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he Traditional Bulgarian Universe

        최권진(Choi, Gwon-ji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3 동유럽발칸학 Vol.5 No.1

        이 논문은 불가리아의 전래 동화, 신화, 전설, 이야기, 민요, 전래 풍습 속에 나타난 신화적 세계를 살펴봄으로써 불가리아인들의 정신적 핵심과 세계관(우주관)을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다. 불가리아 문화와 불가리아 사람들의 정신 구조와 그 기본 바탕을 이해하는 것은 외국어 교수에 꼭 필요하다. 본 글에서는 하늘, 해, 달, 별, 땅 그리고 우주목(宇宙木)에 대한 불가리아인들의 전통적인 관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하늘에는 신(하느님)이 천사와 함께 살고 있으며, 그곳에 천국이 있다고 믿었다. 태양, 달, 별들은 하늘의 제일 아래층에 향로처럼 달려있다. 태양은 슬라브민족들 사이에서 깊은 숭배의 대상들 중 하나였다. 해는 많은 인간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아버지 없이 어머니, 자매들(별들과 달)과 산다. 또한 해는 인간적 약점도 가지고 있어, 화도 내며, 결혼도 하며, 슬퍼하기도 하며, 명예를 추구한다. 교회 성화에서 태양은 자주 남자 얼굴 또는 물소, 황소, 양, 수탉으로 묘사된다. 해의 가장 큰 적은 뱀으로, 뱀이 태양을 먹어서 일식이 생긴다고 믿는다. 달도 사람들 사이에서 커다란 숭배의 대상이다. 달은 남성보다는 더 자주 여성으로 여겨진다. 달은 의식(儀式), 풍습, 출산, 결혼, 병치료 등에서 역할을 한다. 옛 불가리아인들은 별은 하늘에 달린 작은 꽃다발이라고 여겼다. 불가리아인들과 모든 슬라브인들은 새로 출생한 모든 아이에게는 자신의 별이 있다고 믿는다. 땅은 동반자인 악마의 열렬한 도움을 받아 신(하느님)에 의해 창조되었다. 땅은 처음에는 아주 평평하고 반듯했지만 후에 커졌다. 땅은 수탉, 거북이, 황소, 뱀, 늙은 맹인의 쇠스랑, 네 마리 독수리의 날개, 두 성인의 엄지손가락 또는 신의 어께 위에 걸쳐져 지탱된다고 전통적으로 믿는다. 불가리아 사람들과 다른 슬라브 사람들은 땅이 신성하고 청결하다고 믿는다. 토지는 생산의 여신으로 존경된다. 우주목에 대한 모티브는 불가리아 전래동화에서 자주 발견된다. 우주목의 역할은 참나무, 단풍나무, 호도나무, 소나무, 그리고 드물게 편백나무, 느릅나무, 포도나무가 수행한다. 불가리아 전래 이야기에서 보이는 꼭대기에 독수리가 앉아 있는 참나무 이미지는 우주목의 전형이다. 불가리아 전통에 따르면 수백년된 이런 나무들과 가지들은 꺾거나 자르면 안된다. 불가리아인들의 우주관의 핵심은 우주의 질서와 인관관계의 질서를 지키 는 것이다. 불가리아 사람들의 우주관의 큰 특징은 비기독교적 요소와 기독교적인 요소가 상호 조화를 이루어 공존한다는데 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look into the mythical world of traditional Bulgarian fairy tales, myths, legends, folk narratives, folk songs and ethnographical customs and to understand the spiritual core of the Bulgarians and Bulgarian's view of the world (cosmos). In a foreign language teaching it is a necessary step to understand the spiritual structure and the basic foundation of the Bulgarian culture and the Bulgarian people. Reviewed are the traditional Bulgarian outlook on the sky (heaven), the sun, the moon, the stars, the land (earth) and the Abor Mundi. It is a traditional belief that in the heaven lives the God together with the angels and that there is the Paradise. The sun, the moon, the stars are hanged like incense burners on the lowest tier of the sky. The sun was an object of deep respect among the Slavs. The sun has many human features. He lives together with his mother, with no father, with his sisters, i.e., the stars and the moon. He has quite a many human weakness; he gets angry, wants to be married, becomes sad, and looks for fame. Very often in church wall paintings the sun is depicted as a face of a man and very often as a buffalo, an ox, a ram or a cock. The major enemy of the sun is the snake. It is believed that the snake swallows the sun and causes the solar eclipses. The moon also is an object of great respect among the people. The moon much frequently is believed to be a female being than a male being. The moon takes a role in rituals, customs, childbirth, marriage and curing serous diseases. The stars are, according the ancient people, nosegays in the sky. It is a common belief among the Bulgarians and the whole Slavic world that every newborn baby has his own star. The earth is created by the God with an active cooperation of the Devil as his partner. At the beginning the earth was completely even and flat, but it enlarged. Many traditional beliefs say that it holds itself upon a cock, a turtle, an ox, a snake, or upon a pitchfork of a blind old man, the wings of four angels, the thumbs of two saints, or upon the arms of the God. The sanctity and the purity of the land is a well-known notion among the Bulgarians and also among the other Slavs. The earth is respected as a goddess of fertility. The motif for the cosmic tree is quite often met in Bulgarian folk tales. The role of the abor mundi is fulfilled by an oak, a maple, a nut-tree, a pine tree, and less often by a cypress, an elm or a grapevine. The image of an oak with an eagle on its top which is found in Bulgarian folk narratives is the prototype of the abor mundi. The Bulgarian tradition forbids strictly those century-old trees to be chopped or even their branches to be cut. The kernel of the Bulgarian myth is connected with the harmonization and the organization of the order of the universe. One distinct characteristic of the Bulgarian worldview is that ancient pagan elements and Christian elements coexist in mutual harmony.

