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험소비와 물질소비에서 나타나는 소비자행복 수준 비교 연구: 한·중 대학생 중심으로

        차혜선,조승호 한국상품학회 2017 商品學硏究 Vol.35 No.6

        What is the ultimate goal of people's lives? Happiness is a concept that is positively proposed to the question in various fields. Recently, studies on consumer happines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but there are relatively few studies comparing and analyzing countries. In this study, first of all, we examined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level of happines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in material and experience consumption.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appiness level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in material and experience consumption. Secon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on the happiness of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in material and experience consump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utonomy and relatedness affects happiness in Korean college students in material consumption, and on the other hand,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affects happiness. Also, in the experience consumption, the relatedness affects happines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and the competence affects happiness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Finally,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bonding on the happiness of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in material and experience consumption. As a result, both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appeared consuming alone affects the happiness in the consumption of materials, but consuming together has even much higher effect. Also, in Korean college students’ case, consuming together affects happiness the most in experience consumption, and on the other hand, both consuming alone and together do affect the happiness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but consuming togethe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ffect. 사람들의 궁극적인 삶의 목표는 무엇인가? 다양한 분야에서 이러한 질문에 적극적으로 제안되는 개념은 바로 ‘행복(happiness)'이다. 최근 소비자행복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나라별 비교분석을 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물질소비와 경험소비에서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이 느끼는 행복 수준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물질소비와 경험소비에서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행복 수준에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며, 물질소비와 경험소비 모두 한국 대학생들의 행복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결정이론이 물질소비와 경험소비에서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물질소비에서 한국 대학생의 경우 자율성과 관계성이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 대학생의 경우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모두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험소비에서 한국 대학생의 경우 관계성이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 대학생의 경우 유능감이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유대관계가 물질소비와 경험소비에서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물질소비에서 한국과 중국 대학생 모두 함께하는 소비와 혼자 하는 소비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중 함께하는 소비가 훨씬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험소비에서 한국 대학생의 경우 함께하는 소비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 대학생의 경우 함께하는 소비와 혼자 하는 소비 모두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함께하는 소비의 영향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 KCI등재

        관광 분야 행복 연구에 대한 고찰 - SSCI 저널 등재논문의 체계적 문헌 고찰을 중심으로 -

        송섭규(Song, Seob-Gyu)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2 觀光硏究論叢 Vol.34 No.2

        관광 분야에서의 행복에 대한 관심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경제적 지표로 사람들의 행복을 포착할 수 있다는 전통적 관점에서 일정 수준의 기본적인 욕구들이 충족된 후에는 더 이상 경제적 지표만으로 행복이 포착될 수 없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즉, 사람들의 행복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관광의 역할이 관심을 받기 때문이다. 하지만 행복(Happiness)의 개념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내려지지 않음에 따라 관광 분야의 행복 관련 연구는 다소 여러 방향으로 분산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주관적 웰빙, 심리적 웰빙, 진정한 행복 등의 개념과 이론을 통하여 행복이 개념화되며, 적지 않은 연구에서 행복을 유의한 다른 개념들의 하위요인으로 간주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광 분야에서 행복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의 전반적인 연구 동향과 더불어 연구 맥락과 대상, 연구 방법, 개념화 방식, 그리고 관련 변수 또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관광 분야의 행복관련 연구에서 필요한 연구들의 방향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제언을 바탕으로 학술적으로는 행복 증진에 있어서 관광의 역할을 규명하는 연구가 진행되는데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나아가 향후 지속적으로 수행되는 행복 관련 연구들의 실증적 분석 결과들이 정부의 관광 정책 입안과 관광 기업들의 운영 정책 수립에 반영된다면 보다 행복한 우리 사회를 만들어나가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Scholars in the field of tourism have paid more attention to the concept of happiness because they recognized not only that it is not possible to capture people’s happiness by using only economic indicators but also that tourism can play a critical role in increasing the level of people’s happiness. However,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of happiness. That is, studies on happiness in the tourism field are fragmented. In addition to this, those studies have used various ways of conceptualizing happiness, and many studies regarded happiness as one of the constructs for other concepts.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ttempting to review the previous studies on happiness in the area of tourism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 By focusing on five research questions (i.e., research context and subject, research method, the ways of conceptualization, and related variables or factors), this study conducts a thorough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result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it would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udies on happiness. Furthermore, future research on happiness can provide academic and empirical evidence that tourism can increase people’s happiness.

