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AI 협력 역량 향상을 위한 활동중심수업 설계원리 개발

        송혜빈,조영환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9 No.1

        In the era of AI, people should develop competency to collaborate with AI to achieve a variety of goals effectively. When perceiving AI as a collaboration partner rather than just a tool, people can effectively carry out a task with AI and reflect on the influence of AI on human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develop AI technologies to collaborate with humans but also to investigate methods to improve human competency to collaborate with AI. This study intended to develop the design principles of activity-based instruction to improve human-AI collaboration competency in K-12 school.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 to generate the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which were revised through expert reviews (i.e., internal validation). This study applied the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to the sixth grade class in an elementary school and carried out pre- and post-tests, surveys, and interviews for external validation. This study created 12 design principles of activity-based instruction for human-AI competency in regards to educational activities, learner-AI interaction,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co-evolution between education and AI. The design principles were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 human-AI collaboration competency and attitude toward AI. In addition, learner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activity-based instruction and showed high situational interest. This study provided educational implications on how to improve the human-AI collaboration competency, which is essential in the curriculum of future education. 인공지능(AI) 시대에 다양한 목표를 효과적으로 성취하기 위해 AI와 협력하는 역량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AI를 단순한 도구로 인식하기보다 협력의 대상으로 인식할 때 더 효과적으로 AI와 함께 과제를 수행할 수 있고 AI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성찰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과 협력하는 AI 기술을 개발하려는 노력과 함께 AI와 협력할 수 있는 인간의 역량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교교육 맥락에서 인간-AI 협력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중심수업 설계원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검토를 통해 설계원리를 도출하고 전문가 검토(내적 타당화)를 통해 설계원리를 수정하였다. 그리고 외적 타당화를 위해서 초등학교 6학년 교실에 설계원리를 적용하고 사전․사후검사, 설문조사, 면담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인간-AI 협력 역량 향상을 위한 12개의 활동중심수업 설계원리를 교육활동, 학습자-AI 상호작용, 교육환경, 교육과 AI의 공진화 측면에서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설계원리를 초등학교 수업에 적용한 결과, 인간-AI 협력 역량과 AI에 대한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그리고 학생들이 활동중심수업에 대해 높은 만족감과 상황흥미를 나타냈다. 이 연구는 미래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인간-AI 협력 역량을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후보

        실험중심 과학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 불안, 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조홍자 ( Cho Hong Ja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실험중심 과학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 불안, 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J시에 위치한 사범대학에서 유아과학교육을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65명을 대상으로 매주 2회씩 10주 동안 실험중심 과학수업을 실시하였다. 비교집단은 기존의 일반적인 강의 위주의 과학수업이 이루어졌다.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교수불안, 태도 및 자아존중감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전·사후에 검사도구로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중심 과학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 불안이 비교집단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중심 과학수업은 예비유아교사의 과학활동태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험중심 과학수업은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중심 과학수업이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xperiment-based science instruction o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xiety, attitudes, and selfesteem. The subjects were 65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J c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carried out the experiment-based science instr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xperimental group showed lower anxiety than control group. Second,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attitudes than control group. Third,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elf-esteem than control group. Consequently, the experiment-based science instruction promote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xiety, attitudes, and self-esteem.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xperiment-based science instruction is worth utilizing as a proper and meaningful method to improv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xiety, attitudes, and self-esteem.

      • KCI등재

        중학교 교과별 활동중심수업에서의 학습자 및 교사 특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권승아(Kwon, Seung-A),강지혜(Kang, Ji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본 연구는 중학교 교과(국어, 수학, 영어)별 활동중심수업에서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과 교사의 내·외적 특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2017년 중학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및 설문지를 바탕으로 변인을 구성하고, 다층구조방정식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생의 교과별 학업성취도에 대한 설명을 위해 학생수준(1수준) 변인으로 교과별 활동중심수업 정도, 수업참여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과태도, 교사 지지를 고려하였고, 교사수준(2수준)에서는 교과별 교사의 교수효능감, 능동적 자기계발, 교사풍토, 활동중심수업 운영을 통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교과 특성을 반영한 활동중심수업 적용 정도에 따라 학습자의 인지적 및 정의적 특성이 학업성취도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내적 요인은 활동중심수업의 운영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교사 외적 요인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동중심수업 운영은 학생의 교과별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활동중심수업과 연관지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및 학생의 정의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학습에 대한 시사점 도출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activity-based instruction on learners’ affective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teachers’ internal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on activity-based instruction by constituting variables based on middle school students’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results and surveys from 2017, analyzed using multi-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order to elaborat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y curriculum, the student level variables (level 1) included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academic self-efficacy, attitude towards the subject, and teacher’s support; while the teacher level variables (level 2), such as teachers’ self-efficacy, active personal development, school environment, and activity-based instruction, were used to explore th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by curriculu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had direct and indirect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application of activity-based class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econd, the internal factors of teachers positively influenced the operation of activity-based classes, but the influence of non-teacher factors was not significant.

