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1: 문학,문화콘텐츠의 지역성과 세계화-제주를 중심으로 : 새로운 세계문학 구성을 위한 4,3문학의 과제

        고명철 ( Myeong Cheol Ko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0

        4·3문학에 대해 괄목할 만한 창작 성과와 비평 및 연구 성과가 축적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준열히 경계하고 성찰해야 할 것은 이 성과에 자족하거나안주해버린 채 4·3을 기념화·화석화해서는 곤란하다. 4·3문학은 늘 깨어있어야 하며, 예각화된 시선을 갖고 4·3을 한층 웅숭깊게 탐구해야 한다. 그리하여 4·3문학은 해방공간의 특수한 지역 문제에 한정된 ‘지역문학’으로만 인식되는 것도 아니고, 이 시기를 다룬 한국문학사를 온전히 구축시키는 차원에서 그것의 결락된 부분을 충족시켜주는 데 자족하는 한국문학, 곧 ‘국민문학’으로 만 인식되는 것도 아닌, 세계 냉전체제의 발아되는 현장과 현실에 연동되는 ‘세계문학’의 문제틀(problematics)로서 새롭게 인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4·3문학은 해방공간에서 항쟁 패배자의 기억이 승리자의 기억, 즉 대한민국(미군정의 지원과 미국)의 공식기억(official memory) 속에서 억압·왜곡·부정된 측면을 세밀히 탐구하고, 승리자의 시선 아래 착종·왜곡·은폐된 승리자에 대한 기억 역시 천착해야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4·3문학은 유럽중심주의에 내밀화되지 않고 그것을 창조적으로 넘어, 유럽중심주의로 심화·확산되는 근대성에 매몰되지 않는 ‘또 다른 근대성’을 함의하는 것들 사이의 연대이고, 4·3문학과 트리컨티넨탈의 연대이다. 그런데 이와 함께 4·3문학이 새로운 세계문학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참여적 실현’을 통해 유럽중심주의의 근대세계를 보증하는 문자중심주의의 한계를 넘을 수 있는 문화적 자양분을 4·3 관련 현장으로부터 섭취해야 한다. 특히 4·3문학처럼 언어절(言語絶)의 역사적 참극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우리에게 낯익은 문학의 형상적 사유만으로는 4·3을 온전히 다루는 데 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요컨대, 4·3문학은 폐색적(閉塞的) 내셔널리즘에 갇힌 지역문학과 국민문학의 문제의식과 다른 지구적 국제성을 획득하는, 그리하여 새로운 세계문학 구성에 적극 개입함으로써 4·3이 지닌 평화의 원대한 가치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The literary works, criticisms and researches on 4·3 literature have remarkably been accumulated. However what we strictly watch and retrospect is that the April Third Uprising should not be memorized, fossilized so far as we are satisfied with them. Therefore 4·3 literarture is not recognized as ‘local literature’, restricted the special problem of Emancipation Space, and as ‘nation literature’, Korean literature of which is particularly a role to supply some lacks in order to equipment complete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at has been described Emancipation Space, is capable to be recognized as a problematics of ‘world literature’, linked both place and reality sprouting cold war system. Regarding this, 4·3 literature should investigate in detail what the defeated memory has been oppressed, distorted, denied by the winner memory, the official memory of Korean governments (including U. S. military rule and USA) in Emancipation Space. And 4·3 literature should concentrate on the winner memory which has been entangled, distorted, hided before the winner’s sight. Meanwhile 4·3 literature is not trained by Eurocentrism but overcome creatively it, and can obtain internationality, through global solidarity between them, which it is not wrapped up the Eurocentric modernity, emerging ‘the other modernity’ not to be buried by Eurocentrism. It is solidarity between 4·3 literature and eastern Asia as well as 4·3 literature and tricontinental. By the way, in order to construct new world literature 4·3 literature should ingest cultural ingredients from Jeju through diverse ‘participatory practice’, which can go beyond the limit of literacy centrism, guaranteeing Eurocentric modern world. Especially, in case of 4·3 literature which could not be sufficiently described a horrible historical tragedy, it has no choice but to confront limit on describing 4·3 completely with just imaginary thought to be familiar to us. In other words, 4·3 literature should try to obtain global internationality which is different from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local and nation literature, closed enclosure nationalism. Moreover, 4·3 literature can accomplish peaceful sublime value of which the April Third Uprising possesses as take an intervention constructing new world literature.

