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公州 校村里 百濟時代 塼室墓와 石築壇施設

        이현숙 백제학회 2019 백제학보 Vol.0 No.27

        본고는 1939년 일본인에 의해서 발굴조사된 교촌리 전실묘에 대한 재조사 결과를 기초로, 백제시대 웅진기 전실묘와 석축단시설에 대하여 분석한 것이다. 공주 교촌리 백제시대 전실묘는 1939년 발굴조사 이후 80년 만에 재조사된 것이다. 기존에 전실묘 2기가 보고되었으나, 조사결과 3호로 보고된 1기만 전실묘인 것을 확인하였다. 2호로 보고된 시설은 ‘교촌봉’ 상단의 지상구조물인 석축단시설로 확인되었다. 이 곳은 공산성과 송산리고분군을 비롯하여 웅진왕도를 모두 조망할 수 있는 탁월한 입지에 해당하는 곳으로, 국가의례와 같은 중요행위가 가능한 시설이 자리했던 곳으로 판단된다. 교촌리 3호와 같은 백제 웅진기의 전실묘는 무령왕릉과 송산리 6호 전실묘가 있다. 3기의 전실묘는 축조기법에서 유사성이 있으나 모두 형태가 다르다. 특히 교촌리 3호는 연도부가 확인되지 않아서 가장 이질적인데, 남조 전실묘에서 고식의 전축법으로 알려진 눕혀쌓기를 사용한 것과, 묘광 굴광형식이나 규모, 장축 방향이 송산리 2~5호와 유사하며, 벽면을 비스듬이 들여 쌓기한 축조기법 등에서 백제의 전통적인 횡혈식석실묘 축조기법과 유사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촌리 전실묘는 기존에 백제 횡혈식석실묘의 축조기술에 기반하여 중국의 전실묘 축조기술을 수용한 백제인에 의해 축조된 전실묘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안정적인 구조의 전실로 축조는 6호 전실묘 출토 ‘梁宣以爲師矣’에서 알 수 있듯이, 梁의 기술 전수에 기초하여 정형의 전실묘를 축조할 수 있었으며, 이후 무령왕릉의 축조를 기점으로 백제 횡혈식석실묘의 평면과 천정구조에 큰 획기를 이루는 변화를 동반하였음을 살필 수 있다. 즉 웅진기에 조영된 3기의 전실묘는 교촌리 3호 → 송산리 6호 → 무령왕릉의 순으로 조영되었음을 살필 수 있다. 즉 가장 이른 시기의 구조 속성을 갖춘 교촌리 3호의 축조는 무령왕 이전, 즉 동성왕대의 활발한 대중국교섭 행위에 기초한 결과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추론된다. 향후 교촌리 3호 전실묘의 조영주체와 교촌봉정상의 방형 석축 단시설을 통한 국가의례시설의 존재 등을 비롯하여, 백제 웅진기 왕도의 경관고증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가 지속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has analyzed the brick-chamber tombs and stone masonry constructions in the Woongjin period of the Baekje Dynasty based on the re-excavation survey results of the Gyochon-ri brick-chamber tombs found by the Japanese in 1939. The Baekje brick-chamber tombs located at Gyochon-ri, Gongju have recently been resurveyed and reexamined in as many as 80 years following the first excavation survey in 1939. The two brick-chamber tombs were previously identified and reported but the recent resurvey has confirmed the presence of only one brick-chamber tomb, which is tagged as Tomb No.3. The stone facility reported as No.2 turns out to be a stone masonry work built on top of the 'Gyochonbong', which is a superb location that commands a wide range view of the Woongjin Royal Capital as well as the Gongsan-capital and the Songsan-ri tombs. The location is presumed to have served as a venue for important state occasions such as royal ritual. The brick-chamber tombs in the Woongjin period of the Baekje Dynasty similar to Gyochon-ri Tomb No.3 include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Songsan-ri Brick-Chamber Tomb No.6. The Brick-Chamber Tomb No.3 has similarities in terms of construction methods but all come in different shapes. In particular, Gyochon-ri Tomb No.3 is the most heterogeneous as its entrance passage is not clearly identified. A number of its distinctive features, including layered piling construction technique, which is known to the early construction method in Nam-jo brick-chamber tomb, type of heliotrope and scale, major axis similar to that of Songsan-ri Tomb No.2 through 5, building technique of having the wall side slightly inward skewed indicate its similarities to the construction technique of the Baekje’s traditional stone lined tombs. Therefore, the Gyochon-ri brick-chamber tomb can be understood as a brick-chamber tomb built by the people of Baekje who adopted the Chinese brick-chamber tomb building technique based on the contemporary construction technique of building Baekje’s stone lined tombs. However, as indicated by the ‘梁宣以爲師矣’ excavated in Tomb No.6 brick-chamber tomb, the people of Baekje were able to build the standard brick-chamber tombs based on the building technique transferred from 梁 while introducing innovative changes in the plane and ceiling structures of the Baekje’s stone-chamber tombs. That is, the brick-chamber tombs built in the 3rd stage of the Woongjin period were presumably developed in the order of Gyochon-ri Tomb No.3 → Songsan-ri Tomb No.6 →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of Gyochon-ri Tomb No.3 suggests a high likelihood of being the outcome of active bargains and negotiations with China during the King Dongsung’s reign. The follow-up studies are expected to cover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of the landscape in the Woongjin period of the Baekje Dynasty as well as any possible existence of a venue(s) for state ritual based on the knowledge of who built the Gyochon-ri Tomb No.3 brick-chamber tomb and the square-shaped masonry facility on top of the Gyochobong.

