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徒刑의 집행과 徒配罪人 관리

        심재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3 한국문화 Vol.- No.104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Do’hyeong(徒刑) sentence of Joseon, which was an East Asian form of punishment ordering an individual to a sentence of hard labor in a designated place. Among other types of punishment practiced by the Joseon government, this Do’hyeong sentence never received the attention it deserved, and was less discussed than any other forms of punishment. So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articular punishment, and how they changed over time are discussed here in this article. The Do’hyeong punishment had originally been institutionalized in China, as a form of sentence ordering a person to hard labor.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period a variety of labor duties were imposed upon offenders who received the Do’hyeong sentence. They were usually positioned at governmental offices to serve menial functions as guards(Cheongjik, 廳直, office janitor) or torch-bearers(Jeong’ryo-gan, 庭燎干, personnel in charge of torch-lighting in the office). They were also called upon to serve as Dochim-gun(擣砧軍) at the Joji-seo office(造紙署, in charge of paper production) to prepare pre-paper materials to be more suitable for paper manufacturing, and were also stationed at fire-signal[烽火] posts or road stations[驛站] which were important in dynastic commuciation. Yet the fashion of executing the Do’hyeong sentence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dynasty’s latter half period. Offenders who received such sentence would no longer be demanded to engage in hard labor. Instead they would be exiled to different regions(Jeongbae, 定配). As a result, Do’hyeong became a punishment which in appearance was not that much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Yu’hyeong(流刑, exile)punishment, as it only sentenced an offender to a short-term exile with the length of the exile pre-established. As the Do’hyeong and Yu’hyeong sentences essentially turning into punishments rather similar to each other, it became increasingly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collectively manage (and discern) the Do’hyeong and Yu’hyeong offenders located in the local regions. Thus created was the “Do/Ryu-an(徒流案)” list of offenders, who received either the Do’hyeong or Yu’hyeong sentences. The records of offenders who were eventually pardoned[赦免] from their sentences show us that there were in fact a lot of offenders who were sentenced to the Do’hyeong and Yu’hyeong punishments(Do/Bae Jwe’in, 徒配 罪人).

      • KCI등재

        Know-Do-Be 모형을 중심으로 한 간학문적 통합단원 개발 사례 -4학년 ‘함께하는 삶: 조화’를 중심으로-

        박한숙 한국교육방법학회 2011 교육방법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develop interdisciplinary integrated curriculum unit based on Know/Do/Be Model by Drake. Know/Do/Be Model is consisted of three questions as follows: ① What is most important for students to know? ② What is most important for students to be able to do? ③ What kind of person do we want students to be? These questions make powerful Know-Do-Be bridge. KNOW includes facts, topics, concepts, and generalizations or enduring understandings. The DO includes cross-curricular, broad-based skills such as communication, and other higher-order skills such as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The BE includes the attitudes, beliefs, and actions that we expect students to demonstrate. BE is the smallest category and the most controversial. This study analyze the 2007 national curriculums of all subjects of the 4th grade in pupil school by applying the Drake's Know/Do/Be Model and develop the integrated curriculum unit which theme is ‘life with together: harmony’. The procedures of design on thematic unit are follows; scanning and cluster standards horizontally to select one or two broad-based, choose an age-appropriate and relevant topic or theme, create a web to identify potential cluster of standards, construct the KNOW/DO/BE bridge, design a integrated unit, and create lesson plan. In conclusion, in analyzing national curriculum it was founded that BE is nearly absent and KNOW, DO is consisted of lower-level contents. The interdisciplinary integrated unit which is taken complementary was effective to balance between them and to facilitate holistic growth. 우리나라 학교 교육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지나친 지식 중심의 교육, 입시위주의 교육으로 인한 인성, 기능교육의 부재라고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Drake 및 Burns(2004)와 Drake(1993; 2000; 2007)가 제시한 Know-Do-Be 통합단원 개발 모형을 기반으로 초등학교 4학년 전체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기능’과 ‘인성’ 부분이 보완된 간학문적 통합단원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Know-Do-Be 모형은 학교 교육에서 가장 필수적으로 다루어야 할 기본 요소를 ‘지식’과 ‘기능’ 그리고 ‘인성’에 두고 있다. 이러한 요소를 교육의 충분조건이기 보다는 수업의 필요조건이라고 전제하고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표준 요소와 교과서 분석 작업을 통하여 ‘함께하는 삶: 조화’라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도덕, 국어, 사회, 음악, 미술 5개 교과의 교육과정의 표준 내용과 창의적 체험활동의 내용을 ‘지식’과 ‘기능’, ‘인성’의 기준으로 분석하여 간학문적 통합 단원의 목표를 설정하였다.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대부분 내용은 가장 낮은 수준의 ‘지식’과 ‘기능’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인성’적 측면의 목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문제를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문적 개념, 지속적 이해와 같은 높은 수준의 지식과 문제해결 능력, 정보탐색 능력 등과 같은 높은 수준의 기능 그리고 ‘협동심’, ‘예절과 배려’와 같은 인성적인 요소를 추가하여 통합단원을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과서 지식 중심으로 편향되기 쉬운 학교 현장 수업을 ‘지식’과 ‘기능’, ‘인성’의 요소가 균형을 이룬 지식적, 인격적 통합 수업으로 변화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경기도당굿 군웅춤과 김숙자류 부정놀이춤의 비교연구 : 부정놀이 장단의 부채, 방울춤을 중심으로

