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英語世界老莊學研究動態

        吳雪萌(Wu Xue-Meng)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09 동서사상 Vol.6 No.-

        Lao-tzu and Chuang-Tzu are great philosophers in ancient China. Their brilliant works Lao-tzu and Chuang-Tzu are not only the treasures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but also the spiritual wealth of all human beings. In recent years, the academia has paid more attention to the Taoist culture, and the research on Lao-tzu and Chuang-Tzu is on the way of development in China. Nowadays, diversification of the study becomes the main direction in China. The scholars from the history and culture department in the Huazhong Normal University have contributed a lot on the studies of Lao-tzu and Chuang-tzu. The Professor Xiong Tie Ji and other researchers from the history and culture department have written the first book The History of the Studies on Lao-tzu in China, and the Chinese Study of Lao-tzu in the Twentieth Century, and The History of the Studies on Chuang-tzu in China. Besides, the Chinese Study of Chuang-tzu in the Modern History is in the preparation. These two books analysis the studies of Lao-tzu and Chuang-tzu in China systematically, and have great influence in Chinese academe. But it is a pity that the foreign scholars’ studies of Lao-tzu and Chuang-tzu haven’t been attached enough importance. In fact, as the development of the reform and opening?up, more and more foreign scholars paid attention to the Chinese history and culture. They begin to study on the Chinese culture, especially the Taoist and Taoism culture. From 18th to 19th century, it’s the missionaries who let the West know the Lao-tzu from China. But after the World War, people despaired with the Western culture became seek comforts from the East, especially China. Many scholars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Lao-tzu. In 1773 some new texts were found in the Ma Wang Dui in Chang sha, they attract many scholars’ interests. Form then, the study of Lao-tzu became popular in the home and broad. Different from the study of Chuang-tzu, some Chinese scholars have tried to do some research on the study of Chuang-tzu in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Vice Professor Bao Zhaohui in Nanjing University has published a paper which is on the study of Chuang-tzu in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Besides, there appears some paper for the Doctor’s Degree in Fudan Universiry. Recently, some new scholars summarize the studies of Lao-tzu in the West. Zhang Juan Fang has published her paper for the doctor’s degree Studies of Lao-tzu in the West of the 20th century, introduced more than ten scholars and their productions. Xin Hong Juan also written a book Tao-Te Ching in the English Speaking Country described the spread of Lao-tzu in more than five centuries. This paper retrospect the development of the studies of Lao-tzu and Chuangtzu in China and the in the English Speaking Country, summarizes the studies of Lao-tzu and Chuang-tzu in the twentieth century, and estimates the typical scholars and their productions. In all, this paper brings forth the developments of the studies of Lao-tzu and Chuang-tzu in the in the English Speaking Country, in the twentieth century.

      • KCI등재

        『莊子』 예술론에 대한 반성적 시론

        이종선 동양철학연구회 2013 東洋哲學硏究 Vol.74 No.-

        『Chuang-tzu』 has never regarded art as purpose or object, and never pursued specific art. However, after Xu Fu-guanread Chuang-tzu(莊子) as art in his Chuang-tzu spirit of Chinese Art』, Chuang-tzu has been led to a major breakthrough to be understood as “the spirit of art”. Like this, the statements that 『Chuang-tzu』 are understood as art conflict wit 『Chuang-tzu』. Thus, introspection work is requested whether the points expanding denotation of 『Chuang-tzu』 to art are valid suggestions or not. The introspection work should be accomplished with ‘Chuang-tzu can be understood by Chuang-tzu’. Namely, words, writings, concepts, and statements of Chuang-tzu should be considered and accomplished by 『Chuang-tzu』Art or the spirit of art cannot be found in thoughts of Chuang-tzu. But, we can saythat 『Chuang-tzu』 reflected by prism of Confucianism opened the rise of art. Though we probably say 『Chuang-tzu』 contains philosophical backgrounds which enabled later generations’ artworks or final grounds where art can be accomplished, grounds of the Confucianism was necessary for Chuang-tzu to expand the denotation into art or the spirit of art. The thoughts of ‘Xuanxue’ played the part of role. Therefore, the thoughts of Chuang-tzu and the thoughts of ‘Xuanxue’ should be separated. 『장자』는 예술을 목적이나 대상으로 삼은 적이 없으며, 특정한 예술을 추구하지도 않았다. 하지만 서복관이 『중국예술정신』에서 『장자』를 ‘예술’로 讀解한 이후, 『장자』는 “예술” 혹은 “예술정신”으로 이해되는 획기적 전환을 맞게 된다. 이렇듯 『장자』를 예술로 이해하는 진술들은 『장자』와는 모순된다. 그러므로 『장자』의 외연을 예술의 영역까지 확장하는 논지들이 『장자』에 근거한 타당한 주장인지 등에 대한 반성작업이 요청된다. 이때의 반성작업은 ‘以莊解莊’, 즉 『장자』의 말과 글, 개념과 진술로써 『장자』의 “예술성”을 되 집어 보아야 하는 작업이다. 물론 미학연구 방법론에 따라 감성론이나 심미론 등의 측면에서 『장자』의 사유를 심미감성론으로 고찰해본다면 그것은 가능할 것이다. 美/醜 등의 개념이나, 함지악 등이 심미감성론적 이해의 틀이 될 수 있으며, 아울러 心의 高揚의 과정인 숭고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감성론⋅심미론의 영역으로 미학적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렇듯 미학연구방법론에 근거하여 『장자』를 반성하여 볼 때, 『장자』의 사유에서 예술 혹은 예술정신을 찾아 볼 수는 없다. 장자의 사유는 예술이나 문화를 온축하여 전해주는 人爲가 아니라 無爲無不爲, 無爲自然을 주된 내용으로 하기 때문이다. 다만 儒學적 프리즘에 투영된 장자가 예술의 흥기를 열었다고 할 수 있다. 장자의 사유가 내용으로써 유가적 형식과 만나 예술화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장자』에는 후대의 예술작품이 가능하게 된 철학적 배경이나, 예술이 성립할 수 있는 최후의 근거들은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겠지만, 그것이 예술 혹은 예술정신으로 외연을 넓혀 가는대는 인위와 인문적인 儒學의 틀거리가 필요했던 것이다. 그 역할을 담당한 사유가 바로 玄學이었다. 그러므로 『장자』의 사유와 현학의 사유는 구별되어야 한다.

