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교육의 이념으로서의 아퀴나스의 신데레시스(Synderesis)

        최은순 한국초등교육학회 2019 초등교육연구 Vol.32 No.2

        This article analyzes some aspects of St. Thomas Aquinas’ moral theory, centering on the meaning and function of conscience at the both levels of idea and phenomena,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and thereby clarifying implications on the methodological principles of today’s moral education. The key question of Aquinas’ moral theory is: “What is goodness?” Following Aristotle, Aquinas distinguishes between the “good in and of itself” and the “good for us,” and his main interest is in the latter. He inherited Aristotle’s metaphysical view that, as a thing participates more in form, it becomes better. For Aquinas, “goodness” means perfection. Then, what is perfection with respect to human beings? According to Aquinas, Man’s ultimate end is an uncreated good, viz., God, who alone is able to satisfy man’s will perfectly by His infinite goodness. The infinite goodness of God, with which human will can be satisfied, is the eternal law, defined as divine providence or by divine reason which cannot be known to human beings. we cannot know eternal law per se, we can participate in it through our natural inclination. In other words, we can know and seek eternal law indirectly through natural law, which is known through natural inclination of man. In Aquinas’ moral system, human goodness is composed of eternal law, which cannot be known through human reason, and natural law, which is the imprint of eternal law on human nature, can be perceived through human reason. Concerning the grasp on natural law, Aquinas makes another distinction between “the superior and inferior use of reason,” referring to the former as “synderesis” and to the latter as “conscientia.” Speaking generally, inferior reason appeals to what we would call philosophical criteria―the concept of the “useful” and the “good”; superior reason appeals to exclusively theological criteria―the divinely revealed law.” Aaquinas attempts to prove that the human condition, which is subject to providence, or divine will, is conjoined with the ultimate freedom of man. I propose that the possibility for education is clearly enlightened by Aquinas’ argument that human beings are naturally inclined to perceive goodness and that this inclination is a type of habit. In this argument, education is more than teaching norms; it also is learning about various general experiences. In other words, education is the process of seeking human goodness. 이 논문은 인간 양심의 의미와 기능을 이념과 현상이라는 명백히 상이한 두 가지 차원에서 논의하고 있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24/5~1274)의 도덕이론을 교육적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그것으로부터 오늘날의 도덕교육의 방법적 원리를 설명하는 데 주는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한다. 아퀴나스의 체계에서 콘스키엔시아(conscientia)와 신데레시스(synderesis)는 모두 양심으로 번역가능하며, 그 양자는 도덕과 관련된 인간 본성을 각각 ‘현상’과 그것이 지향해야 할 ‘이념’의 수준에서 규정하는 용어라고 볼 수 있다. 그리하여 이것은 결국 개념으로 이루어져 있는 도덕적 지식과 자연법으로 대변되는 도덕원리를 각각 나타낸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아퀴나스가 해명하고자 한 자연법과 인간의 자유의지의 연결 문제는 ‘지식의 획득을 통하여 어떻게 이념에 도달하게 되는가’, 또는 ‘자연에 발을 딛고 사는 인간이 어떻게 도덕적 자유를 향유하게 되는가’하는 문제라고 말할 수 있다. 자연법과 인간의 자유의지의 연결을 설명하는 데 있어 신데레시스는 이른바 매개념으로 등장하며, 따라서 신데레시스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는 일은 교육이론의 근본 문제, 즉 인간 본성과 사회적 관례의 대립 문제를 밝히는 데 있어 중요한 관건이 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와 가치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 밝히려고 하는 바와 같이 신데레시스는 지식의 획득과 실천이라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이성의 작용을 통하여 끊임없이 형성되는 이념이라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양심(良心)"에 관한 연구 -제이퍼와 암스트롱의 이해를 중심으로-

