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제인도법을 통한 ASAT 운용의 적법성에 관한 연구 - ASAT 적용기술과 우주물체감시체계를 중심으로-

        장지욱 ( Jang Jiuk ),조관행 ( Cho Kwanhaeng ) 공군사관학교 2021 空士論文集 Vol.72 No.-

        세계의 증대되는 위성에 대한 관심에 따라, 위성을 파괴하는 ASAT 무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에어포스 퀀텀 5.0에서는 스페이스 오디세이를 통해 2050년 대한민국의 ASAT 기술확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제법과 현대전의 특성상 국제법의 준수는 매우 중요하지만, 지금까지 선행연구에서 ASAT에 대한 국제인도법적인 검토는 부재하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ASAT을 적용기술에 따라 kinetic weapons, non-kinetic weapons, 전자적 공격, 총 3가지로 구분한다. 또한, 적법성 달성에 중요한 우주물체감시 체계를 설명한다. 다음, ASAT 작전 시 발생될 수 있는 쟁점을 국제인도법의 구별, 비례의 원칙에 따라 분석한다. 구별의 원칙에서는 이중사용 위성의 목표물 선정 가능성에 주목하여, 군사목표물 선정요건의 ‘용도’(use) 요건의 해석을 통해 “그러한 기간동안”(for such time)에만 군사목표물로 판별되어 ASAT 작전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비례의 원칙에서는 ASAT 작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우주잔해의 위법성에 주목한다. 또한, 무차별공격 금지 조항을 통해 우주잔해 및 HPM 무기의 국제법의 위반가능성과 다음, 환경보호 조항에서는 전투 중의 환경보호를 위한 주의조치의 필요성을 살펴본다. 위 두 가지 원칙을 예방의 원칙에 적용하여 실질적으로 적법한 ASAT 운용의 방안을 살펴본다. 먼저, ‘우주물체목록화’ 능력을 통해 ‘용도’를 판별하여 구별의 원칙을 달성한다. 다음, ASAT 적용기술을 통해 우주잔해를 최소화하며, 작전 이후에는 발생하는 우주잔해의 감시 능력에 주목하여 “실행가능한 모든 예방조치(all feasible cautions)”통해 비례의 원칙을 달성한다. 이를 대한민국 공군의 우주능력에 접목하여, DEW 기술을 지속개발하고, SSA 능력은 미군과 지속 협조를 강조하여, ASAT 작전의 국제법적 적법성을 달성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미국으로부터 ‘우주물체감시’ 정보 획득의 정당성 확보 및 추후 개발될 기술과 국제인도법의 부조화 현상을 예방을 기대한다. With the world’s growing interest in satellites, the importance of ASAT weapons that destroy satellites is being emphasized. Air Force Quantum 5.0 aims to establish Korea’s ASAT technology in 2050 through Space Odyssey.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law is very important due to the nature of international law and modern warfare, but so far, there has been no international humanitarian study of ASAT in previous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first classifies ASAT into three categories: kinetic weapons, non-kinetic weapons, and electronic attack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technology. It also explains the Space Object Surveillance system, which is important for achieving legality. Next, issues that may arise during ASAT operation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s principle of distinction and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the principle of distinction, paying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selecting targets for dual-use satellites, it is said that ASAT operations are possible only “for such time”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use’ requirements for military target selection. In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ttention is paid to space debris that may occur due to ASAT operations.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violations of international law on space debris and HPM weapons through the prohibition of indiscriminate attacks, and the following environmental protection provisions examine the necessity of precaution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during combat. Applying the above two principles to the principle of prevention, we examine the substantially legitimate ASAT operation plan. First, the principle of distinction is achieved by discriminating ‘use’ through the ability to ‘list objects in space’. Next, minimize space debris through ASAT application technology and through “all feasible cautions” by paying attention to the ‘monitoring ability of space debris’ that occurs after the operation to achieve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By incorporating this into the space capability of the Korea Air Force, DEW technology is continuously developed, and SSA capability emphasizes continuous cooperation with the US military, suggesting measures to achieve international legal legitimacy of ASAT operation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secure the justification of obtaining ‘space object surveillance’ information from the United States and prevent inconsistency between technology and international law.