      • KCI등재

        장자(莊子)의 "도(道)"와 게슈탈트 심리치료의 "게슈탈트Gestalt"

        양승권 ( Seung Gueon Yang )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4 No.-

        이 논문은 장자莊子사상과 게슈탈트 심리치료의 방법론적인 친화성을 연구해 장자 사상의 현재적 의의를 확장했다. 펄스F.Perls에 의해서창안된 게슈탈트Gestalt 치료 기법은 기존의 여러 서양 심리학 분야들과동양의 도가道家사상 및 선불교 등이 접목되어 탄생한 분야다. 장자사상과 게슈탈트 심리치료는 실존적인 위기 상황에 대처해 삶의 방식을 ``존재중심``으로 이끌도록 자극한다. 이 논문은 장자 사상을 게슈탈트 심리치료와 연접시키면서 특히 장자의 ``도道`` 심급에 대해 집중했다. 필자는 ``게슈탈트Gestalt``를 개체에게 내재되어 있는 도道가 전체로서의 도道와 그때그때 합일되는 이미지 형성이라고 간주한다. 또한 게슈탈트심리치료에서 말하는 ``게슈탈트`` 형성을 잠시 스쳐가는 도의 실현에 대한 그때그때의 ``근본적인 느낌``과 실현이라고 전제한다. 총합적 의미의도道가 나에게 편재되어 있는 미시적 도道와 같은 지평에 있다는 것은 장자가 설파하는 도道담론의 핵심이다. 장자의 도는 일의적인 의미성도 아니고 무無의미성도 아닌 범汎의미성이다. 장자 사상이나 게슈탈트 심리치료는 모두 ``호모 파티엔스Homo Patiens``로서의 인간의 고통을 걷어내기 위한 이론이다. 장자 사상과 게슈탈트 심리치료는 ``공감 의식``을 중시한다. ``공감 의식``이란 나와 타자(자연환경을 포함한)의 단절을 다시 화해시키는 마음가짐이다. 장자의 방법과 게슈탈트 심리치료의 전제는 남에 의해서가 아닌 내 스스로에 의한 ``나 자신의 보살핌``이다. 펄스에 의하면 인간은 오직 자신의 진실한 본성으로서만 성장할 수 있다. 장자에게도 마음의 치료는 인위적인 노력이 아니라 ``본래 스스로 그러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게슈탈트 심리치료도 인간을 결함을 가진존재라고 보지 않는다. 펄스에 따르면 식물이나 동물은 자신의 성장을 스스로 막지 않는데, 단지 인간만이 자신의 성장을 막는다. 장자도 하늘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뭇 생명들이 호흡을 원활히 하도록 구멍을 뚫어주고 있는데 인간만이 스스로 자기 구멍을 틀어막고 있다고 개탄한다. 인간의 타고난 본성은 정해진 원칙이 아니라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므로, 마치 아름다운 자연 대상을 완상하듯이 인간을 바라보아야만 한다. 이 점은 장자가 사람을 대하는 태도였으며 게슈탈트 심리치료에서도 상담자가 내담자를 향해 지녀야만 할 기본적 태도다. 주로 우주론적 성격이 농후한 노자의 도道에 비해 장자의 도道가 유심론적 경향이 강한 측면을 생각해 보면, 장자 사상에 대한 현대 심리학적 연구는 지금보다 더욱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 장자는 모든 변별되는 가치들을 하나로 소통시키고자 하는 데에 관심을 집중했으며, 현실 참여와 뒤로 물러섬 사이의 순환 체계를 특별히 강조했다. 이런 측면을 전면에 내세운 심리치료 유파가 바로 게슈탈트 심리치료다. 게슈탈트 심리치료는 크게 보아 ``동양사상+서구심리학``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본논문에서는 이를 ``동양사상×서구심리학``이라는 ``적분``적 차원으로 승화시키고자 했다. This paper has expanded present meanings of the ideas of Chuang Tzu by comparing them with the methodology of psychological treatment. Gestalt therapy developed by Fritz Perls is a field which was created by grafting Western various existing psychology fields onto Taoism and Zen Buddhism. The ideas of Chuang Tzu and Gestalt therapy stimulate ways of life into the "center of existence" from dealing with existential crisis situations. This paper especially focused on the concept of "Tao" of Chuang Tzu while compared with the Gestalt therapy. The writer considers Tao inside an individual to be united with Tao of the whole from time to time. Also, I premise that formation of "Gestalt" is a "fundamental feeling" case by case about the realization of Tao passing for a while. The thing that Tao of macroscopic meanings are on the same line with microscopic Tao inside me is the core in discussion of Tao which is said by Chuang Tzu. The ideas of Chuang Tzu and Gestalt therapy are all theories to remove pains of humans as "Homo Patiens". The ideas of Chuang Tzu and Gestalt therapy emphasize "awareness of sympathy". The awareness is mental attitude to reconcile severance between me and others (including natural environment) again. The method of Chuang Tzu and the premise of Gestalt therapy are "caring for myself" by not others but myself. According to Perls, humans can grow only by their true essentiality. In Chuang Tzu, mental treatment can be realized by "originally being done of itself", not by artificial effort. In Gestalt therapy, humans are considered as existence equipped with everything already. According to Perls, plants or animals do not block their own growth but only humans block their own growth. Chuang Tzu laments that the sky drills holes day and night so that lives can breathe smoothly but only humans close their own holes for themselves. The innate natures of humans are different per person. So, we should see humans like appreciating beautiful nature. The point was the attitude that Chuang Tzu treated people and also a basic attitude which should be had by counselors for clients. Tao of Chuang Tzu emphasizes minds compared with Tao of Lao Tzu which is mainly imbued with cosmology. Considering the character of the ideas of Chuang Tzu, modern psychological studies on the ideas of Chuang Tzu are necessary to expedite more actively. Chuang Tzu intended to make diverse values communicated into one. And, he particularly underlined circulation between participation in reality and stepping back from reality. A school of psychological treatment which asserted this aspect on the front is Gestalt therapy. The therapy may be expressed "Orientalism + Occidental psychology" broadly. However, this paper tried to sublimate it into the dimension of "integral" called "Orientalism × Occidental psychology".

