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적 수준에서의 기본권의 제한과 보호

        김용훈(Kim, Yong-Hoon) 한양법학회 2013 漢陽法學 Vol.24 No.3

        Fundamental rights generally are regarded as legal norms especially protected in the level of national constitutions due to the fact that the rights are provided in the constitutions. In contrast of that, Human rights are generally to be protected in the level of international society regardless of the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Thus the discourse on the protection and limitation of fundamental rights should be premised on the discussion of Nation States unlike the Human Rights. However as the various entities such a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emerge,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Fundamental Rights without the premise that there needs the States in the discussion of Fundamental Rights. In particular, the area where the concerned discussion is being introduced in earnest is Europe. In terms of the limitation of Fundamental Rights, the United States intends to limit the fundamental rights of European Union citizens directly with the SWIFT-Ⅱ convention. In other words, it is reasonable to postulates that the other states are able to limit the fundamental rights of nationals in a State. And in terms of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s, we can consider primary court, namely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to protect the fundamental rights of nationals without the help of any Member States. Furthermore, taking the fact into consideration that the right to privacy is to be protected by the power of nation states, it is noticeable for international entity lik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to try to protect the fundamental rights without the help of Member States. Thus It is not unreasonable to sat that the matter of the limitation or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s is not discussed in the level of nation states any more. And as it is possible that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emerges in the Asian area, the discussion of the protection and limitation of fundamental rights is meaningful to us.

      • KCI등재

        사회권의 복권을 위한 구상

        이준일 한국헌법학회 2019 憲法學硏究 Vol.25 No.3

        The fact that various social fundamental rights are guaranteed in the Constitution seems undoubtedly evident. However, there is a consensus on what are the essential signs that define the concept of social fundamental rights, whether the nature of subjective rights can be recognized for social fundamental rights, and what are the specific screening criteria for social fundamental rights as a basis for controlling state action. First of all, since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of the essential signs that define social fundamental rights, it is not easy to clearly explain the objects asserted by social fundamental rights and who can enjoy them. The essential conceptual sign of social fundamental rights is the right that individuals have over the objects that they can freely buy in the market without the help of the state, provided that economic and financial conditions are acceptable. These include living, housing, education, and medical care. Thus, the subject of social fundamental rights is primarily an economically weak group, a group that can freely buy what it wants in the market without the help of the state due to economic poverty. Secondly, since the nature of social fundamental rights lies in autonomy for objects that cannot be realized without guarantees of economic and financial conditions, the realization of social fundamental rights is closely related to the finances of the state which must provide these conditions. However, social fundamental rights should be given the status of controlling state policies related to social security or social welfare, in recognition of the subjective right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Lastly, even if we recognize the status of the controlling criteria for judging the state action on social fundamental rights, if the concrete and reasonable criteria are established, the Constitutional Court recognizes the subjective right of social fundamental rights and actively judges the state action on the basis of social fundamental rights. Even so, that does not mean that it violates the powers of parliament and the government on finances. In the case of social fundamental right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should be applied, and in particular,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excessively insufficient protection should be applied. As such, the social fundamental rights can be defined relatively clearly, the nature of subjective rights can be recognized, and the concrete and rational standards required for application can be proposed, so that social fundamental rights should not only remain in the constitutional right recognized on the constitution by letters, but need to be reinstated as a practical right to control the state actions. 헌법에 다양한 사회적 기본권이 보장되어 있다는 사실은 의문의 여지없이 명백해 보인다. 하지만 사회적 기본권의 개념을 정의하는 본질적 징표와 사회적 기본권에 대한 주관적 권리성의 인정 여부 및 국가작용을 평가하는 기준으로서 사회적 기본권의 구체적 심사기준에 대해서는 일치된 견해가 존재하지 않는다. 우선 사회적 기본권을 정의하는 본질적 징표에 대한 분명한 정의가 없다 보니 사회적 기본권에 의해 주장되는 대상과 사회적 기본권을 향유할 수 있는 주체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쉽지 않다. 사회적 기본권의 본질적 개념징표는 경제적・재정적 여건만 허락된다면 국가의 도움 없이 개인들이 스스로 시장에서 자유롭게 구입할 수 있는 대상들에 대해서 가지는 권리로 그 대상으로는 생계, 주거, 교육, 의료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사회적 기본권의 주체는 일차적으로 ‘경제적 약자’, 곧 경제적 빈곤으로 인하여 국가의 도움이 없이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시장에서 자유롭게 구입할 수 있는 집단일 수밖에 없다. 다음으로 사회적 기본권의 본질은 경제적・재정적 여건의 보장 없이는 실현될 수 없는 대상들에 대한 자율성에 있기 때문에 사회적 기본권의 실현은 이러한 여건을 제공해야 하는 국가의 재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그렇지만 사회적 기본권은 헌법이 보장하는 주관적 권리의 성격을 인정받아 사회보장이나 사회복지와 관련된 국가정책들을 통제할 수 있는 지위를 부여받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기본권에 대해서 국가작용을 판단하는 심사기준의 지위를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구체적이고 합리적인 판단기준만 마련된다면 헌법재판소가 사회적 기본권의 주관적 권리성을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사회적 기본권을 기준으로 국가작용을 판단한다고 해도 그것만으로 재정에 관한 국회와 정부의 권한을 침해한다고 볼 수는 없다. 사회적 기본권의 경우에도 비례성원칙이 적용되어야 하며 구체적으로는 과소금지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처럼 사회적 기본권은 그 개념이 비교적 명확하게 정의될 수 있고, 주관적 권리의 성격이 인정될 수 있으며 적용에 필요한 구체적이고 합리적 기준이 제시될 수 있으므로 단지 헌법전에 문자로만 인정된 권리가 아니라 국가작용을 통제할 수 있는 실천적 권리로 복권될 필요가 있다.

