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분자율주행 체험환경에서 에이전트 인터랙션 방식이 운전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에이전트 체화 효과를 중심으로 -

        이정명,주혜화,최준호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9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5 No.1

        With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ADAS functions, the need for the experience of the autonomous driving system is increasing, and the role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gent is attracting attention. This study is an autonomous driving experience experiment that verifies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agent embodiment. Through a simulator experiment, we measured the effect of existence of self-efficacy and agent embodiment on social presence, perceived risk, and perceived ease of use. Results show that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risk, and agent embodiment negatively affected perceived ease of us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proposed guidelines for agent design that can increase the acceptance of the semi-autonomous driving system. ADAS 기능의 상용화에 따라 자율주행 시스템 체험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인공지능 에이전트의 역할이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는 자기효능감 자극과 에이전트 체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자율주행 체험 실험이다. 시뮬레이터 실험을 통해 자기효능감 자극의 유무, 에이전트 체화의 유무에 따른 사회적 실재감, 인지된 위험, 그리고 인지된용이성 요인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효능감 자극은 사회적 실재감, 인지된 위험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에이전트 체화는 인지된 용이성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부분자율주행 시스템의 수용도를 높일 수 있는 에이전트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에이전트의 표정과 목소리 정서의 교차양상지각

        조유숙 ( Yu Suk Cho ),석지혜 ( Ji He Suk ),한광희 ( Kwang Hee Han ) 한국감성과학회 2009 감성과학 Vol.12 No.3

        오늘날 가상 세계에서 인간과 인간, 컴퓨터와 인간의 상호작용을 좀 더 효율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매개체로서 에이전트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에이전트의 정서표현도 인간의 정서 표현처럼 해석할 수 있고 그에 대해 인간의 정서표현에 반응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반응한다는 연구들이 있어왔다. 그렇다면 에이전트의 정서표현이 표정과 목소리에서 서로 불일치한다면 어떤 쪽에 더 치중해서 에이전트의 정서를 해석할지 또는 어느 한 쪽에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두 정서 모두 조합해서 받아들일지 알아보고자 했다. 또한 만약 표정과 목소리의 두 가지 정서를 조합해서 인지한다면 표정이나 목소리에서는 표현되지 않은 제 3의 정서를 느끼지는 않는 것인지 알아보았다. 실험은 표정(4) X 목소리(4)로 이루어졌다. 실험 결과 사람들은 에이전트의 한 가지 채널에 지배받아서 정서를 인지하는 것이 아니라 표정(시각)과 목소리(청각) 두 채널 모두를 조합해서 정서를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채널의 정서가 불일치할 때에는 혼란에 빠져 무슨 정서인지 모르게 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실망, 지루함, 지친, 반가운 등의 제 3의 정서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Today an embodied agent generates a large amount of interest because of its vital role for human-human interactions and human-computer interactions in virtual world. A number of researchers have found that we can recognize and distinguish between various emotions expressed by an embodied agent. In addition many studies found that we respond to simulated emotions in a similar way to human emotion. This study investigates interpretation of mismatched emotions expressed by an embodied agent (e.g. a happy face with a sad voice); whether audio-visual channel integration occurs or one channel dominates when participants judge the emotion. The study employed a 4 (visual: happy, sad, warm, cold) X 4 (audio: happy, sad, warm, cold) within-subjects repeated measure design. The results suggest that people perceive emotions not depending on just one channel but depending on both channels. Additionally facial expression (happy face vs. sad face) makes a difference in influence of two channels; Audio channel has more influence in interpretation of emotions when facial expression is happy. People were able to feel other emotion which was not expressed by face or voice from mismatched emotional expressions, 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we may express various and delicate emotions with embodied agent by using only several kinds of emotions.