      • KCI등재

        일반 논문 : 『장자(莊子)』 예술론에 대한 반성적 시론

        이종선 ( Jong Sun Yi ) 동양철학연구회 2013 東洋哲學硏究 Vol.74 No.-

        『장자』는 예술을 목적이나 대상으로 삼은 적이 없으며, 특정한 예술을 추구하지도 않았다. 하지만 서복관이 『중국예술정신』에서 『장자』를 ‘예술’로 讀解한 이후, 『장자』는 “예술” 혹은 “예술정신”으로 이해되는 획기적 전환을 맞게 된다. 이렇듯 『장자』를 예술로 이해하는 진술들은 장자와는 모순된다. 그러므로 『장자』의 외연을 예술의 영역까지 확장하는 논지들이 『장자』에 근거한 타당한 주장인지 등에 대한 반성작업이 요청된다. 이때의 반성작업은 ‘以莊解莊’, 즉 『장자』의 말과 글, 개념과 진술로써 『장자』의 “예술성”을 되 집어 보아야 하는 작업이다. 물론 미학연구 방법론에 따라 감성론이나 심미론 등의 측면에서 장자의 사유를 심미감성론으로 고찰해본다면 그것은 가능할 것이다. 美/醜등의 개념이나, 함지악 등이 심미감성론적 이해의 틀이 될 수 있으며, 아울러 心의 高揚의 과정인 숭고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감성론·심미론의 영역으로 미학적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렇듯 미학연구방법론에 근거하여 『장자』를 반성하여 볼 때, 『장자』의 사유에서 예술 혹은 예술정신을 찾아 볼 수는 없다. 장자의 사유는 예술이나 문화를 온축하여 전해주는 人爲가 아니라 無爲無不爲, 無爲自然을 주된 내용으로 하기 때문이다. 다만 儒學적 프리즘에 투영된 장자가 예술의 흥기를 열었다고 할 수 있다. 장자의 사유가 내용으로써 유가적 형식과 만나 예술화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장자』에는 후대의 예술작품이 가능하게 된 철학적 배경이나, 예술이 성립할 수 있는 최후의 근거들은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겠지만, 그것이 예술 혹은 예술정신으로 외연을 넓혀 가는대는 인위와 인문적인 儒學의 틀거리가 필요했던 것이다. 그 역할을 담당한 사유가 바로 玄學이었다. 그러므로 장자의 사유와 현학의 사유는 구별되어야 한다. Chuang-tzu has never regarded art as purpose or object, and never pursued specific art. However, after Xu Fu-guanread Chuang-tzu(莊子) as art in his Chuang-tzu spirit of Chinese Art, Chuang-tzu has been led to a major breakthrough to be understood as “the spirit of art”. Like this, the statements that Chuang-tzu are understood as art conflict wit Chuang-tzu. Thus, introspection work is requested whether the points expanding denotation of Chuang-tzu to art are valid suggestions or not. The introspection work should be accomplished with ‘Chuang-tzu can be understood by Chuang-tzu’. Namely, words, writings, concepts, and statements of Chuang-tzu should be considered and accomplished by Chuang-tzu. Art or the spirit of art cannot be found in thoughts of Chuang-tzu. But, we can saythat Chuang-tzu reflected by prism of Confucianism opened the rise of art. Though we probably say Chuang-tzu contains philosophical backgrounds which enabled later generations’ artworks or final grounds where art can be accomplished, grounds of the Confucianism was necessary for Chuang-tzu to expand the denotation into art or the spirit of art. The thoughts of ‘Xuanxue’ played the part of role. Therefore, the thoughts of Chuang-tzu and the thoughts of ‘Xuanxue’ should be separated.