        이상일 ( Sang Iii Lee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4 No.-

        코플스톤(F. C. Copleston), 고티에(R. A. Gauthier), 브레들리(. M. Bradley)를 비롯한 몇몇 학자들은 기본적으로 이교도로 대표되는 아리스토텔레스와 그리스도교로 대표되는 아우구스티누스 사이의 조화에 대한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시도가 단지 외관상의 조화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이들의 이러한 입장의 이면에는 그리스도교의 ‘계시’의 문제가 그 중심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양심의 교설에 관한 제이퍼(Harry V. Jaffa)의 견해도 이와 같은 그의 기본적인 입장의 범주 안에 있다. 왜냐하면 언뜻 보기에도 양심이라는 용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용어가 아닌 그리스도교의 계시와 관련된 용어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몇몇 학자들의 양심의 개념은 불행한 전개를 가지고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계시와 관련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양심을 하나의 판단하는 그리고 자책하는 기능으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양심에 관한 개념은 상당히 다른 관점들로부터 전개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몇몇 학자들 중에서 특히 제이퍼의 양심에 관한 이러한 중심적인 주장들과 이에 대한 반론에 관해서 두 가지로 나누어서 전개할 것이다. 첫째,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양심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과의 관련성에 관한 문제이다. 이에 관하여 연구자는 성 토마스의 양심과 계시의 관련성을 주장함으로써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양심이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과의 관련성에 관하여 제이퍼와 머켄(P. Mercken)이 지적한 내용들을 먼저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나서 연구자는 웨스트버그(D. Westberg), 랭스턴(D. C. Langston), 파츠(T. C. potts), 넬슨(D. Nelson) 등의 주장들을 중심으로 해서 성 토마스의 양심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 사이의 밀접한 관련성들을 제시함으로써 그들의 주장에 대한 반론을 전개할 것이다. 둘째, 성 토마스의 양심의 진리 됨에 관한 증거의 문제이다. 이에 관하여 먼저 연구자는 이에 관한 제이퍼의 주장을 소개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 본 연구자는 크로우(M. Crowe)와 암스트롱(R. A. Armstrong)의 주장들을 중심으로 해서 이에 대한 반론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비록 아리스토텔레스가 양심에 관하여 명확하게 언급하고 있지는 않을지라도, 성 토마스의 교설 안에서 실천적 지혜, 덕들, 그리고 의지의 연약함과의 관련성 가운데 논의 되고 있는 성 토마스의 양심에 관한 교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을 기반으로 하여 행위에 관한 교설을 하나의 실용적인 관점에서 설명함으로써 더 풍성한 공헌을 하고 있다는 것을 밝힐 것이다. 이어서 성 토마스 아퀴나스는 양심이라는 용어를 ‘자명’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함으로써 양심의 진리 됨에 대한 증거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는 것을 드러낼 것이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가 언뜻 보기에는 그리스도교의 계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양심에 관한 교설을 가능한 한 아리스토텔레스적으로 해석하려고 시도함으로써 그의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과 그리스도교의 양심에 관한 교설과 화해 및 발전시키려는 노력은 성공적이었다는 것을 단언할 것이다. Some scholars including F C. Copleston, R. A. Gauthier and J. M. Bradley basically insist that St. Thomas Aquinas’s attempt to achieve harmony between Aristotle who be represented as a pagan and Augustine who be represented as a Christian is just a external harmony. At the inside of their position, there is a subject of ‘revelation’ in the center. His view on St. Thomas Aquinas’ teaching of conscience is in the category of his basic position as such. Because seemingly, a term of conscience seems to be a term which relates not to Aristotelian terms but to Christian revelation. Like this, some scholars’s conception of conscience has an infelicitous evolution. Today, most of people regard the conscience which seem to relate to revelation as a judgeable and the function of self-accusation. But this conception of St. Thomas Aquinas’ conscience has been discussed from the rather different viewpoint. I will discuss especially about Jaffa’s cardinal assertion upon conscience among some scholars. First, there is the question of the relation between St. Thomas Aquinas’s conscience and Aristotle’s teaching. Concerning this, I will scrutinize the contents which Jaffa and mercken insist upon St. Thomas Aquinas’ conscience and revelation. and then, I will bring forth counterarguments on this by presenting the intimate correlation between St. Thomas Aquinas’s conscience and Aristotle’s teaching revolving around D. Westberg, D. C. Langston, T. C. Potts and D. Nelson’s assertion. Second, there is the question of evidence for St. Thomas Aquinas’s truthfulness of conscience. In this behalf, I will examine Jaffa’s insistence on this, And then, I will refute against his assertion on the basis of M. Crow and R. A. Armstrong’s assertion. And now, I will elucidate that although Aristotle doesn’t refer distinctly to conscience which is debated revolving around relation with prudence, virtues and weakness of will makes more opulent contributions to his teaching of action which is on the basis of Aristotle’s teaching in a practical viewpoint. And then, I will reveal that St. Thomas Aquinas presents clearly evidence for the truthfulness of conscience by elucidating the term of conscience as the conception of self-evidence. In conclusion, I will assert that St. Thomas Aquinas’s effort which intends to reconcile Aristotle’s teaching with the teaching of Christianity about conscience is successful by attempting to interpret his teaching of conscience which seemingly seems to relate intimately to the revelation of Christianity as an Aristotelian teaching so far as possible.

      • KCI등재

        인간은 과연 현세에서 행복할 수 있는가

        손은실(SON Eunsil)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6 장신논단 Vol.48 No.1

