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글로벌 건설시장에서의 요구기술과 건설재교육 공급현황 간 차이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도출

        이슬기(Lee, Seul-Ki),신승우(Shin, Seoung-Woo) 대한건축학회 201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4 No.9

        Demand for construction technology is expected to change due to changes in domestic and foreign construction markets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particular, demand for project management strategy and project management capability is even more increasing rather than existing production technology capability. However, the current re-education program for engineers and technicians in construction industry is not matching the need of improving capacity required to reflect the demand of construction technology from construction industry. Therefore, in this study, as a part of efforts in innovating the current global construction talent re-education system to cope with the chang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e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mand of construction technology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construction re-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re-education of construction,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to gather opinions from construction engineers who attended construction re-education program and also from industrial partners that are jointly doing business. This study can be an example to improve the construction re-education program as a system for substantially reinforcing the competence of engineers rather than those programs that are merely verifying and/or extending engineers’ certification.

      • KCI등재

        ESG 경영전략 기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설업을 중심으로-

        박수만,정형일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23 로고스경영연구 Vol.21 No.1

        Global companies are declaring net zero and 100% use of renewable energy(RE100), which is in a state where carbon emissions are not increasing, and are calling for social responsibility and transparent management for sustainable management. Advanced countries are obligated to disclose ESG in conjunction with climate change, and if regulations are tightened, it will appear as an entry barrier for Korean exporters. ESG management refers to all management activities that enable corporate continuous growth by leading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such as reducing carbon emissions, increasing corporate value through social contribution, and practicing governance that strictly complies with laws and ethics. When analyzing the eco-friendly effect of each case of ESG management strategy, SK Innovation, Hyosung T&C, and Hanwha Qcells achieved eco-friendly performance based on innovation in production facilities and processes.In additio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s share of GDP and real output are stagnating, and growth and profitability are showing a decreasing trend during the 2017-2020 period. Structural problems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were discussed focusing on structural problem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such as strengthening regulation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comprehensive bidding system,division of labor, and specialization. According to the preliminary evaluation of ESG by the Korea Economic Daily, Hyundai Engineering & Construction and GS Engineering & Construction were rated C, respectivel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SG evaluation of maekyung and sustainable power plants, as of February 2021, the overall ESG score of the top 100 domestic market capitalization companies was 54.24, and Hyundai Engineering & Construction was included in the middle and lower ranks with 53.35 and GS Engineering & Construction 51.87.The construction industry is a representative non-green industry, and various construction wastes are inevitably generated in the process of material processing,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work. Construction companies such as Samsung C&T, SK Eco Plant, POSCO E&C, Hanwha E&C, and DL E&C issued ESG bonds. Due to the small size of the professional construction industry, the understanding and introduction performance of ESG management strategies by worker size is low, and the cost burden of ESG promotion is a limiting factor in introducing ESG management strategies. As a future research project, I would like to present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introducing ESG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between ESG cost burden and sales and value added by company. 글로벌 기업은 탄소배출이 증가하지 않는 상태인 넷제로(net zero)와 신재생에너지 100% 사용(RE100)을 선언하는 추세이며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사회적 책임과 투명경영을 촉구하고 있다. 선진국은 기후변화와 맞물려 ESG 공시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규제를 강화할 경우 한국 수출기업에게는 진입장벽으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ESG 경영은 기업이 탄소배출 저감 등 환경보호를 선도함과 동시에 사회공헌을 통해 기업 가치를 높이며, 법과 윤리를 철저히 준수하는 지배구조 확립을 실천하여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제반 경영 활동을 의미한다. ESG 경영전략의 도입사례별 친환경 효과를 분석하면 SK이노베이션, 효성티앤씨, 한화큐셀의 경우 생산설비 및 공정의 혁신을 기반으로 친환경 성과를 달성하였다. 그리고 국내 건설업의 GDP 비중과 실질 생산액의 침체와 성장성 및 수익성이 2017∼2020년 기간동안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국내 건설업의 구조적 문제점으로는 건설업 규제의 강화, 종합심사낙찰제의 한계, 분업과 전문화 등 건설업의 구조적 문제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한국경제신문의 ESG 사전평가에 따르면 건설업은 현대건설과 GS건설이 각각 C등급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매경·지속가능 발전소 ESG 평가에 따르면 2021년 2월 기준 국내 시가 총액 100대 기업의 ESG 종합점수는 54.24이며 현대건설 53.35, GS건설 51.87 등으로 중하위권에 포함되었다. 건설업은 대표적인 비친환경 업종으로서 자재 가공, 재개발·재건축 공사 진행과정에서 각종 건설폐기물 발생이 불가피하다. 삼성물산, SK에코플랜트, 포스코건설, 한화건설, DL이앤씨 등의 건설사가 ESG 채권을 발행하였다. 전문직별 건설업은 규모의 영세성으로 인해 종사자규모별 ESG 경영전략에 대한 이해도와 도입실적이 낮은 실정이며, ESG 추진상의 비용 부담이 ESG 경영전략 도입의 제약요인으로서 제4차 산업혁명의 도약을 저해하고 있다. 향후 연구과제로서 건설업의 ESG 비용 부담과 업체별 매출액 및 부가가치간의 실증분석을 통한 건설업 ESG 경영전략 도입효과 분석을 연구과제로 제시하고자 한다.

