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예 대중화’를 위한 메이커 교육 프로세스 연구 -디자인 씽킹 방법론(W-I-P-R)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박혜영,나건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2

        The biggest paradigm shift in Korean education happened when creative education was emphasized through education reform in 1995. Subsequently, the ‘Basic Plan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was announced in 2009.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end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cultivating creative talent’, as the global economic paradigm shifts from the industrial and economic centers to the cutting-edge knowledge economy centered on innovation, creation,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the field of crafts, it is necessary to study various viewpoints on the advancement of expertise and the direc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by reflecting this trend at the turning point in the experience-oriented era where anyone can experience craf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direction and reference point of the craft convergence education for the popularization of crafts by analyzing concepts that include “crafts education”, examples, processes, and structural precedent research intensively. As a research metho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xperts in related fields to promote creativity in crafts and collect opinions on convergence education. Afterwards, the educational process was induced, which approached it with an extended craft concept including maker utilizing design thinking-based creative workshop process. For the study, 42 out of the 107 significant data from prior studies related to craft education published in the past 10 years were used. They were classified based on 5 educational targets: infan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ary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adults. Then, the main common keyword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craft education of the previous researcher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rection of craft education in three aspects such as targets of education, the subject of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concept of craft is expanding into makers. In addition, four craft education implications were drawn: the lack of research in integrated education in the craft field,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convergence knowledge in connection with industry, the need to study the changing technology grafting process, and the importance of researching alternative programs for the general public. Based on the findings, it is tried to propose the process of maker education by linking the direction of the craft education that was drawn up with the industrially activated Design Thinking. Accordingly, among design processes, we focused on the W-I-P-R (Word-Image-Prototype-Role Playing) process, which can be applied to objects of various backgrounds and can be used by extending the basic model according to the field. In order to find an efficient way to combine the design process and craft, we interviewed craft experts, design experts, W-I-P-R experts, and maker training experts to gather expert opinions on the maker training process.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ocess of design education and maker education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the concept of each step was organized to construct a creative process applicable to both the public and experts. As a result, three expected effects were presented: demonstration of individual creativity, utilization of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fields, and opportunity for market entry through the applying the W-I-P-R-W⁺ maker process. 한국 교육의 가장 큰 패러다임의 변화는 1995년 교육개혁을 통해 창의성 함양교육을 중요시하기 시작한 시점부터이며 이후 2009년도 ‘창의⋅인성교육 기본방안’ 이 발표되면서 구체화되었다.1) 세계 경제 패러다임의흐름 역시 산업과 경제 중심에서 혁신적 창조⋅정보⋅ 지식 중심의 첨단지식 경제로 전환됨에 따라 국제사회는 ‘창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는 추세이다.2) 누구나 공예를 경험할 수 있는 경험 중심 시대의 전환점에서 공예 분야 또한 이러한 시대적흐름을 반영하여 전문 지식 고도화와 융합 교육 방향성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공예 교육’을 포함하는 개념, 사례, 과정, 구조적 선행연구를 집중 분석하여 공예 대중화를 위한 공예 융합교육 방향성 및 기준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공예의 창의성 증진 및 융합 교육에 대한 의견 수렴을 위해 연계 분야 전문가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후 디자인 씽킹 기반 창의 워크숍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메이커를 포함한 확장된 공예 개념으로 접근한교육 프로세스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지난 10년간 발행된 공예 교육 관련선행 연구 자료 중 유의미한 107건 중 42건의 자료를유아, 초등, 중고등, 대학, 일반 5가지 교육 대상을 기준으로 분류하였고, 선행 연구자의 공예 교육 내용을분석하여 주요 공통 키워드를 선별하였다. 교육 대상, 교육 주체, 교육 내용의 세 가지 측면으로 공예 교육의 방향성을 살펴본 결과 공예의 개념이 메이커로 확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예 분야 내 통합교육의 연구 부족 산업과 연계한 융합 지식 이해 부족, 변화하는 기술 접목 프로세스 연구의 필요, 일반대중을 위한 대안 프로그램 연구의 중요성이라는 네가지 공예 교육 시사점을 종합적으로 도출하였다. 이후 도출한 공예 교육의 방향성을 산업적으로 활성화된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 디자인 사고)과 연계하여 메이커 교육의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디자인 프로세스 중 하나로 다양한 배경의 대상에게 적용 가능하며 분야에 따라 기본 모델을 확장하여 활용 가능한 W-I-P-R(Word-Image-Prototype- Role Playing) 프로세스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디자인 프로세스와 공예를 접목하는 효율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공예 전문가, 디자인 전문가, W-IP- R 전문가, 메이커 교육 전문가 등과 인터뷰를 진행하여 메이커 교육 프로세스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인터뷰 결과를 반영하여 디자인 교육과 메이커 교육의 프로세스를 비교 분석 후, 단계별 개념을정리하여 공예 분야뿐 아니라 대중과 전문가 모두에게 적용 가능한 창의적 프로세스를 구성하였다. 최종도출한 W-I-P-R-W⁺ 메이커 프로세스를 적용한 교육을 통해 개인의 창의성 발현, 분야 간 소통의 수단활용, 시장 진출에 대한 기회 확보라는 세 가지 기대효과를 결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 현대공예 교육의 시작과 그 특성

