypotheses. Results - Frist, narrative identity affects positive evaluation of historical contents. Nostalgia affect positive evaluation of historical contents. and narrative identity affects positive response of historical nostalgia. Second, character act relevance, circumstance similarity, and character attractiveness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response of narrative identity. Lastly, empathy for story and vividness of representation have also positive influence upon response of historical nostalgia. Conclusion -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and managemental development of historical contents. This study shows that narrative identity and historical nostalgia are important for success of historical contents. In order for historical content to be successful, it must manage elements of character act relevance, circumstance similarity, and character attractiveness, empathy for story and vividness of representation.

      • KCI등재

        체험형 역사콘텐츠와 한국고대사

        최희수(Choi, Hee-Soo)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4

        최근 한국고대사와 관련된 일반대중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그것은 한편으로는 좋은 일이긴 하지만, 한편으로는 우려스럽기도 한 일이다. 왜냐하면 그 관심이 역사학계의 연구성과를 바르게 받아들인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역사학계가 대중들과 소통하는 것은 매우 긴요한 일이다. 한국고대사 학자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대중과의 소통을 시도하는 것도 그런 맥락에서 볼 때 매우 바람직하다. 대중과의 소통에 있어서 막대한 영향력을 끼치는 것은 콘텐츠이다. 그 가운데에서 대중들의 역사인식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것이 역사콘텐츠임은 물론이다. 역사콘텐츠는 역사를 소재로 하거나, 역사를 주제로 삼은 콘텐츠를 의미한다. 역사콘텐츠는 콘텐츠가 유행하기 시작한 1990년대 이후부터 급격히 발달해 왔다. 역사드라마, 역사영화 등이 대중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역사학계에서는 역사콘텐츠들이역사적 사실을 충실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불만을 토로해 왔다. 따라서 역사학과 콘텐츠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절실하다. 역사콘텐츠는 우선 역사지식을 집적하는데서 비롯되었다. 민간주도의 역사자료 데이터베이스가 선행되었고, 뒤이어 국가주도의 지식정보 집적 사업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많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일반대중들이 접근하기에는 많은 한계를 갖고 있었다. 그 때문에 새롭게 대중들에게 다가설수 있는 콘텐츠들이 기획되고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일반대중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서비스를 개선하고, 콘텐츠를 다시 가공하는 사업들이 진행된 것이다. 역사학의 목표는 대중들의 역사적 사고력을 함양시켜서 올바른 역사인식을 하게 만드는데 있다. 그 가운데 콘텐츠는 역사적 상상력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사료상의 공백으로 인해 생기는 역사상의 빈 공간을 역사적 상상력으로 채울 필요가 있는 것이다. 역사적 상상력에 기여할 수 있는 콘텐츠는 ICT와 결합된 체험형 콘텐츠이다. 대표적인 기술이 가상현실, 증강현실이다. 그것은 인간의 체험영역을 확장시킴으로써 우리가 접할 수 없었던 과거시대의 역사상을 재연하고, 감정이입을 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이같은 방식을 디지털세계에서는 메타버스의 개념으로 설명한다. 메타버스는 증강현실과 가상세계, 거울세계, 라이프로깅의 4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을 기반으로 체험콘텐츠가 제작되면 과거 역사상에 대한 대중들의 구체적 경험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역사적 사고력을 제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역사학계에서 ICT 기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콘텐츠 제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또한 역사콘텐츠에 대한 비판도 역사적 사고력에 필요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그 기준을 정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역사학은 학계의 성과를 콘텐츠에 반영하고, 콘텐츠는 대중들의 역사적 상상력을 제고하는데 기여해야 한다. In recent years the general public has increased interest related to ancient history. On the one hand it is good, but, on the other hand, is a worried thing. Because it is not accepted properly research the history of academia. So it is a very critical one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n the history of academia. Such attempts that scholars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n various ways are highly desirable. Content is exercised enormous influence in th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Of course, it is an historical content, as well as being profoundly affect public perceptions of history. Historical content means content include history as a material, or history as a subject. Historical content has been developed rapidly since the 1990s. Historical dramas, historical movie, it started to exert greater influence on the public. However, academics have complained these contents failed to reflect historical facts faithful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win-win between the content and history. Historical contents were first derived from the accumulation of historical knowledge. The private sector was leading database of historical documents, subsequently it was pursued state-led projects accumulated knowledge and information. But there were, despite the many achievements, has a lot of limitation in the general public to access. Therefore, content that appeal to the masses began to have a new development. It was carried out to improve and re-processed content services to facilitate the general public to understand. The goal of history is making the proper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 masses by cultivating historical thinking. Among them has the content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ical imagination. The empty space in the history caused by space of the historical documents that will need to fill in the historical imagination. Content that can contribute to the historical imagination is combined with experimetial content with ICT. Typical technology is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It is allows us to reproduce the history of a bygone era could not access, and empathy by expanding the area of human experience. Such a method is described the concept of meta-bus in the digital world. Metaverse is divided into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worlds, mirror world, life logging area. If experimetial these product based on these area, it can implement detail experience of the public about the history of the past, also can enhance the historical thinking. Therefore, academic history should be actively involved in historical content produc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ICT technology. In addition, the history academics shall define the criteria by considering the elements needed for historical thinking about criticism of the historical content. Thereby, the academic history reflects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content, and the content shoul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historical imagination of the public.