        본고의 목표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행복론을 연구하여 현대 한국사회에서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행복에 대한 담론의 지평을 확장하고 그 깊이를 심화시키는 데 일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토마스의 행복론을 당대에 유행하던 아우구스티누스의 행복론과 아리스토텔레스와 그의 주석가들의 행복론과 비교하고, 토마스가 이 두 행복론을 어떤 방식으로 종합하는지를 밝힌다. 그는 한편으로는 히포의 주교를 따라 인간은 현세에서 완전한 행복에 도달할 수 없음을 논증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현세에서 행복을 추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개념을 ‘불완전한 행복’이라 명명하며 수용한다. 이와 같이 토마스는 철학적 행복개념과 그리스도교의 행복이해를 포괄함으로써 자연이성을 통해 탐구가능한 인간의 목적과 신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초자연적 차원의 목적에 대한 논의를 함께 전개한다. 하지만 그는 인간의 궁극적 갈망과 목적에 대한 철학의 탐구는 결국 아포리아에 부딪힘을 논증하고 현세에서 행복을 추구했던 철학자들은 이로 인해 ‘번민’을 겪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는 이 번민에서 해방될 수 있는 길은 우리가 미래의 삶에서 하나님을 볼 것임을 지지하는 데 있다고 주장한다. 본고는 이성과 신앙을 통한 행복이해를 종합하면서, 이성적 탐구의 한계를 밝히고 그것을 초월하는 신앙을 통한 행복의 길이 무엇인지 제시하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행복론의 핵심적인 내용을 논증적인 방식으로 소개한다. 이를 통해 본고는 현대 한국사회의 통속적인 행복이해와 계몽주의 시대 이래 이성적 차원에 매몰된 근현대철학의 행복개념에서 간과되어온 인간의 궁극적 목적의 영적이고 초자연적 차원을 보여준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omas Aquinas’ doctrine of happiness. To this end, I contrast it with Augustine’s and Aristotle’s, both of which extensively discussed at the University of Paris in the time of Aquinas. On the one hand, Aquinas, following Augustine, argues that no human being can reach the complete happiness in this life. On the other hand, he does not unconditionally reject Aristotle’s concept of happiness, which recognizes the happiness in this life. Aquinas considers Aristotle’s concept of happiness as incomplete. Thus Aquinas’ understanding of happiness includes both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happiness and the Christian concept of happiness. By synthesizing the two concepts, he simultaneously covers the supernatural dimension and the natural dimension of human end. But he says that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f happiness finally reaches Aporia, and describes that the philosophers who sought happiness in this life could not avoid the suffering of the “anguish.” And he argues that human beings can be released from this anguish by supporting the fact that they will be able to see God after death. The complete happiness of human beings, says Aquinas, consists in the vision of God in the patria. This study demon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Aquinas’ doctrine of happiness which consists in the synthesis of investigations of happiness by reason and by faith. In his attempt, Aquinas reveals the limits of rational inquiry of happiness and suggests the ‘through-faith’ way, which leads to the complete happiness beyond the human intelligence. This study on Aquinas’ doctrine of happiness indicates that there are some spiritual and supernatural dimensions in the human pursuit of happiness, which have been forgotten since the Age of Enlightenment.

      • KCI등재

        우정의 정치학

        유지황(Lew, Jiwha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6 철학탐구 Vol.42 No.-

        토마스 아퀴나스와 자끄 데리다의 우정 이해는 제각기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정 이해에 다른 의미의 뿌리를 둠과 동시에 비판적 입장을 취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상호 공통의 관계에 기초한 형제애와 법의 형이상학적 가치를 전제한 정의의 합법성을 통해 공동체적 삶에 기여할 수 있는 우정의 정치를 주장한다. 그러나 토마스 아퀴나스는 우정을 신과의 합일을 향한 신앙적 덕성 함양 과정으로 해석함으로써 공동체적 삶을 향한 우정의 정치적 효과를 크게 중시하지 않는다. 바른 공동체적 삶을 향한 정의 구현이 정치라면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우정은 좋은 정치적 원리로서의 시민적 우정이지만,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우정은 현실 정치보다 내세의 복락을 지향하는 신앙적 덕성 함양 과정이다. 이것은 아리스토텔레스와 토마스 아퀴나스 모두 정의의 잣대로서 법의 정당성을 인정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와 달리 아퀴나스는 정의 구현을 위한 우정의 능력을 제한적으로 보았음을 뜻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우정의 정치성은 법과 정의 실현을 위한 현실의 문제였지만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그것은 내세에서 완성되는 신앙의 문제였다. 이와 관련해 자끄 데리다는 동질적 형제애에 기초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정 이해와 그것을 신앙적으로 재해석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우정 이해가 갖고 있는 법의 폭력성을 비판하면서 인간 삶을 구체적으로 배려하는 다원적 우정의 정치를 주장한다. 동시에 그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역설한 우정의 정치적 가능성과 토마스 아퀴나스가 주장한 우정에 깃든 사랑의 힘을 비판적으로 수용한다. 그는 상대적 권력 조직에 의해 획일적으로 적용되는 법의 폭력성을 해체하고 저마다 특수한 인간 삶의 여러 문제를 구체적으로 살피고 유연하게 해결할 수 있는 정의로운 우정의 정치를 제기한다. 이것은 늘 친구로 남을 수 있는 상호 동등성과 불변의 배타적 우정이 아닌 언제라도 적이 될 수 있는 다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 안에서 부단히 탄력적인 접촉 대화와 사랑의 연대를 추구하는 우정의 정치로서 고대 그리스와 기독교 전통의 우정 이해를 넘어선 시민 우정의 다원적 정치성을 보여준다. Thomas Aquinas and Jacque Derrida have respectively posed their own understanding of friendship as a way of both acknowledging and criticizing Aristotle"s view on friendship. Aristotle argued the political possibility of friendship for the good communal life through fraternity based on the mutual common relationship and the presupposed legitimacy of justice founded on the metaphysical value of law. But Thomas Aquinas has taken little of the political effect of friendship in such a way that he interpreted friendship as a process of virtue formation for the ultimate union with God. Supposed politics to be the realization of justice for the good social life, friendship for Aristotle is a good political principle while friendship for Thomas Aquinas is a limited principle of politics in the real life of this world. Thomas Aquinas thought of, unlike Aristotle, the actual power of friendship for justice as being imperfect, despite Aristotle and Thomas Aquinas both accepted the legitimacy of law as the actual criterion of justice. The politics of friendship through the realization of law and justice is, for Aristotle, a real matter, yet it for Thomas Aquinas is a theological matter. In this regard, Jacque Derrida criticizes Aristotle"s exclusive idea of fraternal friendship and Thomas Aquinas" concept of friendship as a theological formation of virtues, and points out the problems of their cannonical ideas of friendship. However surprisingly, Derrida suggests the politics of friendship significantly in relation not only to Aristotle"s argument about the politics of friendship but also to Thomas Aquinas" emphasis on charity as the crucial element of friendship. He asserts the realization of justice through the politics of friendship that deconstructs the violence of law actualized by finite and relative power realities, and that tries to see and solve the specific particular problems of human social life. His politics of friendship rejects the exclusive form of friendship grafted on homogeneous mutuality, yet tries to contact and talk and thereby forms the solidarity of love in spite of difference on the constantly emerging brink of friend and enemy. This is the politics of friendship by which Derrida both critically overcomes and critically reconstructs the ideas of Aristotle and Thomas Aquinas on friendship.