        허보윤 미술사학연구회 2020 美術史學報 Vol.- No.55

        이 연구는 한국의 ‘현대공예’가 대학이라는 고등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성립된 하나의 장르임을, 또한 그‘현대공예’가 고등교육을 통해 1960년대에 시작되었음을 전제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해방 후 대학이라는 체제 아래에서 초창기 현대공예 교육이 어떠한 배경을 가지고 성립하였으며, 어떤 성격을 가진 것으로 구성되었는지를 살핀다. 특히 선구적인 역할을 한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홍익대학교의 현대공예 교육 성립과정을 추적하고, 서라벌예술대학과 국민대학교의 상황을 간략히 일별한다. 이대의 자수전공을 시작으로 한국의 공예·디자인교육이 출발했고, 이후 1950년대 말과 60년대 초를 거치며 이대의 황종구를 중심으로 한 도자 교육, 서울대의 권순형을 기점으로 한 도자 교육, 그리고 유강열과 원대정이 이끈 홍대의 공예 교육이 ‘현대공예’ 교육의 성격을 띠고 시작된다. 이렇듯 다른 대학의 모델이 되었던 주요 대학의 학과와 전공의 변천사를 추적하여 현대공예 교육의 성격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일제 강점기에 번역·수입된 ‘미술공예’에서 분화한 현대공예는, 미술공예와는 다른 성격의 분야로 성립된다. 1950년대까지는 미술공예의 장르적으로 미분화된 성격이 대학교육에 반영되었으나, 1960년대부터 대학의 공예교육은 제작 실습으로 특화된 공예라는 전문 분야를 가르치는 일로 서서히 자리하게된다. 한편, 현대공예 교육자들의 자의식은 엘리트 예술인이 아닌 순수미술 작가로서 심화되었고, 이제 미술공예 시대처럼 ‘밖’으로 내보이기 위한 일을 통해 자신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근대적 서구 문화를 선구적으로 이르게 흡수하여 ‘안’을 향해 발산하는 우월한 현대인으로 스스로를 자리매김한다. 이를 위한 타자로서 과거와 전통이 소환되고, 타자와의 구별, 즉 전통성의 배제를 통해 현대적인 주체가 되고자하였다. 이러한 초창기 현대공예 교육의 특성은 이후 공예에 관한 무한반복의 논쟁을 낳는 시발점이 되었다. This study’s premise is that ‘contemporary crafts’ in Korea is a genre that was established by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represented by universities, and that ‘contemporary crafts’ began in the 1960s. Based on this premise,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in which early contemporary craft education was established within the university system after liber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In the late 1950s and the early 1960s, contemporary craft education in Korea began with ceramic education programs led by Hwang Jong-koo at Ewha Womans University and Kwon Soon-hyun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e crafts education at Hongik University, which was led by Yoo Kangyul and Won Dae-jeong. Thus, this study traced back the history of the departments and majors at the major universities that served as models for other university programs. Although contemporary craft was derived from the field of ‘Misul-gongye(art-craft),’ which was translated and impor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was established as a field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Misul-gongye. Until the 1950s, the characteristic of art-craft was reflected in university education. Yet, crafts education began to establish itself as a specialized program for training students through practice with material from the 1960s. Educators of contemporary crafts have come to consider themselves as fine-art ‘A’rtists rather than elite artists. They do not define themselves through exposing themselves ‘outward,’ as had been the case in the art-craft era. They now consider themselves prominent modern beings and pioneers and adopters of modern Western culture who express themselves ‘inward.’ For this, the past and traditions were summoned as the other. Such characteristics of early contemporary crafts education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the infinitely repeated arguments on craft identity.