      • KCI등재

        중국 미사일방어망(Missile Defense)의 역사와 한반도에 대한 함의

        이상호,안성규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7 국가안보와 전략 Vol.17 No.1

        The Chinese stance on Missile Defense (MD) issues have been contradictory since the 1960s. China’s behavior towards MD had been reactive between 1960s and 1990s as there was no significant development in the Chinese MD technology despite its R&D efforts. From the 2000s, China began progress on its own MD system after acquiring S-300 system form Russia. Based on S-300 technology, China was able to develop and deploy HQ-9 system. The later version of the systems are supposed to be close to Patriot PAC-3 and THAAD. Since 2010, China’s focus on the development of MD intensified. This also resulted in the testing and deployment of ASAT(anti-Satellite) weapon systems. While China is increasingly concentrated on the MD capability enhancement, and conducting joint MD exercises with Russia, China remain highly critical against the US MD deployment. In particular, the US THAAD deployment in Korea has recently become the major target of china’s criticism. China has not fully disclosed its own MD ambition yet refuse to conduct discussion with the US on resolving the differences. China’s such contradictory attitude and ambiguity will increase strategic instabil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Meanwhile, Korea will become highly vulnerable to China’s MD. China’s MD will be used against the US forces to enforce its own A2AD concept. If China achieves the capability to counter the US presence in the region, the Chinese MD can be used to support North Korea in the case of hostilities by blocking movement of the US forces during a future crisis in the Korean peninsula. Also the success of the Chinese regional MD might compel the Chinese leadership to undertake more oppressive military posture in the region. The reinforced Chinese MD will create a sphere of strategic instability in the Korean peninsula and Korea is not at all ready to counter such a difficult contingency. 탄도미사일방어(BMD)와 관련한 중국의 태도는 이중적이다. 중국은 시기적으로 6단계에 걸쳐 MD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켜 왔다. 그런 변화에는 미국 MD 비난과 자국 MD 개발이라는 두 가지 일관된 흐름이 있었다. 냉전 시기를 거쳐 2010년대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미국 MD관련 비판은 일관됐고 강도는 거세져 왔다. 최근 주한 미군의 사드배치 비판도 이런 흐름의 연장선에 있다. 그러나 한편으론 MD 개발 속도가 빨라졌고 내용도 깊어졌다. 냉전기에는 움직임이 느리고 소극적이었지만 점차 적극적으로 변했다. 90년대에는 러시아제 미사일 방어망인 S-300을 근간으로 미국의 PAC-3에 버금가는 중국형 HQ(Hong Qui)-9개량 모델이 양산돼 배치되기 시작했다.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망(THAAD, 이하 사드)에 준하는 MD개발도 시작됐다. 2010년 1월의 1차 MD 실험에 이어 2013년, 2014년, 2016년 계속 MD 시험을 했고 우주의 위성공격무기(ASAT: Anti-Satellite Weapon)실험도 했다. 러시아와 미사일방어 합동 훈련도 했다. 한편으론 미국의 MD를 비판하면서 다른 편으론 MD를 실전 배치하고 새로운 실험을 계속하며, 미국을 겨냥해 러시아와 합동미사일방어훈련을 해 온 것이 중국의 MD 역사다. 중국은 그 과정에서 자국의 MD개발 사실에는 거의 침묵으로 일관하고 미국과의 관련 대화도 지속적으로 거부한다. 중국의 이런 이중적 태도와 불투명성은 전략적 불안정을 높인다. 중국의 MD 능력이 확대될 경우 한국은 피해국이 될 수 있다. 중국 MD는 미국의 대륙간탄도탄(ICBM) 공격을 막는 전략적 수단이라기보다 미 군사력의 중국 접근을 막는 지역방어(TMD)용, 반접근/지역거부(A2AD) 수단이다. 중국의 MD 능력이 고도화되면 한반도 위기 시 미 군사력의 동북아 접근을 막아 북한을 지원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 MD자신감이 중국 지도부의 성향을 과격하게 만들어 한국에 미사일과 결합한 군사적 강압 정책을 그렇지 않을 경우보다 편하게 구사하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신장된 중국 MD는 한반도에 전에 없이 새로운 전략적 불안 공간을 만들어 낼 가능성이 높다. 한국은 이에 전혀 대비되어 있지 않다.