      • 기본권의 효력 -기본권의 수규자, 주장 및 관철의 문제

        조한상 ( Han Sang Cho ) 청주대학교 법학과 2010 法學論集 Vol.32 No.2

        본 논문은 기본권의 효력이라는 주제 하에 기본권의 수규자, 주장과 관철의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특히 기본권의 효력이라는 주제 하에 오직 기본권의 수규자 문제만을 다루는 기존의 기본권 이론은 적절하지 않다고 보았으며, 기본권의 주장과 관철방법에 대한 고찰도 기본권의 효력이라는 주제 하에서 다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를 전제로 기본권의 대국가적 효력과 대사인적 효력 문제를 재구성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먼저 전통적으로 인정되어 온 기본권의 대국가적 효력과 관련하여, 국가에 대한 기본권의 주장과 관철이 사실적으로도, 또 법적 소구를 통해 실현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특히 후자의 경우 헌법소송뿐만 아니라 민·형사소송, 행정소송을 통해서도 부분적으로 또 잠재된 형태로 이루어지기도 함을 주목하였다. 아울러 오늘날 현실적·이론적 요청에 의하여 인정되기 시작한 기본권의 대사인적 효력 역시 사실적 영역과 법적 소구의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검토하였다. 특히 민사소송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계약 영역의 경우 사적 자치에 의한 제약으로 인하여 사인간의 기본권 주장을 인정하는 데에 상대적으로 제약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This report dealt with the problem of Fundamental Rights` Effects that is one of the main theme in the area of general Fundamental Rights theory. This problem have made much complexity and confusion. Accordingly, I tried to simply and arrange the theories with dominant opinions, instead of making a new theory. We have thought that the problem of Fundamental Rights` Effects is the same theme as the problem of Fundamental Rights` objects. However, I don`t agree with it. ``Effects`` has comprehensive meanings, and Fundamental Rights` Effects should cover the problem of claiming and realization of the Fundamental Rights. Many texts that were related to Fundamental Rights theory have omitted these problems. Traditionally, the Fundamental Rights` effect on the state has recognized widely. The claiming and realization of the Fundamental Rights in the state area are fulfilled practically on the one hands. They are actualized through the courts on the other hands. Especially, the courts realize the Fundamental Rights with civil actions, criminal actions, administrative litigations and constitutional litigations. In these lawsuits, the claiming of the Fundamental Rights is sometimes explicit, but othertimes implicit. The Fundamental Rights` effect on the private people has been approved because of the practical necessity as well as the theoretical consent about the Fundamental Rights` objective character. Claiming of the Fundamental Rights among the private people are fulfilled practically and actualized through the courts. In many case, civil action is used for this purpose, but has many problems because this can make conflicts with the principal of private autonomy. Many unique theories have been created to keep harmony between the Fundamental Rights and private autonomy. Partially, we can find many cases that criminal actions, administrative litigations and constitutional litigations are used to actualize the Fundamental Rights.