      • KCI등재

        제주4‧3시의 현실대응 양상 연구

        권유성 한국근대문학회 2019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0 No.2

        This paper intends to consider aspects of response to reality in Jeju4‧3 poetry. Jeju4‧3 literature has a feature as testimony literature, because it was delayed literature. And Jeju4‧3 poetry has same features. In this paper, it was examined in two parts. One was aspects of it’s representation, the other was aspects of it’s meaning. The poems that represented Jeju4‧3 could be divided in two patterns. The poems that represented situations in those days minimized literary figurations for historical truth. But they effectively avoided simplicity of poetic representation and allergy of realistic description by making diverse poetic style as folk song, shaman song and so on. And the poems that represented situations in later days pay attention to tragical life of Jeju residents. Those awaken the reason why Jeju4‧3 is present progressive event and still a problem that needs to be solved. The poems that examined meanings of Jeju4‧3 also could be divided in two patterns. The poems that search for historical meanings of 4‧3 emphasize recovery of unity of Korea. Because uprising sprit of 4‧3 could be realized through it. On the other hand, some poems that make a point of community solidarity of Jeju residents should pay attention. The poems that search for present and future meanings of 4‧3 emphasize peace and solidarity. Especially, some poems that describes of solidarity between Jeju and different areas where shared genocide effectively remind people of how important the peace. 이 연구는 제주4‧3시의 현실대응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제주4‧3문학은 지연된 문학으로서 증언문학의 특성을 보여주는데, 4‧3시 또한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제주43.시의 현실대응 양상을 4‧3 재현의 양상과 4‧3의 의미 탐색의 양상이라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주4‧3을 시적으로 재현하고 있는 시는 4‧3 당시를 재현하고 있는 시들과 4‧3 이후의 현실을 재현하고 있는 시들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4‧3 당시를 재현하고 있는 시들은 4‧3의 역사적 진실을 가감 없이 재현하기 위해 문학적 형상화를 최소화하는 모습도 보여주었지만, 다양한 시 형식의 활용을 통해 시적 재현의 단조로움과 충격 효과를 일부 완화하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그리고 4‧3 이후의 현실을 재현하고 있는 시들은 4‧3 이후 제주사람들의 비극적인 삶의 모습을 시적으로 잘 재현해주고 있었을 뿐 아니라, 그것을 통해 4‧3이 현재진행형의 사건이자 어떤 형식으로든 해결이 필요한 문제라는 점을 환기해주고 있었다. 4‧3의 의미를 탐색하고 있는 4‧3시도 그것의 역사적 의미를 탐색하는 시들과 현재적이고 미래적인 의미를 탐색하는 시들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회고적이고 역사적인 관점에서 4‧3의 의미를 탐색하고 있는 시들은 4‧3 이전, 즉 분단 이전 상태로의 회복을 강조하고 있었다. 그것은 4‧3 이전의 상태를 회복하는 것이 곧 4‧3 항쟁의 정신을 구현하는 것이라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편으로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섬사람들의 공동체적 연대를 강조하는 시도 주목할 만했다. 4‧3의 현재적이고 미래적인 의미를 탐색하는 시들은 주로 평화와 연대의 가치를 강조하고 있었다. 이 시들은 4‧3이 회고적이고 역사적인 맥락에서만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현재적이고 미래적인 맥락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잘 보여주었다. 특히 제노사이드의 경험을 공유하고 있는 국내외 다른 지역과의 연대를 시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는 시들은 평화라는 보편적 가치의 소중함을 효과적으로 일깨워주고 있었다.

      • KCI등재

        4·3문학, 팔레스타인문학, 그리고 혁명으로서 문학적 실천

        고명철 ( Ko Myeong-cheol ) 한민족문화학회 2019 한민족문화연구 Vol.65 No.-

        This paper shows a significant consciousness how to focus on literary praxis as a revolution of 4 · 3 literature and Palestine literature. What happened historic accident in another region before and after 1948, i.e. the April third uprising in Jeju a little island of eastern Asia and the Nakba before the establishment of Israel in Palestine of the southwest Asia are directly related to new colonial domination of western imperialism after the 2nd world war. Especially as the 70th anniversary in 2018, 4 · 3 literature and Palestine literature have remembered overwhelming catastrophe heart, newly recognized the aspect of its violence, tried to effort to cure the heart of antihuman violence. Meanwhile literary resistances have continuously been going against violence and destroy depended on political ideology and exclusive nationalism/ racism by building a nation state.Regarding this, although the concrete historic situations are different, the April third accident and the Nakba emerge how much close to the status of absolute devil. It has been emerged genocide, national communities dismantle and division as well as refugee of great tragedy. And they are still going on. Literary responses by 4 · 3 literature and Palestine literature intervene existent world literature, it is closely related to revolutionary affect based on each literature involving historical truth.Besides, although there is literary agenda as unaccomplished revolution to pursue, it should establish literary platform for peace communities of which 4 · 3 revolution and Palestine revolution have accomplished when it comes to as narrowly each literature copes with political territory (eastern Asia, southwest Asia) practically, as widely beyond its limit copes with global imaginary territory. Of course, meanwhile 4 · 3 literature and Palestine literature can create alternative modern overcoming existent modern as they break Eurocentric world literature and produce new literary agenda. That’s why 4 · 3 literature and Palestine literature, rooted on 4 · 3 revolution and Palestine revolution, have never forgiven revolution of process, intervened new world literature.

