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쌍두조(공명조) 형상의 기원 연구: 중국·한국·인도를 중심으로

        이재정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9

        Birds have been considered sacred all over the world since ancient times, and have been worshiped as totems. The ancients added imagination to the bird by combining it with other sacred animal body parts or by adding parts of the bird's body (usually heads). The bird born in this way is Griffon, Phoenix two-headed bird, Three-Legged Crow, Fenghuang, bird with human face. In this paper, I will focus on the two heads. Two-headed bird literally refers to a bird with two heads in one body. There are two headed eagles in the West, the Gandaberunda and Jivajivaka birds in India, and Gongmyonjo(共命鳥) in China and Korea. Thus far, the study of the two-headed bird in the East and the West has been regarded as a separate existence. Therefore, there was few comparative studies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two. Also, for the same reason, even if Two-headed bird image are common in the East and the West, no research has been made to find a link between these two regions. Therefore, this study will examine Buddhist scriptures translated and paintings in Korea and China, the literature and artifacts from ancient Near East, India, and its the surrounding area. Through this, we want to find out how perceives the double-headed bird in East and West, where the origin is, and how the double-headed bird spread from west to east. 새는 고대부터 전 세계적으로 신성한 존재로 간주되었으며, 토템으로서 숭배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고대인들은 상상력을 가미시켜서 새에게 다른 신성한 동물의 신체 일부와 결합시키거나 새의 신체의 일부(주로 머리)를 추가시킴으로써 새의 신성성을 배가시켰다. 그래서 탄생한 새들이 바로 그리핀(Griffon), 피닉스(Phoenix), 쌍두조(雙頭鳥, two headed bird) 또는 공명조(共命鳥), 삼족오(三足烏), 봉황((鳳凰), 주작(朱雀), 인면조(人面鳥)등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중에서 쌍두조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쌍두조는 문자 그대로 한 몸에 머리가 두 개인 새를 말한다. 대표적인 쌍두조로는 서양의 쌍두독수리, 인도의 간다베룬다, 지바지바카, 중국과 한국의 공명조가 있다. 지금까지의 쌍두조에 관한 연구는 동양의 쌍두조, 서양의 쌍두조를 서로 별개의 존재로 간주하여 이루어졌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비교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동일한 이유로 비록 동서양에서 공통적으로 쌍두조 형상이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이 두 지역 간의 연결고리를 찾으려는 노력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에서 번역된 불교 경전과 도상, 인도와 고대 근동, 그리고 그 주변 지역의 문헌과 유물들을 살펴봄으로써 동서양에서는 쌍두조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 기원이 어디에 있는지, 그리고 어떤 경로를 통해서 쌍두조 형상이 서에서 동으로 전파되었는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 KCI등재

        산림성 조류의 번식기 음성녹음을 이용한 조류군집 평가

        유승화,한현진,김동원,주우영 한국환경생태학회 201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2 No.1

        Breeding bird surveys provide the reference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bird community structure and function in the ecosystem and conserving biodiversity. Recent rapid change of biodiversity due to climate change and other factors has made it necessary to utilize acoustic sensors for accuracy and spatial expansion of forest bird survey data and for time-series monitoring of forest bird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using acoustic recording sensor to evaluate the diversity of forest birds at breeding seas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corded data of bird songs and field bird survey data. We conducted the site survey and recording in 186 points in 48 areas of 4 regions of Gombaeryeong and Jochimryeong around Jeombongsan Mountain and Jugryeong and Gochiryeong around Sobaeksan Mountain from May 2nd to 16th in 2013.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cording result and Bird Community Index based on the field survey showed that the number of bird species,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bird songs by recording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 by field survey. Moreover, the number of bird species and the number of bird songs by recording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but no or low significant correlation to species evenness by the field study (observation and listing in parallel).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heck species composition and species diversity of bird communities by analyzing acoustic recording data on the field. The acoustic recordings of bird songs in the breeding period were more reliable than the non-breeding period in the correlation of recording result and species diversity and for utilization. 번식기 조류 조사(Breeding Bird surveys)는 생태계 내 군집 구조와 기능 그리고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중요한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최근 기후변화 등에 따른 생물다양성이 급변함에 따라 산림성 조류조사 데이터의 정확성 및공간적인 확대와 시계열적 모니터링을 위해 음향 센서 등의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류 음성을녹음한 데이터와 현장 조류조사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번식시기 산림성 조류의 군집 다양성 평가에 음향 녹음 센서의활용 가능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2013년 5월 2일부터 16일까지 현장조사 및 녹음을 실시하였으며, 조사 대상지는점봉산지역의 곰배령과 조침령, 그리고 소백산지역의 죽령과 고치령 구간으로 총 4개 권역 48개 지역, 186개 지점이었다. 녹음결과를 이용하여 현장조사에 의한 조류군집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녹음에 의한 조류 종의 수와개체수, 울음소리 횟수는 현장조사에 의한 조류의 종의 수, 개체수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녹음에 의한조류 종의 수와 음성의 횟수는 현장조사(관측과 청음 병행)에서의 종다양도, 종풍부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종균등도와는 약한 상관관계 혹은 관계가 없음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현장에서의 음성녹음 자료를 분석할 경우조류군집의 종조성과 함께 종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번식기의 음성녹음에 비하여 번식기의 음성녹음은 녹음결과와 종다양성과의 상관관계에서 보다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활용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나는 새의 이미지와 여성의식 연구 : 전경린, 한강, 김숨의 작품을 중심으로

