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ueraria lobata가 에탄올 급여 흰쥐의 에탄올 대사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김한수,손홍주,김용균 密陽産業大學校 農業技術開發硏究所 1999 農業技術開發硏究所報 Vol.3 No.2

        갈근 추출물이 에탄올을 급여한 흰쥐한 에탄올 대사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갈근 추출물을 제한없이 주면서 사육하여 얻은 결과 ADH의 활성은 에탄올 급여군들에서 증가하였고, ALDH의 활성도 각 군간이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에탄올 급여군들에서 증가경향을 보였다. Cytochrome P-450함량은 에탄올 단독 급여군에서만 증가를 보였고, XO의 활성은 에탄올 급여군들이 대조군보다 높은 나타났다. 간 조직 중의 glutathion 함량은 각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에탄올 단독 급여군이 감소경향을 보였고, 과산화지질 함량은 에탄올 단독 급여군이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고, 에탄올-갈근 급여군은 에탄올군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ALT, AST의 활성은 에탄올 단독 급여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에탄올-갈근 급여군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하게 나타나 에탄올 단독 급여군보다 유의성있게 감소되었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갈근 추출물의 급여로 지질과산화의 억제와 간기능 보호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ueraria lobata extract water on the ethanol metabolism enzyme activities in ethanol administered in rats. ADH activity was increased in ethanol groups. ALDH activity was not difference of every kind groups but, ethanol groups were increased. Cytochrome P-450 content was increased in ethanol single group. XO activity was a higher in ethanol groups than control group. The liver tissue in glutathion content was not difference to every kind groups byt, it was decreased in ethanol single groups. Lipid peroxidation activity was most higher in ethanol single group, ethanol-Pueraria lobata group was decreased in ethanol group. ALT, AST activity were higher in ethanol single group, ethanol-Pueraria lobata group was similar in control group and decreased in than ethanol single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ueraria lobata extract water supplies expected to the ethanol metabolism enzyme activities.

      • Pueraria lobata 추출물이 에탄올 급여 흰쉬의 혈청 및 간장의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김한수,김근기,김용균 密陽産業大學校 農業技術開發硏究所 1999 農業技術開發硏究所報 Vol.3 No.2

        갈근 추출물이 에탄올을 투여한 흰쥐의 혈청 및 간장의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갈근 추출물을 제한없이 주면서 사육하여 얻은 결과, 체중 증가량은 에탄올 단독 급여군이 에탄올-갈근 급여군보다 증가하였고, 식이 섭취량은 갈근 급여군들이 대조군보다 감소하였다. 식이효율은 각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간의 무게는 갈근 급여군들이 대조군보다 증가하였고, 신장무게는 실험군들 모두 증가를 보였다. 심장무게는 실험군들에서 감소하였으며, 비장무게는 갈근 단독 급여군에서 증가하였고, 에탄올-갈근 급여군도 에탄올 단독 급여군에 비해 중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EFP는 에탄올 단독 급여군에서 증가하였다. Hematocrit Value는 에탄올 단독 급여군에서 가장 감소하였고, 에탄올 -갈근 급여군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청 중의 총 지질과 중성 지질 함량은 에탄올 단독 급여군에서 가장 높은 증가를 보였고, 총 콜레스테롤 함량도 증가경향을 나타낸 반면, 에탄올-갈근 급여군은 에탄올 단독 급여군에 비해 혈청 지질 함량이 감소하였다. 간 조직 중의 총 지질과 중성 함량은 갈근 단독 급여군이 가장 낮았고, 에탄올-단독 급여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에탄올-갈근 급여군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갈근 추출물의 급여로 혈청 및 간장의 지질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ueraria lobata extract water on the lipid contents of serum and liver in ethanol administered in rats. The rats were fed on Pueraria lobata extract without limit and were bred. Weight gain was increased in ethanol single group than ethanol- Pueraria lobata group. Feed intake was decreased in Pueraria lobata groups than control group. A dietary efficiency was not difference of every kind groups. The liver weight was increased in Pueraria lobata groups than control group. The kidneys was increased in experiment group. The heart weight was decreased in experiment groups. The spleen weight was increased in Pueraria lobata single group. Ethanol- Pueraria lobata groups was increased in compare with ethanol single group. EEP was increase in ethanol single group. Hematocrit Value was most decreased in ethanol single group. Ethanol- Pueraria lobata groups was increased. Serum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content were higher increased in ethanol single group, total cholesterol content was increased but, ethanol- Pueraria lobata groups was decreased in serum lipid content than ethanol single group. Liver tissue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content were most lower in Pueraria lobata group and its were increased in ethanol single group but, decreased in ethanol-Pueraria lobata group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ueraria lobata extract water supplies expected to the lipid contents of serum and liver functional protection effect.

