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 논문 : 현단계 현대문학 연구의 새 방향

        박태일 ( Tae Il Park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2

        본 논고는 세계화 지형 아래인 현단계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찾고자 하는 목표 아래 이루어졌다. 첫째, 학술 용어의 갱신이다. 이 일은 일반 용어 다듬기와 문학사 기술 용어 바루기로 나눌 수 있다. 쉽고 바른 토박이말을 가려 쓰고 우리가 주체가 된 역사용어를 골라 쓰는 데 힘을 기울여야 한다. 둘째, 북한문학은 지역문학이라는 층위에서 다루어야 한다. 이제까지 북한문학은 서울 중심화나 평양 중심화 논리에 따라 이중으로 억눌린 자리였다. 지역문학 연구는 그 점을 넘어 통일문학사를 겨냥할 주요 디딤돌을 놓을 전망이다. 셋째, 부왜문학 연구에서는 바탕을 넓히는 일이 급하다. 이를 위해 제국주의 수탈기구에서 낸 군소 매체에 걸친 1차 문헌 발굴과 일본어/한문어로 된 이중언어 문학을 갈무리하는 포괄적 정보 축적이 필요하다. 넷째, 어린이문학의 연구 방향이 깊어져야 한다. 갈래 안쪽으로는 유아, 청소년과 같은 세대문학론을 굳히고, 갈래 바깥으로는 어린이문학과 어른문학 사이 통합 시각을 갖출 일이다. 이러한 네 방향은 우리 현대문학 연구가 세계화 지형 아래서 담론 주도권을 튼튼하게 이어가기 위해 바쁜 미시 과제다. 연구자 한 사람 한 사람이 각고를 다할 일이다. It has been over 60 years since research of modern Korean literature started. So far, research of modern Korean literature was mainly done with help of imported foreign theories. However, stream of globalization demands self-examination about this academic phenomena. This writing aims to look around 4 tasks which research of modern Korean literature should overcome under the stream of globalization. First of all, renewal of academic terms is needed. Nowadays, globalization causes considerable damage to Korean language. Use of accurate academic term is essential in this situation not only for Korean academic identity itself but also to make research of Korean literature an international discussion. Improvement of general terms and correct use of technical terms are included in renewal of academic terms. Second, North Korean literature should be dealt as a regional literature. So far, research for North Korean literature has been locked in macro criterion of Marxism-Leninism literature. The research was distorted by Seoul-oriented or Pyongyan-oriented logic. Nevertheless, regional literature research would improve history of unified literature. Third, pro-japanese literature is reality in the past, presents, and future simultaneously. Hence, it is important to lay the foundation for pro-japanese literature research. The key point for pro-japanese literature research is discovery of primary references and investigation or accumulation of literature by Japanese or Chinese character. Fourth, children`s literature should be deepen. From inner part aspect, we need to subdivide research categories by introducing generation literary theory such as childhood literature and adolescent literature. From outer part aspect, it is time to focus on integrated research by demolishing the wall between children`s literature and adult`s literature. Above four tasks are essential for research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o enhance self-generation ability and to keep discourse hegemony under the globalization. Globalization forces us to look around our literature multidirectionally at a higher level. Effort of each and every researcher is needed.