        김기화 한국무용연구회 2006 한국무용연구 Vol.24 No.1

        Gyeonggi-do (GyeonggiProvince) Dang-Gut (Korean Shaman Rite) is a treasure house of Korean modem traditional dances, many of which have become stage performance arts accepting various artistic assets from Gyeonggid-do Dang-Gut such as rites, dance clothing and etc. Especially, Korean traditional dances have been influenced in their artistic change by various kinds of melodies harmonized with shaman rhythms of Gyeonggi-do that are the melodies with the shaman rhythms of Gyeonggi-do. For example, Han Sung Joon’s Taepyeongmu is based on the shaman rhythms of Gyeonggi-do in terms of its musical accompaniment enhancing the completion of the dance. Also in Lee Dong An’s dances and Kim Sook Ja's dances, Gyeonggi-do Dang-Gut shows strongly its shaman color in their titles, contents, clothing, action and etc. Therefore, Gyeonggi-do Dang-Gut has been studied in a number of researches to investigate its interrelationship with the other Korean modern traditional dances. Most of researches have been, however, focused on the external interrelationships such as rhythm, clothing, instruments and etc without making it clear how the dance principle of Gyeonggi-do Dang-Gut has been applied as a dance composition principle to formation of Korean modern traditional dances. In this study, therefore, I have compared and analyzed the actual performance video tapes of Gunung Dance by Oh Soo Bok who has been inherited Gyeonggi-do Dang-Gut,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98, and Bujeong-Nori Dance by the late Kim Sook Ja who is the composer of Bujeong-Nori Dance and has been inherited Salpuri Dance (Do-Salpuri),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97,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ance composition methods of Kim Sook Ja’s Bujeong-Nori Dance by comparing and analyzing Gunung-Gut of Gyeonggi-do Dang-Gut and Kim Sook Ja’s Bujeong-Nori Dance. 1 have recorded the dance action steps of such dances mentioned above based on Definition of Terms of Korean Traditional Dances written by Huh Soon Sun and referred to Body, Effort, Shape and Space specified in Lavan Movement Analysis, from which I applied the Body, a theory to observe and analyze the dance in physical terms based on anatomy and functionality, to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hysical characters of the dance in analysis of dance action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Kim Sook Ja’s Bujeong-Nori Dance is very similar to Gyeonggi-do Dang-Gut Gunung Dance. The similarities are as follow: First, Bujeong-Nori rhythm consists of 3-4 sectors of action. Each sector is composed of main action, middle action and finishing action. Second, the series of actions finish with turning shapes. Third, it goes over Bujeong-Nori rhythm of 8 beats with the multiple dance rhythm type of 3, which is the principle of Gut Dance. Forth, the right arm moves elastically using bells while the left arm turns using fan. Fifth, the series of actions look simultaneous sequencing that the dances of upper body and lower body are connected moving simultaneously. Based on such analysis results, I could