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퍼블리싱에 대한 포털사이트 사용기록을 통한 동향 연구 : 빅데이터의 LDA 토픽 모델링 기법을 중심으로

        이하나(Lee, Ha Na)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4

        현시점에서 Apple News+와 Apple One과 같은 번들 서비스의 시작은 소유의 개념에서 접속의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는 글로벌 출판 산업의 동향을 보여준다. 한국의 침체된 출판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 디지털 퍼블리싱의 최근 동향을 고찰하고 분석하여 과도기적 상황에 처한 디지털 퍼블리싱에 대한 새로운 정의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퍼블리싱에 대한 트렌드 및 동향에 한정해서 빅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디지털 퍼블리싱의 현 상황을 진단함으로써 국내 디지털 퍼블리싱의 발전을 위해 지향해야 할 부분과 개선되어야 할 부분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빅 데이터 분석 방법은 TF-IDF 빈도 분석과 LDA 토픽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의 디지털 퍼블리싱은 크게 플랫폼, 디지털 퍼블리싱과 산업, 서비스 이용 패턴, 미디어 환경에 따른 콘텐츠 접근의 4개 주제로 설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써 다양한 콘텐츠와 스트리밍 구독 서비스의 등장으로 급변하는 디지털 퍼블리싱 산업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출판 산업 전체의 지속 가능성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Currently, the launch of services bundles such as Apple News+ and Apple One demonstrates that shift of the global publishing industry from the concept of ownership to a way of access. In order to revitalize Korea’s stagnant publishing industry, we need to redefine digital publishing, which is in transitional stage, by reviewing and analyzing the latest trends in the industry. Thus, we conducted a big data analysis solely on the trends of digital publish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rections for the future and areas for improvement in the Korean digital publishing market through the big data analysis. The research methodology was based on unstructured data analysis such as TF-IDF and LDA topic model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four main topics of digital publishing were platform, digital publishing and industry, pattern of service usage, and content access depending on the media landscape. We hope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entire publishing industry by presenting future directions of the digital publishing market which has been under rapid developments with the launch of a variety of content and streaming subscription services.

      • KCI등재

        ‘출판’의 개념 변화에 관한 고찰

        노병성(Roh, Byung-Sung) 한국출판학회 2010 한국출판학연구 Vol.36 No.2

        본 논문은 출판의 개념이 디지털 시대에 다변화하고 있다는 문제 상황에서 역사적으로 출판의 개념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고, 미디어 컨버전스 시대에 출판의 개념을 어떻게 정의 내릴 것인가에 초점을 두었다. 아날로그 시대의 출판 개념의 특징은 대체로 1909년 출판법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고 있지 않았다는 점, 출판의 개념 정의에서 인쇄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는 점, 출판의 영역은 도서나 서적 그리고 잡지에 국한되는 경향을 보였고 신문은 이에서 제외되었다는 점 등이라 할 수 있다. 디지털 시대의 출판개념의 특징은, 출판을 개념화하는데 있어서 인쇄의 개념이 생략되거나 부가적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점, 콘텐츠 등의 개념이 활용되고 있다는 점, ‘출판’이란 용어와 ‘Publishing'이란 용어가 동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 출판과 타 산업 혹은 타 매체와의 경계가 흐려지고 있다는 점, 출판의 영역이 확대되는 광의의 출판개념이 등장하고 있다는 점으로 요약될 수 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출판을 포괄하는 출판 개념은 이들 양자 간의 현상적 특성을 추상화 한 아이디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현상을 분류하고 이론화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출판을 개념화 하면, 출판이란 독자나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전제로 인간의 정신적 소산물인 콘텐츠를 인쇄, 전자적 패키지화 또는 서버 적재 등의 방법을 통해 공중의 접근권을 확보하려는 일련의 과정이나 행위라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finition of publishing in the era of media convergence and to examine how the conceptualization has been changed in diverse societies and in the digital era. The Copyright Act of 1909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analogue publication. The law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inting and tends to apply to all texts, books, and magazines with the exception of newspapers. The uniqueness of publishing in the digital era is that the printing is omitted or used secondarily. The terms publishing(Korean) and ‘Publishing’(English) are used interchangeably. Boundaries between the publishing and other communication systems are blurred. Furthermore, Publishing as a macro concept is broadened and prompted by new ranges of media formats. The integrative definition of the analogue and digital publishing encompass abstract ideas, and can de contextualized and theorized as a part of the social and technological phenomena which lie at the junture of the analogue and digital publishing. In conclusion, the concept of publishing are the series of acts or processes to get a public access via developing electronic packages, loading contents to the servers, web publishing, and distributing personal and social acquaintances to general public under the premise of the communication with readers and consumers.

