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소세포폐암의 치료전 FDG섭취와 치료반응 및 재발과의 연관성

        서영순 ( Young Soon Seo ),권성영 ( Seong Young Kwon ),정신영 ( Shin Young Jeong ),송호천 ( Ho Chun Song ),민정준 ( Jung Joon Min ),김규식 ( Kyu Sik Kim ),김영철 ( Young Chul Kim ),범희승 ( Hee Seung Bom ) 대한핵의학회 2007 핵의학 분자영상 Vol.41 No.6

        목적: 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치료 전 18F-FDG PET/CT에서 18F-FDG의 섭취 정도(maxSUV)와 치료에 대한 반응, 그리고 재발과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직학적으로 소세포암으로 진단된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병기설정 목적으로 18F-FDG PET/CT를 시행하였으며, 항암 또는 방사선 치료에 대한 반응 평가를 위해 정기적으로 흉부 CT 검사를 시행하여 추적관찰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18F-FDG 섭취 정도의 매개변수로 maxSUV 값을 사용하였다. 항암 또는 방사선 치료 중 또는 치료 후 흉부 CT를 기준으로 반응군과 비반응군으로 나누었다. 독립표본 T 검정을 이용하여 두 환자군간의 maxSUV 값을 비교하였다. 상관 분석을 이용해 FDG 섭취 정도와 재발, 그리고 18F-FDG 섭취 정도와 재발까지의 기간과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ROC 곡선을 이용하여 반응군과 비반응군 사이의 진단적 maxSUV 값을 추정하였다. 결과: 추적 관찰한 흉부 CT 결과를 토대로 하여 총 26명의 환자 중 21명(81%)은 반응군으로 5명(19%)은 비반응군으로 분류하였다. 반응군과 비반응군의 폐병소에서 평균 maxSUV 값은 각각 14.15±3.72와 9.17±2.15였고, 반응군에서의 maxSU 값이 비반응군에서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반응군과 비반응군 사이의 진단적 maxSUV 값을 구하기 위한 ROC 곡선에서 maxSUV가 8.99일 때 100%의 민감도를 보였다. maxSUV 값과 진단에서부터 재발까지의 기간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r=-0.757). 결론: 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치료 전 18F-FDG PET/CT에서의 18F-FDG의 섭취 정도가 비반응군에서보다 반응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치료 전 18F-FDG PET/CT에서 18F-FDG의 섭취가 높은 환자에서 더 일찍 재발하였다. Purpose: We evaluated correlation of 18F-FDG uptakes, therapeutic response and relapse in pre-treatment 18F-FDG PET/CT in patients with SCLC. Materials and methods: We included 26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proven small cell lung cancer. Total 102 lesions (26 lungs, 69 lymph nodes and 8 metastatic lesions) were evaluated. All patients underwent 18F-FDG PET/CT for staging. The maxSUV was used as a parameter of 18F-FDG uptake.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according to response criteria on chest CT scan after 3 cycles of chemotherapy. We compared maxSUV between two groups by using independent t-test. To access correlation with 18F-FDG uptake and relapse, maxSUV and interval time to relapse was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The cutoff value of maxSUV was evaluated by ROC curve. Results: Twelve-one patients (81%) were responders and five patients were non-responders on follow-up chest CT scan. The mean maxSUV of main lung lesions in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were 14.15±3.72 and 9.17±2.15, respectively. The maxSUV in the responde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non-responders (p<0.05). According to ROC curve, point of cut that predicts therapeutic response was 8.98 with 100% sensitivity and 57% specificity.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18F-FDG uptakes and interval time to relaps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p<0.05, r=-0.757). Conclusion: The pre-treatment 18F-FDG uptake of responde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n-responders. Patients with high 18F-FDG uptake in pre-treatment 18F-FDG PET/CT relapse earlier. (Nucl Med Mol Imaging 2007;41(6):538-545)

      • 간암환자에 있어서 $^{11}C$-Acetate와 $^{18}F$-FDG PET/CT 검사의 당일 검사법과 양일 검사법의 비교

        강신창,박훈희,김정열,임한상,김재삼,이창호,Kang, Sin-Chang,Park, Hoon-Hee,Kim, Jung-Yul,Lim, Han-Sang,Kim, Jae-Sam,Lee, Chang-Ho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0 핵의학 기술 Vol.14 No.2