      • KCI등재

        ``2차 시조부흥운동``의 전개와 의의

        임곤택 ( Kon Taek L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9

        이 논문은 이른바 ``2차 시조부흥운동``의 전개를 개괄하고 그 과정에서 펼쳐진 논의들의 동의와 충돌의 관계, 그것들이 산출한 의미 등을 밝히고자 한다. 이는 한국현대문학사 내에서 ``2차 시조부흥운동``이 가지는 의미를 밝히려는 시도이며, 궁극적으로는 한국현대문학이 일제강점과 해방, 6ㆍ25를 거치며 자기정립을 해가는 과정에서 이른바 ``전통``의 역할과 의미를 규명하려는 노력의 선행 작업에 해당한다. 1952년 부산에서 처음 결성된 ``시조연구회``와 『시조연구』는 2차 시조부흥운동의 첫발걸음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당시의 활동은 시조에 대한 학술적 연구와비평, 창작 등에 걸친 폭넓은 것으로 시조를 부흥하기 위한 적극적인 운동이었다고 보기는 힘들다. 『시조연구』의 『간행사』와 이태극의 「시조부흥론」 등의 글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최초의 시조부흥에 대한 지향은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는 시조를 현대시로 정립시키자는 문학적인 측면의 것이며, 둘째는 ``국민문화 재건, 국가민족의 재편 확립``이라는 지배 이데올로기 담지체로서 시조가 복무하고자 하는 기획이다. 1955년 1월 조선일보 등 저널리즘의 전통에 대한 관심을 계기로 ``시조부흥운동``은 다시 활기를 띄게 되는데, 시조의 부흥은 당위의 것으로 인정한 바탕위에 논의가 전개된다. 이 시기는 시조의 문학적 자기 갱신의 노력을 펼친 시기라 할 수있을 것이다. 1956년 6월 정병욱의 「시조부흥론 비판」을 필두로 부정적 의견들이 연이어 제출된다. 시조의 역사적 가치는 인정하지만 현대시로서의 발전은 불가능 하다는 내용이다. 이 역사적 가치와 현대시로서의 향유 사이에 ``제2 예술론``이 제시되고 정병욱의 이 제안은 이후 여러 논자들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1958년은 ``2차시조부흥운동``이 마무리 단계에 이른 시기로 판단되는데, 이후 시조부흥에 대한 관심은 ``전통론, 혹은 민족주의 문학론``으로 흡수된다. 한국의 현대문학은 ``전통과 현대, 형식과 내용, 형식에서의 정형과 자유, 정치성와 문학성`` 등을 시조부흥운동 안에서 모두 경험할 수 있었다. 시조부흥운동은 한국현대문학의 입장에서 보자면, 한국현대문학의 자기 정립을 위한 하나의 계기였고, 시조의 입장에서 보자면 시조의 위치를 한국현대문학 안에서 객관화하는 과정이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rocess and meaning of The the 2nd Sijoh Renaissance campaign, The campaign was started in Busan with The Research Association of sijo, And until June 1956, It`s focussed on the modulation of form and content. But Jung Byung-uk opposed and debated the campain, and issued "second arts" as an alternative for sijo. His suggestion was widely accepted and, the discussion about the campain combined to the nationalist literature issue. The modern literature of Korea could experience ``tradition and modern, form and content, political and literary`` in one genre during the 2nd Sijoh Renaissance campain. The campain was a chance for The modern literature of Korea to establish its identity. And as Siji, it`s the process of objectification.

      • KCI등재

        문학적 계보와 정체 -순수와 진보의 관점으로 본 대전 시문학-

        김현정 ( Kim Hyun-ju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8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2

