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留熱(한국유학 붐), 어떻게 볼 것인가?

        전홍철 중국어문학회 (구 이화중국어문학회) 2009 中國語文學誌 Vol.30 No.-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universities in Korea is rapidly increasing. According to the statistic of the Ministry of Justice, in the beginning of 2009 the total number of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was 75.721 people and the vast majority of them were Chinese-59.100 people that showed 78% from total. In 2004 the Korean government has presented the "Study Korea Project" in order to attract 50 thousand students from abroad by the year 2010, but in 2007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exceeded 50 thousand in number that showed surprising results achieving the initial goal by 3 years earlier. Due to the unexpected accomplishment,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has amended and presented the "Study Korea Project Development Plan" that aims to increase number of foreign students up to 100 thousand students by the year 2012. Why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increased so tremendously? Can it continually show growth? Moreover, is the strategy driven forward by the government and every university to attract more foreign students proves itself desirable? Through this article we looked at the problem by seeking connection between the domestic causes and foreign circumstances and showed how to maintain the Korean wave of studying in Korea. The role that Korean government played as the supporting agent in the tremendous increase of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is obvious, but the biggest cause of that is the critical situation that needs financial breakthrough Korean Universities faced due to the decline in application for admission. Universities that faced a difficult financial situation started to actively enroll foreign students to improve their profitability. The reason of the explosive increase in number of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is also related to the booming situation in Chinese education market, rather than to internal Korean factor. The neighboring enormous Chinese education market is being popularized and globalized, that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increase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Recently, Chinese students choose to enter the Korean Universities through the Chinese Universities which set up sisterhood relationship with. In order to consistently enroll Chinese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it`s very desirable to establish joint majors within the Chinese-Foreign Cooperation in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sister relations with Chinese Universities.

      • KCI등재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인유학생과 중국에 거주하는 중국현지 대학생의 한식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조수현,김재희,김명희,이원종,김은경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6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 among Chinese students residing in Korea (Chinese foreign students, N=69) and China (Chinese-locals, N=98). A total of 76.8% of Chinese foreign students and 70.4% of Chinese-locals had ever eaten Korean food in China before visiting Korea, and motivation to try Korean food at first was ‘easy access to Korean food restaurants’ (Chinese foreign students 38.6%, Chinese-locals 44.9%).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Korean food were ‘taste’ and ‘price’ (Chinese foreign students 72.7% and 18.2%, Chineselocals 59.1% and 22.7%, respectively), and needed improvements for Korean food were ‘spicy and salty taste’ and ‘nutritional aspect’ (Chinese foreign students 54.5% and 25.8%, Chinese-locals 33.3% and 36.4%, p<0.05). The scores for perception of Korean food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hinese-locals (2.99) than in Chinese foreign students (3.31)(p<0.001). Chinese foreign students preferred Bulgogi (20.5%), Neobiani (20.1%), and Galbijjim (17.9%), whereas Chinese-locals preferred Bulgogi (16.1%), Gimbap (16.1%), and Samgyetang (15.2%) (p<0.001). The most preferred condiment was ‘Garlic’ (18.0%) in Chinese foreign students, and ‘Red pepper powder’ (16.4%) in Chinese-local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as a foundation to prepare a globalization strategy for Korean Food.

      • KCI등재

        현지 거점센터 예비반 출신의 중국인 유학생과 일반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능력, 유학 후 계획, 대학 선택 동기, 교육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비교 연구