        $^{11}C$-Acetate PET/CT는 간에 관련된 병변을 찾아내는데 있어 유용성이 있으며, 이에 대한 예민도는 87.3%에 이른다. 이에 반해 $^{18}F$-FDG PET/CT의 예민도는 47.3%이며, $^{18}F$-FDG와 $^{11}C$-Acetate PET/CT 검사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예민도는 100%로 보고된바 있다. 하지만 $^{11}C$-Acetate PET/CT검사에서 췌장, 비장의 정상섭취로 인해 $^{18}F$-FDG PET/CT검사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정확한 진단에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방사성의약품의 사용으로 인하여 영상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당일 검사법과 양일 검사법 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유용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07년 12월부터 2009년 7월까지 본원에서 간암 진단을 받고 PET/CT 검사를 시행한 환자 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남자 35명, 여자 11명, 평균연령: $54{\pm}10.6$세, 연령 범위: 29~69세). 검사에 이용된 장비는 Biograph TruePoint 40 PET/CT이며, 당일 검사법으로 검사한 21명에게는 $^{11}C$-Acetate PET/CT 검사를 먼저 시행하고 약 1시간 후에 곧바로 $^{18}F$-FDG PET/CT 검사를 시행하였다. 양일 검사법으로 검사를 시행한 25명에게는 1일째 $^{11}C$-Acetate PET/CT검사를 시행하고, 2일째 $^{18}F$-FDG PET/CT 검사를 시행하였다. 두 검사법 간의 $^{18}F$-FDG 영상에서 췌장과 비장에 동일한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표준섭취계수를 측정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Ver. 17을 사용하였으며, unpaired t-test를 통하여 두 검사법 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각각의 검사법으로 시행한 환자의 영상을 분석한 결과, 양일 검사법으로 검사를 시행한 환자의 췌장 부분의 표준섭취계수 평균${\pm}$표준편차는 두부 $1.62{\pm}0.32$ g/mL, 체부 $1.57{\pm}0.37$ g/mL, 미부 $1.49{\pm}0.33$ g/mL, 비장은 $1.53{\pm}0.28$ g/mL였다. 당일 검사법으로 검사를 시행한 환자의 췌장은 두부 $1.65{\pm}0.35$ g/mL, 체부 $1.58{\pm}0.27$ g/mL, 미부 $1.49{\pm}0.28$ g/mL, 비장은 $1.66{\pm}0.29$ g/mL로 나타났다. 당일 검사법과 양일 검사법 간의 췌장과 비장에서의 표준섭취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0.05), PET/CT 영상분석에서도 위양성으로 오인할 수 있는 높은 섭취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하루 동안 $^{11}C$-Acetate와 $^{18}F$-FDG PET/CT 검사를 시행하여도 $^{18}F$-FDG 영상에서 $^{11}C$-Acetate의 영향으로 인해 표준섭취계수의 과대평가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는 표준섭취계수의 측정값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11}C$-Acetate가 상용화될 경우 $^{18}F$-FDG와 당일 검사법을 이용하여 간질환의 진단에 있어 PET/CT 검사의 진단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위 결과를 토대로 두 방사성의약품의 간섭영향 없이 하루에 검사를 완료할 수 있으며, 대기시간을 단축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11}C$-Acetate PET/CT is useful in detecting lesions that are related to livers in the human body and leads to a sensitivity of 87.3%. On the other hand, $^{18}F$-FDG PET/CT has a sensitivity of 47.3%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if both $^{18}F$-FDG and $^{11}C$-Acetate PET/CT are carried out together, their cumulative sensitivity is around 100%. However, the normal intake of the pancreas and the spleen in $^{11}C$-Acetate PET/CT can influence the $^{18}F$-FDG PET/CT leading to an inaccurate diagnosis. This research was aimed at the verification of the usefulness of how much influence these two radioactive medical supplies can cause on the medical imag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one-day and two-day protocol.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based on 46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liver cancer and have gone through the PET/CT (35 male, 11 female participants, average age: $54{\pm}10.6$ years, age range: 29-69 years). The equipment used for this test was the Biograph TruePoint40 PET/CT (Siemens Medical Systems, USA) and 21 participants who went through the one-day protocol test were first given the $^{11}C$-Acetate PET/CT and the $^{18}F$-FDG PET/CT, the latter exactly after one hour. The other 25 participants who went through the two-day protocol test were given the $^{11}C$-Acetate PET/CT on the first day and the $^{18}F$-FDG PET/CT on the next day. These two groups were then graded comparatively by assigning identical areas of interest of the pancreas and the spleen in the $^{18}F$-FDG images and by measuring the Standard Uptake Value (SUV). SPSS Ver.17 (SPSS Inc., USA)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wher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through the unpaired t-test. Results: After analyzing the participants' medical images from each of the two different protocol types, the average${\pm}$standard deviation of the SUV of the pancreas carried out under the two-day protocol were as follows: head $1.62{\pm}0.32$ g/mL, body $1.57{\pm}0.37$ g/mL, tail $1.49{\pm}0.33$ g/mL and the spleen $1.53{\pm}0.28$ g/mL. Whereas, the results for participants carried out under the one-day protocol were as follows: head $1.65{\pm}0.35$ g/mL, body $1.58{\pm}0.27$ g/mL, tail $1.49{\pm}0.28$ g/mL and the spleen $1.66{\pm}0.29$ g/mL.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one-day and two-day protocol SUV in the pancreas and the spleen (p<0.05), and nothing which could be misconceived as false positive were found from the PET/CT medical image analysis. From this research, it was also found that no overestimation of the SUV occurred from the influence of $^{11}C$-Acetate on the $^{18}F$-FDG medical images where those two tests were carried out for one day. This result was supported b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SUV of measurement. If $^{11}C$-Acetate becomes commercialized in the future, the diagnostic ability of liver diseases can be improved by $^{18}F$-FDG and one-day protocol. It is from this result where tests can be accomplished in one day without the interference phenomenon of the two radioactive medical supplies and furthermore, could reduce the waiting time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 SCOPUSKCI등재

        장관 내 국소 섭취증가 병소의 감별에 있어 추가 지연 F-18 FDG PET/CT의 임상적 유용성

        김진숙 ( Jin Suk Kim ),임석태 ( Seok Tae Lim ),정영진 ( Young Jin Jeong ),김동욱 ( Dong Wook Kim ),정환정 ( Hwan Jeong Jeong ),손명희 ( Myung Hee Sohn ) 대한핵의학회 2009 핵의학 분자영상 Vol.43 No.4