analogize that Kim Sook Ja composed Bujeong-Nori Dance based on the dance principle of Gyeonggi-do Dang-Gut she learned from her father Kim Duk Soon. These two dances, of course, have also some differences: Gunung Dance starts with narrow movement pulling and overturning the fan while Bujeong-Nori Dance uses middle joints; Gunung Dance shows contra-lateral pattern that the left foot and right hand move at the same time moving bells and fan simultaneously while Buejong-Nori Dance shows homolateral pattern that the left foot and arm move at the same time and the right arm and right hand move simultaneously for movement of bells and fan; Gunung Dance is performed mostly on a spot while Bujeong-Nori Dance uses the stage widely; and etc. That is, Bujeong-Nori Dance has been able to make strong, efficient and various changes in dance composition. In conclusion, I could say that Kim Sook Ja was faithful to show shaman dance feeling based on the dance composition principle of Gunung-Gut and supplemented the artistic aspect of the dance based on the principle of change considering the stage. 경기 도당굿은 근대전통충의 보고(寶庫)로 우리의 많은 춤들이 경기도당굿의 의식과 무복 등 많은 예술적 자산을 수용하며 무대예술화 되었다. 특히 경기도의 무속장단, 즉 경기도당굿 장단의 다양한 가락들은 우리 민속춤의 예술적 변화를 창출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근대춤의 아버지라 불리 우는 한성준의 태평무를 보더라도 그 춤에는 경기도의 무속장단이 태평무 반주의 근간이 되어 춤의 예술적 완성도를 높여주었다. 또한 근대전통춤의 또 다른 획을 긋고 있는 이동안류의 춤과 김숙자류의 춤에서도 경기도당굿은 반주 장단 뿐 아니라 춤의 제목이나 내용, 무복, 춤사위 등에 강한 무속적 색채를 표출하고 있다. 따라서 경기도당굿은 우리의 근대전통춤과의 상관성을 규명하고자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장단과 의복, 무구 등 춤의 외형적인 상관성이 집중적으로 규명되었을 뿐 경기도당굿 춤의 원리가 근대 전통춤의 형성에 안무원리로 적용되어왔는지에 대한 연구는 규명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경기도 도당굿의 군웅굿 춤과 김숙자류 부정놀이춤을 비교분석하여 김숙자류 부정놀이춤의 안무방식을 규명하고자 중요무형문화재 제98호 경기도당굿 보유자 오수복의 군웅춤과 부정놀이춤의 안무자이자 중요무형문화재 제97호 살풀이춤(도살풀이)의 보유자 고 김숙자의 부정놀이춤의 공연 실황 비디오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들 춤은 허순선의 한국전통춤 용어집을 바탕으로 춤사위의 무보를 기록하였고 라반움직임분석(Lavan Movement Analisis) 이론 신체(Body), 에포트(Effort), 형태(Shape), 공간(Space) 중 신체(Body) 부분 즉, 움직임을 만드는 신체적 측면에서 해부학적, 기능학적으로 관찰 분석하는 이론을 춤사위의 분석시 신체적 특징을 규명하는데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김숙자의 부정놀이춤은 경기도당굿 군웅춤과 상당한 유사점을 발 견할 수 있었다. 유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놀이장단은 3~4개의 동작구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동작구는 주동작ᅳ 중간동작ᅳ맺음동작의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둘째, 동작군의 맺음은 회전형태를 갖고 있다. 셋째, 굿춤의 원리인 3의 배수 춤 리듬꼴을 갖고 8박의 부정놀이장단을 넘나들고 있다. 넷째, 방울을 사용하는 오른 팔의 굴신과 부채를 사용하는 왼 팔은 회전을 갖고 있다. 다섯째, 동작 군들은 윗몸과 아랫몸의 춤이 동시적으로 움직이는 연결인 Simultaneous Sequencing이보인다. 이상과 같은 유사점으로 미루어 김숙자는 그의 부친 김덕순에게 수학하여 체득한 경기 도당굿의 춤 원리를 바탕으로 부정놀이춤의 안무에 반영하였다는 점을 유추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두 춤의 차이점, 즉 군웅춤의 시작점이 근위로 움직여 부채를 제치고 엎는데 반해 부정놀이춤은 중간관절을 이용하는 점, 춤사위 구성의 인체패턴이 군웅춤의 경우 왼 발과 오른손이 함께 움직이는 Contralateral pattern을 보이며 방울과 부채를 움직이는 데 반해 부정놀이춤은 왼발과 왼팔이 함께 움직이고 오른팔과 오른손이 함께 움직이는 Homolateral pattern의 패턴을 보이며 방울과 부채를 처리하고 있는 점, 군웅춤이 거의 제자리에서 이루어지는데 반해 부정놀이춤이 무대를 폭넓게 쓰는 점 등으로 미루어 무대 춤으로서의 부정놀이춤은 힘있고 효율적이며 다양한 안무 상의 변화를 민들어주었다. 이상으로 미루어 김숙자는 군웅굿의 안무원리를 바탕으로 부정놀이춤을 안무하여 무당 춤의 느낌을 살리는데 충실하였고 무대를 염두에 둔 변화의 원리로 춤의 미적측면을 보완 하여 춤을 안무한 훌륭한 근대 전통춤 안무가였다고 하겠다.

