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럽연합 및 일본의 온라인 플랫폼 규율과 국내 추진법안의 비교 및 시사점 - 온라인 플랫폼과 영업적 이용자 간의 법률관계를 중심으로 -

        김진우 한국소비자법학회 2021 소비자법연구 Vol.7 No.1

        Platforms offer unparalleled efficiencies in access to cross-border markets and are crucial for millions of successful firms. While the gateway position of online platforms enables them to organise millions of users, it also opens the possibility unilateral trading practices that are harmful, and against which no effective redress is available for the businesses using these platforms. The EU Regulation on platform-to-business relations (P2B Regulation), which entered into force in July 2019, is the first-ever set of rules creating a fair, transparent and predictable business environment for smaller businesses and traders on online platforms. Online platforms can be crucial for the commercial success of companies that use them to reach consumers. However, the providers of those platforms often have superior bargaining power, which enables them to unilaterally impose practices that grossly deviate from good commercial conduct, or are contrary to good faith and fair dealing. The objective of the P2B Regulation is to address such potential frictions in the online platform economy. Platform and search engine operators tend to use pre-formulated general terms and conditions and define them unilaterally. The P2B Regulation aims to curb the unfair business practices of the platform operators – such as unannounced changes to terms and conditions, the sudden deletion of dealer accounts or non-transparent rankings. On May 27, 2020, the National Diet of Japan enacted the Act on Improvement of Transparency and Fairness in Trading on Specified Digital Platforms (the Act). The Act requires digital platform providers to disclose certain terms and conditions to sellers and consumers, develop fair procedures and systems, and submit an annual report on their business operations to the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It also empowers the government to assess compliance, publicize the results of its assessment, and take necessary actions to enforce compliance, including issuing fines for violations. This article covers the EU P2B regulation and japanese Act’s key provisions. It also discuss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regulations on digital platforms in Korea. 플랫폼 경제(platform economy)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입점업체에 대한 새로운 위험을 초래하기도 한다. 온라인 플랫폼은 물품이나 서비스의 실제 제공자(영업적 이용자, 입점업체)와 고객을 연결하면서 규칙(rule)을 설정한다. 온라인 플랫폼은 이제 거래를 위한 단순한 관문(gateway)이 아니라 문지기(gatekeeper)로서 물품이나 서비스의 선택, 배치 및 검색 순위 결정을 통해 입점업체의 시장 접근 및 사업적 성공 여부를 결정하기에 이르렀다. 결과적으로 플랫폼과 검색 엔진은 실제로 급부를 제공하는 사업자와 고객 간의 인터페이스로서 최근 몇 년간 현저한 시장지배력을 확보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입점업체는 고객과 직접적인 접촉을 하지 못한 채 디지털 방식으로 고객과 접촉하고 고객과의 거래를 처리하기 위하여 점점 더 플랫폼에 의존하게 된다. 이와 함께 일부 플랫폼의 불공정한 관행에 대한 지적이 증가하고 있다. EU의 ​​입법자는 “역내 시장에서 공정하고, 예견가능하며, 지속가능하고 또 신뢰할 수 있는 온라인 거래 환경을 보장하기 위하여” 2019. 6. 20. 「온라인 중개 서비스의 영업적 이용자에 대한 공정성과 투명성 증진에 규정(P2B 규정)」을 통과시켰고, 그것은 2020. 7. 12.부터 모든 EU 회원국에서 시행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2020. 5. 27. 「특정 디지털 플랫폼의 투명성 및 공정성 증진에 관한 법률(거래투명화법)」이 국회를 통과하였으며, 같은 해 6. 3. 공포되었다. 본 연구는 P2B 분야의 글로벌 차원의 최초 입법이라고 할 수 있는 P2B 규정의 주요 내용을 파악하면서 일본의 거래투명화법, 공정거래위원회 법안, 송갑석 의원안 및 전혜숙 의원안의 내용을 비교하는 형태로 논의를 전개한 뒤 우리 입법에의 시사점을 밝혔다. 특히 시장지배력 임계치의 유월 여부와 관계없이 플랫폼 경제를 규율하기 위하여 경쟁법과 계약법이 긴밀히 협력할 필요가 있다. 입법적 규제는 균형이 잡혀야 하며 혁신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 플랫폼 경제와 같은 비교적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법적 틀은 투자 및 혁신이 보장되고, 아울러 궁극적으로 시장지배력의 남용 가능성으로부터의 적절한 보호 및 경쟁시장조건을 제공해야 한다. 이때 유연하고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의 특성이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법적 틀은 과도한 국가 개입을 초래해서는 안 되며, 시장의 적절한 기능에 이바지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P2B 규정은 플랫폼과 이용자 간의 법률관계를 약관법적으로 다룬 것으로 일정 사항에 관하여는 이론적 관점에서 우리 입법의 모범이 될 수 있다. 규범학으로서의 법학은 전통적으로 경험적 방법에 큰 관심을 베풀지 않는 경향이 있지만, 혁신을 기반으로 성장하는 분야의 규제강도는 우리의 시장 상황이 EU의 그것과 유사한지 여부가 면밀히 조사⋅확인된 후 결정되어야 한다. 궁극적으로 P2B 관계에 관한 규율은 당사자의 어느 한쪽의 보호에 치우쳐서는 안 된다. 장래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우리가 직면한 가장 큰 과제는 영업적 이용자와 소비자의 정당한 이익 보호를 소홀히 함이 없이 이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혁신을 촉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P2B 관계의 법적 규제는 여러모로 공정위가 담당하는 것이 적합하다.