      • KCI등재

        조선후기 벽돌성의 축조

        윤용출 ( Yoon Yong-chul ) 부경역사연구소 2018 지역과 역사 Vol.- No.42

        1393년(태조 2) 지어진 開城府 內城은 조선시기 최초의 벽돌성이었다. 벽돌성은 새왕조가 잠시 머문 도성 성곽의 위엄을 높이는 구실을 하였다. 조선 초기 4군과 6진이 개척되면서 평안ㆍ함경도의 양계 일부 지역에서도 벽돌성이 지어졌다. 중국의 벽축에 의한 성곽제도를 수용해서 국경을 위협하는 여진인을 제압하는 위력을 과시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임진왜란 때에는 명의 병법과 전술을 수용하는 일이 많았다. 그와 더불어 명의 벽돌성 축조 방식이 수용되었다. 이것이 조선의 성제를 개선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기효신서』와 같은 중국 병서뿐 아니라, 유성룡ㆍ유형원 등 개혁론자들에 의해 새로운 군사 지식이 보급되고, 성곽의 벽축에 관한 관심도 날로 높아졌다. 임진왜란 이후 새로운 성제가 채택되면서 많은 지역의 성곽에서 벽돌을 활용한 사례가 증대하였다. 17세기 이후 부역제도가 변동하였다. 요역과 군역이 물납세로 개편되는 과정이었다. 관부의 토목공사라 해도 노동력 조달 방식에 큰 변화가 나타나게 되었다. 지난날과 같이 농민을 징발해서 부역노동을 맡기기 어려웠다. 노동력을 많이 동원하는 축성의 인력조달 방식도 바뀔 필요가 제기되었다. 중국의 성제를 적용하는 군사적 과제뿐 아니라, 노동력의 절약이라는 관점에서 벽성의 장점에 주목한 것이다. 요컨대 벽돌성을 도입해 야할 만한 사회경제적 조건의 변화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1742년(영조 18) 강화유수 김시혁은 무너지기 쉬운 강화외성의 토성을 대신하여 벽돌성을 만들 것을 제안하고 곧 실행에 옮겼다. 그는 연행사행으로 북경에 다녀온 적이 있는데, 이때 터득한 번벽축성의 방식을 쓰면 효과적으로 성쌓기를 진행할 수 있다고 했다. 김시혁은 노동력을 아끼고 재정 지출을 줄이면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축성을 도모했다. 그는 벽돌 번조에 능한 평안도 사람 박준원을 기용해서 이 같은 실험에 도전했다. 그러나 강화외성은 결국 무너지고 말았다. 완공된 다음해 1745년(영조 21) 4월부터 벽돌성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지나치게 서둘러 무리한 공사를 진행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기초공사의 부실은 붕괴의 직접적 원인이 되었다. 강화외성의 붕괴는 벽돌성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크게 불러들였다. 그러나 17세기 이후 많은 연행사 일행이 중국에 다녀오면서 중국 문물에 관한 새로운 정보ㆍ지식이 널리 수용되었고, 18세기에는 청나라의 발달한 문물 수용을 주장하던 홍대용ㆍ박제가ㆍ박지원 등 북학파의 활동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이들이 벽돌의 보급에 관해서 적극적 관심을 보였다. 수원 화성은 벽돌성은 아니지만, 벽돌을 많이 활용해서 지은 성곽으로 주목된다. 특히 강화외성의 붕괴 경험을 살려 신중하게 벽돌을 제조하고 활용한 점을 엿볼 수 있다. 다량의 벽돌을 활용하면서, 축성의 효율적 운영에 큰 도움이 되었을 뿐 아니라, 옹성ㆍ포루ㆍ공심돈ㆍ현안 등 성곽의 유용한 방어시설이 제대로 기능하게 했다. 새로운 성곽방어 전술을 수용하면서 동시에 부역노동을 줄인다는 두가지 측면에서 벽돌의 활용은 크게 보탬이 될 수 있었다. 영조대 강화외성 붕괴의 경험을 살려서 벽돌을 활용하면서, 부역노동이 아니라, 고용노동의 노동력으로 새로운 성곽을 이룬 것은 중요한 성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inner fortress of Gaeseong-bu, which was built in 1393(2nd reigning year of King Taejo) was the first fortress made of bricks in Joseon Dynasty. The brick fortress was intended to dignify the fortress in the city center where the founder and first king of the new dynasty stayed for a while. In the beginning of the dynasty, they built more brick fortresses in Pyeongan and Hamgyeong provinces, since they were developing more new territories at the northern end of the Korean Peninsula. They employed the Chinese technique of a wall-based fortress, in order to boast about their power against Jurchen people who often threatened to invade the area near the border. A new brick-based wall building technique from Ming Dynasty was imported, when many military strategies and tactics from Ming Dynasty were imported during the 1592 Japanese invasion of Joseon. The new technique played a significant role to improve the construction of fortresses in Joseon. Jixiao Xinshu (New Treatise on Military Efficiency, a military manual written by a general in Ming Dynasty) and many manuscripts on Chinese military strategies introduced by reformist scholar-officials like Ryu Seong-ryong and Ryu Hyeong-won led to increased awareness of latest techniques to make bricks for fortress construction. As a new system for fortress construction was adopted after the 1592 Japanese invaders were defeated, more fortresses were made of bricks. In the 17th century, compulsory labor system went through changes. Instead of being forced to join the military service or work at the governmental construction projects, replacing the obligation with payment became widely acceptable. Forcibly mobilizing many farmers for a construction project during the busy farming season was not an option at hand any more. Therefore, the old fortress construction system that required a large labor force needed a great change. Advantages of brick-based fortress construction techniques drew more attention, not only as an advanced military tactic imported from Ming Dynasty, but also as an efficient strategy to save manpower. As such, changes in the socioeconomic condition accelerated adoption of the brick-based fortress construction system. In 1742(18th reigning year of King Yeongjo), Magistrate Kim Si-hyuk of Ganghwa suggested that a brick-based fortress should be constructed to replace the old earthen fortification at the outer fortress of Ganghwa, and implemented his suggestion shortly. Before he suggested the idea, he had visited Beijing as one of the envoys to Qing Dynasty, where he learned how to make a fired brick. Such an experience made him say that the brick-based construction would be more efficient, as he wondered how to develop a new construction system that saves labor force and reduces fiscal spending. Kim eventually started the new experiment, and hired Pak Jun-won, a talented brick technician from Pyeongan Province. Unfortunately, the newly built outer fortress began to collapse in April 1745(21st reigning year of King Yeongjo), which was only one year after the completion. It apparently collapsed because the construction was excessively hurried. Lack of sufficient groundwork inevitably became the direct cause of the failure. The collapse of the outer fortress of Ganghwa added fuel to the increasingly negative sentiment towards brick-based construction system. The sentiment reversed when more enjoys visited the Qing court, got exposed to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of the foreign culture, and finally accepted them. In addition, Hong Dae-yong, Pak Je-ga, Pak Ji-won, and “Northern Society”, which emphasized pragmatism and need for accepting advanced technologies from Qing Dynasty - including use of fired bricks, influenced the trend. While Hwaseong Fortress in Suwon, which was completed in the late 18th century, was not entirely brick-based, the construction procedure still used a lot of bricks. Having learned from the failure of the outer fortress of Ganghwa, they produced the bricks and used them carefully. Using a large amount of bricks did not only help them manage the construction project efficiently, but also allowed the barbican and the bastion, which constitute effective defense facilities, function properly. As one of the defense strategies imported from China, brick-based construction was indeed helpful to reduce use of compulsory labor force. They learned from the failure of the outer fortress of Ganghwa during King Yeongjo’s reign and built another fortress made of bricks. Beginning to use the employed labor force instead of compulsory labor force for the construction was another significant achievement.