      • KCI등재후보

        Role of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6 (Stat6) in Alcohol-induced Brain Damage

        Hae Jeong Park,Jong Woo Kim,Ah Rang Cho,Jin Kyung Park,Won Sub Kang,Doh Joon Yoon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3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6 (Stat6)는 세포의 분화, 성장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또한 다양한 조직과 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Stat6 knockout (KO) 생쥐를 이용하여 에탄올 처치에 대한 뇌에서의 Stat6의 역할을 알아보았다. 에탄올은 BALB/c wild type (WT) 생쥐와 Stat6 KO 생쥐에 20% 에탄올로서(2 g/kg) 복강 내 주입으로 처치하였다. 에탄올 처치 후, WT과 Stat6 KO 생쥐의 뇌를 적출하고, 7.4 K 마우스 cDNA microarray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WT 생쥐와 Stat6 KO 생쥐에 대해 각각 에탄올을 처치한 군과 에탄올을 처치하지 않은 군 사이에 유전자 발현 양상을 비교하였다. 우리는 WT 생쥐의 뇌에서, 세포 성장관련 전사인자의 유전자 발현이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에탄올은 SRY-box containing gene 4 (Sox4)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hairy and enhancer of split 5 (Hes5)의 발현은 감소시켰다. Stat6 KO 생쥐의 뇌에서는 세포사멸과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이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에탄올은 아폽토시스 유전자인 caspase 7 (Casp7), inositol polyphosphate-5-phosphatase D (Inpp5d)와 세포 주기 조절 유전자인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1C (P57) (Cdkn1c)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반면, 항아폽토시스 유전자인 myelocytomatosis oncogene (Myc)의 발현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에탄올이 뇌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Stat6의 결손은 아폽토시스 유발 기전을 통해 에탄올에 의한 뇌 손상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로 Stat6가 아마도 에탄올에 의한 뇌 손상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6 (Stat6) modified cell differentiation and growth, and induced the resistance to apoptosis in various tissues and cells.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role of Stat6 on acute ethanol-induced intoxication in mouse brain using Stat6 knockout (KO) mouse. The acute ethanol intoxication was induced by an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20% ethanol (2 g/kg) in BALB/c wild type (WT), and Stat6 KO mice. After collecting the brains of WT and KO mice, we performed 7.4 K mouse cDNA microarray analysis. The expression profiles were compared between non-treated and ethanol-treated groups for WT and Stat6 KO mice respectively. In the brains of WT mice, the changes of the expressions of transcription factor genes related with cell proliferation were shown. The ethanol increased the level of SRY-box containing gene 4 (Sox4), and decreased the level of hairy and enhancer of split 5 (Hes5). In the brains of Stat6 KO mice, the acute ethanol altered the expressions of cell death-related genes. Particularly, the acute ethanol upregulated the expressions of apoptotic genes such as caspase 7 (Casp7) and inositol polyphosphate-5-phosphatase D (Inpp5d), and of cell cycle regulatory factor gene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1C (P57) (Cdkn1c). In contrast, it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the anti-apoptotic gene myelocytomatosis oncogene (Myc).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cute ethanol treatment induced the brain damage, and the deficiency of Stat6 elevated this brain damage via apoptotic pathway. Our study suggests that Stat6 may play a crucial role in ethanol-induced brain damage. (Korean J Str Res 2010;18:245∼253)

      • KCI등재

        과일폐기물을 이용한 DEFC용 바이오에탄올 제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이남진,김현수,차인수,최정식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2011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논문집 Vol.22 No.2

        This study discribes performance of DEFC (Direct Ethanol Fuel Cell) utilized bio-ethanol based on fruit wastes. To produce the bio-ethanol, fruit wastes were treated at temperature 120℃ and 90minutes in acid pre-treatment. After pre-treatment was done, alcohol fermentation process was running. Initial alcohol concentration was 5%. Using the multi coloumn distillation system, more than 95% ethanol was distilled and each component of bio-ethanol was analyzed. In DEFC performance test, it was revealed that cell performance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ethanol. Comparing ethanol with mixed fuel (bio-ethanol (10%)+ ethanol (90%)), the performance of ethanol was higher than that of mixed fuel. Even though the bio-ethanol from the fruit wastes is corresponded with transport ethanol standards, it thought that organic matter in bio-ethanol could be negative effect on fuel cell.