      • KCI우수등재

        조선시대 승려 문집의 『장자(莊子)』 수용과 활용 - 『침굉집(枕肱集)』을 중심으로

        이대형(Lee Dae Hyung) 불교학연구회 2016 불교학연구 Vol.48 No.-

        불교에서 『장자』를 대하는 태도는 대체로 우호적이다. 불가의 필독서로 꼽히는 『치문경훈(緇門警訓)』에 『장자』에서 유래한 표현들이 보이고, 사상면에서 『장자』에 대해 부분적이거나 그렇지 않은 차이는 있지만 긍정한다는 점에서는 다를 바 없다. 조선시대 승려 문집에서 『장자』를 대하는 태도 역시 대체로 긍정적이다. 청허휴정처럼 비판한 경우도 있으나 그 이후로는 대개 불교와 같은 진리로 여기는 입장을 보인다. 그래서 조선후기 승려 가운데는 『장자』의 표현을 법호로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발견된다. 『장자』 가운데서도 특히 붕새이야기가 기재된 「소요유」와 호접몽이 기재된 「제물론」이 핵심사상으로 자주 언급되곤 하였다. 『장자』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현상은, 조선시대 불가에서 자기만의 특색을 강조하기보다는 삼교회통의 관점이 주도적이었다는 점과 관련된다. 이는 성리학이 강력하게 작용하는 조선사회라는 틀에서 불교가 생존하기 위한 방안일 수 있다. 『장자』의 사상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므로 글쓰기에서 그 표현을 활용하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불가 문집 가운데 『침굉집』은 특히 빈번하면서도 다채로운 방식으로 『장자』를 활용하였다. 『침굉집』에는 『장자』의 문맥을 그대로 가져오는 경우도 있지만 그것을 해체하여 자신의 문맥에 맞게 재조합하는 경우가 여러 차례 발견된다. 기존 번역서를 검토한 결과 『장자』 문맥과 다르게 활용한 표현들에 대해서 그 차이를 유념하지 않고 『장자』 문맥대로 번역한 경우들이 보인다. 사실 『장자』만이 아니라 다른 문헌들에 대해서도 원래 표현과는 다른 방식으로 활용한 경우가 발견되는데 이는 침굉의 문장력을 보여주는 측면이기도 하다. Buddhists have an amicable relationship with Chuang-tzu (『莊子』). Chimunkyunghun (『緇門警訓』), one of the must-reads for Buddhists, is a good example. It has used similar expressions and ideas from Chuang-tzu. This friendly attitude tended to be stronger in the Joseon Dynasty.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written by Buddhist monks still keep this friendly attitude, with the exception of Cheongheo Hyujeong (淸虛 休靜), who expressed criticism of Chuang-tzu. In the later Joseon Dynasty, some Buddhist monks used words from the Chuang-tzu for their own Dharma name as well. For example, there are Buhyu Seonsu (浮休 善修), Soyo Taeneung (逍遙 太 能), Heobaek Myoungjo (虛白 明照), etc. I think this positive attitude towards Chuang-tzu suggests that Buddhists have treated Taoism and Confucianism as similar kinds of truth. Two especially well-known stories from Chuang-tzu, a story of a roc and a story of a butterfly dream, were frequently mentioned. The intermixture of those three religions could be the means for Buddhism to survive through the Joseon Dynasty, when Confucianism dominated the nation. Since Buddhists accepted the ideas of Chuang-tzu, they have used the expressions in Chuang-tzu in various ways. Chimgoengjip is outstanding in this manner and displayed creative variations. Chimgoeng Hyeonbyeon (枕肱 懸辯), the writer of Chimgoengjip, frequently quoted Chuang-tzu and changed words, putting them in another way in his context. Later, translators sometimes misinterpreted such cases. They miss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meaning in Chuang-tzu and the transformed meaning in Chimgoengjip. In fact, Chimgoeng utilized many expressions not only from Chuang-tzu but also from other literature such as The Book of Odes etc., which proved his remarkable writing skill.