      • KCI등재

        우리나라 수출중소기업의 B2B 역직구 플랫폼 활용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창봉(Kim, Chang-Bong),정경욱(Jeong, Kyeong-Wook) 한국물류학회 2021 물류학회지 Vol.31 No.5

        최근 국가 간의 비즈니스 형태는 글로벌전자상거래 시장 확대와 관련 플랫폼 등장에 따라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수출중소기업은 B2B 역직구 플랫폼을 새로운 비즈니스 형태로 받아들이고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변화된 비즈니스 형태에 있어 우리나라 수출중소기업이 가지는 호환성 요인이 확장성 요인 및 B2B 역직구 플랫폼 활용을 거쳐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대상은 B2B 역직구 플랫폼인 Kompass, Trade Korea를 활용하는 서울·경기 소재지의 우리나라 수출중소기업이다. 연구대상의 선정 이후, 국내 및 해외 문헌연구 및 pilot study 등을 통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설문지는 2021년 6월부터 2021년 8월까지 한국무역협회, 중소기업중앙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의 회원 리스트를 참고하여 총 1,000부 배포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220부 중에서 심히 불성실한 응답 17부를 제외한 최종 203부가 실증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는데 첫째, 수출중소기업의 호환성 요인과 확장성 요인은 B2B 역직구 플랫폼활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출중소기업의 B2B 역직구 플랫폼 활용은 기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출중소기업의 호환성 요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확장성 요인과 B2B 역직구 플랫폼 활용이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호환성 요인과 확장성 요인 간의 관계를 실증하였으며, 호환성 요인과 기업성과와의 관계에서 확장성 요인과 B2B 역직구 플랫폼 활용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Recently, business processes between countries are rapidly changing due to the expansion of the global e-commerce market. Korean exporting SMEs are accepting the B2B Export Cross Border E-commerce platform as a new business process.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compatibility factors of Korean export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the changed business process on corporate performance through scalability factors and the use of B2B Export Cross Border E-commerce platform are investigated. The subject of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is small and medium-sized Korean exporting compan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using Kompass and Trade Korea, which are using B2B Export Cross Border E-commerce platforms. After the selection of study subjects, questionnaires are prepar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pilot studies. A total of 1,000 copies of the completed questionnaire are distributed from June 2021 to August 2021 with reference to the list of members of the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the Federation of Small and Medium Businesses, and the Korea Trade-Investment Promotion Agency.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atibility and scalability factors of exporting SMEs a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use of the B2B Export Cross Border E-commerce platform. Second, it is found that exporting SMEs’ use of B2B Export Cross Border E-commerce platform had a positive (+)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Third, it is found that the scalability factor and the use of the B2B Export Cross Border E-commerce are involved in the effect of the compatibility factor of exporting SMEs on the corporate performance. Through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atibility factor and the scalability factor is reviewed, and the influence of the scalability factor and the use of the B2B Export Cross Border E-commerce platform is confirm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atibility factor and the company performance.