      • KCI등재

        아퀴나스의 인격체 동일성 문제와 부분적 동일성 해석 -영혼개념을 중심으로-

        김선영 ( Kim¸ Sun Young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7 가톨릭철학 Vol.0 No.29

        본 논문은 오늘날 아퀴나스 연구가들 사이에서 논쟁이 되고 있는 인격체의 동일성 문제를 탐구한다. 필자는 죽음 이후 신체로부터 분리된 인간 영혼만이 존속하는 시기에 발생하는 문제점에 주목한다. 그리고 죽음 후 인격체의 존속을 옹호하는 여러 해석들 중 하나인 패스나우의 해석을 옹호함으로써, 인간 영혼과 수적으로 동일한 인격체의 부활에 대한 아퀴나스의 설명들이 철학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음을 밝힌다. 아퀴나스에게 오직 영혼과 신체의 합성체인 인간만이 인격체이므로 부활의 과정에 있어서 분리된 영혼만 존재하는 시기에 인격체의 단절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므로, 수적으로 동일한 인격체의 부활은 불가능해 보인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대의 대표적인 아퀴나스 연구자인 패스나우는 아퀴나스가 인간의 영혼이 ‘엄밀히 말해서’ 인격체인 ‘나’와 동일하지 않다고, 즉 그것은 ‘나’의 부분이라고 말한 것에 주목한다. 그는 존재라는 것이 존재함-존재하지 않음이라는 이분법적인 것이 아니라는 관점을 가지고 이 문제에 접근하여, 만약 아퀴나스가 이것을 받아들이기만 한다면, 분리된 영혼이 기존의 인격체의 부분적 인격체로 존재한다는 해석을 통해 인격체가 인간 영혼과 동일하지 않으면서도 그것과 연속적인 존재를 갖기 때문에 그의 부활에 대한 논증이 정당화될 수 있음을 보인다. 즉, 분리된 영혼의 시기에 인격체의 단절이 일어나지 않으며, 그렇게 존재하는 분리된 영혼은 여전히 나의 존재의 ‘부분’이며, 나의 실체적 형상이기 때문에, 부활의 순간에 신체와 다시 결합한다면 다시 수적으로 동일한 ‘나’로 돌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해석이 부활에 대한 아퀴나스의 논증에서 발견되는 모든 문제들을 철학적으로 정당화하는 것은 아니지만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인 분리된 영혼의 인격체 문제에 유의미한 해석을 제공하였으므로 ‘느슨한 방식으로’ 그것을 정당화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대한 방식의 해석은 물리주의와 이원론이라는 대립하는 두 이론 사이의 경계에 위치한 것이므로, 그 자체로도 충분한 가치를 지닐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blem of personal identity in Thomas Aquinas which many recent philosophers are taking seriously. I focus on the question about intermediate state which takes place when a human soul only exists from his death until the resurrection comes. And by defending Pasnau’s argument. one of the contemporary interpretations which support the person’s persistence after death in Aquinas, I elucidate how Aquinas’ view on the human soul and on the resurrection person can be philosophically consistent. According to Aquinas, a person is the human composite that is made of human soul and body. For this reason, it seems impossible for the person to be resurrected numerically same insofar as the person does not seem to persist in the state of the separated human soul from its body. To solve this problem, Robert Pasnau, who is an eminent scholar of medieval philosophy, defends the possibility of continuing existence of the person after death in Aquinas, as follws. Pasnau notes Aquinas’ texts that mention (separated) human soul is, strictly speaking, not I as a person, that is to say it is just my part. He approaches this topic from a new viewpoint that an existence is not dichotomous whether it exists or not. So Pasnau claims if Aquinas accepts this view, it can be justified because the person is not identical to human soul but has continuing existence with the soul. That is, it can’t happen for the person to be disconnected while the separated soul only exists and it can return to numerically the same human person at the resurrection if the separated soul is reunited with its body because it is still my existnece’s part and my substantial form. Of course, this interpretation can’t justify all the problems founded in Aquinas’ claims about resurrection. But as it provides a significant insight for the problem of separated soul’s personality, it can be said to justify the problem in a loose way. And it is worth enough in itself because this generous interpretation is located on the boarder of extremely conflicting matter between materialism and dualism.