        목적: 18F-FDG PET/CT는 다양한 장관 내 악성 종양을 발견하는데 높은 민감도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18F-FDG가 다양한 형태로 장관 내 생리적, 병리적 섭취증가를 보이기 때문에 그 특이도는 낮다. 이 연구는 장관 내 국소적인 18F-FDG 섭취증가를 보일 때 생리적 섭취와 병리적 섭취를 감별하는 데 있어 추가 지연(dual time point) 18F-FDG PET/CT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장관 내 국소적인 섭취증가를 보여 추가 지연 촬영 18F-FDG PET/CT를 실시한 132명(남:여=77:55, 나이 62.8±11.6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18F-FDG 정맥 주사 후 50-60분 후에 조기 영상을 촬영하였고, 정맥 주사 후 4-5시간에 국소 섭취 증가 부위를 포함하고 있는 복부 부위에 대해 추가 지연 촬영을 실시하였다. 초기 영상에서 보였던 국소적 섭취가 지연 영상에서 보이지 않거나 이동하였을 경우에는 생리적 섭취증가로 간주하였고, 지연 영상에서 지속적으로 관찰되는 섭취증가에 대해서는 대장내시경과 병리조직 검사를 실시하였다. 지연 영상에서 지속적으로 관찰되는 장관 내 섭취에 대해서는 각각 SUVmax값과 조기 영상과 지연 영상의 SUVmax값의 차이(Δ%SUVmax)를 계산하였다. 결과: 132명의 환자에서 153개의 국소적 섭취증가병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 중 72개 병소에서는 지연 영상에서 섭취 증가가 사라져 생리적 섭취로 판단할 수 있었다. 조기 영상에서만 보였던 생리적 섭취는 맹장을 포함한 오름 결장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지연 영상에서도 지속적으로 섭취증가를 보인 81개 병소에서 61개는 악성 종양으로 확진되었고, 14개는 양성 질환으로 확인 되었다. 나머지 6개의 병소는 대장내시경에서 특이소견을 보이지 않아 생리적 섭취로 확인되었다. 악성 종양은 Δ%SUVmax가 20.8%±18.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반대로 비악성에서는 -13.7%±24.2%로 감소하였다. 가장 유용한 진단적 가치를 주는 요소는 Δ%SUVmax 임을 확인하였고, 악성과 비악성 질환을 감별하는데 임계수를 -5%로 정하였을 때 가장 좋은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를 보였다. 결론: 18F-FDG PET/CT를 이용한 추가 지연 촬영은 생리적 섭취와 병리적 섭취를 감별하는데 있어 검사의 특이도를 높이고 불필요한 검사를 줄일 수 있는 유용한 비침습적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F-18 FDG can be accumulated in the liver, bowel, kidney, urinary tract, and muscles physiological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value of dual time point 18F-FDG PET/CT imaging for the differentiation of the colonic focal uptake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thirty two patients (M:F=77:55, Age 62.8±11.6 years) underwent 18F-FDG PET/CT at two time points, prospectively: early image at 50-60 min and delayed image at 4-4.5 hours after the intravenous injection of 18F-FDG. Focally increased uptake lesions on early images but disappeared or shifted on delayed images defined a physiological uptake. For the differential evaluation of persistent focal uptake lesions on delayed images, colonoscopy and histopathologic examination were performed. SUVmax changes between early and delayed images were also compared. Results: Among the 132 patients, 153 lesions of focal colonic uptake were detected on early images of 18F-FDG PET/CT. Of these, 72 (47.1%) lesions were able to judge with physiological uptake because the focal increased uptake disappeared from delayed image. Among 81 lesions which was showed persistent increased uptake in delayed image, 61 (75.3%) lesions were confirmed as the malignant tumor and 14 (17.3%) lesions were confirmed as the benign lesions including adenoma and inflammatory disease. Remaining 6 (7.4%) lesions were confirmed as the physiological uptake because there was no particular lesion in the colonoscopy. In the malignant lesions, the calculated dual time point change for SUVmax (Δ%SUVmax) was 20.8%±18.7%, indicating a significant increase in SUVmax between the two point (p<0.01). In contrast, the change in SUVmax for the non-malignant lesions including benign lesions and physiological uptake was -13.7%±24.2%. For the differentiation of the malignant and non-malignant focal colonic uptake lesions, Δ%SUVmax was the most effective parameter, and the cut-off value using -5% provided the best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Conclusion: The dual time point 18F-FDG PET/CT imaging with SUVmax change evaluation could be an important noninvasive method for the differentiation of malignant and benign focal colonic uptake lesions including physiologic uptake. (Nucl Med Mol Imaging 2009;43(4):309-316)

      • 조기 암 진단을 위한 $^{18}F$-FDG Fusion PET의 유용성

        전재환,김병진,이홍재,김진의,김현주,Jeon, Jae-Hwan,Kim, Byeong-Jin,Lee, Hong-Jae,Kim, Jin-Eui,Kim, Hyun-Joo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0 핵의학 기술 Vol.14 No.2