      • KCI등재

        공예 교육을 통한 현대 공예 문화의 대중화 방안 연구 -해외 공예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박혜영,나건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n characteristics of craft value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 by analyzing cases of foreign craft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raft education in order to expand the base of crafts field and democratize crafts culture in a rapidly changing era. As a research method, I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craft culture, and public culture on the basis of literature data and examined trends reflecting the trend of the times.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I was able to derive the object of craft education, the value of modern craft, and the means of craft culture for popularization. First of all, it is found that craft education which affects from basic education to comprehensive creative activity should be widely carried out by all generations including children, craftsmen and designers, and the public. In addition, based on the modern values of crafts commonly held by the American Craft Council, the Korea Craft and Design Foundation, and Crafts Council London, craft value is extracted as 7 traits – universality, discipline, action, heritage, accessibility, professionalism, and profoundness. Finally, we derive instrumental direction for popularizing craft culture through popular culture and mass media trend. The status of craft education in Korea is related to the training of uniformed professional manpower. So, I selected the cases of craft education in the “Purposeful Selection” among the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Europe where the craft education is active. The program of each country is summarized in terms of education method, subject, period, and contents, and also the comprehensive analysis is conducted in contrast with the value attribute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study. Lastly, as a result of comparing with Ken Robinson’s classification system of learning, education, and training,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way of the craft education program in each country according to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education but, During the period, experts, artisans, students, and people directly participated, and it was found that the step-by-step education was progressed with the circular structure of learning, education and train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irection of modern craft education based on craft value – learning to acquire new knowledge and competence, educating through systematic learning program for target and purpose, and training to understand and learn the changing technology – should be integrated. Besides, the popularization of craft culture through the flow of popular culture is broad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open global network community, step-by-step public participation program, lifelong creative mind training, and individualized craft technology support. It seems that it is an unsatisfactory point that the direction of craft education proposed in this study is limited to some cases of representative countries, and I hope that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mocratization of craft culture by analyzing more domestic and foreign case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급변하는 시대 환경에서 공예 분야의 저변확대와 공예 문화 대중화를 위하여 공예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공예 가치의 현대적 속성을 살펴보고 해외 공예 교육 사례를 분석하여 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 자료를 토대로 공에 교육의 현황, 공예 문화와 대중문화의 의미를 파악하고시대 흐름을 반영한 트렌드를 살펴보았다. 이론 연구를 통해 공예 교육의 대상, 현대적 공예 가치, 대중화를 위한 공예 문화의 수단을 도출 할 수 있었다. 먼저 국내외 공예 교육 현황과 정책을 살펴봄으로써 기초 교육부터 포괄적인 창조활동까지 영향을 미치는공예 교육은 어린이, 전공자, 일반 대중 등 전 세대를걸쳐 폭 넓게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미국공예문화진흥원, 한국공예문화진흥원, 영국공예청에서 공통적으로 내포하는 공예의 현대적 가치를 토대로 공예 가치를 ‘보편성, 교육성, 행동성, 전통성, 접근성, 전문성, 심오성’으로 추출하여 7가지 속성으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중문화와 대중매체 트렌드를 통해 공예 문화 대중화를 위한 수단적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한국의 공예 교육 현황은 획일화된 전문인력 양성에 미치고 있어 미국이나 유럽 등 공예 교육이 활성화 되고 있는 국가 가운데 의도적 선택(Purposeful Selection)’ 방법으로 사례를 선정하여 공예 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각 국가별 프로그램은 교육 방법, 대상, 기간, 내용으로 정리하였으며, 이론연구에서 도출된 가치 속성과 대조하여 종합 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켄 로빈슨의 교육 분류 방식을 적용하여학습, 교육, 훈련으로 비교하여 살펴본 결과 각 국가별 진행하는 공예 교육 프로그램은 문화적 특성과 교육 내용에 따라 방식의 차이는 있었으나, 일정한 기간동안 전문가와 장인, 학생 및 일반인이 직접 참여하여학습, 교육, 훈련의 순환적구조로 단계별 교육이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현대 공예 교육의 방향성은 공예가치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과 역량을 습득하는 학습, 대상과 목적에 맞는 체계적인 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 변화하는 기술을 이해하고 습득에 초점을 맞추는 훈련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대중문화의 흐름을 통해 살펴본 공예 문화의 대중화 방안을 크게 4가지 관점인 개방형 글로벌 네트워크 커뮤니티, 단계별 대중 참여 프로그램 확대, 생애 주기별창의 마인드 교육, 개인별 맞춤 공예 기술 지원을 토대로 지속적인 공예 교육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공예 교육의 방향성이 대표적 국가의 일부 사례로 한정되어 진행된 점은 아쉬운점으로 사료되며, 추후 연구를 통해 보다 많은 국내외사례를 분석하여 공예 문화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는연구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공예교육의 역할과 방향