        본 연구는 해방 이후부터 1960년에 이르기까지의 대전 시문학을 순수와 진보의 입장에서 계보를 새롭게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그 계보의 정체(正體)를 파악하여 대전 시문학의 현재적 의미를 살피는 것에 목적을 두고 진행해왔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방이후부터 1950년에 이르기까지의 대전은 순수와 진보의 문학이 대립, 공존하는 양상을 띠고 있었다는 점이다. 정훈, 박용래, 박희선 등이 거의 주도한 『향토』, 『동백』 등에서는 주로 순수계열의 시작품들이 많이 수록되었고, 염인수, 민병성 등과 관계가 깊은 『현대』, 『신성』 등에서는 진보계열의 시작품들이 수록되었다. 그러나 박용래, 박희선의 시가 『현대』에 실린 것으로 보아 이 두 진영이 엄밀히 경계를 두었다 기 보다는 서로 교류, 공존한 것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한국전쟁 이후 대전문학은 순수시의 양상이 주를 이루었다는 점이다. 이 시기 『향토』, 『동백』에서 활동하던 동인들이 1952년 9월에 『호서문학』을 창간하여 순수문학 의 계보를 잇게 되면서 정훈, 박용래, 박희선, 한성기의 시 등 인간의 고뇌, 자연을 노래하는 서정성을 띤 시작품이 많이 등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셋째, 1950년대 대전문학에도 해방공간에서처럼 진보시의 계열의 모습이 활발하지는 않더라도 개인의 시작품을 통해 드러나고 있었다는 점이다. 해방공간에 나온 진보 계열의 잡지 『현대』와 『신성』 등이 종간(終刊)됨에 따라 진보문학의 모습은 사라지게 되었으나 일제 강점기 임화와 교분이 있었던 전여해의 시집 『풀밭에서』에서 현실주의 적인 모습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살펴본 해방기부터 1960년에 이르기까지 대전의 시문학의 계보를 정리해 보면, 향토 -> 동백 -> 호서문학으로 계승되는 순수시의 계보와 현대 -> 신성 -> 전여해, 박희선 등의 시로 이어지는 진보시의 계보로 존재했으며, 이 두 양상은 서로 대립, 배척보다는 경쟁, 공존하는 모습을 띠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systematically sorting out Daejeon's poetry from liberation to the 1960s from the perspective of Purity and Progressive stance. Also we try grasp the pedigree in order to take a close look at the contemporary context of Daejeon's poetry in the proc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coexistence of pure and progressive stance in Daejeon's literature from liberation to the 1950s. In a magazine such as 『Hyangto』, 『Dongbaek』, 『Baeksang』, which was led by Jung Hoon, Park Yongrae, Park Heesun, there were many poetry which can be seenn as the purity party. 『Hyundae』, 『Shinsung』, which were deeply related with Yeom Insoo and Min Byungsung had more of progressive party poetry. The fact that the poetry of Park Yongrae and Park Heesun were published in 『Hyundae』 shows that both party some kinds of connections and coexisted. Second, pure literature was the mainstream in Daejeon poetry after the Korean war. In this period, the members of 『Hyangto』, 『Dongbaek』 founded 『Hoseomunhak』 in September, 1952 to carry on the pedigree of pure literature, as a result, many poems of lyricism, by Jung Hoon, Park Yongrae, Park Heesun and Han Sungki, expressing anguished conscience and nature appeared. Third, though not lively, there were some individual poems in 1950s' Daejeon literature showing progressive literature characteristics. Following the cessation of publication of 『Hyundae』 and 『Shinsung』, which were published in post-liberation period, progressive literature came to a dead end but realistic works like Jeon Yeohae's 『Pulbateseo』 can be found in this period. If we look at the genealogy of Daejeon's poetry from liberation to 1960s, we can catch hold of both pure and progressive literature. Purity stance was handed down from Hyangto to Dongbaek than to Hoseomunhak. Progressive poetry showed succession from Hyundae to Jeon Yeohae. These two branches of literature didn't show confrontation or rejection but coexisted and competed with each other.