      • B2B 솔루션 개발업체의 서비스 플랫폼 전략

        구상욱 ( Sang Wuk Ku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1 유통정보학회지 Vol.14 No.2

        웹2.0과 엔터프라이즈2.0의 확산과 이로 인한 웹과 모바일의 융합, 협조적 이해관계자와의 협업 등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현 환경에서 솔루션 시장에서도 플랫폼 구축 및 네트워크효과를 고려하여 시장선점우위 효과를 계속 유지하려는 기업들의 전략적 노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들은 시장의 협조적 이해관계자를 네트워크에 묶어두기 위해서 잠금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에 전략적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플랫폼 리더십과 네트워크 외부성 차원에서 B2B 솔루션 개발업체의 서비스 플랫폼 전략을 사례연구를 통해서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Zoominfo를 통하여 B2B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47개 업체를 대상으로 사업모델 변천을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플랫폼 리더십(Cusumano and Gawer, 2002)에서 주장하는 협조적인 사업범주 구축과 다양한 보완재가 개발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나 운영적으로나 플랫폼의 상호보완성을 확보하는 것은 보완재를 개발하는 협조적 이해관계자와 함께 하는 비즈니스 에코시스템을 통하여 플랫폼 리더가 가치창출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경쟁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B2B 솔루션 개발업체가 서비스 플랫폼 리더로서 사스(SaaS)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개발업체에 대해서 협조적인 사업구조를 구축한다는 것과 플랫폼의 상호보완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Due to the diffusion of Web 2.0 and Enterprise 2.0, the convergence of web and mobile communications and the collaboration with complementors would have put more importance to B2B solution markets. Most B2B solution developers are trying to retain strategically early mover advantages with their established platforms and network effects. Then, they would be able to maximize lock-in effects on the complementors. This rsearch proposed the service platform strategies for B2B solution developers in the perspectives of platform leadership and network externality. I provided the implications from the business models analyses of 47 B2B integrated solution developers and providers through Zoominfo. As a result, this research proved the required competitive advantages for the value maximization for platform leaders should include cooperative business strcture and platform complementarity in the perspective of platform leadership (Cusumano and Gawer, 2002). In addition, B2B solution developers should apply SaaS business model to their businesses to secure cooperative business structure and platform complementarity.

      • KCI등재

        글로벌 디지털 B2B 플랫폼 활용이 수출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동열,전동석 한국무역상무학회 2023 貿易商務硏究 Vol.97 No.-

        In order to develop domestic trade,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various measures to vitalize expor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Among the various ways to promote SME exports, the use of a global digital B2B platform can be one. This is because it can be a good opportunity for SMEs who want to enter the overseas market at a low cost. In fact, the use of global digital B2B platforms is becoming an essential factor for strengthening the marketing capabilities of exporting SME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online digital B2B platform and the effect of using the platform on the performance of exporting companies were studied on the internal capabilities and global tendencies of domestic small and medium-sized exporter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mong the internal competencies of export companies, export marketing competencies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platform utilization. And among the global orientations of exporters, network orientation and overseas orientation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platform utiliz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the global digital B2B platfor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which are corporate performance. 해외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중소기업에게 글로벌 디지털 B2B 플랫폼 활용은 매우 효과적인 수출전략이다. 최근 수출 중소기업의 마케팅 역량 강화를 위한 필수 요소로 글로벌 디지털 B2B 플랫폼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소 수출기업의 내부역량과 글로벌지향성이 디지털 B2B 플랫폼 활용에 미치는 영향과, 플랫폼 활용이 수출기업의 실적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수출기업의 수출마케팅역량은 플랫폼 활용에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수출기업의 네트워크지향성과 해외지향성이 플랫폼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글로벌 디지털 B2B 플랫폼 활용이 기업의 재무 및 비재무 성과 모두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C2B2C 온라인 중고거래 플랫폼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모우,최양선 한국비즈니스학회 2023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8 No.3