      • KCI등재

        新羅와 中國 隋唐代 전탑의 양식 비교 연구

        嚴基杓(Eom, Gi-pyo) 신라사학회 2015 新羅史學報 Vol.0 No.35

        지금까지 韓國佛塔史에 대한 연구는 많은 진전이 있었지만 한국 불탑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사료되는 中國古代佛塔과의 비교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중국은 수 당대 들어와 塼塔이 대표적인 탑파이자 전형적인 양식이라면, 한국은 신라시대 들어와 石塔이 대표적인 탑파이자 전형적인 양식이 된다. 그런데 삼국시대 고구려와 백제는 전탑이 건립되지 않았지만 신라의 경우는 모전석탑을 비롯하여 순수한 의미의 전탑이 건립되었다. 전탑은 삼국통일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건립되었으며, 후대에까지 영향을 주었다. 신라 전탑은 당시 중국 수 당대 전탑의 영향과 더불어 신라 나름대로의 창의적인 특성들이 반영되어 건립되었다. 그래서 신라 전탑은 중국 수 당대 전탑과 조영기법이나 양식 등이 유사한 측면도 있고 차별화된 측면도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전탑의 규모, 층수, 외관 등 세부적인 조영기법에서 양식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강한 친연성도 있고 차이점도 있었다. 신라 전탑은 신앙의 중심대상으로서의 조형적 특성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면, 중국 수 당대 전탑은 규모가 웅대하여 신앙의 대상물이라는 성격도 가지고 있었지만 상징물로서의 조형적 특성을 더 많이 가지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신라 전탑은 순수한 불교적인 신앙 대상물로서의 성격이 강했고, 그러한 측면에서 설계와 시공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반면 중국 수 당대 전탑은 그것을 세운 나라나 황제의 권위나 위엄을 표출하는 표상적 기념물로서의 성격이 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신라 전탑은 섬세하고 화려한 공예적인 측면을 중시한 반면 중국 수 당대 전탑은 웅장한 외형적인 측면을 강조하였다. This thesis dealt with the Brick-Pagoda’s Style between Silla and Sui-Dang dynasty of China. So far, progress has been a lot of research in the history of a stone pagoda in Korea. But, China is lacking, making comparative study with ancient Buddhist stone pagoda structure. China is a Brick-Pagoda is a typical Buddhist pagoda structure. Silla stone pagoda was a typical form typically one of the Buddhist pagoda structure. Goguryeo and Baekje were not constructed to Brick-Pagoda. Establishment of the Brick-Pagoda are relatively many for Silla. Continuously created, and influence successive generations after Silla unified. Silla’s Brick-Pagoda impact of China and Silla own creative establishment of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China Brick-Pagoda and similar aspects of and differences are Silla Brick-Pagoda. Silla’s Brick-Pagoda had been the center of the faith line of Silla. Brick-Pagoda was epic in scale and have more characteristics as symbols of China. Silla’s Brick-Pagoda had been pure as an object, and a Buddhist faith was strong nature. But, Brick-Pagoda was personality as a monument to express an authority or dignity of the country strong China. Silla’s Brick-Pagoda was delicate, splendid in the industrial side, focus. Stresses a Brick-Pagoda is a grand physical dimension in China. On the Silla Brick-Pagoda above is much closer comparison review with the understanding of a specific construction time to looking forward to.