      • KCI등재

        외국 문학이론의 주체적 수용에 대하여 ― 벤야민의 문학이론을 중심으로 ―

        임환모 ( Lim Hwan-mo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8

        이 연구는 벤야민 문학이론의 수용이 한국의 시대적 상황과 어떻게 연계되고, 그 문학이론의 핵심이나 본질은 무엇이며, 그것의 수용이 얼마나 적합성을 지니고 한국문학에 새로움으로 기능하고 있는가를 밝힘으로써 외국 문학이론의 주체적 수용이 어떤 양태로 전개되어야 바람직한가를 가늠하는 논문이다. 1980년대부터 수용되기 시작한 벤야민의 문학이론은 2000년대 이후 문학연구의 방법론으로 가장 많이 원용되었다. 벤야민은 몫과 희망이 없는 자들을 구제함으로써 우리들 자신을 구원할 수 있다고 믿는 인식론적 태도를 평생 유지했다. 이러한 구원의 구체적인 방법론이 해체구성의 변증법이다. 과거 전 인류의 축소판이면서 미래 역사의 모습을 담지하는 `지금시간 (Jetztzeit)`을 `정지 상태의 변증법`으로 사유이미지를 만들어냄으로써 역사의 연속체를 폭파할 수 있다는 논리가 그것이다. 위기의 순간으로서의 `지금-여기`가 정지된 역사적 사건과 만나 섬광처럼 만들어진 `변증법적 이미지`에서 우리는 억압받는 사람들의 희망인 `혁명적 기회의 신호`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시적이고 우연적이며 순간적인 것들의 양극단이 맺는 연관을 형상화하는 단자(Monade) 구조 속에서 이러한 변증법적 이미지가 생성된다고 보는 것이 벤야민의 문학이론의 핵심이다. 이것을 그는 `문학적 몽타주`라고 불렀다. 이러한 벤야민의 문학이론이 2000년대 이후 한국에서 매우 활발하게 수용되고 있다. 많은 학자들의 벤야민적 문학실천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그의 이론을 가지고 한국문학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데 유용한 부분이 많다는 점이다. 벤야민의 사유방식이 한국문학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그러나 새롭다는 것이 언제나 좋은 것만은 아니다. 벤야민의 수용이 문학연구와 비평에서 말해지지 않는 것, 말할 수 없는 것을 밀도 있게 탐색하여 드러냄으로써 한국문학을 풍요롭게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경우에만 `새롭다는 것`이 의미를 가질 것이기 때문이다. 나아가서 더 중요한 것은 우리의 시대나 문학작품을 벤야민의 이론이라는 틀에 따라 그대로 설명하거나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벤야민적 사유의 방법으로 우리 시대와 작품을 향해 질문하고 그 안에서 해결책을 찾는 일이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reception of Benjamin`s literary theory is connected with the social situation in Korea, what is the essence of the theory, and how the reception of the theory influences Korean Literature. Thereby it determines the desired direction on the subjective reception of foreign literary theory. Benjamin`s literary theory, received in the 1980s` has been quoted as a methodology of literary research on and after the 2000s`. In his life, Benjamin adhered to the epistemological attitude; to do relieve ourselves, it parallels to relieve people who have no portion and hope. Such methodology of the relief is the dialectics of deconstruction. The image of thought with `the dialectics at a standstill` conceived in the time, `Jetztzeit` in which contains a microcosm of humankind and mirrors the history of aftertime. This logic can demolish the continuum of history. `The signal of revolutionary opportunity` as a hope of suppressed people can be found in `the dialectic image` emerged a flash by an encounter of `here and now` as a moment of crisis and suspended historical events. The essence of Benjamin`s literary theory is that the dialectic image occurs in the structure of Monade, in shaping a connection among fortuitous, temporal, momentary extremes. He called this, `Literary Montage` Since the 2000s, Benjamin`s literary theory -as it mentioned abovehas been embraced con moto in Korea. Through literature practice of numerous scholars, his theory verifies its utility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korean literature. In addition, Benjamin`s way of thought has confirmed high probabilities of a brand new interpretation in the korean literature. The reception of Benjamin inspects closely and reveals things untold and beyond untold. Then, these procedures are contributed to enrich Korean literature and then only `To be new` has a considerable meaning. That is a reason of being new is, however, not good all the time. Furthermore, there is no significance to explain and interpret the literature and the portrait of present time by the frame of Benjamin`s theory. Far more significance is to search for the solution in it and to toss a question for present time and literature with Benjaminish way of thought.

      • KCI등재

        법의 문학적 수용과 법문학의 가능성 ― 공지영의 도가니를 중심으로

        김정숙 ( Jeong Sook K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0

        최근 한국 소설에서 법과 관련된 서사들이 많이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의 텍스트인 『도가니』는 정신지체아 학교에서 일어난 성폭행과 폭력을 다룬 작품으로, 실화를 바탕으로 전개된 만큼 사회적 파장을 불러온 작품이다. 문학과 법은 본질적으로 (1) 인간의 삶과 사회를 다루고, (2) 언어적 해석과 비평에 기초하는 특질을 공유한다. 본 논문은 이 접점을 바탕으로 시의성과 대표성을 띠는 텍스트의 안팎을 조명함으로써 공공의 상상력으로서 문학적 상상력, 특히 법의 문학적 수용을 검토함으로써 ``법문학``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각 소설 속에서 등장인물이 처한 상황에 법적인 판단을 형상화한 작가의 인식과 작품에 나타난 법감정 등을 해석해보는 과정은 법의 문학적 수용과 법과 관련된 문학적 인식의 궤적을 살피는 데 필요한 작업이다. 문학은 소외집단이 갖는 문제들을 감수성에 닿는 형태로 고발하여 감동과 공감, 더 나아가 법제(개)정의 추동력이나 법해석의 근거를 끌어낸다. 인권 담론이 인간의 소외와 상처, 치유와 회복을 다루는 것이라면, 특히 문학적 ``공감``은 인권을 가능하게 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더 나아가 법문학에 대한 인식과 방법론을 확대하기 위해서 (1) 문학의 언어가 새로운 법인식을 가져다주는 방식으로서 내레이션의 특징과 역할, (2) 문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사건에 대한 작가의 묘사기법과 법학 기술의 관련성, (3) 형식, 실체, 선판례 등의 관점에서 일정한 형식을 준수할 것을 요구하는 동시에 표현에 있어서의 창의성이 극도로 존중되는 특수한 문학적 장르로서의 판결문, (4) 도덕의 재구성을 위한 실질적인 인식방법의 훈련이자 새로운 윤리적인 입장을 배우기 위한 법학의 글쓰기 등의 연구가 요청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law and literature, focusing on Doganiwhich presents to sexual violence of the child with the disability. The literature and the law essentially deal with the human life and society, and they share on the characteristic based on linguistic interpretation and criticism. It is necessary to expand to the consciousness and the method on law and literature. The topic runs as follows. (1) The distinctive feature and the role of narration as the way which brings the literary language to the new thought of the law, (2) The author`s representation on the event in literature and the relation to the description of the law, (3) The decision as the particular literary genre in terms of the substance and the judicial precedent which are demanded to a certain form and the creativity. (4) The law writing of the real thinking way for reconstruction of the new morality and the ethics. It`s important that this attempt show the new topic and more than that, the interdisciplinary possibility on the political, ethical, artistic implication and meaning. So I think I`m going to complement to the exact theory and the suitable for the case on this subject.