        모인순(Mo, In-Soo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1 조형디자인연구 Vol.14 No.4

        현재까지 초등학교와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공예교육은 활성화되지 않았고, 60% 이상의 학생들은 거의 공예를 경험하지 못하고 있으며, 학교의 공간과 시설 또한 공예교육을 시행하기에는 열악한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에서 2010년부터 문화예술교육의 한 분야로서 시행되고 있는 초등학교 공예교육은 교육수요자와 공예인 모두에게 가치가 있는 사업이다. 앞으로 주 5일제 수업과 문화에 대한 국가적인 문화예술교육 정책으로 공예교육의 기회는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우리 공예인들이 현대 사회에서 공예교육의 가치와 역할에 대하여 정확하게 인식하여 일반교육에 맞춘 교육내용을 개발하고 실천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공예교육의 역할과 방향을 모색하는 기본전제는 ‘공예교육이 학생들의 삶과 어떻게 연관될 것인가?’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예교육의 역할과 방향에 대한 초점을 ‘공예교육의 가치와 의미 제고’, ‘공예교육 프로그램의 체계적 개발’, ‘공예 강사의 역량 강화’ 그리고 ‘지역사회와의 연계’에 맞추었다. 한국의 교육계와 공예의 현장에서 이러한 모색들이 탐구되고 실천될 수 있다면, 본 사업의 구체적 목표인 ‘공예를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 부여’, ‘공예 전문 강사 인력 발굴 및 일자리 창출’, ‘공예교육을 통한 전통문화 계승 및 예술적 창의력 향상 도모’의 성과뿐만 아니라 정부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비전인 ‘개개인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사회의 문화 역량 강화’의 목표를 달성하는데도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Until now craft education doesn’t practice mostly i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More than 60% students doesn’t experience craft realm, and the space and equipments of schools are not sufficient for craft education. In the while craf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tated in 2010 by support of Korea Art and Culture Education Service. This is valuable opportunity for craft education consumers and craftsmen. Futhermore opportunity for art and craft education service will expand for 5 days school learning and cultural education policy of government. Then we recognize and explore contents in the value and the role of craft education in the future. In this study, fundamental premise is how does craft education relate to life of students.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mental directions in the craft education will ‘improvement of craft education’s value and meaning’, ‘systematic development of craft education’s programs’, ‘strength of craft educator’s ability’, and ‘connection of regional society’. We explore and practice these proposals in the Korean education and craft field, we will have the opportunity for learning and educating craft, scout for craft educators and search for their’s jobs as well as succession of cultural heritage and elevation artistic creation. I think these targets achieved, we will reached ‘improvement of cultural quality for personal life’ and ‘strength of society’s ability’ in the government’s policy for art and culture vision.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 공예교육의 사례연구 자유학기제 공예교육활동 중심으로

        서승현 ( Seung Hyun Suh ),이명아 ( Myung Ah Lee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5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1 No.-

        본고는 사회적 갈등의 해소와 사회발전과 통합, 창의적 인재양성의 매개로 주목 받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에 서 공예교육의 교육적 의의와 목표를 통하여 공예의 통합적 특성을 제고하고, 2016년 전면 시행되는 중학 교 자유학기제의 교육활동에서 문화예술 공예교육이 가지는 교육적 역할과 운용 가능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자유학기제 교육활동에서 예술과목과 타 교과간의 융합수업의 강화는 공예가 가지고 있는 통합적 속성들을 기반으로 한 문화예술 공예교육의 목적 및 목표와 같은 지향점을 가진다. 공예교육의 통합적 속성은 다른 교과 간 연계·융합교육과 체험·참여형 교육으로 타 학문과의 통합적 지식을 구축하여 미래의 문화를 읽고 창조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 운영방안을 기조로 자유학기제 문화예술 공예교육활동에 대한 수업사례와 제안을 통하여 문화예술 공예교육으로 학생들의 행복한 미래를 설계 할 수 있는 확장된 사고와 창의적 능력을 함양 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과정 안에서 자기 주도적으로 스스로의 미래를 위한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와 능력을 키워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어진 문화예술교육의 관점 에서의 공예교육의 사례와 효용성은 공예교육을 중심으로 한 일부라 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형태의 자유학기제 교육활동을 위한 문화예술 공예교육에 대한 모색과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raise the integrated characteristics of craft through the educational meaning and goals of craft education in culture & art education, grabbing attention as a medium of settling social conflicts, social development/combination and fostering creative talent, but also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operation and educational roles of culture & art craft education of free-learning semester in middle school which will be fully executed in 2016. Strengthening the convergence classes between art subject and other subjects in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free-learning semester is aiming at the same objectives and goals of culture & art craft education based on the integrated attributes of craft. With the connecting/convergence education with other subjects and experience/participating education, the integrated attributes of craft education can cultivate the capacity of reading and creating culture of the future by establishing the integrated knowledge with other studies. Through the suggestion and class cases of culture & art craft educational activities of free-learning semester, this study aims to make sure that students can develop the extended ideas and creative ability to design the happy future with culture & art craft education, and also to raise their ability and the opportunities to explore the future career self-directly. The utility and cases of craft education in the aspect of culture & art education suggested by this study can be a part of craft education. It should be followed by more studies on culture & art craft education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free-learning semester in more various forms.