      • KCI등재

        역사 유튜브 콘텐츠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콘텐츠의 특성 및 유의점 고찰

        김형록(Kim, Hyoung-rok)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교육 Vol.60 No.3

        본 논문은 역사 유튜브 콘텐츠를 볼 때 유의할 점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역사 유튜브 콘텐츠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콘텐츠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요즘 학생들은 유튜브를 보면서 역사에 흥미를 갖지만, 그저 재미로만 역사를 보는 것은 문제가 있다. 유튜브에는 거짓 정보와 역사 왜곡, 편향적인 관점이 노골적으로 드러난 콘텐츠가 많기 때문이다. 재미를 추구하는 역사 유튜브 콘텐츠는 사실을 왜곡하거나 단순화시킬 수 있고, 편향적인 역사관을 전달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향은 유튜버의 역사 지식과 관점이 일방적으로 시청자에게 전달되는 유튜브의 일반적인 형태에 편승하여 더욱 문제가 된다. 따라서 학생들은 이러한 역사 유튜브의 특성을 알아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몇 가지에 유의한다면 유튜브를 더욱더 재미있고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역사 유튜브 콘텐츠는 흥미와 재미를 추구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어느 정도 역사 지식의 단순화와 왜곡 현상도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 그러므로 학생들은 유튜브를 볼 때, 마치 역사가가 사료를 보듯 비판하며 보아야 한다. 콘텐츠에 대한 비판적인 관점이 마련되었다면 유튜버에게 말을 거는 게 좋다. 유튜버에게 말을 거는 좋은 방법은 댓글을 활용하는 것이다. 댓글에서는 유튜버는 물론이고 다른 시청자들과 소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역사 지식과 관점을 공유하고 역사를 이해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학생들이 역사 유튜브 콘텐츠의 특성을 염두에 두고 몇가지 유의점을 고려하면서 유튜브를 본다면 재미와 더불어 교육적 효과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onsiderations necessary when viewing Historical YouTube contents. Based on results of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students" perceptions of historical YouTube contents were examined to derive characteristics of these contents. These days, students show interest in history when they watch contents that deal with history on YouTube. Although it is quite encouraging, there are problems in viewing history just for fun because YouTube contains many contents that plainly expose false information, history distortions, and biased views. Historical YouTube contents that pursue fun may distort or simplify facts. Sometimes they convey biased views of history. Such a tendency becomes even more problematic as it rides on YouTube"s general form, in which YouTubers" historical knowledge and viewpoints are unilaterally delivered to viewers. Therefore, students should know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YouTube contents. If they have the following several considerations based on facts and knowledge, they will be able to use YouTube more interestingly and educationally. First, they should know that historical YouTube contents pursue interest and fun. Thus, they should recognize that there are some simplifications and distortions of historical knowledge in historical YouTube contents. Therefore, when students watch historical YouTube contents, they should view them critically in the way historians view historical materials. If they have prepared a critical point of view on these contents, they may want to talk to relevant YouTubers. A good way to talk to YouTubers is utilizing comments. Through comments, they can communicate with YouTubers as well as other viewers. These interactions will be a good opportunity to share historical knowledge and perspectives and to understand history. If students watch historical YouTube contents keeping in mind characteristics of such YouTube contents and have several considerations, they will be able to obtain educational effects along with fun.

