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에 따른 성도의 그리스도와의 연합: 『기독교 강요』에 개진된 칼빈의 이해의 고유성

        문병호(Moon, Byung Ho) 개혁신학회 2016 개혁논총 Vol.39 No.-

        성도의 그리스도와의 연합은 최근에 부쩍 인구에 회자되는 주제로서 학자 들은 대체로 그것이 구원서정에 있어서의 칭의와 성화의 이중적 은혜와 어떤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지에 주안점을 두고 그 본질과 양상과 작용을 다루어왔 다. 이 경우 칭의의 법정성보다 성화의 점진성에 방점이 찍히는 경우가 많았던 바, 이는 본 주제의 핵심이 성도가 그리스도를 본받아 그와 하나가 되는 것에 있다고 보는 오해에서 비롯되었다. 본고는 성도의 그리스도와의 연합에 대한 칼빈의 입장을 다음 몇 가지 측면에서 고찰한다. 첫째, 성도의 그리스도 와의 연합은 보혜사 성령의 임재로 말미암는다. 둘째, 보혜사 성령의 임재로 성도는 성육신하신 중보자가 신인양성의 가운데 다 이루신 당하신 순종과 행하신 순종의 의를 전가받는다. 이는 칭의와 성화의 이중적 은총에 부합한다. 셋째, 이렇듯 성도에게 전가되는 의는 주님의 잉태로부터 죽음에 이르는 모든 의를 아우르는 바, 그가 자기 자신을 주신 의이다. 넷째, 보혜사 성령의 임재로 말미암은 이러한 의의 전가는 그리스도가 자기 자신을 우리에게 주심으로 우리 안에 사심 곧 성도가 그리스도와 하나됨을 뜻한다. 보혜사 성령이 그리스도의 영이라고 불리는 소이가 여기에 있다. 다섯째, 이렇듯 의의 전가를 통한 성도의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말함에 있어서, 그 본질과 특성은 그 의 자체의 존재와 어떠함에 달려있다. 이로부터 본 교리의 기독론적 지평이 추구 된다. As noted in this paper, since Calvin, in understanding the order of salvation(ordo salutis) the subject “believer’s mystic union with Christ(unio cum Christo)” has been regarded as a crucial issue whose theological significances and impacts are associated with the whole range of soteriological doctrines, especially with reference to forensic characteristics of justification, the imputation of Christ’s righteousness, the double grace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the essence and being of the church as the society(societas) of Christ the Head and His members, and the sacramental union between the signs exhibiting and the significances exhibited of baptism and the Lord’s supper. Calvin’s stance on this theme is deployed as follows. First, the “mystic” elements of the union with Christ are originated in the indwelling of the Holy Spirit, the Another Comforter. In this case, the Spirit of God is designated as the Spirit of Christ. Second, by the indwelling of the Holy Spirit, Christ’s wholly fulfilled righteousness of both passive obedience(obedientia passiva) and active obedience(obedientia activa). This corresponds to the merit of justication and sanctification working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salvation. Third, this righteousness imputed to the believers is the one Christ gave Himself for us. It is not confined to that of His belongings. Four, as a result, the imputation of Christ’s wholly fulfilled righteousness signifies His giving Himself, His indwelling within us with His Spirit. This is the reason why the Spirit of God is called the Sprit of Christ, the Spirit of Sonship, the life-giving Spirit, i.e., the Spirit of the new creation mortified with Christ and vivified with Christ. Fifth, this position of Calvin to look upon “unio” as “imputatio” is based on his own understanding of the being and working of Christ’s righteousness itself. This shows a clue to reach Christological dimensions and significances of this subject.

      • KCI등재

        칼뱅에게서 그리스도의 모방 -삶의 모범으로서의 그리스도-

        김선권 ( Sunkwo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6 한국개혁신학 Vol.50 No.-

