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The Reinterpretation of Emotional Factors in Durkheim's Theory of Crime:Some Criminolog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최관 한국법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법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ttempt a role do emotional factor play in Durkheim's theory of crime. This paper would briefly highlighted Durkheim’s view that crime is a ‘Normal’ part of any human society, before going on to discuss the role of the emotional factors in his theory. In addition to fear, anger, and other basic human emotions, the feeling of belonging on social solidarity would also be interpreted as an ‘Emotional Factor’ for the purposes of this paper. The first part was Durkheim’s theory of crime and Merton’s view on anomie, here Durkheim defined crime or view it as normal rather than pathological phenomenon. The second part was role of emotional factor in society and also social solidarity which Durkheim used to demonstrate the role of emotional factor in society and these two social solidarity, Mechanical and Organic Solidarity. In conclusion part, it could be argued that Durkheim believe that a normal crime is a crime that was not excessive and the role emotional factor play in a society is to generate and maintain a society, also the division of labour in society of the forms of solidarity. According to Durkheim in his emotion, that which holds a society together, the glue of solidarity is emotion.

      • KCI등재

        국가에 대항하는 가족: 세월호 연대의 감정동학과 루트 패러다임

        김명희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7 탐라문화 Vol.0 No.56

        This study examined the emotional dynamics of Sewol-Ferry solidarity, which has echoed the historic events of 5.18 since the accident in 2014, based on the concept of bereaved family mourning and root paradigm. Specifically, this paper focused on three types of emotional dynamics revealed through Sewol-Ferry solidarity: the first is the emotional dynamics of resentfulness and realization expressed as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May 18th Movement, shared their experiences with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April 16th Sewol-Ferry accident; the second is the emotional dynamics of regret and repentance created by linking generations contemporarily and referring to each other; and the third is the venue of sympathy, expanded by linking regions through a regional network of remembrance. Each of these emotional dynamics reveals a new phase of solidarity in which bereaved families and citizens are creating a time for historical reflection, overcoming the hardships of life intertwined with state violence. This paper intends to facilitate such solidarity from the perspective of emotional foundations and cultural dynamics of social movements. 이 연구는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5・18과 4・16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소통하고 있는 세월호 연대의 감정동학을 유족의 상(喪)의 과정과 루트 패러다임(root paradigm)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이 글은 세월호 연대의 작동방식에서 드러나는 세 가지 감정동학에 주목했다. 첫째, 5・18 유가족과 4・16 유가족의 상호응시 과정에서 발현된 원통과 깨달음의 감정동학, 둘째, 세대와 세대를 동시대적으로 엮어내고 서로를 참조하여 생성되고 있는 후회와 뉘우침의 감정동학, 셋째, 추모의 지역네트워크를 통해 지역과 지역을 연결하며 확대되고 있는 공감장이다. 각각은 유가족과 시민들이 국가폭력에 얽힌 생애사적 고통을 뚫고 역사적 반성의 시간을 만들고 있는 새로운 사회연대의 가능성을 드러내 보여준다. 이 글은 그간 상대적으로 간과되어왔던 사회운동의 감정적 토대와 문화적 동학이라는 관점에서 그 가능성에 구체성을 더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선우휘 소설에 나타난 연대의 성격