      • KCI등재후보

        역사문화콘텐츠 전공 교육의 현실과 전망 : 상명대 역사콘텐츠학과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은경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1 한국문화연구 Vol.20 No.-

        이 연구의 목적은 역사문화콘텐츠 교육의 현실을 점검하고 앞으로의 전망을 모색해 보려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상명대학교 역사콘텐츠학과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 학과의 교육과정을 타 학교의 유사 학과와 비교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재학생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실제 교육의 내용과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본고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콘텐츠학과의 교과과정은 ‘역사학’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되, 기획과 실습 수업을 다수 배치하여 역사문화콘텐츠의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역사문화콘텐츠 연계 전공을 통해 전공 교육의 한계와 단점을 보완하면서 효율적으로 다학제간 연계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둘째, 역사콘텐츠학과의 전공 수업은 그것이 신생 영역인 만큼 교수·학습 방법에서 축적된 노하우가 많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학생들은 역사 수업과 콘텐츠 수업의 연계성 부족, 콘텐츠 생산 수업에서 구체적인 지침 및 전문적 기술 교육 미흡, 장비 부족 등을 문제로 지적했다. 졸업 후 진로에 대해서는 역사콘텐츠 전공 교육이 진로에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비관적인 입장을 가진 학생도 있었지만, 전공 수업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찾고 자신의 진로를 적극적으로 개척하려는 학생도 적지 않았다. 이들은 문화콘텐츠 연계 전공을 하거나, 공모전을 준비하는 동아리 활동을 통해 역사콘텐츠 생산에 관한 실무를 익히고 있었다. 셋째, 역사콘텐츠학과의 교과과정과 교육 내용은 상명대처럼 새로운 모색을 하려는 학과들에게 모범적인 사례가 될 만하다. 그렇지만 역사문화콘텐츠 교육이 더욱 내실 있는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실제적인 차원에서는 역사학과 문화콘텐츠학을 동시에 교육할 수 있는 전문가의 양성과 교수·학습 방법 등의 개발이 시급하다. 또한, 역사학적 소양을 갖춘 문화콘텐츠 전문인력이 사회로 진출할 수 있는 통로를 개척하는 것은 역사문화콘텐츠학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요한 과제라고 하겠다.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on education and future prospects for reality check.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historical contents is designed for the production of cultural contents. Moreover,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makes up for the weak points of the original major. Second, the education of historical contents has little teaching and educational methods. some students feel anxious about their uncertain future. However, the others look forward to their possible future career by taking part in the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or preparing for competition through club activities. Third, the case of the Department of Historical Contents at Sangmyung University can be called a model of educ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However, it has some problems to be solved. On top of that, it needs to cultivate trained professionals and develop teaching materials.

      • 역사학의 방법에서 역사문화콘텐츠적 접근으로의 전환

        유병준(Byeong-Jun You)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2023 스토리콘텐츠 Vol.- No.3