        본 논문의 목적은 칼뱅에게서 그리스도의 모방이 존재하는지 또한 그것이 어떻게 존재하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칼뱅학자들은 그리스도의 모방의 주제를 한편에서는 부정적으로 다른 한편에서는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접근하였다. 이러한 대립적 접근은 칼뱅 자신이 이 주제를 양가적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 것에서 비롯된다. 때로는 긍정적으로 때로는 부정적으로 그 단어를 사용한 것이다. 필자는 칼뱅이 그리스도의 모방의 주제에 대하여 중세 사상이 가지고 있던 공로적 특징을 제거하면서 이 주제를 풍요롭게 했음을 주장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그리스도와의 연합과 그리스도의 모방의 관계이다. 이 관계의 해명은 그리스도의 모방이 그리스도에게 의존하는 모방임을 드러낸다. 그리스도의 모방에는 두 가지 구조가 존재한다. 가능한 모방과 불가능한 모방이다. 전자는 그리스도의 인성에 후자는 그리스도의 신성에 관계한다. 그리스도가 걸으셨던 삶은 그가 참 사람이며, 참 하나님이라는 사실을 드러낸다. 그러므로 그리스도를 모방하는 신자는 그리스도와의 존재론적 차이를 의식하면서 그리스도를 뒤따라가야 한다. 필자는 칼뱅에게서 그리스도의 모방은 의존적이며 신비적인 모방일 뿐만 아니라, 해석학적이며 창조적인 모방임을 주장한다. 전자는 모방의 본질에 관계한다면 후자는 모방의 적용 방식에 관계한다. Cet article traite du sujet de l``imitation du Christ chez Calvin. Calvinologues ont compris l``imitation du Christ d``une part comme aspect negatif, d``autre part comme aspect positif. Cet article affirme que Calvin a enrichi ce sujet qui a les deux aspects, en eliminant les merites humains que la pensee medievale a eus. Ce qui importe, est une relation entre l``union avec Christ et l``imitation du Christ. L``elucidation de cette relation montre que l``imitation du Christ est l``imitation dependante du Christ. Pour Calvin l’unio mystica produit imitatio Christi. Calvin a vu la vie de l’homme chretien du point de vue de l’imitation du Christ, qui decoule de l’union avec Christ. En lien avec le theme de l’imitation du Christ, Calvin exprime qu’il y a une double structure, l’une se rapportant principalement a l’humanite du Christ, l’autre a sa divinite. C``est pourquoi un chretien qui imite Christ, le suit en sachant la difference ontologique avec lui. Cet article affirme que l``imitation du Christ chez Calvin est non seulement dependante, mystique, mais aussi hermeneutique et creative. Celle-la se rattache a l``essence de l``imitation, celle-ci en se rattache a la maniere application.

      • KCI등재

        "Faith of Christ"와 "Faith in Christ": 제로섬(zero-sum)관계인가? 윈윈(win-win)관계인가? - 갈라디아서의 PISTIS CRISTOU를 중심으로-

        김형근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2 신약연구 Vol.11 No.4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in contemporary Pauline theology has been whether the phrase pi,stij Cristou/ refers to faith in Christ (objective genitive) or faith of Christ (= faithfulness of Christ : subjective genitive). This article, however exploring not only the meaning of four usages (2:16[ 2], 20; 3:22) of pi,stij Cristou/ but also the subject of 13 usages of noun pi,stij with no genitive modifier in Galatians 3, attempts to ask what kind of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otifs, faith of Christ and faith in Christ can be built. In each instance of pi,stij Cristou/, Paul’s principle of justification is to be presented; By God one is to be justified on the grounds of faith of Christ (pi,stij Cristou/), through one’s faith in Christ. Namely, the justification that has been achieved by the redemption of Christ, that is, the faithfulness of Christ is to be applied to one by way of one’s faith in Christ, that is, one’s faith in the faithfulness of Christ. It is obvious that Paul’s principle of justification is to be firmly established by being interwoven with the two motifs. The survey of 13 usages of noun pi,stij in Galatians 3 has shown that in some verses (vv. 11, 12, 23, 24,and 25) Jesus Christ is described as the subject of pi,stij, and especially in vv. 11 and 12 the subject of pi,stij is expanded from Christ to believers (Jews and Gentiles) including Abraham. The survey led to an universal principle of justification in Galatians that human beings are to be justified through their faith in faith of Christ , which means that faith of Christ is the exclusive grounds of God’s justification for man, and man s faith is the exclusive means of application of God’s justification to man. It is thus very likely that faith of Christ and faith in Christ are not to be separated but to be united each other to form a holistic salvation of justification in which belief and fidelity , confession and exercise are respectively to be one. Consequently, the organic solidarity between the two motifs constitutes the salvation of justification that is based on Christology and thus supports the sovereignty of God’s grace that may be in danger of being nullified by the Christianity of exclusive support for ‘faith in Christ’ alone. Finally, this article shows that faith of Christ and faith in Christ are not in zero-sum relationship but in win-win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What then is thought to be wrong with the subjective reading of pi,stij Cristou/ in Galatians?