      • KCI등재

        문학사 기술 방법과 문학사 교육의 방향

        노철 ( Cheol Noh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8

        문학사 교육이 배경 지식에 그치지 않고 세계에 대한 주체적 이해와 대응 능력을 기르는 것이라는 원론적 견해는 합의 하고 있지만 실제 문학사 교육은 년대 순으로 작품을 배치하고 그 배경지식을 이해하는 학습에서 자유롭다고 하기가 어렵다. 이에 문학사를 문제해결 과정으로서 인식하도록 하여야 한다는 지적들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문학사 교육의 고유한 영역과 일반적인 수용과 생산 교육과 범주의 차이를 분명히 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가 문제를 인식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으로 문학사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문학사 교육의 측면에서 문학사를 새롭게 접근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했다. 첫째, 문학사를 문제의식을 가지고 살필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는 당시 사람들이 부딪치던 문제를 살피기 위해서 작가뿐만 아니라 독자를 고려한 소통과정을 살피는 것의 문학사 교육적 가치를 살폈다. 구체적으로 설화의 수용과 소통과정을 통해 당시 사람들의 문제의식에 공감해 갈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역사적으로 특정한 문학 방식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라는 것을 파악함으로써 문학사적 안목을 습득하고, 이것이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둘째, 문제 해결과정을 살필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오래 동안 지속된 특정한 글쓰기 양식인 역사적 장르가 수행한 역할과 변이를 살피기 위해 구체적으로 「황조가」, 「가시리」, 「진달래꽃」의 장르적 가치와 그 가치들이 오늘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떤 도움이 되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역사적 장르는 당시 주체가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자 결과물로, 각 장르의 차이를 계보학적으로 살핌으로써 장르를 문제를 해결하는 한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셋째, 당시 문제를 해결하는 현장의 고민을 살필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당시 창작과 소통의 현장성을 고려해 장르의 경계를 넘어서 상호텍스트적 성격을 살피기 위해, 구체적으로 『홍길동전』이 건국신화, 구전 설화의 흔적을 어떻게 간직하고 있으며, 어떻게 소통되었는가를 통해 장르 간 상호텍스트적 현상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의 탐구에 어떻게 도움이 될지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실제로 작품이 창작되고 유통되는 과정은 특정 장르에 갇혀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거나 장르를 결합시켜 새로운 장르를 탄생시키는 현장성의 이해가 지금 현재 우리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탐구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가는 힘을 키워줄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Though the principle is agreed upon that the teaching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instead of accumulating background knowledge, developing ability to subjectively understand and cope with the world, it is hard to say practically the teaching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free from chronologically arranging literary works and understanding background knowledge. Upon this, it is pointed out that the history of literature should be perceived as a problem solving process. But, the distinct domain of the teaching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general education of reception and production and the category are not clearly differentiated. Therefore, in order for the learner to recognize the problem and study the history of literature as a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the writer attempted to explore a method to freshly approach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erms of the teaching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Firstly, a method to study the history of literature with the awareness of problem is pursued. To achieve this, the writer considered the educational value of inquiring into the communicating process that considers not just the writer but also the reader in order to survey the problems that the people of the time had to face. In detail, through the reception of narratives and communicating process, the writer overlooked the way to sympathize with the thoughts of the people of the time. In this course, it is suggested that insight into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acquired by realizing that a historically peculiar literary method is a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and such insight helps to solve today`s problems. Secondly, the writer tried to seek for a way to examine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With this in mind, to look through the roles and the variations of the long lasting particular style of writing, the historical genre, the genre values of ``Hwangjoga,`` ``Gasiri,`` ``Azelea,`` and the way such values helped solve today`s problems are investigated. In the process, it is suggested that the historical genre is the method for the subjects of the time to solve their problems and its result and so, by genealogically considering the differences between genres, one can understand genres as ways of solving problems. Thirdly, the writer tried to find ways to know the concerns of the scen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time. With with intention, to get hold of the inter-textuality beyond the genre boundaries in consideration of the reality of the literary creation and communication of the time, by examining how ``Honggildongjun`` keeps hold of the traces of the Foundation of the Nation Myth as well as orally handed down narrative tales, and how they are communicated, it is overlooked how the phenomenon of inter-textuality between genres helped solve the problem. In this process, it is suggested that the understanding that the process where practically literary works are created and distributed is not just confined to a particular genre, but moves among different genres or by combining genres produces a new genre can enable one to investigate ways to solve today`s problems.