      • KCI등재

        근대 학교교육에서 공예교육의 발생배경과 흐름

        강정현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3 조형디자인연구 Vol.26 No.1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background of genesis and flow of craft education not to foster professionals but to cultivate common refinement. For identifying the reason that object making activity handling material and tools with hand was introduced and spread can confirm the necessity and value of craft education for students in present time. The method is based on reference research. European manual training in 19th century, assumed as the early form of craft education, as an alternative for conventional intellectualism education. Manual training for students was incorporated into public education as a subject by Cygnaeus and taught with the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al system called Salamon’s sloyd system. These attempts were spreaded throughout Europe and gone over to the U.S. to affect to Dewey’s laboratory school. Manual training, or craft education for students was mainly practiced by art theorists in 20th century. Read, Eisner and others referred experiencing various materials and realizing forms using tools as essential activities. This means that ‘craft process’, combination of the hand, brain and mind, enriches creativity and expands world of experience to promote personal development and contribute to communication with society. The study shows that craft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system has provided balance to rationalistic or typical textbook centered education since 19th century, playing significant roll to cultivate holistic humanity with balanced mind-body. Addition to this, it has affecte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craft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system. It has ensured that the values of craft education drawn from the study, including ‘the value of cognitive development through hand-mind coordination’, ‘the value of manual skill and labor’, ‘the holistic value of reason and sensitivity’, ‘the value of in-depth thinking and expression’, ‘the value of good habit and manner’, is valid nowadays. 이 연구는 근대 학교교육에서 전문가 양성이 아니라 일반 소양을 기르는 공예교육의 발생배경과 흐름을 살펴보고 의미를 되새기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손으로 재료와 도구를 다루어 사물을 만드는 행위가 근대 학교교육에 왜 도입되었으며, 확산되었는지를 밝히는 것은 현재 학생들을 위한 공예교육의 필요성과 가치를 확인시켜줄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하였다. 공예교육의 초기 형태로 볼 수 있는 19세기 유럽 수공교육은 기존의 주지주의 교육의 대안으로서 채택되었다. 학생을 위한 수공교육은 시그나에우스에 의해 공교육에 하나의 교과로 편입되었으며, 살로몬의 슬로이드시스템이라는 체계를 갖추어 교육되어졌다. 이러한 시도는 유럽 전체로 확산되었고, 미국으로 건너가 듀이의 실험학교에 영향을 미쳤다. 20세기 학생들을 위한 공예교육은 주로 교육이론가들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리드, 아이스너 등은 다양한 재료를 체험하고 도구를 사용하여 형태를 구현하는 활동이 필수적인 미술활동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는 손과 머리, 마음이 결합된 ‘공예적 과정’은 창의력을 높이고 경험세계를 확장하여, 개인의 발전을 도모하며 사회와의 소통에 기여한다는 의미이다. 연구 결과, 학교교육에서 공예교육은 19세기부터 지속적으로 이성 중심 교육이나 전형적인 교과 위주의 교육에 균형을 제공하여 심신이 조화로운 전인적 인간상을 육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또한 우리나라 학교교육에서 공예교육의 성격을 규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연구에서 도출된 공예교육의 가치, 즉 ‘손과 정신의 협응력을 통한 인지발달의 가치’, ‘손기술과 노동의 가치’, ‘통합적 가치’, ‘심층적 사고와 표현의 가치’, ‘좋은 습관과 태도의 가치’는 현재에도 유효한 공예교육의 가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미술교과 내 공예교육의 흐름 연구

