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중일기曆中日記 』를 통해 본 18세기 대구 사족 최흥원의 관계망

        김명자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8

        This paper is to address social networks of Choi Heung-Won, who was a nobleman lived in Otgol (옻골), Daegu in the 18th century, revealed in his diary ‘Yeokjungilgi (曆中日記). His social networks, established throughout his life, were significant in terms of that it had completed the literary tradition of the Otgol Choi family. To be more exact, he did not climb on the intention of the Noron party or the Seoin party to incorporate the gentry of Daegu into the Noron party or the Seoron party and decided to incorporate into the Taegae school of Yeongnam to more clearly define his identity. While he strengthened his social networks with prestigious families of Yeongnam, especially Andong, through marriage, he established social ties to other prestigious families through relationships formed by marriage. In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In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he visited Gwon Gu and Kim Sung-Tak, who were in a political crisis since they were literary men supported by Lee Hyung-Il, the head of Yeongnam literary men, in order to clarify his academic position as the Taegae school, and after his 40s, he was incorporated into the mainstream of the Taegae school while associating with Lee Sang-Jung, the best scholar in Yeongnam at the time. There were 122 literary men listed in Choi Heung-Won’s record for literary men and they were all over Yeongnam. As one of the most outstanding scholars, he had been engaged in continuous exchanges with Namin. It might be a reason why Choi Heung- Won was able to lead the correction of 『Bangaesurok(磻溪隨錄)』 by Ryu Hyong-Won at the time of its publishment in Gyeongsanggamyeong. 이 글은 18세기 대구 옻골에 살았던 백불암 최흥원의 일기인『역중일기曆中日記 』를 통해 최흥원이 형성한 관계망을 살펴본 것이다. 최흥원이 평생에 걸쳐 형성한 관계망은 문중 계승 차원에서는 선조에 이어 옻골 최씨의 문인 가풍을 완성한 점에 의미가 있다. 대외적으로는 서인 혹은 노론정권이 대구지역 사족을 서인화·노론화하는 의도에 편승하지 않고 정치적으로는 영남 남인, 학문적으로는 퇴계학파의 주류에 편입되어 정체성을 더욱 분명히 한 점이다. 그는 영남의 명문가, 특히 안동지역의 명문가와 혼인 관계망을 강화하는 동시에 영남 전역으로 혼반을 형성하였다. 17세기 후반 영남 남인의 수장격인 이현일의 문인으로 정치적 위기에 처한 권구와 김성탁을 방문하여 퇴계학파로의 학문적 입장을 분명히 했으며, 40대 이후에는 당시 영남 최고의 학자인 이상정과 교유하는 가운데 퇴계학파의 주류에 편입되었다. 최흥원의 문인록에는 122명의 문인이 등재되어 있는데, 영남 전역에 걸쳐있다. 그는 대구지역 최고의 학자로, 근기남인과도 지속적인 교류를 하였다. 경상감영에서 류형원의 『반계수록』을 간행할 당시 최흥원이 교정을 주도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러한 결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역중일기<SUP>曆中日記</SUP>』를 통해 본 18세기 대구 사족 최흥원의 관계망