      • 글로벌 디지털출판과 전자책의 진화

        웨이췬(WeiQun),이형재(Lee HyungJae),이해성(Lee HaeSeong),이건웅(Lee GunWoong) 한국전자출판학회 2020 전자출판연구 Vol.15 No.1

        The global publishing market is on the decline overall, and digital publishing is showing growth. The market for print media and paper books has shrunk, and the rise in e-books has now become common knowledge. The situation became entrenched after the Corona crisis, and Internet bookstores saw their sales rise and their status rise further. Therefore, it is time to analyze the scale of digital publishing closely and to re-concept the publication of new digital publishing, including the concept and scope of new digital publishing. Based on such needs, the study analyzes the new status and direction of digital publishing. 전 세계 출판시장은 전반적으로 하락세지만, 디지털출판은 성장세를 보인다. 인쇄미디어와 종이책 시장은 위축, 전자책 상승은 이제 상식이 되었다. 오디오북이라는 새로운 영역이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코로나 사태 이후 이러한 상황은 고착화되었고, 인터넷서점의 매출 상승과 위상은 더욱 높아졌다. 따라서 디지털출판의 규모를 면밀히 분석하고, 새로운 디지털출판의 개념과 범위 등 출판의 재개념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그러한 필요성에 근거해 디지털출판의 새로운 위상과 방향성을 분석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 대형 출판기업의 그룹화와 브랜드 다각화 분석

        이건웅,최준란 한국출판학회 2014 한국출판학연구 Vol.40 No.1

        현재 한국의 총 인구는 5천만 명에 불과한데 출판사 수는 2013년 6월 기준, 4만 6,395개에 달한다. 단순 수치 비교상 대략 인구 천 명 당 하나꼴이다. 출판사 수는 급격히 늘어났지만 독서율은 반대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며 여기에 디지털 출판의 도래, 글로벌 출판 시장의 경쟁력 강화 등으로 인해 출판 내수시장은 더욱더 열악해지고 있다. 출판 시장의 불황은 전국적인 동네 서점 수의 감소로 인해 일반인들의 피부에도 와닿고 있다. 이런 어려운 환경에서 한국의 대형 출판기업은 브랜드 다각화를 통해 경쟁력을 제고하고 있으며 그룹화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이끌어 내고 있다. 한국은 1990년대 후반부터 브랜드의 다각화를 통한 자회사 제도, 분사 제도, 임프린트 제도 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출판의 그룹화를 이루었다. 이는 서양의 인수합병 방식과는 다른 패턴이며, 중국 정부가 주도하는 출판개혁조치와도 또 다른 형태이다. 2000년대 이후 활발해진 출판의 전문 분야를 특화해 나가는 자회사 제도나 조직원 간의 수평적인 관계를 중시하는 분사 제도, 뛰어난 기획편집자를 기용해 독립 사업체를 운영하도록 돕는 임프린트 제도 등의 활용은 우수한 기획편집자에게 독립성과 막강한 권한을 기반으로 양질의 콘텐츠를 개발하도록 독려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민음사는 출판기업이 대형화되자 사이언스북스, 황금가지, 비룡소, 민음인 등 여러 전문 브랜드로 분화했으며, 모기업과 자회사의 개념으로 출판그룹이 형성되었다. 이처럼 브랜드의 다각화를 통해 출판기업의 그룹화에 성공한 길벗, 대교, 미래엔, 웅진씽크빅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대형화된 한국 출판 기업은 내수시장이 아닌 해외 시장에도 눈을 돌려 중국, 타이완, 태국 등 해외진출을 통한 출판한류까지 도모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급속한 기술의 발전에 발맞춰 디지털 출판에 인적·물적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으며, 문화산업으로서 출판의 위상을 높여 콘텐츠의 OSMU를 활용하는 등 출판산업의 진흥에 힘쓰고 있다. 이들 출판기업의 성공 요인과 출판시스템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 출판기업의 발전방향을 모색해보았다. Publishing environment has seen a great change in Korea, Japan and China since the three countries joined the World Trade Organization(WTO). Even though each of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has distinct publishing industry, the fundamental goal seems to be the same: all aim to expand the business into a cultural industry, going more global and digital. In China, there was conglomerate integration in Shandong Publishing Group, which combined newspapers, magazines and publishers including: Shandong People's Publishing House; Tomorrow Publishing House(children's books); Shandong Literature & Art Publishing House; Shandong Press; and Shandong Magazines. In Korea, the trend was reverse. When a Korean publisher of Minumsa grew big enough, it diversified its business with specialized brands including: Science Books; Goldenbough; BIR; and Minumin - it became a publishing group with parent-affiliated company relationship. In Japan, a parent publishing company plays a pivotal role in business diversification using OSMU(one-source multi-use) concept, in such fields as broadcasting, games, comics and magazines as well as publication. Korea started to see big publishing groups from the late 1990s, as the industry actively embraced various models including affiliated companies, spin-offs and imprints. These models are different from the typical merger and acquisition of the West or from the government-led reform of China. Affiliated company model is about specializing the area of publication; spin-off is about valuing the horizontal relationship among members; and imprint is about hiring competent editors and enabling them to manage independent business. Since the 2000s, such new brand strategies encouraged talented editors to develop quality contents based on independence and authority. The way forward for Korean publishing groups from 2010 and onward should be global and digital. Korea has a population of 50 million and the number of publishing companies has totalled 46,395 as of 2013; the domestic market has already been saturated. Big publishing groups are naturally looking at foreign markets and China is the most suitable one for their overseas expansion. Despite the strong regulations and distinct cultural differences, this market cannot be easily let go.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for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China. This study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publishing groups, whose integration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models appeared in Japan and China and looks into the future of the publishing business.