      • KCI등재

        인공지능 문학의 예술적 정체성 문제

        이형권 ( Lee Hyeong-kwo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85

        이 논문은 인공지능 문학의 예술적 정체성 문제를 그 기술성의 문제와 함께 논의했다. 인공지능은 이제 인간의 삶, 인간의 문학에 가까이 다가와 있다. 이른바 디지털 문학에서 시작의 단초를 보여준 인공지능 문학은 최근의 자동생성 프로그램을 거치면서 상당한 수준까지 진화하고 있다. 인간 작가들은 디지털 문학을 개척하여 사이버스페이스를 문학적 공간이나 소재로 수용하여 문학의 범주를 확장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은 이제 인간이 축적해온 기존의 문학 작품들을 빅데이터로 활용하여 새로운 문학 작품을 생성하고 있다. 이는 인공지능의 발달이 문학에 끼친 영향의 주목할 만한 사례이다. 인공지능 문학은 현재 예술성과 기술성 사이에서 모호하게 존재하고 있다. 일부 논자들은 그 기술성만을 강조하여 아직 문학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한다. 다른 논자들은 그 예술성을 일정 부분 갖추었으므로 문학 작품이라고 한다. 그러나 인공지능 문학이 예술이냐 아니냐의 문제는 양자택일적으로 판단할 사안은 아니다. 정통 문학은 보수주의를 벗어나고 인공지능 기술은 인간주의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서로 보완적 관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문학과 인공지능은 공진화(共進化)의 대상이라는 인식으로 상호 발전을 추구해 나갈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문학이 4차 산업사회에 어떻게 발전해 나갈 것인가를 탐색하는 문제와 직결된다. 문학이 4차 산업사회의 예술적, 사회적 시대 적합성을 고양하기 위해서도 이러한 인식을 매우 중요하다. 다만, 인공지능 문학이 진화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측면과 인간성 반영의 방식을 충분히 개선할 필요가 있다. 자동생성 프로그램이 만든 시와 로망스의 작품 사례를 분석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첫째, 작품 생성의 기반이 되는 기존의 작품에 대한 정보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둘째, 알고리즘을 더욱 세련되게 가다듬을 필요가 있다. 셋째, 인공지능 문학에서 인간의 개입 문제를 긍정적으로 생각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다면 인공지능 문학은 지금보다 더욱 유의미한 문학 영역으로 자리를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discussed the issue of artistic identity in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ture along with the issue of its technicality. Artificial intelligence is now approaching human life, human literatur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ture, which has shown the beginning of the so-called digital literature, has evolved to a considerable extent through recent auto-generated programs. Human writers are pioneering digital literature and expanding the scope of literature by accommodating cyberspace as a literary space or material. In addition, artificial intelligence is now creating new literary works by utilizing existing literary works that humans have accumulated as big data. This is a notable example of the impact of the issu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literatur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ture currently exists vaguely between artistry and technology. Some argue that it is still difficult to see literature, emphasizing only its technicality. Others say that it is literature because it has some artistry. However, whether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ture is an art or not is not a matter of judgment. Authentic literature needs to go beyond conservatism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needs to establish complementary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in order to strengthen humanism. It is necessary to pursue mutual development with the perception that literatur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e subject to co-evolution. This percept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question of exploring how literature will develop in the fourth industrial society. This perception is also very important for literature to enhance the suitability of the artistic and social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society. However, in order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ture to evolve, it is necessary to fully improve the technical aspects and the way in which humanity is reflected. After analyzing the examples of poetry and romance created by the auto-generated program,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following point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information on existing works underlying the creation of works. Secondly, algorithms need to be refined more. Third, we need to think positively about the issue of human intervention in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ture. Through this process,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ture is expected to become a more meaningful literary area than it is now.