        김명자(金命子)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8

        이 글은 18세기 대구 옻골에 살았던 백불암 최흥원의 일기인 『역중일기曆中日記』를 통해 최흥원이 형성한 관계망을 살펴본 것이다. 최흥원이 평생에 걸쳐 형성한 관계망은 문중 계승 차원에서는 선조에 이어 옻골 최씨의 문인 가풍을 완성한 점에 의미가 있다. 대외적으로는 서인 혹은 노론정권이 대구지역 사족을 서인화‧노론화하는 의도에 편승하지 않고 정치적으로는 영남 남인, 학문적으로는 퇴계학파의 주류에 편입되어 정체성을 더욱 분명히 한 점이다. 그는 영남의 명문가, 특히 안동지역의 명문가와 혼인 관계망을 강화하는 동시에 영남 전역으로 혼반을 형성하였다. 17세기 후반 영남 남인의 수장격인 이현일의 문인으로 정치적 위기에 처한 권구와 김성탁을 방문하여 퇴계학파로의 학문적 입장을 분명히 했으며, 40대 이후에는 당시 영남 최고의 학자인 이상정과 교유하는 가운데 퇴계학파의 주류에 편입되었다. 최흥원의 문인록에는 122명의 문인이 등재되어 있는데, 영남 전역에 걸쳐있다. 그는 대구지역 최고의 학자로, 근기남인과도 지속적인 교류를 하였다. 경상감영에서 류형원의 『반계수록』을 간행할 당시 최흥원이 교정을 주도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러한 결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is to address social networks of Choi Heung-Won, who was a nobleman lived in Otgol (옻골), Daegu in the 18<SUP>th</SUP> century, revealed in his diary ‘Yeokjungilgi (曆中日記)』. His social networks, established throughout his life, were significant in terms of that it had completed the literary tradition of the Otgol Choi family. To be more exact, he did not climb on the intention of the Noron party or the Seoin party to incorporate the gentry of Daegu into the Noron party or the Seoron party and decided to incorporate into the Taegae school of Yeongnam to more clearly define his identity. While he strengthened his social networks with prestigious families of Yeongnam, especially Andong, through marriage, he established social ties to other prestigious families through relationships formed by marriage. In the latter half of the 17<SUP>th</SUP> century. In the latter half of the 17<SUP>th</SUP> century, he visited Gwon Gu and Kim Sung-Tak, who were in a political crisis since they were literary men supported by Lee Hyung-Il, the head of Yeongnam literary men, in order to clarify his academic position as the Taegae school, and after his 40s, he was incorporated into the mainstream of the Taegae school while associating with Lee Sang-Jung, the best scholar in Yeongnam at the time. There were 122 literary men listed in Choi Heung-Won’s record for literary men and they were all over Yeongnam. As one of the most outstanding scholars, he had been engaged in continuous exchanges with Namin. It might be a reason why Choi Heung-Won was able to lead the correction of 『Bangaesurok(磻溪隨錄)』 by Ryu Hyong-Won at the time of its publishment in Gyeongsanggamyeong.

      • 『曆中日記(1735~1786)』를 통해 본 崔興遠의 자제교육 양상

        김명자 ( Kim Myungja ) 조선사연구회 2024 조선사연구 Vol.33 No.-

        교육은 특정 시대 사회상의 일면을 설명해 줄 수 있다. 조선시대의 공부와 교육은 수기치인과 입신양명을 목적으로 하며, 훌륭한 학자의 배출과 과거 합격은 家格을 올리는 데 중요하게 작용한다. 가정경영 가운데 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것은 당연하다. 집안의 어른이 자제들을 어떻게 교육했는지 살펴보는 것은 조선시대의 공부와 교육의 실제를 파악하는 데 의미 있는 작업이다. 그렇지만 이에 대한 연구성과는 미흡하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것이 일기자료이다. 이 글에서는 18세기 대구 옻골에 거주했던 百弗庵崔興遠(1705~1786)이 1735년부터 1786년까지 기록한 『曆中日記』를 통해서 집안의 어른 최흥원이 자제들을 어떻게 교육시켰는지 교육대상, 교수자, 공부 장소, 소장 도서와 독서 목록 등의 주제로 살펴보았다. 교육대상은 아우, 아들, 손자, 조카, 사촌 등이며, 교육대상에 따라 토론, 암기, 체벌 등 교육 방식이 달랐다. 최흥원이 자제들을 직접 가르쳤으며, 이들을 주변의 훌륭한 학자의 문하에 출입할 기회도 만들어주었다. 공부는 집에서 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과거 준비를 비롯하여 집중적으로 공부해야 할 때는 팔공산 아래의 사찰을 이용했다. 1750년대 중반 이후에는 자제들을 위한 강학 공간인 北溪亭舍가 마련되어 좀 더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졌다. 최흥원은 영남 南人으로서의 정체성을 분명히 했고 『소학』과 『대학』을 강조했지만, 西人의 저서, 『장자』, 불교 서적 등을 다양하게 섭렵했다. 이는 자제들의 지적 사유 형성에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최흥원의 자제교육 방식 가운데는 보편적인 것도 있고 특수한 사례도 있을 것이다. 이는 더욱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해 확인 가능할 것이다. Education is one of the main topics in explaining social aspects of a particular era. The study and education of the Joseon Dynasty were aimed at raising the self-discipline and social success, and the production of excellent scholars and pass the examin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aising of the family level. It is natural that education accounts for a high proportion of family management. It is meaningful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study and education in the Joseon Dynasty to examine how adults in the family educated their children. However, research results on this are insufficient. Diary data can compensate for this.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how Choi Heung-won(崔興遠, 1705-1786), an adult in the family, educated his children through the 『YeokjungIlgi(曆中日記)』, recorded by Choi Heung-won, who lived in Daegu otgol village(옻골마을) in the 18th century, from 1735 to 1786. The subjects of education were brothers, sons, grandchildren, nephews, and cousins, and the educational methods such as discussion, memorization, and corporal punishment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bject of education. Choi Heung-won taught his children directly and created an opportunity to learn them from great scholars around him. Studying was often done at home, but when I had to study intensively, including preparing in the past, I used temples under Palgongsan Mountain. After the mid-1750s, Bukgyejeongsa(北溪亭舍), a educational space for children, was established to provide more systematic education. Choi Heung-won clarified his identity as a Yeongnam Namin(南人) and emphasized 『Sohak小學』 and 『Daehak大學』, but he studied various books of Seoin(西人), Jangja, and Buddhist books. This would have influenced the intellectual thinking of the children. Among Choi Heung-won's Descendants education methods, there will be universal and special cases. This will be confirmed through more diverse case studies.