      • KCI등재

        Again Πίστις Χριστοῦ -김형근의“‘Faith of Christ’”와‘Faith in Christ’”에 대한 답변-

        최갑종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3 신약연구 Vol.12 No.2

        This is a rejoinder of Keun Hyung Kim’s “‘Faith of Christ’and ‘Faith in Christ’: In ‘ zero-sum’ relationship or ‘ win-win’ relationship?-A Reconsideration of Πίστις Χριστοῦ in Galatians” in Korean Evangelical New Testament Studies, Volume 11, Number 4, 2012. Kim’s article, “‘Faith of Christ’and ‘Faith in Christ’”, critically reviewing Choi’s article, “How to interpret Πίστις Χριστοῦ ? -With a contextual Study of ‘Faith’and ‘Righteousness’in Galatians 2:15-21, 3:1-29 and 5:6”in Korean Evangelical New Testament Studies, Volume 10,Number 4, 2011, which supports an objective genitive interpretation of Πίστις Χριστοῦ in Galatians, claims that Πίστις Χριστοῦ (2:16; 3:22),ἐκ πίστεως (3:23) and h` pi,stij (3:23,25)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subjective genitive, namely, “faith (or faithfulness) of Christ”, while being interpreting ἐκ πίστεως in 3:2,5,14,26 as “believers’faith in Christ”and ἐκ πίστεωςin 3:7,8,9 as Abraham’s and believers’faith in Christ. The article then concludes that Paul’s principle of justification in Galatians is based on both “the faithfulness of Christ”and “believer’s faithfulness in Christ”. phrases Πίστις Χριστοῦ , ἐκ πίστεως(διὰ) and h` pi,stij in Galatians,from which Kim had sought to lay the foundations of his argument for the faithfulness of Christ in Galatians. Through a contextual, syntactical and exegetical investigation of the phrases Πίστις Χριστοῦ , ἐκ (διὰ.) πίστεως and h` pi,stij in Galatians, Choi’s article points out the weaknesses in Kim’s arguments and then posits that the phrases Πίστις Χριστοῦ , ἐκ (διὰ.) πίστεως and h` pi,stij in Galatians should be interpreted, not in the subjective genitive,namely, “faithfulness of Christ”, but in the objective genitive “faith in Christ”, which is how it has been traditionally understood.