      • KCI등재

        4·3을 둘러싼 ‘기억의 정치’와 문학적 재현의 새로운 모색 - 민주화 이행기 4·3소설에 나타난 항쟁 담론 양상 분석을 중심으로

        김소영 한국문학회 2024 韓國文學論叢 Vol.96 No.-

        제주 4․3을 둘러싼 기억의 정치에서 ‘국가폭력론’은 ‘항쟁’과 ‘폭동’ 간의 담론적 각축 속에서 2000년대 이후 일종의 대항담론으로 부상하였다. 본 연구는 합의된 담론으로서 국가폭력론의 가시적 성과를 인정하면서도, 그것이 4․3뿐 아니라 한국의 과거사와 분단체제를 인식하는 사유체계를 일원화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국가폭력론은 탈이념성을 전제하면서도 4․3의 기억을 ‘대한민국’이라는 범주 안에서 사유하게 하는 국가화 전략에 편승한다는 점을 은폐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은 민주화운동의 열기가 뜨거웠던 1980년대 후반부터 4․3특별법이 제정된 2000년대 이전까지 이른바 민주화 이행기 동안 활발하게 모색되었던 항쟁 담론이 당시 4․3소설 안에 반영된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오늘날 4․3을 둘러싼 기억의 정치에 대한 비판적 사유와 함께 앞으로의 4․3문학의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먼저 주목한 것은, 90년대 이후 한국의 문학장에서 쇠퇴한 분단문학의 여러 테제가 제주의 문학장에서는 80년대 후반부터 싹트기 시작해 90년대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표출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반공 이데올로기의 억압이 완화되면서 중심부 문학권에서 민족, 자주, 통일 등의 담론이 호소력을 잃어가는 시점에, 진상규명이라는 뚜렷한 과제를 앞에 둔 4․3문학은 오히려 활발하게 그것을 전유하여 문학화하였다. 이와 관련해 이 글에서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한 텍스트는 제주작가회의가 펴낸 소설선집 『깊은 적막의 끝』(2001)의 수록 소설들이다. 여기서 항쟁 담론의 반영 양상은 크게 1) 냉전체제 재인식과 탈식민 전략의 지역적 전유 2) 제주적 로컬리티와 개인성 강조로 ‘구성적 외부’ 해체 3) ‘운동’으로서의 4․3의 현재적 변주라는 세 가지 특징으로 나타난다. 우선, 민주화 이행기에 제주문학장에 번역 이식된 김석범 문학은 이후 제주 작가들의 대항담론 전략에 영향을 끼쳤다. 김석범의 「관덕정」과 김석희의 「땅울림」은 ‘우리’의 해방기가 미국을 위시한 세계 냉전체제의 새로운 질서 안에서 타의적으로 재편되고 있는 현상을 거시적으로 꿰뚫어본다. 이는 80년대 후반 이후 민주화운동이 지향하던 ‘반미․반제’에의 한 흐름을 대변한다. 한편 「땅울림」이 보여주는 문학적․정치적 상상력은 ‘국가’나 ‘민족’의 동일성으로 수렴되지 않는 ‘지역’의 관점에서 체제 전복을 꾀함으로써 해방공간에서의 탈식민적 상상력의 범위를 확장해서 사유하려 한 시도를 보여준다. 다음으로, 현기영의 「마지막 테우리」, 오성찬의 「어느 공산주의자에 관한 보고서」, 현길언의 「깊은 적막의 끝」은 간접적인 방식으로 대항담론의 전략을 구사한다. 이 소설들은 남로당과의 직접적인 연결고리를 피하는 대신 그 이념적 기제의 전 도민적 확산을 긍정하는 방식으로 제주도민 전체를 정치적 주체로서의 민중 단위로 묶어낸다. 그러면서 남로당 중앙당 세력이나 지침과의 연결고리를 끊고 제주적 역사성을 간직한 개인들로 ‘산사람들’을 그려낸다. 그러한 개인의 단위에서 발화되는 ‘통일정부 수립’, ‘단독정부 반대’와 같은 슬로건은 냉전적 진영론에 의한 구성적 외부에 대한 적대감을 해체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마지막으로, 고시홍의 「계명의 도시」, 현기영의 「마지막 테우리」, 함승보의 「적을 찾아서」에서는 오늘날 ‘사실’의 영 ... In the politics of memory surrounding Jeju 4․3, ‘discourse of state violence’ has emerged as a counter-discourse since the 2000s amid the discursive competition between ‘resistance’ and ‘riot’. This study acknowledges the tangible results of the discourse of state violence, but I think it can unify the thinking system that recognizes not only 4․3 but also the past history and division system of Korea. Although the theory of state violence presupposes a post-ideology, it conceals the fact that it is following a nationalization strategy that considers the memory of 4․3 within the category of ‘Republic of Korea.’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in which the discourse of the uprising, which was actively sought during the democratic transition period, was reflected in the 4․3 novels at the time.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propose possibilities for 4․3 literature along with critical thinking on the recent politics of memory of the Jeju 4․3. First of all, various themes of divisional literature, which had declined in the Korean literary field since the 1990s, began to spring up in the Jeju literary field in the late 1980s and began to erupt after the 1990s. At a time when the oppression of anti-communism was easing and the discourses of nation, independence, and unification were losing their appeal in the central literary field, the 4.3 literature, which faced the distinct task of uncovering the truth, belatedly appropriated it and turned it into literature. In this regard, this study selected the novels included in “The End of Deep Silence” as texts. The aspects of the discourse of the uprising in the work appear in the following three ways: 1) Recognition of the Cold War system and regional appropriation of postcolonial strategies 2) dismantling ‘constructive outside’ through emphasis on Jeju locality and individuality 3) Current variations of 4․3 as a ‘movement’. First, Kim Seok-beom’s literature, which was translated and transplanted to the Jeju literature field during the democratic transition period, later influenced Jeju writers’ discourse of resistance strategies. Kim Seok-beom’s “Gwandeokjeong” and Kim Seok-hee’s “Earth rumble” provide a macroscopic insight into the phenomenon of ‘our’ liberation period being intentionally reorganized within the new order of the global Cold War system, led by the United States. This represents a trend toward ‘anti-Americanism and anti-imperialism’ that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has been pursuing since the late 1980s. Meanwhile, “Earth rumble” seeks to overthrow the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a ‘region’ that does not converge into the identity of a ‘nation’ or ‘nation’. This is meaningful because it is an attempt to expand the scope of postcolonial imagination in the liberation space. Next, Hyun Ki-young’s “The Last Teuri,” Oh Seong-chan’s “Report on a Communist,” and Hyun Gil-eon’s “The End of Deep Silence” indirectly reflect the discourse of the uprising. These novels intentionally avoid direct connections with the South Korean Labor Party. Instead, it uses a strategy of uniting all Jeju residents as a popular unit as a political entity, showing that the ideological mechanism has spread throughout the entire province. Therefore, the ‘mountain people’ are portrayed as individuals who retain Jeju’s historical character, breaking the link with the forces or guidelines of the Central Party of the South Korean Labor Party. Slogans such as ‘unification government’ and ‘opposition to single government’ uttered by such individuals create the effect of dismantling the hostility toward the outside created by the Cold War camp theory. Lastly, through Go Si-hong’s “City of Commandments”, Hyun Ki-young’s “The Last Teuri”, and Ham Seung-bo’s “In Search of the Enemy”, we can see attempts to make the 4․3, which was stuffed into the pa...