      • KCI등재

        곽말약의 장자철학 해석의 변천과정과 비판적 장자관에 대한 반론

        이종성(Lee, Jong Sung) 한국도교문화학회 2020 道敎文化硏究 Vol.52 No.-

        이 글은 곽말약의 장자철학 해석의 변천과정과 비판적 장자관에 대한 반론을 수행해 보려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다. 첫째, 곽말약 장자관의 4단계 변천과정이다. 즉 제1기 찬미의 시기, 제2기 회의의 시기, 제3기 비판의 시기, 제4기 정치이념의 시기가 그것이다. 이러한 변천과정을 통해 곽말약의 장자관이 단순한 고착성에 머물지 않고 시대에 따라 다양한 특성으로 변화되어 왔음을 확인한다. 둘째, 곽말약의 비판적 장자관의 주요 특성이다. 곽말약은 장자가 염세주의적 인생관과 교활한 기회주의적 처세론, 그리고 이상적 인간으로 제시한 진인(眞人)이 기형적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와 내용을 살펴본다. 셋째, 곽말약의 비판적 장자관에 대한 반론이다. 곽말약의 장자관에 왜곡된 측면이 있음을 전제로 이에 대한 대항담론을 제시함으로써, 장자철학의 본래적 취지와 의의에 가까이 다가가 본다. 종합적으로 볼 때, 곽말약의 장자관은 전통적 해석의 관점에 구애받지 않고 새로운 시각을 통해 비판적으로 장자를 해석해낸 긍정적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 그의 장자관에 깊이 침투되어 있는 이데올로기적 색채를 벗겨내는 일은 온전히 후대인의 몫으로 남았음을 밝히고자 한 것이 이 글의 문제의식이다. This writing is aimed at examine the transition process of Guo Moruo’s interpretation of Chuang-tzu’s philosophy and the counterargument to the critical viewpoint of Chuang-tzu. With regard to this, this writing discusses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ly, the four steps of Guo Moruo’s viewpoint of Chuang-tzu are discussed. The first period is that of exaltation, the second period is that of skepticism, the third is that of criticism, and the fourth is that of Political ideology. Through this transition process, it is verified that Guo Moruo’s viewpoint of Chuang-tzu did not stay simply fixed but changed into variou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eriods. Secondly, the main characteristic of Guo Moruo’s critical viewpoint of Chuang-tzu is discussed. Guo Moruo points out that Chuang-tzu has a pessimistic view of life and a sly opportunistic attitude, and that the true man that he represented as an ideal man has a deformed characteristic. I will examine the concrete cause and content of this. Thirdly, the counterargument to Guo Moruo’s critical viewpoint of Chuang-tzu is discussed. I will approach the intrinsic purpose and significance of Chuang-tzu’s philosophy by presenting a counterargument to this on the premise of there being a distorted aspect in Guo Moruo’s viewpoint of Chuang-tzu. All things considered, it is said that Guo Moruo’s viewpoint of Chuang-tzu has a positive significance in which it interprets Chuang-tzu critically through a new perspective regardless of the viewpoint of traditional interpretation. Nevertheless, what strips his viewpoint of Chuang-tzu of an ideological color penetrated deep there will be left entirely to posterity.

      • KCI등재

        莊子의 內篇으로 분석한 영화 <아바타>에 관한 연구

        이현주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1 No.5

        본 연구에서는 제임스 캐머런(James Francis Cameron)감독의 영화 『아바타(Avatar, 2009)』,의 맥락에 드러난 장자 (莊子)의 철학적 사상(思想)을 찾고자 하였다. 장자의 사상이 시공간적 배경과 문화적 차이를 횡단하여 현재 서양의 스토리텔링(Storytelling) 매개(媒介)인 영화에 드러난다는 것 자체가 익숙하지 않게 들릴 수 있겠으나, 진리의 탐구를 논하고자 하는 철학자와 내러티브(narrative)를 구성하려는 영화감독의 간극(間隙)에 나타난 사상적 관통(貫通)의 존 재성을 믿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영화 『아바타』의 ‘제이크 설리(Jake Sully)’는 걸을 수 없는 장애를 가진 현실의 모습과는 대조적으로 잠을 통한 아 바타와 링크된 판도라에서의 삶은 누구보다도 용맹스럽고 활력이 넘친다. 이러한 내러티브는 『장자』「내편」의 사 상 중 ‘소요유(逍遙遊)’의 한 대목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소요유’는 ‘소요하며 노닐다’라는 의미로 구속이 없는 절대적인 자유의 상태로 제이크가 아바타와 링크된 상태와 같다. 또한 영화 속 제이크의 “Everything is back words now. Like out world there is the true and in here is the dream.”