      • KCI등재

        오늘 우리에게 예수 그리스도는 누구신가? - 디트리히 본회퍼의 그리스도 이해와 목회신학적 적용 -

        김성호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0 No.89

        “오늘, 우리에게 예수 그리스도는 누구신가?” 이 질문은 디트리히 본회퍼가 그의 삶의 여정 가운데 마지막 부분에 해당하는 옥중에서 던진 질문이다. 본회퍼는 『성도의 교제』부터 『저항과 복종』에 이르는 주요저작들에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서 다양하게 담론화했다. 본 논문은 우선, 본회퍼의 주요 저작들 속에서 그리스도는 과연 누구였는지, 본회퍼가 그리스도를 어떻게 이해했는지에 대한 재구성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면서 그의 그리스도 이해가 실천신학적 담론에 어떠한 주제와 내용들을 제공하는지를 논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토마스 C. 오덴(Thomas C. Oden)이 『목회신학』에서 다루는 목회신학적 주제 및 담론들과도 대화하면서, 본회퍼의 그리스도 이해의 목회신학적 적용점들을 마련하고, 오늘, 여기의 목회를 위한 신학으로 어떠한 기여를 할 수 있는지도 논의해 보고자 한다. 본회퍼에게 그리스도는 공동체로 탈존하시며, 역동적인 성도의 교제를 창조해나가시는 분, 성육신 십자가 부활을 통해 창조를 해석하는 근거이시고, 제자로 부르시는 분, 양심을 자유롭게 하시는 분, 고난 가운데 계신 하나님이시다. 오늘 우리에게 예수 그리스도는 누구신가? 그는 대도시의 낯섬과 차가움을 녹이시는 ‘성찬’ 공동체의 주인이시다. 창조를 보존하는 생명공동체의 주관자이시며, 시편의 ‘기도’를 통해 여전히 생명을 공급하시는 예배와 기도를 이끄시는 분이시다. 또한 ‘세례’를 통해 제자로 부르시고, 이웃을 위한 책임이 무엇인지 계속해서 묻고 계신다. 전능자가 아니라, 한없이 연약하신 분으로 이 땅의 모든 존재들의 고난을 짊어지시고, 함께 고통당하고 계신다. 이 땅의 주님의 종으로 부르심을 받은 목회자들에게 본회퍼는 그리스도가 누구신지, 오늘, 여기에서의 그리스도가 무엇인지 가르쳐준다. 본회퍼의 그리스도 이해는 오덴의 『목회신학』의 내용을 만나, 성찬, 예배, 세례, 기도, 제자도와 같은 목회신학적 담론에서 어떻게 지금, 여기의 그리스도의 형상이 적용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본회퍼는 지금, 여기의 목회자들이 공동체로 탈존하는 그리스도와 함께 살아가면서, 그의 다양한 형상과 역할의 대리적 행위를 통해, 단순히 목회신학적 담론의 이론만을 숙지하고 매뉴얼대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아니라, 근본적인 그리스도 이해를 기반으로, 오늘, 여기에서의 구체적인 실천적 담론을 끊임없이 추구하라고 요청한다. 특히 오덴의 신정론적 입장과는 다르게 전능자 하나님으로서가 아니라, 고난 가운데 계시는 연약한 그리스도 개념으로 이 땅의 고통과 고난 속으로 들어가라고 말한다. ”Who is Jesus Christ for us today?“ Dietrich Bonhoeffer asked this question in prison which was the last part of his life journey. He created diverse discourses about Jesus Christ in his major works from Sanctorum Communio to Widerstand und Ergebung.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o was Christ and reorganize his understanding of Christ in his major works, discussing what topics and content his understanding of Christ provided to the practical theological discourse. In addition, the study will find the pastoral theological points of application in his understanding of Christ and discuss how they can contribute as theology for the ministry of here and today by creating a conversation with pastoral theological topics and discourses in Pastoral Theology by Thomas C. Oden. For Bonhoeffer, Christ exists as the church-community, fostering dynamic fellowship among the saints, interpreting creation through the incarnation, crucifixion, and resurrection, calling disciples, freeing consciences, and being God present in suffering. Who is Jesus Christ to us today? He is the Lord of the 'communion' community, melting away the strangeness and coldness of the big city. He is the steward of the life community, preserving creation and still supplying life through the 'prayer' of the Psalms, leading worship and prayer. He also calls disciples through 'baptism' and continues to ask what responsibility is for our neighbors. Not an almighty being, but an infinitely fragile one, bearing the suffering of all beings on this earth and sharing in their pain. To pastors called as servants of the Lord of this earth, Bonhoeffer teaches who Christ is and what Christ is today and here. Bonhoeffer's understanding of Christ encounters the content of Odens' "Pastoral Theology" and proposes how the present Christ's image can be applied in pastoral theological discourse, such as communion, worship, baptism, prayer, and disciple-making. Bonhoeffer urges pastors of today, living with the incarnate Christ in community, to pursue practical discourse based on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Christ, not merely adhering to theoretical pastoral theological discourse or living according to manuals. Particularly, unlike the omnipotent God, Bonhoeffer suggests entering into the suffering as the fragile Christ who is present in suffering.

      • KCI등재

        『복낙원』에 나오는 첨탑 위 마지막 유혹의 의미

        김종두 한국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회 2012 중세근세영문학 Vol.22 No.2

        There have been lots of controversies over the meaning of the last temptation on the pinnacle. From the nature of the pinnacle to the meaning of Jesus's last remark on the pinnacle Milton scholars have shown various opinions. Some scholars suggest that the place on which Jesus stands is a peaked pinnacle that is impossible for a man to stand. However others think it is possible for Christ to stand there although he can feel giddy and difficult. Milton states the condition of the place as "uneasy station", which means it is not impossible for Christ to stand there. Therefore it is not proper to assert that the very act of Christ's standing on the pinnacle without any other help shows his divinity as the son of God. It is more adequate to say that it shows Jesus' ultimate victory over the demonic Satan in the spiritual battle. Satan's last temptation is too hard to cope with because it is based upon God's words which Christ has made the weapon against Satan's continuous assaults. Satan is so anxious to know the nature of Christ that he adopts the new method tha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s, that is the words of God. He gives Christ the choice of either accepting Scripture or rejecting it. However, Christ thrusts away Satan's temptation by using God's words like before. From beginning to end he puts constant trust in God's words. Christ's words on the pinnacle, "Also it is written, Tempt not the Lord thy God", is so hard to grasp its meaning. Above all, what does "the Lord thy God" mean here is not clear. It may mean either Christ himself or God. There is also possibility of meaning both of them. Christ proves himself to be God as well as man through this speech. Until this last temptation Jesus has continued to react Satan's assaults with passive attitude saying no. Now he no longer shows passivity rather he reveals a strong activeness towards Satan his adversary. Nevertheless, Satan cannot recognize the real nature of Christ for he is fallen in the deep spiritual darkness that is blind to Christ's manifestation. On this very pinnacle Christ achieves his firm obedience and faith as a son, at the same time, proclaims he is God himself. He shows his divinity as well as his humanity. The hidden nature of him is explicitly revealed here. The time allowed to Satan ends and the new time for Christ begins. The moment when Christ declares his divinity on this pinnacle is the time which is called God's appointed time or Kairos, which God ordains for the vocation of Christ as saviour. Angels dedicate their praising to Christ Jesus starting the mission of saving the whole world.