      • KCI등재

        CMMI 기반 군 항공기 인터콤 탑재용 제어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DO-178C 적용 연구

        윤인복,Yoon, In-Bok 한국전기전자학회 2015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19 No.3

        미국 FAA에서 민간 항공기에 대한 감항인증 시 채택되고 있는 DO-178C 가이드가 최근 국내에서도 군 항공기 감항인증을 위한 가이드로 채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은 군항공기 감항인증 담당자가 소프트웨어 개발 문서들을 점검할 때 모든 문서들이 DO-178C 가이드에 따라 검증되었는지 여부를 검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군항공기용 인터콤 장비의 국산화 개발 시 DO-178C 가이드 준용 요구사항이 없었기 때문에 우리는 군 항공기 인터콤 제어 소프트웨어를 CMMI 레벨3에 따라 개발하였다. 따라서 우리가 인터콤 시스템의 감항인증을 고려할 때 추가적으로 필요한 소프트웨어 산출문서들을 준비하기 위해 CMMI 레벨3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이 DO-178C 가이드와 얼마나 다른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CMMI 레벨3과 DO-178C 간 차이점들을 분석하고 DO-178C 가이드와 비교하여 CMMI 레벨3상의 어떤 데이터들이 항공기 감항인증 준수에 필요한지를 제시한다. 분석 결과를 통해 감항인증 시 참조되는 DO-178C 가이드 대비 CMMI모델에서 필요한 데이터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고 향 후 CMMI 모델 환경에서 감항인증 준수를 고려한 항공기 구성품 탑재용 소프트웨어 개발시 본 연구결과를 적용할 수 있다. The DO-178C guide, which is referenced as the software development guide when a certification of the airworthiness in the commercial airplane is acquired by FAA in US, is recently referenced for the local military aircraft airworthiness. This indicates that when the auditor of the military aircraft airworthiness looks over the software development documents, the auditor reviews if all of the documents are verified in accordance with the DO-178C guide. However, when we developed the military aircraft intercom, We developed its control software in accordance with the CMMI level 3, since there were no requirements for the compliance of the DO-178C guide. Therefore, When we consider the airworthiness of this intercomm system, The analysis for how much the software development based on the CMMI level 3 is different from the DO-178C guide is needed to prepare the essential software documents additionally. Thus,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CMMI level 3 and DO-178C guide and provides that which data on the CMMI level 3 is necessary for the compliance of the aircraft airworthiness comparing with the DO-178C. The analyzed result can be applied at the software development of the other military aircraft avionics equipment based on the CMMI model environment considering the compliance of the military aircraft airworthiness.

      • 항공안전을 위한 소프트웨어 인증 기술 발전 동향

        윤원근(Youn, Won-Keun),이백준(Yi, Baeck-Jun)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3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1 No.2

        RTCA DO-178B는 항공전자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의 FAA 인증을 얻기 위한 주요한 수락 가능한 적합성 입증 방법의 표준 문서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어왔다. 7년 전, RTCA는 DO-178B가 발행된 시점에 성숙하지 못했던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 및 검증 기술을 포함하기 위해 DO-178B의 개정을 추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DO-178C의 발전 동향과 DO-178B와의 주요 대비사항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항공업체가 항공기를 개발하고 인증계획을 세울 때,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소프트웨어 품질 보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항공기 시스템의 인증기술 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두 표준(DO-178B 및 DO-178C)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한 풍부한 설명을 제공함으로서 항공전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소프트웨어 인증 프로세스를 이해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RTCA DO-178B has long been regarded as a document providing the premier means or path to obtain FAA certification of software to be used in airborne systems. Seven years ago, the RTCA created special committee 205 (SC-205) to produce a revision of DO-178B to account for new software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technologies that were deemed immature at the time DO- 178B was written. The new version, DO-178C “Software Considerations in Airborne Systems and Equipment Certification”, was released in December 2011. This paper presents the comprehensive comparison studies between DO-178B and DO-178C for the safety of avionic system in term of various aspects.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how DO-178C evolves from DO-178B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standards to efficiently manage the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to reduce the development cost, and to ultimately ensure the safety of the entire avionic system. This study may provide an enriched understanding about the rationale and true intent the behind two main standards (DO-178B and DO-178C) on avionic software engineers.