        최근 수 년 동안 암 진단의 예민도가 우수한 $^{18}F$-FDG Fusion PET이 건강검진 목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건강검진에서 $^{18}F$-FDG Fusion PET의 시행 유 무가 조기 암 발견에 유용한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건강검진센터에서의 18F-FDG Fusion PET 검사 유 무에 따른 진단율을 비교하였다. 2004년 2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를 내원하여 $^{18}F$-FDG Fusion PET을 시행한 27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피검자에게 $^{18}F$-FDG 5.18 MBq/kg (0.14 mCi/kg)을 투여한 후 1시간이 경과되면 두개골 기저부터 대퇴부까지 영상을 획득하였다. PET scanner는 PHILIPS사의 GEMINI GS를 사용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 강남검진센터에서 PET 시행 유 무가 조기 암 진단율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상기 기간 동안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진행한 피검자 중 $^{18}F$-FDG Fusion PET 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집단과 시행한 집단은 각각 99,009명과 2,790명이었다. 건강검진에서 PET 검사가 제외된 집단과 시행된 집단의 악성종양 진단율은 각각 0.95%, 1.94%로 나타났다. PET 검사에서 비정상 소견을 보인 사람은 542명이었으며, 이 중 악성 및 양성종양은 각각 10%, 90%로 판명되었다. 악성종양의 종류 및 비율은 갑상선암 31.5%, 폐암 14.8%, 위암 9.3%, 직장암 3.7%, 유방암 3.7%, 전이암 16.7%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성 소견으로는 종격동 림프절의 비 특이적인 섭취, 대장의 생리적인 섭취, 갑상선의 미만성 섭취 증가 등이 있었다. 검진 목적으로 시행한 $^{18}F$-FDG Fusion PET의 악성종양 진단율은 일반적인 검진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건강검진에서 $^{18}F$-FDG Fusion PET을 시행하는 것은 조기 암 진단에 우수하며 유용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Recently, $^{18}F$-FDG Fusion PET which has a high sensitivity for diagnosing cancer is being used for purpose of health examination.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at $^{18}F$-FDG fusion PET study is useful for diagnosing an early stage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with 2790 patients visi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Healthcare System (SNUHHS) for $^{18}F$-FDG fusion PET study for a health examination from February, 2004 to December 2008. PET/CT images were acquired from skull base to femur after 1 hour from injecting $^{18}F$-FDG 0.14 mCi/kg to the patients. GEMINI GS (Philips, Netherlands) was used for scanning. Results: From February 2004 to December 2008, $^{18}F$-FDG Fusion PET study was performed for 99,009 patients among all patients who visited SNUHHS and 2,790 patients was performed. Diagnostic rate for malignant cancer was 0.95% for the patients who were not examined by $^{18}F$-FDG Fusion PET study. 1.94% was for the patients who were. The rate of malignant tumor was showed 10% and benign tumor was 90% among 542 patients who showed abnormality in the PET/CT images. Types and rates of malignant tumor showed thyroid cancer: 31.5%, lung cancer: 14.8%, stomach cancer: 9.3%, rectum cancer: 3.7%, breast cancer: 3.7%, metastasis cancer: 16.7%. Nonspecific lymph node in the mediastinum, physiologic uptake in the colon, diffuse mild hypermetabolism in bilateral thyroid gland were shown as a benign tumor. Conclusion: The diagnostic rate of malignant tumor with $^{18}F$-FDG Fusion PET for a purpose of health examination was relatively higher than general medical examination. Consequently, it is superior and useful for applying $^{18}F$-FDG Fusion PET study for health examination.

      • SCOPUSKCI등재

        처음 진단된 두경부 선양낭성암종에서 18F-FDG PET/CT: 임상상 및 병리소견과의 상관성

        이지영 ( Ji Young Lee ),최준영 ( Joon Young Choi ),고영혜 ( Young Hyeh Ko ),백정환 ( Chung Hwan Baek ),손영익 ( Young Ik Son ),조숙경 ( Suk Kyong Cho ),천미주 ( Mi Ju Cheon ),이경한 ( Kyung Han Lee ),김병태 ( Byung Tae Kim ) 대한핵의학회 2009 핵의학 분자영상 Vol.43 No.5