        서세림(Seo, Se-Rim) 한국현대소설학회 2017 현대소설연구 Vol.- No.67

        Novels written by a writer Seonu Hwi have been mostly analyzed as ‘anti-communism’ or ‘action humanism.’ This perception has been broadly accepted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since the 1950s, and few attempts have been made to deviate from this viewpoint. Seonu Hwi received Dongin Literary Award for his novel 「Bulggot(Flame)」 published in 1957, and instantly became a popular writer and a key figure in literature in the post-war era. A more diversified analysis of his novels would help to overcome simplistic understanding of the post-war literature.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foundations of Seonu Hwi’s ethics that oscillated between individualism and communalism as shown in earlier discussions over his work. In particular, the focus was put on ‘solidarity.’ His writings revealed peculiarity of a divided country and his personal pain as a defector from North Korea, and as such, they express a unique sense of solidarity. This article examines how people’s self-awareness as a defector from North Korea formed unique sense of solidarity in South Korea, and analyzes specific types of such solidarity. First, the pursuit of emotional solidarity through strong familism and its relationship with ideology is examined. Seonu Hwi expressed concerns over a relationship between family affection and anti-communism in his own way. Additionally, it is examined how the writer’s lifelong emphasis on regionalism, self-awareness as someone from Northwestern part of the peninsula, and consequent sense of solidarity affected his writing. For the writer, regionalism had as much influence as anti-communism on his work. Here what is important is how the writer perceived the operating mechanism of regionalism and the chasm in the actual outcomes of living in South Korea. It is described as a sad pursuit of spots where regionalism-based solidarity cracks through the medium of capital. This article elucidates nature of solidarity shown in Seonu Hwi’s writings and its relationship to the writer’s ethics, and based on this, attempts to show differences with other post-war writers. The objective is to explore a possibility of an analysis over Seonu Hwi’s writing, beyond the prevalent dichotomous thinking, for whom both positive and negative criticisms have been extreme compared to other writers, over the writer’s anti-communism and humanism.

      • KCI등재

        남북의 정서적 연대와 통일문화콘텐츠 개발방향

        김기덕(Kim, Ki Duk),김승(Kim, Seung)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통일인문학 Vol.77 No.-

        이 글은 남북의 정서적 연대를 통한 통일문화콘텐츠 개발방향에 대하여 천착해 본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남북의 정서적 연대와 통일문화콘텐츠가 갖는 의미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문명사적 차원에서 공동체와 개인의 주체성의 합일이라는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가치관을 담은 통일문화콘텐츠 구현은 실로 전세계에 새로운 가치관을 제시해주는 것이라는 점을 밝혔다. 문화콘텐츠의 범주는 대단히 넓으며, 그 실현방법도 한반도 정세의 변화에 따라 대단히 차이가 많을 것이다. 따라서 본 글에서 검토한 구체적인 통일문화콘텐츠 개발방향 논의는 다음과 같이 한정하였다. 첫째, 남한만의 시도가 아니라 남북한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따라서 남한의 지자체에서 시도할 수 있는 통일관련 콘텐츠 개발 제시나 탈북민을 대상으로 하는 논의는 검토대상에 넣지 않았다. 둘째, 차후 문화콘텐츠산업으로 확장될 수 있는 것을 염두에 두고 고찰하였다. 그 결과 통일교육과 관련된 것은 연구대상으로 삼지 않았다. 셋째, 불확실한 통일시대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 현단계에서 현실적으로 실현가능한 개발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단계 통일문화콘텐츠 개발 방향을 3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문화콘텐츠 개발의 시작이자 가장 중요한 기획과정의 핵심인 창작소재의 문제는 무엇보다 전통문화에서 찾는 것이 좋으며, 이와 관련된 제반 유의사항과 정책을 제안하였다. 둘째, 활용매체로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남북한 문화콘텐츠의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되, 더 나아가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는 AR, VR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남북한이 자유로이 왕래할 수 없는 현실에서는 가장 적합한 기술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셋째, 실행 프로그램은 쌍방향 개발방식으로 진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현단계 통일문화콘텐츠 개발은 산업적 차원에서가 아니라 공감(共感)의 차원에서 전개되어야하기 때문이다. The recent situ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s has been somewhat unstable in the stream of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relations but presents a possibility of expanding traffic and exchange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the future. Naturally, this possibility has the concern of expanding the discord and conflict more in the process of its realization at the same time. In this situation, it is thought that the effort required at the current stage is to get away from total dependence on the political means and consider a possibiliy of forming the true united South and North Korean community from various angles. This is an intention to plan the symposium entitled 〈The Construction of the Integrated Narratives of Koreans and the Formation of the Solidarity-based Community〉.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a direction for construction of the unifed cultural contents through the emotional solidarity of South and North Koreas with this critical mind. First of all, chaper 2 attempted to interpret the meaning inherent in the emotional solidarity of South and North Koreas and unified cultural contents from a perspective of civilizational history. Herefrom was extracted the key word of the unity of identity of the community and the individua. And it made clear that the implementation of unifed cultural contents containing this value view would really present a new value view to the whole world. In the second place, this study described a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unifed cultural contents at the current stage in three respects. First, it proposed that it would be better to find the problem of material for creation, the core of the most important planning process as well as the beginning of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from the traditional culture and mentioned all its related matters and pollcies to be attended to. Second, it proposed the need to make use of diverse media of actively used South and North Korean cultural contents and furthermore of AR and VR currently drawing the most attention. This is the most appropriate technology without free traffic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Third, it proposed that the executive program should be run in a two-way development mode.