      • KCI등재

        방언으로 씌어 진 경계지대의 역사 - 제주4·3시 방언 활용의 의미와 효과를 중심으로-

        권유성 ( Kwon Yu-seong ) 영주어문학회 2021 영주어문 Vol.47 No.-

        이 글은 제주4·3시의 내적 특질을 언어 사용의 문제, 특히 제주 방언 활용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증언문학으로서의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는 제주4·3시에서 제주 방언은 증언의 (불)가능성의 문제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문제라고 할 수 있었다. 제주4·3시에서 제주 방언은 기본적으로 역사/비역사, 혹은 삶/죽음이라는 제주4·3에서 유래한 경계지대의 목소리를 증언하기 위해 선택된 언어였다고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제주4·3시인들은 이런 경계지대의 목소리를 증언하기 위해 시인으로서의 자신의 존재를 최소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그럼으로써 증언의 가능성과 불가능성을 통합할 수 있는 시 형식을 가능하게 만들고 있었다. 특히 굿시는 이 같은 제주4·3시의 극한 지점을 보여주는 시적 형식이라고 할 수 있었다. 오랫동안 의미의 문턱을 넘지 못했던 희생자들의 모든 목소리들을 증언하기 위해 제주4·3시인들은 스스로의 자리를 희생자들에게 양보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럼으로써 그들은 제주4·3시에 공동체를 위한 자리를 마련하고 있었다. 방언의 적극적인 활용과 굿시와 같은 새로운 시 형식의 창조를 통해 근대시도 고독한 개인의 목소리만이 아니라 공동체의 목소리까지 담아낼 수 있다는 점을 제주4·3시는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런 점은 제주4·3시의 두드러진 성취로 정당하게 평가받을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Jeju 4·3 poems focusing on the problems of language use, especially the use of Jeju dialect. In Jeju 4·3 poems which has a strong character as a testimony literature, the Jeju dialect is a problem closely related to the problem of the possibility of testimony. In Jeju 4·3 poems, Jeju dialect was basically a language selected to testify to the voice of the boundary zone originated by Jeju 4·3 where is a mixture of history/non-history, or life/death. And the Jeju 4·3 poets showed the minimized existence of themselves as poets to testify the voices of these boundary zone, thereby making the form of poetry that can integrate the possibility and impossibility of testimony possible. In particular, ‘Gut Poem’ was a poetic form that showed the extreme point of Jeju 4·3 poems. In order to testify to all the voices of the victims who have not crossed the threshold for a long time, Jeju 4·3 poets showed their concessions to the victims through ‘Gut Poem’. By doing so, they were setting up a place for the community at Jeju 4·3 poems. Jeju 4·3 poems shows that modern poetry can capture not only the voice of a lonely individual but also the voice of a community through active use of dialect and creation of a new form of poetry such as ‘Gut Poem’. This need to be properly evaluated as a remarkable achievement of Jeju 4·3 poems.

      • KCI등재

        4·3이라는 왜상과 이데올로기의 허상 - 「순이삼촌」 론

        이하은(Lee Ha-eun) 한국비평문학회 2021 批評文學 Vol.- No.80

        본 연구는 이데올로기의 허상과 왜상을 통해 「순이삼촌」에 형상화된 문학의 정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순이삼촌」은 작품의 외재적 맥락과 결합하여 제주4·3사건의 재현 양상이나 기억 복원 방식에 초점을 두어 연구되었다. 그러다 보니 작품 자체가 허구를 통해 전달하고자 한 진실과 그것의 정치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연구되지 않은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순이삼촌」의 미학적 측면에서 진실 찾기 플롯의 형성과 그것을 통해 드러내고자 한 진실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진실은 제주 4·3사건이 지배 이데올로기의 허상을 지탱할 왜상으로 기능했음을 의미한다. 「순이삼촌」의 진실 찾기는 기존 이데올로기에 균열을 내는 새로운 시선을 통해서만 되찾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서술자 ‘나’의 설정을 짚어보는 것은 ‘나’가 순이삼촌의 죽음에 최종적으로 부여하는 윤리적 의미를 발견하기 위해 중요하다. ‘나’는 사건 당시 어렸기 때문에 과거의 진실을 증언하기에는 불충분한 기억을 지닌다. 