      • KCI등재

        내려옴과 올라감의 관점에서 본 칼뱅의 성찬론 ― 루터와 츠빙글리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선권 한국조직신학회 2019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6 No.-

        Calvin souligne dans la Cène la partenité de Dieu Père qui fournit la nourriture à ses enfants. Christ y présente et donne son corps. Mais il y avait entre les réformateurs un désaccord au sujet du mode de la présence du Christ. Selon Keller, la conception calvinienne de la Cène est fondamentalement zwinglienne. Par contre, selon Wendel elle est proche de la conception luthérienne. Sur ce point, il nous semble que Calvin a aussi choisi une “via media”: la réalité est conjointe au signe(contre Zwingli), la présence du Christ n’est pas une présence locale ou matérielle(pour Zwingli). Dans la Cène, la présence du Christ est réelle(pour Luther), cette réalité n’est cependant pas dans le signe (Contre Luther). La substance de la Cène est “Christ tout entier”(totus Christus), l’humanité non moins que la divinité, à la différence de Zwingli, mais pas la “totalité du Christ”(totum Christus) à la différence de Luther. De ce point de vue, la présence du “Christ tout entier”(totus Christus) est à la fois réelle (vraie) et spirituelle, et cependant non point une présence locale. D’une part chez Zwingli, le Christ siégeant en majesté à la droite de son père ne descend pas, d’autre part chez Luther le Christ dans la Cène n’élève pas ceux qui participent à la Cène, au Christ qui est au ciel. A la différence des deux premiers réformateurs, chez Calvin une dialectique haut/bas, descendre/monter apparaît fortement soulignée. J'appelle la présence du Christ dans la Cène, la présence réelle de “Christ tout entier” par l'Esprit Saint. 이 글은 칼뱅의 성찬론을 루터와 츠빙글리와의 관계 속에서 그리스도의 내려옴과 신자의 올라감의 관점에서 살펴 그가 가진 성찬론의특징들, 그것의 역동적이며 종말론적 성격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성찬은 연합과 일치의 성례이다. 하지만 성찬에 대한 해석의 역사는분열의 역사였다. 칼뱅이 츠빙글리주의자이냐 루터주의자이냐에대한 논쟁이 있었지만, 칼뱅은 아주 단순히 칼뱅이었다. 칼뱅의 대부분의 저술들처럼, 성찬론에 대한 그의 논점은 논쟁이 아닌, 성경적관점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성찬의 정의, 본질, 임재 방식보다 중요한 것은 성찬을 통해서 아버지 하나님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관계적으로 성찬을 이해하였다. 그러므로 성찬에 나타난 아버지가자녀를 향해 베푸시는 영적 잔치는 중요하다. 칼뱅은 루터와 츠빙글리 사이에서 중간의 길, 중재적 입장을 취하였다. 실재는 상징과 결합되며(츠빙글리에 대한 반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리스도의 현존은 장소적, 육체적 현존은 아니다(츠빙글리에 대한 찬성). 성찬 안에서 그리스도의 현존은 실제적이고 참되며(루터에 대한 찬성),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징 안에 그리스도가 그 실재 그대로 임재하는 것은아니다(루터에 대한 반대). 성찬에 그리스도는 신인 양성 즉 “그리스도 전체”(totus Christus, tout Christ)가 임재하지만, 그리스도가 천상에서 가지고 있는 그 몸 그대로 임재한다는 “그리스도의 전부”(totum christi, tout ce qui est en Christ)는 아니다. 츠빙글리에게서 하나님 우편에서 좌정하신 그리스도는 빵으로 내려오지 않는다. 루터에게서성찬 안에 내려온 그리스도는 성찬에 참여하는 자들을 하나님 우편에 계신 그리스도에게로 끌어 올리지 않는다. 츠빙글리는 내려옴이없고, 루터는 올라감이 없다. 반면 칼뱅에게서 그리스도는 내려오고성도는 올라간다. 위와 아래, 내려옴과 올라감의 변증법이 칼뱅에게나타난다. 나는 칼뱅이 말하는 그리스도의 임재를 “성령에 의한 그리스도 전체의 실제적 임재”라고 부른다.

