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활무용 참여자의 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위계적 회귀분석

        김보람 한국리듬운동학회 2019 한국리듬운동학회지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tinuous behavior of dance-for-all participant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For study subject,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the dance-for-all in the region of Gangwon-do were set as the population, and a total of 355 copies was collected and 317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Data processing was conducted using SPSS Windows ver 22.0 program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in stage 1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continuous behavior was shown to become heightened the longer the participation period in the dance-for-all had been. Second, in stage 2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sychological satisfaction, relaxation & physiological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among the sub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s on continuous behavior, however, participation period was excluded from the explanatory variable. Third, in stage 3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sychological satisfaction, relaxation & physiologic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exercise efficacy of self-efficacy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s on continuous behavior. Further, it was confirmed that relaxation & physiological satisfac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the dance-for all, feeling healthy and being satisfied with relaxation is likely linked with the will and behavior that lead to continuous participation in the future above any other educational or social values. From now on, participating in the dance-for-all will be established as an even meaningful leisure activity and lifetime sport for the middle-aged women.

      • KCI등재

        고정 효과 회귀분석 vs. 무선 효과 위계적 선형모델(HLM): 가족 구성 및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가 비판적 정보 추구 행위에 미치는 영향

        류성진 한국언론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20 No.1

        In the case of regression analysis, it is necessary to diagnose whether the assumptions such as linearity, normality, homoscedasticity, and independence of residuals, multicollinearity are satisfied before full-scale analysis. If some assumptions are not met, appropriate measures, such as data transformation, must be applied to the data to achieve valid and reliable analysis results only after full-scale analysis is performed after the assumptions are met. Textbooks or papers dealing with the diagnosis of residual linearity, normality, homoscedasticity, and multicollinearity among the various assumptions introduced earlier are not difficult to find in communication academia. However, papers and discussions on the assumption of independence are hard to find in those area. In this repect, the study aims to introduce the assumption of residual independence, diagnosis, and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 that can overcome violation of residual independence, that is, hierarchical linear model(hereinafter, HLM). If clustering occurs due to interactions among members within the group, residual independence may be violated,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standard error, resulting in a problem of testing inappropriate statistical significance. HLM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test appropriat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nsideration of such residual non-independence. In this study,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HLM, we tried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results of fixed effect regression analysis. Using 2023 media panel survey data, the two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presented above were applied to test the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on media literacy according to family composi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ffect on media literacy according to family composi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fixed effect regression analysi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family composition and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on media literacy was significant. However, in the case of this regression analysis, Durbin Watson d statistics confirmed that the assumption of independence was violated, confirming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mmitting a Type I error. To the contrary, HLM revealed that the average difference in random effects of influence on media literacy according to family composition and the difference in the slope of random effects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on media literacy according to family composi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ither. This study confirmed that in the case of data that can violate the assumption of residual independence, that is, if group clustering is likely to occur, using HLM is an effect way to reduce Type I errors. 회귀분석의 경우 본격적인 분석에 앞서 잔차의 선형성, 정규성, 등분산성, 독립성, 다중공선성 등의 가정 충족 여부를 진단해야 한다. 만일 일부 가정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데이터에 적절한 조치, 예를 들어, 데이터 변환 등을 통해 가정을 충족한이후분석을 실행할 때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학계에서는 앞서 소개한 잔차의 선형성, 정규성, 등분산성, 다중공선성에 대한 가정 진단을 다룬 교재나 논문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 그러나 독립성 가정을 다룬 논문이나 논의는 의외로 찾기가 쉽지 않다. 이 점에 착안하여, 이 연구는 잔차의 독립성 가정 및 진단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더불어, 잔차의 독립성 위배를 극복할 수 있는 통계분석기법, 즉 위계적 선형모델(hierarchical linear model: HLM)도 함께 소개하고자 한다. 