        이 글은 역사문화콘텐츠 영역이 지닌 동시대적 의미를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역사문화콘텐츠를 기존 역사학의 영역 속에서 인식하는 것을 넘어, 다양한 과거를 다루는 방법으로서 이해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 역사학의 방법론이 객관성을 담보하는 것에 치중되어 있음을 지적하고, 이때 발생하는 ‘공감’에 대한 문제에 주목했다. 이후 역사문화콘텐츠의 의미를 내용·형식적인 차원, 즉 ‘팩션’과 ‘히스토리텔링’을 통해 살펴보았다. 논의 결과, 역사문화콘텐츠는 팩션으로서 다양한 과거를 다룰 수 있다. 이는 ‘실재적 사실’과 ‘역사적 사실’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의 과거를 다루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히스토리텔링을 통해 ‘역사가와 과거의 일방적인 대화’가 아닌 ‘역사가와 대중’, ‘대중과 대중’, ‘과거와 대중’ 등의 관계 속에서 다양한 소통이 이루어진다. 정리하자면 역사문화콘텐츠는 기존 역사학의 연장선상에서 ‘활용’과 ‘활성화 방안’이라는 측면 이외에도, 과거를 기억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제공한다. 따라서 역사문화콘텐츠를 과학적 역사학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을 넘어, 과거를 새롭게 다룰 수 있는 방법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과거는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재)가공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temporary meaning of the historical-cultural contents area. To this end, discussion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historical-cultural contents as a way to deal with various pasts beyond recognizing them in the realm of existing historical studies. Specifically, it pointed out that the existing methodology of history is focused on ensuring objectivity, and paid attention to the problem of “sympathy” that occurs at this time. Since then, the meaning of historical-cultural contents has been examined through content and formal dimensions, that is, 'faction' and 'historytelling'.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historical-cultural contents can deal with various pasts as a fac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deal with the past of the 'gap' that exists between 'real facts' and 'historical facts'. In addition, through historytelling, various communications are made in relationships such as “historian and the public,” “public and the public,” and “past and the public,” rather than “one-sided conversations with historians.” In summary, historical-cultural contents provide various ways to remember the past in addition to the aspects of “utilization” and “activation measures” as an extension of existing historical stud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istorical-cultural contents as a way to deal with the past anew beyond looking at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tific and historical history. Through this, the past can be (re)processed in more various ways.

      • KCI우수등재

        역사문화콘텐츠 연구 방법론으로서 ‘문화 연구’를 전유하기

        태지호 인문콘텐츠학회 2022 인문콘텐츠 Vol.- No.64

        This paper deals with the methodology of cultural contents research. In particular, this paper attempts a theoretical exploration that appropriates 'Cultural Studies' as a methodology for researching historical-cultural contents.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examined historical-cultural contents, focusing on the main concepts of ‘Cultural Studies’. This is a premise for historical-cultural contents to appropriate 'Cultural Studies' to research methodology. Accordingly, this paper reviewed historical-cultural contents in relation to the concepts of popular culture, practicality of every day culture and representation. Afterwards, this paper examined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tudies’ through the problem framework of 'experience' and 'structure'. This is a discussion that examines the theoretical horizon of ‘Cultural Studies’ from a diachronic point of view. At the same time, this is also a discussion to confirm how the intellectual tradition of ‘Cultural Studies’ is related to historical-cultural contents research through the concepts of culturalism, structuralism, and hegemony. Since then, the appropriation of ‘Cultural Studies’ for historical-cultural contents research has been dealt with through the analysis point of production, contents, and consumption, which are the process of cultural circulation. Through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discussed that the study of historical-cultural contents deals with the present and every day, and that the perspective of approaching historical-cultural contents only as a specific commodities should be avoided.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 연구 방법론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역사문화콘텐츠 연구 방법론으로서 ‘문화 연구’를 전유하기 위한 이론적인 탐색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우선 본 논문은 우선 ‘문화 연구’의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역사문화콘텐츠를 살펴보았다. 이것은 ‘문화 연구’를 연구 방법론으로 전유하기 위한 역사문화콘텐츠에 관한 전제이다. 이에, 본 논문은 역사문화콘텐츠를 대중문화, 일상문화의 실천성, 재현의 개념들 속에서 새롭게 검토하였다. 이후 본 논문은 ‘문화 연구’의 입장을 ‘경험’과 ‘구조’라는 문제틀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것은 ‘문화 연구’의 이론적 지평을 통시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는 작업이다. 동시에 이것은 문화주의, 구조주의, 헤게모니의 개념을 통해 ‘문화 연구’의 지적 전통이 역사문화콘텐츠 연구에 어떻게 맞닿아있는지를 확인하는 논의이기도 하다. 역사문화콘텐츠 연구를 위한 직접적인 ‘문화 연구’의 전유는 문화의 순환 과정인 생산, 콘텐츠, 소비라는 분석 지점을 통해서 다루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역사문화콘텐츠 연구가 현재와 일상을 다루는 것이며, 특정한 재화로서만 역사문화콘텐츠를 접근하는 관점이 지양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역사적 사건의 콘텐츠화 과정 연구