        강정현(Kang, Jung-hy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공교육의 흐름 속에서 공예교육의 특성을 고찰하고 분석한다. 교과교육 중심으로 진행된 우리나라 공교육에서 공예교육은 별도의 교과가 아니라 주로 미술교과에 포함되어 교육되어져 왔다. 처음에는 미술의 영역이 아니라 직업교육의 성격을 가진 ‘수공’이라는 별도의 교과로 출발하였으며, 이후 미술 영역에 진입하였으나 내용면에서 기계·기구의 조정과 분해 및 수리를 지향하는 등 정체성의 혼란을 겪으며 ‘공작’이라는 명칭으로 불리었다. 국가와 교육부의 주도로 교육과정이 시작되면서 1, 2차 교육과정에서의 공예교육은 조형적인 입체 활동 전반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만들기’로, 3~6차 교육과정에서는 장르로서의 ‘공예’로, 그리고 7차 교육과정 이후 현재까지 ‘탈장르와 통합교육 위한 역할’로 변화되어 왔다.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이 더 중요해지고 있는 현 시점 1) 에, 시기별로 다른 특성을 보여준 공예교육의 발자취를 쫒는 것은 향후 공예교육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raft education in the current of the public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n the public education practiced focusing on subjects, Korean craft education has been taught mainly as a part of art subject, not a independent subject. It started as a different subject from art, ‘hand-craft’, which overlapped in many ways with vocational education. Though craft education entered to art area late, it was called ‘handiwork’ with an identity crisis e.g. to pursue adjusting and mending of machines and devices. After government and the Educational Department had a lead of the implementing of educational courses, craft education has acted in different as from the comprehensive ‘making’ encompassing various formative 3-dimensional activities in the 1st and 2nd educational courses, to the specialized area of ‘craft’ in 3-6th educational courses, to the mean of post-genre and comprehensive education since 7th educational course. In times when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have been enforced, to track down the steps of craft education reveal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era can be fundamentals to decide the direction of the future craft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역사와 연계한 도자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한 경 원,최병건 한국도자학회 2017 한국도자학연구 Vol.14 No.2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cultivation of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suggests the integrated approach between subjects adopting the concept of STEAM education, starting from a keyword 'convergence'. The current school education provides education of diverse art areas like Gukak(Korean classical music), film, play, craft, and photograph, and the craft area has the integrated attributes of craft necessary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2) Nevertheless, the craft has not been universalized in school education, so that the latent infinite educational resources in craft area should be developed. Thus, this paper aims to produce a convergenc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process of learning/understanding the diversity of other subjects and craft area through the ceramic craft educational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craft lesson, and also to suggest its case.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the range and contents were extracted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on craft education and definition of the current 2009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Yi Sun-shin in the figure learning of elementary society,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converging diverse methods of craft area and a film 『Roaring Currents』. The craft education connected to Yi Sun-shin was applied like below. Starting with a film 『Roaring Currents』, the life of admiral Yi Sun-shin is connotatively shown, and the concept using the principles of convergence craft education is analyzed. The story is developed through the research of Yi Sun-shin as a great man and correctly understanding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1597. Planning the 1st session(History+Craft), 2nd sess(Geography+Craft+Design), 3rd session (Craft+History+Play), and 4th session(Craft+Science+Play) through the convergent application, the Nanjungilgi(War Diary)-Turtle Ship-Batter of Myeongnyang-Tactics & Strategies were materialized, which was used for the production/application of a craft educational program with four sessions.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case are like following. First, by producing/recomposing Nanjungilgi as a hanji book, learners could learn and emulate a spirit of recording and attitude of Yi Sun-shin overcoming/writing the hardship of war. Second, The Turtle Ship designed suitable for Korean topography was used to experience the material property of soil through the production of earthenware, and also to learn techniques of ceramic craft and principles of plasticity. Third, the scroll of painting and tactic play became materials to correctly understand the history through Yi Sun-shin's naval battle, and also to motivate learners who used to be far away from art activities. Fourth, the reproduction of Uldolmok in the film 『Roaring Currents』 was led to learners' independent and voluntary participation through the installation art work to scientifically understand Yi Sun-shin's tactics and Korean topography. Fifth, in the results of reflecting the history lesson that could be boring based on the figure learning to craft education, it became a chance to educationally utilize it by increasing the interest in work production and convergently applying Korean cultural heritage. Even though the ceramic craft is still perceived as a part of traditional art, if diverse crafts are connected with other subjects, it could be recomposed as creativity/convergence-type programs suitable for Korea, instead of STEAM. As the craft is not the past-oriented art any more for its diverse artistry and integrated attributes, based on this study, researches on school craft education should be continued, so that it could be reborn as creative craft lesson.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인재 양성에 초점을 맞춘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융합이라는 키워드를 시작으로 STEAM 교육의 개념을 도입한 교과간의 통합적 접근을 제시하고 있다. 현 학교교육에서는국악, 영화, 연극, 공예, 사진 등의 다양한 예술분야의 교육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중 공예분야는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공예만의 통합적 속성을 가지고 있다.1)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예가 학교교육에서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공예영역에 잠재되어 있는 무한한 교육자원들은 개발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에 본 논문은 초등학교 공예수업의 도자공예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타 교과 및 다른 공예분야의 다양성을 학습하고 이해하는 과정의 융합교육프로그램 제작과 그 사례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현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의 정의와 공예교육의 선행 연구를 통하여 범위와 내용을 추출하고, 실행과정에서 초등사회 인물학습 이순신을 중심으로 영화『명량』과 공예분야의 다양한 방법을 융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순신 연계 공예교육의 적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영화 『명량』을 시작으로 이순신 장군의 생애를 함축해 보여주며, 융합공예교육의 원리를 이용한 개념을 분석한다. 이순신에 대한 위인탐구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각각 바로알기를 통하여 스토리를 전개한다. 융합적적용으로 1차시(역사+공예), 2차시(지리+공예+디자인), 3차시(공예+역사+놀이), 4차시(공예+과학+놀이)를 기획하며, 난중일기–거북선–명량해전–전술 및 전략 등을 구체화시켜 4차시의 공예교육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수업에 적용하였다. 사례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지책으로 제작해본 난중일기는 전쟁의 상황을 극복하고 집필한 이순신의 정신과 기록문화로서의 가치를 되새겨 볼 수 있었다. 둘째. 지형의 원리로 설계한 거북선은 흙의 물성을 활용한 토기로 제작하여 도자공예의 다양한 기법과 원리를 체험 할 수 있었다. 셋째. 두루마리그림과 전술 놀이는 이순신의해전을 통한 역사를 바로 읽고, 미술활동에서 멀어진 학습자들에게 놀이로 학습 할 수 있는 흥미로운동기유발 자료가 되어주었다. 넷째. 영화 『명량』의 울돌목 재현은 우리나라 지형과 이순신의 전술을과학적으로 이해하는 설치미술작업으로 학습자의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가져왔다. 다섯째. 역사수업의 인물학습을 공예교육에 적용해본 결과 학습자의 작품제작에 흥미를 높이고, 우리문화유산을 융합적으로 적용하여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학교교육에서 도자공예는 전통미술의 한 분야로 인식하고 있지만, 타 교과와 다양한 공예가 연계되면 STEAM 이 아닌 현 우리나라 교육에 맞는 창의 융합형 프로그램으로 재구성 될 수 있다고 본다. 다양한 예술성과통합적 속성을 근거로 공예는 더 이상 과거 지향적 예술이 아님을 자부하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학교공예교육의 연구가 지속되어 더 이상 도태되지 않는 창의적인 도자공예수업으로 거듭 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 공예교육의 사례연구 -자유학기제 공예교육활동 중심으로