        소비자들의 요구와 가치에 따른 온라인 플랫폼의 발달과 유행의 신속한 변화로 인해, 생산과 소비의 과잉이 더욱 강조되는 시대가 도래하여, 중고거래 플랫폼이 더욱 활성화되고 있고 다양한 이유로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중고거래 플랫폼이 C2C(Consumer to Consumer)에서 C2B2C(Consumer to Business to Consumer)로 변모하고 있는 것은 중고거래 생태계의 변화와 사용자 요구의 변화에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C2B2C 중고거래 플랫폼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2023년 5월 2일부터 5월 2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통계분석방법은 SPSS 26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 분석을 통해 가설 검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C2B2C 중고거래 플랫폼의 경제성, 편리성, 상호작용성, 유희성, 보안성, 전문성, 제품정보, AS는 모두 지속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C2B2C 중고거래 플랫폼의 특성이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인과관계를 규명하여 C2B2C 중고거래 플랫폼 관련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C2B2C 중고거래 플랫폼에 대한 지속사용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의 폭을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는 중고거래 플랫폼 기업의 효과적인 경영방안 작성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한다.

      • KCI우수등재

        웹서비스를 이용한 비즈니스 통합 플랫폼의 구현

        김민수(Minsoo Kim),김훈태(Hoontae Kim),김동수(Dongsoo Kim) 한국전자거래학회 2004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9 No.2

        기업간 협업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업간 프로세스 상호연계(B2Bi)와 기업 애플리케이션 통합(EAI)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이미 많은 영역에서 이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두 시스템이 각기 개별적인 플랫폼과 환경하에서 설계되고 운영됨으로써, 이 들을 다시 통합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간 협업을 위해, B2Bi 환경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면서도 B2Bi와 EAI 시스템을 단일의 통합 구조로 구현한 비즈니스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통합 플랫폼에서는 협업 프로세스가 비즈니스 통합의 주요 기술로 인식되고 있는 웹서비스(Web Services)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다양한 비즈니스 통합 표준들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이들 표준들을 비교 분석하여 기본적인 실행 요소들을 정의하였으며, 이를 처리할 수 있으면서도 향후 확장성을 가지는 프로세스 엔진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러한 비즈니스 통합 플랫폼의 검증을 위하여 웹 수주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간 협업을 위한 비즈니스 통합의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Not only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EAI) within a company but also business-to-business integration (B2Bi) should be achieved for companies to collaborate seamlessly through the Internet. There have been great efforts in this area of EAI and B2Bi, resulting in lots of solutions in the market. However, EAI and B2Bi systems have been designed and operated in independent platforms and environments causing a serious problem of integrating EAI and B2Bi systems.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a business integration platform for connecting EAI and B2Bi systems in a uniform architecture and also coping with changes in business environments. In the integration platform proposed in this work, collaboration processes between B2B companies can be performed using Web Services technology widely considered as B2B integration platform. Especially, we have defined basic business execution elements based on a thorough analysis of various business integration standards and developed an efficient and extensible business process engine for B2B collaboration process management. A Web-based order processing system is developed for validation of our integration platform. It is expected that the level of B2B collaboration can be enhanced using the integration platform and furthermore it will contribute to more collaborative B2B commerce.

      • 전자책 플랫폼 현황과 쟁점에 대한 연구

        구모니카(Gu, Monika) 한국전자출판학회 2013 전자출판연구 Vol.- No.2

        전자책 사업은 플랫폼 사업이라는 얘기가 있다. 대개의 디지털 콘텐츠 사업이 플랫폼 전쟁으로 귀결되고 플랫폼을 가진 자, 플랫폼을 잘 활용하는 자가 리더가 되어왔기 때문이다. 이에 연구자는 국내 전자책 플랫폼 전체 현황을 개략하고, 주요 전자책 플랫폼의 판매현황 및 영업방식을 진단, 전자책 플랫폼의 현주소를 확인코자 한다. 더불어 전자책 플랫폼의 주요 쟁점을 도출하여 전자책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는 원인을 살펴볼 것이다. 주요 쟁점으로는 유통사의 B2BC 중첩 다리걸치기 영업, 유통사 난립으로 인한 특화 서비스 전무, 전자책 콘텐츠 중복 및 장르 편중 현상, 전자책 신간 및 양질의 콘텐츠 부족 현상, 판매부진 극복을 위한 공짜 마케팅 남발 등으로 파악된 바, 향후 전자책 시장 발전을 위한 이해관계자들 간의 다각적이고 발전적인 논의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E-book business is the platform business that can talk. Usually result in the digital content business and the platform, the platform with the war party, and take advantage of the platform s because of the self-leader. In the domestic e-book platform, the researchers outline the overall status of the main e-book sales for the platform and operating methods of diagnosis, check the current state of e-book platform. The main issue with e-book platforms enable to derive the e-book will look at the cause of the obstacle. The main issue is the distributor of overlapping legs straddling B2BC sales, distributors, managing specialized services due to scrambling, e-book duplicate content and genre bias phenomenon, new book and e-book content, a shortage of good quality, free marketing for sale Jinan overcome such poor grasp the bar, the future for the development of e-book market and the development of diverse stakeholder discussion seems to be able to lead.