      • KCI등재

        대구,경북 잔디벽돌 시공사례에 관한 조사 연구

        박수현 ( Soo Hyun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2

        도심내의 자연지반 확보를 위한 주차장 잔디벽돌 시공과 투수벽돌의 시공법에 대한 연구사례는 많이 있으나, 주차장용 잔디벽돌로서 잔디 생육의 적합함은 물론이고 환경과 우리인체에 무해한 소재개발과 디자인개발에 대한 연구 사례는 적다. 이에 본 조사는 주차장 잔디 벽돌의 소재개발과 디자인개발에 앞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주차장 잔디 벽돌의 분석과 대구·경북 중심으로 한 시공한 사례지를 분석하였다. 현재, 시판 되고 있는 주차장 잔디 벽돌의 경우, 국내와 일본에서 시판되고 있는 잔디벽돌은 주로 콘크리트 소재였으며, 형태면에서는 획일적인 벽돌의 결합구조를 탈피하고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조합형태의 시판 비율이 높았다. 대구·경북 중심으로 한 시공한 사례지 분석에서는 점토벽돌을 사용한 한군데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콘크리트계 잔디벽돌이었다. 형태면에서는 판형 형태와 조합 형태의 비율이 같았다. 친환경 소재인 점토를 이용한 잔디벽돌의 경우는, 일반 콘크리트 벽돌보다 가격이 2~3배 고가라는 단점이 있어 시공확대의 어려움이 있으나, 친환경 소재인 점토를 대량 생산이 가능한 압출성형 방식으로 잔디벽돌을 제조한다면 단가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형태부분에서는 중량이 가볍고 시공의 편리성과 시공비가 저렴하게 드는 조합형태가 이상적이라 판단되어진다. 환경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도심내의 주차장 녹화를 위해 기성 잔디벽돌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친환경소재 제품개발과 걷기 편한 잔디벽돌의 디자인개발에 많이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garding parking lot grass bricks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s of special bricks, little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concerning the adequacy for growth of grass as parking lot grass bricks and development of material and design that is harmless for both environment and human body. In this study, before developing material and design for parking lot grass bricks, analysis was performed regarding parking lot grass bricks currently available in the market and a case study in Dae-gu and Gyeon-gbuk. As for parking lot grass bricks available in the market, the grass bricks sold in Korea and Japan are mostly made of concrete and, in terms of form, those that are not in the monotonous coupling structure and allow various forms of combination were popular. In the analysis of the case study in Dae-gu and Gyeong-buk, except one place that used clay bricks, the rest used concrete grass bricks. In terms of the form, the plate form and coupling form were equal in proportion. The environmentally-friendly clay grass bricks cost two to three times more than normal concrete brick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expand their use, the cost can be reduced by using extrusion molding that allows mass production of the environmentally-friendly clay material. Also, in terms of the form, the coupling form seems ideal because it is light in weight, easy to use for construction, and costs less. With the growing environmental issues, by addressing issues with existing grass bricks, environmentally-friendly grass bricks that are also comfortable to walk on can be developed and applied more widely in the cities.