      • KCI등재

        유아-청소년 자녀의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행복: 어린 시절과 현재의 행복감, 행복 조건 및행복 괴리감을 중심으로

        정계숙 ( Kai Sook Ch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3

        본 연구는 유아-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현재 행복감, 행복 조건 및 행복 괴리감은 자녀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또한 어린 시절의 행복감과 현재의 행복감, 행복 조건 및 행복 괴리감과의 관련성은 자녀의 연령에 따라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개 대도시와 2개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223명의 유아, 473명의 아동 및 265명의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들로, 어머니의 행복감 척도, 행복 조건에 대한 인식 척도 및 어린 시절의 행복감 척도에 응답하였다. MANOVA, MANCOVA, 적률상관계수 및 Scheffe 사후분석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녀의 연령대에 따라 현재의 행복감, 행복의 조건 및 행복 괴리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어머니의 어린 시절 행복감은 차이가 없었다. 어머니가 어린 시절 경험한 행복감은 현재의 행복감 및 행복 조건과 낮으나 정적 관계가 있으며 행복 괴리감과는 전반적으로 낮으나 부적 상관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연령 및 어머니의 이전 행복 경험을 고려한 어머니의 행복감과 행복 역량 증진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of mothers’ perceptions of past and present happiness, the conditions of happiness, the discrepancies between expectations of happiness and present happines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st happiness with present happiness, the conditions of happiness and happiness discrepancies according to their children‘s age. The participants were 961 mothers of 223 young children, 473 school-aged children, and 265 adolescents. The mothers completed 3 scales of happines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MANOVA, MANCOVA, and Scheffe post-hoc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mothers’ perceptions of past and present happiness, the conditions of happiness and happiness discrepancies according to children’s age. Mothers’ perception of past happiness was related positively with present happiness and negatively with happiness discrepancies. The implications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enhancing mothers’ happiness in the long-term perspective were discussed.