      • Closure-implicative Re-sayings in Korean Conversation

        박재은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논집 Vol.26 No.-

        본 논문은 대화분석적 측면에서 한국어 대화에서 나타나는 재언급을 살펴본다. 말차례나 순서를 닫는 역할을 하는 재언급을 크게 두 가지, 즉 반복 재언급과 대용형 재언급으로 분류하여 분석한다.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대화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두 가지 타입의 재언급은 모두 말차례나 연속체를 끝맺음하는 기능이 있으며, 끝맺음은 다음 화자가 신속하게 새로운 말차례를 발화하거나 현재 화자가 새로운 말차례를 발화하여 주제의 전환을 이끌어냄으로써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재언급이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및 대용형 재언급이 끝맺음 최후 통첩을 위한 자원으로 활용되는 현상에 대하여 논의한다. From a conversation analytic perspective, this paper examines the practice of re-saying through which a turn or sequence is closed down in Korean conversation. Two types of re-sayings are addressed: repeat re-sayings and pro-form re-sayings. The examination of naturally occurring conversation data indicates that both types of re-sayings are closure-implicative in that they close down a turn or sequence. The closure is marked by the immediate start-up of a next speaker or by the launching of a new turn by the current speaker who subsequently initiates a new topic. It is also shown that re-sayings can be repeatedly deployed in the face of failing to close down a turn or sequence and that pro-form re-sayings can serve as a closing ultimatum.

      • KCI등재

        프랑스 건설도급의 현황과 쟁점 : 프랑스 민법상 건축수급인의 하자담보책임을 중심으로

        여하윤 홍익대학교 2010 홍익법학 Vol.11 No.1

        본 논문에서는 프랑스 민법상 건축 수급인의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내용을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필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프랑스 민법 제1792조 이하에서는 건축물의 하자의 경중(輕重)을 건축물이나 부속설비의 기능 내지 목적에 따라 판단함으로써 그 판단기준의 구체성 내지는 합리성을 도모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프랑스 민법의 태도는 향후 우리 민법을 운용함에 있어서 좋은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둘째, 우리 민법 및 판례는 도급인이 건축수급인을 상대로 하자담보책임의 일환으로서 계약해제권을 행사하는 것에 대해서는 매우 소극적인 것과 달리, 프랑스 법원은 건축물의 하자가 심히 중대할 경우, 건축수급인에게 수급인의 비용으로 건축물을 파괴할 것을 명하기도 한다. 부실 건축은 막대한 인명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완성된 건축물에 대한 계약 해제의 가능성을 봉쇄하고 있는 우리 민법의 태도(민법 제688조)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셋째, 프랑스 민법 제1792조의 6에서는 건축수급인의 담보책임에 관한 규정을 강행규정으로 함으로써 도급인을 강하게 보호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프랑스 민법의 태도는 건축도급인과 건축수급인이 의무적으로 건축보험에 가입하도록 되어 있는 점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Dans ma the`se, j´ai etudie´ la responsabilite´ des constructeurs dans le code civil franc¸ais sommairement. Pour terminer, je souhaiterai conclure sur les trois points suivants. D´abord, et selon les art. 1792 s. du code civil francais, si les d´esordres de construction sont graves ou non de´pendant du fait qu´ils re´sultent de la fonction "construction" ou de la fonction "e´quipement". A` mon avis, c´est une attitude raisonnable, alors de`s maintenant on pourra s´y re´fe´rer. Ensuite, le code civil et la jurisprudence en Core´e du Sud permettent rarement a` des mai^tres de l´ouvrage d´exercer une action en re´solution du contrat de construction contre les constructeurs. A` l´oppose´, le code civil et la jurisprudence en France l´admettent, c´est pourquoi des constructeurs en France sont force´s de detruire ce qu´ils ont construit si les de´sordres de construction sont tre`s graves. Parce que la construction fragile pourra menacer la se´curite´ de la vie et du corps, je pense qu´il serait ne´cessaire de changer de notre point de vue. Enfin, selon l´art. 1792-6 du code civil francais, les dispositions concernant la responsabilite´ des constructeurs ont un caracte`re impe´ratif. Ce qui est different du code civil core´en. Il me semble que cela est du^ a` l´assurance de construction rendue obligatoire en France par la loi n°78-12 du 4 janvier 1978. Cette dernie`re n´est pas obligatoire en Core´e du Sud.