그러나 ‘나’는 순이삼촌과의 만남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회복하면서 제주4·3사건을 야기한 지배 이데올로기를 삐딱하게 바라볼 수 있는 주체로 거듭난다. ‘나’는 순이삼촌의 죽음에 감춰진 진실을 추적하면서 4·3 왜상을 만들어낸 이데올로기의 기만적인 허상을 간파한다. 이데올로기는 권력의 공포를 가시화하기 위해서 무의미한 기표에 과잉된 의미를 부여한다. 이후 그것에 무차별적 폭력을 가함으로써 내부를 통제하는데, 제주도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제주4·3사건 속에 자행된 민간인 학살은 그 장소에 공비가 없음에도 있다는 논리를 지탱했으며, 제주도민들은 그 환영을 붙들어 매는 왜상이 된다. 「순이삼촌」의 진실 찾기 플롯은 제주4·3사건을 하나의 왜상으로 이용한 이데올로기의 기만을 폭로한다. 이데올로기의 공백은 제주4·3사건의 규정한 방식에 균열을 가하며 새로운 관점에서 그것의 의미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빨갱이로 매도되던 역사를 바로잡고 침묵하던 진실을 드러낼 수 있다. ‘나’의 시선은 ‘순이삼촌’이라는 형상 속에서 왜상을 작동시킨 이데올로기의 거짓된 논리를 들춰내고 침묵했던 진실을 가시화한다. 이와 더불어 ‘길수’와 ‘나’의 말하기는 위험을 무릅쓰고서라도 진실을 지키기 위한 파레시아의 윤리적 실천에 해당한다. 젊은 세대는 기존 이데올로기와 화합할 수 없는 분열적인 목소리를 냄으로써 진실의 위기를 이겨내고자 한다. 이와 같이 「순이삼촌」은 침묵하던 진실을 외치는 윤리적 말하기를 실천한다. 이것이 「순이삼촌」이 허구를 통해 펼쳐나간 문학의 정치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n Anamorphosis of 4·3 and an illusion of ideology through “Sun-i Samchon.” Previous studies are focused on how it represents Jeju 4·3 incident or how characters recall their past. For that reason, relatively “Sun-i Samchon”’s aesthetic aspects have not been studied. Therefore,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finding truth plot and the matter of truth on “Sun-i Samchon.” It means that Jeju 4·3 incident was the anamorphosis for sustaining an illusion of anti-communist ideology. Finding truth in “Sun-i Samchon” can only be recovered through a awry perspective that cracks the existing ideology. To this end, it is important to look at the setting of narrator “Sangsu(I).” If the purpose of this novel is to give testimony of a tragedy of Jeju 4·3 incident, Sangsu is an unreliable narrator. Because he was so young at that time, he could not know what causes this tragic incident. However, Sangsu is the right person to deliver Sun-i samchon’s truth. Because he can look the dominant ideology awry after accepting his Jeju identity. Sangsu notices the illusion of ideology by tracing the hidden truth in Sun-i’s death. Ideology gives excessive meanings to the empty signifier, which is an anamorphosis, to visualize the fear of power. For a long time, Anti-communist ideology in Korea had been a control mechanism to justify punishment to those who had opposed the government. It activates indiscriminate slaughter in Jeju. The incident represented in this novel shows that 4·3 was an effective anamorphosis to control Jeju island. Government power made innocent people all communist and killed them even if they weren’t red guerrillas. In other words, ‘Jeju-island’ or ‘jeju residents’ became the anamorphosis in 4·3 incident that sustained the illusion of ideology. Although government power still defines Jeju 4·3 incident as a communist riot, Younger generation in “Sun-i samchon” insist that this tragedy should be revealed. While older generation hesitate to tell the truth or they reject it, younger one do not step back. They try to lift their voices in spite of the danger they might get involved. This is the way how to show an ethics of parrhesia and to make politics of literature in “Sun-i samchon.”