        목적: 처음 진단된 두경부 선양낭성암종의 18F-FDG PET/CT의 영상소견을 선양낭성암종의 병리적 소견, 병기 결정, 가장 흔한 두경부암인 편평세포암종의 18F-FDG 섭취양상, 예후와 상관 지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두경부 선양낭성암종으로 처음 진단되어 18F-FDG PET/CT를 시행한 16명의 환자가 대상이었다. PET/CT의 병기 결정 능력을 알아보고, 두경부 선양낭성암종의 SUVmax를 원발종양의 조직학적 아형(고형 대 관상형/사상형상), 병변의 크기와 일치하는 두경부 편평세포암종의 SUVmax, 무병생존율과 비교하였다. 결과: 16명의 환자들 중, 관상형 또는 사상형을 가진 군은 10명이었고 나머지 6명은 고형을 가진 군이었다. 고형 선양낭성암종의 SUVmax는 관상형 또는 사상형 선양낭성암종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6.7±3.2 vs. 4.2±0.9, p=0.03). 18F-FDG PET/CT로 기존 영상법에서 발견하지 못한 원격 전이를 18.7%의 환자에서 발견하여, 치료방침 변경에 기여하였다. 선양낭성암종의 SUVmax는 병변 크기가 같은 편평세포암종과 비교해 보았을 때 유의하게 낮았다(5.1±2.4 vs. 13.6±6.0, p<0.001). 조직학적 아형에 따른 무병생존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원발종양의 SUVmax가 6.0 이상인 환자들의 무병생존율은 SUVmax가 6.0 미만인 환자들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02). 결론: 두경부 선양낭성암종의 18F-FDG 섭취양상은 조직학적 아형과 무병생존율과 유의한 관계가 있다. 18F-FDG PET/CT는 기존 영상법에서 발견하지 못한 원격전이 진단에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사상형상 또는 관상형 선양낭성암종의 18F-FDG 섭취는 낮을 수 있어, 선양낭성암종이 의심되지 않은 환자들의 PET 영상 판독에 주의가 필요하다. Purpose: We evaluated 18F-FDG PET/CT findings in initially diagnosed adenoid cystic carcinoma (ACC) of the head and neck in association with pathological subtype, staging, uptake comparison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SqCC) and prognosis.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16 patients with initially diagnosed ACC of head and neck who underwent pretreatment 18F-FDG PET/CT. Histological subtype (solid pattern vs. tubular/cribriform pattern), SUVmax of size-matched SqCC of the head and neck as control group, disease-free survival (DFS) were compared with the SUVmax of ACC of the head and neck. Results: Of total 16 patients, 6 had solid pattern and the remaining 10 had tubular/cribriform pattern. The SUVmax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olid pattern group than in tubular/cribriform pattern group (6.7±3.2 vs. 4.2±0.9, p=0.03). PET/CT found unexpected distant metastasis in 18.7% of patients (3/16) and changed the therapeutic plan in those patients. The SUVmax of ACC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size-matched SqCC (5.1±2.4 vs. 13.6±6.0, p<0.001). DF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histological subtype. In contrast, patients with high 18F-FDG uptake (SUVmax≥6.0) had significantly shorter DFS than those with low 18F-FDG uptake (SUVmax<6.0). Conclusion: 18F-FDG uptake of ACC of the head and neck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stological subtype and DFS. 18F-FDG PET/CT may be useful for detecting unexpected metastasis. Since 18F-FDG uptake of tubular/cribriform ACC compared with SqCC is relatively low,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PET images carefully in patients without alleged ACC. (Nucl Med Mol Imaging 2009;43(5):395-401)

      • KCI등재

        <sup>18</sup>F-FDG PET/CT검사에서 지연영상을 이용한 갑상선암 진단의 유용성 평가

        이현국(Lee, Hyeon-Guck),한만석(Han, Man-Seok),김용균(Kim, Yong-Kyun),서선열(Seo, Sun-Youl),전민철(Jeon, Min-Cheol),김태형(Kim, Tae-Hyung),홍성종(Hong, Seong-J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6

        목적: 본 연구는 <sup>18</sup>F-FDG PET/CT검사 시 우연히 발견된 갑상선병변의 악성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위양성 으로 판독되어지는 양성종양이나 염증질환과 악성 종양의 감별이 가능한 검사법으로 지연영상(Delay scan)을 적용하 고 결과 값(SUV)의 기준안을 마련하며 이 연구에서 제시되는 검사법의 유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재료 및 방법 : 2008년 1월부터 2008년 4월 까지 E대학병원에 내원하여 <sup>18</sup>F-FDG PET/CT를 시행한 환자 25명(1명 제 외)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18F-FDG PET/CT영상 촬영은 SIEMENS사에서 만든 Biograph-Duo에서 시행 하였으며, <sup>18</sup>F-FDG PET/CT 정상영상(1hr)을 취득한 후 갑상선이상섭취가 있고 SUV 2.0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1시간 후에 갑상선부위를 1bed 지연영상을 촬영하였고, 한 bed에 2분 동안 영상을 얻었다. 갑상선이상섭취가 있고 SUV 2.0이 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이상섭취가 있는 부위의 1시간영상과 2시간지연영상의 maxSUV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sup>18</sup>F-FDG PET/CT 검사 시 우연히 갑상선에 <sup>18</sup>F-FDG 섭취를 보인 환자 24명중 갑상선 암(Thyroid cancer)이 5 명으로 20.8%로 나타났으며 모두 양성병변을 시사하는 소견을 나타냈다. 갑상선기능이상이나 갑상선염 등 단순 갑상 선 이상섭취로 판독된 19명의 1시간영상과 2시간 영상의 표준섭취계수(SUV)값은 나타낸 표로 1시간영상의 18F-FDG 표준섭취 평균값은 5.06maxSUV이었고, 2시간 평균값은 5.23maxSUV였다. 측정된 두 값의 차이는 0.19maxSUV이었 다. 갑상선암으로 판독된 5명의 1시간 PET/CT검사에서 갑상선국소부위의 <sup>18</sup>F-FDG 표준섭취 평균값은 9.63maxSUV 이었고 2시간 평균값은 10.65maxSUV이였다. 두 값의 차이는 1.02maxSUV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우연히 발견된 갑상선 국소부위에 5.0이상 maxSUV의 이상섭취병변이 발견된 경우에는 <sup>18</sup>F-FDG PET/CT 지연영상을 추가로 검사한다면 병소의 악성 여부 감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촬영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 To evaluate the degree of malignancy of incident thyroid lesion found in <sup>18</sup>F-FDG PET/CT findings and the usefulness of the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we applicate the Delay Scan Method that differentiate a false positive benign tumor, inflammation and malignancy, as well as make the criteria of SUV. Materials and Methods : A retrograde study was conducted of 25 patients(1 exception) who were admitted in E hospital to receive <sup>18</sup>F-FDG PET/CT examination until Janaary and April of 2008. <sup>18</sup>F-FDG PET/CT image photographing was taken in Biograph-Duo made by SIEMENS, after taking normal <sup>18</sup>F-FDG PET/CT image(1hr) and then 1hr later we took the thyroid 1 bed-delayed image for the patients who showed abnormal thyroid 18F-FDG uptake and above 2.0 SUV for 2 minutes every 1 bed. For the patients who showed abnormal thyroid uptake and above 2.0 SUV, 1hr later, we took a 1 bed-delayed image and then mad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measured maxSUV of 1hr-abnormal uptake image and that of 2hr-delayed image. Results : In this <sup>18</sup>F-FDG PET/CT study among the patients who showed incidental 18F-FDG thyroidal uptake the number of thyroid cancer was 5(20.8%), all of then showed benign findings. a comparison of results for <sup>18</sup>F-FDG PET/CT. the benign patient measured maxSUV in the PET/CT. image(1hr) mean value 5.06maxSUV and delay image(2hr) mean value 5.23maxSUV differences of two value is 0.19maxSUV and the malignantIt patient measured maxSUV in the PET/CT. image(1hr) mean value 9.63maxSUV and delay image(2hr) mean value 10.65maxSUV differences of two value is 10.65maxSUV in Thyroid abnormal uptake patients. Conclusion : in the case of incidental 18F-FDG uptake in thyroid, max SUV of focal thyroid lesion is above 5.0 if <sup>18</sup>F-FDG PET/CT examine the delayed images to add, You could see that reasonable diagnostic method useful. to differentiate whether lesions of malignant