        서승현,이명아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5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1 No.-

        본고는 사회적 갈등의 해소와 사회발전과 통합, 창의적 인재양성의 매개로 주목 받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에서 공예교육의 교육적 의의와 목표를 통하여 공예의 통합적 특성을 제고하고, 2016년 전면 시행되는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교육활동에서 문화예술 공예교육이 가지는 교육적 역할과 운용 가능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자유학기제 교육활동에서 예술과목과 타 교과간의 융합수업의 강화는 공예가 가지고 있는 통합적 속성들을 기반으로 한 문화예술 공예교육의 목적 및 목표와 같은 지향점을 가진다. 공예교육의 통합적 속성은 다른 교과 간 연계·융합교육과 체험·참여형 교육으로 타 학문과의 통합적 지식을 구축하여 미래의 문화를 읽고 창조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 운영방안을 기조로 자유학기제 문화예술 공예교육활동에 대한 수업사례와 제안을 통하여 문화예술 공예교육으로 학생들의 행복한 미래를 설계 할 수 있는 확장된 사고와 창의적 능력을 함양 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과정 안에서 자기 주도적으로 스스로의 미래를 위한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와 능력을 키워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어진 문화예술교육의 관점에서의 공예교육의 사례와 효용성은 공예교육을 중심으로 한 일부라 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형태의 자유학기제 교육활동을 위한 문화예술 공예교육에 대한 모색과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raise the integrated characteristics of craft through the educational meaning and goals of craft education in culture & art education, grabbing attention as a medium of settling social conflicts, social development/combination and fostering creative talent, but also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operation and educational roles of culture & art craft education of free-learning semester in middle school which will be fully executed in 2016. Strengthening the convergence classes between art subject and other subjects in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free-learning semester is aiming at the same objectives and goals of culture & art craft education based on the integrated attributes of craft. With the connecting/convergence education with other subjects and experience/participating education, the integrated attributes of craft education can cultivate the capacity of reading and creating culture of the future by establishing the integrated knowledge with other studies. Through the suggestion and class cases of culture & art craft educational activities of free-learning semester, this study aims to make sure that students can develop the extended ideas and creative ability to design the happy future with culture & art craft education, and also to raise their ability and the opportunities to explore the future career self-directly. The utility and cases of craft education in the aspect of culture & art education suggested by this study can be a part of craft education. It should be followed by more studies on culture & art craft education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free-learning semester in more various forms.