      • KCI등재

        인공지능 에이전트 대화형 인터랙션에서의 감탄사 효과: 자율주행 맥락에서

        이수지,서지윤,최준호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자율 주행 차량의 체화된 에이전트가 ‘감탄사’를 사용하여 감정 표현을 드러낸 대화 상호작용을 할 경우 사용자 경험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감탄사 포함 유무와 대화 유형(과제 중심적 대화 vs. 관계 중심적 대화)의 조건에 따라 실험을 설계하였다. 온라인 실험으로 각 조건별로 4가지 대화 시나리오 영상을 시청한 후, 해당 에이전트에 대한 친밀도, 호감도, 신뢰도, 사회적 실재감, 지각된 의인화, 향후 이용 의도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에이전트가 감탄사를 사용할 경우 두 대화 유형 모두에서 사회적 실재감의 주 효과가 나타났다. 에이전트가 감탄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과제 중심적 대화 유형에서 신뢰와 향후 이용 의도가 높았다. 에이전트가 감탄사를 사용하여 감정적 표현을 더하는 것은 사회적 실재감을 높이는 효과는 발견했지만, 다른 사용자 경험 요인에 대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 KCI등재

        LLM 기반 하이브리드 아바타 에이전트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

        금준영,김태연,이명호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23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26 No.8

        The demand for conversational systems using digital humans has increased across various fields, including education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Conversational digital humans can be categorized into avatar and agent. This paper introduces the Hybrid Avatar Agent System (HAAS), designed to implement a conversational digital human capable of addressing diverse questions. To facilitate seamless transitions between avatars and agents, we developed a Korean Dialogue Breakdown Detection (DBD) model. While a digital human typically functions as an agent, the DBD model identifies conversational pauses, prompting human operator intervention for user assistance. We trained DBD model using the RoBERTa_base model, achieving an accuracy of 60.77%. In a user study, a comparison was drawn between HAAS and the Agent Only System (AOS). Users noted that HAAS provided more appropriate answers than AOS.

      • KCI등재

        초등 국어과 표현 영역에서 매체 활용 교육의 방향 - 프레젠테이션 교육을 중심으로 -

        김희동,엄해영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1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direction of media usage education in the expression of Korean language. Diachronically reviewing the meaning of media usage shown in the expression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t discussed the direction of media usag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in two aspects such as essence of expression and changes in media environment. In this process, an issue like the main agent of expression was rising. To get new implications of relations between main agent and media, the direction of media usage education was discussed by examining theories such as posthumanism and embodimentism theories. Then, the possibility of practicing media usag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was discussed focusing on presentation education. Examining the concept, educational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presentation, the education of expression mainly combined with main agent's cognition, speaking, writing, and diverse media was understood as the characteristics/direction of presentation education. The preparation and performance process of presentation were suggested based on elements of embodimentism and substantialization. 본 연구는 국어과 표현 영역에서 국어과 매체 활용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어과 교육과정 표현 영역에 나타난 매체 활용의의미를 통시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여기에서 드러난 국어과 매체 활용 교육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표현의 본질과 매체 환경의 변화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국어과매체 활용 교육의 지향을 논의하였다. 이 과정에서 주체와 매체의 문제가 대두되었으며 주체와 매체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얻기 위해 포스트휴머니즘과체화주의 이론들을 살펴 매체 활용 교육의 지향을 논의하였다. 이어서 국어과 매체 활용 교육의 실천 가능성을 프레젠테이션 교육을 중심으로논의하였다. 프레젠테이션의 개념, 교육적 가치, 특징을 살피고 말하기와 쓰기, 다양한 매체가 주체의 인지를 중심으로 융합된 표현 교육을 프레젠테이션 교육의특성이자 지향점으로 파악하였다. 프레젠테이션 교육의 방향을 주체와 매체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지적 네트워크, 자아의 확장 측면에서 논의하고, 체화된 인지와경험의 측면에서 프레젠테이션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추가로 프레젠테이션 수행의 과정을 수행과 수행 전으로 나누고 실체화되는 요소를 중심으로 세분하여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도적 자아관의 정립: 과정적 행위자의 현전 - 입중론 「현전지」 126-145게를 중심으로-