      • KCI등재

        서정주 시의 치유성 연구

        서덕민 ( Deok Min Seo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1

        우리나라에 소개된 문학치료 이론은 문학작품을 상담의 부수적 자료로 파악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문학치료에서 활용되는 텍스트, 또는 문학치료 과정에서 생산되는 텍스트의 문학적 성취도는 고려의 대상이 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흔히 이해되고 있다. 결국 이는 문학치료 현장에서 민족어의 정수를 담고 있는 우리 문학 자산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본 논의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문학치료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우리 문학 자산의 치유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논의가 주목하고 있는 텍스트는 서정주의 시편들이다. 서정주 시의 치유성은 ‘반복과 리듬’ 그리고 ‘성찰-극복의 재현 구조’라는 테마를 통해 명확히 드러난다. ‘반복-리듬’이라는 테마를 통해 살펴본 작품은 「行進曲」과 「내리는 눈발 속에는」등이다. 이들 작품을 비롯해 서정주 시 전반에서 발견되는 반복과 열거는 간혹명령, 청유, 협박 등의 어조를 통해 대상에 대한 공포감을 물리치거나 내면 깊숙이 잠재된 욕망을 해소하는 원형적, 자구적 치유 행위를 재현하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성찰-극복의 재현 구조’라는 테마를 통해 살펴본 작품은 「自畵像」과 「무슨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등이다. 이들 작품은 사회적 주체가 문제를 슬기롭게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그려내는 문학의 근원적이고 심층적인 재현 구조가 치유성과 깊은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의에서는 ‘성찰-극복의 재현 구조’를 <현실인식>, <변화를 위한 모색>, <능동적 수용>이라는 단계로 구분하고 이를 통해 서정주 시의 치유적 성격을 분석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Healing Effects of Seo Jeong-ju`s poems. The healing effects are revealed through the themes of ``repetition-rhythm`` and of ``the structure of reemerging introspection and overcoming``. First, the theme of repetition-rhythm can be seen in three poems, including March. Repetition-rhythm is the element which beautifies Seo Jeong-ju`s poems. Seo Jeong-ju repeatedly presents poetic words to create nuances of command, request, and intimidation, etc. Readers are able to experience deep inner healing to relieve latent desire, or to conquer fear as they read Seo Jeong-ju``s poems. In literary therapy theory, it is thought that works which draw out the process of the main character solving problems, are effective on healing. The poetic narrator who wisely solves problems appears frequently in Seo Jeong-ju`s poems. Two poems are exemplified by the theme of ``the structure of reemerging introspection and overcoming``, one of which is Self-Portrait. ‘Awareness of a reality`` of the poetic narrator who affirms life, ``seeking change``, and ``active acceptance`` of universal healing activities, are well exposed. This paper is meaningful because it examines the Healing Effects throughout Seo Jeong-ju`s poems in the aspect of rhetorics and semantics. Also the study is worthwhile considering that it inquires about a way to apply Seo Jeong-ju`s poem to a practical field.