      • KCI등재

        공주 교촌리 3호 전실묘 벽돌의 태토산지와 제작기술

        장성윤 ( Jang Sung-yoon ),진홍주 ( Jin Hong-ju ) 백제학회 2021 백제학보 Vol.- No.36

        교촌리 3호 전실묘가 발굴되면서 송산리 6호분과 무령왕릉에 이어 백제 웅진기 세 번째 전실묘가 그 실체를 드러냈다. 이 연구에서는 교촌리 3호 전실묘를 구성하는 벽돌의 재료과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벽돌의 산지와 제작기술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교촌리 3호 전실묘 벽돌은 형태상 방형벽돌(단면 쐐기형), 장방형벽돌(단면 쐐기형과 장방형)의 3종류로 구분되며 명문이나 문양은 없는 상태이다. 이들은 석영, 알칼리 장석, 운모로 구성되며 산화소성되었고 소성온도는 700~900℃로 추정된다. 벽돌은 정제된 태토에 식물 탄화 흔적과 이로 인한 긴 공극을 포함하고 있고, 방형벽돌이 장방형벽돌보다 정제된 태토를 사용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무령왕릉과 6호분 폐쇄벽돌은 부여 정동리 A지구 가마터 벽돌과 동일한 재료적 특성을 보여 정동리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교촌리 3호 벽돌은 이와는 다른 재료적 특성을 나타내 채토와 제작공정이 달랐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일제강점기에 수습된 기타 송산리 출토품과는 동일한 형태와 재료적 특성을 나타냈다. 기타 송산리 출토품은 당시 붕괴되어 있던 교촌리 3호 전실묘 벽돌의 일부가 수습되어 국립공주박물관에 보관·등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무령왕릉과 6호분의 폐쇄벽돌은 대부분 1,000~1,200℃에서 환원소성되었고 치밀한 태토조직을 가지고 있어, 문양 및 형태, 태토 조직과 소성도 면에서 교촌리 3호 벽돌과는 기술적으로 다른 특성을 가진다. 벽돌 축조기법에서는 석회를 접착재료인 줄눈으로 사용한 무령왕릉, 6호분과는 달리 교촌리 3호 전실묘에서는 석회를 줄눈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대신 매우 곱고 점토함량이 풍부한 토양을 줄눈으로 사용하였는데 석회에 비해 결합강도가 약하고, 내구성이 약해 천정부의 하중을 장기간 지탱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생각된다 Gyochon-ri brick tomb No.3 was excavated as the third brick tomb during Ungjin period, Baekje, following Songsan-ri No.6 and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In this study, scientific analysis on the bricks from Gyochon-ri brick tomb No.3 was carried out to interpret their manufacturing process and relationship of distribution. The bricks of Gyochon-ri brick tomb No.3 are all with no pattern, and divided into three types in shape: a square brick (cross-sectionally trapezoidal) and rectangular bricks (crosssectionally trapezoidal or rectangular). They are composed of quartz, alkali-feldspar and mica and estimated to have been fired at the firing temperature of 700 to 900℃ in oxidation reaction firing which gives reddish brown color. Bricks have elongated pores caused by carbonized plants in fine raw clay material, and more refined soil was used for square bricks than rectangular bricks. Through the prior study, it was estimated that the bricks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Songsan-ri brick tomb No. 6 were manufactured in Jeongdong-ri, Buyeo, showing the sam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ricks from Jeongdong-ri kiln site. However, bricks from Gyochon-ri brick tomb No. 3 showed different geochemical distribution from other bricks, which means that selection of raw clay materials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bricks were presumed to have been different from others. However, they showed the same pattern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with other Songsan-ri bricks collec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dicating the possibility that those bricks from Songsan-ri might have been partially acquired from the collapsed Gyochon-ri brick tomb and stored in Gongju National Museum since then. When compared with most of bricks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Songsan-ri No. 6 which were fired from 1,000 to 1,200℃ under reduction condition and have densely structured textures, bricks of Gyochon-ri brick tomb No. 3 are considered to be manufactured at a technical difference in terms of their pattern, shape, texture of raw clay material and firing temperature. In addition, while lime was used for brick joints and reinforcing material based on the construction technique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Songsan-ri No. 6, lime was not used for brick joints of Gyochon-ri brick tomb No.3. In place of lime, clay-rich soil in a very fine-grained size was used for joints, which is thought to have been weak in durability and difficult to support the weight of its ceiling for a long time.

      • KCI등재

        블리킹을 이용한 대용량 초음파 볼륨 데이터 렌더링

        김주환(Ju-Hwan Kim),권구주(Koo-Joo Kwon),신병석(Byeong-Seok Shi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8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3 No.7

        최근 높은 해상도의 볼륨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되면서 제한된 용량의 메모리를 가진 그래픽 하드웨어에서 대용량 볼륨 데이터를 렌더링 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용량 볼륨 데이터의 렌더링 방법 중 데이터를 적절히 분할하여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블리킹 (bricking)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블리킹 방법은 직교 좌표계를 사용하는 CT와 MR 데이터를 위해 고안된 것으로, 원환체 (torus) 좌표계를 사용하는 부채꼴 형태의 초음파 볼륨 데이터에 적용하면, 관측광선이 블릭 (brick)의 곡면경계로 진입한 후 다시 빠져 나갈 때 동일한 블릭이 GPU메모리에 두번 적재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초음파 볼륨을 랜더링 할 때 반복적인 텍스쳐 스위칭이 발생하지 않도록 블릭의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블릭의 경계는 곡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곡률을 계산하여, 관측광선이 동일한 블록을 두 번 참조하는 영역을 찾는다. 이 영역에 해당하는 복셀들을 인접한 두 블릭들이 공유하도록 크기를 정하면 둘 중의 한 블릭에서만 재샘플링하게 함으로써 블릭이 중복 적재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Recent advances in medical imaging technologies have enabled the high-resolution data acquisition. Therefore visualization of such large data set on standard graphics hardware became a popular research theme. Among many visualization techniques, we focused on bricking method which divided the entire volume into smaller bricks and rendered them in order. Since it switches bet\W8n bricks on main memory and bricks on GPU memory on the fly, to achieve better performance, the number of these memory swapping conditions has to be minimized. And, because the original bricking algorithm was designed for regular volume data such as CT and MR, when applying the algorithm to ultrasound volume data which is based on the toroidal coordinate space, it revealed some performance degradation. In some areas near bricks' boundaries, an orthogonal viewing ray intersects the single brick twice, and it consequently makes a single brick memory to be uploaded onto GPU twice in a single frame. To avoid this redundancy, we divided the volume into bricks allowing overlapping between the bricks.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formula to determine an appropriate size of these shared area between the bricks. Using our formula, we could minimize the memory bandwidth. and, at the same time, we could achieve better rendering performance.