      • KCI등재

        18세기 대구 사대부의 일상을 통해 본 가족과 관계-최흥원(1705~1786)의 사례-

        김정운 대구사학회 2022 대구사학 Vol.147 No.-

        This study contemplates the meanings of family in the daily life of Choi Heung-won (1705~1786) who lived in Daegu in the 18th century. In the study, discussions focus on two points. The first point is space as it was an important element in a person's way of thinking and action. The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Daegu in the 18th century when Choi lived there. The provincial office of Gyeongsang Province was set up in Daegu in 1601. The governor would have controlled the entire province, including its administration and judicial power. Thus, Daegu became the central city of the province in administration and jurisdiction. Gyeongsang Province was the most populous administrative unit at the provincial level in Joseon in the 18th century, and Daegu was at its center. The second discussion point is family, which is a foundational group of life. The scope of family, in a narrow sense, encompasses a couple and their children, and in a broader sense, even their parents and siblings. Accordingly, one must know the description of family. The present study sheds light on the family relationships of Sadaebu in the 18th century with the case of Choi's family, whose perceptions of family and roles were reviewed based on their words and actions to each other. Choi's family consisted of a couple and their children. They lived together, and the couple shared responsibility for their children's upbringing and education. As a father, Choi was particularly devoted to the upbringing and education of his children. He taught his son everything from daily habits to interpersonal behavior styles. It was the same with his daughter. He would postpone an urgent matter to prevent her from getting hurt emotionally and even feel sorry after spending days at the house of his married daughter. The study also examines the couple's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and siblings. Their parents and siblings lived in separate places and worked together to serve their parents. Choi was the eldest son and lived with his mother after his father passed away early. Choi's wife also passed away early. Under these circumstances, he lived with his mother. His siblings lived in their respective homes after getting married. He and his siblings divided their roles to serve their parents. 이 논문은 18세기에 대구에서 살았던 최흥원(崔興遠, 1705~1786)의 일상생활에서 가족의 의미를 생각해 본 것이다. 논의는 두 가지 지점에 집중하였다. 첫째는 공간이다. 공간은 사람의 사고방식과 행동에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최흥원이 살았던 18세기 대구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18세기의 대구는 번화한 도회지였다. 1601년 경상도(慶尙道) 감영(監營)이 설치되었고, 행정과 사법의 중심이었다. 둘째는 가족과 관계이다. 가족의 범위는 좁게는 부부와 자녀이며, 확대하면 부부의 부모와 형제가 포함된다. 이들 사이의 관계는 어떠하였나. 최흥원이 가족에게 표현하는 말과 행동을 따라서 그들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최흥원의 가족은 부부를 중심으로 운영되었고, 자녀의 양육과 교육은 부부가 함께 분담하였다. 또 아내와 자녀, 부모와 형제에 대한 애정을 표현하는 데에 있어서도 적극적이었다.