      • Pueraria lobata 추출물이 에탄올 급여 흰쥐의 항산화계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김한수,손홍주,김용균 密陽産業大學校 農業技術開發硏究所 1999 農業技術開發硏究所報 Vol.3 No.2

        갈근 추출물이 에탄올을 급여한 흰쥐의 항산화 효소계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갈근 추출물을 제한없이 주면서 사육하여 얻은 결과, SOD의 활성은 에탄올 단독 급여군이 가장 증가하였고, 에탄올-갈근 급여군은 에탄올 단독 급여군보다 낮게 나타났다. Catalase의 활성은 에탄올 단독 급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으며, 에탄올-갈근 급여군에서 에탄올 단독 급여군에 비해 감소경향을 보였다. GSH-Px, GST의 활성은 각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갈근 추출물물의 급여로 지질과산화의 억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ueraria lobata extract water on the antioxidation enzyme activities in ethanol administered in rats. SOD activity was most increased in ethanol single group. Ethanol-Pueraria lobata group was a lower in ethanol single group. Catalase activity was increased in ethanol single group than control group, Ethanol-Pueraria lobata group was decreased in ethanol single group. GSH-Px, GST activity were not different to every kind group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ueraria lobata extract water supplies expected to the control of lipid peroxidation.

      • KCI등재

        임목폐기물의 산 가수분해 후 중화제에 따른 에탄올 제조 비교 분석

        조중식 ( Jung-sik Cho ),김광렬 ( Kwang-yul Kim ),주붕비 ( Zhu Pengfei ),조병렬 ( Byung-yeol Cho ),연익준 ( Ik-jun Yeon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5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6 No.6

        임목폐기물을 이용하여 바이오 에탄올과 같은 고부가 가치 에너지 회수를 위해서는 산 가수분해 후 발효 효모를 접종하기 전에 산 가수분해로 생성된 당화액 중의 잔류 산에 대한 중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임목폐기물의 산 가수분해 후 중화제에 따른 에탄올 생산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중화제로 KOH보다는 Ca(OH)<sub>2</sub>가 우수하며 S. cerevisiae와 Y. stipitis의 에탄올 전환반응 특성을 종합하여 볼 때 에탄올 생산성은 Y. stipitis보다 S. cerevisiae가 더 우수한 것으로 보여 임목 폐기물을 이용한 에탄올 제조 시 중화제로 Ca(OH)<sub>2</sub>와 S. cerevisiae가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혼합활엽수)보다 B(혼합침엽수)의 에탄올 농도가 높았으며, 이 결과 침엽수가 에탄올 생산에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neutralization of the residual-acid in wood hydrolyzate produced by the acid- hydrolyzed is required, after the acid-hydrolyzed and before the injection of the yeast fermentation, for high-value energy recovery, such as bio-ethanol using of forest tree waste. In this study, productivity of ethanol by each different neutralizer after the acid- hydrolyzed was compared. As a result, Ca(OH)<sub>2</sub> is better than KOH in the performation of neutralizer. And S. cerevisiae is better than Y. stipitis in the productivity of ethanol from the ethanol conversion characteristics. From the result, as neutralizer, Ca(OH)<sub>2</sub> and S. cerevisiae was effective in ethanol production using the forest waste. Also, the ethanol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A(mixed-broadleaf tree) and B(mixed-needleleaf tree). thus needleleaf is determined to be more suitable for ethanol production.

      • KCI등재

        인디고페라를 이용한 염색 시 조건에 따른 직물의 염색성에 관한 연구

        박정례,차영순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3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2 No.1