      • KCI등재

        성 토마스 아퀴나스 정치사상(1)

        박은구 숭실사학회 2012 숭실사학 Vol.0 No.28

        성 토마스 아퀴나스 정치사상(1) 박 은 구 교황 레오 13세가 회칙 <영원한 아버지(Aeterni Patris)>를 반포한 이후 성 토마스 아퀴나스에 대한 연구는 오랫동안 그 ‘공식성’으로 인해 외경적 권위주의적 풍토로부터 충분히 벗어나지 못했다. 정치사상의 영역 에서 이 ‘우둔한 황소(the Dumb Ox)’에 대해 자유롭고 비판적인 연구가 시도된 것은 1960년대 이후의 일이다.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요약한다면, (1) 아퀴나스는 그리스도교적 아 리스토텔레스주의자(Christian Aristotelian)로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 적 자연주의(naturalism) 및 합리주의(rationalism)를 가톨릭적 서유럽 사회에 최초로 소개하였다. (2) 한편 성 토마스는 교회와 국가의 협업을 변론했던 정치적 병행주의자(Political Parallelist)였다. (3) 그러나 그의 정치적 견해를 충분히 아리스토텔레스적이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는 넓 은 의미에서 그리스도교라는 편견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했고, 그가 제공했 던 세속 정치권력의 자율성도 교회와의 보완적 분업체계를 그 조건으로 한 것이었다. (4) 성 토마스는 당대의 현안들에 관해 체계적인 정치적 담 론을 제시하지 않았다. 또한 그의 중요한 정치적 견해들조차 기본적으로, ‘편의에 따라 부분적으로 재조직된’ 아리스토텔레스의 반복이다. 따라서 그를 독창적인 정치사상가라고 보기는 어렵다. (5) 강한 목적론적 오리엔 테이션을 가졌던 성 토마스가 유럽 정치사상사에서 점하는 위상은 결국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등이 대표적인 평가들이다. 그러나 필자는 바로 여기에 성 토마스의 정치적 담론이 가지는 고유한 위상이 있다고 생각한다. 사실 그의 공동선 이론(theory of common good), 법률적 정의론(theory of legal justice), 혼합정부론(theory of the mixed constitution), 정치적 관용론(theory of political magnanimity) 등은 진 정 미래지향적인 정치적 화두들이다. 특히 그의 법률 및 덕성에 관한 논 리들은 사회적 시민적 삶의 토대 그 자체에 깊이 뿌리박고 있어서, 국가, 자유, 정의, 평화 그리고 공익성 등에 대한 그의 담론들은 오늘날 우리들 에게 정치적 행위의 목표와 가치에 대한 새로운 지평의 이해와 성찰을 제 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성 토마스의 정치적 견해들이 실천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분별력 있는 성찰의 원리”(principle of prudential calculation)는 오늘날 우리들에게 무엇보다도 절실히 요구되는 정치적 담론의 지평이 아닐 수 없다. 또한 그가 완강하게 추구했던 지적 원리, 즉 이성 대 계시(reason versus revelation)가 아니라 이성과 계시(reason and revelation)의 원리야말로 오늘날 위기에 처한 시장합리주의에 대한 치유책의 한 진정한 토대가 아 닐까 하는 것이다. 요컨대 필자는 아퀴나스의 정치적 견해가 오늘날의 정치이론가들에게 도 매우 유용하며, 아마도 관건적인 중요성조차 가진다고 생각한다. 냉혹 하고 무분별해서 대수술이 불가피해 보이는 현대 문명과 시장합리주의에 대한 정치적 성찰의 고전적 근거를 어디서 찾을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 여기에 13세기 신학자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정치적 견해들을 검토해 보 려는 이유가 있다. St. Thomas Aquinas’s Political Thought(1) Park, Eun Koo Since Pope Leo XIII announced the decree “Aeterni Patris”, research on St. Thomas Aquinas had remained pretty ‘official’ due to the authoritative tradition. It was only the 1960s that historians of political thought began to study ‘the Dumb Ox’ from a comprehensive and critical perspective. The agreements of recent studies, I guess, might be summarized as follow. (1) Aquinas, as a Christian Aristotelian, firstly introduced aristotelian political naturalism and rationalism to the western catholic society. (2) Aquinas, as a Political Parallelist, was supporting the system of cooperative role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3) Despite St Thomas’ novel attempts to defend the autonomy of secular political power pursuing Aristotle, his political views are basically bound up by Christian faith and partial reorganization of Aristotle. In short, St. Thomas’s political views are not fully aristotelian, and not necessarily creative. (4) Aquinas did not seriously engage in the political discourses on major issues of his time. Thus it is hard to regard him as an independent and systematic political thinker, who has any real logical insistences on contemporary political themes. (5) As a political theoretician, Aquinas’ status has a place as akind of beginner for modern political philosophy. As far as futuristic political discourses are concerned, his status evidently has limits due to his strong teleological orientation. However, I believe that Aquinas’ political thought proves to be of great value. His views on the law, morality and life are deeply based on the socio-civic foundations of universal human life. And his theory of common good, legal justice, mixed constitution, and political magnanimity are, in particular, on future oriented political themes. Futhermore, our current understanding on political acts and their value can greatly benefit from Aquinas’ insights on the nation, freedom, justice, public utility, and peace, even though they are on the teleological conviction. Most importantly, St Thomas practically carried out the principle of prudential calculation, demonstrating its value to our current political arena. It also seems to me that his unique attitude on “reason and revelation”, instead of “reason vs revelation”, can shed light on the current crisis of market-rationalism, which is apparently blind, heartless, and indiscriminate. In conclusion, I argue that St Thomas Aquinas’s political ideas can be of pivotal importance to political discourses of our time. Because I think that the political views of “the Dumb Ox” of the 13th century would deepen our understanding on the various problems which have been inevitably brought about by blind human avarice, heartless market-rationalism, and indiscriminate modern civilization.