        양현진 ( Hyun Jin Yang ) 現代文學理論學會 201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7

        새의 문학적 상상과 상징은 1990년대 들어 축적된 여성문학을 근간으로 여성의식이 발현되는 핵심적 이미지로 등장하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여성작가의 소설에서는 상승하고 추락하고 집을 짓는 새의 구체적인 물질성에 기초한 상상의 체험이 풍부하게 드러난다. 나무 위에 집짓기나 상승과 추락의 몸짓 등, 새가 지니는 경계적 특징은 여성의식을 드러내기에 적합한 상상력을 제공한다. 이 논문은 다양하고 자유로운 상상력과 이미지로 주제를 구현하고 있는 여성 작가인 전경린, 한강, 김숨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새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여성 의식을 살핀다. 비상하는 새는 집으로 대변되는 땅에 묶여 있는 여성인물의 현실을 반증한다. 여성인물의 경계적 존재 양상은 새장에 갇힌 다리 없는 새의 이미지를 통해서도 드러난다. 공중에 떠 있는 위태롭고 고통스러운 새의 양상은 여성인물의 존재론적 인식을 드러낸다. 상승하고 추락하는 새의 격렬한 역동성 속에서도 여성 의식이 발현된다. 공기와 하나가 되어 날아오르는 새의 이미지는, 여성인물의 몸이 투명하게 공중으로 흩어지는 변신의 상상력을 촉발하고 바람이 불러일으키는 특별한 욕망의 계기를 형상화한다. 거짓 희망에 부딪혀 추락하지만 상승 욕망을 부추기는 공기에 몸을 맡겨 새롭게 날고자 하는 무모한 열정은 참혹한 현실을 변모시키는 상상력이다. 새의 둥지와 새장의 대비는 집과 가정에 대한 여성 의식을 드러낸다. 새는 알을 낳기 위해서만 집을 짓는다는 점에서 둥지는 사랑의 결실이다. 인간이 만든 새장은 새를 단순히 가둔다는 의미 때문에 문제적인 것이 아니라, 그들이 사랑할 기회를 박탈했다는 점에서 더 사악하다. 새장은 사랑이 없는 집이다. 아파트 베란다에서 떨어져 죽는 여성인물은 새장의 횃대에서 갑자기 떨어져 죽어버린 새의 이미지와 겹친다. 자신의 몸을 자연의 외기에 맡기고 자연과 하나 되기를 추구하는 여성인물의 심리는 이러한 새의 집에 대한 동경을 드러낸다. Literary imaginations and symbolizations of birds, which have been done from ancient times on, are actively made in modern novels. Especially, in many female authors' novels which have appeared after 1990. these imaginations and symbolizations of birds are the main motif to express women's outlook on life. Imaginations derived from the birds' tangible features are made abundantly in after 1990 female authors' novels. Those features are flying into the sky, descending in the air and making nests on the trees that are the borderline between the sky and the earth. Because birds can fly into the sky meantime can sit on the land, they have boundary characteristics. Birds' boundary characteristics are the adequate sources of imaginations to reveal women's way of thinking. Also, birds' actions to build nests using only their bodies without any instruments are led to literary imaginations of women and their houses This paper investigates women's mentality in Jeon Gyunglin, Han Gang and Kim Sum's novels by focussing on the birds' images. These female authors make various and free imaginations and images to express the main theme of their novels. These novels' major imaginations of birds, that is to say, birds' flying, wings, and nests, are based on Gsaton Bachelard's dynamic birds-related imaginations made in his novels, "Air and Dreams" and "Poetics in Space". Flying birds represent the reality of female characters who are tied to the earth symbolized by houses. Levitation is the unusual motion that reflects hostility to earth-based houses' characteristics; disgusting obsession and meaningless repetition. Derived from the unstable state between the sky and the earth, levitation is a painful handicap. Meanwhile, the boundary space between the sky and the earth is the only place where women can dream to fly. No-leg birds confined in a cage represent female characters' borderline-like situations. These birds can not sit on the floor because they have no leg and can not fly because they are confined in a cage. An angel whose body is inadequately attached to the ideally-shaped wings also expresses the thoughts of women who wander on the border between the sky and the earth and try to escape from the situation. Boundary existence is manifested in the birds' up-flying and down-flying motions. Cages and birds' nests express women's attitudes to houses and homes. Nests are the results of love because the birds make nests only to lay eggs. Human-made cages are bad not only because they confine birds but also because they deprive birds of chances of love. Cages are houses without love. The image of female character who falls off the high apartment to die overlaps that of the bird which suddenly falls off the cross-bar of the cage to die. Using their round chests, birds rotate repeatedly their bodies to make round-shaped nests like their round chests. Birds' longing for nests reflect mentality of women who want to let their bodies free in outside nature and to unite with nature.