      • KCI등재

        전라북도 장례요의 유형과 음악적 특징

        임미선 한국민요학회 2012 한국민요학 Vol.36 No.-

        In this paper, I have analysed various types of funeral songs in Jeollabuk--do Province to identity the mode types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m. Those songs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Daet Sori, Unsang Sori and Dalgu Sori. This study includes as many types as possible to draw the comprehensive conclusion of the funeral songs’s characteristics in this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In the categories of funeral songs in this area, there are only few Daet sori, which is are usually sung at a night before carrying the coffin out of the house. Instead, Balin sori and Dalgu sori types of songs are usually sung in this area. When compared to the funeral songs in Kyunggi province, the funeral songs in this area are not diverse. Kyunggi province’s funeral songs can even be divided into more various types and categories. The diversity of the funeral songs in Kyunggi area has been emerged based on the convention that agricultural folksongs were absorbed in the frame of the funeral ritual process. For example, a kind of bird song is included while a funeral song, the Dalgu sori was singing. Whereas various different folksongs are absorbed with various texts in the funeral songs of the Kyunggi area, such features are not common in the case of Jeollabuk-do area. The musical mode of the funeral songs in Jeollabuk-do province is almost based on the Namdo (Southwestern) folksong’s mode, which is called Gyemyeon-jo mode. However, not only the genuine Namdo folksongs’ Gyemyeon-jo mode but also the mixed shape of Namdo and Dongbu (Eastern)’s modes can be found in the funeral songs of Jeollabuk-do province. The falling tone which slides from do to si is also more gentle than usual. In addition to this, rare use of the deep vibration and the falling tone, and the gentle slide from re to do or from do to si ar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funeral songs in this area. The mixed shape of Namdo (Southwestern) and Dongbu (Eastern) modes is usually Mi-(Sol)-La-do-re scale and it includes minor third interval between la and do, the falling tone from re to do, and passing process of La-Sol-Mi. The musical mode of the funeral songs in the Jeollabuk-do province is somewhat similar to that of Namdo Gyemyeon-jo mode since this mode is able to express the sorrow of the funeral situation. The funeral songs in the Jeollabuk-do province usually start with the tone, do, and end with the tone, mi, or start with the tone, la, and end with the tone, mi. However, few songs start with mi and end with do or la. These are different from those of Kyunggi area’s funeral songs. 본고에서는 전북지역 장례요를 상여어르는소리, 상여소리, 달구소리로 구분하여 그에 속하는 다양한 유형들의 소리들을 대상으로 선율구조, 선법적 유형, 리듬구조 등을 분석하였다. 전북지역 장례요는 출상 전날 밤에 부르는 <댓소리>는 많지 않고, 상여소리(발인소리, 운상소리)와 달구소리가 주를 이루며 가창지역도 넓다. 경기 장례요와 비교할 때, 전북은 경기에 비해 장례요가 다양하게 발달하지 않은 편이다. 전북 장례요는 들노래에 비해 남도민요 선법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전형적인 남도민요 선법 외에도 남도민요 선법이 약화된 형태 그리고 남도민요 선법과 동부민요 선법이 혼합된 형태도 적지 않게 존재한다. 그러나 들노래와 달리 전북 장례요에는 경기민요 선법이 거의 쓰이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남도민요 선법이 약화된 형태는 요성이 약하거나, do-Si의 꺾는 음이 완만한 형태를 띠며, Mi와 La 두 음으로 구성되기도 하는데, 주로 <관암소리>에 많다. 남도민요 선법과 동부민요 선법이 혼합된 형태는 대체로 Mi-(Sol)-La-Si-do-re의 구조가 많다. do-Si의 꺾는 음의 사용과 re에서 do로 흘러내리는 창법이 공존하며, La-do의 단3도 진행, La에서 Mi로 하행시 Sol이 경과적으로 쓰이는 La-Sol-Mi 진행이 많다. 전북지역 장례요의 받는 소리는 대부분 Mi로 종지한다. 시작음은 Mi 또는 La가 가장 많고, re가 그 다음으로 많다. 그 밖에 do로 시작해서 Mi로 종지하는 형태, La로 시작해서 La로 종지하는 형태가 있으나 많지 않고, Sol로 시작해서 Sol로 종지하는 형태는 매우 적다. 경기지역 장례요의 받는 소리가 do로 시작해서 Mi로 종지하거나 La로 시작해서 Mi로 종지하는 형태가 일반적인 것과 다른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장례요의 선법적 양상과 관련이 있다. 전북지역에서 상여소리의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의 사설은 길이가 같은 형태, 메기는 소리가 받는 소리보다 긴 형태, 받는 소리가 메기는 소리보다 긴 형태 세 가지로 나뉜다. 각각의 형태는 일정한 장단을 단위로 구성되는 것과 자유리듬으로 부르는 것으로 대별된다. 일정한 장단을 단위로 부르는 소리는 3소박 4박자가 주를 이루며, 중모리 장단에 맞는 것은 많지 않다.