        쪽은 일년생 식물로 천연염료 중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염료로 쪽 풀이라고도 불리며 청색을 얻을 수 있는 대표적인 식물염료이다. 인디고 식물이란 인디고(indigo)라는 성분을 얻을 수 있는 식물을 말한다. 인디고 색소를 갖는 식물들의 잎은 녹색으로 인디칸(indican; C14H17O6N∙3H2O) 이라는 물질이 식물체 내의 무색의 수용성 물질로서 물로 추출하면 인독실(indoxyl; C8H7ON)이 되고, 이것이 산화되어 푸른색의 불용성 인디고(indigo=indigotin; C16H10O2N2) 및 인디루빈(indirubin, C16H10O2N2 indigo의 이성체) 성분을 생성한 다. 인디고 식물은 세계 각지에 22과 100종류 이상이 있다. 그 중에 우리나라에서 쉽게 재배할 수 있는 것들은 쪽, 대청(Isatis tinctoria), 인디고페라틴토리아(Indigofera tinctoria)등이다. 인디고는 물에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알칼리 액에서 환원을 해서 염색을 해야 한다. 이 러한 알칼리성 조건은 면, 마 등의 식물성 섬유에는 문제가 없지만 견, 모 등의 동물성 섬 유에는 손상을 입히는 단점이 있다. 염액을 알칼리 상태로 만들어 염색하는 인디고 염색 은 특히 견직물 등의 동물성 섬유의 는 중화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탈색과 변색 등의 견뢰 도 저하뿐만 아니라 섬유의 취화현상 등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동물성 섬유를 염색하기 위해서는 중성이나 약산성을 유지해야하지만 인디고 염료는 중성이나 산성에서는 물에 잘 용해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인디고염료의 용해도를 높이면서도 중성이나 약 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첨가제 등이 요구된다. 에탄올을 인디고 염액에 첨가제로 사용하 면 염액을 중성으로 유지하면서도 인디고 색소의 용해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인디고의 에탄올 첨가에 대한 유래별 및 직물별 적정 첨가량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연구의 목적은 인디고페라 색소 분말을 이용한 염색 시 인디고 색소의 가용력을 높이 고 염색 후 직물의 중화처리를 최소화하면서도 섬유의 견뢰도 향상을 위해 NaOH와 같 은 알칼리성 물질 대신 염액의 중성을 유지하면서 색소의 용해도를 높일 수 있는 첨가제 인 에탄올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NaOH 대신 에탄올 사용 시 에탄올의 첨가량에 따 라 염색성이 달라지므로 첨가량에 따른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에탄올의 첨가량은 0%, 10%, 20%, 30%, 40% 로 구분하여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염 액의 pH는 7.5, 12.0 으로 각각 조정하였다. 염색 온도는 25℃, 35℃, 50℃ 에서 각각 실시하였으며, 염색 시간은 5분간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견직은 염액의 pH7.5를 조정 후 염색했을 때는 색상은 PB계열의 색상을 나 타냈으며 염색성은 50℃에서 에탄올을 10% 및 20% 첨가했을 때 염색성이 우수했다. pH12.0에서 염색시색상은 B계열을 나타냈다. 염착량을 나타내는 K/S값을 살펴보면 온 도에 상관없이 에탄올 함유량이 30%일 때, 최대 염착률을 보였다. 그 이상의 첨가에서는 수치가 낮아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세탁견뢰도에서는 염색한 견직물의 오염은 모두 4-5급으로 높았으나 변퇴색과 일광 견뢰도는 2-3급 이하를 나타냈다. Indigo, which is an annual knotgrass, is one of the natural dyes used for the longest time. In Korea, it is also called Jjok-pool, and a common dye plant which is possible to get blue color. Indigo plants are the plants which are possible to extract the ingredient, which is called Indigo. All the indigo plants have green color and their leaves are containing the compound, which is Indican (C14H17O6N∙3H2O). Indican is one of glycosides in plant, which is colorless and water soluble. Therefore, it becomes indoxyl (C8H7ON)by natural hydrolysis with water extracting. This becomes indigo(or indigotin;C16H10O2N2), which is blue in soluble, or indirubin (C16H10O2N2,an isomer of indigo) by oxidation. As a result, plants which can use indican (indoxyl-3-β -glucoside) to make indigo pigment in its leaves are Indigo plants. Indigos are found more than 23 families and 100 species. To use those indigo plants for dye, it has to contain many amount of indigo pigment, so the actual indigo plants that are using are 7 species and thier subspecies. Among those, Polygonum tinctorium Lour, Isatis ti As dye, it requires doing reduction in alkali solution for dyeing because Indigo is not solved in water. Alkali solution does not occur for cotton, linen, and other vegetable fabric, but silk, wool, and other animal fabric are damaged by the solution. The most natural dyeing are used drying and finish after washing. However, the fabric which is dyed with indigo dye in alkali solution must be used after neutralization. Especially, the fastness of color, include bleaching and discoloration, or brominating of fabric are occurred on animal fabric when it did not be naturalized. Therefore, to dye animal fabric keep the solution as neutral or slightly acid, but indigo dye does not dissolve well in neutral or slightly acid solution. As a result, it requires addition agents which increases solubility of indigo dye and keeps neutral or slightly acid solution. Adding ethanol as an addition agent keeps the solution as neutral and helps to increase solubility, but it have not researched much in the past that Purpose of this research is; increase solubility of indigo by using indigofera’s pigment powder; test replacing NaOH or other alkaline to ethanol, which maintains dyeing solution neutral and increase pigment solubility, to minimize neutralizaion of fabric and increasing fastness property after dying process. Resolute of dyeing property do change depend on amount of ethanol, which replaces NaOH. Setting for the experiment are followed; staining time is 5minute; 0%, 10%, 20%, 30%, 40% of ethanol added per experiment; 7.5, 12.0 for pH; and 25℃, 35℃, 50℃ degree for solution temperature. From resolute, silk shows PB affiliated colors show when solution’s pH is set to 7.5. Best stainability setting for silk is when solution is 50℃ degree in temperature and 10 ∼ 20% ethanol added. B affiliated color is shown when pH is 12.0. Value of K/S, indicating degree of exhaustion, is high when ethanol is 30%, not influenced by solution’s temperature. Value decreases when more ethanol is added. Contamination was high for silk, where all test shows 4-5 degree for Color fastness to washing. Change in color and color fastness to light were 2-3 degree or lower.