      • KCI등재

        Status of Aircraft Bird Strikes at Airports in Korea

        Wee-Haeng Hur,Jin-Han Kim,Hwa-Jung Kim,Sung-Hyun Kim,Seung-Gu Kang,Myounghai Kwak,Chang Hwan Bae,Sun-Nam Park 한국조류학회II 2015 한국조류학회지 Vol.22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cure basic data for a plan to reduce bird strikes by analysing information on collisions and bird species. We received 63 unidentified bird strike samples―for example, feathers, blood and tissue―from 8 airports in Korea from August 2009 to December 2010. We considered a bird strike sample as a case of bird strike, and used information on bird species that was identified by using DNA COI segments from the samples. Information was used on collisions from reports of bird strikes from airports and additional information collected from websites of KAC. From the results, 15 bird strikes occurred in Jeju airport and 8 bird strikes occurred in Gimpo airport. The occurrence of bird strikes was related to the number of aircraft movements in airports. However, we could not confirm the major bird strike species in each airport and also could not find the trend of the relation between the size of aircraft and occurrence of bird strikes. More bird strikes occurred during landing than takeoffs and engines made up the highest proportion of bird strikes. Seasonally, the occurrence of bird strikes was higher in October, September, November and May than in other months. This trend seems related to the patterns of the seasonal migration of birds. The daily pattern of bird strikes was higher in the morning and at sunset than at other times, and nocturnal birds were also struck at night time. This trend seems related to the daily patterns of birds.

      • Avian influenza Surveillance in wild bird in Korea between 2015 and 2016

        ( Gyeong-beom Heo ),( Eun-kyoung Lee ),( Yu-na Lee ),( Youn-jeong Lee ),( Mingeun Sagong ),( Myoung-heon Lee ),( Yong-joo Kim ) 대한인수공통전염병학회 2018 창립총회 및 학술대회 초록집 Vol.2018 No.1

        Introduction: National surveillance of avian influenza virus (AIV) in Korea has been annually conducted for early detection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In Korea, there have been four times of outbreaks of H5N1 HPAI between 2003 and 2011. During 2014-2015, large epizootics in poultry have been caused by H5N8 HPAI viruses. In this study, we report on the result of a nationwide surveillance for AIV in wild birds in Korea between 2015 and 2016. Methods: Samples were collected by the Livestock Health Control Association and regional veterinary offices. The feces of wild birds were collected in major migratory habitats. Healthy migratory birds were captured and oropharyngeal/cloacal swabs were collected from these birds. Each sample was screened by real-time PCR. AIVs were isolated by inoculation on embryonated SPF chicken egg with samples and the presence of AIV was determined using a hemagglutination assay. For sutyping of AIV, HA and NA genes of the AIV isolates were amplified with gene-specific primers using RT-PCR and confirmed by directly sequencing. Results: Between 2015 and 2016, 28,849 samples were collected from wild birds. Of these, 24,091 of wild bird feces, 4,686 from captured birds, and 72 dead birds. A total of 228 viruses were isolated and the various subtypes were found including H1-H12. The major subtypes were H5 (n=59), H6 (n=39), H4 (n=33) and H3 (n=30). H5 AIV was further classified into four NA subtypes: H5N3 (n=23), H5N6 (n=18), H5N8 (n=16) and H5N9 (n=2). H5N6 and H5N8 subtypes were isolated in wild bird feces (n=18), captured bird (n=10), and dead bird (n=6), respectively. These viruses belonged to clade 2.3.4.4 and confirmed as HPAI virus. The H5N6 HPAI viruses isolated in late 2016 were phylogenetically distinguishable from the clade 2.3.4.4 H5N8 HPAI viruses previously isolated in Korea during 2014-2015. Conclusion: Between 2015 and 2016, viruses of various subtypes, including H5 HPAIVs and LPAIV, were isolated from wild bird through AI surveillance. AI Surveillance in wild birds should be enhanced for earlier detection of AIV introduced by wild birds to implement the effective control measure to prevent HPAI outbreaks in poultry farms.