      • KCI등재후보

        토마스 아퀴나스의 그리스도 부활론에 대한 개혁파적 평가

        유창형 개혁신학회 2018 개혁논총 Vol.46 No.-

        Aquinas’s views of Christ’s Resurrection are very similar to Reformed views. He quotes and espouses the comments of Augustine, Ambrose, Chrysostom, Gregory, and many biblical passages. He demonstrates thoroughly, in detail, that the resurrection of Christ is true, dedicating the many pages of his Summa Theologica to this issue. Surprisingly, it does not include a single line doubting the truth of Christ’s resurrection. In this regard, he wrote before the Enlightenment, at a time when people broadly believed the Bible. The present age is predisposed to doubt the resurrection due to the influence of current scientific thought. In this situation, it seems significant to investigate Aquinas’ views that disallow any doubt of Christ’s resurrection. Aquinas states that the power of the Son was the cause of Christ’s resurrection. But, better than his biblical reference, is Romans 1:4, “Who through the Spirit of holiness was declared with power to be the Son of God by his resurrection from the dead: Jesus Christ our Lord.” This verse implies that Christ rose by his own power, namely his divine power. Aquinas states accurately that Christ’s resurrection was by the power of the Trinity, in his Compendium Theologiae. However, Aquinas’ statement that Christ passed through her womb without rupturing the hymen of Mary is not biblical, and differs entirely from the Reformed view. Further, Aquinas’ view on the manifestation of Christ’s resurrection is similar to Reformed theology. Finally, the opinion that Christ raises the souls of the righteous and not the evil, created controversy at time. This can be understood when we consider Aquinas’ view that after death Christ went to hades and condemned the evil, while declaring the completion of salvation to the just and bringing them to paradise. Aquinas’ second view on the resurrection of souls is the regeneration of souls by repentance. But, it is not natural to connect such a concept with the resurrection of Christ’s soul, for His soul has never died of sin. 그리스도의 부활에 대한 아퀴나스의 견해는 정통에 아주 가깝다. 아퀴나스는 어거스틴, 암브로스, 크리소스톰, 그레고리 등을 인용하고 많은 성경 구절들을 인용하고 해석했다. 그는 신학대전에서 이 주제를 길게 다루면서 그리스도의 부활이 사실이라는 것을 잘 논증했다. 아퀴나스는 그리스도의 부활을 상세하게 서술하는데 그리스도의 부활 사실 자체를 의심하는 진술은 단 한 줄도없다. 그만큼 그의 시대는 아직 계몽주의가 태동하기 이전의 시대이고, 성경을 철저히 믿는 시대였다. 현 시대는 과학의 영향으로 부활을 점점 의심하고믿지 않으려는 경향이 강하다. 이런 상황에서, 그리스도의 부활에 대해 일체의 의심을 허용하지 않는 아퀴나스의 견해를 살펴보는 것은 나름 의미가 있다고 본다. 분석과 평가를 다시 요약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퀴나스는 성자의 능력도 자신의 부활의 원인이라고 했는데 보다 좋은 성경 구절은 로마서 1장 4절“성결의 영으로는 죽은 자들 가운데서 부활하사 능력으로 하나님의 아들로 선포되셨으니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니라” 이다. 이 구절은 성자 자신의 능력으로 부활하셨다는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아퀴나스는『신학강요』에서는 그리스도의 부활이 삼위일체의 능력임을 잘진술하였다. 둘째, 부활한 그리스도의 질적 특성에서는 그리스도가 출생 시에마리아의 처녀막을 손상시키지 않고 그냥 통과했다는 아퀴나스의 진술은 성경적이지 않고 개혁파의 입장과 아주 다르다. 셋째, 부활의 현시에 관해서는아퀴나스와 개혁파와 별 다른 차이가 없다. 넷째, 그리스도의 부활의 인과성에서 의인들의 영혼은 그리스도가 부활시키나 악인들의 영혼은 부활시키지않는다고 한 아퀴나스의 진술이 다소 혼란을 야기한다는 것을 지적했다. 이런혼란은 첫째, 아퀴나스가 죽은 후에 그리스도의 영혼이 음부에 가서 악인들에게 심판을 선언하고, 조상림보에 있는 의인들에게 구속의 완성을 선포하고 그들을 해방시켜 낙원으로 이동시켰다는 견해를 갖고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비로소 이해될 수 있다. 둘째, 의인들의 영혼의 부활은 회개를 통한 중생을 의미한다. 그러나 둘째 개념을 그리스도의 영혼의 부활과 연관시키는 것은 다소부자연스럽다.