      • KCI등재

        알콜과다소모자의 이화학적 소견

        권정화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2 신경정신의학 Vol.31 No.5

        This article examined the commonly used laboratory markers of excessive alcohol consumers (elevated MCV, GGTP, ASAT and ALAT values) in 94 alcoholic men and 50 psychotic men admitted to Seoul Municipal Mental Hospita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lcoholics(n=94)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MCV, GGTP, ASAT and ALAT than the nonalcoholics(n=50). 2) The alcoholics had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s of the abnormal elevated values of MCV, GGTP, ASAT and ALAT than the nonalcoholics. 3) GGTP was the most sensitive marker of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being positive in 81% of alcoholics. As compared to it, MCV, ASAT and ALAT were far less sensitive (42%, 37% and 29% respectively). 4) The sensitivities of laboratory markers of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were improved by using various combinations of MCV, GGTP, ASAT, and ALAT(range of percentage 85∼88%). 5) Age-related differences in laboratory markers were not apparent.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aboratory markers are useful in the detection of excessive alcohol consumers and the diagnosis of alcohol-related health problem.

      • KCI등재

        주변국 우주군사전략이 한국군에 미치는 함의

        박상중,조홍제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20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5 No.4

        This article present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Republic of Korea(ROK) Armed Force by analyzing the development trend of the space military strategy of neighboring countries according to the advanced space technolog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ilitarization and Weaponization of space are intensifying in New Space era. United States(U.S.), China, and Russia are competing to secure Space Superiority. U.S. activated the Space Force in 2019 and is eager to achieve Space Superiority. To this end, it secures a safe space environment by preventing interference and collision in space, guarantees military access to space by using space capabilities, and also actively fosters space industry to provide a foundation for space activities. China is strengthening its Rocket Command and Strategic Support Force to gain an edge in space competition with the United States. In particular, China regards the space military strategy as the core of a great power and is devoted to the development of Space Dream, Space Silk Road, Beidou GNSS, and Anti Satellite Weapon (ASAT). Japan is putting the core mission of the Self-Defense Forces on multidimensional cross-domain operations in space, cyber, and electromagnetic spaces based on the U.S.-Japan integration strategy. Based on the U.S.-Japan alliance, Japan strengthen its capabilities to develop its own advanced space technology while coping with space threats and is building a convergent foundation for advanced space technologies through organic cooperation between the state, related organizations and companies. In addition, Japan is actively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agreements and standards related to space in preparation for space threats from China and Russia. Russia is pushing ahead with the improvement of its satellite system, such as launching capacity, which is the basis of space power, securing a space base, and launching additional navigation and communication satellites to overcome the short of national financial resources. Russia is also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a counterspace system capable of neutralizing U.S. space services to offset U.S. space superiority and strengthen responsiveness. Russia also is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a counterspace system capable of neutralizing US space services in order to offset US space superiority and strengthen responsiveness. In conclusion, the Republic of Korea, as a middle-powered nation, should push forward a defensive space deterrence strategy step by step based on the strong alliance and strengthen its own space power in preparation for the transition of wartime operations control.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첨단우주기술의 발전에 따른 주변국의 우주군사전략의 발전동향을 분석하여 한국군의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뉴스페이스(New Space)의 도래에 따라 우주의 군사화(Militarization) 및 무기화(Weaponization)가 강화되면서, 미‧중‧러를 중심으로 우주 공간에서 군사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미국은 2019년 우주군을 창설하고, 우주우세 달성에 매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주에서의 간섭 및 충돌을 방지하는 등 안전한 우주환경을 확보하고, 우주력(Space Capabilities)을 이용하여 군사적 우주 접근을 보장하며, 우주활동의 토대를 제공하기 위해 우주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중국은 미국과의 우주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로켓사령부와 전략지원사령부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우주군사전략을 강대국의 핵심으로 간주하고 우주몽과 우주 실크로드, Beidou GNSS, 대위성요격체계(ASAT, Anti Satellite Weapon)의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일본은 미일 일체화 전략에 근거하여 자위대 핵심임무를 우주‧사이버‧전자파 공간에서의 다차원 영역횡단작전에 두고 있다. 미일동맹을 기반으로 우주위협에 대처하면서 독자적 첨단우주기술 개발능력을 강화하고, 국가와 관계기관 및 기업 등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첨단우주기술의 융합적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중국과 러시아의 우주위협을 대비하여 우주 관련 국제적 협약 및 기준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러시아는 국가 재원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우주력의 기반이 되는 발사능력, 우주기지 확보, 항법 및 통신 위성 추가발사 등 위성체계 개선을 최우선으로 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우주우세를 상쇄하고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해 미국의 우주서비스를 무력화할 수 있는 대우주체계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주변국의 우주군사전략을 분석해 볼 때 한국은 중견국가로서 동맹을 근간으로 방어적 우주억지전략의 단계적 추진과 병행하여 전작권 전환에 대비한 독자적인 우주력도 강화해 나가야 한다.