      • KCI등재

        禽言體詩의 禽言 機能에 대한 硏究

        유진희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6 고전과 해석 Vol.20 No.-

        禽言體詩를 연구한 기존의 논문은 대체로 새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금언체시의 직접적인 제재인 禽言, 새소리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자 한다. 금언체시에서는 어떤 새를 제재로 시를 썼느냐가 아니라 새소리를 표기하는 데에 어떤 글자를 사용하였는지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금언에 주안을 두고 금언체시에서 금언이 어떠한 기능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금언체시에서 금언은 주제의 형성과 한정의 기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금언체시에서는 금언의 한자어에 따라 그 금언체시의 내용이 달라지기 때문에 금언은 그 시의 주제를 형성한다고 보았다. 금언체시는 주제의 범주가 그렇게 넓지 않은데 이것이 금언의 특성과 연관이 있다. 새의 울음소리는 현실과 가까운 소재이기 때문에 현실과 가까운 주제를 다루는 것이 더 적합한 것이다. 일상과 가깝기 때문에 더욱 친숙한 형태로 다룰 수 있다. 또 우리나라의 새와 관련된 설화의 특성상 금언체시의 내용은 안타까운 사연을 가진 경우가 많다. 때문에 금언체시의 주제는 한정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금언은 금언체시에서 유희적인 기능을 한다. 이런 유희적인 기능은 금언체시에서 금언과 금언의 내용이 이중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한 것이다. 금언과 금언의 내용 사이의 이중적인 의미는 작가가 하는 문자유희에서의 유희성뿐만 아니라 독자가 작가가 의도한 문자 유희를 풀어가는 과정에서 또 다른 유희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또한 새의 모습과 그 금언의 모순적인 상황 속에서 유희성이 나타나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This thesis tries to the explore 禽言體詩 (Bird-Song Poetry) by negating the focus on the bird in existing studies and instead by focusing on bird song or 禽言. This is because in Bird-Song Poetry, the letters used to symbolize the bird song is more important than what bird was used as the subject for poetry. First, Bird-Song Poetry forms its subject by a bird cry portrayed in the poetry or with bird name. Even if the same bird is used as a topic, if a bird song is written differently, the contents will also differ. However, poems with the same bird song will tend to contain similar contents overall. Secondly, it can be regarded that because of bird song’s influence, considerable limitations exist in the contents and background of Bird-Song Poetry. This is because a bird cry is more suited for subjects which evolve around reality compared to poems with decorative backgrounds or poems about distant worlds, segregated from reality. As bird cries are sounds which can be easily heard in daily lives from anywhere, it is treated in a very familiar form.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of bird songs, I wish to explore the way subjects and backgrounds are shown in limited ways. Lastly, because Bird-Song Poetry belongs to a large category of Jap-che (Miscellaneous Style) Poetry, it can be regarded as having an amusing quality. Due to the effects taking place within the poem content and the ambiguous meaning of bird sounds it has the effect of arousing interest. Therefore, even if another poem exists with the same subject matter, because of insertion of bird sounds, it can achieve additional effects to ordinary poems of other subject matter.