      • 국내전자출판 기술지원정책 현황 연구

        손애경(Son, Ae Kyoung) 한국전자출판학회 2012 전자출판연구 Vol.- No.1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자출판의 문화기술 지 원정책 현황을 살펴보고 매체융합으로 인하여 새롭게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는 전자출판의 개념 확장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국제적 전자출판계의 지각변동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국내외 전자출판 생산, 유통, 소비 단계를 아우르는 국제 전자 출판 유통 시스템 동향에 맞는 문화기술 요소를 제안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기반의‘전자책’ 단말기들의 새로운 글쓰기 형태와 제작, 유통 및 책읽기 유형의 변화에 따른 트랜드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출판산업 가치사슬 구조에 적합한 문화기술요소를 도출하였다. 이 외에도 소셜미디어 및 개인출판 기술 동향을 분석하여, 출판시장과의 연계성 및 관련 정책 지원 범위를 알아보고, 나아가 미래 클 라우드 출판산업의 중장기 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The goal of the study is to examine an extension of the notion of digital publishing that is now forming a new paradigm due to the media convergence based on the review of the present state of the Culture Technology support policies in the domestic digital publishing. The study suggests a number of culture technology elements that are suitable for the value chain in the new publishing industr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ew working style for the smart phone, e-book device based on the tablet PC. In order to suggest the culture technology elements the study focuses on some culture technology element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current trend of the international digital publishing distribution system.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s the connection between publishing industry, and social media and self-publishing technolog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trend and explores some medium-long-term strategies for the next generation cloud publishing industry.

      • 학술연구 : 디지털도서관의 저작권 문제와 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

        유희경 ( Hee Kyoung You )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013 디지틀 도서관 Vol.69 No.-

        21세기 지식정보사회에서 세계 각국은 디지털 형태의 정보와 자료를 구축하여 컴퓨터 등 정보통신매체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이른바 디지털도서관의 구축을 목표로 노력하고 있다. 현재 디지털 도서관은 정보환경의 패러다임의 변화와 정보이용자의 다양한 정보요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하여 저작물 원문 자체를 디지털화하여 이를 자유로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시간에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정보제공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도서관의 실현을 위해서는 디지털도서관 환경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저작권법 규정이 뒷받침되어야 하고, 일반 저작물은 물론 고아저작물의 저작권 문제가 해결되어야 하며, 디지털화와 관련하여 그 중요성이 새롭게 대두되는 여러 가지 권리들의 문제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Every country in the world in this 21st century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is working towards the goal of setting up a digital library by amassing information and data in digital form to be provided to users through computers or other information technological mediums. At the present, the role of the digital library which provides data at the desired place and at the desired time to the user is being emphasized and original literary work is being digitalized so that it can be freely accessed in order to satisfactorily meet the changes in the paradigm of the information environment and the demands of users for diverse data contents. In order for a digital library to be made possible there needs to be regulations through copyright laws supporting it, the issues associated with copyrights including those of orphan works must be resolved and there needs to be discussions on the problems being brought up recently related to the importance of various rights in association with digitalization.