      • 활동중심 삽입교수가 통합어린이집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장지윤,윤선영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10 발도르프교육연구 Vol.2 No.2

        이 연구는 통합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발달지체를 보이는 유아의 사회성 증진을 위해 자연적 중재방법를 활용한 것으로, 통합어린이집 하루 일과에서 진행되는 주요 상황에 대해 활동중심 삽입교수가 발달지체 유아의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발달영역 전반에 걸쳐 지체를 보이고 낮은 사회성을 보이는 유아(만 3세반) 1명을 연구대상으로, 3개월 동안 중재를 진행하였다. 중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자료는 10초 간 부분간격 기록법을 사용하여 상황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로 수집되었다. 기초선에 대한 자료 수집 후해당 유아에게 활동중심 삽입교수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매번의 중재 후에는 학급에서 진행되는 계획된 활동상황, 유아 주도 활동 상황, 일상적인 일과활동 상황 등의 3가지 상황에서 목표 행동인 사회적 행동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활동중심 삽입교수 중재는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시작행동과 반응행동 모두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고, 이 변화 역시 중재 후에도 유지됨이 입증되었다.

      • KCI등재

        대학수업 개선에 있어서 수업컨설팅의 기능

        민혜리(Min, Hyeree),윤희정(Yun, Huije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1

        최근 들어 대학은 수업의 질적인 제고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도입된 방법 가운데 하나가 수업컨설팅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수업컨설팅에 참여한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집단 면담과 설문 조사를 통하여 비디오 촬영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수업컨설팅의 기능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식을 밝히고자 하였다. 의견 조사의 결과를 종합한 결과, 교육역량별 중요도의 측면에서는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학생과의 상호작용, 그리고 개선방안 모색의 항목을 선택하였으며, 개선가능성 측면에서는 성찰 역량, 교수행동 역량, 학습촉진 역량의 순으로 선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교수자들이 인식하는 수업컨설팅은 수업의 질적 개선이라는 측면에서 교수자들이 지니는 교수행동 역량, 학습촉진 역량, 그리고 성찰 역량의 세 가지 수준의 제고를 위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세 역량에 대한 고른 성장을 위해서는 교수자들에게 학습촉진 역량을 위한 전략을 제공하는데 비중을 둘 필요가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결과의 확인을 통하여 지금까지 결과에 대한 평가와 만족도 측정의 수준에 머물러 있던 수업컨설팅 수행 전략 및 지표에 대한 연구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수업컨설팅이 단순한 측정의 도구가 아니라 수업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로서 제공될 수 있도록 제반 여건을 마련하는데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참여 교수들이 수업에서의 오류를 포착하는 것에 집중하려는 태도를 전환하여 구체적인 실천 전략을 컨설턴트와 함께 모색하는 것이 본 프로그램의 주요 목적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Colleges have recently made various efforts to raise the quality of teaching in classes. One of the methods used as an effective tool to raise the quality of teaching is the use of instructional consulting based on the video recordings. Using this method, there needs to be objective analyzed materials from video recordings by consultants, and voluntarily participation of instructors from colleges.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based on video recordings is regarded as a way to raise the quality of teaching in class. Also, it is suggested that innovations for a teaching-assessment system and a system to judge the competencies of faculties in colleges would be a significant factor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consulting based on video recordings were investigated in a survey by instructors who had taken part in consulting before. Important aspects to be assessed were verbal communications, interactions with students, searching for improvement, effectiveness, and observ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Recognizing teaching style, and self-reflection to search for action strategies were also considered. As a result, the instru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consulting program tend to concentrate on finding the weak points of their own class.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purposes and principles of instructional consulting, consultants should emphasize that in the process of consulting based on video recordings, instructors should find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realize the way in which they could improve their strong points and not to correct their weak points.

      • KCI등재

        학습 맥락을 고려한 활동 중심 과학 수업의 효과

        김경원(Kim, Kyungwon),우애자(Woo, Ae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6

        본 연구에서는 학습 맥락을 고려한 활동 중심 수업의 교수 전략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이것이 과학과 관련된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과 학업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어떠한지를 알아보았다. 경기도에 위치한 중학교 3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I. 자극과 반응, II. 물질의 특성, III. 일과 에너지’ 단원을 선정하여 25차시 수업 처치를 하였다. 학습 맥락을 고려한 활동 중심 수업을 실험 집단에, 전통적인 강의 중심 수업을 비교 집단에 처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맥락을 고려한 활동 중심 수업을 한 학기 동안 지속적으로 제공한 실험 집단에서 과학과 관련된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인식, 흥미, 태도 및 동기 하위 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학습 맥락을 고려한 활동 중심 수업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학습 맥락을 고려한 활동 중심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매우 긍정적이었다. 학생 스스로 의사소통 능력이나 적극적인 자세, 호기심, 자신감 등이 향상되었고, 과학 교과에 관심과 흥미가 높아졌다고 평가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n active-based teaching strategies considering the context of learning for middle school senior. On the basis of this teaching strategy, class materials were developed and applied on the science classes. Three components of the context of learning-problem presentation, problem inducement process, and independent problem formation-were considered. Class treatment were provided for 25 class hours on the selected units of ‘I. Stimulus and response’, ‘II. Characteristics of matter’, and ‘III. Work and energy’.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tested on the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before and after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tive-based teaching considering the context of learning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as for the sub-factors, ‘perception’, ‘interest’, ‘attitude’, and motivation. Seco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cience course shows a positive improvement. Third, students’ perception was positive on the active-based teaching considering the context of learning. Students improved in communication ability, attitude, curiosity, self-confidence, and interest in the science class.