      • KCI등재

        淸代 중국의 해산물 소비와 무역 - 제비집과 상어지느러미를 중심으로 -

        민경준(Min, Kyong-Joon) 효원사학회 2019 역사와 세계 Vol.- No.56

        이 논문에서는 청대 중국에서 해산물, 그것도 고급해산물인 제비집과 상어지느러미가 어떻게 각광 받았던가를 먼저 규명하고, 이것이 만들어 낸 수요가 동남아시아산 제비집과 상어지느러미의 중국으로의 수출로 이어지는 점을 연결하여 정리하고, 마지막으로 수입무역의 양상을 정리하였다. 제비집과 상어지느러미는 확실히 특이한 무역상품이지만 현재까지도 고급요리의 재료로 각광받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제비집과 상어지느러미의 수요 확산에 대하여, 그것들이 가진 약효에 주목하여 논지를 전개하였다. 즉 허약한 사람의 부족한 양기를 채운다는 보신, 자양의 개념을 담고 있는 약효를 찬양하고 선전한 것이 지식인 대중에게 수용된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약효에 대한 인식은 원대부터 청대까지 줄곧 세분화되고 심화되어 왔다. 청대가 되면 많은 본초서와 의서에도 제비집과 상어지느러미의 약효는 실린다. 이에 맞추어 이들을 소비하는 부류도 점점 늘어나 황실ㆍ귀족에서 관료사회로, 다시 지식인 사대부 사회로, 부상대고로 확산되었다. 제비집과 상어지느러미를 소비하는 지역도 대도시에서 소도시로, 연해지역에서 점점 내지로 확산되어 갔다. 이와 같은 소비의 증대에 대하여 중국 국내산 제비집과 상어지느러미는 그 공급을 충당할 수 없었지만, 대신에 동남아산 제비집과 상어지느러미의 생산과 무역을 자극하고 이끌게 되었다. 제비집과 상어지느러미를 포함한 고급해산물(해삼, 전복)의 중국 내 소비 확대와 동남아 화교와의 관련성은 없을까, 이 무역을 주도하던 상인은 누구였을까, 자바와 술루 외에 다른 무역 중심은 없었을까, 서양 상인은 무역의 어디까지 개입하였을까, 약효 외에 소비를 확대시킨 중국 내의 다른 요인은 무엇일까 등등은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This paper proceeds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we summarize why the high-end seafood nest was welcomed in China. Second, the increase in Chinese consumption of bird’s nest and shark’s fin encouraged the export of them from Southeast Asia to China. Third, the aspects of the bird’s nest and shark’s fin import trade are summarized. The bird’s nest and shark’s fin are very unique trade products. However, they are still in the spotlight as a premium seafood dish. In this paper, the following logic was developed, noting that one of the reasons for the increase in bird’s nest and shark’s fin demand was their efficacy. The drug mentioned above is the function of nourishment as seen. People were fascinated by the ability of the body to strengthen the weak man’s energy, which led to increased consumption of the bird’s nest and shark’s fin. Inform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the bird’s nest and shark’s fin continued to differentiate and deepen from the Yuan dynasty to the Qing dynasty. Since the Qing dynasty, the functions of bird’s nest and shark’s fin have been recorded in the book of medicine. As a result, the number of consuming bird’s nest and shark’s fin was increased. First, the imperial and nobles, then the bureaucrats, then the intellectuals, and the wealthy merchants enjoyed the bird’s nest or shark’s fin. The areas that consume bird’s nest and shark’s fin were also spreading from large cities to small cities, and from inshore to inland. This increase in consumption first stimulated the supply of domestic bird’s nest and shark’s fin. However, the shortage of domestic bird’s nest and shark’s fin stimulated the production and trade of them in Southeast Asia. The period is from the late Ming Dynasty. Bird’s nest and shark’s fin produced in each region of Southeast Asia have been imported into China. The largest sources were Sulu and Java, Singapore, Siam, Vietnam. Is the expansion of consumption and trade of high-end seafood, including the bird’s nest and shark’s fin, unrelated to Southeast Asian Chinese? Who was the trader who led this trade? Was there any trade center other than Java and Sulu? How far did Western merchants intervene in this trade? Is there another reason for the increase in bird’s nest and shark’s fin consumption? This is a challenge to be solved.