      • KCI등재

        항행 및 항법 : DO-278A 표준을 적용한 A-SMGCS 개발 사례 연구

        조상훈 ( Sanghoon Jo ),이홍석 ( Hongseok Lee ),김자영 ( Jha Young Kim ),이진근 ( Jin Geun Yi ) 한국항행학회 2016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0 No.2

        본 논문은 항공기 지상이동유도 및 통제 시스템(A-SMGCS)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CNS/ATM 분야의 지상용 항공장비 소프트웨어 표준인 DO-278A를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DO-278A를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고려사항들을 기술하였으며, DO-278A에 명시된 프로세스 혹은 요건들을 테일러링한 방법에 대해 상세히 논의하였고, 테일러링된 결과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리고 DO-278A를 처음 적용하여 개발하고자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사항들과 DO-278A를 적용하면서 발생했던 문제점들이나 이슈사항들을 정리하였다. 결론으로 DO-278A를 적용하면서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교훈들을 설명하였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이나 이슈사항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 case study of applying to DO-278A, which is a software development standard of ground aviation equipment in communication, navigation, surveillance/air traffic management (CNS/ATM) domain, in order to develop software of Advanced surface movement, guidance and control system (A-SMGCS). It explains considerations to application of DO-278A standard, discusses how to tailor processes or requirements specified in DO-278A in detail, and explain tailored results. And it also summary problems or issues occurred during application of DO-278A, which can be appeared when DO-278A is applied to for the first time by any development part. These are required considerations in order to reduce trial and error. To the conclusion, it explains lessons learned from application of DO-278A and suggest how to solve these problems or issues.

      • KCI등재

        삼봉 정도전의 도가철학 해석의 관점과 그 한계 비판

        이종성 ( Lee Jong-sung )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88

        한국도가철학사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여말선초의 삼봉 정도전(1342-1398)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인물이다. 그는 조선건국의 철학적 이념을 유가적 세계관을 통해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그 이념의 수호를 위하여 불교와 도가를 배척하는데 앞장선 인물이다. 그동안 정도전의 불교비판에 대해서는 수많은 연구 성과가 축적되었음에도, 도가비판의 한계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시도된 적이 없다. 이 연구는 이 점에 주목하고 정도전의 도가철학 해석에 대한 기본 입장과 그 한계를 검토하고자 한 연구의 목표와 필요성에 의해 기획되었다. 이글은 먼저 정도전의 학문적 기본 입장에 대해 주목한다. 정도전은 도가철학을 이단의 성격을 갖는 기학(氣學)으로 규정한다. 그런데 이러한 기학의 한계는 그가 제안하는 또 다른 이단학문인 불교의 심학(心學)에 의하여 공격된다. 뿐만 아니라 기학과 심학은 정도전 스스로 리학(理學)이라고 규정한 유학의 최종 범주 틀로부터 타자의 학문으로 배척받게 된다. 결과적으로 정도전의 도가비판은 그의 불교비판과 마찬가지로 유가를 수호하기 위한 호교론의 방편으로 제안된 것임이 확인된다. 다음으로 이 글은 정도전의 도가철학 해석의 입장과 그 한계에 대해 주목한다. 이 글은 정도전이 본 도가철학 해석에 관한 기본 입장을 네 가지 측면에서 검토한다. 즉 도가철학은 (1) 불연속적 세계관의 특징, (2) 반윤리적 특징, (3) 현실 부정적 도피주의의 특징 (4) 불로장생 추구의 특징 등을 갖는다는 것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 글은 이와 같은 정도전의 도가철학 해석의 관점이 결코 객관적이거나 공정한 평가일 수 없다는 점을 문제 삼는다. 이에 이 글은 최종적으로 정도전의 도가철학에 대한 부정적 해석의 관점에 대하여 주목하고, 그 한계 비판을 각각 네 가지 측면에서 검토한다. 요컨대 도가철학은 정도전이 본 것과는 다르게 (1) 존재와 생명의 영속성, (2) 세속윤리 부정의 도덕론, (3) 현실 비판적 현실주의, (4) 생사초월의 생사관 등의 의의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한다. 이러한 검토의 결과 정도전의 도가철학에 대한 해석의 관점이 특정한 목적의식에서 제시된 것임을 분명히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연장선상에서 정도전에 의해 왜곡되었던 도가철학의 의의를 새롭게 복권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고 본다. In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Korean Taoist philosophy at the end of Koryo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Sambong Jeong Do-jeon (1342-1398), is a person who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He not only presented the philosophical ideology of the foundation of Joseon through the Confucian viewpoint of the world, but also took the initiative in rejecting Buddhism and Taoism. While there have been a number of research results of Jeong Do-jeon's criticism of Buddhism, there has not been individual research on the limits of Jeong Do-jeon's criticism of Taoism.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the objective and necessity to examine Jeong Do-jeon's basic position of the interpretation of Taoist philosophy and its limits. In the first place, this writing pays attention to Jeong Do-jeon's basic position of studies. Jeong Do-jeon defines Taoist philosophy as Qi studies with the nature of a cult. Yet this limit of Qi studies is attacked by the mind studies of Buddhism which he regards as another cult. Furthermore, the Qi studies and mind studies are attacked as other studies from the final frame of category he himself defines Li studies as. As a result, Jeong Do-jeon's criticism of Taoism, like his criticism of Buddhism, is certain to be presented as a way to protect his religion. Then, this writing focuses on Jeong Do-jeon's interpretational perspective of Taoist philosophy and its limits. This writing examines the basic position of Jeong Do-jeon's interpretational perspective of Taoist philosophy in four aspects. They are: (1) the characteristic of a discontinuous viewpoint of the world, (2) that of immorality, (3) that of escapism to deny reality, and (4) that of the quest to live ever-young. This writing, however, focuses on the fact that Jeong Do-jeon's interpretational perspective of Taoist philosophy was never a fair valuation. Thus, this writing finally pays attention to Jeong Do-jeon's negative interpretation of Taoist philosophy and gives criticism of its limits in the following four aspects. In short, the meaning of Taoist philosophy, unlike Jeong Do-jeon's perspective, has (1) the permanence of beings and lives, (2) the morality to criticize morality, (3) the realism to criticize reality, (4) the view of life and death to transcend life and death. Through the result of this examination, Jeong Do-jeon's interpretational perspective of Taoist philosophy is certain to be presented with a certain objective. Furthermore, the meaning of Taoist philosophy which has been distorted by Jeong Do-jeon is seen to have a chance to be renewed.