      • 행복의 커뮤니케이션

        이상철(Sang-Chul Lee) 동서언론학회 2010 동서언론 Vol.13 No.-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과 행복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했다. 인간은 첫째 생존과 원만한 사회생활을 위해 커뮤니케이션을 위해하고 둘째는 행복을 위해 커뮤니케이션을 한다. 인간은 커뮤니케이션 동물이기 때문에 인간이 잠시라도 숨을 쉬지 않으면 생존이 불가능한 것 같이 커뮤니케이션을 하지 않아도 생존이 불가능하다. 본 연구는 이와 관련해 첫째, 커뮤니케이션은 행복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했고 둘째, 인간은 누구나 행복을 이야기 하지만 해복의 의미는 과연 무엇인가를 알아보고자 했으며 셋째, 행복은 선천적인가 그리고 선천적이라고 하더라도 의도적인 행동(intentional activities)에 의해 행복해 질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했고 넷째 행복과 관련이 있는 상황적 변인들(variables)은 어떤 것들이 있는 가를 알아보고자 했고 마지막으로 행복의 모델과 행복의 실천 방안은 어떤 것들이 있는 가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커뮤니케이션은 행복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 인간이 왜 커뮤니케이션을 하느냐고 묻는다면 인간의 사는 목적이 행복이기 때문에 당연히 행복해 지기 위해 커뮤니케이션을 한다고 답할 것이다. 신도수가 4만3천명으로 미국에서 가장 큰 교회의 오스틴 목사(smiling preacher)는 웃음이라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행복의 메시지를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 전파하고 있다. 한 번은 한 젊은 신도가 당신은 왜 항상 웃느냐고 질문을 하자 행복은 마음(heart)에 있는데 마음이 행복하니까 웃는다고 했다. 둘째, 행복에 관한 관심과 연구는 예수탄생 이전인 그리스시대부터 철학자들에 의해 논의되기 시작했다. 플라톤과 그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신들이 설립한 대학(academy)에서 행복이 무엇이며 어떻게 하는 것이 행복한 삶을 사는 것인가를 논의하기 시작했다. 이 두 철학자들은 그러나 행복에 관한 견해를 달리해 서로 다른 학파를 이루었는데 플라톤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완전한 삶(perfectionist)을 추구했고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현실적으로 가능한 최적의 삶(optimalist)을 추구했다. 셋째, 행복의 유전자는 선천적면도 있지만 마치 선천적으로 뚱뚱하게 태어나는 사람이라도 후천적으로 노력과 운동을 통해 날씬해 질수 (skinny)있는 것 같이 행복도 후천적인 노력과 행동에 행복의 유전자에 관계없이 행복해 질수 있다. 행복에 관한 상화적인 변인들로는 출세와 돈, 명예와 사회적인 지위 등이 있는데 이들 변인 자체가 행복을 보장해 주지는 못하지만 이들 변인을 어떤 목적에 사용하느냐에 따라 행복해 질수 있다. 마지막으로 행복의 모델로는 현재의 희생이 없이는 미래의 행복이 없다고 여기는 과당경쟁 모델(rat racer), 현재를 중시하고 미래는 생각하지 많은 쾌락 형 모델(hedonist), 현재도 없고 미래도 없다고 여기는 허무주의 형(nihilist), 그리고 현재도 중요하고 미래도 중요하다는 이상적인 모델(idealist)이 있다.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 happiness. We communicate not only to survive and to better lead the worthwhile social life as well as to be happy. The act of communication can be compared to an act of breathing in that no life is possible without breathing as well as no life is possible without communication. In this sense, the human-being can called a communication animal. In an attempt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 happiness, this study raised the five research questions: (1) how the communication is related to happiness; (2) how the communication is defined & meant? (3) whether we are born with a set point of happiness and if so, to what extent is it? Even if we are born with a happiness set point, can we be happy by our intentional activities?; (4) what are the circumstantial variables related to happiness?; (5) what are the desirable happiness model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is indispensably related to happiness. Since happiness is in our heart, not elsewhere, not outside our body, if our heart is happy, our face automatically shows it up by a sign of smile, a vital part of communication. As the Bible says that a happy heart makes the face cheerful, the cheerful face is a natural sign of happiness. Second, the study on happiness dates back even before the birth of Christ. The Greek philosophers, especially Plato and Aristotle, taught & discussed the happiness at their academies. However, they differed on the approach to happiness; Plato, Aristotle's mentor, pursued a perfectionist approach which is beyond achieving a happiness while his student, Aristotle, approached an optimalist one, which is not the best life(impossible & unrealistic) but the best possible life(possible & realistic). Third, it is true that we are born with a certain set point of happiness, say 50%, but it is possible for us to be happy even if we are born with a low set point of happiness by the various intentional activities as if a person born with a heavy weight set point can be skinny by our intentional activities like the proper diet & regular exercises. Third, even though the circumstantial variables like money, success & fame can't guarantee happiness itself, we can be happy depending on how we use these variables. Finally, there are the four kinds of model for happiness--rat racer model, expecting the present unhappiness(detriment) and future happiness(benefit), hedonist model, expecting the present happiness(benefit) & future unhappiness(detriment), nihilist model, expecting both the present unhappiness(detriment) & future unhappiness(detriment), and the ideal happiness model, expecting both the present happiness(benefit) & future happiness(benefit). Among these four models, the real happiness model is the fourth one that brings the present and future happiness.