      • KCI등재

        기본권의 성격 : 주관적 성격과 객관적 성격

        조한상(Cho Han-Sang)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法學論叢 Vol.21 No.-

        기본권의 성격에 관한 논의는 기본권이 무엇이며 그 기능은 무엇인가에 대한 이해, 기본권의 본질과 기능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작업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본권의 성격은 다시 주관적 성격과 객관적 성격으로 나누어 고찰할 수 있다. 기본권의 주관적 성격이란 기본권을 국가공동체의 개별적 구성원으로서 ‘나’의 입장에서 바라보았을 때 드러나는 성격이다. 이러한 관점에 입각할 때 기본권은 국가공동체 구성원으로서 개인이 보유하는 ‘권리’로서, 헌법적으로 보호되는 이익인 동시에 그 이익을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의 근거라고 이해할 수 있다. 기본권의 객관적 성격이란 개별적 주체가 아닌 ‘공동체’의 입장에서 기본권을 바라보았을 때 드러나는 성격이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에서 기본권은 국가권력을 비롯한 국가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추구해야 하는 ‘과제’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기본권의 객관적 성격을 인정하는 것에 대하여 반대하는 입장도 다수 존재한다. 하지만 기본권의 객관적 성격은 주관적 성격과 동전의 앞뒷면과 같은 관계를 갖는 성격이며, 부인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본다. 기본권의 주관적 성격과 객관적 성격을 모두 인정하는, 이른바 기본권의 이중성 이론은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져 있다. 만약 기본권의 두 가지 성격 중 어느 하나만 일방적으로 강조될 경우, 많은 문제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기본권의 주관적 성격과 객관적 성격은 상호적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기본권의 실현 과정에 상호주관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그런데 최근 들어 기본권의 이중적 성격을 일원론적으로 설명하려는 견해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견해들은 기본권 실현에 있어서 개인을 강조하는가, 아니면 공동체를 강조하는가에 따라 미묘한 차이를 야기하고 있다. 기본권 성격 논의에 있어서 일원론적 설명방법이 도입되어야 하는가, 도입되어야 한다면 어떠한 이론이 받아들여져야 하는가의 문제는 앞으로 남겨진 과제라고 할 수 있다. A theory of 'Characters of Fundamental Rights' is seeking to find an answer, what is the Fundamental Rights, what is the nature and function of the Fundamental Rights. The Character of Fundamental Rights consists of the subjective character and the objective character. The subjective character turns up, when that fundamental rights are considered from the viewpoint 'I'. Having a good look at this character, fundamental rights are 'rights' that individuals as constituents of the state retain. As a result, fundamental rights are interests as well as grounds of claim in the constitutional law. The objective character turns up, when that fundamental rights are considered from the viewpoint 'We'. From this viewpoint, fundamental rights are tasks that every state organ and member of state should do. Someone is in the negative to this character. However, the subjective and the objective character are bound up each other. Then, the so called double-character of fundamental rights is supported by the majority. Many problems will arise, otherwise either the subjective or the objective is valued evenly. Accordingly, inter-subjectivity should be maintained in the way of the fundamental rights' actualizing. By the way, many scholars are trying to make this dualism into monism. Needless to say, this monism can be divided into many types. Which type should be accepted? This question is one of the urgent problems that we must solve.