      • 사춘기 수컷 생쥐에서 에탄올 투여에 의한 지방간 형성 및 조직변화

        최유진,황혜성,박주현,모윤정,최하야나,조현욱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4 과학영재교육 Vol.6 No.1

        Effects of ethanol were investigated in the liver, kidney and testis histology of male mouse during puberty. The male mouse on early puberty was treated with 25% ethanol (2g/kg) twice a week for 4 weeks. Four weeks after first ethanol treatment, mice were anesthetized with sodium pentobarbital, weighed and perfused intracardially with 4% glutaraldehyde. Body and organs weight of control and treated groups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however, the weight of treated group showed decreasing patter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Lipid vesicle size in the cytoplasm of hepatocyte was increased in liver of ethanol treated group. Glomerular diameter in cortex of kidney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between control and treated groups. Proximal convoluted tubular diameter of kidne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reated group. In testis, seminiferous tubular diameter was similar in control and treated groups. In conclusion, ethanol treatment induced fatty liver that increased lipid vesicle size in the hepatocyte during puberty mouse. Other organ including kidney showed the dilation of convoluted tubular diameter in histologically. 사춘기 때 각 장기에 미치는 에탄올의 영향을 알기 위해 생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사춘기 시기의 수컷 생쥐에 에탄올을 1주 2회씩, 총 4주 동안 8회 투여 하였다. 그 결과 몸무게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조군에 비해 에탄올 투여군에서 간의 무게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간세포 내 지방방울의 크기가 증가되었다. 그리고 간조직 내 모세혈관인 굴모양혈관(sinusoid)이 잘 관찰되지 않았다. 콩팥에서도에탄올 투여군의 무게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군과 에탄올 투여군의 콩팥의 사구체 직경에는 유의한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근위세뇨관의 직경은 에탄올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정소의 경우 무게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또한 대조군과 에탄올 투여군의 세정관 직경에도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사춘기 시기의 생쥐에 에탄올을 투여 할 경우 지방간이 형성되었으며, 정소의 세정관이나 콩팥의 사구체 등은 에탄올에 의해큰 변화가 유발되지 않았다.

      • KCI등재

        흰쥐에게 Ethanol과 Xylene 병행 투여시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

        윤인숙(In-Sook Yoon),이혜자(Hye-Ja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7