      • KCI등재

        趙涑의 <老樹捿鵲>과 <古梅瑞鵲>에 대한 樣式的 比較 考察

        장지성 동악미술사학회 2015 東岳美術史學 Vol.0 No.18

        17세기를 대표하는 사인화가인 滄江 趙涑(1595년∼1668년)은 시서화 삼절이자 介潔한 선비로 알려져 있다. 그는 그림에 있어서 산수, 묵매, 화조 등이 여러 점 남아 있는데, 그중에 특히 수묵화조화로 유명하다. 그림을 技藝로 여겼던 조선 중기의 많은 사인화가들이 그렇듯이, 趙涑은 그의 작품에 落款를 남기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러한 이유로 그의 작품으로 전해지는 수묵화조화는 진적을 명확하게 밝히기가 매우 어렵고, 화풍도 다른 것들이 뒤섞여 있어 혼란을 초래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그의 작품으로 알려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老樹捿鵲>과 간송미술관 소장의 <古梅瑞鵲>은 화풍의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두 점 모두가 趙涑의 대표작이자 중기 水墨寫意花鳥畵의 뛰어난 걸작으로 말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 두 작품은 모두 조선 중기의 시대적 특성과 뛰어난 작품성을 지니고 있는 수묵화조화임은 분명하나, 자못 두 그림에 나타나는 공간 인식, 대상에 대한 인식, 용필법, 용묵법, 전체적인 인상 등에서 상이한 점이 많아 두 작품을 모두 趙涑의 진적으로 판단하기는 어려운 부분이 존재한다. 간단히 말해 <老樹捿鵲>은 수묵을 다루는 능력과 묘사력이 매우 뛰어나면서, 중국 明代 궁정화가였던 林良(15세기 활동)의 화조화의 모습이 크게 나타나는 반면에, <古梅瑞鵲>은 기술적 능숙함보다는 사의성이 강하게 드러나면서 조선 중기의 고유색을 짙게 드러내고 있어 분명한 화풍상의 차이를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이 두 작품은 명확한 검증이 시도되지 않은 채, 작품의 질이 우수하고 중기의 시대성을 지닌 사의화풍의 수묵화조화이며, 당시에 趙涑이 영모와 매화를 잘 그렸다는 점에서 그의 진적인양 말해지고 있다. 이에 이 글은 趙涑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전해지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老樹捿鵲>과 간송미술관 소장 <古梅瑞鵲>에 대한 양식 비교를 통해서 우리가 현재 지니고 있는 趙涑의 화풍에 대한 모호한 판단과 평가를 재검토하였다. 그리고 두 작품과 관련하여 중기적 특성을 지닌 여타의 수묵화조화와 趙涑의 전칭작들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중기 조선 화단의 수묵화조화의 전통을 새롭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작품 분석을 통해 두 작품의 질적 평가에 대한 양식적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老樹捿鵲>과 <古梅瑞鵲>은 한 화가의 작품일 수 없음을 분명히 밝혔다. 나아가 <老樹捿鵲>는 중국 林良의 작품이거나 이를 방불하게 묘사할 수 있는 숙련된 화가의 작품일 가능성이 크고, <古梅瑞鵲>는 趙涑과 유사한 화풍을 구사한 것으로 알려진 그의 아들 趙之耘의 작품일 가능성이 있음을 밝혔다. A representative scholar painter in the 17th century, Changgang(滄江) Cho Sok(趙涑, 1595~1668) is known as a person with three talents in painting, poetry and calligraphy and a scholar of integrity(介潔). He is particularly known for his flowers and birds ink paintings among his remaining paintings on landscape, plum blossom in ink and flowers and birds. Like many scholar painters in the mid-Joseon Dynasty who considered paintings as arts, it is told that Cho Sok did not leave his signature(落款) on his artworks.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clarify the originality of the flowers and birds ink paintings that have been known as his works and often causes chaos since they are in a mixed style with other paintings. In particular, both <Birds in a Tree(老樹捿鵲)> owned by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Magpie on an Old Plum(古梅瑞鵲)> owned by Kansong Art Museum, known to be painted by Cho Sok, are called major pieces of Cho Sok and brilliant masterpieces of flowers and birds ink painting in the scholar painter’s painting style in the mid-Joseon Dynasty. However, while the two works are definite flowers and birds ink paintings in the scholar painter’s painting styl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in the mid-Joseon Dynasty and high quality, it is clearly not easy to determine both works as being painted by Cho Sok since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recognition on space and objects, technique for using brush, technique for using ink and overall impression of the two paintings. In short, <Birds in a Tree(老樹捿鵲)>has high technical and descriptive skills of ink paintings, using the style of the flowers and birds paintings by court painter Liang Lin(林良) in the Ming Dynasty(the 15th century). On the other hand, <Magpie on an Old Plum(古梅瑞鵲)>with a strong expression of an artist’s inner world rather than technical proficiency strongly shows the unique colors of the mid-Joseon Dynasty in depicting plum blossoms or birds, which is a clear difference in style. Nevertheless, the two paintings are in high quality and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Joseon Dynasty even as they are not clearly verified, and are told as if the two are the original works by Cho Sok since they are flowers and birds ink paintings in the style of expression of an artist’s inner world that reflects the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of the mid-Joseon Dynasty. This paper reexamined the equivocal judgment and evaluation on the style of Cho Sok based on the detailed comparison of the styles of <Birds in a Tree(老樹捿鵲)> owned by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Magpie on an Old Plum(古梅瑞鵲)> owned by Kansong Art Museum, which are known as the major works by Cho Sok. Furthermore, by reviewing other flowers and birds ink painting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Joseon Dynasty and the works that are told to be painted by Cho Sok, although uncertain about the authenticity, this study reviewed the tradition of the flowers and birds ink paintings of the painting community in the mid-Joseon Dynasty. In conclusion, this paper found that <Birds in a Tree(老樹捿鵲)> is highly likely to be painted by Liang Lin of China or a painter who is at an equivalent level, while <Magpie on an Old Plum(古梅瑞鵲)> with the strong characteristics of the mid-Joseon Dynasty can be painted by Cho Sok or his son Cho Jin-woon, who is known to have the almost similar painting style with his father.