      • KCI등재

        Избор между езикова съпричастност и културно отличие - Фокусиране върху сравнението на българска и македонска езикова култура

        채유정 한국슬라브어학회 2020 슬라브어연구 Vol.25 No.1

        The two neighboring countries have very close languages and try to secure their identity. This can be seen as a policy of pursuing change by applying a slight modification to languages or language phenomena having the same etymological origin. These minor differences are reflected in the language culture, and when this is fixed in the standard literary language, the differences in the identities of the two countries are emphasized. In this paper, we will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language changes and cultural differences. To this end, this paper will discover and analyze similar but different language phenomena between Standard Bulgarian and Standard Macedonian.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consider the process in which changes in preference lead to changes in culture and result in changes in perception. The paper is largely divided into an introduction, a main part, and a conclusion. In the main part, we will explore phonological phenomena, vocabulary phenomena, and grammar phenomena to discover and explain the subt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tandardized languages. Before going into full-fledged research, a basic discussion of the identity of the Bulgarian and Macedonian languages is offered. As mentioned earlier, there are three main types of academic opinions on this part. In short, the opinions that the two languages are separate languages, that Macedonian is a dialect of Bulgarian, and that the linguistic connection between Macedonian and Serbian is closer. These opinions are often divided by their linguistic base or their countries, making it difficult to objectively select specific opinions. As an example where linguistic differences lead to identity formation and cultural change, we first looked at the Macedonian typographic features (different from Bulgarian in alphabetical terms). All show differences in the seven letters. Looking at these 7 letters, there are 5 letters based on the Slavic alphabet, and a total of 2 letters based on the Latin alphabet. Considering the ancient Church Slavic alphabet, six were Slavic and one was Latin. All letters are used very productively in Macedonian: ќ, ѓ, џ, s, њ, љ, j. In particular, j is a very unusual letter from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Slavic alphabet, and since it is used in the Serbian alphabet as well, it is considered to be used as part of the pursuit of differentiation from Bulgarian. Next, Macedonian vocabulary items that are different from their Bulgarian counterparts are considered. Typical examples include среќа, прашање, дуќан, муштериjа, and двоумам. It is also morphologically different from the corresponding Bulgarian, an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Macedonian vocabulary itself is often far from Slavic intuition. It can be judged that these vocabulary items also played a role in establishing an identity based on minor differences and reflecting those differences in culture. In terms of the grammar system, we studied Macedonian language phenomena, in which the personal pronouns are used repeatedly in a sentence in which a direct object is used. In addition, the text revealed that Macedonian post-positional articles, which still have three-level indication systemic traces, are also tools for language differences and cultural discrimination in Standard Macedonian.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following cultural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Macedonian is relatively conservative compared to Bulgarian, which is more positively influenced by Balkan languages, so it can be said that it maintains the three-element system of the ancient Church Slavic language.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openness and conservatism appear in Bulgarian and Macedonian. Next, Macedonian people's attitude toward language use to use the distance concept even in the use of definite articles can be judged to be an expression of the notion that accuracy plays an important role as described in the double use of the personal...