      • KCI등재

        18세기 대구사족 최흥원<SUB>崔興遠</SUB>의 시세계와 내면 - 『역중일기<SUB>曆中日記</SUB>』내 한시<SUB>漢詩</SUB>와 감회표출을 중심으로

        정환국(鄭煥局)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8

        이 글은 백불암百弗庵 최흥원崔興遠의 문학과 그의 일기를 함께 본다는 취지에서 시세계와 내면을 소재로 접근한 것이다. 먼저 그의 한시가 『문집』뿐만 아니라 『역중일기』내에도 여럿 실려 있는 점에 주목하였다. 일부 작품이 겹치기는 하지만 대개가 『문집』에는 없는 것들로, 그 성격 또한 상당히 이질적이다. 『문집』의 한시들이 주로 성리학적 사유나 개인 수양의 지점이 전면화된 것들이라면, 『역중일기』에 기록된 한시는 저자의 고뇌와 연민 등 다양한 정감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두 자료의 한시들은 그의 한시세계의 안과 밖을 구성하고 있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역중일기』의 성격을 그동안의 방식과는 달리 저자의 고뇌와 성찰이라는 자기서사의 산물로 접근해 보았다. 저자가 50년 넘게 기록한 『역중일기』는 그 자체로 그의 삶의 역사이다. 이 일기에는 집안을 건사하고, 가문을 유지하며, 지역에서의 관계 맺기 등의 과정에서 숱한 일과 인물을 마주하며, 그에 상응한 감정이 여과 없이 드러나 있다. 때로는 긴장하고 때로는 후회하는가 하면, 가끔은 경계를 늦추지 않거나 특정한 사안에 대해서는 비판을 서슴지 않는다. 심지어 대립하는 상대방을 두고 험담을 넘어선 악감정을 토해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런 감정을 밖으로 드러낸 것은 아니었다. 이런 외부로 표출되지 않은 사적인 감정은 중년을 넘어 노년으로 접어들면서 일정한 변화를 보인다. 집안과 가문 유지가 난망한 데 따른 고민이었다. 이런 고뇌와 성찰은 그의 일기 안에 수록된 한시들과 일맥상통하는 바, 18세기 대구 지역의 유력한 문인학자이자 경세가로 평가받는 최흥원의 삶의 궤적에서 주목되지 않았던 부분이었다. 결과적으로 _역중일기_는 저자의 감정선이 풍부하게 드러남으로써, 불안정한 현실과 흔들리는 자아가 상충하고 보완되는 양태를 띠었다. 곧 내면의 분투이자 고백의 산물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pproaches towards the poetic world and inner side of Baekbulam (百弗庵) Choi Heung-won(崔興遠) by analyzing his literary works and diaries–his collections and Yeokjungilgi (曆中日記). First, it focuses on the fact that his Hansi(poetry written in Hanmun) were included in Yeokjungilgi as well as his collection. Some of the pieces are in common whereas most pieces in Yeokjungilgi are not included in his collec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eces in each book are distinguishable. The agony and sympathy are intactly exposed in Yeokjungilgi while he Neo-confucianist ideas and personal disciplines are expressed in front in his collections. It helps us to identify the circumstances of his writings which could help in building a history of his poetry. His collection and Yeokjungilgi build the inside and outside of his poetic world. Secondly, it approaches towards the characteristics of Yeokjungilgi in regard to the author’s agony and introspection. He had been writing Yeokjungilgi for over a half century that Yeokjungilgi itself could be the history of his lifetime. The diary displays how he had managed and maintained the family, the events occurred in managing relationships in his region and the emotions arisen from occasion to occasion - nervousness, regrets, criticism and even grudge over the conflict. However, he would not outwardly show his emotions. The series of these unspoken emotions show change in his times of senescence as the concerns of maintaining his family arose. There is a thread of connections in between the agony and introspection and his Hansi which was an unnoticed part of an influential literati and an administrator of 18th century Daegu.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the author’s emotional line is thoroughly displayed in Yeokjungilgi and that the piece is a fruit of the conflicts and supplementations of his unstable states and insecure self.