      • Diagnostic Value of <sup>18</sup>F-FDG PET/CT in Comparison to Bone Scintigraphy, CT and <sup>18</sup>F-FDG PET for the Detection of Bone Metastasis

        Liu, Ning-Bo,Zhu, Lei,Li, Ming-Huan,Sun, Xiao-Rong,Hu, Man,Huo, Zong-Wei,Xu, Wen-Gui,Yu, Jin-Ming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2013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Vol.14 No.6

        Purpose: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18}F$-FDG PET/CT for detection of bone metastasis in comparison with the efficacies of $^{18}F$-FDG PET/CT, CT, $^{18}F$-FDG PET and conventional planar bone scintigraphy in a series of cancer patients. Methods: Five hundred and thirty patients who underwent both $^{18}F$-FDG PET/CT and bone scintigraphy within 1 month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skeletal system was classified into 10 anatomic segments and interpreted blindly and separately. For each modality,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ccuracy, PPV and NPV were calculated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Bone metastases were confirmed in 117 patients with 459 positive segments. On patient-based analysis,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ccuracy, PPV and NPV of $^{18}F$-FDG PET/C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bone scintigraphy, CT and $^{18}F$-FDG PET (P<0.05). On segment-based analysis, the sensitivity of CT, bone scintigraphy, $^{18}F$-FDG PET and $^{18}F$-FDG PET/CT were 70.4%, 89.5%, 89.1% and 97.8%, respectively (P<0.05, compared with $^{18}F$-FDG PET/CT). The overall specificity and accuracy of the four modalities were 89.1%, 91.8%, 90.3%, 98.2% and 90.3%, 90.9%, 89.8%, 98.0%, respectively (P<0.05, compared with $^{18}F$-FDG PET/CT). The PPV and NPV were 89.8%, 87.6%, 85.6%, 97.2% and 85.6%, 93.2%, 92.8%, 98.6%, respectively. Three hundred and twelve lesions or segments were presented as lytic or sclerotic changes on CT images at the corresponding sites of increased $^{18}F$-FDG uptake. In lytic or mixed lesions, the sensitivity of $^{18}F$-FDG PET/CT and $^{18}F$-FDG PET were better than bone scintigraphy, while in osteoblastic lesions bone scintigraphy had a similar performance with $^{18}F$-FDG PET/CT but better than $^{18}F$-FDG PET alone. Conclusion: Our data allow the conclusion that $^{18}F$-FDG PET/CT is superior to planar bone scintigraphy, CT or $^{18}F$-FDG PET in detecting bone metastasis. $^{18}F$-FDG PET/CT may enhance our diagnosis of tumor bone metastasis and provide more information for cancer treatment.

      • SCOPUSKCI등재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18F]FDG 주사액 중의 잔류 용매의 정도관리

        이학정 ( Hak Jeong Lee ),정재민 ( Jae Min Jeong ),이윤상 ( Yun Sang Lee ),김형우 ( Hyung Woo Kim ),장영수 ( Young Soo Chang ),이동수 ( Dong Soo Lee ),정준기 ( June Key Chung ),이명철 ( Myung Chul Lee ) 대한핵의학회 2007 핵의학 분자영상 Vol.41 No.6