      • KCI등재

        장소애착과 정서적 연대와의 관계

        박용순(Park Yong Soon),심원섭(Shim Won Seop) 대한관광경영학회 2017 觀光硏究 Vol.32 No.5

        본 연구는 농촌관광을 위해 특정 농촌마을을 방문한 관광객을 농촌관광 참여기간에 따라서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장소애착과 정서적 연대와의 영향관계에서 집단 간의 차이를 규명하고 있다. 본 연구의 데이터 수집은 총 35일간 농촌마을을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77부를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소애착을 구성하고 있는 4개의 요인 중 장소의존성과 장소정체성은 공히 두 집단에서 정서적 연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장소애정성과 장소사회결합성은 정서적 연대를 구성하고 있는 요인에 집단별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특정 농촌마을을 방문하는 관광객은 농촌마을이 가지고 있는 환경적 및 물리적 특성 등의 기능적 특성 외에 농촌마을 구성원과의 사회적 관계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농촌마을이 가지고 있는 공동체적인 고유한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특정 농촌마을을 방문한 관광객은 해당 마을의 구성원이 자신을 호의적으로 대하더라도 감정적으로는 여전히 지역주민과 동화되지 않는 타자로서의 자신을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농촌관광의 방향설정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eparated into two groups in specific rural community according to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n rural tourism, where this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attachment to emotional solidarity, and also explored the differences of influence among the two groups. A total of 177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urban residents who visited the specific community for 35 days. As a results, Among the four factors of place attachment, place dependency and place identity was not identified influence on emotional solidarity. On the other hand, place affection and place social bond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mponents of emotional solidarity,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e following: Rural community visitors regard social relationships with community members as the most important as well as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due to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in rural communities. The major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confirming that visitors to rural communities perceive themselves as others who do not assimilate with community members emotionally even though members of the community treat themselves positively, and it will be able to provide very useful implications for future direction of community based tourism development in South Korea.

      • KCI등재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위유라 ( Yu Ra Woo ),노충래 ( Choong Rai Nh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4 청소년복지연구 Vol.16 No.2

        청소년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입의 초점으로 공동체의식을 함양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문 편이다. 즉,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을 촉진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동체의식을 함양하는 것은 학교 내에서 대인관계를 확장시키며, 문제행동을 긍정적인 방법으로 해소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우울, 사회적 위축)와 공격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파악하여 청소년의 학교생 활적응에 대한 청소년복지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 책연구원이 실시한「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1」2차 년도 자료에 해당하는 중학교 2학년 청소년 총 2,351명을 대상으로 기술분석과 단순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모형 분석을 활용하여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정적 정서(우울, 사회적 위축)와 공격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 영향을 공동체의식이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원만한 학교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청소년복지적 개입방안, 즉 공동체의식 향상 방안에 대해 논의 및 제언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solidari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ve (aggression) problems and school adjustments among adolescents so as to draw implications for adolescent welfare. That is, sense of community solidarity can be a means to facilitate school adjustment by expand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o positively deal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uthors used the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The 2011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tudy(KCYPS) from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total of 2,351 adolescents in 2nd grade in middle school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Sobel test were used to find out mediating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solidarity.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negative emotional problems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ve behavi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whereas sense of community solidarity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negative emotion and aggressive behaviors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authors discussed ways to enhance sense of community solidarity so as to decrease negative emotion and aggressive behaviors while helping adolescents adjust better in school.