      • KCI등재

        불가리아어에서 활동체와 불활동체 표현 기제와 언어학적 특성 연구

        김원회(Won hoi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6 동유럽발칸연구 Vol.40 No.1

        격변화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러시아어의 경우에는 활동체와 불활동체의 차이가 명사, 형용사, 대명사 등에서 격변화 형태로 잘 나타나고 있으나 불가리아어와 같이 분석적인 언어(analytic language structure)에서는 그 구분이나 표현이 상대적으로 덜 생산적이라는 것이 활동체와 불활동체와 관련된 기존의 주장이었다. 그러나 불가리아어에서도 문법 형태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기존의 주장들보다 훨씬 다양하고 정교한 활동체-불활동체 표현 기제들이 존재하며, 규칙성을 발견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가정할 수 있으며, 그러한 표현 기제들을 연구하고 그 법칙성을 찾는 것이 본 논문의 전체적인 연구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1차적으로 기존의 선행연구를 포함하여, 활동체, 불활동체를 지칭하는 다양한 용어들과 정의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개념들이 불가리아어 활동체와 불활동체 형태 기제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가를 살펴보았다. 논문의 중심 말에서는 불가리아어에서의 분석적인 언어구조로 인하여 활동체-불활동체의 구분이 미비하다는 주장에 반대되는 용례들을 살펴보았다. 우선 중심말의 초반부에서는 활동체-불활동체의 구분에 대한 학자들(주로 불가리아 학자들)의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그 개념을 정리해보았다. 다음으로 본론의 중반부터는 활동체-불활동체 문법 기제가 나타날 수 있는 명사의 성, 명사의 수, 수사, 대명사 부분에 대한 연구를 구체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를 통하여, 불가리아어 명사류에서 활동체와 불활동체의 활용은 남성 성 표지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수사에서는 남성 활동체를 특별히 지시하는 двама, трима 등등의 독특한 형태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대명사의 경우에도 비록 격 표지 상실이라는 큰 흐름 때문에 흔적이라고 주장되기고 하지만, 목적격 대명사 남성 형태에서는 매우 생산적으로 활동체 표지가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ulgarian language is one of the Slavonic languages like Russian and Serbian etc. But, because of its analytic language structures and very close linguistic features with Balkan languages, Bulgarian is regarded as the south slavic with special linguistic features among the Slavonic languages. Animateness is the one of these linguistic features that make Bulgarian some special. For this reason, in this paper, the author analyzes animate expressions and its relations to gender, singular-plural form of nouns, numerals and pronouns in Bulgarian. Each noun in Bulgarian belongs to one of three genders: masculine, feminine or neuter.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Bulgarian animateness can be found specially in masculine none, denoting a person. And in the singular-plural form of nouns, numerals and pronouns in Bulgarian, animateness can be found also specially in masculine none, denoting a human being. Even though, Bulgarian has many special grammatical expression tools like quantified numerals(двама, трима, два-две), case form traces in accusative case(кого, някого, никого ). On the basis of this study, we can conclude that even though animateness in Bulgarian is relatively weak feature, still has many expression ways as following examples. (1) *два бълг аря → двама българи, *три писателя → трима писатели(special quantified numeral, denoting human being with masculine none). (2) стол - два стола - много столове(inanimate noun in singular, quantified plural, plural). (3) жена - две жени - много жени(feminine noun in singular, plural) (4) Кого избра режисьорът? Тойизбра мъж/двама души/актьор(interrogative pronoun with accusative case form).