        장선영,윤태훈 한국교육방법학회 2015 교육방법연구 Vol.27 No.3

        Recently the number of the foreign students is growing up increasingly in Korea. Especially the Chinese students are most, so the portion is 76% more among the whole foreign students in Korea. The many universities in Korea are making and performing the various global strategies. They should help the foreign students to adapt the campus life successfully. So, they need to develop the discriminated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to the foreign students' campus life adaptation through the management of international base center, based on the case of Chinese students' in A university.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performed in Chinese students. The results are as bellows. First, pre-admission foreign students' Korean language abilities are very distinctively higher than general Korean language course students, but are the same level as the general foreign students. In the sub-questionnaires of the campus life adaptation, the factor of selection of university,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 there a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pre-admission foreign students and general foreign stud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give an important strategy in adapting and managing foreign students in borderless global competition generation 최근 들어 국내에 아시아 국가들로부터 온 외국인 유학생의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국 유학생이 전체 유학생 수의 76%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월등히 많다. 이렇듯 중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로부터 외국인 유학생들을 유치하기 위해서 한국 내 대학들은 각종 다양한 국제화 전략을 수립하여 실행하고 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유학생 수의 양적 성장과 함께 각 대학은 유학생들이 성공적으로 대학 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전략 수립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서 한국의 대학은 보다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 이에 국내 A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해외 현지 거점센터를 설립하여 유학생 예비반을 운영하고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유학생 예비반 운영이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중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예비유학생이 한국어 능력을 비롯하여 대학생활 등과 관련된 다양한 부분에서 일반 유학생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 예비유학생은 한국어 능력과 일반 유학생 및 일반 어학연수원생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대학 선택과 취업, 그리고 대학생활 등의 하위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는 향후 무한경쟁의 글로벌 시대에 유학생 유치 및 관리 전략에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 대학과 중국인 유학생의 동상이몽; 서울과 지방 소재 사립대학 비교

        박소진 ( So Jin Park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3 韓國文化人類學 Vol.46 No.1

        이 글은 글로벌 대학의 위계와 불균등한 유학이라는 맥락 속에서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 선택이 어떻게 한국 대학의 국제화전략과 맞물리는지를 밝힌다. 특히 한국대학 구조의 위계 속에서 다른 위치를 가진 서울의 B대학과 지방의 C대학 사례를 통해 중국인 유학생 유치 동학(dynamics)을 비교·분석한다. B대학의 경우 대학평가, C대학의 경우 대학재정이라는 유치 동기를 가진다. 두 대학은 글로벌 대학의 위계 속에서 불안정한 위치를 공유하면서 입학의 문턱을 낮춤으로써 중국인 유학생이 약간의 경제력만 되면 손쉽게 한국 유학을 선택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교육, 평가, 관리등에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지만 공론화되지 못하고 있다. 중국인 유학생은 한국어 습득, 한국 관련 관심, 학위취득이라는 주요 동기를 공유하지만, 대학 위계에 따라 한국 유학에 대해 다른 의미를 부여한다. B대학의 중국인 유학생들은 학교 브랜드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지만 학업 능력이나 언어 면에서 한계를 느끼고, 상대적으로 낮은 가치를 지니는 한국 유학을 영어권 유학의 차선책으로 인식하였다. 위상이 낮은 C대학의 경우 적극적인 유치전략과 중도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임시방편적 평가를 하기에 중국에서 대학 입시에 실패하거나 전문대를 다니는 학생들이 한국 유학을 손쉬운 대학 진학과 학위취득이 가능한 대안으로 선택하였다. 이는 학업이 아닌 돈을 벌기 위한 목적을 가진 학생들이 유입되는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이 글은 한국 대학의 국제화전략으로서 중국인 유학생 유치와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 선택의 역동적인 관계를 함께 연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how Korean universities` globalization strategies are articulated with Chinese students` choices of study in Korea in the transnational context of hierarchical global higher education and uneven flows of students who study abroad. I compare the dynamics of recruiting Chinese students at B university in Seoul and C university in a provincial city, each of which occupies a different location in the hierarchy of the Korean higher education system. B university recruits Chinese students to promote its own global competitiveness in relation to university evaluation, while C university actively recruits them motivated by financial gain. Because both universities admit Chinese students easily without many requests, Chinese students can choose study in Korea as an easy option, if economically feasible. Although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relation to teaching, evaluating and managing Chinese students, these issues are not publicized. Chinese students come to study in Korea in order to learn Korean and get a bachelor`s degree. Chinese students in two universities, however, give study in Korea different meanings. Chinese students at B university feel pride in the brand value of B university, even while they lack the confidence of academic capacity. They also perceive study in Korea as a second best choice because it has less relative brandname value than do institutions of study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Because C university with its relatively low-rated reputation actively recruits Chinese students and adopt a stopgap measure for evaluation, Chinese students who failed to enter university or else entered a third-tier or junior college in China, perceive study in Korea as an easy second chance to get into college and get a bachelor`s degree. This study draws our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globalization strategies of Korean universities, and deepens our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students who study in Korea.