      • KCI등재

        팬데믹 이후 사회에 대한 (여성)문학의 응답 : 젠더, 노동, 네트워크

        김양선 ( Kim¸ Yangsu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1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9 No.1

        이 글은 코로나19로 인해 여성들이 사적, 공적 영역에서 위기에 처한 상황을 감정노동과 돌봄 노동의 영역을 중심으로 개관하고, 최근 여성문학의 경향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사회의 재구조화에 어떤 상상력을 제공할 수 있는지 전망하고자 한다. 먼저 코로나19와 같은 재난 상황은 지금까지 비가시적 존재로 여겨져 왔던 여성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들을 역설적으로 가시화하는 결과를 낳았고, 이 비가시적 존재들에 대한 공동체의 책임이 중요하다는 점을 환기한다고 보았다. 공동체 성원들의 책임과 연대는 최근 여성문학의 주요 주제이기도 하다. 2장에서는 최근 여성서사의 특징을 복수의 주인공들에게 각각 이름을 부여하는 실명제 서사의 귀환이라고 보았다. 이 장에서 논의한 김의경의 『콜센터』와 정세랑의 『피프티 피플』은 실명제 서사이면서, 각 장의 인물-이름들이 서로 연결되는 소위 네트워크 서사 전략을 통해 인물들 간의 연대를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3장 ‘감정노동과 돌봄 노동의 여성사(事/史)’에서는 감정노동과 돌봄 노동의 수행이 여성에게만 전가되는 상황을 소설에서 어떻게 그리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감정노동과 돌봄 노동의 여성화는 엄마와 딸이 대를 이어서 이런 노동들을 전담하거나(황정은, 「하고 싶은 말」), 여성노동자가 웃음마저 연기하면서(황정은, 「복경」) 감정을 관리하는 상황을 통해 드러난다. 또한 이 장에서는 돌봄 노동 전담자가 노인, 로봇, 상품화된 돌봄 제공자와 같은 비가시적 존재라는 점에도 주목했다. (윤이형, 「대니」, 장류진, 「도움의 손길」) 결론적으로 페미니즘 리부트 시대 연대를 상징하는 언어인 ‘With You’는 팬데믹 이후에 대한 상상과 연결된다. 『콜센터』, 『피프티 피플』의 네트워크 서사, 「하고 싶은 말」, 「복경」, 「도움의 손길」의 ‘그녀’들이 성별화된 감정노동, 돌봄 노동의 전담자로서 서로에게 기대어 살아가야 하는 현실은 연결과 연대가 생존을 위한 대안이자 공동체가 지속되기 위한 대안임을 보여준다. 이는 문학의 공공성과도 연결되는 가치이다. This article overviews the women who are in crisis in the private and public areas due to Covid 19, specially focusing on the emotional labor and care labor. And this tries to predict how the recent trend of female literature can provide the positive imagination for the reconstruction of Korean society in the post-Covid era. First, the disaster such as Covid 19 has paradoxically resulted in the visualization of invisible beings, including women and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evokes the importance of community responsibility for these invisible beings. The responsibility and solidarity of community members are also main topics in female literature these days. In Chapter 2, I notice that the return of the real name narrative which gives names to each characters in recent female literature. Kim Eui-kyung’s Call Center and Jeong Se-rang’s Fifty People discussed in this chapter are real name narratives and these effectively express the solidarity between the characters through the so-called network narrative strategy. Chapter 3, "Women’s Story/History of Emotional Labor and Care Labor" analyzed how the novel depicts the situation in which emotional labor and care labor are transferred only to women. The feminization of emotional labor and care labor is revealed through situations in which mothers and daughters continue to take charge of these labors. (Hwang Jeong-eun ‘What I Want to Say’), and female worker performs her laugh and manages her emotions. (Hwang Jung-eun, ‘Bok-Kyeong’). In this chapter, it was also noted that care workers are invisible beings, such as the elderly, AI robot, and commercialized care provider. (Yoon Yi-hyung ‘Danny’, Jang Ryu-jin ‘Hand of Help’) In conclusion, the ‘With You’ which symbolized the solidarity in the era of Feminism Reboot is connected with the imagination and vision about post Pandemic society. The network narrative in Call Center, Fifty People, and the gendered emotional labor and care labor in ‘What I Want to Say’, ‘Bok-Kyeong’, ‘Hand of Help’ show that connection and solidarity are alternatives for the survival and the community. This is also linked to the public character of literature.