        김현구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3 禪文化硏究 Vol.35 No.-

        중관학파는 전통적으로 자아성의 존재론적 지반으로서 아트만(ātmān)류의 실체론을 집중적으로 비판하는데, 이 논쟁이 입중론 에 잘 나타난다. 입중론 「현전지」는 ‘법무아’와 ‘인무아’를 통한 ‘연기’(緣起)를 아는 반야바라밀의 완성을강조한다. 입중론 「현전지」의 인무아 논증은 불교 외적인 대론자로서 상캬(Sāṃkhya) 학파와 바이셰쉬까(Vaiśeṣika) 학파의 실체적 자아 이론과 불교 내부의정량부(Saṃmitīya) 입장을 비판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특히 중관학파의 월칭(月 稱, Candrakīrti, 600-650)은 중도의 시각에서 정량부의 뿌드갈라(pudgala) 이론 비판에 집중한다. 이 논증은 중론 「자아에 대한 고찰」 제1게에서 명시한 대로본질적으로 존재하는 자아가 있을 경우, 그것은 다섯 가지 정신-신체현상[五蘊]과동일하거나 그것과 다른 것이어야 한다는 딜레마로부터 출발한다. 이 논변을 통해월칭이 궁극적으로 주장하는 바는 자기 자신을 정신-신체현상으로 분해하는 분석적 관찰을 통해 그 속에 동일한 성질을 갖고 불멸하면서, 모든 감관과 정신-신체현상을 통제하는 형이상학적 자아로서 아트만과 같은 실체는 없다는 점이다. 월칭에 따르면, 영원한 본질로서 생각과 행동의 통제관으로서 상위차원의 자아를 실재하는 것으로 인식하거나 주장하는 것은 번뇌의 뿌리이다. 이런 류의 입장은 존재론의 관점에서는 본질주의로 규정할 수 있다. 이는 중도적 시각에서 극단이며, 스스로를 개체이자 경험의 주체로서 의식을 실체화하거나 나라는 자아감을개별화된 존재라고 착각하는 것이다. 반면 중도적 자아관이란 현상적으로 경험하는 자아가 독립적인 실체라고 주장하는 존재론적 본질주의나 혹은 어떠한 것도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가치론적 허무주의를 거부하는 태도이다. 이러한 자아관에 근거한 자아란 비실체적 정신 - 신체현상이 ‘차연성’(idapaccayatā)의 원리에 입각해 ‘과정적 행위자’(agent - in - process)로 드러나며, 다양한 주변 환경과의상호의존적인 작용을 통해 자신을 개별화하는 과정이다. Traditionally, the Middle way school intensively criticizes Atman as an ontological basis for the essence of self, and this argument is well represented in the Madhyamakāvatāra. The Madhyamakāvatāra emphasizes the completion of Prajñāpāramitā, which knows “dependent arising” through “emptiness of law” and “emptiness of self.” The argument of the Madhyamakāvatāra is structured to criticize the metaphysical self-theory of the Sāṃkhya and Vaiśeṣika schools as external opponents of Buddhism and the position of the Saṃmitīya within Buddhism. In particular, the Middleway school criticizes the pudgala theory of Saṃmitīya through the lens of middle-way perspectives. This argument starts from the dilemma that if there is an essentially existing ego as specified in the first sloka of “The Consideration of the Self” of Madhyamaka-kārikā, it is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five mental-body phenomena (pañca-skandha). Through this argument, Candrakīrti ultimately claims that not only there is no substance like Atman as a metaphysical self that controls all sensations and mental-body phenomena inside, but also there is no possibility of having immortality there through analytical observation such as breaking them down into mental-body phenomena. According to Candrakīrti, it is the root of anguish to recognize or claim the higher-level self as real as a controller of thoughts and actions as an eternal essence. This sort of position can be defined as essentialism from the point of view of ontology. And it is a misconception to embody consciousness as a substance or as an independent entity. On the other hand, the middle-way perspective of self is an attitude that rejects ontological essentialism, which claims that the phenomenally experienced self is an independent entity, or value-based nihilism, which claims that nothing exists. This is the self-view that explains the agent in process by which mental-body phenomena are revealed through interdependent interactions with various surrounding environments as the subject of experience.