집단 내 구성원 간 상호작용으로 인한 군집화가 발생할 때 잔차 독립성은 위배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곧 표준오차의 증가로 이어져부적절한통계적유의성을검증하는문제가 발생한다. HLM은 이 같은 잔차의 비독립성을 고려하여 타당한 방식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HLM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할 목적으로 기존 연구에서 일반적으로실행하는고정 효과 OLS 회귀분석의 결과와 비교분석을 진행했다. 2022년 미디어패널조사데이터를활용하여 가족 구성에따라정보 프라이버시 염려가 비판적 정보 추구 행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앞서 제시한 두 가지 통계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비교분석했다. 분석 결과, 고정 효과 OLS 회귀분석에서는 가족 구성에 따라 비판적 정보 추구 행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으며, 비판적 정보 추구 행위에 미치는 가족 구성과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 간 상호작용은 유의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잔차 간 독립성 가정을 진단한 결과, 이 가정은 위배되었음이 밝혀졌고, 따라서 유의성 검증에 대한 제1종 오류를 범할 위험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HLM을 실행한 결과, 가족 구성에 따라 비판적 정보 추구 행위에 미치는 영향의 무선 효과 평균 차이 그리고 가족 구성에 따라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가 비판적 정보 추구 행위에 미치는 영향, 즉 무선 효과 기울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잔차의 독립성 가정을 위배할 수 있는 데이터의 경우, 즉 집단의 군집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향후 연구자들은 HLM 사용을 신중하게 고려해 보길 이번 연구는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자전거 라이딩 참여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김종호,황선환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018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4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recreation specialization of bicycle riding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was conducted for 393 adults over 20 years old who participated in bicycle clubs for at least one yea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the results, first, it is shown that as riders were the male and income increased, riding specialization increased.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added participation frequency, intensity, duration, and travel distance, income, participation frequency, participation intensity, participation duration, and distance had positive effects on riding specialization.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further regression of riding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incom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riding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d riding speci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eisure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raising the level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of participants through higher recreation specialization, it is needed to induce continuous participation in riding. For doing it, it is necessary to provide certain good/safe facilities, environment, equipment, etc. for improve the riding satisfaction. 본 연구는 자전거 라이딩 참여자의 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전거 동호회에 1년 이상 참여하고 있는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39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SPSS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남성이 여성보다, 그리고 수입이 많을수록 전문화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 빈도, 강도, 기간, 이동거리를 추가로 회귀시킨 결과 수입, 참여 빈도, 참여 강도, 참여 기간, 이동거리가 라이딩 전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라이딩 만족도를 추가로 회귀시킨 결과 수입, 참여 빈도, 라이딩 만족도 요인에서 라이딩 전문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을 높이기 위한 필요조건으로 여가 만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며,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을 높여 자전거 라이딩 활동에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참가자의 삶의 질과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자전거 라이딩의 시설, 안정성, 환경, 장비 등의 다양한 요인들을 개선하여 라이딩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년여성의 골다공증 지식과 자아존중감이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문미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4

        목적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골다공증 지식, 자아존중감,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골다공증 지식과자아존중감이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일개 지역의 만 40세 이상 65세 미만 중년여성 11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이용하여 2023년 10월 16일부터 10월29일까지 자료수집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결과 골다공증 지식은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증진행위(r=.837,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 좋음(β=.85, p<.001), 골다공증 지식(β=.34, p<.001)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3.2%이었다(F=16.71, p<.001). 결론 중년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골다공증 지식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극 활용하며, 프로그램 적용을 통하여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egree of osteoporosis knowledge, self-esteem, and osteoporosis preventive health promotion behavior targeting middle-aged women, and to determine the impact of osteoporosis knowledge and self-esteem on osteoporosis preventive health promotion behavior. Methods Data were collected an online survey targeting 115 middle-aged women aged between 40 and 65 in one region from October 16 to October 29, 2023 us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6.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Osteoporosis knowledge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steoporosis preventive health promotion behavior (r=.837, p<.001).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good subjective health status (β=.85, p<.001) and knowledge of osteoporosis (β=.34, p<.001) were significantly found to be factors influencing osteoporosis preventiv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3.2% (F=16.71, p<.001). Conclusions We recommend developing and actively utiliz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o increase middle-aged women's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knowledge of osteoporosis, and conducting research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through program application.