      • KCI등재후보

        <曆中日記>를 통해 본 사대부의 일상과 가족의 의미

        류명옥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9

        One of the things that allows you to take a closer look at a person's various daily lives and emotions is a diary. In particular, there is “Yeokjungilgi” as a diary material that allows you to look at the daily lives of the nobleman in the 18th century. Yeokjungilgi, written by Choi Heung-won of Baekbulam for about 60 years, is an important material in that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daily lives of the nobleman and the emotions and emotions they feel in their daily lives. In particular, “Yeokjungilgi” is characterized by various family relationships. Baekbulam Choi Heung-won shows his daughter and son as a great father. The agony between the appearance of a nobleman and a father is evident through the appearance of having to endure his father's sadness as a nobleman. By recognizing the mother and mother's mother's family in the same way, it shows the emotional intimacy with the mother. In addition, a strong will to practice can be found in making a ritual (變禮) that is a nobleman but must be observed in response to the situation of private benefits. As such, all the daily lives in “Yeokjungilgi” are characterized by being woven into a family, and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can understand the family relationship of the noblemen. In this respect, the daily life of the noblemen in “Yeokjungilgi” should be understood in various ways from the social status of the noblemen and from a human perspective. This is because the perception of family was formed first on the basis that Choi Heung-won of Baekbulam was recognized by expanding to a region or social communit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that originated from the family and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through emotional empathy and emotion, Choi Heung-won of Baekbulam will be able to empathize and communicate with the community. Therefore, “Yeokjungilgi” is a record that provides a glimpse of the empathy and emotion of a nobleman, and through this, it can be understood in various aspects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human aspect of the noblemen.

      • KCI등재

        부자들의 빈곤2 - 18세기 중반 영남 한 향촌 양반지주가의 경제생활 -

        정진영 ( Jung Jin-young ) 대구사학회 2017 대구사학 Vol.129 No.-

        이 연구는 앞서 검토하였던 16~18세기 향촌 양반지주층의 빈곤을 18세기 중엽 한 특정가문을 중심으로 다시 확인함과 아울러 이들의 ‘가난’이나 ‘빈곤’이 어디에서 원인하는 것인지, 이를 어떻게 극복ㆍ대응해 나갔는지에 대해 개괄적으로나마 살펴본 것이다. 검토 대상 가문인 대구의 경주 최씨가는 관직자도 배출했고, 중소지주 또는 그 이상의 경제적 기반을 학보 혹은 유지했으며, 특히 최흥원은 학문적으로도 크게 명성을 떨쳤다. 또한 최씨가에는 분재기와 매매명문 등과 함께 최흥원(1705~1786)이 남긴 방대한《曆中日記》등의 자료가 소장되어 있다. 최흥원의《역중일기》에는 자신뿐만 아니라 형제들과 족친들, 외가와 사돈가, 그리고 다양한 인물들의 빈곤과 관련된 내용들이 아주 빈번하게 나타난다. 빈곤의 원인은 자연재해와 많은 식구들, 그리고 봉제사 접빈객 등이었고, 곡식과 돈을 빌리거나 토지와 노비를 팔거나 관의 환곡 등을 통해 여기에 대응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것은 일방적인 것이 아니었다. 최씨가에서도 주위의 인척과 여러 사람들에게 빌려주거나 토지를 매득하는 경우가 많았다. 최씨가에서는 助祭庫와 別庫 등 다양한 문중조직을 운영하고 있었다. 이것은 물론 제사를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흉년이 계속되는 상황에서는 다만 그 본래의 기능만을 고집할 수 없었다. 최씨가에서는 여기에도 크게 의지할 수 있었다. 흉년이나 빈곤에 대한 이상과 같은 대응은 근본적인 것이 아니라 임시미봉책에 불과했다. 따라서 흉년이나 빈곤이 장기적 혹은 주기적으로 계속되는 상황에서는 점점 더 극한 상황으로 내몰릴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런 사정에서 18, 19세기를 거치면서 점차 더 많은 양반들이 경제적으로 몰락의 길을 걸을 수밖에 없었음을 충분히 짐작해 볼 수 있다. 이제 마지막으로 최씨가의 빈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남았다. 최씨가의 경우는 빈곤의 일상화라기보다는 차라리 일시적인 것이었다. ‘몰락’의 길로 내몰렸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은 양이지만 전답의 매득과 상당한 재원을 필요로 하는 건축도 꾸준히 계속되었다. 최씨가의 빈곤은 말하자면 ‘부자들의 빈곤’인 셈이다. 가난해서가 아니라 지출이 과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빈곤은 조선 후기 향촌 양반지주가의 일반적인 모습이었다. 또한 당시의 농업경영이 자연적인 조건에 크게 제약됨으로써 안정적이지 못했음도 분명해 보인다. This study reconfirmed the poverty of the landed gentry in country villages in the 16th - 18th centuries that was reviewed in the previous study mainly based on a specific family in the mid-18th century, and generally examined where their ‘poverty’ or ‘penury’ was originated and how they coped with and responded to it. The Gyeongju Choi clan family in Daegu, the target family of the study, produced government officials and secured or maintained their financial foundation as an owner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lands or higher. In particular, the Choi family left Yeok-Joong-Il-Gi (曆中日記) written by Choi Heung-won (1705 - 1786), along with the records of property inheritance and trading statements. The journal Yeok-Joong-Il-Gi by Choi Heung-won frequently described the issues related to poverty in himself, brothers, relatives, relatives of his mother’s and wife’s sides and many other people. The reasons for poverty were natural disaster, the large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reception of the guests of ancestral rites, and the family handled the issue by borrowing grain and money or selling lands and slaves or using the Grain Loan System (Hwangok) of provincial government. However, these were not just unilateral measures because the Choi family also often lent lands or grain to many relatives and neighbors or purchased lands from them. Such responses to bad years or poverty were only temporary remedies rather than the fundamental solutions. Therefore, when bad years or poverty continued for a long time or occurred periodically, the gentry were forced to be placed in more extreme situations. In these circumstances, it can be assumed that more and more of the gentry had to face a financial collapse in the 18th - 19th centuries. Lastly, there is a question left about how to understand poverty of the Choi family. In this case, the family’s poverty was temporary rather than habituated poverty. Therefore, they were not forced to ‘collapse.’ The family continued to buy small farmlands and constructed buildings that required a considerable amount of finance. Poverty experienced by the Choi family was so-called ‘poverty of the rich.’ They experienced poverty because of excessive spending rather than being poor. Such poverty was commonly found in the families of the landed gentry in country villag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also considered evident that agricultural management was unstable as it was significantly limited by the natural conditions.