의 대사는 제이크 자신이 자신의 진짜 모습을 구별할 수 없는 상태를 가리키는 것으로 장자의 제물론 중 ‘호접지몽(胡蝶之夢)’에 나타난 물아일체를 경험하고 있음 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웅장하고 아름다운 경관을 지닌 판도라와 이를 지키려는 아바타족의 삶의 행태는 무릇 성인( 聖人)이란 ‘천지의 아름다움’을 근원으로 삼고 ‘만물의 이치’에 통달한 사람이라고 했던 장자의 사상과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이렇듯 『장자』의 사상이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여 분석 영화들과 개연성을 보이고 있는 첫 번째 이유로 『장자』의 상상력이 표현된 생동감 넘치는 문체로 이는 판타지 영화장르가 가지고 있는 환상성과 판타지 영화 속에 고스란히 드 러나 공통분모로 작용하고 있다. 두 번째 이유로는 시대적 배경으로 피할 수 없는 현재의 고통을 잠시나마 잊고자 하 는 바람에서 형성된 판타지 장르는 과거 전쟁의 시대를 지낸 철학가의 사상과 경쟁이 난무하는 각박한 현실 속에 있 는 영화감독들의 메시지 전달을 위해 공통적으로 선택되었으며, 인위를 거부하고 자연의 흐름에 따르는 물욕 없는 삶 의 행태는 그 시대적, 문화적 차이를 뛰어 넘어 대상에게 동일한 의미부여를 가능하게 하는 ‘진리’로서 철학과 영화에 서 같은 의미의 메시지로 전달되고 있는 것이다. In the study, philosophical thought by Chuang-tzu described in『Avatar (2009)』directed by James Francis Cameron was investigated. Finding thought by Chuang-tzu in a movie the western storytelling medium might not be considered even natural in the first place because in order to make that happen, Chuang-tzu's idea should overcome spatio-temporal background as well as cultural differences in advance. However, even so, the study had to be carried out for its having a belief in the presence of philosophical penetration appeared in time intervals between the philosopher who would discuss the truth and the film director who would compose a narrative. In the real world, Jake Sully in『Avatar』is disable to walk, but in Pandora linked to Avatar that he could meet only by sleeping, he would look braver in full of energy than anyone in the other world. Such narrative is considered to be in the same vein with some passage in 'Free and Easy Wandering (逍遙遊)' one of the thoughts found in 「Preface」by『Chuang-tzu』. As a term that means 'take a walk in peace', ‘Free and Easy Wandering’ is an ultimate freedom that would never be affected by any restriction. After all, 'Free and Easy Wandering' is a condition that how Jake is linked to Avatar. In addition, “Everything is back words now. Like out world there is the true and in here is the dream.” the line that Jake said in the film implies that Jake is no longer to see which is his real self, and that is what corresponds to Becoming one with an object in 'The Butterfly Dream (胡蝶之夢)' from Discussion of Setting Things Right by Chuang-tzu. Moreover, Pandora with the grand, beautiful nature and acts of Avatar to protect Pandora could be understood the same to how Chuang-tzu defines a saint as an individual who would be well-versed in the reason of all creation as one lives on an idea of 'the beauty of the earth and the sky'. As mentioned so far, thought by『Chuang-tzu』would be related to analytical films as it transcends time and space. As the very first factor to make Chuang-tzu's idea naturally applied in the fantasy movie, Chuang-tzu's writing style full of imagination and liveliness would come in the first as it works favorably with fantasy that would be only found in the fantasy movie. For the second factor, in the beginning, since the fantasy movie has been created to forget present pains caused by any demands of the times at least for a while, thoughts by the philosopher who has gone through so many wars in his life were determined to be a proper messenger to deliver film directors' intentions to the tough world filled with fierce competitions. As the 'truth' that would make it possible to impart the same meaning to a target by overcoming differences of the times and the cultures, the thought by Chuang-tzu to refuse any artificiality but to follow orders of nature in the pursuit of life without worldly desires is being delivered as a massage that would have the same meaning both in the philosophy by Chuang-tzu and the film by the western director.