        흰쥐에게 ethanol과 xylene을 투여시 간손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정상적인 S-D계 수컷 흰쥐를 4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생화학적 검사 결과에서 혈청 AST, ALT, LDH활성은 대조군보다 ethanol 투여군, xylene투여군, ethanol+xylene투여군으로 갈수록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그 증가율은 ethanol+xylene투여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화적 손상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혈청 MDA함량은 대조군보다 ethanol투여군과 xylene투여군 그리고 ethanol+xylene투여군으로 갈수록 활성이 증가되었으며, 그 증가율은 ethanol+xylene투여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혈청 ALP는 대조군에 비해 모두 감소하였다. Xylene의 투여시 최종대사산물인 요 중 m-methylhippuric acid는 대조군에 비해 xylene투여군과 ethanol+xylene투여군에서 증가되었으며, 그 증가율은 xylene투여군이 ethanol+xylene투여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간 조직검사에서는 xylene투여군은 지방변화를, ethanol+xylene 투여군은 경도~중등도의 괴사와 염증을 보였다. 이상의 혈청학적 검사와 조직학적 검사결과 xylene 단독 투여에 비하여 ethanol과 xylene을 병행 투여했을 때 간손상이 더 크게 초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To evaluate an effect of liver damage on ethanol and xylene exposure, experiments on normal male rats of the S-D strain were performed in 4 groups. The biochemical results suggest that the ethano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AST, ALT, LDH and also, the xylene group had notably higher levels of AST, ALT, LDH along with MMHPA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s. The levels of AST, ALT and LDH in the ethanol+xylene group were drastical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ethanol and xylene groups. But, there were significantly lower ALP levels in the xylene and ethanol+xylene groups than both the control and ethanol groups. The histological features of rat livers treated with alcohol, or xylene proved to be normal. But the rat livers treated with ethanol+xylene showed mild to moderate necrosis and inflammation as well as minimal fatty changes. The results in this experiment suggest that liver functions decreased when medicated together with xylene and ethanol rather than solely with xylene.

      • KCI등재

        소석회와 에탄올 혼합물의 닭진드기에 대한 살비 효과

        홍의철(Euichul Hong),박기태(Ki-Tae Park),강보석(Bo-Seok Kang),강환구(Hwan-Ku Kang),전진주(Jin-Joo Jeon),김현수(Hyun-Soo Kim),손지선(Jiseon Son),김찬호(Chan-Ho Kim) 한국가금학회 2020 韓國家禽學會誌 Vol.47 No.1

        본 연구는 닭진드기에 대한 소석회와 에탄올의 살비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세 가지 시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시험 처리구는 소석회 무처리를 대조구로 하고, 소석회 10%와 20% 수용액을 각각의 처리구로 하였다. 두 번째 시험 처리구는 총 8처리구로 에탄올을 30%, 40%, 50%, 60%, 70%, 80%, 90%, 100%로 희석하여 각각의 처리구로 하였다. 세번째 시험 처리구는 소석회 2수준(10%, 20%)와 에탄올 3수준(30%, 40%, 50%)을 혼합하여 2 × 3의 총 6처리구로 하였다. 모든 처리구는 처리구당 3반복씩 시험을 수행하였다. 첫번째 시험에서는 10%와 20% 소석회 수용액 처리 시 닭진드기의 살비율은 각각 74.0%와 92.3%로 나타났으며(P<0.05). 대조구의 살비율은 0%로 나타났다. 두 번째 시험에서는 30% 에탄올 희석액에서 1.67%로 가장 낮았고, 40% 희석액에서 8.33%, 50% 희석액에서 7.47%로 차이가 없었으며, 60%와 70% 희석액은 각각 42.4%와 84.7%로 나타났고, 80% 이상의 희석액에서는 100%의 살비율이 관찰되었다(P<0.05). 세 번째 시험에서는 소석회+에탄올 혼합물에 의한 닭진드기의 살비 효과는 모든 처리구에서 100%로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경제성 및 안전성을 고려하여 10% 소석회 수용액과 30% 에탄올의 혼합물이 닭진드기 방제 후보 물질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laked lime and ethanol on poultry red mites (PRM) in the coops of laying hen.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his effect. The first used untreated hydrated lime as a control and 10% and 20% aqueous solutions of hydrated lime were used as treatments. The second experiment used 30%, 40%, 50%, 60%, 70%, 80%, 90%, and 100% ethanol solutions as treatments. The third experiment used hydrated lime in two distinct concentrations (10% and 20%) and 30%, 40%, and 50% ethanol solutions mixed to yield a total of 6 (2 × 3) treatments. All treatments were tested three times each. In the first experiment, the PRM killing rates were 74.0% and 92.3% when treated with 10% and 20% hydrated lime solutions, respectively. The acaricidal activity of the control sample was 0%.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lowest value was 1.67% for the 30% ethanol solution, 8.33% for the 40% solution, and 7.47% for the 50% solution. The acaricidal activities of the 60% and 70% solutions were 42.4% and 84.7%, respectively. A 100% acaricidal activity was observed in dilutions above 80% (P<0.05). In the third experiment, the PRM killing effect of the hydrated lime + ethanol mixture was 100% in all treatments. In conclusion, afte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economical and safety factors, a mixture of 10% hydrated lime solution and 30% ethanol is considered to be a suitable candidate for controlling P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