      • KCI등재

        A Collaborative China-US Approach to Space Security

        ( Dingli Shen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1 ASIAN PERSPECTIVE Vol.35 No.4

        China and the United States have developed a complex relationship. Facing common threats such as missile proliferation and regional instability, they tend to collaborate for mutual benefit. However, the two countries have hedged against each other for their respective national interests, often acting so as to reinforce each other`s negative security perceptions. Their security dynamism in missile defense and antisatellite (ASAT) operations has furthered their mutual distrust. This article addresses their security dilemmas by suggesting that China and the United States take a more trusting view of each other`s missile defense program, whether at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stage or at deployment. They must develop such systems in an approach of mutual reassurance, allowing a degree of reciprocal vulnerability in order to avoid an arms race. An interim partial space security arrangement is also proposed here, namely, a limited ASAT ban for satellite security in outer space, to soothe respective security concerns and meet each country`s present need.

      • KCI등재

        우주잔해물의 적극적 제거에 관한 비판적 고찰

        김성원(Kim, Sung-Won)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東亞法學 Vol.- No.91

        우주활동의 증가에 따라 우주잔해물 문제는 국제사회가 협력하여 해결해야 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우주잔해물은 국가의 외기권의 자유로운 이용, 탐색 및 접근을 심각하게 제약하며, 외기권 환경의 장기 지속가능성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국제사회는 5개 UN 우주조약의 간접적 적용 및 우주잔해물경감지침 및 우주잔해물경감계획을 수립하여 우주잔해물 문제에 대응하고 있지만, 그 실효성 측면에서는 큰 효과를 보고 있지 않다. 우주잔해물은 기능중인 우주물체의 파괴를 유발하며, 이러한 파괴를 통해서 새로운 우주잔해물이 생성된다. 우주활동의 증가로 우주잔해물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쉽게 전망할 수 있는바, 조속히 실효적인 우주잔해물 경감 및 제거를 위한 현실적인 방법이 고안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주잔해물의 적극적 제거(ADR) 방법은 국제사회가 직면한 우주잔해물 문제의 해결에 있어서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나, ADR은 우주잔해물의 제거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우주잔해물 관련 5개 UN 우주조약의 적용에 관하여 적지 않은 문제를 유발한다. ADR의 시행에서 유발되는 문제는 우주활동에 대한 국가들의 경쟁이 심화되는 점을 감안할 때, 국가 간의 분쟁의 소지가 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ASAT 체제로 사용될 수 있는 ADR의 이중용도를 감안할 때, 우주잔해물의 경감 및 제거로 시작된 ADR의 시행이 우주의 군사화 및 우주의 무기화로 연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우주잔해물 및 ADR의 시행이 야기하는 문제를 직접 다루는 법적 구속력을 가지는 국제적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상기한 문제를 포괄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우주활동에 국가들이 경쟁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이와 같은 국제적 합의는 쉽게 도출될 것으로 전망되지 않는다. 외기권의 평화적 환경유지 및 우주의 군사화 또는 우주의 무기화 방지라는 두 가지 목적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보다 정교한 ADR 관련 기술의 발전이 안정적으로 제시되지 않는 한, 우주잔해물 제거 및 경감 관련 ADR의 시행에서 유발되는 문제는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우주과학기술과 우주법의 밀접한 조우(Close Encounters)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With the increase in space activity, the problem of space debris has emerged as a serious concern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ust cooperate to solve. Space debris seriously limits States" exploration, use and access of outer space, and poses serious problems for the long-term sustainability of the outer space environmen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responding to the problem of space debris by indirect application of the five UN Treaties concerning outer space and introduction of spade debris mitigation guideline and projects. However, these kind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efforts