      • KCI등재

        基于SWOT分析的韩国引进中国留学生发展战略研究 -以2000年至2020年期间赴韩留学中国留学生数据为基础

        王誉璇,김현태 한국아시아학회 2022 아시아연구 Vol.25 No.3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from2000 to2020, Chinese students have entered a period of rapid growth and stable development.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peaked in 2019, falling for the second consecutive year after 2020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multiple factors. In fact, the growth rate of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has been on a marked decline since 2017. The strategy and present situation of attracting Chinese students are important to the Korean international education industry, including Strength, Opportunities, Weakness and Threats. The SWOT analysis shows that the attraction of Chinese students is affected by many factors such as Sino-Korean relations, the policy of studying in Korea, the strategy of Korean universities, and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educational background.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education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from 2000 to 2020, but there are still shortcoming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ent management and unstable employment path. As the number of students studying in China has changed, Korea's international education industry and the government have introduced or adjusted their policies to cope with the change and have also developed markets for students from other countries. The Korean international education industry needs to make efforts to attract outstanding Chinese students, provide customized courses, establish a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provide employment opportunities. Through the above-mentioned solutions, we hope that the education of foreign students in both countries will develop in a healthy way.

      • KCI등재

        중국 대학생의 해외 3개국(한국·미국·영국) 드라마 시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유명연,전범수 한국소통학회 2020 한국소통학보 Vol.19 No.4

        The study examined determinants of foreign drama programs including Korean, the US and the UK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the Chinese internet survey web-site "so jump". A total of 35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only 32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ly, motivation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to watch foreign drama programs were similar in spite of national differences of their products. Most of motivations were entertainment related or interests of foreign cultures.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reference of Chinese college students for different genre categories of Korean, American and British TV series. Among them, Chinese college students had the highest preference for genres such as school dramas, melodrama and romantic dramas, and the lowest for political genres for Korean drama programs. Thirdly, the cultural proximity of Korea,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as recognized by Chinese colleg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Respondents showed more close relationships to Korea based on cultural proximity than two othe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Finally, motivations were major determinants for explaining watching foreign drama programs despite of nationalities. However, cultural proximity was not meaningful factors to understand viewing of foreign drama programs including Korean, the US and the UK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The effect of genre preferences on viewing degree of Korean, American and British TV drama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Korean TV drama genres such as romantic series, American TV drama genres of political and legal series, and British TV drama genres such as science fiction series. 이 연구는 중국 대학생들의 한국 및 미국, 영국 드라마 시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중국 대학생 32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해외 3개국 드라마 시청 동기와 시청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대학생들은 한국, 미국, 영국 드라마를 시청하는동기 요인들이 해당 국가에 대한 문화적 관심 요인이나 오락적 요인 등으로 유사하게나타났다. 둘째, 응답자들의 해외 드라마 장르별 선호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미국이나영국에 비해 장르별 한국 드라마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국 드라마 중에 학교드라마와 멜로드라마, 로맨틱 드라마, SF/판타지 드라마 선호도가 높았던 반면에 미국이나영국의 드라마 장르별 선호도는 SF/판타지를 제외하면 선호도가 낮은 편이었다. 셋째, 중국 대학생들은 한국이나 한국인에 대해 문화적 근접성 인식 정도가 비교적 보통 수준이었던 반면 미국이나 영국, 미국인이나 영국인에 대해서는 문화적 근접성 정도가 높지않았다. 넷째, 중국 대학생들의 해외 드라마 시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국적과 관련 없이 시청 동기가 해외 3개국 드라마를 시청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문화적 근접성은 중국 대학생들이 3개국 드라마 시청 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드라마 장르적으로는 한국 드라마의 경우 로맨틱드라마 등이 지속적인 드라마 시청의도에 영향을 미친 반면 미국은 정치 드라마, 영국은 SF 드라마 등이 시청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교육 서비스 경험에 관한 연구: 수도권 지역의 A대학교를 중심으로