      • KCI등재

        일반논문 : 石川(석천) 林億齡(임억령)의 漢詩(한시)에 受容(수용)된 莊子思想(장자사상)

        김용진 ( Yong Zhen Jin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5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6

        석천 임억령(石川 林億齡, 1496~1568)은 호남의 ‘사종(詞宗)’이라는 명성에 걸맞게 한국문학의 폭과 깊이를 더한 한시의 대가라 할 수 있으며, 현재 남아있는 시편만으로도 2천 5백여 수가 된다. 그의 작품 중에는 장자(莊子, 대략 B.C.369~286)와 관련된 요소들이 자주 등장하는데, 이는 장자의 사상을 적극 수용하고, 실천에 옮기려고 노력했던 석천의 인생 태도를 그대로 반영해주고 있다. 눌재 박상(訥齋 朴祥, 1474~1530)에게 나아가 수학하던 시절, 스승은 석천에게 『장자』를 읽도록 하면서 말하기를 “너는 반드시 문장이 될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는 동생 괴마 임백령(槐馬 林百齡, 미상∼1546)에게 『논어』를 읽으라고 하면서, “이는 족히 관각문(館閣文)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라고 한 것과는 엄연히 차이가 있는 바, 남다른 석천의 기질을 스승으로서 일찍이 감지한 것이 아닌가 싶다. 조선조 사대부들에게 장자사상은 여러 가지 부동한 층위에 의해 비평ㆍ수용되었다. 혹 배척의 대상이었던 ‘이단지서(異端之書)’로, 혹 문장과 수사기교를 학습하는 경서로, 혹 심신을 수양하는 지침서로, 그 상황 및 역할은 시대문화와 수용대상에 따라 천차만별이었다. 16세기 조선 사대부의 일원으로서, 석천에게 가장 근본적인 사상은 주자(朱子, 1130~1200)로 대표되는 송대(宋代) 성리학의 수용에서 비롯된 것이라 하겠다. 사대부층은 문화적으로는 유교적 체질을 공유하는 집단이다. 그러나 실제로 유교 적 체질은 한결같지 않다. 어떤 이는 유교철학의 근본원리를 철저히 추종하는가 하면, 어떤 이는 오히려 도교적 혹은 불교적 사유방식을 소유해갔다. 대개의 사대부는 이들 양극단 사이에 머물렀다. 현실 정치적으로는 유교사상을 추종하고 내면적으로는 불교나 도가의 수양과 달관을 즐겼다. 다시 말해, 성리학은 도교와 불교의 관념체계를 특유의 시각으로 분석ㆍ변증ㆍ종합하는 사유과정을 거쳐 형성된 것이다. 석천 또한 이런 인식에서 출발하여, 도교의 집대성인 장자사상에 대해 열정적인 학습 태도를 보여 왔던 것이다. 『장자』에 대한 열정적인 탐독을 통하여 석천은 『장자』 속에 내재된 주요 사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했을 뿐만 아니라, 장자가 살았던 삶의 행적을 부단히 탐구함으로써, 자신의 일생에서 이를 실천하려 노력하였다. 석천에게 『장자』는 정신수양의 교과서이자, 각종 고난과 아픔을 헤쳐 나가는 돌파구였다. 뿐만 아니라, 석천의 ‘호방’하고 ‘비판적 정신이 투철한’ 성격은 현실을 직시함 에 있어, 우언과 풍자를 일삼았던 장자, 즉 인생관의 형성에 막대한 영향을 주었 던 지침서이자 멘토였던 『장자』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리라 생각된다. 석천의 노장적 취향은 당시대의 문인들뿐만 아니라, 후대의 학자들에 이르기까지 모두 인정하는, 석천만의 독특한 하나의 사상체계로 자리 잡았다. 장자사상에 대한 석천의 수용 태도를 보면, 적극적이고, 시종일관 자신이 따라 배워야할 학문 임을 고집하고 있다. 이는 문학 창작 초기에나, 노년시기의 창작 활동에서나, 변함없는 하나의 이념으로 석천의 머리 속에 자리 잡고 있었다. 석천식 ‘소요유(逍遙遊)’는 물외의 세상을 향한 강한 욕망의 표현이었다. 속세의 시시비비(是是非非)로부터 초탈하여, 정신상의 절대적인 자유를 갈망하는 것, 자연과 하나가 되어 무하유(無何有)의 공간에서 무위(無爲)하는 것이야말로 석천 이 바라는, 천지만물과 자아를 초월하는 세계인 것이다. 석천의 명리관은 유교적 신분으로서의 자세이기도 하지만, 적지 않은 측면에서 보면 莊子의 일생을 모델로 삼아, 변용된 것이라 생각된다. 명리의 취사 문제로 인해, 인생의 중대한 갈림길에 놓일 때마다, 『장자』의 사상을 지침서로 삼을 수있었기 때문이다. 이로 말미암아 석천은 명리 앞에서 방황하거나 굴하지 않게 되었다. 한편, 명리를 떨쳐버림으로써, 장자와 하나가 되어 세속을 초월할 수 있었으며, 무위하는 경지에서 ‘소요유’를 실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석천은 장자의 우언(寓言) 읽기와 우언의 표현수법을 인용하여 시를 짓는 것을 즐거움으로 삼았는데, 우언을 통하여 창작된 그의 작품들은 다른 작품들에 비해 설득력이 한층 돋보이고, 상황의 절심함이 더욱 짙게 묻어나게 되었다. 석천의 문학 창작은 우언을 통해 한층 더 높은 예술적 경지에 이를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 니라, 현실비판의식은 더욱 생동하고 강렬한 인상으로 독자들에게 전달이 되었으리라 본다. 본고에서는 우선, 석천만의 독특한 장자관(莊子觀), 특히 장자 ‘소요유’ 의식에 대한 석천의 인식과 수용태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 장자의 삶을 거울로 삼아 올바른 처세에 힘썼던 석천의 명리관을 그의 실천과 한시창작을 통해 비교적 상세하게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당시의 시대상황을 장자에게서 이어받은 우언적 표현수법으로 재치 있고 실감나게 풀어나간 석천의 현실비판의식에 대해 구체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The scholar-officials of Joseon Dynasty criticized and accepted the Chuang-tzu’s thoughts from different aspects. Either it was rejected, and even called “Heresy of said”, or sometimes regarded as a classics about study articles and rhetoric method, or a instructor about cultivating the body and mind. Following the difference of the times’ culture and the affected object, the specific situation and the effect was also different. Suck-chon Lim Ok-Ryung, who was one of the scholar-officials of Joseon Dynasty, admiring Chuang-tzu in his whole life and blending the Chuang-tzu`s thoughts in the process of his creation of Chinese poetry. He was the people who put the Chuang-tzu`s thoughts into practice constantly through his endeavor in his life. For Suck-chon, the book 『Chuang-tzu』 not only was his instructor for the cultivation of his spirit, but also helped him with overcoming all kinds of suffering and grief. The focus of this article, that was, analyzed Suck-chon`s unique view of the Chuang-tzu`s thoughts in the first place, especially about the understanding and the attitude of “Peripateticism” as the part of the Chuang-tzu`s thoughts. Secondly, Suck-chon took a mirror of the Chuang-tzu``s life as his life. By comparing its practice of Chuang-tzu thoughts and poetic creation, how he conducted himself in society correctly and what was his positive fame-and-gain values by being discussed in this article. Finally, through inheriting the Chuang-tzu`s allegorical expression, the article concretely analyzed the Suck-chon`s consciousness of critical realism about skillfully and vividly grasping the time`s condition.