      • KCI등재

        기본권보장의 발전과 기본권학의 과제

        김선택 한국공법학회 2008 공법연구 Vol.37 No.2

        The beginning of protection of fundamental human rights in Korea goes way back to the Constitution of 1919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 in exile on the basis of the western idea of human rights accepted in the late 19th century. However only under the Constitution of 1948 the guarantee of fundamental human rights could have legal significance. Nevertheless, (ⅰ) the historical fact of the territorial division and confront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ⅱ) the cultural fact of the conflict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thoughts, and (ⅲ) the political fact of the retrogression of political culture caused by repeated authoritarian regimes made the protection of fundamental human rights ineffective. Under the current Constitution of 1987,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was established in 1988, by which the normative power of Constitution was strengthened and the protection of fundamental human rights became effective. For the past 20 years constitutional study on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has been reinvigorated and more productive than ever. These days there are some tasks for our constitutional jurisprudence as follows: First,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have to be understood based on the text of constitutional law(Korea Constitution). Second, all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should be systemized and in that system individual right interpreted. Third, as for social rights their contents should be concreted and legally gradationaly effective. Fourth, on the basis of the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it should be possible to assert one´s right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s for protection of human rights. Fifth, in the face of new conditions of the contemporary world we need to grasp the new kinds of rights conceptually and then provide the new spheres of fundamental human rights in the Constitution. Finally, current Constitution has some weak points, because the chapter of fundamental human rights was not enough deliberated and people could not participate in the revision of Constitution. At that time the restoration of democracy(‘popular sovereignty’) was the crucial task in constitutional revision. But now, we can say that democracy became stable in a sense and people's awareness for fundamental human rights has grown up remarkably. In such circumstances, if it is possible to revise the Constitution, it is desirable to place the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s in the first chapter of the Constitution in order to make clear what the core task of constitution is. 한국의 기본권보장은 19세기 말 개항이후 개화파들을 중심으로 서구 인권사상이 수용된 후 최초의 근대적 헌법이었던 1919년 임시정부헌법에 규정된 기본권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1948년 헌법제정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한국에서 실제 효력이 있는 헌법에 의하여 기본권이 보장되기 시작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ⅰ) 국토분단과 그로 인한 체제대결이라는 역사적 현실, (ⅱ) 전통사상과 근대적 서구 인권사상의 갈등이라는 문화적 현실, (ⅲ) 정치권력의 인격화와 더불어 거듭된 독재로 인하여 정치문화가 퇴행하여 온 정치적 현실은 각각 안보논리, 전통논리, 권력논리로 강화되면서 기본권보장에 위축효과를 가져왔다. 1987년 현행헌법 아래에서 1988년 헌법재판소의 창립과 더불어 헌법이 규범력을 확보하고 기본권보장이 활성화되면서 기본권학도 지난 20년 동안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하였다. 현재, 우리 헌법학, 특히 기본권학 앞에 다음과 같은 과제들이 놓여있다: 첫째, 과거 헌법학이 관변법학, 어용법학으로 전락하거나 외국헌법학이론을 추종하였던 폐단에서 벗어나 실정헌법(한국헌법전)을 바탕으로 한 기본권이해가 긴요하다. 둘째, 기본권보장체계를 확립하고 그 체계 내에서 개별기본권규정을 해석하여, 흠결이 없고 법리적으로 일관성이 있는 기본권보호를 가능하게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자유권과 사회권을 엄격히 구분하고 사회권의 구체적 실현 여부를 입법자의 재량에 일임하여 온 태도를 지양하고, 사회권을 구체화하고 법적 효력을 단계화하여 그 실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인권의 보편성을 인정하고 국제인권규범이 보장하는 인권들이 국내의 기본권에 준하는 수준의 효력을 가지고 보장될 수 있도록, 재판에서 국제인권규범을 적극적으로 원용하는 등 실효성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20세기 후반 개인의 삶의 영역의 확대와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도래한 새로운 기본권적 위험상황에 대한 근본적 대응책으로서, 새로운 인권을 개념적으로 포착하고 법제도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 헌법해석의 수준을 넘어 - 헌법개정을 통하여 새로운 기본권 영역을 규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행헌법은 당시의 시대적 과제인 민주주의 회복에 집중하여, 기본권장의 정비를 위한 본격적인 심의가 이루어질 수 없었고 또 헌법개정과정에 시민의 참여가 허용되지 않아 진정한 의미에서 ‘새로운 시대를 규정하는’ 의미를 가지는 헌법으로서는 한계가 있다. 이미 민주주의도 어느 정도 정착되었고 시민들의 기본권의식이 예전과 비교도 되지 않을 만큼 성장한 현 상황에서, 헌법개정이 가능하다면 헌법의 핵심과제인 인권보장을 전면에 놓는 헌법개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KCI등재