        차주영(Chah Joo-young) 인문콘텐츠학회 2007 인문콘텐츠 Vol.0 No.10

        역사는 그 나라 국민의 공통적인 정서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역사의 기록은 수많은 콘텐츠의 보고(寶庫)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콘텐츠화 작업이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았던 이유는 시대의 트렌드에 맞는 형식과 접목시키려는 노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전문가의 고증을 거친 콘텐츠 개발과 이를 이용한 디지털화 작업은 역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이끌어내는 한편 역사학의 활용도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따라서 역사 속에서 새로운 주제를 이끌어내어 형상화시키는 시도가 필요하다. 이 글의 목적은 중종반정이라는 역사적 사건의 디지털콘텐츠화 작업이 갖는 의미와 가능성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역사콘텐츠를 찾아내고 디지털화하기 위해서 필요한 방법론을 여러 분야에 걸쳐 제시하였다. 원사료를 찾아내 수집하는 과정을 통해 고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반정의 전체적인 스토리뿐만 아니라 준비과정, 진행상황, 배경, 의의 등에서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낼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반정과 관련된 인물들에 대한 개인별 특성화 작업, 입체적 지형을 배경으로 만들어진 이동경로, 상황별 복식의 재구성은 향후 역사콘텐츠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history of country retains the common emotional structure of the people of the country. Historical records are a treasury of countless contents. Nevertheless, they have not been built actively into contents due to lack of efforts to adapt them to a form fit for contemporary trends. The development of contents through specialists’ historical investigation and the digitalization of the contents will stimulate the public’s interest in history, and at the same time will enhance the utility of historical studies. Accordingly, we need to draw new themes from history and give form to them.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and possibility of creating digital contents from the historical event of the dethronement of King Yeonsan and the enthronement of King Joongjong. For this, we suggested methodologies in various areas for searching for historical contents and digitalizing them. W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historical investigation through the process of collecting historical materials and explained that new contents can be created not only from the overall story of the event but also from the preparation, development, background and meanings of the event. The characterization of individuals involved in the event, the moving route created with three?dimensional topographic background and the reconstruction of dress style in each situation show various utilities of historical cont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역사민속콘텐츠의 창출 현황과 대중화의 과제