      • KCI등재

        崔興遠의 『曆中日記 』를 통해 본 영남선비의 일상

        吳龍源(Oh, Yong-Won) 대동한문학회 2015 大東漢文學 Vol.45 No.-

        『曆中日記 』는 百弗庵 崔興遠(1705~1786)이 1727년부터 1786년까지 약 60년 동안 기록한 전형적인 생활일기이다. 이 일기에는 하루의 간지와일기 상태를 비롯하여 농사 형편, 교유 관계, 유람 일정, 질병과 이를 대처하는 자세, 사회적 모순과 부조리에 대한 반성적 표출, 부인동 동약, 종중의대소사 등 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사가 사실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본 연구 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역중일기 의 작성 배경 및 구성, 그리고 18세기 대구지역에 거주했던 향촌 엘리트의 일상과 이 일기가 갖는 몇가지 가치를 살펴보았다. 역중일기 의 기록자는 영남지방 향촌사회에서 주로 활동하면서 당시 대구지역을 비롯하여 李象靖, 郭東朝, 李徑祿, 李聃命 등 다양한 인물들과 교유하며 인적 관계망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인적 관계망을 통하여 조선 후기 대구를 중심으로 한 사림들의 동향을 검토할 수 있었다. 특히 그가 李瀷에게 자제들의 교육을 맡긴 사실 등을 감안한다면, 18세기 대구 지역을 중심으로 한 기호사림과의 교유 관계망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은 학술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을 것이다. 또한 『역중일기 』에는 기록자가 『대구부읍지 』, 『禮儀補遺 』, 『磻溪隨錄』 등의 교정에 적극 참여하였음을 볼 수 있고, 그 진행 과정과 일상들이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가정에서 지내는 제례의 다양한 모습과 향내에서 지내는 기우제의 儀式이 잘 기록되어 있다. 역중일기 는 방대한 기간과 양, 그리고 당시 대구지역을 비롯하여 영남지방 향촌사회에 매우 지명도가 높은 인물이 기록한 일기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학계에 소개되지 않았다. 조선시대에 작성된 일기는 개별 자료마다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고, 일상의 사소한 부분을 포괄적으로 수록한 텍스트이다. 미시적 관점에서 볼 때, 『역중일기』 는 백불암의 문자활동을 비롯 하여 18세기에 영남지방 선비들의 일상을 재조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것이다. Yeok-joong-il-gi is a life diary which was written for 60 years from 1727 to 1786 by Baek-Bul-Am Choi Heung-Won(1705~1786). In Yeokjoong-il-gi , everyday affairs of noblemen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as the sexagenary cycle and weather condition of the day as well as farming conditions, social relationship, sightseeing schedule, disease and attitude of coping with diseases, self-reflective expression towards social absurdities and irrationality, Buindong-Dongyak, and all household matters of a clan are recorded realistically. By focusing on this respe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ackground and composition of Yeok-joong-il-gi , everyday life of elites of country districts who resided in Daegu in 18th Century, and values of the diary. The recorder of Yeok-joong-il-gi associated with and formed human network with various characters as Lee Sang-Jung, Kwak Dong-Joo, Lee Kyung-Rok, and Lee Dam-Myung in rural community of Yeongnam district.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review trends of scholars around Daegu in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human network. Specially, considering that he entrusted education of his children to Lee, Ik, the portion of assessing relational network with scholars he preferred around Daegu region in 18th Century will not be small in academic history. Also in Yeok-joong-il-gi , it is evident that the recorder actively participated in proofreading the Daegu Chronicle , Yeuiboyu , and Bangyesurok , and the process and daily routine are well documented here. Also, various ancestral ritual ceremonies held at home and ritual ceremony for rain in country districts are well documented. Yeok-joong-il-gi is not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yet even though it was recorded by a very well-known person in Daegu as well as in rural society in Yeongnam districts at the time over a vast period of time. Diaries written in Joseon Dynasty have unique characteristics by individual data which recorded minor part of life comprehensively. From microscopic point of view, Yeok-joong-il-gi is considered to prepare opportunities to review character activity of Baek-Bul-Am as well as everyday life of scholars in Yeongnam district of the 18th century.