      • KCI등재

        불가리아어에서 수사 един 의 기능적 용법에 관한 연구

        김원회 한국슬라브어학회 2011 슬라브어연구 Vol.16 No.2

        본 논문에서는 불가리아어 수사 един의 용법과 그 기능적 특성을 전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도 그 의미가 정확한 수사로서의 기능보다는 한정사적 기능, 즉 부정관사로서의 기능적 특성과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영어에서 강 한정사와 약 한정사의 구분과 구문적 특성에 착안하여 동일한 원칙이 불가리아어 수사적 한정사 един에도 적용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여기에는 존재문에서의 사용여부,상태서술어와의 동일 문장에서의 사용 가능성 등을 주로 판단의 근거로 삼아보았다. 결과적으로 영어에서와 달리 불가리아어의 수사 един은 강 한정사와 약 한정사 사이에서 혼란스럽게 사용되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약 한정사의 경우 един은 변항으로 사용되어지고, 강 한정사의 경우 един은 존재수사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복문에서의 부정소사와 후치정관사의 사용에 대하여 비교해 보았다. 이 경우 비문과 정문의 차이는 어순과 문장 내에서 동사 서술어의 한정성 내포 정도에 의하여 결정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즉, 수사 един이 문장에서 없는 경우는 일반적인 기술을 하는 경우이고, 수사 대신 불가리아어 후치 정관사가 사용되어지는 경우에는 화자와 청자 그리고 대화의 모든참여자들이 이미 알고 있거나 그 지시체를 인지하고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수사 един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화자만이 그 사물이나 사람을 인지하고 있고, 청자는 알고 있지 못한 경우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위에서 언급한 일반적인 의미 기능 외에도 불가리아어의 수사 един은 Как може една майка да има нещо по-мило, по-скъпо от собствената си рожба?(한 엄마에게 있어서 자신의 아이보다 더 소중하고 귀한 것이 있을 수 있을까?)에서와 같이 특정한 자격이나 성의 정체성을 의미적으로 부가하는 기능도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러시아어, 폴란드어 등 동종의 친족어인 슬라브어들과의 비교들을 통하여 불가리아어의 수사 един이 다른 슬라브어 대용어들에 비해 상당히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多用적 기능이나 출현이 통시적 관점에서는 점점 줄어들고 있음을 기존의 연구와의 비교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불가리아어 내의 한정성 표시 기제들인 후치정관사, 지시대명사, 명사들과의 상관관계 속에서 해석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용례들을 통하여 설명해 보았다. Until now, many studies have made on the status of the Bulgarian numeral един. The main focus of these researches is on the following theme. “Is the Bulgarian numeral един the indefinite article?”. As a conclusion, I have shown that the Bulgarian numeral един functions a week and a strong determiner. Also this paper deals with comparative study of един in non-quantitive function in the Slavic language scopes. An estimate is made that in most cases един exercise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ndefinite article or definite semantic function of other Slavic languages. As a results of this, the Bulgarian един is used more often than corresponding item in the other Slavic. In Modern Bulgarian the category of indefiniteness is expressed not only by zero article but also by the един. This, however, is not fully developed in Bulgarian. In some cases the use of един is optional and the post-definite article is used instead of the един. For the expression of the meaning of definiteness/indefiniteness, the един is now on the competition way with definite article, demonstrative pronoun and nouns.

      • KCI등재

        불가리아어의 발칸 언어적 요소에 대한 언어문화사적 특질 연구 - 외래 언어문화와 토착 언어문화의 조화와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슬라브어학회 2007 슬라브어연구 Vol.12 No.-

        <P>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balkan linguistic features in Bulgarian. For this purpose, the author compared the linguistic features in balkan languages in the fields of phonetic-phonology, morphology and syntax.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the author can describe the results as follows:</P><P> 1. Bulgarian is the language with Slavic and Balkan linguistic features(base part-Slavic, upper part-Balkan).</P><P> 2. In Bulgarian, there is many balkan linguistic features in the fields of morphology and syntax, not in phonetic-phonology.</P><P> 3. Bulgarian enclitic definite article is the example of language contact result between Slavic and Balkan languages. Also from the view points of the it"s usages, we can find the phenomenon that eastern dialect of Bulgarian is more open to another language culture and western dialect of Bulgarian is conservative feature to the another language and cultures.</P>