      • KCI등재

        유한준(兪漢雋),박윤원(朴胤源)의 도문분리 논쟁과 유한준(兪漢雋)의 각도기도론(各道其道論)

        박경남 ( Kyeong Nam Park ) 한국한문학회 2008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2

        본고는 18세기의 저명한 도학자인 朴胤源(1734-1799)과 문장으로 이름이 높았던 兪漢雋(1732-1811)간의 서신 논쟁의 맥락과 그 구체적 내용을 검토하고, 그런 가운데 兪漢雋 도문분리론의 성격과 의의를 밝힌 것이다. 두 사람은 절친한 벗으로서 道文分離論爭은 그들의 평소 토론의 연장선상에서 나온 것이었다. 박윤원은 “도학이 훌륭하면 문장도 훌륭해진다”는 도문일치적 관점에서 유한준의 평소 생각인 도문분리의 관점을 비판하는 편지를 보냈고, 유한준은 “도학이 훌륭하지 못해도 문장은 뛰어난” 여러 反例를 제시함으로써 도문일치론의 허구성을 비판하고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성리학적 道가 아니더라도 “각자는 모두 자신의 道를 道로 삼아” 그것을 끝까지 추구해 나가면 훌륭한 문학에 이를 수 있다는 ‘各道其道論’이라는 새로운 문학적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유한준이 말년에 자신의 道文分離論을 철회하고 載道論으로 회귀하였다는 주장도 있어 왔으나 본고는 논쟁 이후의 자료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유한준이 말년까지도 ‘문학의 독자적 영역’과 ‘道文의 동등한 가치’를 주장하는 ‘道文分離’의 핵심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道文一致의 이상을 받아들인 것임을 밝혔다. 또한 이러한 도문일치적 이상도 성리학적 가치만을 인정하는 ‘載道論’이 아니라 모든 개인의 가치를 긍정하는 ‘各道其道論’ 위에 세워짐으로써 유한준의 도문분리론이 각자의 삶에 기반한 ‘모든 개인들의 다양한 사상과 취향’을 적극적으로 긍정하는 새로운 문학적 관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짐을 밝혔다. This essay is to review The Argument about Do-Mun-Bun-Ri(the argument on Separate of Morality and Literature; 道文分離論爭) between Park, Yun-won 朴胤源(1734-1799) and Yu, Han-jun 兪漢雋(1732-1811). As a good friend, Yu and Park often disputed with each other about many topics, The Argument about Do-Mun-Bun-Ri 道文分離 also arose from an usual disputation between them by letter. Park, Yun-won 朴胤源 wrote Yu, Han-jun 兪漢雋 a letter, in the letter, he criticized Yu`s idea supported Do-Mun-Bun-Ri on view of Do-Mun-Il-Chi-Ron 道文一致論, the idea that Morality and literature are in consistency. But Yu, Han-jun 兪漢雋 contradicted Park`s view by presentation of a lot of counterexamples, and he made his case that though not in basis of the Confucian morality, all the people can produce the best literary works and other results in that followed out their own moral behavior, idea and talent. The very same idea that he assert was called Gak-Do-Gi-Do-Ron 各道其道論 by him. After the Argument, Yu, Han-jun 兪漢雋 abided by his view to his last moment, but also accecpted the ideal of Do-Mun-Il-Chi 道文一致 in preserving the core of Do-Mun-Bun-Ri 道文分離, that is the idea of Literature`s value is equal to Morality`s and all of two have their own province. As this idea about Do-Mun-Il-Chi 道文一致 of Yu`s is not in the basis of Jae-Do-Ron 載道論, the idea that Literature is a method expressing the Confucian Morality, but in the basis of Gak-Do-Gi-Do-Ron 各道其道論, it had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bring up it on Literary to a new point that affirm a various morality, idea and taste of each individual person.