      • KCI등재

        영어권 문학을 통한 한국 지역 문화와 현대사 이해 - 북미 독자층의 『해녀들의 섬』 수용 분석

        최희영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論叢 Vol.79 No.3

        This study examines the response of North American readers of The Island of Sea Women: A Novel, written by the New York Times best-selling author Lisa See in 2019. The Island of Sea Women is about female friendship and devastating family secrets of two women named Young-sook and Mi-ja on the Jeju Island, located sou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historical novel covers the period from 1938, when Japan occupied Korea, to 2008, when Jeju 4 · 3 Peace Park was established. The third chapter, describing the chronological sequence of events related with the Jeju 4 · 3 Incident, reveals how one’s personal life was affected by power and violence of the state. The Island of Sea Women is in line with 4 · 3 literature, which has been in the spotlight recently in the Korean literary world; however, it differs from other examples in that the author is neither Korean nor a person of Korean descent. This study, focusing on the fact that its targeted audiences are also North Americans, investigates 12 book club discussion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literature in promoting the public interest in Korean local culture and Korean contemporary history such as the Jeju 4 · 3 Incident 본 연구는 2019년 미국 베스트셀러 작가 리사 시(Lisa See)에 의해 집필된 『해녀들의 섬』(The Island of Sea Women: A Novel)을 북미 독자층이 어떤 텍스트로 수용하고 있는지 고찰한다. 『해녀들의 섬』은 일제강점기인 1938년부터 4 · 3평화공원을 개관한2008년까지 제주를 배경으로 주인공 해녀 영숙과 미자의 우정과 상실, 국가폭력과 상흔을 생생하게 그려 낸 역사 소설이다. 이 중 제3장은 1947년부터 1950년까지의 제주4 · 3사건을 배경으로 국가 통제와 폭력에 의해 개인의 삶이 어떻게 굴절될 수 있는지를 묘사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해녀들의 섬』은 최근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제주4 · 3사건 관련 문학 활동의 연장선이라 볼 수 있다. 단 작가인 리사 시가 혈통이나 문화적 배경 면에서 한국과 무관한 미국 백인 여성인 점에서 기존의 4 · 3문학과 다르다. 본 연구는 작가뿐만 아니라 북미 거주 비한국인이 중심 독자층을 구성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총 12편의 논평회에서 토론된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북미 독자층의 『해녀들의 섬』을 향한 반응을 검토한다. 본 연구를 통해 영어권 문학이 북미 대중들의 한국지역 문화 및 현대사를 향한 관심과 이해를 촉진하는 데에 효용성이 있음을 확인하고자한다.