        유럽국가의 기본권보장 체계와 규범내용

        정극원 유럽헌법학회 2017 유럽헌법연구 Vol.25 No.-

        In a country, the fundamental rights for the people shall function as the best value of the Constitution of each country which exists as a constitution-based country. The fundamental rights mean the ones that a human being has naturally as specified in the constitution of each country. A Constitution is the supreme law that 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untry and the people. A Constitution as the supreme law of a country 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untry and the people symmetrically or the relation that a country takes priority over the people from the country perspective and that the people does over the country from the people’s perspective. In case that a country takes a priority over the people, it means that a country can impose some duties on each person, but in case that the people does over a country, it means that each person of the people has the fundamental rights. The fundamental rights are formed and developed under the relation with Human Rights. The term, “Fundamental Rights”, appeared in the Frankfurt Constitution of Germany that was enacted on March 28, 1949, but there had been used to be announced many kinds of declarations of human rights for guaranteeing the rights of a human being in many European countries before the term appeared for the first time. ‘Magna Carta’ (the Great Charter of Freedom in 1215), ‘Habeas Corpus Act’ (a Trafficking Victims Protection Act in 1679) and the English Bill of Rights (1689) were enacted in England, ‘Declaration des droitsde I homme et du citoyen’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Man and the Citizen in 1789) was done in France and ‘Frankfurt Verfassung’ (Frankfurt Constitution in 1849) & ‘Weimar Reichverfassung’ (Weimar Constitution in 1919) were done in Germany. Through such a procedure, the rights of human beings that are called the ‘Fundamental Rights’ were strated to be guaranteed as the best value within each country in the modern era. In the contemporary days, it is not an exaggeration if it is said that the fundamental rights that are enjoyed by the people as the universal value of the world were originated from the norms and the development of such norms in those countries. Especially, the guarantee of the fundamental rights by such written constitution-based countries, such as, France and Germany, etc., are making great effects on many countries over the world. Taking a consideration of the creation of provisions on the fundamental rights in a constitution, the constitution of France does not specify the provisions on the fundamental rights directly in the constitution. However, the Basic Law (‘Grundgesetz’) of Germany has specified many kinds of fundamental rights inheriting the provisions in the constitutions of the previous eras. Except for such a difference, as far as the guaranteed contents are concerned, both the constitutions of France and Germany guarantee the best fundamental rights over the world. In this study, the systems and norms of France and Germany for guaranteeing the fundamental rights only with such a difference only in a type were examined. In case of France, the contents of the norms were examined while the fundamental rights were classified into the private freedom, the group one and the social and economic one. In case of Germany, the contents of the norms were examined in the aspects of the dignity of humanity, the Equality before the Law, the Freedom of Conscience and the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etc. 어느 나라라 하더라도 헌법국가로 존재하는 기본권은 헌법의 최고가치로 기능한다. 기본권은 헌법상에 규정된 인간이 인간으로서 당연히 갖는 권리를 말한다. 헌법이 국가와 국민의 관계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는 최고법이다. 헌법은 국가 내에서의 최고법으로 국가와 국민의 관계를 대칭적으로 또는 국가의 면에서 국민에 우선하는 국가, 국민의 면에서 국가에 우선하는 국민의 관계에 대한 체계를 규정하고 있다. 국민에 대한 국가의 우선에 관한 것이 국민에게 의무를 부과하는 것이고 국가에 대한 국민의 우선에 관한 것이 기본권이다. 기본권은 인권과의 관계에서 형성되고 발전된다. 기본권이라는 용어는 1949년 3월 28일에 제정된 독일의 프랑크푸르트 헌법에서 등장하였지만, 기본권이라는 용어 이전에 유럽국가들에서 인간의 권리의 보장을 위한 여러 인권선언이 있었다. 영국의 1215년 대헌장(Magna Carta), 1679년 인신보호법(Habeas Corpus Act), 1689년 권리장전(Bill of Rights), 프랑스의 1789년의 인간과 시민의 권리선언(Declaration des droitsde I homme et du citoyen), 독일의 1849년 프랑크푸르트 헌법(Frankfurt Verfassung), 1919년 바이마르 헌법(Weimar Reichverfassung)의 제정 등이 있었다. 이를 통하여 우리라 오늘날 기본권이라 불리는 인간의 권리들을 국가 내의 최고의 가치로 보장하기 시작하였다. 오늘날 세계가 보편적 가치로서 누리고 있는 기본권들은 이들 나라에서의 규정과 발전에 기인한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성문헌법국가인 프랑스와 독일의 기본권보장은 세계 각국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헌법에 기본권규정의 조문화라는 점에서 보면 프랑스 헌법에는 직접 기본권규정을 두지 않고 있으며, 독일기본법에는 앞선 시대의 헌법에서의 규정들을 이어온 여러 기본권규정을 두고 있다. 그러한 차이만 있을 뿐 그 보장의 내용에 있어서는 프랑스와 독일은 세계 최고의 기본권보장 국가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형식상의 차이점이 있는 프랑스와 독일의 기본권보장의 체계와 그 규범내용을 고찰하였다. 프랑스의 경우 기본권을 개인적 자유, 집단적 자유 및 사회·경제적 자유로 나누어서 그 규범내용을 고찰하였고, 독일의 경우의 기본권의 규정순서에 따라 인간의 존엄성, 법앞의 평등, 양심의 자유, 재산권 보장 등에 대하여 규범내용을 고찰하였다.