        목적: 의약품의 FDA 개정에 따라 [18F]FDG에 휘발성 유기 용매의 분석을 GC로 수행하였다. [18F]FDG 주사액은 약 3개월에 걸쳐 생산하면서 정도관리를 수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8F]FDG 주사액에 존재하는 잔류유기용매의 종류를 줄이기 위해 [18F]FDG 자동합성장치를 ethanol을 이용해 세정하였다. [18F]FDG 주사액은 FID가 장착된 Hewlett-Packard 6890 Gas Chromatograph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생산된 [18F]FDG의 시료는 상온에서 밀봉된 Vial에 보관하였고 일주일 내에 분석하였다. 결과: [18F]FDG 생성물에서 ethanol의 양은 16.8~2762.8 ppm이 검출 되었고 acetonitrile의 양은 2.3~327.6 ppm이 검출 되었다. 결론: 약 3개월간 생산한 [18F]FDG 주사액 중에 ethanol과 acetonitrile잔류 용매를 측정해본 결과 USP 허용기준인 ethanol 5000 ppm과 acetonitrile 400 ppm 이하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Purpose: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solvents in 2-deoxy-2-[18F] fluoro-D-glucose ([18F]FDG) preparations was performed by gas chromatography (GC), in accordance with USP. Materials and Methods: Analyses were carried out on a Hewlett-Packard 6890 gas chromatography equipped with an FID. Results: We determined the amounts of ethanol and acetonitrile on every batch of our routine [18F]FDG preparations, ranging between 5000 ppm and 100 ppm. In our routine preparation of [18F]FDG, the amount of acetonitrile and ethanol in the final product were well below the maximum allowable limit described in the USP. Conclusion: Our [18F]FDG preparations were in accordance with the suggested USP maximum allowable levels of the quality control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Nucl Med Mol Imaging 2007;41(6):566-569)

      • $^{18}F$-FDG PET/CT검사에서 지연영상을 이용한 갑상선 우연종 감별의 유용성 평가

        이현국,양승오,송기덕,송치옥,이기흔,Lee, Hyun-Kuk,Yang, Seoung-Oh,Song, Gi-Deok,Song, Chi-Ock,Lee, Gi-Heun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08 핵의학 기술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18}F$-FDG PET/CT검사 시 우연히 발견된 갑상선병변의 악성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위양성으로 판독되어지는 양성종양이나 염증질환과 악성 종양의 감별이 가능한 검사법으로 지연영상(Delay scan)을 적용하고 결과 값(SUV)의 기준안을 마련하며 이 연구에서 제시되는 검사법의 유용성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8년 1월부터 2008년 4월까지 E대학병원에 내원하여 $^{18}F$-FDG PET/CT를 시행한 환자 80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같은 연구기간 중에 갑상선의 원발암으로 $^{18}F$-FDG PET/CT을 실시한 1명은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최종적으로 799명이 연구대상이었으며 $^{18}F$-FDG PET/CT검사를 실시한 이유는 기존에 암이 증명되어 예후 관찰로 검사하거나 암이 의심되는 경우가 696명, 건강 검진 목적으로 실시한 경우가 103명이었다. $^{18}F$-FDG PET/CT영상 촬영은 SIEMENS사에서 만든 Biograph-Duo에서 시행하였으며, $^{18}F$-FDG PET/CT 정상영상(1 hr)을 취득한 후 갑상선 이상섭취가 있고 SUV 2.0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1시간 후에 갑상선부위를 1 bed 지연영상을 촬영하였고, 한 bed에 2분 동안 영상을 얻었다. 갑상선 이상섭취가 있고 SUV 2.0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이상섭취가 있는 부위의 1시간 영상과 2시간 지연영상의 SUVmax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18}F$-FDG PET/CT 검사 시 우연히 갑상선에 $^{18}F$-FDG 섭취를 보인 환자 중 갑상선 우연종(Thyroid incidentaloma)이 5명으로 0.63%로 나타났으며 모두 양성병변을 시사하는 소견을 나타냈다. 그리고 우연히 갑상선에 $^{18}F$-FDG섭취가 있는 경우 먼저 갑상선부위의 2시간 지연검사를 통해 $SUV_{max}$의 변화치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양성 혹은 악성여부를 판단하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고 판독의 오류도 줄일 수 있다. 발견된 갑상선 우연종(Thyroid incidentaloma)의 경우 1) 국소부위의 갑상선병변 SUVmax가 5.0 이상이고, 2) $^{18}F$-FDG PET/CT 정상검사(1 hr)와 지연검사(2 hr)의 갑상선병변 $SUV_{max}$차이가 $1.0{\pm}0.5$인 경우 Malignant를 의심하고 조직학적 확진을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추후 PET이나 CT를 이용한 면밀한 영상검사로 추적 관찰하는 것이 병변의 진단을 위한 합리적인 접근방법이라고 생각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degree of malignancy of incident thyroid lesion found in $^{18}F$-FDG PET/CT findings and the usefulness of the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we applicate the Delay Scan Method that differentiate a false positive benign tumor, inflammation and malignancy, as well as make the criteria of SUV.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grade study was conducted of 800 patients who were admitted in E hospital to receive $^{18}F$-FDG PET/CT examination. One patient who was diagnosed as primary thyroid cancer and received $^{18}F$-FDG PET/CT examination was excluded. The number of final patients of this study was 799, the reasons of $^{18}F$-FDG PET/CT examination of these patients were follow-up of old cancer or suspicious tumorous lesion in 696 and disease screening in 103. $^{18}F$-FDG PET/CT image photographing was taken in Biograph-Duo made by SIEMENS, after taking normal $^{18}F$-FDG PET/CT image (1 hr) and then 1 hr later we took the thyroid 1 bed-delayed image for the patients who showed abnormal thyroid $^{18}F$-FDG uptake and above 2.0 SUV for 2 minutes every 1 bed. For the patients who showed abnormal thyroid uptake and above 2.0 SUV, 1 hr later, we took a 1 bed-delayed image and then mad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measured $SUV_{max}$ of 1 hr-abnormal uptake image and that of 2 hr-delayed image. Results and Conclusion: In this $^{18}F$-FDG PET/CT study among the patients who showed incidental $^{18}F$-FDG thyroidal uptake the number of thyroid incidentaloma was 5 (0.63%), all of then showed benign findings. And in the case of incidental $^{18}F$-FDG uptake in thyroid, $SUV_{max}$ variance obtained from 2 hr delayed image can be a indirect criteria in differentiating benign tumor from malignancy and decrease finding error. In the cases found thyroid incidentaloma when 1) $SUV_{max}$ of focal thyroid lesion is above 5.0 and 2) $SUV_{max}$ variance between normal $^{18}F$-FDG PET/CT exam and 2 hr delayed is $1.0{\pm}0.5$, they are suspected as malignancy and confirming biopsy is to be followed. Otherwise, I also think that distinct follow-up PET or CT image study is a reasonable diagnostic method.