      • KCI등재후보

        공예교육의 가치에 대한 고찰

        모인순 한국도자학회 2012 한국도자학연구 Vol.8 No.2

        The inherent concepts and content of crafts rely on the properties of materials used. Crafts are unique in that they are produced by hand and resonate the cultures of the individual regions in which they are produced. Against this backdrop, crafts education is based on limited analogue activities which exist in this highly-advanced digital-based industrial society. Hence, the meaning of crafts education can be found in that it revisits the human identity through works of crafts attained from analogue activities-the combination of mental concentration and physical labor, which is disappearing in this digital-industrial society. Moreover, crafts education enables the learners to recognize and further enhance the integrated knowledge in the field of crafts,thereby cultivating their abilities to understand and create new cultures for the future.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crafts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following perspectives:First, it should the studied on the basis of ontological values. Second, it should be studied on the basis of epistemological values of inner maturity as well as instrumental values as part of the representation of individuals. In particular, the tactile representation of analogue materials in the deluge of visual images in the digital society serves as a medium to represent the ego by discovering one's inner cognition. Third, due to the nature of crafts, which can communicate through the acts of experiencing,appreciating and criticizing such representation formats, they can be used as a significant substance that contains the diachronicity, universality and severability of communication. This study, the following three aspects were presented as the values of crafts education:First, the value as a methodology for dialectical thinking that is related to one's cognitive development and the cognitive aspect of crafts. Second, the educational value, which comes from the the fact that the original role of crafts is to communicate with others(other cultures or persons). Third, the value lies in the fact that the learners' intellectual maturity can be improved through crafts education, for the work of crafts is a result of coordination between the hands and thought. Crafts education can enable the learners to improve their knowledge-building process by circulating their tacit and explicit knowledge base. 공예의 고유한 개념과 내용은 재료의 속성에 의존하고, 반드시 손으로 제작된 것이며 각 지역의 문화적인 실체라는 점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예교육은 고도로 발달하고 있는 디지털 산업사회에서 잔존하는 소수의 아날로그적 행위에 기반을 둔다. 그러므로 공예교육은 디지털 산업 사회에서 상실되어 가고 있는 아날로그적 행위, 즉 정신적 집중과 육체적 노동으로 얻어지는 결과물을 통해 인간의 정체성을 확인하며, 공예 영역에 담긴 통합적 지식을 인식하고 향상시켜 미래의문화를 읽고 창조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공예교육의 특성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첫째, 삶의 원형으로서 존재론적 가치에서 탐구되어야 한다. 둘째, 개인의 표상형식으로서 도구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내면적 성숙의 인식론적 가치로 탐색되어야 한다. 특히 디지털 사회의 시각문화 홍수 속에서 아날로그적 재료와의 촉각적인 표상요인은 개인의 내면적 인지들을 발견하여 자아를 표현하는 매체로서 작용한다. 셋째, 실제로 그러한 표상형식들을 체험하고 감상하며 비평하는 행위인 소통의 속성에서 통시성과 보편성 그리고 개별성을 담을 수 있는 의미체로서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공예교육의 가치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학습자의 인지발달과 관련된 변증법적 사고의 방법론으로서의 가치이다. 둘째, 공예의 기원이 되는 역할이 타자(다른 문화, 다른 이들)와의 소통에 있다는 점에서 타자에 가치를두는 교육으로서의 가치이다. 셋째, 공예교육을 통한 학습자의 지적인 성숙은 손과 사고의 협응과정으로서, 학습자가 암묵지와 형식지의 순환으로서 자신의 지식을 구축해 나가는 과정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가치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