      • KCI등재

        지시-한정성의 강도와 문법 기제의 통시적 변화 - 러시아어와 불가리아어 “부활” 텍스트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김원회 한국슬라브어학회 2012 슬라브어연구 Vol.17 No.2

        This paper aims to describe and to compare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Referent-Definite Description in Russian and Bulgarian Languages. For this purpose, the author, first of all,selects the Russian text “Воскресение” in Russian as the main research source. After that, the author seeks the corresponding examples that possess the demonstrative pronouns, articles and other grammatical categories of definiteness in Russian “Воскресение” and it's translations in Bulgarian. In this paper, the author shows about 27 outstanding and interesting exampl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1. Unlike in Russian, in Bulgarian the definiteness mainly is expressed by definite article. ex.) в оконце глаз старухи (R.) → Окото на старата жена (Bg.). 2. The use of definite article in Bulgarian is extremely productive. ex.) глаза в форточках дверей(R.) → през шпионките на вратите (Bg.). 3. In Bulgarian, as the non-definite article can be used and found един, една. ex.) подал ей копейку (R.) → подаде една копейка (Bg.). 4. In addition to the definite article, in Bulgarian, can be used and found си. ex.)по камням отвыкшими от ходьбы(R.) → по камъните с отвикналите си (Bg.). 5. Dual expressions on the difinitness in Bulgarian with pronoun and article. ex.)и той тайной,которая(R.) → и пред онова необяснимото, което(Bg.).

      • KCI등재

        불가리아어 차용어에 관한 연구-불가리아어와 러시아어의 통시적 언어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김원회 ( Wonhoi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16 언어와 언어학 Vol.0 No.70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language influences between Bulgarian and Russian with the help of loan words. In the field of loan words and language influences, the history of these languages can be classified by 2 periods as follows. (1) 10-15 c.: Old Bulgarian influences on Old Russian. During this period, Russia adopts Orthodox as a official religion and receives church textbooks and bible, written by Old Bulgarian from Bulgaria. By this way, Bulgarian influences on Russian by church words(loaned form Greek or Slavic origin). аминъ, ангелъ, апостолъ, епископь, пасха, сатана, сотона, икона, скима, старьць, игумень, рай, порода, врагъ, диаволъ, антихрьсть. (2) after 1878(independent of Bulgaria form Ottoman Turkey): Russian influences on Bulgarian. During this period, many Russian words influence on Bulgarian. Because of the social factors, Russian words are adopted very quickly and strongly. данни, доклад, дописка, постановка, преработка, разписка, заявявам, наблюдавам, обявявам, отчуждавам. конституция, революция, конференция, цивилизация, прокламация, култура, температура, структура, фигура. народен съвет, съветски, колектив, колективен метод, петилетка, държавен контрол.