      • KCI등재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명의식, 긍정심리자본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문미영(Mi Yeong M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Objective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call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grit for nurses in general hospitals also, influence of calling and psychological capital on gri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132 nurses at two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6.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Call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r=.554, p<.001) and grit (r=.161, p<.001),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lso had grit (r=. 285, p<.001) and it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grit were the position of general nurse (β=.20, p=.047)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β=.17, p=.008), with 21.6% explained (F=4.35, p<.001). Conclus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grit of nurses, various efforts are needed, such a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improve and strength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provision of a supportive organizational environment. 목적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소명의식, 긍정심리자본, 그릿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소명의식, 긍정심리자본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2곳의 종합병원 간호사 132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2년 5월 10일부터 6월 11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결과 소명의식은 긍정심리자본(r=.554, p<.001), 그릿(r=.161,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긍정심리자본도 그릿(r=.285,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그릿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반적 특성 중 직위 일반간호사(β=.20, p=.047)와 긍정심리자본(β=.17, p=.008)으로 나타났으며, 21.6%를 설명하였다(F=4.35, p<.001). 결론 간호사의 그릿 증진을 위해서 긍정심리자본을 향상 및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과 지원적인 조직 환경 마련 등의 제반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요인

        김순희,최성희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3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5 No.2

        Influencing Factors for Test Anxiety in Nursing Students Sunhui Kim & Sunghee Choi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influencing test anxiety among nursing students,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with 174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C and M universities located in J city.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were the Test Anxiety Rating Scale (ARTS) and the Academic Stress Scale (MBI-SS). Data analysis included t-tests,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verage score for test anxiety was 2.61±0.99 out of 6 points. Test anxie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tress. I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cademic stress emerged a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est anxiety in nursing students, and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20.2% of the variance. Academic stress was identified as a factor influencing test anxiety in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nursing education programs aimed at reducing test anxiety among nursing students. Key Words: Nursing Student, Test Anxiety, Academic Stress, Influencing Factor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 KCI등재