      • A Lesson on The Amateurism of Lao-tzu and Chuang-tzu philosophy in modern sports

        ( Joo Dong-jin ),( Im Sik ) 한국체육학회 2016 국제스포츠과학 학술대회 Vol.2016 No.1

        Lao-tzu and Chuang-tzu philosophy of the ancient orient has various thinking systems related with amateurism. But it is necessary for efforts to awakening of sports amateurism, sportsmanship and reminiscence of humane nostalgia in modern sports which the amateurism is being fade away. Thus, this paper aims at clarifying the amateurism of Lao-tzu and Chuang-tzu philosophy. It is as follows. First, this is Soyoyu(逍遙遊) which means enjoy action without obsession with victory. Second, this is thinking of Unity of Man and Nature(天人合一) which doesn’t go against nature law. Third, this is principle of win-win of coexistence and equality. Fourth, this is relative play with the Immersion and the Union of Self and Things(物我一體). The following is lesson to modern sports suggested by amateurism of Lao-tzu and Chuang-tzu. Sports amateurism of Lao-tzu and Chuang-tzu is freer and wider than existing Occidental sportsmanship and sports amateurism. Furthermore, though harmony between player, club and audience is important at the view of coexistence and win-win, pleasure and play of individuals are become independent as of each being. This is related with personal honor and etiquette towards opponent and also means revival of original play and competition of sports. Of course it is humane and based on equality and respect of individuals. In the final analysis, amateurism of Lao-tzu and Chuang-tzu lectures having a function of intoxication of free and immersion of original amateurism which acknowledges respect and free of each individuals based on immersion and joy of the Union of Self and Things of all who participate in sports. There are not requisite to victory or placing emphasis on result and superiority. So, commercialism or drug-taking could not exist. Coubertin’s amateurism which exclude commercialism or original idealism of sports is related with it.

      • KCI우수등재

        莊子의 “불언지교”의 함의 소고(小考)

        박성일(Piao, Chengri),윤성철(Yun, Seongchul) 한국교육학회 2019 敎育學硏究 Vol.57 No.4

        본 연구는 莊子의 “불언지교(不言之敎)”의 함의를 깊이 있게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불언지교(不言之敎)”란 우리말로 “말을 하지 않는 가르침”이다. 본 연구에서는 莊子의 불언지교(不言之 敎)는 언어(言)에 대한 통찰에서 기인하고, 앎(知)에 대한 이해에서 심화되고, 진리(眞)에 대한 규명에서 현실화된 것으로 이해한다. 莊子는 기표(記表)와 기의(記意)의 관계를 주목하고 있었고, 언어를 기능적 수단에 위치 지우고 있었고, 언어의 불명확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莊子는 언어로 전달이 가능한지 여부를 앎을 구분하는 준거로 삼고 있었고, 언어로 전달할 수 있는 명시지보다는 언어로 전달할수 없는 암묵지를 더욱 주목하고 있었다. 莊子는 또 그 당시 제가(諸家)들의 쟁론에서 진리에 대한 사고를 유발하게 되었고, 진리에 대하여 사회학적 및 심리학적으로 분석하면서 그 본질을 밝혔다. 莊子 가 보건대, 대도(大道)가 진리이다. 대도(大道)는 우주만물의 근원이고, 세상만물의 근본 법칙이고, 인간 세상의 올바른 길이고, 참되고 절대적인 진리이다. 그러나 대도(大道)는 말로 전달할 수 없다. 이런 이유와 근거에서 출발하여 莊子는 “불언지교”의 방법론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언이무대(言而 無待)”, “불견시비(不譴是非)”, “양행이명(兩行以明)”, “정언약반(正言若反)”이 그것이다. 언이무대(言 而無待)란 언어의 지시대상이 명확하지 않은 화법을 말한다. 불견시비(不譴是非)란 옳고 그름을 꾸짖지 않는 언설 방식을 말한다. 양행이명(兩行以明)이란 대립되는 양측을 평등하게 아우르면서 진리가스스로 드러나게 하는 표현방식이다. 정언약반(正言若反)이란 바른 말을 반대되는 것처럼 들리게 하는 언설방식이다. 사실 “불언지교”란 말을 일언반구도 하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莊子는 지시대상이 모호한 언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莊子는 가르침을 사유와 인지의 차원에서파악하고 있었다. 2000년 전 莊子가 제시한 가르침의 원리와 방법은 오늘날 우리에게 많은 계시와 계발을 주고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explore the implication of Chuang-tzu’s “Teaching Without Language.” Chuang-tzu’s “Teaching Without Language” rooted in his insight for “language”, and deepened through his exploration for “knowledge”, and realized through his understandings for “Truth.” Chuang-tzu paid close attention to the relation of language and meaning, and grasped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functional means, and emphasized the uncertainty of language. Chuang-tzu regards language transmission as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knowledge, and paid more attention to tacit knowledge than to explicit knowledge. Chuang-tzu initiate thinking about truth from arguments among scholars at that time, and revealing its essence through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analysis. In his opinion, Tao is truth. Tao is the roots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and the fundamental law of everything in the world, and the right path of human life, and it is true absolute truth. But Tao can t be said. Chuang-tzu start from those profound understandings for language, knowledge and truth, had demonstrated concretely the methodology of “Teaching Without Language.” Those are include “Talking without indicates”, “Not to blame right or wrong”, “List two opposite sides and naturally present truth”, “Right words seems contrary”. “Talking without indicates” means that way of speaking without clear indicated object. “Not to blame right or wrong” means that way of speaking without condemnation for right or wrong. “List two opposite sides and naturally present truth” means that way of expression that treat equally those opposite two side and naturally present truth. “Right words seems to contrary” means that way of speaking right words seems to it’s contrary. Actually, “Teaching without Language” is not mean that say nothing. Exactly speaking, Chuang Tzu s language is usually ambiguous. Chuang-tzu grasped the essence of “teaching” not from “behavior” but at “thinking” dimension. Anyway, the teaching principles and methodology that Chuang-tzu proposed 2000 years ago, will give us a lot of enlightenment and inspiration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