      • KCI등재

        한정성과 문법 기제 -불가리아어와 러시아어 텍스트 비교를 중심으로

        김원회 한국슬라브어학회 2009 슬라브어연구 Vol.14 No.2

        This paper aims to describe and to compare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Definiteness in Russian and Bulgarian Languages. For this purpose, the author, first of all, selects the text “Воскресение” in Russian as the main research data. After that, the author seeks the examples that possess the demonstrative pronouns, articles and other grammatical categories of definiteness in Russian “Воскресение” and it's translations in Bulgarian. In this paper, the author shows about 30 exampl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1. Unlike in Russian, in Bulgarian the definiteness mainly is expressed by definite article. ex.) в оконце глаз старухи (R.) → Окото на старата жена (Bg.). 2. The use of definite article in Bulgarian is extremely productive. ex.) глаза в форточках дверей(R.) → през шпионките на вратите (Bg.). 3. In Bulgarian, as the non-definite article can be used and found един, една. ex.) подал ей копейку (R.) → подаде една копейка (Bg.). 4. In addition to the definite article, in Bulgarian, can be used and found си. ex.)по камням отвыкшими от ходьбы(R.) → по камъните с отвикналите си (Bg.). 지금까지 본 발표문에서는 연구 주제와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 기존의 연구 개괄, 그리고 실제 텍스트를 이용한 연구 내용을 기술해 보았다. 본 논문은 저자의 연구 관심사와 연구 계획에 대한 사전 발표의 성격을 갖고 있는 pilot 논문이다. 본 연구의 내용을 흐름도 형식으로 결론을 대신하여 기술해 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 단계연구 내용기 준1 단계러시아어와 불가리아어의 모태언어인 공통슬라브어와 고대 교회슬라브어의 지시-한정체계 연구1차 기초자료와 기존 연구자료들 분석 2 단계“부활” 텍스트에 나오는 지시-한정 용례 수집러시아어 → 불가리아어 비교3 단계러시아어 지시-한정 표현과 불가리아어 지시-한정 표현 비교 연구슬라브어 역사/비교언어학적 측면의 연구4 단계슬라브어에서 지시-한정 표현 기제의 변화와 특징 분석 및 결과 기술주요 규칙과 양상 목록 작성 본 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던 사실들을 나열해 보면 다음과 같다. · 러시아어의 명사 표현들은 대부분 한정성을 표시하는 불가리아어의 후치 정관사 포함 표현으로 대체되고 있다. · 불가리아어에서 후치 정관사를 갖고 있는 표현이 매우 생산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한정성을 표시하는 단계를 뛰어 넘어, 필요 이상으로 강조되고 반복되는 양상으로까지 보여지고 있다. · 러시아어와 불가리아어에 공히 없는 부정 관사 형태로서, 한정성을 나타내는 러시아어 표현이 불가리아어에서 един, една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표시되는 경우도 발견할 수 있었다. · 한정성 표현을 갖고 있는 불가리아어 구문에서 행위나 대상의 재귀를 나타내는 재귀소사 си가 추가적으로 표현되는 용례로 지속적으로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불가리아어 차용어의 형태적 특성 연구 : 불가리아어 내 터키 차용어의 2차 파생관계를 중심으로

        김원회 ( Kim Wonhoi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17 언어와 언어학 Vol.0 No.74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Bulgarian loan-words from Turkish and their secondary derivation. Language contact not only changes a language, but also enriches it. This paper focuses on the changes in Bulgarian during the Turkish slavery, and the influence of Turkish language cultures that led to a lexical and even semantic change in Bulgarian. The paper further emphasizes and shows how often Turkish loan-words(especially, with suffixes like -джия, -чия, -лък, -лия) are used, even more often than Bulgarian origin words in some regions (and dialects). It reveals how different language cultures influence each other, whether such influence is positive or negative.

      • KCI등재

        장소, 시간, 방법, 정도 부사 비교를 통한 마케도니아어와 불가리아어의 언어적 상관성 연구

        채유정 한국러시아문학회 2019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67 No.-

        This paper has selected 179 adverb vocabulary words from Macedonian and Bulgarian. In the introduction,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study were described and its meaning was revealed. At the beginning of the main article, I studied and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based adverb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cedonian and Bulgarian adverbs. Macedonian adverbs, representing a total of 179 places, times, methods, and degrees, were compared with corresponding Bulgarian forms. Of these, 37 adverbs were completely different between the two languages, accounting for about 20%. The forms of adverb of the two languages ​​were completely identical, which was lower in number than the other completely. A total of 110 examples of consonant and vowel variations occurred when the prefix or suffix was added to the adverbs. It can be concluded that 142 forms (about 80%) can be classified into very similar forms by adding 32 completely identical forms to 110 similar applications. This fact means that although the two languages ​​exist as independent languages ​​in the present sense, their linguistic similarities are very high in the form of adverbs. Even if the form is completely different,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languages ​​are higher because the examples of Turkish and other Balkan language influences are very limited (баш, сабаjле, etc.) and mostly they have Slavic origins. In conclusion, the Macedonian and Bulgarian adverbs representing the place, time, method, and degree are very similar in terms of their morph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