        숙련성에 따른 QED와 골프퍼팅 수행의 관계 : 위계적 회귀분석의 활용

        김유라,박승하,신명진 한국골프학회 2018 골프연구 Vol.12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Quiet eye duration(QED)과 퍼팅 수행 간의 관계를 직접적으 로 비교하는 것이다. [방법] 숙련자, 비숙련자 각 5명이 실험에 참가하였으며, 모든 대상자들은 오르막, 내리막 경사 조건에서 각각 30회씩, 총 60회 퍼팅 과제를 실시하였다. 안구 움직임 추적 장비를 사용하여 시선 행동을 분석, QED 를 계산하였으며, 골프 퍼팅의 정확성과 일관성은 각각 반경오차와 이원변량가변오차를 산출하여 계산하였다. 측정 된 모든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숙련자는 비숙련자보다 QED와 QED의 표준편차가 통계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숙련성과 QED의 상호작용 변수가 퍼팅의 정확성에 유의미한 영 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숙련자는 QED가 길수록 평균반경오차가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고, 비숙련자는 QED가 길수록 평균반경오차가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반면에 숙련성과 QED 표준편차의 상호작용 변수는 퍼팅 의 일관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QED와 수행의 정확성 간의 관계가 숙련 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록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였지만 QED의 일관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QED 연구에 있어서 위계적 회귀분석의 활용 가치를 제안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rectly compare the relationship between Quiet eye duration(QED) and putting performance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thod] 5 individual players from each so called experts and novice group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Each players participated in putting tasks 60 times, 30 times for both uphill and downhill inclination conditions. The eye movements were analyzed by using the eye movement tracking system thus QED was calculated. The accuracy and consistency of the golf putting were calculated by analyzing the radius error and the bivariate variable error, respectivel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ll measured data. [Result] The SD of QED and QED were shown statistically higher in experts than novice.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e interaction variables of expertise and QE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curacy of putting. Experts group showed the tendency of decrement in the mean radius error with longer QED, and novices group showed the tendency of increment in the mean radius error with longer QED. On the other hand, the interaction variables of proficiency and QED SD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onsistency of putting. [Conclus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ound ou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QED and performance accuracy can vary depending on expertise. We also discussed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consistency of QED, although it did not yield a meaningful result. Finally, we suggest the utility value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the QED study.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문미영(Mi Yeong M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athy ability, assertiveness,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interpersonal competenc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120 2nd, 3rd, and 4th grade nursing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located in Chungbuk and Gyeongbuk were collected using. For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using the SPSS/WIN 26.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Empathy 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ssertiveness (r=.255, p<.001)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r=.292, p<.001). Assertiveness also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competence (r=.123, p<.001).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Satisfied (β=.79, p=.003) and neutral (β=.87, p=.002) among major satisfaction, empathy ability (β=.27, p=.003) and assertiveness (β=.16, p=.040), with a total explanatory power of 22.5% was(F=6.75, p<.001).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interperson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this study proposes a study to confirm the effect of developing and applying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increase major satisfaction, empathy ability and assertiveness.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공감능력, 자기표현성, 대인관계 유능성 정도를 파악하고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충북과 경북에 위치한 2곳의 대학교 간호학과 2, 3, 4학년 12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2년 3월 28일부터 4월 10일까지 자료수집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결과 공감능력은 자기표현성(r=.255, p<.001), 대인관계 유능성(r=.292,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기표현성도 대인관계 유능성(r=.123,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 중 만족(β=.79, p=.003)과 보통(β=.87, p=.002), 공감능력(β=.27, p=.003), 자기표현성(β=.16, p=.040)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2.5%이었다(F=6.75, p<.001). 결론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향상을 위해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공감능력, 자기표현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 KCI등재

        행복 결정요인 추이 분석 : 2010-2020 국민여가활동조사를 바탕으로

        김태환(Kim, Taehwan),이철웅(Lee, Chulwoong),황선환(Hwnag, Sunhwan) 한국여가문화학회 2021 여가학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10년부터 `20년까지의 『국민여가활동조사』자료를 토대로 각 연도의 행복결정요인을 도출하고 나아가 추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0년, 2012년, 2014년, 2016년, 2018년, 2019년 및 2020년 「국민여가활동조사」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수(성별, 연령, 교육수준, 본인의 월 소득), 여가 시간(평일, 휴일), 여가활동에 지출하는 비용, 전반적인 여가생활 만족도, 행복수준을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2010년도부터 2020년도까지 모든 연도에서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여가 만족(β=.406~.520)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수준(β=.080~.117)이 그 뒤를 이었고, 3순위는 연도별로 다소 상이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민의 행복도와 여가의 관계를 보다 정밀히 규명하고 구체적으로 어떤 요인들에 의해 행복이 발현되는지 설명할 수 있는 결과들을 도출함으로써, 행복을 구성하는 실제적 요인은 물론 사회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국민들의 여가실태를 파악한 지난 10년간의 종단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행복을 구성하는 실제적 요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사람들이 느끼는 피로감을 해소하여 얻을 수 있는 삶의 정상화나 회복의 담론에서 멈추지 않고, 여가생활을 통해 행복에 다가가려는 성장 담론으로의 전환을 타진하고 있어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for each year based on the data of the Survey on National Leisure Activity from 2010 to 2020 and analyze the tren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from the Survey on National Leisure Activity for 2010, 2012, 2014, 2016, 2018, 2019, and 2020 were used for analyses. Specifically,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inputt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monthly house income), leisure time (weekdays, holidays), leisure expenses, overall leisure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lev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leisure satisfaction (β=.406~.520) was the variable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happiness in all years from 2010 to 2020, followed by education level (β=.080~117), and the third rank was somewhat different by year. This study derived social implications as well as practical factors that make up happiness by more precisel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s happiness and leisure, and specifically deriving results that can explain what factors express happiness. This study derived practical factors that constitute happiness based on the longitudinal data of the past 10 years that identified the leisure status of the people. Furthermore, it is significant because it does not stop from the discourse of normalization or recovery of life that can be obtained by relieving fatigue felt, but is exploring the transition to a growth discourse to approach happiness through leisure life.