      • KCI등재

        중국 B2C 글로벌전자상거래 소비자의 구매체험 요인이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S-O-R 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김창봉,유신동,이동준 한국통상정보학회 2022 통상정보연구 Vol.24 No.2

        최근 B2C 글로벌전자상거래의 발전과 더불어 IT 기술발전으로 전 세계적인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국경 간 통상환경의 발전이 촉진되었고 제품 및 서비스의 생산과 판매 등에 있어 기업의 세계화 기회가 비약적으로 높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경을 넘나드는 온라인 상거래를 촉진하는 요인인 플랫폼, 물류 서비스, 지급결제 방식 등의 효율성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필요성이 나타난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된 연구를 바탕으로 S-O-R(자극-유기체-반응) 모델을 이론적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여기서 B2C 전자상거래 활용에 수반되는 구매체험을 편의성 체험, 물류 서비스 체험 등 2가지 관점에서 살펴보고 고객만족도를 매개 변수로 설정하여 B2C 글로벌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소비자 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체험 요인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알리바바, 징둥 등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중국 산둥성 내 소비자로 하였으며 적절한 자료수집을 위해 산둥성 국경 간 전자상거래협회 및 산둥성 전자상거래진흥협회 등을 중점적으로 참고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SPSS 26.0 statistics를 통한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하였으며 분석 결과, B2C 글로벌 플랫폼에서 제품을 구매할 때 구매체험이 고객만족도를 거쳐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을 검증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중국 국경 간 B2C전자상거래 플랫폼 사용 의도 결정요인 연구 - 배송위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김창봉,양교봉,남윤미 한국통상정보학회 2022 통상정보연구 Vol.24 No.4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중국 국경 간 B2C 전자상거래 플랫폼 사용은 더욱 활발해졌으며 중국 내 소비자들의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지각된 혜택과 지각된 가치 요인들이 플랫폼 사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가치기반수용모델(VAM)에 기반 하여 지각된 혜택 요인인 정보성과 이용편의성 요인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 전자상거래 플랫폼 사용성과를 높이기 위한 전략적 방안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배송위험이 지각된 가치와 플랫폼 사용 의도 성과간의 관계에 조절 효과를 갖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성과 이용편의성은 지각된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지각된 가치 수준이 높을수록 플랫폼 사용 의도를 높인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가치와 플랫폼 사용의도 간의 관계에서 배송위험은 조절효과를 가진다. 본 연구는 플랫폼 내 정보의 제공 수준과 이용편의성을 높일수록 긍정적인 소비자 가치에 기여하며, 국경 간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하여 배송위험을 낮추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중국 국경 간 B2C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대한 만족도 및 지속이용의도 연구: 체험경제이론을 중심으로

        부홍강,류미현 한국소비자학회 2023 소비자학연구 Vol.34 No.4

        Entering the 21st century, cross-border e-commerce has brought great changes to consumers’ consumption patterns, and consumers’ demands for cross-border B2C e-commerce platforms have increased. Particularly, in China, markets for Cross-border B2C e-commerce are growing rapidl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heory of experience economy was applied to understand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s for with cross-border B2C e-commerce platforms, and analysis was done with perceived risk and user characteristics as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ducational factors, entertainment factors, aesthetic factors, and escapism factors, which are key variables of the theory of experience economy for the cross-border B2C e-commerce platform,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Second, it has been found that financial risk and delivery risk out of the risks perceived about cross-border B2C e-commerce platforms have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satisfaction. Third, it has been learned that the degree of involvement, one of the user characteristics,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ir satisfaction. Lastly, it has been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the cross-border B2C e-commerce platform has positive(+) effects on continuous use inten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