      • KCI등재

        아이들의 행복, 행복교육, 그리고 행복사회

        박병기 ( Bak Byung G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3

        아이들의 행복에 반대할 사람은 거의 없다. 이 글은 아이들이 언제, 어떻게, 무엇으로 행복해야 하는지에 대한 나의 고민을 담은 것이다. 이 글의 첫째 목적은 행복의 ‘진정한’ 의미를 드러내고, 그에기초해서 행복한 아이의 모습을 그려보는 것이었다. 둘째 목적은 이런 그림에 비추어 행복교육의 방향을 목적과 내용의 측면에서 제안하는 것이었다. 셋째 목적은 한국사회가 지향해야 할 모습을 행복사회의 관점에서 투시하는 것이었다. 첫째 목적과 관련하여, 나는 진정한 행복의 의미를 주관적 안녕과 객관적 안녕의 통합으로 파악하였다. 주관적 안녕으로서의 행복은 일상에서의 정적 정서와 만족 판단을 포함한다. 객관적 안녕으로서의 행복은 인간 잠재력의 충분한 실현에 초점을 맞춘다. 나는 ‘행복나무’라는 은유적 그림으로 통합적 관점이 반영된 행복한 아이의 모습을 표상하였다. 둘째목적과 관련하여, 나는 행복교육의 목적을 ‘평생 행복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아이들을 돕는 데’서 찾았다. 행복교육의 가치는 행복의 완벽한 실현이라는 결과가 아니라, 아이들이 행복역량을 갖추어 가는 과정의 지속성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나는 행복역량을 행복교육의 내용으로 제안하였다. 행복역량은 행복나무의 뿌리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아이들이 행복하기 위해 필요한심리적 특성들이다. 나는 이것을 신념체제, 동기망, 의지조절, 정서균형, 관계지향, 그리고 메타능력을 담은 BeMoVER_Me라는 약어로 나타냈다. 셋째 목적과 관련하여, 나는 Bronfenbrenner의 사회생태체제 관점과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관점을 통합하여 행복사회의 다면적, 역동적 모습을 구상하였다. 행복사회는 각 개인의 행복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조화로운 행복을 추구하는 사회다. 아이들은 언제, 어떻게, 무엇으로 행복해야 하는가? 그 답은 행복한 아이, 행복교육, 행복사회에 대한 균형잡힌 시각에서 찾아야 한다. There should be few that stands against the happiness of children. This article contains my worries about when, how, and by what the children would be happy? The first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reveal the authentic meaning of happiness, and to figure out a happy child. based on it. The second purpose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happiness education in terms of goals and contents. The third one was to see through the perspectives of Korean society from the angle of happy society. With regard to the first purpose, I grasped the authentic meaning of happiness as the integration of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ppiness as subjective well-being pertains to the positive emotion and satisfactory judgment in the everyday life. That as psychological well-being is focused on the full actualization of human potential. I represented a happy child by drawing a metaphoric picture of ‘happiness tree.’ In relation to the second purpose, I equalized the goal of happiness education with helping children to acquire the competency to be happy. The significance of happiness education should be judged by the continuity of children’s forming happiness competency, not by the their perfect realization of happiness. I proposed the happiness competency as the content of happiness education. Happiness competency i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children to become happy. I coined the acronym word BeMoVER_Me for these characteristics which includes belief system, motivation network, volition regulation, emotion balance, relation orientation, and meta-capability. With the third purpose, I constructed the multiple, dynamic figure of happy society integrating the perspectives of Bronfenbrenner’s socio-ecological system and Erikson’s psycho-social development. Happy society is the society which pursues the happiness of entire society as well as that of each individual. When, how, and by what the children should be happy? The answer should be found based on the balanced viewpoint about happy child, happiness education, and happy society.

      • KCI등재

        The Effects of Chinese Coffee Shop Customers’ Happiness on Continuous Usage Intention

        Shengnan An,Jun Zhang 한국유통과학회 2019 The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Vol.10 No.3

        Purpose - With the economic development in China, the lifestyle of Chinese customers has changed dramatically. Chinese customers are more likely to have coffee in a shop with the ability to make them happy than those with high quality coffee in a nice physical environment. Happiness becomes a critical driver of customers’ intention to purchase a cup of coffee in a specific coffee shop again and again. As a result, happiness becomes an important factor for managers to make strategies for attracting customers. Although managers and scholars pay more attention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happiness in customers’ consumption,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coffee shop’s continuous usage intention in the Chinese coffee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 research model is made to explain the impact of happiness on customer’s behavior.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happiness better, we consider two dimensions of happiness which are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order to confirm the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in the research model, the online survey is constructed in China. Customers who have experienced the services in a coffee shop are asked to do the questionnaire. With 453 reliable questionnai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used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of the coffee quality, physical environment,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Results - Results indicate that coffee quality and physical environment are not the direct factors that influence customers’ continuous usage intention. However, good coffee quality and physical environment a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Chinese customers’ happiness associ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in turn affects customers’ continuous usage intention. Conclusions - In this study, it is proposed that coffee quality and physical environment may be the key factors influencing customers’ happiness. Happiness, including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atters in decision making process. More importantly, happiness increases the continuous usage intention when the coffee shop can serve customers with higher quality coffee at a good atmospheric place. Managers should consider happiness as an important factor in making marketing strategies to compete in this industry.