      • KCI등재

        포스트휴먼-팬데믹 시대 시의 역할과 윤리 - 감정 교육과 치유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황선희(Hwang, Seon-Hui) 한국근대문학회 2021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2 No.2

        이 논문은 포스트휴먼과 코로나 팬데믹이라는 조건 속에서 시의 역할과 윤리를 살펴보고자 했다. 특히 감정 교육과 치유에 있어서 시가 할 수 있는 몫을 찾는 데에 논문의 목적을 두었다. 곤혹을 성찰의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시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2010년대 중반 이후 발표된 시들을 분석하고 거기에서 연대의 윤리를 재발견하고자 했다. 먼저 인간중심주의에 도전하면서도 여전히 인간적인 것을 성찰해야 하는 현실 속에서, 자신의 감정과 대면하고 ‘옆’을 발견하는 시의 사례를 검토하였다. 안미옥, 안희연의 시적 주체는 ‘마음’이나 ‘슬픔’을 들여다봄으로써 자신뿐 아니라 타자의 감정을 돌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준다. 상실을 바라보고 슬픔을 나누는 데까지 나아간 세월호 관련 시들은 경험의 간극을 메우는 연민의 상상력을 보여 준다. 정다연, 신해욱, 이원, 안미옥의 시는 ‘함께 있음’에서 ‘함께 느낌’으로 나아갈 수 있는 유의미한 사례이다. 다음으로 ‘우리’의 범주를 만들고 확장한 시들을 살핌으로써 감정공동체로 연결되는 ‘느슨한 연대’를 제안했다. 이영주, 안희연의 시는 나와 타자의 경계뿐 아니라 삶과 죽음까지 넘나드는 연대의 방식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느슨한 연대’와 포용의 윤리를 대변한다. 우리는 상실을 중심으로 한 일련의 감정을 나누고 돌보며 연대했던, 시간적으로 가까운 사회적 문학적 경험을 되새김으로써 치유와 연대의 가능성을 새롭게 모색할 필요가 있다. 2010년대 중반 이후 시가 한국 사회의 중요한 전환점이기도 했던 세월호 이후의 상실을 다루는 방식은 포스트휴먼-팬데믹이라는 곤혹 속에서도 시가 지켜야 할 자리가 어떤 것인지를 귀납적으로 보여 준다. 세월호 이후의 우리 시에서 끝끝내 포기하지 않고 새겨 온 상실과 그로부터 파생된 여러 감정의 결, 감정 공동체를 형성하고 연대하려는 시인의 노력 등은 그 자체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시의 역할과 윤리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role and ethics of poetry in the conditions of posthuman and corona pandemic.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find the role that poetry can play in emotional education and healing. In order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poetry that can transform embarrassment into an opportunity for reflection, this paper analyzed poems published since the mid-2010s and tried to rediscover the ethics of solidarity there. First, we reviewed the case of poetry that confronts one"s emotions and discovers the "side" in a reality that challenges anthropocentrism and still has to reflect on the human. The poetic subjects of Mi-ok Ahn and Hee-yeon Ahn show the possibility of taking care of the emotions of others as well as themselves by looking into ‘heart’ or ‘sadness’. The poems related to the Sewol ferry, which went on to look at the loss and share the sorrow, show the imagination of compassion that bridges the gap between experiences. The poems of Da-yeon Jeong, Hae-wook Shin, Won Lee, and Mi-ok Ahn are a meaningful example of moving from ‘being together’ to ‘feeling together’. Next, I proposed a ‘loose solidarity’ that connects to the emotional community by creating a category of ‘we’ and examining the expanded poems. The poems of Young-Joo Lee and Hee-Yeon Ahn represent the ethics of "loose solidarity" and inclusion in that they show a way of solidarity that crosses not only the boundaries between me and the other, but also life and death. We ne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healing and solidarity anew by reflecting on the social and literary experiences we shared, cared for, and solidified with a series of emotions centered on loss. The way poetry dealt with the loss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which was also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Korean society since the mid-2010s, inductively shows what kind of place poetry should defend in the midst of the post-human-pandemic crisis. The loss that has been engraved in our poetry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the texture of various emotions derived from it, and the poet"s efforts to form an emotional community and solidarity are in themselves the role and ethics of poetry t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 KCI등재