      • KCI등재

        지역의 정체성과 기억의 정치학 - "3,15마산의거"의 시적 형상을 중심으로

        김문주 ( Mun Joo Kim ) 민족어문학회 2014 어문논집 Vol.- No.72

        이 논문은 ‘3·15마산의거’(1960)를 소재로 한 시들을 대상으로 지역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데 민주화운동의 경험과 기억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는 한국근대사의 중요한 사건이면서도 빈약한 문학적 생산성을 보여준 ‘4월혁명문학’의 의미를 새롭게 사유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3·15’는 지난 50년동안 지역의 현실과 역사를 성찰하는 거울로서 기능해왔으며, 지역의 정체성을 구성하고 정립하는 투쟁의 거점으로 자리해 왔다. 지역의 시인들, 혹은 지역 출신시인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생산된 ‘3·15’ 관련 시편들은 ‘3·15’가 과거에 종결된 역사적 사건이 아니라 지역 공동체의 내면을 이루고 있는 생생한 현재적 의식임을 웅변한다. ‘3·15’ 시편들에 투영된 현실은 지역의 현실만이 아니라 질곡과 왜곡의 역사를 지나온 민족의 현실이었으며, 이 작품들은 망각의 욕망을 넘어 공동체의 정신적 자산을 보존하고자 한 기억의 투쟁 장소였다. 이 글에서는 ‘3·15’ 가 지역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데 끼친 영향을 ‘3·15’ 시들의 시대별 변화 양상을 통해 살폈다. 이 글이 ‘3·15’ 시작품을 통해 특정 지역의 정체성을 살피고자 한것은, 지역문학 연구의 일환이라기보다 ‘지역주의’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기억-투쟁의 장소로서의 혁명문학’, 민주적 의식의 보편성에 기초한 지역문학의 현실적사례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함이다. This paper was intended to illuminate the important role and memory of the pro-democracy movement constituting the regional identity by the poems that were based on ``3·15 Masan movement(1960)``. It was not only the important event of modern Korean history but also the work to think the meaning of ``April Revolution-literature`` that showed us the poor literary productivity. ‘3·15’ has functioned as a mirror that introspect the local reality and history for the last 50 years, and it has positioned as base of struggle place that constitute and establish regional identity. The poems about ``3·15`` that were written consistently by local poets or the poets from that region express that the ``3·15`` is vivid realistic awareness that form inner side of local community, not the historical events which ended in the past. Reality that was projected in ``3·15`` poems was not only the local reality but also the national reality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istory of distortion and fetters. Also, the poems were the struggle place of memory that wanted to preserve mental asset of community over the desire of oblivion. In this paper, the effect of ``3·15`` that influenced local to form identity is described through the aspect of chronological changes in the poems of ``3·15``. The reason that this paper wanted to search the specific regional identity through the poems of ``3·15`` was to identify ``revolution literature as a memory-struggle place`` that critically introspect ``regionalism``, the realistic case of local literature that were based on universality of democratic than the part of research of local literature.

      • KCI등재

        세계문학으로서의 재일조선인문학- 김석범과 김시종 -

        김재용 영주어문학회 2024 영주어문 Vol.56 No.-

        김석범과 김시종은 재일 조선인 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작가로 평가 받는 작가이다. 한국문학에서는 주로 4‧3과 관련한 작가로 조명받았기 때문에 이산의 작가로서의 문제성을 제대로 조명되지 않았고, 일본문학에서는 재일 조선인 작가로서의 이산의 문제에 국한되어 4‧3으로 인해 발생한 난민의 문제에 대해서는 도외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난민의 이산문학이란 차원에서 연구하였다. 이 두 작가의 작가적 출발의 원풍경에 해당하는 4‧3에 기반을 두면서도 재일조선인의 이산 문제를 복합적으로 규명하여난민의 이산문학이 갖는 김석범과 김시종의 문학적 특성을 해명하였다. 이 과정에서김석범 작가가 김사량을 전유하고, 김시종 작가가 김소운을 비판하는 것의 문제의식을 난민의 이산문학과 관련하여 조명하였다. 또한 이 작가들의 문학을 단순히 한국문학 혹은 일본문학의 층위가 아닌 세계문학의 틀에서 바라보는 시각을 개발하였다. 또한 난민의 이산문학이라는 오늘날 세계문학론에서 가장 뜨거운 주제 중의 하나이다. 이산문학에는 이민의 문학이 있는가 하면, 난민의 문학도 존재한다. 그런데 김석범과 김시종은 단순한 이민이 아닌 4‧3과 직간접으로 연관을 맺으면서 일본으로 갔기 때문에 난민의 정체성을 갖고 살 수밖에 없었고 이를 자신의 문학적 기반으로 삼아 중요한문학적 성과를 남겼다. 그런 점에서 오늘날 난민의 이산문학으로 세계문학의 측면에서 큰 평가를 받고 있는 인도 출신의 루시디라든가 잔지바르 출신의 구르나와 같은 작가와 동렬에서 평가할 수 있는 세계적 작가로 평가할 수 있다. Kim Seok-beom and Kim Si-jong a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writers in Korean Japanese literature. Since he was mainly illuminatedas a writer related to the April 3rd uprising in Korean literature, theproblem of diaspora writer was not properly illuminated, and inJapanese literature, the problem of refugees caused by the April 3rduprising was limited to diapora writer. In this study, the diasporaliterature of refugees was studied. Based on the April 3rd uprisaing,which corresponds to the origin of the writer’s starting point, theliterary characteristics of Kim Seok-beom and Kim Si-jong wereelucidated by complexly identifying the diaspora problems of Koreansin Japan. In this process, Kim Seok-beom’s appropriation of KimSa-ryang and Kim Si-jong’s criticism of Kim So-un was highlightedin relation to diaspora literature of refusgee. In addition, these writers’literature was studied by the perspective from world literature, notsimply from the level of Korean or Japanese literature. refugeeliterature is one of the hottest topics in today’s world literature theory. In diaspora literature, there is both immigration literature and refugeeliterature. However, Kim Seok-beom and Kim Si-jong were forced tolive with refugee identity because they escape from Jeju to Japandirectly or indirectly, not immigration. They made important literaryachievements by using it as their literary base. In this regard, twowriters evaluated as a world-class writer can be compared with writers such as Rushdie from India and Gurna from Zanzibar, who are highlyregarded on the world literature stage today for the diaspora literatureof refugees.