      • KCI등재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커뮤니케이션

        김상욱 ( Kim Sanguc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3 No.-

        스크린을 활용한 스마트 디바이스가 확장되면서,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콘텐츠 역시 큰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전통 미디어 콘텐츠의 디지털 전환은 단순한 스마트 디바이스 소프트웨어로서의 전환이 아닌, 일반 대중의 커뮤니케이션의 진화와 새로운 사고, 행동방식을 이끌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환경을 바탕으로 변화하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스마트 디바이스의 개념, 변화된 디지털 콘텐츠 환경 그리고 디지털 퍼블리싱이라는 구체적인 방법론적 측면을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 스마트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디지털 콘텐츠의 역할이 무엇인지 규명한다. Expanding the usage of smart device upon screen, efficient role of content is emerging based on this transitional period. Traditional media content are evolving into digital format. This symptom is not also simple change into software format but people in general are pushed into new way of thinking and ground breaking change of behavior. Upon this environment, this study is focused on proof of smart device concept, digital content and digital publishing. The reason way these focuses is methodology for the evolving digital content is absent since the emerging moment of the smart device. The final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ing appropriate digital format for digital content on the boundary of smart device.

      • KCI등재

        Digital publishing에서 명확한 전달을 위한 typography 사용 연구

        박종빈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3 조형미디어학 Vol.16 No.3

        This research is on how to use typography of digital publishing on the Smart Devices and Smart training at the time of change in the current education educational content to be used in App.Book button on the display, which is the difference of the size of the font to see if what is shown on digital publishing, and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studio ‘La Grafica’. The difference among E-book, EPUB, and App-book was compared. In the iBooks Author and Adobe DPS (Digital Publishing Suite) e-book standard were such typefaces used as Yun Myeongjo,Yun Gothic, Nanum, Sandol, Sandol Myungjo, and Sando Neo which are usually used among designers. Smart devices containing iPad ios 1.2, iPad retina, iPhone 4. 4s. 5, Android Galaxy Tab were used in the series. Through the study, it is found that one typeface could be shown in the various smart devices and it is high time that we should develop the typeface which could be used in subsequent App.Book. 본 연구는 다양한 스마트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스마트교육으로 변화하고 있는 현 교육 시점에서 교육 콘텐츠에서 사용 되어지는 앱북에서 디스플레이 되어지는 버튼의 크기와 서체들의 차이가 어떻게 보여 지는 지 알아 보기 위해 디지털퍼블리싱을 연구하는 스튜디오 라그라피카와 함께 진행 하였다. 이북(e-book) 이펍(e-pub) 앱북(app-book)의 차이를 비교하고 iBooks Author와 어도비 DPS(Digital Publishing Suite)의 전자책 표준에 연구에 사용된 서체는 윤명조, 윤고딕, 나눔, 산돌, 산돌명조, 산돌네오 등 디자이너들에게 가장 사용되어 지고 있는 서체를 이용하였고, 스마트 디바이스는 ios계열 아이패드1.2, 아이패드 레티나, 아이폰4. 4s. 5, 안드로이드 계열의 갤럭시 탭 이 사용 되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하나의 서체가 다양한 스마트 기기에서 달리 보여 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른 앱북에서 사용되어질 서체 개발이 필요한 시점에 있다고 판단하였다.