      • KCI등재후보

        아퀴나스의 덕윤리 -매킨타이어의『덕의 상실』관점에서 다시 읽기

        강영롱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1 장신논단 Vol.0 No.43

        이 글은 『신학대전』에 나타난 아퀴나스의 윤리를 목적론적 도식에 맞게 재구성하고, 『덕의 상실』에 드러난 매킨타이어의 현대적 덕윤리 개념–덕, 전통–을 적용해 아퀴나스를 재해석한 글이다. 고전적인 목적론 도식에 따라, 『신학대전』에 나타난 (1) 인간영혼의 본성적 능력과 인간의 자연적 한계를 다루고, (2) 인간의 의지가정향된 참된 목적–참된 행복–이 무엇인가를 밝혔으며, (3) 가능태를 현실태로 만드는 덕론을 자세하게 살폈다. 아퀴나스의 덕론은 하나님에게서 비롯된 주입된 덕(대신덕)과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자연적인 덕목(사추덕)이라는 이중의 층위를 갖는다. 그러나 인간의 삶을 통일성있게 구성하는 최종적인 텔로스는 하나님께 참여할때 비로소 성취할 수 있기 때문에, 아퀴나스의 윤리는 하나님의 은혜 없이는 불가능한 ‘은총의 윤리’라고 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적 토대를 가지고 아퀴나스를 평가하면, 덕이 실현되는 경험적 실천의 장을 넘어서고, 신학적인 논증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렇지만 아퀴나스는 중세 공동체 안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아우구스티누스를 비롯한 신학적 전통과 합류시켰다고 볼 수 있다. 특별히 아퀴나스는인간을 과정중에 있는 ‘도상(途上)의 인간’으로 전제하였으며, 성서적인 내러티브를 신학적인 언명으로 재구성하였다. 결국 다양한 전통이 충돌하는 중세적인 컨텍스트에서 덕론을 중심으로 전통을 확대하고 변용시켰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restructuring the ethics of Aquinas in accordance with the teleological scheme and reinterpreting Aquinas by applying the modern concept of virtue–virtue, tradition–in Alasdair MacIntyre’s After Virtue. Following the classical teleological scheme, it investigates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in Summa Theologiae : (1) the natural power of human soul and the limits of human nature, (2) what is the human telos - true happiness - to which the human will is oriented? (3) the theory of virtue that makes man-as-he-happens-to-be into man-as-he-could-be-if-he-realizedhis-essential-nature The theory of virtue in St. Thomas Aquinas has two layers–first, the virtues implanted by God(the Theological Virtue) and second, natural virtues. But it can be pointed out that it to be ‘the ethics of grace’ which is impossible without God’s grace,because the ultimate telos that gives human life unity is possible only when it engages in God. When we estimate Aquinas on the Aristotelian foundation, it goes over the empirical-practical field and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ological arguments. But it is true that Aquinas weaved Aristotelian philosophy with the theological traditions including Augustinus. In particular, Aquinas assumed that all humankind is on the way(‘man on the way’), reconstructed biblical narratives into theological statements. Finally he accomplished expansion and transformation of tradition by accepting theory of virtue as the central theory in the context of Middle Ages where various traditions conflicted each other.