        박경하,박주영 한국역사민속학회 2018 역사민속학 Vol.0 No.55

        Since the mid 1990s, there has been an international trend of neo-liberalism based on the logic of information and market competition around the world and the bailout crisis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nationwide. Paradoxically, the popular use of historical-folklore contents was triggered as a part of efforts to overcome the ‘humanity crisis’ in the context of social pragmatism. In order to analyze the trend of popularization of historical-folklore contents, it is necessary focus on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contents infrastructure to utilize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traditional era. For those businesses, there are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Project」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1999~ ), 「The Cultural Resource Digital Contents Development Program」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Korea Culture Contents Agency, 2002~ ), 「The Digital Local Culture Encyclopedia of Korea」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004~ ). The ‘Cultural Archetype Project’ which was proposed by the Korean Culture Contents Agency under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in 2002, to make use of digital technology and make it more competitive as a creative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it became a catalyst for the creation of historical-folklore contents. The field of historical-folklore contents need efforts to re-establish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establishing scholarship, seeking methodology and theory. In order for the public to have high-quality contents, the university should produce outstanding individuals who can make the content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fessional and systematic research education curriculum. The public’s perception on history is produced through contents such as movies, cartoons, or games and they perceive those contents as real historical fact. It can lead the public to understand wrong history. To correct this, it is the responsibility of historians to create a circumstances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istory when they produce historical-folklore contents. Additionally, they should continuously consider how to coexist excessive commercialization and pure academy. The efforts to popularize historical-folklore contents will not only be limited to the revival of the humanities itself and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but also be a creative process that will create a new value orientation for the entire society and be an opportunity to create a new historical-folklore and humanities in the 21st century at the same time. 1990년대 후반부터 정보화와 시장경쟁논리를 바탕으로 한 신자유주의라는 세계화의 동향과 국내적으로는 IMF의 구제금융 위기 속에서, 실용주의가 강조되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대학에서도 실용성이 떨어지는 학문단위의 구조조정이 시작되었다. 인문학 관련학과들이 통폐합되는 현실에서 이를 인문학 연구자들은 새로이 등장하는 문화콘텐츠분야에서 대안을 찾으려 하였고, 역사민속학계에서는 역사민속콘텐츠의 창출과 이의 대중적 활용에 주목하였다. 역사민속콘텐츠의 대중화 경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전통시대의 역사와 문화를 활용한 디지털 인프라 구축사업에 주목해야 한다. 대표적인 사업으로는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정보문화진흥원, 1999년~ ), 「문화원형디지털콘텐츠화사업」(문화관광부․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2년~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사업」(한국학중앙연구원, 2004년~ ) 등이 있다. 2002년 2월에 문화관광부 출연기관인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에서 디지털 기술을 이용, 콘텐츠화하여 문화산업의 발전에 필요한 창작소재로 경쟁력을 높이고자 공모 제안한 ‘우리문화원형사업’이 역사민속콘텐츠의 본격적인 창출의 기폭제가 되었다. 역사민속콘텐츠 분야는 학문의 정립과 그와 관련된 방법론 및 교육론의 모색, 고증, 검토 등 학문을 재정립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대중이 수준 높은 콘텐츠를 향유하기 위해서는 이를 제작하기 위한 인력을 대학에서 배출해야 할 것이다. 즉,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연구 교육 교과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요즈음 대중의 역사 인식은 영화․게임․만화 등의 콘텐츠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고, 대중들은 이것을 실제의 역사 사실로 인식하기도 한다. 즉, 대중을 잘못된 역사 이해로 몰고 갈 수 있다. 이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역사민속콘텐츠의 제작에 있어서 역사의 고증을 중시하는 분위기로 만들어가는 것도 역사민속학 연구자들에게 주어진 책임이다. 또 순수학문과 지나친 상업화와의 관계를 어떻게 이룰 것인가에 대해 앞으로 계속 고민하며 풀어야 할 과제이다.