      • KCI등재

        백제 전실묘의 구조와 축조 배경 재검토

        윤한나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5 百濟硏究 Vol.61 No.-

        This study looked into Baekje brick-chamber tombs, such as Royal Tomb of King Muryeong, Tomb No. 6 in Songsan-ri, Gongju and Tomb No. 3 in Gyochon-ri, and bricks for the construction of each brick-chamber tomb in close relation with the structure of the brick-chamber tomb. Next, it looked into each of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brick-chamber tombs and the aspect of the masonry of bricks and re-examined th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Tomb No. 6 in Songsan-ri. After this work, the author presented opinions about the order of Baekje’s construction of brick-chamber tombs and the background of the construction of brick-chamber tombs, a foreign tomb burial system during the Baekje Ungjin Period. First, it was assumed that Tomb No. 3 in Gyochon-ri might be the first brick-chamber tomb built for the first time in the Baekje region, and judging from its structure and the bricks for construction, there is no sign of a direct impact of the brick-chamber tomb construction technology of Southern Dynasties, so accordingly, Tomb No. 3 in Gyochon-ri was judged to be an unfinished brick-chamber tomb originating from Baekje’s unskillfulness of the brick-chamber tomb construction technology. It was deemed that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Tomb No. 2 in Gyochon-ri were built later with the direct introduction of the brick making technology of the Liang Dynasty, at the point of time around the year of Imjin (512) rather than Southern Dynasties brick-chamber tomb construction technology. In the meantime, it was judged that Tomb No. 6 in Songsan-ri was later transformed partially into Baekje style considering the thickness of the walls of the brick-chamber tomb and the placement of murals, later than the construction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Through this, the order of construction was presented as follows: ‘Tomb No. 3 in Gyochon-ri → Tomb No. 2 in Gyochon-ri and Royal Tomb of King Muryeong → Tomb No. 6 in Songsan-ri.’Along with the situation of the construction of Tomb No. 3 in Gyochon-ri, if the exchange relationship with all regimes of Southern Dynasties continued since the Baekje Hanseong Period is considered, Baekje people already recognized the brick-chamber tomb, a tomb burial system of China, and it was assumed that the construction of brick-chamber tombs like Tomb No. 3 in Gyochon-ri were attempted by the local technology with a justification that necessitated the construction of brick-chamber tombs like those in Southern Dynasties during the Baekje Ungjin Period. However, as the construction of Tomb No. 3 in Gyochon-ri failed due to unskillfulness of the technology, it seems that at the point of time around 512, Baekje introduced the brick making technology of the Liang Dynasty and built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Tomb No. 6 in Songsan-ri. 본고는 백제 전실묘인 무령왕릉과 공주 송산리 6호분, 교촌리 3호분을 중심으로 전실묘의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전실묘 축조용 전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전실묘의 각 세부 구조에서 보이는 전 체축(砌築)양상을 확인하여 무령왕릉과 송산리 6호분의 구조적 차이를 새롭게 검토하였다. 이러한 작업 이후, 필자는 백제 전실묘의 축조 선후관계와 백제 웅진기에 외래 묘제인 전실묘가 축조된 배경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였다. 먼저 백제에서 처음 축조된 전실묘는 교촌리 3호분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그 구조와 축조용 전으로 보아 중국 남조 전실묘 축조 기술의 직접적인 영향이 간취되지 않는다. 따라서 필자는 교촌리 3호분을 백제의 전실묘 축조 기술의 미숙에서 비롯된 미완성 전실묘로 판단하였다. 이후 중국 남조의 전실묘 축조 기술(造墓技術)보다는 남조 梁의 전 제작 기술(造塼技術)의 직접적인 도입에 의하여 壬辰年(512)을 전후한 시점에 무령왕릉과 교촌리 2호분이 축조된 것으로 보았다. 한편 송산리 6호분은 무령왕릉 축조 이후, 전실묘의 벽체 두께와 벽화 배치 등을 고려하여 일부 백제적 變容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통해‘교촌리 3호분 → 교촌리 2호분․무령왕릉 → 송산리 6호분’의 축조 선후관계를 제시하였다. 교촌리 3호분의 축조 상황과 더불어, 백제 한성기부터 지속된 중국 남조 제정권과의 교류 관계를 고려한다면 백제인들은 이미 중국의 묘제인 전실묘를 인지하고 있었으며, 백제 웅진기에 중국 남조와 같은 전실묘를 축조해야만 하는 어떠한 당위성에 의해 재지 기술로써 교촌리 3호분과 같은 전실묘를 축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전실묘 축조 기술의 미숙으로 교촌리 3호분의 축조가 실패함에 따라 백제는 壬辰年을 전후한 시점에 梁의 造塼 기술을 도입하여 무령왕릉과 송산리 6호분을 축조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정수슬러지를 이용한 점토벽돌 생산 기술 개발 연구