      • KCI등재

        18세기 감영도시 대구와 낙동강 중류지역의 역사공간적 특징

        김정운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1 한국학논집 Vol.- No.85

        This paper is a study of Daegu in the 18th century. Daegu was the center of Gyeongsang-do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can be seen in two aspects, one is the institutional aspect of the center of administration and the other is the cultural aspect. Daegu has been the center of administration where observers reside since the establishment of Gyeongsang-do Gamyeong in 1601. Because of this, people and goods gathered. Daegu was the largest city in Gyeongsang-do in the late Joseon Dynasty. Cities are places where people and goods gather, and an open and inclusive culture is created. The other is the cultural aspect. Nakdonggang River is joined by several streams of water in Yeongnam and gathers into one to penetrate the center of Yeongnam. The Nakdonggang River is a symbol of Yeongnam and penetrates the whole, forming a cultural area called Yeongnam Culture. This Yeongnam Culture created a variety of cultures by forming several cultural areas again. Daegu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Nakdonggang River and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two regions meet between the left and right cultures. Daegu was a place where both academ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Yeongnam converged.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paper confirmed the urban aspects of Daegu in the 18th century in the daily lives of its members. The daily life of Cho Jae-ho (1702-1762), who lived in Daegu as an observer of Gyeongsang-do in the 18th century, brings together various and comprehensive aspects of Daegu, an administrative city. The daily life of Choi Heung-won (1705-1786), the nobleman who lived in Daegu at the same time, showed the life and ideas of the nobleman in the city. In this way, Daegu in the 18th century, seen from the daily lives of the noblemen, was an open city where various cultures were fused. 본 논문은 18세기 대구의 역사공간적 특징을 연구한 것이다. 조선후기에 대구는 경상도의 중심이었다. 두 측면에서 그렇다. 하나는 행정의 중심이라는 제도적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문화적인 측면이다. 대구는 1601년 경상도 감영이 자리한 이후 관찰사가 거주하는 행정의 중심이었다. 이 때문에 경상도 전지역에서 사람과 물산이 대구로 모였다. 대구는 사람과 물산이 모이는 곳이고,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문화가 만들어졌다. 다른 하나는 문화적 측면이다. 낙동강은 여러 물줄기가 합해서 영남의 중앙을 관통한다. 낙동강은 영남의 상징이며, ‘영남문화’로 일컬어지는 하나의 문화권을 형성하였다. 이 ‘영남문화’는 다시 몇몇의 문화권역을 형성하면서 다채로운 문화를 포함하였다. 대구는 낙동강의 중류에 위치하면서 경상도 전역의 문화가 만나는 지점에 있다. 조선후기 대구는 영남의 학문적·문화적 특징이 모두 수렴되는 곳이었다. 이런 배경에서 본고는 18세기 대구의 모습을 구성원의 일상에서 확인하였다. 경상도 관찰사로 대구에서 지냈던 조재호(趙載浩, 1702~1762)의 일상은 행정도시 대구의 다양하고 포괄적인 모습을 모여 준다. 같은 시기에 대구에서 거주하였던 사대부 최흥원(崔興遠, 1705~1786)의 일상은 대구 사대부의 생활과 관념을 보여주었다. 이렇게 사대부의 일상에서 본 18세기 대구는 개방적이고 다양한 문화가 융합되는 도시였다.