        정경희 ( Jung Kyunghee ),김영순 ( Kim Youngso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3

        이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A대학교를 중심으로 중국인 유학생들 대상으로 대학교육 서비스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유학생들이 국내 대학에서 학습하는 과정에서 교육서비스에 대한 여러 경험 사례를 토대로 대학교육 서비스의 질을 제고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대학 당국 차원에서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하고 유지 관리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연구참여자들은 수도권 지역에 있는 A대학교의 중국인 유학생 8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중국인 유학생들은 교육행정서비스의 불편함을 경험하였다. 둘째, 중국인 유학생들은 학위취득을 위한 핵심적 서비스로 강의요인에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셋째, 중국인 유학생들은 대학캠퍼스 내에서 도서관 등 여러 편의시설에 대해 비교적 만족해하고 있는 반면, 한국에서의 문화체험 또는 취업문화 체험에 대한 아쉬움과 소수자에 대한 우대정책이 적음에 대한 아쉬움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교육 서비스 경험을 통해 중국인 유학생과 국내 학생, 교수, 행정가들과의 관계 및 교육서비스 요인에 따른 문제점 등에 대한 해결방법을 찾고, 이주자 문화권의 교육체제와 한국의 교육체제 간 차이에서 오는 갈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The case of study focused on A university located at metropolitan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based on experiences of education service i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at domestic universities and to find a different way to attract and maintain foreign students at university authorities. Participants in the study conducted the in - depth interviews with 8 Chinese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 first,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d the inconvenienc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service. Second, Chinese students experience difficulties in lecturing factors as a core service for obtaining degrees. Third, while Chinese students are relatively satisfied with various facilities such as libraries in college campus, they have a sadness about lack of cultural experiences or experience of work culture in Korea and preferential policies for minorities. Through such experiences of Chinese students'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we are looking for better ways to deal with problems of Chinese students, domestic students, professors, administrators, and educational service factors, We should seek ways to minimize the conflicts between the education system in other countries and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 KCI등재후보