      • KCI등재후보

        디지털 출판 생태계와 출판사의 적응 전략 연구

        장용호,공병훈 한국출판학회 2013 한국출판학연구 Vol.39 No.2

        출판 산업 지형이 선형적 가치사슬에서 복잡도 높은 복합 가치 네트워크로 급격하게 재편되었다. 본 연구는 기술·생산·시장·수용자·정책 요인을 중심으로 1980년대에서 2010년대에 걸친 출판 산업의 역사적 변화와 출판사들의 적응 전략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출판사들은 전자 출판 시스템을 통한 틈새(niche) 창출 과정을 기반으로 성장하고, 둘째, 온오프라인 대형 서점이 플랫폼 체계로 진화되는 상황에서 출판사들은 책의 유통과 소비의 새로운 기술 환경과 방식에 적응해야 했으며, 셋째, 스마트 디바이스과 개방적 플랫폼 환경에서 대중화된 출판 생산과 유통 도구를 통해 다양한 출판 행위자들이 등장하여 다이내믹하게 상호작용하는 패턴을 드러내며, 넷째, 출판사들은 다양한 참여자들과 협력적 관계를 맺는 가치 네트워크의 허브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출판사의 적응 전략들에 대해 '다양한 참여자들이 상호작용하는 플랫폼 중심의 출판 체계에서 니치를 창출하는 가치 네트워크의 허브로서 작동하는 과정'이라고 분석하며, '상호 이익을 극대화하는 자유롭고 유연한 동맹 체제로서의 통합적 협업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The landscape of the publishing industry has been transformed into complex value networks. Focusing on technology, production, market, audience, and policy factors, the study analyzed empirically the publishing industry's historical changes and adaptation strategy dating from the 1980s to the 2010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adopting electronic publishing system, publishers have been grown through nitche creation process. Second, the on-offline large bookstores as emerging platform have forced the publishers to adapt to the changing environment, newly distributing and consuming patterns. Third, through open platform and democratizing toolkit approach, various participants have developed dynamic interaction patterns. Fourth, e-book and sns platforms have rapidly transforming traditional relationships of various participants into collaborative ones. The study show that publishers' adaptation strategy is creating niche in platform-centric publishing system in which Various participants interact. And the study suggest the free and flexible alliance regime of Integrated collaborative model that Is to maximize the benefit of each other.

      • KCI우수등재

        포털 뉴스 발행시간을 통해 본 언론사 뉴스 생산 관행 : 2000년부터 2017년까지 네이버 뉴스 데이터에 대한 탐색적 분석

        송해엽(Haeyeop Song),양재훈(Jay Yang),오세욱(Se-uk Oh) 한국언론학회 2020 한국언론학보 Vol.64 No.2

        This study empirically explores how news organizations online publishing practices have changed since Naver participated in online news distribution. South Korean newspaper companies heavily depend on the Naver portal for referral traffic. This has caused a variety of problems in the news environment. These problems with portals have mainly been discussed in terms of journalism ethics.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discourses regarding the impact of online news, it has rarely been explored how news stories are actually being updated onlin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nges in online news publishing practices involving the portal. As an exploratory study, it provides insight into how the portal has influenced the news distribution environment. The eleven daily newspapers (i.e., Kyunghyang, Kookmin, Naeil, Donga, Munhwa, Seoul, Segye, Chosun, Joongang, Hankyoreh, and Hankook), the six economic newspapers (i.e., Seoul Economy, Asian Economy, Financial News, Korean Economy, and Herald Economy), and the seven sports newspapers (i.e., Sports Donga, Sports Seoul, Sports World, Sports Chosun, Sports Hankook, and Daily Spor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Furthermore, to compare the publishing patterns, this study included three wired services (i.e., News 1, Newsis, and Yonhap News), which do not have print versions. The total number of articles was 49,785,412. In addition to the data from the portal, this study used the press directory to investigate the changing workforce of news outlet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in the early days of online news, there was a prominent pattern of intensively publishing news articles during a certain time of the day. As live reporting has become routine, the prominent pattern has been alleviated. In the early days of online journalism, news organizations with a printed paper showed a concentrated publishing pattern. However, after the portal become dominant in online news distribution, daytime online news publishing became generalized. The data shows that, in the early days of the portal, daily newspapers published online between 6:00 pm and 8:00 pm, after editing of the printed paper closed. Now, the proportion of daytime publishing has increased. However, some media outlets still give weight to the paper news cycle, which maintains the concentrated news publishing patterns. In-depth interviews show the increasing burden on journalists jobs when the production routine of online news does not replace the paper-centered news production routine. Journalists addressed the point that many media outlets still hold the paper news at the center of news publishing. It has been a long time since online news was adopted in South Korea. However, the data and in-depth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online transition has a long way to go. As exploratory research based on empirical data, this study provides the basic data for further research regarding the impact of digital transformation on jour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