      • KCI등재

        正典의 재구성을 통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일제강점기~분단이후’ 김소엽 소설을 중심으로

        김현주 반교어문학회 2009 泮橋語文硏究 Vol.0 No.26

        This thesis has started on the recognition of problem that the Official Canon has lack suggestion of various aspects of Korean society, which is being treated in the Korean culture education. The final purpose of Korean culture education is to make learners recognize variety of culture on the background of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s well as language fluency, and have wide viewpoints for the world. Therefore, deriving learners only with purified Korean literature to Korean culture can be only a mere looking at an aspect of Korean society, or be an extortion of suppressive memory of culture which makes Korean image to one-sided internalization which Korean society wants to remember. Therefore, we need to re-construct Literal Canon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on the background of open view point. In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o make use of Kim So-yeop’s novel which is a Potential Canon, to help to overcome the limit of literature of existing use. Korean study has faced more political difficulties and social changes than any other countries. His novel can suggest variety, complexity and specialty of Korean society which can’t be forwarded by Official Canon, because his novels can show not only the feature of Japanese colonial era, Korean independent era, and even the aspects of North Korea which is not easy even to approach. With rapid development on the basis of era of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Korean educational field should not overlook the attitude of re-unification, understanding for the north Korea, as well as reflection. Therefore, re-construction of Official Can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or escaping-from-canon should be continuous topic. It means possibility of various interpretation of foreign learners for Korean society, and it seems to take a role to make net of various and complicated relation as well as grasping of open view point of Korean society in this multi-culture society. 본고는 한국 문화 교육에서 다루어지는 ‘공식적 정전’(Official Canon)들이 한국 사회의 다양한 일면을 제시하는 데 부족하다는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한국 문화 교육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언어 숙달과 함께 문화의 다양성을 인식하고 세상을 보는 눈을 폭넓게 기르도록 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하겠다. 사회, 정치적으로 정제된 한국의 문학만으로 한국 문화에 접근하도록 유도하는 것은 다양한 언어와 정치적 환경 속에서 자란 학습자들에게 자칫 한국 사회의 단면만을 피상적으로 보여주는 데 그치거나 한국 사회가 기억하고 싶은 한국의 이미지를 일방적으로 내재화 하도록 하는, 한국 문화에 대한 억압적 기억을 강요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열려진 시각을 바탕으로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해 문학 정전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기존에 활용되는 문학들의 한계를 메워주고 한국 사회에 대한, 보다 총체적이고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잠재적 정전’(Potential Canon)인 김소엽 소설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 사회는 어느 나라보다 정치적 굴곡과 사회 변화를 핍진하게 겪어왔다. 김소엽 소설은 일제강점기, 해방기의 한국 모습뿐만 아니라 접근조차 용이하지 못한 북한 사회의 단면까지 보여 줄 수 있어 ‘공식적 정전’이 전하지 못하는 한국 사회의 다양성과 복합성, 특수성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세계화, 국제화 시대를 바탕으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한국어 교육계가 통일 문제, 북한에 대한 이해와 수렴의 자세를 간과할 수는 없다. 이에 한국어 교육을 위한 정전의 재구성, 혹은 탈 정전화는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외국인 학습자에게 한국 사회, 문화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 두는 것은 다문화 시대에 그들과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관계의 망을 형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스펜서브라운의 “재진입”과 그 과학철학적 의의: x2+1=0에 숨겨진 시간과 상상의 세계