        재한 중국 유학생의 이주현황과 특성에 관한 연구 : 한족, 조선족 유학생 비교를 중심으로

        박우 在外韓人學會 2009 在外韓人硏究 Vol.19 No.-

        이 글에서는 재한 한족 유학생과 조선족 유학생의 한국유학 원인, 졸업 후 계획, 한국에서의 경제·사회생활 및 한국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여 두 집단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초보적인 수준에서 밝혀 보았다.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관련 정책, 중국의 개혁·개방 및 교육정책, 개인 차원의 자율성 등 요인을 통해 유학이 이루어졌다. 한국에 유학을 온 조선족 유학생의 경우에는 '한민족'이라는 요인이 복잡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요인은 한족과 조선족 유학생의 유학동기에서부터 시작하여, 한국에서의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 이유로 조선족은 한족보다 상대적으로 쉽게 한국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반면, 또 이런 이유로 한국으로부터 오는 차별 혹은 배제를 더 크게 느끼게 된다. 하지만 이런 차별이나 배제는 큰 틀에서 한국에 대한 인식을 결정할 때에는 유의미하게 나타난다고는 보기 힘들다. 오히려 한국으로부터 받는, 학업 및 일상생활에 필요한 '지원'에 대한 '감사'의 마음이 더 크게 작용을 한다고 볼 수 있다. 한족 유학생이나 조선족 유학생의 공통점이라면 현재의 유학은 학문적 수준에서 발전을 위한 유학만이 아니고, 세계화 속에서 개인경력의 제고 혹은 개인 가치의 실현을 위한 과정으로 간직된다. 이때 유학지에 대한 평가는 그 지역-한국-에서 생활하는 데 필요한 의식주가 어느 정도 보장이 되었는가에 달려있다. This paper examines mig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foreign students in Korea.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Han and Korean Chinese students were examined in regards to the reasons of study abroad, career plans after graduation, socio-economic lives in Korea, and perceptions of Korea. Factors of study abroad among Chinese students were found to be Korea's 'Foreign Students' policy, China's 'Open-door' policy and 'Education Policy', and increasing autonomy of individuals in Chinese society. For Korean Chinese students, 'Korea race' is a complicated issue. Because of this factor, they can easily adapt to Korea society than Han Chinese students, but they also perceive more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from Korean society.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re significant factors of perceptions of Korea. Rather, appreciation of supports they get in their study and everyday life are more significant factor of their perceptions. For Han and Korean Chinese students alike, study abroad is a means of not only academic development but career development in globalization era as well. Evaluations of the place of study abroad are heavily affected by how much their basic living conditions are secured.

      • KCI등재

        재한 중국 유학생의 유학동기와 문화자본으로서의 취득학위의 가치 연구

        황경아(Kyong Ah Hwang),홍지아(Jia Ho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1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91 No.-

        이 연구는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적용해 대표적인 문화자본인 학력자본이 계급의 형성과 자원의 분배에 미치는 영향을 실제적 사례를 통해 살펴본다. 문화자본은 필요에 따라 경제자본으로의 전환이 유연하며 지배계급의 문화를 피지배계급의 것보다 우월하게 구별 지어 자본의 독점을 정당화하고 계급재생산, 혹은 계급상승에 기여한다. 이를 위해 재한 외국인 유학생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 대학의 학위가 경제자본으로 전환될 가능성과 계급이동에 사용될 가능성을 심층인터뷰를 통해 질문하였다. 학위과정의 외국인 유학생 수가 가장 많은 상위 3개 대학 중 하나인 서울 소재 4년제 K대학에 다니는 중국 유학생 14명(학부과정 5명, 석사과정 5명, 박사과정 4명)을 선정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박사과정 유학생들에게 한국 대학의 박사학위는 중국 중하위권 대학의 교수 취업과 중국정부가 유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창업혜택을 보장하는 문화자본이다. 이들을 한국대학으로 유도하는 주요한 동인은 장학금과 중국대학보다 쉬운 입학절차였으며, 박사과정 유학생들에게 학위는 부모세대가 갖지 못한 명예와 사회적 인정, 경제적 안정을 보장하며 계급상승을 이루도록 도와준다. 