      • KCI등재

        판소리 새타령의 근대적 변모 -유성기음반을 중심으로-

        배연형 ( Yeon Hyung Bae ) 판소리학회 2011 판소리연구 Vol.31 No.-

        이 논문은 판소리 새타령에 속하는 더늠의 문학적인 내용과 음악적인 구조를 분석한 것이다. 새타령은 매우 역사가 깊은 노래로 잡가에서부터 판소리로 차용되어 들어오면서 음악적인 변화의 과정을 거쳤다. 잡가 새타령은 새의 특징이나 소리를 묘사하는 음악이었는데, 판소리 적벽가에 차용되면서 적벽화전에 죽은 군사들이 영혼을 새소리로 비유하여 묘사하는 노래로 바뀌었다. 잡가 새타령은 원래 타령(자진몰이) 장단으로 짜여 있으며, 이것은 나중에 중중머리로 바뀌었다. 판소리에서는 새타령을 세마치나 중머리로 짜서 불렀는데, 현재는 중머리 새타령만 전승된다. 판소리에서 자진몰이 대목은 보통 중중머리로 바뀐다. 그러나 적벽가 새타령이 중머리로 바뀐 것은 노래의 성격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잡가 새타령은 노랫말과 장단의 맺음이 일치하지만, 판소리 새타령은 문장의 종결과 음악적 맺음이 어긋나게 작곡되어 있다. 잡가는 새소리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므로 문장과 장단이 일치하여 경쾌하고 편안한 느낌을 주지만, 적벽가 새타령은 전투에서 죽은 영혼들을 원한을 그로테스크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문장과 장단을 일치하지 않게 짰기 때문에 오히려 낯설음과 불편함을 주는 것이다. 한국음악은 고정된 틀, 매너리즘 문체를 가진 노래였는데, 광대들은 새타령처럼 상황(이면)에 맞는 개성있는 표현을 통해 재창조함으로써 판소리를 발전시켜왔다. This paper sought to examine the Pansori epic chant, Saetaryeong (Bird Song), to define its Pansori Aria`s literary contents and musical structure. The Bird Song has a long history, and underwent musical changes as it was borrowed into Pansori epic chant from a lyric song. The lyric song Bird Song was a music piece depi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sounds of birds, but as it was borrowed into Jeokbyeokga the Pansori Red Cliff Story, it changed into a song which compared the deceased souls in the Jeokbyeok battle to sounds of birds. The lyric song Bird Song was originally comprised of Taryeong (Jajinmori) ``O-O/O-O/O-O/O--//`` (triple meter) rhythm, and was later changed into the Jungjungmeori rhythm. In Pansori, the Bird Song was called Semaci 6 time or Jungmeori 12 time ``OOO/O--//OOO/O--//``(6+6=dodecameter), but only Jungmeori Bird Song has remained until present day. In Pansori, the Jajinmori part normally changes into Jungjungmeori. However, the Jeokbyeokga Bird Song changed into Jungmeori, because the song changed its characteristics. The lyric song Bird Song has words of song and rhythm closing being consistent. However, the Pansori chant Bird Song has the closing of sentence and musical closing being inconsistent. The lyric song sings the beauty of sounds of birds allowing the sentence and rhythm to be consistent, and giving it a light and comfortable feeling. However, the Jeokbyeongga Bird Song was made to have the text and rhythm being inconsistent to grotesquely express the sorrow of deceased souls in war, giving the audience the feeling of being strange and uncomfortable. This is the aesthetics of Bird Song. Korean music before the 19 century consisted of songs with fixed frames and mannerism, and Gwangdae (feat singers) recreated such Korean music with individualistic expression according to situations (imyeon) like with Bird Song. Thus, Gwangdae endeavored to transform Pansori into individualistic, realistic, modern music.