      • KCI등재

        아퀴나스 존재론의 교육학적 함의

        최은순 한국도덕교육학회 2010 道德敎育硏究 Vol.21 No.2

        아퀴나스의 관점에서 형이상학의 근본문제는 존재자 안에서 존재와 본질은 어떤 방식으로 관련되어 있는가 하는 것으로 규정된다. 이는 본질의 탐구에 주안점을 두었던 기존의 입장과는 매우 다른 것이다. 아퀴나스의 존재론에 의하면, 이 세계는 존재와 본질의 관련방식에 따라 위계가 다른 두 가지 존재자로 이루어져 있다. 존재와 본질의 결합으로 비로소 존재하는 보통의 존재자와, 존재가 곧 본질인 특별한 존재자―창조주―가 그것이다. 아퀴나스의 존재론은 이 두 존재자 사이의 차이와 관련을 밝힘으로써 인간이 어떻게 신의 경지로 발돋움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인간은 존재 그 자체를 보도록 노력하는 일을 통하여 자기 자신을 완성시켜나가며 이것은 교육의 목적과 다른 것이 아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esse as the core concept of metaphysics of Thomas Aquinas and deduct the implications about the aim of education from it. In the viewpoint of Aquinas, the basic question of metaphysics is how esse is related to essentia in ens. According to his idea, Ens is composed of two forces, i.e. esse and esentia. Ens means that which is, or exist. Esse is what is innermost in everything, and esse signifies the act of existing. Essentia signifies something common to all natures, through which diverse beings are placed in diverse genera and species. Aquinas' concerns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andpoint which has focused on studying essentia. According to the mataphysics of Aquinas, this world is made up of two different kinds of being, i.e. God that is esse itself and creatures that are composed of esse and essentia. In spite of this difference both of them are inseparably related to each other. As Aquinas' ontology deals with relation and difference between the two worlds, it clearly shows how a man can arrive at his complete fulfillment. The perfection of self as the aim of educ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a man's efforts―to contemplate being itself.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에서 양심과 아리스토텔레스적 실천이성의 관계

        임경헌 한국중세철학회 2018 중세철학 Vol.0 No.24

        According to Thomas Aquinas, conscience is the act of applying knowledge to a specific ac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Aristotelian concept, such an act is the proper function of practical reason. If this is the case, in what relationship are they? This question may be expressed in a different way: How did Aquinas unify the non-Aristotelian concept of conscience and Aristotelian practical reason? Although some scholars accept that conscience is bound up with practical reason, they think that judgements of conscience are separate from judgements of practical reason. However, others are skeptical that Aquinas’ definition of conscience has a special, proper function that practical reason does not comprise. This paper will show that Aquinas synthesized the two different concepts in this manner. He integrated the non-Aristotelian concept of conscience into the Aristotelean concept of practical reason. The functions of conscience correspond to some functions of practical reason, but practical reason has additional functions (for example to order). In addition, it cannot be assumed that conscience complies with practical wisdom. The fallibility of conscience makes a fundamental difference in practical wisdom, and unlike the conscience, practical wisdom is a dianoetic virtue warranting to take place a real action. Therefore, Aquinas neither distorts the ethics of Aristotle through the term “conscience,” nor does he perfect it by filling gaps in Aristotelian ethics. Of course Aquinas’s conscience does not function as an internal (God-given) judge. 토마스에 따르면 양심은 임의의 어떤 앎을 한 구체적인 행위에 적용하는 활동(actus)이다. 그러나 앎을 행위에 적용하는 것은 또한 아리스토텔레스적으로 이해된실천이성의 고유한 기능이기도 한다. 그렇다면 양심과 실천이성은 토마스에게서 어떤 관계에 놓여 있는가? 이 질문은 또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토마스는 비-아리스토텔레스적인 양심 개념과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실천이성 개념을 어떻게 종합했는가? 일군의 학자들은, 비록 실천이성과 양심의 밀접한 관계를 인정하지만, 실천이성의 판단과 구분되는 양심의 판단이 따로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어떤 학자들은 토마스의 윤리학에서 양심이 어떤 특별하고 고유한 기능을가진다는 것에 대해 회의적이다. 본 논문은 토마스가 비-아리스토텔레스적인 양심 개념을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실천이성 개념 안으로 통합하는 방식으로 종합했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즉 양심의 기능들은 실천이성이 지닌 기능들의 일부분에 상응한다. 그러나 두 개념은 전적으로 동일하지는 않는데, 왜냐하면 실천이성은 양심에 속하지 않는 기능들(예를 들어 명령 기능)을 더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는 양심을 실천적 지혜에 직접적으로 상응하는 어떤 것으로 이해해서도 안 될 것이다. 양심의 오류 가능성은실천적 지혜와 근본적인 차이를 보이며, (행위의 판단에만 관련하는) 양심과 달리 실천적 지혜는 (올바르게 판단된) 행위의 ‘실행’까지 보증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결국 우리는 토마스가 양심 개념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을 왜곡하거나 보충하며 완성시켰다고 여겨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양심은 올바른 행위를 판단하기 위해 신으로부터 주어진 어떤 판단 능력으로 여겨지지도 않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