이와 대조적으로 학부과정 유학생들은 원하는 중국 대학의 입학을 실패했거나, 치열한 입시 경쟁을 피하기 위해 주로 유학을 고민한다. 이 과정에서 미국이나 캐나다 등 영어권 국가의 유학을 권유하는 부모와 갈등을 빚기도 하는데, 결국 영어에 대한 두려움과 한류의 영향으로 형성된 한국문화와 한국어에 대한 친근함으로 한국유학을 결정한다. 한국 대학 미디어관련 학과의 학위가 졸업 후 관련 업종 취업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와 달리 현실적으로 학위가 이들이 원하는 직업을 보장할 가능성은 회의적이다. 그보다는 유학 기간 동안 자연스럽게 보고 배운 한국의 패션스타일이나 세련된 화장법, 중국과는 다른 한국 대학에서 학습한 발표 능력, 자막 없이 한국 드라마를 볼 수 있는 한국어 능력 등이 이들을 다른 중국인들과 구별 짓는 무형의 문화자본이다. 본 연구는 유학생활의 가장 큰 성과인 학위가 본국에서 경제자본으로 전환되지 못하는 학부 유학생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applies Bourdieu’s Cultural Capital Theory to academic capital and observes how it effects the creation of class and distribution of resources in real cases. Chinese foreign students, who represent the largest percentage of foreign students based in Korea, where questioned through in-depth coverage on how their Korean degree may be used in Chinese society as an economic capital or for class movement. 14 Chinese foreign students (5 Undergraduates, 5 Masters, 4 Ph.D.) from K University, one of the three universities in Seoul with the most foreign students in degree programs, were chosen for the interview.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o Ph.D. foreign students a degree from a Korean university is a cultural capital that guarantees employment as a professor in a mediocre Chinese university and start-up benefits provided by the Chinese government to Chinese foreign students. The reason that influenced them to choose a Korean university was the easier admission procedure compared to Chinese Universities. Mostly coming from middle low classes, these students gain fame and economic stability that their parental generations could not achieve through a Ph.D. On the other hand, undergraduate students who failed admission in China and choose studying abroad as a substitute give up on America or Canada, countries which are recommended by their parents, out of their fear of English and select the academically inferior Korea. The familiarity of Korean and Korean culture created by the Korean wave in China is also a reason of their choice. Despite their vague expectation that a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degree from a Korean university would help their employment in a related field after graduation, they are not guaranteed their desired career. This is because of their competition with students in China with similar majors and a lack of major related education from Korean universities. Instead they gain intangible cultural capitals such as naturally adapted Korean fashion styles, refined cosmetics, and their Korean fluency that enables them to watch Korean dramas without subtitles. These capitals differentiate them from other Chinese students. This study points out the problem that a degree, the greatest achievement of the studying abroad experience, doesn’t transfer to an economic capital in the undergraduate foreign student’s home country and suggests that a solution is needed.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대학 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김형재 ( Hyung Jae Kim ),최욱 ( Wook Choi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2 유라시아연구 Vol.9 No.3