      • KCI등재

        행복과 도덕-플라톤, 칸트, 니체를 중심으로-

        이유택 범한철학회 2018 汎韓哲學 Vol.91 No.4

        The history of the question of happiness is as old as the history of philosophy. Many great philosophers have used happiness as a subject of philosophical inquiry in various ways. One of the philosophical inquiry methods of happiness is to discuss it in relation to morality. Some philosophers pay attention to the identity of happiness and morality, and some philosophers pay atten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 way in which we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morality makes clear the difference in the way we understand happiness. This article focuses on Plato, Kant, and Nietzsche as representatives of the ques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morality in philosophical history. These three philosophers have different philosophical interests and methodologies, but at least they seem to have in common that they have aske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morality. Plato thought that happiness and morality were in an inseparable relationship, like the two sides of a coin. For him, happiness is only realized through morality(justice) and morality was the ultimate goal of happiness. Kant, on the other hand, saw that happiness and morality are fundamentally different. Morality is never a means to reach happiness, and happiness is not the purpose of morality. Nietzsche also talks about the identity of happiness and morality. But this is no longer a platonic identity. Because Nietzsche understand the meaning of happiness, morality, and the relationship of both in a different way from traditional philosophy. 행복에 대한 물음의 역사는 철학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되었다. 많은 위대한 철학자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행복을 철학적 탐구의 대상으로 삼아왔다. 행복에 대한 철학적 탐구 방식 중 하나는 그것을 도덕과 연관시켜 논의하는 것이다. 어떤 철학자는 행복과 도덕의 동일성에 주목하고, 어떤 철학자는 양자의 차이에 주목한다. 행복과 도덕의 관계를 어떻게 보느냐를 통해서 행복에 대한 이해방식의 차이가 선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이 글은 철학사에 나타난 행복과 도덕의 관계에 대한 탐구의 대표자로서 플라톤과 칸트, 그리고 니체를 주목한다. 이 세 명의 철학자는 서로 다른 철학적 관심과 방법론을 가지고 있지만, 적어도 행복과 도덕의 관계에 대한 물음을 던졌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가진다고 보이기 때문이다. 플라톤은 행복과 도덕이 동전의 양면처럼 불가분의 관계 속에 있다고 생각했다. 행복은 오직 도덕(정의)을 통해서만 가능하고, 도덕은 궁극적으로 행복한 삶을 위한 것이다. 반면에 칸트는 행복과 도덕은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보았다. 도덕은 결코 행복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며, 행복은 도덕의 목적이 아니다. 니체도 행복과 도덕의 동일성에 대해 말한다. 하지만 이 동일성은 플라톤적 동일성이 아니다. 왜냐하면 니체는 전통철학과는 다른 방식으로 행복과 도덕, 그리고 양자의 관계를 새롭게 이해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주역』의 관점에서 본 행복론

        조우진 범한철학회 2012 汎韓哲學 Vol.67 No.4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find the origin of happiness in Eastern philosophy and reconsider a modern meaning about happiness. Even though the immediate discussion of Happiness is hardly exist in eastern, scholars see happiness as the attainment to a ideal goal. However, in light of The Book of Change, the idal goal is happiness in itself and The Book of Changes is the text to give a humankind the happiness, not pursuing happiness by attaining the goal. I tried finding the meaning of happiness through the logical and mutual structure in The Book of Changes. All things have meaning by having inter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exist when they make harmony with others in that relationship. The harmony means harmony from between father and mother, husband and wife, and siblings to between the king and his subjects, based on the harmony with the heaven, the earth and human. We can interrelated with others through this harmony and find the ground of happiness in this process. That is to say, the interrelationship can be accomplished when people understand and trust each other by having meeting with others. The condition that this interrelationship through harmony is realized is the welfare and happy society as The Book of Changes say. This is the view of happiness in The Book of Changes. Even though this view of happiness is ideal, it can be the opportunity to reflect a modern society to chase the materialistic happiness. 본 연구는 동양철학에서 행복의 연원을 찾고, 행복에 대한 현대적 의미를 재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동양에서 행복에 대한 직접적인 논의는 거의 찾아볼 수 없지만, 학자들은 각 학파들이 이상적인 목표에 도달한 것을 행복의 의미로 받아들인다. 하지만 『주역』은 이상적인 목표에 도달해서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이상적인 목표 자체가 행복이며 인간에게 행복을 주기 위한 텍스트이다. 필자는 『주역』의 조화의 논리와 소통의 구조 속에서 행복의 의미를 찾으려고 시도했다. 모든 만물은 상호 관계를 통해서 의미를 가지며, 그 관계 속에서 서로 조화를 이루었을 때 존재한다. 조화는 하늘과 땅과 사람의 조화를 바탕으로 부모와 부부와 형제의 조화부터 군주와 신하와 백성의 조화를 말한다. 우리는 이러한 조화를 통해서 상호 소통하고, 그 과정 속에서 행복의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즉 소통은 타인과의 만남에서 상호간의 인격과 권리를 이해하고 신뢰를 주고받을 때 완성되는 것이다. 조화를 통해서 소통이 이루어진 상태가 바로 『주역』에서 말하는 복지사회이고 행복한 사회이다. 이것이 바로 『주역』의 행복관(행복론)이다. 필자는 『주역』에서 말하는 행복이 추상적이고 이상적인 개념일지라도 물질만능주의적인 행복 개념에 치우친 현대사회의 입장을 반성해보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고 본다.