        관광경험이 장소애착과 정서적 연대에 미치는 영향 : 실존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여영숙(Yeo, Young-suk) 한국해양관광학회 2021 해양관광학연구 Vol.14 No.3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ourist experience on place attachment and emotional solidarity by approaching tourist experience from an existential perspectiv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21 days from September8 to September28 in 2020 and 307 samples were finally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ll tourist experience factors (local hospitality, self-reflection, non-dailyness, interaction, new experience) were found to affect place attachment and emotional solidarity. Especially, when they had positive experiences in new experiences, knowledge, and interaction with local residents during their trip, they were found to have high place attachment formation. Moreov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t experience and emotional solidarity for visiting areas, it was found that the self-reflection experience of travelers had the highest influence, and in place attachment, self-reflection was found to be a high influence as well with the experience of hospitality of local residents.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at the experience of existential authenticity through tourist experience is important in the process of giving meaning to the place, and future studies should show more interest in the role of tourists as the main agent of tourism activities in tourist experience.

      • KCI등재

        동해안오구굿의 시설 연구 - 경북지역 오구굿을 중심으로

        마소연 한국문학회 2023 韓國文學論叢 Vol.94 No.-

        Siseol is a procedure of being taken to Ogugut, Gyeongsangbuk-do, and refers to the whining of the deceased in accordance with the rhythm of the Siseol bond. In Ogu-gut, Gyeongsangbuk-do, Siseol are performed by Golmaegi-gut, Ancestral-gut, Chomangja-gut, Balwon-gut, Notdong-woo-gut, Neoggil-gum, lantern song. The reason why Siseol is repeated in other gut streets except for Chomangjagut, where the deceased is the main character, is that Siseol account for an important proportion of Ogugut. Siseol that appear with the word “soul” are usually filled with resentment, sadness, and gratitude for their families. Siseol is the whining of the deceased, but when the facility begins to be taken away, the whining becomes a solvent that triggers a conversation between the deceased and the family. Ogugut is a faith and ritual that relieves the resentment of the dead and ascends to paradise. Since "Han" is formed based on relationships, interaction is bound to be premised, so both the deceased and the family are accompanied by mutual expression of emotions. Ogugut wants to achieve community solidarity with Haewon, which becomes possible through the expression