      • KCI등재

        그리스도와 신비한 연합의 시각으로 본 '예수의 역사적 실재성과 그 의미'

        권호덕 한국개혁신학회 2003 한국개혁신학 Vol.14 No.-

        The historical critical theology of the nineteenth century to the early twenty century failed to discover the historical of Jesus. It had doubted the historical existence of Jesus Christ. This result was led from the problems that are still remained in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However, without the assumption on the Reality of the historical existence of Jesus Christ, Christianity cannot exist. We are going to consider the historical existence of Jesus Christ and its significance through another method. In particular, we are going to confirm the historical existence of Jesus Christ through the theory called “The mysterious union with Chri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oint out and to discuss about this theory (the mysterious union with Christ). The mysterious union with Christ comes through the Holy Spirit that Jesus Christ sends us and causes faith inside us which cause us to grasp Christ and leads us to the mysterious union with Him. This union is impossible without the premise of the historical existence of Jesus Christ. The conception of “the first fruit of the resurrection” explains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Jesus Christ in the history and the people who will be going to experience the physical resurrection at the end. So to speak, what Paul explained about the physical resurrection at the end, is based on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Baptism is an event, in which the Holy Cross and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is applied to the christians. In Chapter 6 of the Romans, Paul points out that the two steps of baptism depicts the same picture of the Holy Cross and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Therefore, baptism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vents in Christians life can only be explained based on the Holy Cross and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The Holy Communion teaches and disciplines Christians time consciousness. The Bible verses about the Holy Communion teach us to remember a point in the past of our lives. That one point would be the death of Jesus Christ. Especially the verse, “Remember me” implicates the meaning that the past event manifests in the presence. As the Holy Communion takes place it means that the past of the historical existence of Jesus Christ still applies in the presence. On the other hand, the Holy Communion leads us to another point which lies in the future. This point would be the Second Advent of Christ. It implicates the horizontal dimension, the association with our brothers and sisters in Christ. There is in the presence a tension which exists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We are not going to corrupt as long as this tension exists. According to this theory, communion causes Christians to live in an structural consciousness. In other words, Christians are people who live with the historical mind, which contains the remembrance of the Holy Cross in the past, and the anticipation of the Second Advent of Christ in the future. The Idea of Imao Dei from the perspective of a mirror reveals Gods glory that could not be seen through our naked eyes. Jesus Christ, who is Imogo Dei, showed us who God is. Humanbeing also can play the same role. In terms of chronology, we can still see Jesus Christ from 2000 years ago in the devout Christians around us. Rev. Son Yang Won could be one example for that. He is a Christian who has experienced the mysterious union with Christ and revealed Jesus Christ who lives in him. He connected his life with the Holy Cross and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from 2000 years ago. Through Rev. Son it was possible for unbelievers to recognize the historical existence of Jesus Christ. Through E. Troltsch's concept of 'Analogie', which belongs to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we can prove the historical reality of Jesus. Rev. Son Yang Won, a historical person, would be a good analogy, who reveals the historical reality of Jesus. E. Troltsch mentioned that if all the present events can lie in a continuous correlation, the events from the past can be accepted as truth. There is a continuous correlation between Rev. Sons life during the twenty century and the Bible, which is a record of the past events. The rise and the destruction of Christianity depends on the historical existence of Jesus Christ, in the post modernism world which is in the middle of the flood- tied of pluralism. If this historical reality remains as unconfirmed, Christianity will be falled into the docetism. Because of the many unsolved problems in the historical- critical method, it is not worth it to argue about those methods, but to give consequence to the doubt of the historical existence of Jesus Christ itself. The life of Christian it self, such as baptism, communion provide us indirect evidence of the existence of Jesus Christ. The causes of many current Problems within the Christianity, consist in the dualistic docetic way of thinking, failing to notice the historical reality of Jesus. Passing over the historical reality of Jesus could be responsible for the daring wicked act of current Christians. To keep our identity as Christians it is important to confirm the historical existence of Jesus Christ.