do not yield satisfactory results. Space debris causes the destruction of functioning space objects, and new space debris is created through such destruction. As space debris can easily be predicted to increase further due to the increase in States" space activities, practical solutions for effective space debris reduction and removal must be devised as soon as possible. In this respect, the Active Debris Removal(ADR) will be of considerable help in solving the problem of space debris. However, while ADR can help in the removal of space debris, it raises a number of problems with the application of the five UN treaties with regard to space debris. Problems arising from the ADR are likely to be subject to disputes between States, given the intensifying competition for space activities. In particular, given the dual use of ADR, which can be used as an ASAT system, it cannot be ruled out the possibility that the ADR, which started with the reduction and removal of space debris, will lead to the weaponization and the militarizaiton of outer space. Creating a legally binding international instruments directly addressing space debris and the ADR would be a comprehensive solution to above-mentioned problems. However, it is not expected that such an international legally binding instruments would be easily adopted due to States" competitive participation in space activities. Without the development of more sophisticated ADR-related technologies satisfying requirements of maintaining a peaceful environment of outer space and the attempt to prevent the weaponization and the militarization of outer space, the ADR related to space debris removal and mitigation poses another difficult issues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close encounter between space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ternational space law (Close Encounters of the Third Kind) is in desperate need.

      • KCI등재

        The People’s Liberation Army Rocket Force in Space Warfare: With Available but Incomplete Capabilities

        ( Yuan-chou Jing ) 한국국방연구원 2021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Vol.33 No.3

        Based on the military struggle readiness of Winning Informationized Local Wars, the PLA has underscored the need for dominance in space, looking for a privileged and commanding status in the context of space warfare. To further dictate the whole war, the PLA is currently devoted to the development of anti-satellite weapons (ASAT) to substantiate its Space Control Capabilit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LARF and anti-satellite operations can be seen from two aspects. First, transformation of the military strategy towards the ideal of having both nuclear and conventional capabilities and deterring wars in all battlespaces in the wake of the recent military overhaul of the PLA markedly revealed Beijing’s unwavering intent to force its influence into space. Second, empirical data of the PLARF’s “reconnaissance, control and strike” joint construct and operational equipment showed that the PLARF has entered the developmental stage capable of undertaking successful anti-satellite operation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PLARF is in charge of anti-satellite operations and then conduct this mission with the vertical commanding architecture from the Central Military Commission, Theatres, down to the PLARF units. This study also argues that for now and the foreseeable future, the PLA will focus all its efforts to integrate information links of the combat systems and extend the range of conventional ballistic missi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