of emotions through Siseol. The family, who became aware of the ‘emotional ego’ based on emotions, checks the process of the change of the deceased based on emotions from then on. The basic formula of ‘expression of negative emotions → weakening of negative emotions → generating positive emotions’ appears in Siseol. The reason why shaman especially focuses on emotions such as sorrow and sadness in the first half of Gut is that the emotions tend to be dealt with for a very long time and the spread is also strong, so it has a large personal and social impact. However, repeating Siseol, the deceased and the bereaved families have a friendly feeling of trust. The main characteristic of trust is that the object of other emotions is individual others, while the object of trust is the future. Whether it is a negative trust that may cause harm or a positive trust that will bring blessings, trust is all a feeling that gives confidence in the future world. Through the proposal of Ogugut, shaman creates a trust relationship, a positive future promise, to resolve the negative emotions of the deceased and the bereaved family, especially through a device called Siseol. 시설은 경상북도 오구굿에서 연행되는 절차로, 시설채 장단에 맞추어 망자가 쏟아내는 넋두리를 말한다. 경북오구굿에서 시설이 연행되는 제차는 골매기굿, 조상굿, 초망자굿, 발원굿, 놋동우굿, 넋일굼, 등노래이다. 망자가 주인공인 초망자굿을 제외한 다른 굿거리에서도 시설이 반복되는 것은 오구굿에서 시설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영혼아’라는 호명에 이어 나타나는 시설은 대개 한이나 안타까움, 가족에 대한 고마움이 주를 이룬다. 시설은 망자의 넋두리이지만 시설이 연행되기 시작하면 그 넋두리는 망자와 가족의 대화를 촉발시키는 용매가 된다. 오구굿은 망자의 한을 풀고 극락으로 천도시키는 신앙이자 의례이다. ‘한’은 관계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반드시 상호작용이 전제될 수밖에 없으므로 망자와 가족 모두 상호 간의 감정 표출이 동반되는 것이다. 오구굿은 해원과 공동체 결속을 이루어내고자 하는데 그것은 시설을 통한 감정의 표출로 가능해진다. 감정을 바탕으로 ‘감정적 자아’인 망자를 인식하게 된 가족은 그때부터 망자의 변화 과정을 역시 감정의 변화를 바탕으로 확인한다. 그래서 망자의 천도 의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설에서는 망자의 ‘부정적 감정의 표출 → 부정적 감정 약화 → 긍정적 감정 생성’이라는 기본 공식이 나타나는 것이다. 무당이 특히 굿의 전반부에서 한과 슬픔 등 비애라는 감정에 집중하는 이유는 그 감정이 매우 장기간 대처해야 하는 경향이 있고 확산성 또한 강한 감정이므로 개인적,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시설을 반복하며 망자와 유가족은 신뢰라는 우호적인 감정을 가지게 된다. 신뢰의 가장 주요한 특징은 다른 감정들의 대상이 개별적인 타인들인데 반해 신뢰의 대상은 미래라는 것이다. 해를 끼칠지도 모른다는 부정적 신뢰이든 복을 가져다줄 것이라는 긍정적 신뢰이든 신뢰는 모두 미래의 세계에 대한 확신감을 주는 감정이기 때문이다. 무당은 오구굿이라는 제의를 통해, 특히 시설이라는 장치를 통해 망자와 유가족의 부정적 감정을 해소하고자 긍정적인 미래의 약속인 신뢰 관계를 서로 맺게 한다. 오구굿은 집단적(사회적) 한을 풀기 위해 치러지는 경우도 있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정신대해원상생대동굿’이다. 이를 연행한 무당은 시설을 통해 집단적 슬픔이나 한을 잠시나마 해소하고 우리가 동일한 고통 속에 놓인 공동체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제주도의 ‘질치기’ 의례를 할 때 연행되는 시설과 유사한 영게울림에서 제주4.3 사건과 관련한 집단적 고통이나 슬픔을 읽을 수 있는 것처럼 영혼(망자)의 해원과 천도를 목적으로 하는 굿들은 개인, 가족, 사회의 부정적 감정을 치유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들을 가진다. 동해안오구굿에서는 그 장치가 시설이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