        세계화 추세와 한국 정부 및 대학의 노력에 힘입어 국내 학위과정 유학생 수는 2000년 3,963명에서 2010년 60,000명으로 가히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중국인 유학생은 한국 전체 유학생의 76.6%를 차지하여 중국은 최대유학생 국가로 부상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대학들은 최대 유학 생군을 형성하는 중국인 유학생을 최우선적 유치대상으로 설정하고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중국인 유학생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그런데 최근 지난 몇 년간 폭발적으로 증가한 외국인 유학생의 상당수는 수도권 지역 대학으로 편중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더 심화되고 있다. 이 때문에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의 대학들은 지역적 열세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유학생 유치 경쟁에 있어서도 우위를 점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현지 5개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중국유학생의 유학국가 선택요인, 유학대학 선택요인, 유학과정 선호도,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묻는 내용이 포함된 총 74개 설문 문항을 통하여 실증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지방 대학들의 중국 유학생 유치 전략 수립에 있어 좀 더 효율적인 방향을 모색하는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학 국가로서 한국을 선택하는 요인으로 국가 인지도, 한류영향, 유학경비, 지리적 근접성, 유학수속 절차 등 5가지를 설문 항목으로 설정하고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경제적 요인, 국가 인지도, 유학 수속 절차 순으로 유학지로서 한국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학 경비가 저렴할수록, 선진국일수록 유학 국가로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유학 수속 절차가 간단한 국가를 유학 국가로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중국인 유학생의 유학 국가 선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던 지리적 근접성 및 한류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유학생의 한국 대학 선택 요인에 대해 유학생 관리체계, 거주여건, 취업지원제도, 장학제도, 유학 중개 기관, 유학 경비, 어학당 서비스, 대학의 인지도, 대학의 교육 수준 등 9개 항목을 설정하여, 각 요인이 한국 대학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학의 교육수준, 유학 경비, 유학생 관리 체계, 유학 중개 기관, 대학의 인지도, 취업지원제도, 장학제도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인 유학생은 단순히 대학의 인지도만을 중시하여 대학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유학생 관리체계, 취업지원제도, 장학제도와 같은 유학생들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대학의 제반 교육 서비스도 고려하여 유학 대학을 선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중국인 유학생들은 유학 중개 기관에서 제공하는 전반적인 한국 대학에 대한 유학 정보에 대해 신뢰감을 가지고 있고, 한국 대학을 선택함에 있어 이들 기관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유학 생활이 장기간 지속된다는 전제 아래 선택요인 중 거주 여건이 중요한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라는 추측은 실제와 달랐다. 또한 한국대학 수학에 필수적인 한국어 능력을 배양하는 한국어 교육기관인 한국어학당 서비스 역시 대학 선택에 유의미한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한국 대학 만족도가 한국 대학 선택 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 대학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한국 대학 선택 의도도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본 연구는 조사의 대상과 연구방법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중국이라는 특정 국가의 학생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국내 외국인 유학생전체의 특성을 반영한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향후 중국인 유학생에서 전체 외국인 유학생으로 확대하여 연구를 실시해야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대학 선택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개발된 표준화된 도구가 아니고 한국 대학 선택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자가 선행연구결과 등을 토대로 제작한 것이므로 연구 결과의 타당도 및 신뢰도에 한계가 있다. 좀 더 객관적이고 정확한 분석도구의 개발 등을 토대로 더 정확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셋째, 실제 한국 유학을 선택하지 않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 유학을 선택한다는 가정 하에 진행된 연구이므로 실제 유학 실행 시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변화에 따른 차이로 인해 이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향후 보다 많고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는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정책이 지속적인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유학생들의 유학국가 선택 요인과 대학 선택요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토대로 한국과 국내 대학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유학생 유치 정책 및 전략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On the strength of a trend of globalization and efforts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universities,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enrolled in degree programs in South Korea underwent an explosive rise from 3,963 in 2000 to roughly 60,000 in 2010. Meanwhile, students from China have emerged as the largest foreign consumers of South Korean higher education, accounting for fully 70% of all foreign students in the country.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students in China t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selection of a university in South Korea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overseas study opportunities in South Korea and actual intention to select a South Korean universit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five areas were identified as potential factors in the selection of South Korea as a destination for foreign studies, namely national recognition, the effects of the Korean Wave, study costs, geographical proximity, and study procedures. Examination of these areas showed economic factors to have the largest influence on the choice of South Korea as an exchange study destination, followed by national recognition and exchange study procedures. Geographical proximity and the Korean Wave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Second, nine areas were isolated for measurement in terms of their influence on Chinese students` selection of a particular South Korean university, namely its student administration system, residence conditions, employment support systems, financial aid systems, exchange placement organizations, exchange study costs, language institute services, university recogni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level.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effects for educational level, costs, administration system, placement organizations, recognition, employment support systems, and financial aid systems. Residence conditions and language institute services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Third, satisfaction with South Korean universiti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intention to select a South Korean university.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South Korean universitie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intention to select a South Korean universit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is paper`s result doesn``t show all foreign students`` peculiarities who study in korea because this research only focuses on chinese students. So the focus of research should be expanded from only chinese students to all foreign students. Second, this research`s questionnaire doesn`t fully hav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research is not the standardized questionnaire for analyzing factor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universities in South korea, but maed by the researcher with other former researchers`` questionnaire. Third, the people in this study were students, who didn`t select korean university and may sellect korean university in the future. So they could make different choice when they actually go to korean university. So it is hard to sa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 general tendency. The results suggest that continued success in measures to attract foreign exchange students will require ongoing attention to the reasons that influence exchange students`` destination selection and the factors behind their selection of South Korea and its universities, using this as a basis for improvements to exchange student recruitment policies and strategies aimed at stepping up the internationalization and competitiveness of South Korea and its universities in order to continue attracting the rapidly increasingly numbers of Chines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