        황현욱(Hyeon Uk Hwang),김지훈(Ji Hoon Kim),김영주(Young Ju Kim) 大韓環境工學會 2009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는 정수슬러지를 친환경적인 자원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유해성이 없는 점토벽돌 및 보도블록 등으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정수슬러지를 점토벽돌 원료로 대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각각의 원료의 성상을 분석하고 일축압축강도, 흡수율, 중량 및 용출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규사를 20% 고정시킨 후 정수슬러지 5~10%, 점토 70~75% 주입하였을 때 점토벽돌 한국산업규격 품질 1종(압축강도 210.1 kgf/cm2, 흡수율 10% 이하)에 가장 적합한 결과를 보였으며, 중금속 용출 실험에서도 모든 항목의 농도가 법적 유해물질 용출기준치 이하로 나타났다. 정수슬러지를 이용하여 점토벽돌 제작시 슬러지 5~10%를 주입하여도 시중에서 판매되는 점토벽돌의 품질에 떨어지지 않는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arch possibilities of the use of sludge from waterworks industry in the manufacturing of red clay bricks. Different compositions of the sludge were added into the raw materials of the bricks and required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the manufactured bricks were examined. Compressive strength, plasticity, and surface absorption of the recycled bricks were analyzed and were compared with the bricks quality standard rules and regulation for quality assurance of the product. Compressive strength of the bricks made in a ratio 75% clay, 5% sludge and 20% silica was found 261.3 kg(f)/cm3 and that was comparable with first grade bricks standar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bricks made in a ratio 70% clay, 10% sludge, and 20% silica was found 249.9 kg(f)/cm3 while it was decreased to 217.3 kg(f)/cm3 when bricks were made in a ratio 65% clay, 15% sludge and 20% silica. However, these values of compressive strength were in agreement with the bricks quality standard. Surface absorption of the bricks made by the mixing of 20% silica with varying amount of sludge, i.e., 5%, 10%, and 20% was found 10%, 9.65% and 10.92% respectively. These values satisfied the quality standard of bricks of grade 1 and 2. Recycling of proper amount of sludge in bricks making could produce bricks of high engineering characteristics.

      • KCI등재

        조선후기 번벽축성(燔甓築城) 논의와 기술 도입

        윤용출(Yoon, Yong-Chul)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8 한국민족문화 Vol.67 No.-

        15세기 말엽부터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는 石城이 아닌 벽돌성에 주목한 논자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燔甓築城, 곧 벽돌을 구워서 성을 쌓으면, ‘일은 절반 밖에 안 되나 공효는 배가 된다’[事半功倍]고 여기는 주장이 제기된 것이다. 벽돌을 축성의 자재로 쓰면 재정 부담이 줄고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효율성 측면에서 석성보다 우월하다고 보는 이들이 많았다. 16세기 말엽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중국 병서인 『기효신서』가 도입되어 큰 영향을 끼쳤다. 그와 함께 벽돌을 활용한 중국 城制의 방어시설을 받아들이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임진왜란과 그 이후 지방 여러 곳에서 벽돌을 활용한 축성공사가 진행되었다. 번벽축성은 ‘중국에서 이미 시험해 본 좋은 방책’으로 여겨졌다. 연행사절의 수행원들은 중국 현지에서 목격한 벽돌성의 외양 뿐 아니라, 높이와 폭, 기초 등 제원에 관심을 기울이며 상세한 기록을 남겼다. 번벽축성을 하려면 벽돌을 굽는 일이 선행되어야 했다. 따라서 벽돌성에 관심을 보였던 많은 견문기에서 벽돌의 번조 방식에 관해서도 주의깊게 서술한 것을 볼 수 있다. 벽돌 제작 기술을 알아내기 위한 노력이었다. 중국 벽돌가마의 형태, 번벽의 절차와 요령, 벽돌의 종류와 형상 등에 관심을 보였다. 조선의 현실과 비교하면서, 이같은 번벽법의 도입에 열중하였다. 청나라에서 번벽 기술을 도입하는 일은 은밀하게 추진되었다. 공개적이거나 공식적인 경로가 아닌 기밀을 탐지하는 수준의 은밀한 접근 방식으로 번벽의 기술과 벽돌 가마의 제원을 알아내기 위해 노력한 것이다. 굳이 이같은 방법을 택한 것은, 병자호란 이후 성지 수축을 금지하는 약조를 받아들여야 했던 조선측 사정과도 관련된다. 벽돌 굽는 기술은 군사적 목적의 벽돌성 쌓기의 수단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청측을 자극하지 않으려 한 것이다. 정조대 수원 화성은 벽돌성이 아니지만 많은 벽돌을 활용한 대규모 석성으로 지어졌다. 수원 화성의 축성공사에서는, 영조대 강화외성을 벽돌성으로 짓다 실패한 경험이 크게 참조되었다. 기초공사를 중히 여긴 것도 그 일환이었다. 중국의 벽돌가마를 도입하는 것도 실험적으로 시행했다. 화성에서는 조선의 전통적인 가마와 구별되는 종 형상의 중국식 벽돌 가마가 새롭게 조성되고 운용되었다. 조선 전통의 횡염식 가마를 대신하여 승염식 가마를 만들어 쓴 것 등이 그러하다. 많은 한계를 보이면서도 벽돌생산의 새로운 시도가 이어진 점이 주목된다. Since the late 15<SUP>th</SUP> century, some commentators began to recognize the relative efficiency of brick-based fortress construc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labor-intensive stone-based construction. In other words, they said “building a fortress out of fired bricks would take only half the manpower but result in doubled achievement.” Advocates for the brick-based method argued that it is superior to stone-based one, since it will ease the financial burden and save labor cost. Chinese military books imported during the 1592 Japanese invasion also inspired them to think like that and urge Joseon to embrace the Chinese brick-based defense system. As a result, since the 1592 war and afterwards, many brick-based construction projects took place nationwide. At that time, brick-based construction was considered “a good strategy tested and verified in China”. Diplomatic envoys to Qing dynasty and their entourage took detailed notes on what they witnessed during their trips to China – the overall appearance and foundation of the brick fortresses as well as their widths and heights. Building a brick fortress, first of all, required consistent production of fired bricks. Therefore, most of such travel essays focusing on the Chinese brick fortresses also provided in-depth discussion on how they fired bricks, resulting from the writers’ commitment to learn more about the advanced technology. The writers’ attention was towards the shape of a brick kiln, the process and the procedure to fire the bricks, and the types and the shapes of the fired bricks. When they observed the advanced technologies in China, they compared them to the realities in Joseon and wondered how the brick-firing technologies would be introduced to their home country. They tried to bring the technology secretly; without any open or official routes, like an agent hiding classified information away, they tried to find out the details of the brick-firing technologies and the specification of the brick kilns. There was no option other than such secrecy, largely because Joseon was forced to sign the treaty to forbid itself from new fortress construction after it was defeated from the 1636 Qing invasion. As brick firing was considered closely related to fortress construction and military strategies, the envoys were not supposed to provoke Qing by letting them know they were interested in such technologies. While Hwaseong Fortress built during King Jeongjo’s reign was not completely brick-based, it was a large-scale stone-based fortress that also used a lot of bricks. As the outer fortress of Ganghwa was built during King Yeongjo’s reign and was brick-based, but collapsed soon, they learned from the mistakes. The Hwaseong construction project emphasized groundwork and was done carefully. They also experimented with a Chinese brick kiln at the area, building and utilizing one of the first Chinese-style kilns. The bell-shaped Chinese kilns were different in shape and structu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s. The Chinese ones were in a distinct bell-shape and adopted an updraft firing structure, while the conventional ones had a cross-draft structure.