      • KCI등재

        역사 전유의 세 가지 방식 -퓨전사극 속 왕의 서사를 중심으로-

        조미숙 ( Mi Sook Jo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0

        문화는 사람을 가장 사람답게 만드는 것이며 훌륭한 문화의 창조는 삶의 중요한 원동력이 된다. 문화콘텐츠의 중요성은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다. 이제는 실로 오래된 것들이 콘텐츠라는 이름으로 되살아나 새로운 양식으로 이야기되는 스토리텔링의 시대, 옛것과 새것이 융합되는 컨버전스의 시대, 콘텐츠와 콘텐츠가 융합되는 퓨전과 하이브리드 시대이다. 역사 콘텐츠의 생산과 활용이 절실해지는 것은 이 지점이다. 역사드라마는 역사콘텐츠 활용의 한 예가 된다.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된 이래 역사는 드라마의 주요 소재가 되어 왔다. 퓨전과 컨버전스의 시대에 맞게 역사드라마도 발전한 것이 이른바 ‘퓨전사극’이다. 우리나라에서 역사드라마가 대중적 인기를 끌고 본격화된 역사 소재 드라마들이 붐을 일으키게 된 데에는 퓨전사극의 역할이 컸다. 대중의 인기를 얻지 못하던 한국 역사드라마의 지평은 크게 변화하였다. ‘한류’는 우리 문화콘텐츠 사업의 좋은 예가 된다. 이제 우리의 고민은 이 한류의 흐름이 지속 가능한 것으로 자리매김하는 문제에 놓여야 할 것이다. 한류, 한국문화의 중요성은 자긍심과 책임감에서 비롯된다. 한류 역사드라마를 어떻게 스토리텔링하는가에 관하여는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킬러콘텐츠가 될 만한 한류 역사드라마의 지속적 생산을 위해 역사콘텐츠 개발이 중요하다. 전통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연구 위에서 일상사에 대한 관심을 보다 활발히 한다면 오늘날 우리들의 관심이 되고 있는 미시 사, 일상사의 좋은 드라마를 만들어 한류의 흐름을 유지해 갈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발견된 역사콘텐츠를 구성하는 방식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필요하리라 본다. 본고에서는 퓨전사극 세 작품은 왕의 서사이다. 왕의 서사를 선택한 이유는 이들이 퓨전사극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세 작품 모두 소설과 관계를 갖는다. 연구 결과 이들은 공히 매력적 시작과 의미 있는 결말, 멜로드라마적 요소와 트렌디 드라마적 요소의 차용, 극적 갈등의 전개를 위한 플롯의 복잡성, 고유성과 보편성의 공존 문제라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ulture makes a man worthy of man. The creation of a great Culture is an important issue in our life. There is no need to emphasize anew the importance of Cultural Contents. Historical Contents production and utilization becomes necessary. Historical drama is one example use of historical Contents. Since the beginning of the television broadcast, the history was used as the main material of the dramas. To fit the historical drama that developed in the era of Fusion and Convergence is the so-called ``Fused-historical-drama``. Becoming popular historical drama in Korea in earnest dramas in history, leading to a boom that is thanks to Fused historical drama. Korean dramas after that to get popular novelties horizons varied greatly. Today, many Korean dramas under the name of ``Hallyu`` came to be exported to China. ``Hallyu`` is agood example of our Cultural Contents Business. Our worry now positioned to be a sustainable flow of Hallyu will be placed on the problem. The importance of Hallyu, Korea culture stems from the pride and sense of responsibili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spect of the way Korean historical drama storytelling from been investigated Fused-historical-drama three works “Deep-Rooted Tree”“Taewang-fourghosts” “The Moon embracing The Sun”. These texts are common narratives of the king. And all three works have relationship with novels. These are showed that attractive and meaningful start-ending, melodrama`s elements and trendy drama`s elements, the appropriate use of dramatic conflict, for the deployment of the complexity of the plot, the coexistence of the universality and uniqueness. Hallyu historical drama storytelling about how the ongoing research is needed.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Killer contents that will Hallyu historical dramas,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historical Contents. It is necessary for in-depth research and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 and to more actively interested about the history of the day-to-day basis. So take advantage of one of us today are interested in micro-history, daily history can make good dramas. Then we will keep getting the flow of Hallyu as today.

      • KCI등재

        안동 지역의 역사콘텐츠와 역사자료 활용 플랫폼 구축 - 안동시립박물관 전시를 중심으로 -

        이규철 전북사학회 2023 전북사학 Vol.- No.69

        안동 지역은 풍부한 역사문화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역사콘텐츠 혹은 문화콘텐츠 관련 사업에서 많은 성과를 남겼다. 하지만 안동 지역 배경의 역사콘텐츠나 역사문화자원 활용 방식은 대부분 특정 이미지나 모습에만 집중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안동시립박물관은 여러 사례와 경험 등을 참고하면서 지역의 역사ㆍ민속 관련 특성을 찾아 제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안동 및 경북의 역사 전시를 보완하면서 지역에 관련된 역사자료를 수집해서 다양한 사람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형태의 역사자료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구축도 필요하다. 역사자료의 수집과 연구 심화는 역사 관련 모든 분야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안동 및 경북 지역의 역사ㆍ민속자료를 쉽게 접하고 이용할 수 있는 역사자료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진다면 지역 관련 역사콘텐츠의 생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역사ㆍ민속자료가 충실하게 수집되어 관리된다면 이를 활용하는 방안들은 언제라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지역의 새로운 역사상을 찾는 것은 물론 다양한 역사콘텐츠 개발에도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The Andong area has abundant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particular, it has achieved a lot in businesses related to historical or cultural content. However, historical contents and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set in Andong are limited in that they are mostly concentrated on specific images and appearances. Therefore, the Andong City Museum needs to make efforts to find and present characteristics related to local history and folklore while referring to various examples and experiences.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historical data database platform in the form of helping various people use by collecting regional historical data while supplementing historical exhibitions in Andong and Gyeongbuk. The collection of historical data and the deepening of research are closely related to all areas related to history. If a database of historical data is created that makes it easy to access and use historical and folk materials in Andong and Gyeongbuk, it will greatly help the production of regional historical contents. This is because if historical and folk materials are faithfully collected and managed, measures to utilize them can appear at any time. At the same time, it will help develop various historical contents as well as find a new historical image of the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