      • KCI등재

        공감과 소통의 비평 — 김병익의 중기 비평을 중심으로 —

        김세령 현대문학이론학회 2018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5

        이 논문은 4.19세대 비평의 한계를 벗어나 그 깊이와 넓이를 더했던 김병익의 중기 비평에서 특징적으로 드러나는 중요한 의미를 포착하고 그 비평사적 성과와 한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1980년대를 다루고 있는 그의 비평 성과를 심도 있게 분석한 결과 중요한 의미로 파악된 것은 ‘공감과 소통의 비평’이었다. 이를 통해 김병익 중기 비평이 갖는 당대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오늘날 핵심 가치로서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공감과 소통’의 비평적 원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갈등과 대립이 중심이 되었던 1980년대 다른 문학의 양상들과는 달리, 김병익의 중기 비평은 다원주의적 관점을 통해 1980년대 문학-문화-현실을 온전히 포착하고자 하였고 민중문학론과의 공감과 소통을 통해 자기반성과 인식지평의 확대를 보여주었다. 한편 그의 실천 비평을 통해 문학사의 단절된 공간으로 인식되었던 1980년대 제대로 주목받지 못했던 다층적 소통의 장과 이 시기 새롭게 복원될 수 있었던 문학과 현실의 영토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김병익의 중기 비평은 그의 비평세계뿐 아니라 비평사의 측면에서도 중요하 다. 비록 그의 공감과 소통의 비평이 당대 문학장의 중심이었던 기성의 보수주의자와 젊은 진보주의자 양 진영 모두에게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지지는 못했지만, 이 시기 『 우리 세대의 문학』, 『문학과 사회』로 이어지는 신세대 비평가들의 비평 방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당대 다양한 의미 있는 대상들과 공감하고 소통함으로써 실재했 지만 문학사에서 감추어져 있었던 다층적인 목소리들을 재구성해 낼 수 있었고,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는 온전한 한국민족문학사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 특히 그의 중기 비평은 한국 비평사에서 ‘공감과 소통’의 비평적 원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그의 중기 비평은 드물게 대화의 열린 정신과 균형 감각을 유지하고 있기에 한국지성사에서 부족했지만 오늘날 중요한 미덕으로 부각되고 있는 다원주의적 관점과 융합의 좋은 준거를 제공해 준다.

      • KCI등재

        해방기 "민족" 이라는 기호의 변화 양상과 그 의미 -임화의 "민족", "민족문학" 개념을 중심으로

        배지연 ( Ji Yeon Bae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5

        이 글은 ‘민족’이라는 기호를 통해 상징투쟁을 벌였던 해방기 문학장에서 임화가 사용했던 ‘민족’의 기호가 지닌 의미의 변화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해방기 ‘민족’ 및 ‘민족문학’의 지형도에서 임화가 차지하는 위치를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해방기 문학장에 선편을 잡았으며 그 속에서 중심적 역할을 해온 임화의 ‘민족’ 기호는 해방기 ‘민족’이라는 기호의 다양성을 내포하고 있다. 해방 직후 임화는 전 민족세력들을 결집하기 위해 추상적이고 다소 모호한 개념으로 ‘민족’이라는 기호를 사용하지만, 이후 박치우로 대표되는 문학가동맹 논자들의 개념화 과정을 통해 추상성을 극복하게 된다. 그리고 ‘민족문학’이라는 기호 또한 근대적 의미의 민족문학이라는 의미에서 계급문학으로 변하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인민 문학으로서의 ‘민족문학’과 계급문학으로서의 ‘민족문학’ 사이를 진동함으로써 양자가 지닌 다양성을 수용할 가능성을 지닌다는 측면에서 임화가 주창했던 ‘민족문학’은 의미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figure out the aspect of a change in a meaning of being possessed by symbol of ``nation`` that Im Hwa used and to closely examine its meaning in the literary world of the liberation period that had begun symbolic struggle through symbol called ``nation.`` In addition, the aim is to further consider the position that Im Hwa possesses in the topography of nation and national literature in the liberation period. The symbol of ``nation`` by Im Hwa, who had taken Seonpyeon(選編) in the literary world of the liberation period and had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middle of it, is containing diversity of symbol called ``nation`` in the liberation period. Right after the liberation, Im Hwa uses symbol dubbed ``nation`` as a little abstract and ambiguous concept for concentrating all the national powers, but comes to overcome abstractness following this through the process of conceptualization in disputants such as Park Chi-u and others. And even the symbol called ``national literature`` shows the aspect of changing into proletarian literature in a sense of being national literature in modern meaning. ``National literature`` that Im Hwa had advocated can be said to be meaningful in the aspect of containing possibility available for accepting diversity that both parties have while vibrating between ``national literature`` as the people`s literature and ``national literature`` as proletarian literature. Various critical minds that are found in a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in the liberation period are still appled even to now-here of needing to prepare for the time after unification. This will need to be seen and arranged fully in the history of our literature after t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