      • KCI등재

        녹화벽돌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박수현(Park Soo Hy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3

        녹화(綠化)사업은 도심 내의 환경 문제 해결책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주차장 녹화벽돌 시공법에 관한 연구 사례는 많지만, 환경과 인체에 무해한 소재 개발과 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 사례는 적다. 본 연구는 2014년 실시한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한 녹화벽돌 시공사례지 조사와 시판되고 있는 녹화벽돌 조사를 참고로 녹화 벽돌의 소재와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소재 개발에서는 기존 녹화벽돌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황토를 기본으로 한 점토에 혼합 재료(규조토, 벽돌 칩, 맥반석, 활성탄)를 90중량%:10중량%의 비율로 섞어 시료편(150×70×70mm)을 제작하고 1200℃에서 소성을 하였다. 소재 개발 결과에서 점토 벽돌이 콘크리트 벽돌과 비교했을 경우 투수 성능이나 미끄러지기 쉬운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절단면의 구멍으로 흡수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압축 강도가 높은 벽돌 칩을 혼합 재료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또한, 벽돌 칩은 폐자원 활용 면에서도 원가 절감, 경량화에 의한 포장재 운반비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벽돌 칩을 혼합한 점토를 소재로 한 녹화 벽돌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는 판형에 비해서 배수 능력이 탁월하고 대형 기계 없이도 시공 가능한 조합형 벽돌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전통 회귀 현상이라는 디자인 트렌드 속에서 전통적인 기하학 문양을 모티브로 하여 Neo Minimalism, Unit&Modular를 디자인 포인트로 제안하고 벽돌의 경량화와 시공 시간 단축 효과가 있는 조합형의 녹화 벽돌을 대량 생산이 가능한 압출 성형 방식으로 제조한다면 시공비용 절감, 시공 패턴의 다양한 변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가 기존의 녹화 벽돌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향후, 수요증대가 예상되는 녹화 벽돌 디자인 개발의 기초 자료로 많이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With afforestation project rising as one of environmental issue solutions in downtown, there are many studies on afforestation brick construction method in the parking lot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development of design and materials that are harmless to humans and environments. Focusing on Daegu and Gyeongsangbuk-do where are conducted in 2014, this study is to develop design and materials of afforestation brick by referring to a survey of construction case area of afforestation brick and a survey of afforestation bricks that have been sold. In development of materials, to compensate the weakness of existing afforestation bricks, sample pieces are made by mixing mixture(Diatomite, brick-chip, elevan, and active carbon) with clay based on red clay at a 90 weight %:10 weight % ratio, and is calcinated at 1200℃. In case of comparing clay bricks with concrete bricks in a result of material development, brick-chip with high compression strength is used as mixture to compensate permeability or slidable weakness although absorptance rate through a hole of a cutting plane is high.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brick-chip can have an effect of cost reduction and transportation charge reduction of packing materials by weight lightening in the use of waste resources. In design development of afforestation bricks whose materials are clay mixed with brick-chip, the researcher suggests combination brick design whose drainage is more excellent than drainage of plate brick design and that can be constructed without large equipment. If Neo Minimalism and Unit & Modular are suggested as a design point by focusing on a traditional geometric design in a design trend, a return phenomenon to tradition, and combination afforestation bricks with the weight lightening of bricks and an effect of shorter construction hours are made by extrusion molding on a mass production basis, construction cost reduction and various changes of construction patterns can be promot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method to compensate problems of existing afforestation bricks and as basic information of design development of afforestation bricks whose demand will incr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