      • KCI등재

        조선 후기 ‘文道論’의 전개 양상에 대한 일고찰

        김용태 우리한문학회 2022 漢文學報 Vol.47 No.-

        The relation between Mun文 and Do道 had been major research topic i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criticism.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important subjects such as ‘understanding concept of Mun-i-jae-do文以載道’, ‘debate between Jaedo-lon載道論 and Gwando-lon貫道論’, or ‘proposal of Domunbunli-lon道文分離論’, and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are accumulated. Along with these results, few problem still exists. There were tendency of emphasizing either ‘unity合一’ or ‘division分離’ of do and mun based on personal opinion of research conductor. Some opinions came up with schematic structure that ‘Unity of Do and Mun道文合一’ comes from medieval thoughts and ‘Division of Do and Mun道文分離’ is modern concept. In result, some interpretations suggest inapposite explanation. It is possible to point out few problems of ‘Mun-i-jae-do-lon’ as it put direct connection between mun and do as precondition or placing Cheng-Zhu Studies程朱學 in exclusive throne of do. However, maintaining balance between mun and do can be said as a major task of contemporary literature also. In fact even in late Choson appeared a certain trend to find newer relationship rather than direct connection between do and mun, and in these days some movements in literature field try to find relatively creative connection of literature with universal values such as politics. Therefore we need to adopt the term ‘Mundo-lon文道論’ and approach to ‘Unity of Mun and Do’ and ‘Division of Do and Mun’ with integrative thoughts. Based on examples in history, literature could not carry out its role when mun and do were severely divided.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of late Choson has met its end among severe division of mun and do, but there were surely and even precious attempts to find new connection of mun and do. This part should be focused and followed with more intense research. 그동안 한문학 비평사에서 文과 道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중요한 주제였다. 文以載道의 개념 파악, 載道論과 貫道論의 논쟁, 道文分離論의 제기 등 주요한 연구 과제를 통과하며 이제는 상당한 성과가 축적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성과와 함께 문제점도 있었다. 도와 문의 ‘합일’과 ‘분리’를 종합적으로 바라보지 못하고 연구자의 성향에 따라 어느 한쪽을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도문합일’은 중세적 사유이고 ‘도문분리’는 근대적 사유라는 도식적 이해도 생겨났다. 이로 인해 자료 해석에 무리가 따르기도 하였다. 중세의 문이재도론이 문과 도의 즉자적 연결을 전제하거나, 도의 자리에 배타적으로 정주학만을 위치시킨 것은 문제로 지적할 수 있다. 그러나 문과 도의 긴장감 있는 상호 작용을 통해 문과 도의 깊이와 넓이를 함께 확장해 나간다는 의미에서의 ‘문과 도의 적절한 관계’는 현대문학에서도 버려서는 안 되는 원칙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조선 후기에는 도와 문의 즉자적 연결을 넘어 도와 문의 새로운 관계에 대한 모색을 추구하는 흐름이 나타났으며, 오늘날에도 문학을 정치 등 보편적 가치와 창조적으로 연결하려는 문학 현장의 움직임이 있다. 그러므로 한문학계도 이제는 ‘문도론’이라는 용어를 도입하여 문도합일과 도문분리를 통합적으로 사유할 필요가 있다. 역사상의 몇몇 사례를 보았을 때, 문과 도의 분리가 극심하던 때에 문학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했다. 조선 후기 한문학은 문과 도의 극심한 분리 상태에서 종말을 맞았지만, 그 속에서도 문과 도의 새로운 연결을 고민했던 소중한 흐름이 있었으니, 이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