      • KCI등재

        김석범ㆍ[화산도]ㆍ<제주4ㆍ3> - [화산도]의 역사적/문학사적 의미 -

        김환기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5 일본학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cultural historical and literary meaning of Hwasando published in Korean by Kim Seok Beom. As you can see, Hwasando is a work that describes rampant contradictions/absurdity during the political liberation of Jeju (Jeju 4.3). I think that “Hwasando”, published in Korean, should be recognized for following aspects. First, “Hwasando” is an epic that describes the turbulent liberation of Korea and fills the space of Korea Contemporary Arts history. It is also our self-portrait and mirror-- not the subject of political or ideological taboo--and the blooming of Jeju Literature as well as the apex of 4.3 literature.“Hwasando” describes the history, folklore, politics, ideology, social and cultural points of the social, geographical and ecological nature of the Korean peninsula's history in detail. It has characteristics of resistance and exposé literature from a realistic point of view. It also should be noted that it is a work that opens the door to world literature based on borderlessness and pacifism in a universal writing beyond nationalism in Northeast Asia. In addition, “Hwasando” overcomes traditional pure-blood ethnicism that is widespread in Korea/Korean/Korean society and it is very didactic literature that ensures global competitiveness. It is also remarkable that it asks questions of the fundamental nature of human problems such as ethnic identity/transformation of worldview, and the existential anguish of the Korean Japanese. Therefore, “Hwasando” requires more broad spectrum research of the diasporas world view, universality, and literary texts that are deeply related to world literature in terms of borderlessness.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판으로 출간된 김석범의 『火山島』가 역사문화사적/문학사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주지하다시피 『화산도』는 제주도(제주4ㆍ3사건)에 횡행했던 해방정국의 모순/부조리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이다. 필자는 이번 한국어판 『화산도』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주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먼저 『火山島』가 한국현대문학사에서 격동기 해방정국을 형상화한 장편서사로서 한국현대문학사의 공백을 채워주는 텍스트라는 점, 정치ㆍ이념적으로 터부의 대상일 수 없고 우리들의 자화상이자 거울이라는 점, 제주문학의 꽃이며 <4ㆍ3문학>의 정점에 해당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 그리고 『화산도』가 해방정국에 팽배했던 한반도의 역사ㆍ민속, 정치ㆍ이념, 사회ㆍ문화적 지점을 제주도의 생태학적 자연ㆍ지리ㆍ생활을 잘 용해시켜 구체적으로 그려낸다는 점, 현실주의적인 관점에서 역사적 사실을 복원해내며 저항/고발문학의 성격을 띤다는 점, 동북아시아의 국가중심주의를 넘어 월경과 평화주의에 입각한 보편적 글쓰기를 실천한 세계문학의 가능성을 연 작품이라는 사실도 간과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화산도』가 한국/한국인/한국사회에 팽배한 전통적 민족순혈주의를 극복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매우 교훈적인 문학텍스트라는 점, 재일코리안의 자기/민족적 정체성, 세계관의 변용, 실존적 고뇌 등 인간문제의 근원적인 명제까지도 질문을 던지고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볼 때 김석범의 대하소설 『화산도』는 월경적(국가와 민족) 차원에서 디아스포라의 세계관, 보편성, 세계문학과 관련이 깊은 문학텍스트로서 좀더 넓은 형태의 연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