      • KCI우수등재

        기본권 심사기준의 이해와 통합 ― 노동3권의 구조와 위헌심사기준의 체계성 ―

        김진곤 한국공법학회 2022 공법연구 Vol.50 No.3

        The consensus on the criteria for judging whether fundamental rights are violated in constitutional science has not yet been clearly agreed. Scholars have different opinions on the system for classifying fundamental right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analyze cases of violations of fundamental rights and to examine whether they are constitutional as complex interests should be reflected. In this regard, the examination of fundamental rights begins with the text of the Constitution and goes through a complicated process that considers the background, historical context, and changing social values ​​of the regulations comprehensively .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used the criteria for reviewing fundamental rights developed and introduced so far in various interpretations of fundamental rights. In some cases, the fundamental rights debate requires coordination of complex interests, and in other cases, it can be explained in a clear logical structure. As a subject to solve various cases,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extracts issues such as constitutional principles and fundamental rights from facts and defines the scope of protection. Since then, it has been reviewing whether it is unconstitutional based on the principle of excessive prohibition and underprotection prohibition. The three labor rights stipulated in Article 33 of the Constitution are controversial among scholars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examination standards from their legal nature.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also revised the theory, and there was some lack of consistency in the application of the screening criteria. In this context, this paper aim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consistent and logical resolution of constitutional issues related to three labor rights, considering various issues raised in the review of fundamental rights, such as the nature of fundamental rights and classification of fundamental rights. In particular, this study argues that restrictions on the three labor rights of each subject, whether public servants or general workers, need to be consistently applied to the flexible application of the screening intensity under the system of the principle of surplus funding. 모든 일의 기준을 세우는 것이 어렵듯이, 헌법학에서 기본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는 심사기준을 정립하는 것 또한 마찬가지다. 학자마다 어떠한 체계에 따라 기본권을 분류하느냐에 대하여도 의견이 대립하고, 기본권의 침해사례를 분석하고 합헌성 여부를 심사하는 것 또한 복잡한 이해관계를 반영하여야 하는 어려운 과제이다. 그런 점에서 기본권 심사는 헌법의 문언으로부터 출발하여 그 규정의 제정 배경과 역사적 맥락 그리고 변화하는 사회적 가치 등을 총합적으로 고려하는 난해한 작업 속에서 이루어진다. 헌법재판소는 이제까지 개발하고 도입한 기본권 심사기준을 다양한 기본권 해석에 활용하였다. 기본권 논쟁은 복합적 이해조정이 필요한 경우들도 있고, 아주 명확한 논리구조에서 설명이 가능한 경우들도 있다. 다양한 사례를 해결할 주체로서 헌법재판소는 사실관계에서 헌법적 쟁점, 즉 관련 헌법원리나 기본권을 추출하여 그 보호범위를 획정하고, 그로부터 과잉금지원칙, 과소보호금지원칙 등을 기준으로 위헌 여부를 심사하고 있다. 헌법 제33조에 규정된 노동3권은 그 법적 성격부터 심사기준의 적용에 대하여 학자들 간에 논란도 있으며, 헌법재판소 또한 미세한 이론수정을 가하였고 심사기준의 적용에서도 일관성이 다소 부족하였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 글은 기본권 심사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쟁점들, 예컨대 기본권의 성격, 기본권 분류 등을 고려하면서 노동3권의 기본권 관련 헌법적 문제들을 일관성 있고 논리정연한 해결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무원 근로자이건 일반 근로자이건 각 주체의 노동3권에 대한 제한은 과잉금지원칙의 체계 아래 심사강도의 유연한 적용을 일관성 있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유럽연합 기본권청의 역할과 한계

        박문석 ( Park Moon-seok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 2017 국제법무 Vol.9 No.1