      • KCI등재

        南野 朴孫慶의 삶과 문학을 통해 본 ‘金塘谷’의 사회적 상징성

        권경록(Kwon Kyong rok)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2 No.-

        이 글은 ‘영남삼로(嶺南三老)’로 일컬어지던 남야(南野) 박손경(朴孫慶)의 시문을 통해 그의 삶과 문학 그리고 그 현장의 문화지리적 의미를 밝힌 것이다. 박손경은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백불암(百佛庵) 최흥원(崔興遠)과 함께 18세기 ‘영남삼로’로 추앙되었다. 그는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십승지로 일컬어지던 예천(醴泉) ‘금당곡(金塘谷)’에서 실천하는 처사(處士)로 일생을 마친 인물이다. 이 글은 문학 속에 재현되는 공간표상이 사회적 공간으로서 지니는 의미를 밝히기 위해 지리적 공간과 문학적 공간표상의 관계를 이해하는 문학지리학의 방법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이 글은 ‘금당곡’에 관련된 박손경의 문학적 공간표상이 사회적으로 생산된 하나의 공간이라는 전제 위에서 서술되었다. 그 결과 박손경의 문학에 재현된 ‘금당곡’은 ‘일상의 공간’, ‘교유·교화의 공간’, ‘천형(踐形)의 실천 공간’이었다. 박손경은 ‘사람다움을 실현하는 것’, 곧 ‘천형’을 사람의 직분으로 이해했고, ‘금당곡’은 그 직분을 다하는 삶의 공간이었다. 시대의 참된 인간으로서의 삶을 실천해 가는 철저한 ‘진인(眞人)’의 심상공간이었다. 박손경이 ‘금당곡’에서 처사로 ‘천형’을 실천하고, 문학을 생산해 낸 것은 십승지 ‘금당곡’이라는 사회·지리적 결과와 질서 속에서의 장소 점유와 문화의 생산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life and literature of Namya Park Son-gyeong, who was one of ‘Three Old Men of Yeongnam’, and examine the cultural and geographic meanings of his place through his poetry and prose. He was revered as one of ‘Three Old Men of Yeongnam’ in the 18th century along with Daesan Lee Sang-jeong and Baekburam Choi Heung-won. He did not hold a government position and was devoted to practice at ‘Geumdanggok’ of Yecheon, which was called Shipseungji, until he passed away as a classical scholar that lived in a remote village without holding office. The present study developed its discussions in the method of literary geography, which promotes the understanding of relations between geographical space and literary representation, to shed light onto the meanings of spatial representations reproduced in his literature as social spaces. The study was based on the premise that Park's literary spatial representations related to ‘Geumdanggok’ were socially created spaces. The findings show that ‘Geumdanggok’ reproduced in his literature represented ‘space for life’, ‘space for social intercourse and reformation’, and ‘space for the practice of Cheonhyeong’. He understood ‘Cheonhyeong’ or ‘practice of being human’ as the duty of man and found a life space for the fulfillment of the duty in ‘Geumdanggok’, which was a space of mental imagery of a ‘true man’ that practiced life as a true human being of the times. His practice of ‘Cheonhyeong’ as a classical scholar that lived in a remote village without holding office and his literary creation at ‘Geumdanggok’ were the results of place occupation and cultural production in the social and geographic outcome and order of ‘Geumdanggok’, one of Shipseungj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