      • KCI등재후보

        토마스 아퀴나스의 그리스도 부활론에 대한 개혁파적 평가

        유창형 개혁신학회 2018 개혁논총 Vol.46 No.-

        Aquinas’s views of Christ’s Resurrection are very similar to Reformed views. He quotes and espouses the comments of Augustine, Ambrose, Chrysostom, Gregory, and many biblical passages. He demonstrates thoroughly, in detail, that the resurrection of Christ is true, dedicating the many pages of his Summa Theologica to this issue. Surprisingly, it does not include a single line doubting the truth of Christ’s resurrection. In this regard, he wrote before the Enlightenment, at a time when people broadly believed the Bible. The present age is predisposed to doubt the resurrection due to the influence of current scientific thought. In this situation, it seems significant to investigate Aquinas’ views that disallow any doubt of Christ’s resurrection. Aquinas states that the power of the Son was the cause of Christ’s resurrection. But, better than his biblical reference, is Romans 1:4, “Who through the Spirit of holiness was declared with power to be the Son of God by his resurrection from the dead: Jesus Christ our Lord.” This verse implies that Christ rose by his own power, namely his divine power. Aquinas states accurately that Christ’s resurrection was by the power of the Trinity, in his Compendium Theologiae. However, Aquinas’ statement that Christ passed through her womb without rupturing the hymen of Mary is not biblical, and differs entirely from the Reformed view. Further, Aquinas’ view on the manifestation of Christ’s resurrection is similar to Reformed theology. Finally, the opinion that Christ raises the souls of the righteous and not the evil, created controversy at time. This can be understood when we consider Aquinas’ view that after death Christ went to hades and condemned the evil, while declaring the completion of salvation to the just and bringing them to paradise. Aquinas’ second view on the resurrection of souls is the regeneration of souls by repentance. But, it is not natural to connect such a concept with the resurrection of Christ’s soul, for His soul has never died of sin. 그리스도의 부활에 대한 아퀴나스의 견해는 정통에 아주 가깝다. 아퀴나스는 어거스틴, 암브로스, 크리소스톰, 그레고리 등을 인용하고 많은 성경 구절들을 인용하고 해석했다. 그는 신학대전에서 이 주제를 길게 다루면서 그리스도의 부활이 사실이라는 것을 잘 논증했다. 아퀴나스는 그리스도의 부활을 상세하게 서술하는데 그리스도의 부활 사실 자체를 의심하는 진술은 단 한 줄도없다. 그만큼 그의 시대는 아직 계몽주의가 태동하기 이전의 시대이고, 성경을 철저히 믿는 시대였다. 현 시대는 과학의 영향으로 부활을 점점 의심하고믿지 않으려는 경향이 강하다. 이런 상황에서, 그리스도의 부활에 대해 일체의 의심을 허용하지 않는 아퀴나스의 견해를 살펴보는 것은 나름 의미가 있다고 본다. 분석과 평가를 다시 요약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퀴나스는 성자의 능력도 자신의 부활의 원인이라고 했는데 보다 좋은 성경 구절은 로마서 1장 4절“성결의 영으로는 죽은 자들 가운데서 부활하사 능력으로 하나님의 아들로 선포되셨으니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니라” 이다. 이 구절은 성자 자신의 능력으로 부활하셨다는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아퀴나스는『신학강요』에서는 그리스도의 부활이 삼위일체의 능력임을 잘진술하였다. 둘째, 부활한 그리스도의 질적 특성에서는 그리스도가 출생 시에마리아의 처녀막을 손상시키지 않고 그냥 통과했다는 아퀴나스의 진술은 성경적이지 않고 개혁파의 입장과 아주 다르다. 셋째, 부활의 현시에 관해서는아퀴나스와 개혁파와 별 다른 차이가 없다. 넷째, 그리스도의 부활의 인과성에서 의인들의 영혼은 그리스도가 부활시키나 악인들의 영혼은 부활시키지않는다고 한 아퀴나스의 진술이 다소 혼란을 야기한다는 것을 지적했다. 이런혼란은 첫째, 아퀴나스가 죽은 후에 그리스도의 영혼이 음부에 가서 악인들에게 심판을 선언하고, 조상림보에 있는 의인들에게 구속의 완성을 선포하고 그들을 해방시켜 낙원으로 이동시켰다는 견해를 갖고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비로소 이해될 수 있다. 둘째, 의인들의 영혼의 부활은 회개를 통한 중생을 의미한다. 그러나 둘째 개념을 그리스도의 영혼의 부활과 연관시키는 것은 다소부자연스럽다.