      • KCI등재

        日本語教育における授業改善のための工夫 ― アクティブ·ラ-ニング型授業(Active Learning-based instruction:AL)の質の向上を中心に ―

        房極哲 ( Bang Geug Chol )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21 日本語敎育 Vol.- No.96

        In this study, the important point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is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a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is, Active Learning-based instruction (AL:AL-type class). As a part of the AL-type class practice strategy, I tried to concretely implement Collaborative learning in the subject of < Communication 日本語 >. And as an AL-type class, it was possible to describe the procedure of Flipped Learning. As a result, in the course of the AL-type class, a Rubric evaluation and Reflection/SRN course were required, and an example of a rubric for evaluating the subject was able to be proposed.Through such analysis and instructional practices, the quality of AL-type class is expected to improve. In addition, in implementing the < AL-type class >,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improvement of the clas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learners. For example, it reflects the results of the Learning Strategy Test (MLST) provided by the Center for Teaching & Learning (CTL). Teaching the learner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will be helpful in practicing AL-type classes. This remains a task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The Effects of Pre-task and Post-task Activities on L2 Vocabulary Retention

        박시형,신유선 새한영어영문학회 2017 새한영어영문학 Vol.59 No.1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pre-and-post task activities on vocabulary retention in L2 learners in Korea. The 64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conditions (pre-task group and post-task group). To measure their lexical retention, two main tests were administrated: a Vocabulary Size Test (VTS) and a vocabulary test (immediate and delayed test) which was designed by a researcher. A series of MANOVA and repeated-measure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suggested that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were found in task types and proficiency levels bu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ask types and proficiency levels was not found. In summary, the participants tended to obtain the higher scores in both immediate and delayed vocabulary tests when they were involved in the post-task activity.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 advanced learners’ performance was superior to that of the novice group learners regardless of task types, which implies that the degree of attrition on vocabulary learning tended to slow down for the advanced group learners in comparison to that of the novice group learners.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further suggested.

      • KCI등재

        The Effects of Pre-task and Post-task Activities on L2 Vocabulary Retention

        Park, Si Hyoung(박시형),Shin, Yousun(신유선) 새한영어영문학회 2017 새한영어영문학 Vol.59 No.1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pre-and-post task activities on vocabulary retention in L2 learners in Korea. The 64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conditions (pre-task group and post-task group). To measure their lexical retention, two main tests were administrated: a Vocabulary Size Test (VTS) and a vocabulary test (immediate and delayed test) which was designed by a researcher. A series of MANOVA and repeated-measure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suggested that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were found in task types and proficiency levels bu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ask types and proficiency levels was not found. In summary, the participants tended to obtain the higher scores in both immediate and delayed vocabulary tests when they were involved in the post-task activity.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 advanced learners’ performance was superior to that of the novice group learners regardless of task types, which implies that the degree of attrition on vocabulary learning tended to slow down for the advanced group learners in comparison to that of the novice group learners.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further suggested.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의 국어과 온라인 활동중심수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전국국어교사모임 ‘물꼬TV’ 강연자 교사를 중심으로

        이해숙(Lee, Hae-suk) 국어교육학회 2021 국어교육연구 Vol.- No.76

        본 연구는 작년 1학기에 온라인 쌍방향 수업을 실시한 국어과 교사들의 코로나19사태 대처 경험을 분석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전국국어교사모임 ‘물꼬 TV’ 유튜브 강연 동영상을 Colaizzi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국어과 교사들은 사태 직후 자신들의 기술력을 사교육과 비교하며 좌절, 막막함, 불안을 겪었지만, 활동중심수업을 지향하는 평소의 가치관과 공교육 교사로서의 사명감에 따라 테크놀로지를 습득하여 활동중심수업을 실현해 낼 방법을 마련해 내었고 나아가 라인 수업만의 장점을 찾아내었다. 온라인 수업 적응 후에는 성취감과 기대를 느꼈다.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활동중심수업을 위해서 교사를 위한 테크놀로지 교육 및 수업 설계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 교사의 교육관의 중요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This study is phenomenological research in which we analyzed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experience in coping with the COVID-19 pandemic in the first semester of last year. Colaizzi’s method was used for analyzing a video clip of a YouTube lecture (Mulkko TV). After the pandemic outbreak, Korean language teachers experienced frustration and anxiety by comparing their knowledge of technology with teachers’ knowledge in private education. However, since they had a new understanding of their mission as public education teachers, they have gained new knowledge on technology in class and found ways to implement activity-based instruction. After adapting to online classes, they felt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expectation. Therefore, we suggest that knowledge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class design training are needed for online activity-based instruction and that teachers’ views on education are essent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