      • KCI등재

        뇌졸증 노인 주부양자의 우울 및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김수영 한국노인복지학회 2008 노인복지연구 Vol.0 No.39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redictors of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primar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stroke. Total 261 primary caregivers, who reside in 3 metropolitan city, completed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or participated face-to-face interview. Three groups of plausible predictors are consider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aregivers, caregiving situations, and individual and social resources.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he 3 groups were analyzed by employ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irs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caregivers were entered in Model I. Variables related with caregiving situations were considered in Model II. Finally, factors associated with individual and social resources were included in Model III. This analytic approach produces the following findings. In Model I, positive past relationship with the elderly reduced depression level of the caregivers. In Model II, the caregiver's depression level increased when they took care of male patient and experienced higher level of patient's problem behavior. However, the quality of past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s maintained the same relationship. Higher level of household income, better health status, active applying approach coping strategie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in reducing caregiver's depression level in Model III. The effects of patient's gender and problem behavior on depression replicated in Model III. However, the effect of the past relationship was cancelled out. In the first model of life satisfaction, the quality of past relationship with the elderly also showed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the second model, male patients and increasing ADL problems impaired the caregiver's life satisfaction, while the past relationship maintained the same relationship. Constructive uses of coping strategies and more social support contributed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in Model III. Significant effects of patient's gender, ADL problems, and the past relationship on life satisfaction also appeared in Model III. The general patterns found in the major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ies dealt with caregivers. However, this study suggests an unique implication from the overall findings. The QOL of the caregivers can substantially decline when older male stroke patients show higher level of behavior problem and dependency of ADL.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n important clue for policy and practical interventions. 본 연구는 3개 광역시에서 뇌졸중노인 가족부양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목적은 가족부양자의 우울과 생활만족도 예측요인을 파악하고 기존의 장기요양보호노인 가족부양자에 대한 연구결과와 비교 차원에서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65세 이상 뇌졸중 노인의 주부양자였다. 독립변수는 가족부양자의 특성, 부양상황 특성, 개인적 및 사회적 자원의 세 영역이고, 종속변수는 우울과 생활만족도였다. 자료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주부양자의 우울 예측요인을 보면, 모델 Ⅰ에서는 과거 노인과의 관계가 나쁠수록, 모델 Ⅱ에서는 남성노인을 돌보거나 환자의 문제행동이 증가할 때 우울이 증가하였다. 모델 II에서 과거관계의 질은 여전히 우울과 부정적 관계였다. 모델 Ⅲ의 분석결과, 주부양자의 높은 가구소득, 양호한 건강상태, 적극적 대처의 사용 및 사회적 지지가 우울을 감소시켰다. 모델 Ⅱ에서 유의미했던 피부양자의 성과 문제행동은 여전히 주요변수인 반면, 노인과의 과거관계의 질은 영향력이 상쇄되었다. 생활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한 예측요인을 보면, 모델 Ⅰ에서는 노인과의 과거관계가 좋을수록 생활만족도는 증가하였다. 모델 Ⅱ에서는 과거 노인과의 관계는 여전히 유의미한 예측요인이고, 피부양 노인이 남성일수록, 노인의 일상생활수행장애가 많을수록 생활만족도는 감소하였다. 모델 Ⅲ에서는 모델 Ⅱ의 유의미한 변수들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적극적인 대처전략의 활용과 사회적 지지의 증가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장기요양보호노인 또는 치매노인 가족부양자 대상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예측요인과 유사한 점이 많다. 그러나 남성 뇌졸중노인을 돌보는 경우, 피부양자의 문제행동이나 일상생활 수행의 의존성이 높을수록 가족부양자의 삶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결과는 뇌졸중노인 가족부양자 대상 정책적, 실천적 개입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서의 의미가 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