      • KCI등재후보

        박형룡의 신학에서 그리스도의 선지자직에 관한 연구

        최정자 ( Jung Ja Choi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1 조직신학연구 Vol.14 No.-

        예수 그리스도의 삼중직이 특별한 의미를 갖고 있는 이유는 이 교리가 예수의 선포의 총계적 내용을 요약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예수 그리스도의 ``직무``에 대한 질문, 다시 말하면 이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미에 대한 질문으로 불리기 때문이다. 신학의 주제들은 상황의 요청으로부터 파생되기도 하지만, 기독교 신학이 중요한 신학적 전거(典據)자료로 삼고 있는 성서 자체로부터 나오는 것은 당연하다. 19세기 현대 신학자들에 의하면, 전통적인 삼중직의 개념이 현대적 혹은 로마 가톨릭교회적으로 새롭게 재해석되었다. 로마가톨릭교회에서는 교황의 그리스도 대리권을 주장하며, 그리스도의 목자직인 교황 무오설이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그리스도의 왕직을 파괴하는 것이다. 그리스도"라는 칭호는 ``기름부음을 받은 자``에 근거를 두었다. 예언자들과 제사장들과 왕들은 그들의 직무들에로 기름 부음 받았다. 예수 역시 ``기름부음받은 자``로서 예언자, 제사장, 왕이어야만 한다. 오늘날 21세기에도 그리스도의 삼중직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청된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의 몇몇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자를 중심으로 삼중직의 용도와 필요성을 살펴본 후에 개혁파 정통주의 박형룡의 일차 자료를 중심으로 삼중직 중에서 선지자직을 연구하여 복음전파를 통하여 교회의 선지자의 사명을 잘 감당케하는 있다. 박형룡에 따르면 선지자들은 하나님의 계시를 전하기 위해, 소명 받고 또한 "영감되었으나 전도자들은 그리 되지 못하였다."고 주장함으로써, 구약성경의 선지자들과 오늘날 성경을 읽고, 복음을 전하는 복음 전도자들 사이에는 질적 차이가 있음을 강조한다. 구약의 선지자들과 신약의 사도들만이 하나님의 영감(靈感)을 받은 자들이며, 오늘날 교회의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은 성령의 내적 조명으로 선지자들의 글인 구약성경과, 사도들의 글인 신약성경을 이해하여 선포할 수는 있어도 성경을 새롭게 창출할 수는 없는 것이다. 박형룡은 예수 그리스도의 선지자직을 "성령으로 기름부음 받은 자"의 선지자직으로 이해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예수 그리스도의 선지자직은 성령론적으로 규정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깔뱅과 동일한 관정에서 박형룡은 교회의 말씀선표 사역에 적용하므로 예수 그리스도의 선지자직에는 교회론적인 모티브가 있다. 성육신 이전에 예수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선지자직의 사역을 수행하셨다. 영원한 말씀, 즉 ``영원한 로고스``로서 예수 그리스도는 일반은총(common grace) 또는 자연은 총을 통해서 창조사역과 섭리사역을 하신다. 그리스도의 선지직은 성령의 영감을 받은 구약의 선지자들과 신약의 사도들에 의해서 수행되었다. 오늘날 교회와 복음사역자들은 성령의 내적 조명을 통하여 성경말씀을 선포함으로써 그리스도의 선지직이 간접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This thesis is a research about the prophetic office of Christ in the theology of Dr. Hyung Ryong Park(1897-1978) who was a Reformed orthodoxy theologian in Korea. Biblically, soteriologically, dogmatically, and practically, we has presented the unique Mediator and the absolute Saviour of Christ by interpreting the triple office(munus triplex) of Christ according to H. R. Park. The Roman Catholic Church developed the triple office of Christ ecclesiologically, but she damages Christ`s unique mediatorial work by regarding the triple office of Christ as a priestly office of the church. The Reformed Church sometimes showed the misunderstanding of the triple office when she emphasized only one office of Christ. The office of Christ must be understood not only charismatically, but also theocratically. According to H. R. Park, Jesus Christ who was anointed by the Holy Spirit has a mission taken directly from God of heaven to execute hisprophetic office, Christ is God`s revelation itself, and He accomplished the revelation. Christ proclaimed the Gospel directly by the Holy Spirit on earth. After His resurrection and ascension, by His sending the Holy Spirit, He let His apostles preach the Gospel, and He executed His prophetic office "indirectly"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by His church. Jesus Christ exercised His prophetic office immediately (prophetia in2mediata), as the Angel of the Lord in the Old Testament period, and as the incarnate Lord by His teachings and also by His example. And He exercised it mediately (prophetia mediata)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Holy Spirit, by means of the teachings of the Old Testament prophets, and of the New Testament apostles, and exercises it even now through the indwelling Spirit in believers, and by the agency of the ministers of the Gospel. This also means that He carries on His prophetic work both objectively and externally and subjectively and internally by the Spirit, which is described as the Spirit of Chr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