      • KCI등재

        팬데믹 경험 예비교사들의 행복인식

        장승희 한국윤리학회 2023 倫理硏究 Vol.142 No.1

        팬데믹은 당시 고등학생이던 예비교사들의 정서와 행동, 그리고 행복에도 영향을 미쳤다. 예비교사들은 사회적 격리와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제한된 관계에서나마 각자의 행복을 추구하였다. 연구자는 예비교사들의 자기소개 단어, 정서와 행동특성이 팬데믹 이전 수강생들과 다른 점에 주목하여 “인성과 행복” 강좌에서 행복인식을 탐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팬데믹 경험 예비교사들이 가설설정 후 문헌연구, 설문조사, 인터뷰, 토론 등의 방법으로 검증한 행복가설탐구의 결과를 연구자가 분석하고 종합한 것이다. 예비교사들의 행복인식 특성 세 가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팬데믹 당시 불행을 느낀 사람도 있지만 자기정체성과 자기인식을 토대로 자아와 개인에 초점을 둔 행복을 추구하였다. 둘째, 한국사회의 결과중심주의 영향으로 행복에서 가시적 성취도를 중시하는데 정신적 행복도 무시하지는 않는다. 셋째, 개인적 행복의 추구와 더불어 타인과 공동체와의 관계에서의 행복을 지향한다. 이는 엔데믹 이후 더욱 강화되는 특성이다. 교사의 행복은 개인적 삶의 만족과 직업적 성취를 통해 얻어지는 행복으로, 이는 교육주체들의 상호존중과 노력이 따라야 가능하다. 팬데믹 경험 예비교사들의 행복인식을 감안할 때 다양한 경험을 상실한 예비교사들의 행복을 위한 교육적·제도적 방안이 필요하다. The COVID-19 pandemic affected pre-service teachers’ emotions, behaviors, and happiness when they were high school students. In a socially isolated environment and online-based classes, they pursued happiness in a relationship-limited manner. The author not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andemic-experienced and pre-pandemic groups regarding their self-introduction words, emotional state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From this, the author explored the difference in happiness perception between the above two groups in the ‘Personality and Happiness’ lecture. The author established a hypotheses for the pre-service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pandemic and verified i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urveys, interviews, and discussions with them. In such analysis, the pandemic-experienced pre-service teachers showed three main characteristics in terms of happiness perception: 1) During the pandemic, they pursued happiness which focused on the self individually through self-identity and self-awareness. 2) They emphasize the visible achievement in happiness, which comes from the result-orientedness in Korean society. 3) Along with pursuing personal happiness, they also pursue happines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communities, especially after the endemic. The teacher’s happiness is possible when the educational subjects show mutual respect and effort. Educational and institutional support consider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of the pandemic-experienced pre-service teachers, is desperately needed for their happiness in the field.

      • KCI등재

        공격성 및 분노대처행동과 주관적안녕감의 관계

        서수균 한국임상심리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1 No.3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ggression, anger-coping behaviors and happiness. Aggression consisted of four factors(Physical/Verbal aggression, Hostility, and Anger). Anger coping behaviors were classified into five factors(Rational coping, Aggressive expression, Avoidance, Emotional resolution, and Distraction). Happiness was assessed by the Satisfaction with life and the Positive/Negative affect. 387 undergraduates served as subjects. Relationships between aggression and happiness varied according to the aggression and happiness factors. Hostility showed the most negative correlation with happiness, and Physical aggression and Anger were also negatively correlated with happiness. However, when controlling for Hostility, Physical aggression and Verbal aggress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happiness, and Anger displayed no correlation. Hostility, Physical aggression, the Verbal aggression and Ange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Negative affect, but when controling for Hostility, the correlations were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Aggression and happiness were caused by hostility. It seems that Hostility among all factors of Aggression had an especially strong effect on happiness. Among anger-coping behaviors, Avoidance was correlated with all happiness factors, negatively with the Satisfaction with life and the Positive affect, and positively with the Negative affect. The strongest predictor of happiness was Hostility in aggression and Avoidance in anger-coping behaviors. Some anger-coping behaviors(Avoidance, Distraction, and Rational coping)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appiness after controling for aggress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