      • 흰 새에 담은 이중섭의 희망

        허나영(Hur, Na-Young) 인물미술사학회 2017 인물미술사학 Vol.- No.13

        특정한 소재를 반복적으로 그렸다는 점에서 소재별로 이중섭의 작품을 구분해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중섭의 작품에서 비교적 자주 등장하지만 그간 단독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흰 새의 이미지에 주목하였다. 흰 새는 이중섭의 작품 중 채색화나 편지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비둘기와 같은 형상을 띄기도 하고 특정한 종을 지칭하지 않는 새의 형상을 갖기도 하지만, 이중섭 특유의 단순화한 형태로 이루어져있다. 이러한 흰 새가 적지 않은 작품에서 드러나는 만큼 그 의미를 조금 더 면밀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이중섭의 그림 속에서 새는 일본 유학시절의 작품에서부터 드러난다. 그 만큼 오랫동안 다루어진 소재이다. 하지만 흰 새는 다른 새의 표현들과 다르게, 대부분 주인공인 아닌 부수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흰 새의 이미지를 찾아보고, 이에 대한 의미를 분석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이중섭의 작품 속에서 자주 등장하는 닭과 까마귀와 같은 새의 이미지를 먼저 살펴보고, 이어 흰 새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흰 새 이미지 중 여러 점은 오광수의 평가처럼 비둘기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이중섭의 비둘기 스케치를 참고해보았을 때 그 형태에 있어서 이중섭이 생각한 비둘기의 양식화한 형태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비둘기의 의미는 일반적인 관점으로 보았을 때의 ‘평화’라는 것을 유추해볼 수 있었다. 비둘기는 일제강점기 때 이미 일본과 한반도에서 전서구로 활용되었다. 더욱이 이중섭이 깊은 관심을 두었던 피카소는 평화의 상징으로 1949년부터 비둘기를 평화 혹은 반전의 메시지를 위한 소재로 사용하였다. 종합해보면 이중섭에게도 비둘기는 평화의 의미였을 것이다. 또한 비둘기 외에, 이외 유사하거나 다른 형태를 가진 흰 새도 표현된다. 이 역시 가족과 함께 즐겁게 노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기 때문에, 이중섭이 표현한 흰 새는 평화와 희망, 그리고 이상향의 즐거움을 드러내 주는 긍정적인 의미이다. 여기서 흰 새는 아이들과 함께 노는 물고기나 게와 같이 친근성을 가진 소재로 이중섭이 만든 상상의 세계에서 존재하는 이상향 속 동물이다. 마지막으로 일부 외로움의 감정을 느낄만한 풍경 속의 흰 새를 통하여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거나 민화적 요소로 표현하는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이중섭의 작품 속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소재인 흰 새에 대해 분석하였다. 하나로 그 의미를 단정 짓거나 묶기는 힘들지만, 현실을 벗어난 이상향을 표현하고자 한 이중섭의 예술세계를 다시 한번 생각해볼 기회가 되었다. 또한 이번 기회를 바탕으로 이중섭의 또 다른 소재들에 대한 관심과 분석이 계속 되기를 기대해본다. The art works of Lee, Joong-Seop can be characterized by the repetition of specific motives. Therefore, I focused on the images of white birds that appeared in Lee, Joong-Seop’s. Though these images have not been discussed in previous research and articles, these images of white birds appear relatively often in his paintings. These images of white birds can be found in the paintings and illustrations of letter to send for his family. Some images look like doves, while the other images have a bird-like shape that does not refer to a specific species. In addition, these images are made up of a simplified form unique to Lee, Joong-Seop. As these white birds are revealed in few works,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their meaning a bit more closely. In the paintings of Lee, Joong-Seop, the birds came from the works he created while studying in Japan. They art images that he worked on for so long. However, unlike other birds" expressions, white birds usually play ancillary roles in his painting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mages of these white birds were examined and their meanings were analyzed. For this purpose, I first looked at the image of birds such as chickens and crows that frequently appear in the work of Lee, Joong-Seop. Many of the images of white birds can be interpreted as doves. When you look at the sketch of the dove, you can see it as a stylized form of the dove that Lee, Joong-Seop imagined. Also, the meaning of the dove is analogous to “peace” when viewed from a general point of view. The dove was already used as carrier pigeons in Japan and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owever, Picasso, an artist Lee, Joong-sup was very interested in, used the dove as a motif for the message of peace or antiwar in 1949. In conclusion, the dove became a symbol of peace. In addition to doves, white birds with similar or different forms are also represented in his work. They are depicted as delightfully playing with the family, so the white bird expressed by Lee, Joong-sup is a positive meaning that reveals the pleasure of peace, hope, and utopia. Here, white birds are animals with an intrinsic character that exist in the imaginary world created by Lee, Joong-sup, who was familiar with children playing with fish and crabs. Finally, there are exceptional cases in which some feelings of loneliness are exposed through the white bird in the landscape, which are also expressed in Korean folk paintings. Through this research, I analyzed the white birds produced by Lee, Joongsup. Although it is hard to conclude the meaning of the birds, I was able to feel a sense of peace that was expressed throughout the works of Lee, Joong-sup. I look forward to continuing the interest and analysis of Lee, Sang-sup’s other motives based on this opport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