        이 논문은 EU에서의 기본권(Fundamental Rights)의 의미를 분석하고 EU의 기본권 보호를 위한 전문행정기관인 EU기본권청의 목적과 역할 및 성과와 한계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EU기본권헌장의 제정 및 EU기본권청의 설립 이전까지 EU에서는 국제법에서 널리 통용되는 `인권(Human Rights)` 또는 `기본적 자유(Fundamental freedoms)`라는 단어를 제조약과 판례 등에서 사용하여 왔다. 하지만 2000년 12월 7일EU기본권헌장이 공포된 이후부터 EU는 `인권` 또는 `기본적 자유`를 `기본권(Fundamental Rights)`으로 통일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EU가 `인권`이라는 용어대신에 사용하는 `기본권`은 EU가 하나의 유럽으로서 국가임을 확인하고, EU기본권헌장의 헌법적 의미를 표현하기 위한 EU의 전략적인 용어의 선택이었다. 다만 EU기본권헌장, 유럽인권협약, 유럽사회헌장 및 국제인권규범의 내용들이 유사하다는 점과 EU기본권청 설립시 제기된 명칭관련논의 등을 고려해 볼 때 EU에서 `기본권`은 `인권`과 동등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2007년 설립되어 올해 10주년을 맞이한 EU기본권청은 EU법의 시행과 정책수립 및 정책실행을 지원하기 위해 EU의 기관, 조직, 관청과 회원국에게 기본권과 관련한 조언 및 전문지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EU기본권청의 역할은 기본권 보호에 관한 정보와 자료의 수집 및 분석과 보급, 과학적 연구 및 조사, EU기본권청의 활동에 관한 연례보고서 등의 발간, EU기본권청의 업무를 실질적으로 전파하기 위한 시민사회와의 네트워크구축 및 관리 등의 임무를 담당하여 지금까지 다음과 같은 성과를 내고 있다. 첫째, EU기본권청이 기본권에 관한 조언과 전문지식을 EU기관과 회원국에 조언 및 전문지식을 지원함으로서 기본권 정책에 있어서 우선순위의 결정과 EU에서의 기본권의 발전에 이바지 하였으며, 둘째, EU기본권청은 기본권에 관한 정보의 보급과 협업을 통한 네트워크의 구축·관리를 통해 EU에서 기본권에 관한 의식을 증진시켰으며, 셋째, EU에서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조사와 연구를 통해 기본권의 보호와 확장에 기여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지난 10년의 기간 동안 EU기본권청이 이룩한 기본권보호를 위한 일련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EU기본권청은 공권력 또는 준사법권을 가지 못함으로 인한 태생적 한계는 여전히 남아있다. 앞으로도 EU기본권청의 기본권에 관한 전문행정기구로서의 활동은 EU설립의 목적인 인권존중의 가치가 실현될 수 있도록 EU기본권헌장과 유럽인권협약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본권에 관한 이해와 지식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meaning of Fundamental Rights in the EU and studies the purpose, role and limitations of the European Union Agency for Fundamental Rights that is a specialized administrative body for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s of EU. The Charter of Fundamental Rights of the European Union and the European Union Agency for Fundamental Rights use the term `fundamental rights` to ensure that EU is one country and to emphasize that the Charter of Fundamental Rights of the European Union has the status of the Bill of Rights. In the EU, however, the meaning of the `fundamental rights` is the same as that of `human rights`. The European Union Agency for Fundamental Rights provides advices and expertises on fundamental rights to the EU institutions, organizations, authorities and Member States in order to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the EU law and EU policy development. However, in spite of achievements for the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s, the role the European Union Agency for Fundamental Rights remains inherently limited due to its lack of public power and jurisdiction. The role of the European Union Agency for Fundamental Rights as a specialized administrative body on the fundamental rights will be expand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rights on the Charter of Fundamental Rights of the European Union and the European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Fundamental Freedoms, so that it allows to realize the value of respect for the human rights.

      • KCI등재

        외국인이나 외국 공권력에 의한 기본권 가해시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 -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와 유럽인권재판소 판례를 고찰하며 -35)

        이부하 ( Lee Boo-ha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홍익법학 Vol.20 No.2

        외국인이나 외국 공권력이 국가영역 밖에 있는 국민의 기본권에 대해 가해를 하는 경우, 국가는 기본권보호의무를 수행할 의무가 있는지에 대해 헌법적 논의가 필요하다. 헌법상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는 제3자인 사인(私人)에 의한 사인(私人)의 기본권 가해라는 체계 속에서 이론정립되었지만, 외국인이나 외국 공권력이 국민의 기본권에 가해를 가하는 상황에서 기본권보호의무가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확립된 이론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유럽인권재판소(EGMR)는 국외의 자국민에 대한 외국인의 가해시 자국민의 법익 보호 문제는 기본권보호의무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각 국가의 법률상 기본권보호수준에 달려있다고 판시하고 있다. 외국 공권력이나 외국인에 의해 외국에 있는 자국민의 기본권이 가해를 받는 경우,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가 발동되는지 여부에 대해 논의가 필요하다. 기본권보호의무 적용상의 근본적 문제는 외국에서 발생하는 자국민의 기본권 가해 사건이 국가영역 밖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국가권력의 효력상 한계에 부딪힌다는 것이다. 그러나 기본권보호의무는 영역적(지리적) 제한을 가지고 있지 않다. 국가영역 외에도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는 인정되고 국가는 기본권보호수단의 적용과 관련하여 법적 차원에서 효율적인 보호수단을 강구해야 한다. 국가영역 밖에 있는 자국민의 기본권이 가해받고 있는 경우라면, 속인주의에 근거하여 국가는 기본권보호의무를 지게 된다. 기본권보호의무론 체계에서 기본권 주체의 주관적 보호청구권이 존재하기 때문에, 국가영역이라는 요소는 배제되어야 한다. Exercise of sovereignty means effective control of the exercise of state sovereignty and the exercise of extraterritorial force in the territory of another State. If the fundamental rights-bound sovereign employs civilian to fulfill its tasks, this does not exempt it from the fundamental rights commitment. However, the sovereign is subject to supervisory duties within the scope of the state duty to protect fundamental rights paradigm, which will be discussed later. If there is a corresponding international agreement, and not even if its activity is approved or tolerated in the territory of the state, the foreign sovereign is at best bound by the fundamental rights applicable to national sovereignty. Since private actors are always the bearers of fundamental rights themselves, conflicting legal interests in every such state duty to protect fundamental rights, whose weighting and consideration, according to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is regularly the task of the legislator. Person of fundamental rights is considered vulnerable if either the impending violation of fundamental rights is irreparable, the emerging development uncontrollable or the potential conflict between the fundamental rights persons involved is not autonomously regulated. Basically, the courts do not differentiate whether the private actor, who is to be attributed to the fundamental rights-threatening behavior, comes from domestic or abroad. It can therefore be concluded that the key to solving current challenges to the protection of legal interests vis-à-vis domestic and foreign private actors lies at the level of the law, not that of the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s. If the state duty to protect fundamental rights against private threats is recognized in principle, it remains to be determined whether and to what extent the state is subject to the state duty to protect fundamental rights vis-à-vis a foreign state power acting on the domestic territory. For the state duty to protect fundamental rights to protect the actions of the state authority, however, is not the actual trigger, but the legal consequence of the constitutional protective effect. In the field of external fundamental rights-threatening behavior, the state would then only have to try to promote the protection of individuals from foreign states and foreign private persons through political appeals or international treaties. Basically, we will have to affirm the state duty to protect fundamental rights, even in the light of the right of state responsibility.