      • SCOPUSKCI등재

        갑상선유두암 재발 진단에서 18F-FDG PET/CT와 경부초음파검사 병용의 유용성: PET, 경부초음파검사 그리고 혈청 티로글로불린 (thyroglobulin)의 비교

        김근호 ( Kun Ho Kim ),송민호 ( Min Ho Shong ),서영덕 ( Young Duk Seo ),김성민 ( Seong Min Kim ) 대한핵의학회 2009 핵의학 분자영상 Vol.43 No.5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갑상선유두암 환자를 대상으로 재발의 진단에서 18F-FDG PET/CT와 경부초음파검사를 함께 시행하는 것에 대한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2월부터 2008년 4월까지 갑상선유두암으로 갑상선 전절제술 및 고용량의 방사성옥소 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중에서 재발이 의심되어 18F-FDG PET/CT를 시행한 61명(91건)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의심되는 병소는 조직검사를 시행하였고, 조직 검사결과와 PET 검사결과, PET/CT 검사결과, 경부초음파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18F-FDG PET/CT (여자 57명, 남자 4명; 연령 범위, 24-81세, 평균 49세; 유두암 61개)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각각 환자 기준으로 87.2%, 59.0%, 77.0%였고, 병소 기준으로 92.3%, 64.1%, 80.2% 였다. 18F-FDG PET의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각각 환자 기준으로 71.8% (p=0.03), 59.0% (p=1.00), 67.2% (p=0.03)였고, 병소 기준으로 78.8% (p=0.01), 64.1% (p=1.00), 72.5% (p=0.02)였다. 경부초음파검사의 경우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각각 환자 기준으로 71.1% (p=0.07), 52.2% (p=0.75), 63.9% (p=0.08)였고, 병소 기준으로 71.2% (p<0.01), 61.5% (p=1.00), 67.0% (p=0.06)였다. 18F-FDG PET/CT와 경부초음파검사를 함께 판독한 경우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각각 환자 기준으로 94.7% (p=0.50), 82.6% (p=0.13), 90.2% (p=0.03)였고, 병소 기준으로 96.2% (p=0.50), 89.7% (p<0.01), 93.4% (p<0.01)였다. 결론: 18F-FDG PET/CT는 갑상선유두암의 재발 진단에서 18F-FDG PET와 경부초음파검사와 비교하여 높은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를 보였다. 게다가 18F-FDG PET와 경부 초음파를 함께 시행한 경우 갑상선유두암의 재발 진단에 있어서 더욱 향상된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를 보였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18F-FDG PET/CT with neck ultrasonography (neck US) in patients with recurrent, papillary thyroid cancer. Material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December 2006 to April 2008) enrolled sixty-one patients (ninety-one lesions) who underwent high-dose 131I-ablation therapy after total thyroidectomy, and evaluated recurred papillary thyroid cancer. All lesions were confirmed by histopathology and compared histopathologic findings to PET, PET/CT, and neck US findings. Results: In sixty-one patients (57 women, 4 men; age range, 24-81 years, mean 49 years; 61 papillary carcinomas),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ccuracy of 18F-FDG PET/CT was 87.2%, 64.0%, 78.1% on a patient basis and 92.3%, 66.7%, 80.9% on a lesion basis, respectively.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ccuracy of 18F-FDG PET was 71.8% (p=0.03), 59.0% (p=1.00), 67.2% (p=0.03) on a patient basis and 78.8% (p<0.01), 64.1% (p=1.00), 72.5% (p=0.02) on a lesion basis, respectively.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ccuracy of neck US was 71.1% (p=0.07), 52.2% (p=0.75), 63.9% (p=0.05) on a patient basis and 71.2% (p<0.01), 61.5% (p=1.00), 67.0% (p=0.06) on a lesion basis, respectively. Combined 18F-FDG PET/CT with neck US improved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ccuracy to 94.7% (p=0.50), 82.6% (p=0.13), 90.2% (p=0.03) on a patient basis and 96.2% (p=0.50), 89.7% (p<0.01), 93.4% (p<0.01) on a lesion basis, respectively. Conclusion: 18F-FDG PET/CT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sensitivity than neck US for the detection of recurred papillary thyroid cancer lesions. Furthermore, combined 18F-FDG PET/CT with neck US showed more improved sensitivity, specificity, accuracy for diagnosis of recurrent papillary thyroid cancer. (Nucl Med Mol Imaging 2009;43(5):411-4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