      • 헬스케어 대화형 에이전트의 역할(role)과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가 전문성, 신뢰도, 친밀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민정(Minjung Kim),윤병훈(Byunghun Yun),박주형(Juhyung Park)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기술의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효과적으로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 및 관리할 수 있는 대화형 에이전트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 형체를 가지고 있는 체화된 대화형 에이전트의 경우,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으로 참여도와 동기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특정 헬스케어 맥락에서 살펴본 연구가 거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지속적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앱)를 사용해야 하는 관리의 영역인 스트레스 관리를 헬스케어 맥락으로 선택한다. 해당 맥락에서 대화형 에이전트의 역할 (의료진/비의료진)과 사회적 지지 (정보적/정서적 지지)에 따라 전문성, 신뢰도, 친밀도에 어떤 영향이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역할과 사회적 지지를 다르게 설정한 4 개의 에이전트를 디자인하여 집단 간 설계 방식으로 163 명의 참여자를 네 그룹으로 나누어 설문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의료진 역할의 에이전트는 비의료진 역할의 에이전트에 비해 전문성, 신뢰도, 친밀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하지만 사회적 지지에 대한 차이는 발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본 연구에서 관리 영역의 대화형 에이전트의 역할이 전문성, 신뢰도, 친밀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으로 밝혀냈다.

      • KCI등재후보

        대화형 에이전트의 감성적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모바일 기반의 대화형 에이전트와 사용자와의 대화를 중심으로-

        박수이 ( Su E Par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35 No.-

        Although the demands for mobile devices are increasing, the limitations of the interface due to small screen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user satisfaction. As an alternative, the research and commercialization for embodied conversational agents(ECAs) are underway.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tract effective factors to the emotional evaluation and analyze the effect of conversational types during conversations between users and ECAs. For accomplishing this goal, we conducted the observation methods in terms of think-aloud protocol. As the result, the emotional evaluation of ECAs is affected by the attitude factor, expression factor of ECAs, the content factor of conversations, and the obstacle factors of system. The significance of this empirical study is that this result is the bases for future studies on the evaluation of user experiences in ECAs interface.

      • KCI등재

        네트워크 에이전트의 행위성에 대한 젠더분석적 고찰

        김혜련 한국여성철학회 2010 한국여성철학 Vol.13 No.-

        【요약문】 이 글의 목적은 디지털 기술에 의해 구현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사회에서 여성 젠더 주체들이 얼마나 자유를 향유하고 있고 개인적인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평가하는 데 있다. 다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선언으로 새로운 시대의 획이 그어진 이후, 자연적으로 부여받은 신체적, 지리적, 그리고 역사적 조건에 기인하는 억압 상태에서 해방될 수 있는 대안적 공간으로서 네트워크 사이버공간은 특히 여성에게 새로운 프런티어로 다가왔다. 그러나 사이버공간의 잠재력이 강조된 것에 비해, 진정한 자유와 자아실현을 위한 매개체로 기능하기 위해 네트워크 에이전트의 수행성에서 표현되어야 할 조건들이 분명하게 분석된 적은 많지 않다. 그 조건들을 분석하고 에이전트들의 수행성을 평가하기 위해, 나는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NT)과의 구별을 위해 네트워크 유저들을 ‘네트워크 에이전트’(NA)로 명명하고서 그들의 행위성의 면모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 내가 분석과 평가를 위한 조망점으로 삼는 관점들은 역량강화, 젠더분석, 그리고 인공생명이다. 그 관점을 통해 네트워크 에이전트의 젠더성, 자율성, 그리고 인공성의 수위가 검토될 것이다. 결론부에서, 네트워크 사회가 여성에게 여러 면에서 자유와 해방, 그리고 평등을 실현해준 것이 사실이지만, 나는 사이보그와 인공생명에 대한 일면적인 이해와 소망적 사고에 고착되지 않기 위해 보다 세밀한 분석과 재개념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