      • KCI등재

        현행 헌법상 기본권 체계 및 범위에 관한 일고찰

        한상운(Han Sang-Woon) 한국헌법학회 2007 憲法學硏究 Vol.13 No.3(2)

          Respecting the fundamental human right is the core notion of the constitution. Contractions and methodologies of respecting the human rights vary by each county. It is not deniable that constitutional laws, which clearly provide fundamental human rights, are more effectively protecting fundamental human rights than the one that is not provided. Although examples of the British and the USA constitutional laws can challenge this line of claim, it is widely accepted by Korean academia of constitutional law"s theories and precedents that defined fundamental human rights in the constitutional law would have more clear debates such as contents and limitation of fundamental human rights.<BR>  The fact that the limitation of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which could be or must be guaranteed by constitutional law, cannot be extended infinitely and it is not necessary. (This can be supported by the openness and incompleteness of the constitution). Therefore, it can be satisfied by indicating provisions of fundamental human rights in the constitutional law considering fundamental values that the current constitutional law pursuits. In other words, various unwritten rights can be derived by the interpretations based on openness and abstractness of the core of the fundamental human rights.<BR>  An issue arises under the current constitutional law that whether the pro-visions of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meet the system of fundamental human rights. For it, first, prio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stems of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and ‘Grundrechtstheorie’ is necessary. The definition of Grundrechtstheorie is that it is a systemic view points or theory rega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gulatory goals and its courses, and contents limitation. Grundrechtssystem, the system of fundamental human rights means the internal system or order that could provide guidance in interpreting general fundamental human rights. Allowing the system of fundamental human rights as a means of understanding the theory of fundamental human rights which is used as a means of understanding fundamental human rights are to prevent national authorities from arbitrative interpretation of human rights, thus to enhance security of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ultimately. Therefore, the theory and the system of fundamental human rights have been fully supported except the necessary explanation of each of unique values in interpreting individual human rights are remained unproved.<BR>  Regarding the system of fundamental human rights under the current constitutional law, the system of the human rights that based on natural rights should be eliminated. It is an appropriate argument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human rights should be based on constitutional law rather than natural law regarding methodological limitation of the law. Under the current constitution, fundamental human rights c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stitutional law has characteristic of natural law and the duplicity of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in interpreting should be fully considered. Current constitutional law constitutes of dignity of human, pursuit of values and happiness, recognition of duplicity of fundamental human rights, respect of liberty and equality, respect of the right to participate in politics and the right of judicial redemption, right of compensation of human welfare, and effect of the human right toward the nation as well as other people. As a result, debates on understanding of each aspects of constitution could be validated by the fact that the openness, uniformity, and limitation in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could be secured via reviewing internal relevance among constituent of systems of the human rights. Regarding effect of fundamental human rights, the provisions of the social rights that the internal relevance is difficult to be admitted under the current law should be impr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