        이철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2

        Spencer-Brown calculated the principle of something existing on terms of distinction, indication and time units. Distinction is an alternative concept of existence, indication one of cognition, and for time units signs like progress(⇀), regression(↽), or progress and regression(⇌) are used. Distinction takes the form of ‘this side/boundary/the other side’, and for the form to be determined, this side has to be indicated, being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side. This requires three stages. Firts of all, distinction has to be presupposed as form. Secondly, by means of the numerous repeating crossing indication and calling indications, it comes to the state of oscillation between indication side and distinction side. Thirdly, re-entry, as the third side, is accomplished in the time dimension of the same space. At the moment of re-entry, distinction/indication/re-entry is actualized as existence/cognition/time, and an according form is accomplished. Re-entry is an modern alternative of subject. Subject, as a theory figure of substance theory, can observe only the objective difference of the subject, thereby not being itself unchanged. On the other hand, re-entry, changing itself as the result of its observation, produces the social difference between it and its observation subject, the tim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and the objective difference in terms of something being selected. And re-entry does not influence to the reality of observation. Re-entry is calculated as 0. It is a neutral instrument of observation which modernly alters the subject always occupying 1. 스펜서브라운은 구별, 지시, 시간 단위를 갖고, 존재함의 원리를 수학적으로 계산하였다. 구별은 존재를, 지시는 인지를 표현하는 관념이며, 시간 단위에 대해서는 진행(⇀), 역진(↽), 또는 진행과 역진(⇌)과 같은 기호들이 사용된다. 구별은 ‘어떤 것/경계/다른 것’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형식이 확정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다른 것과 구별되는 조건에서 지시되어야 한다. 이것은 세 단계를 필요로 한다. 먼저 구별이 형식으로서 전제되어야 한다. 둘째, 횡단 지시와 부르기 지시의 무수한 반복으로, 지시 면과 구별 면 사이의 진동 상태에 이른다. 셋째, 같은 공간 안의 시간 차원에서 이 두 면을 통합하는 재진입이 세 번째 면으로서 실행된다. 재진입 순간, 구별/지시/재진입은 존재/인지/시간으로 실현되며, “형식”이 완성된다. 이러한 재진입은 주체의 근대적인 대안이다. 주체는 실체이론적인 이론 유형으로서 자신은 변하지 않은 채 대상의 사실적인 차이만 관찰할 뿐이다. 반면 재진입은 관찰 결과 자신이 바뀌며, 자신과 관찰대상의 사회적 차이, 이전과 이후의 시간적 차이, 선택된 어떤 것으로 인한 사실적 차이를 만들어낸다. 그리고 그 자신은 관찰 현실에 인과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재진입은 0으로 계산된다. 이것은 항상 1을 점유하는 주체를 근대적으로 대체하는 중립적인 관찰도구이다.

      • KCI등재

        랑시에르의 정치적인 미학을 통해 본 <공간구축>에 대한 연구 - 로드첸코의 팍투라를 중심으로

        김원영,박숙영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the art activities by analyzing the Faktura shown in the Russian Constructivist Alexander Rodchenko's Spatial Construction series. For the study, the analysis was focused on Politics of Aesthetics theory of Jacques Rancière. Politics of Aesthetics is an art practice that seeks to show itself as a common sense experience by paying attention to a sense that has been alienated from the existing system, and a social practice in which all members of society want to change their senses and attitudes through an autonomous and open sense. From this perspective, one can find a point of Politics of Aesthetics in Rodchenko's art activities that reflected the political environment of Russia at that time, seeking equality and free liberation by recreating the existing hierarchical system. In the Spatial Construction series, he emphasized the Faktura, in which industrial materials invented at that time become art works as a way of resisting and switching to the traditional vertical structure, and revealed the process of an industrial system of art works. The Spatial Construction series experimented with the combination and reconstruction of scientific and mathematical construction methods, the interaction of light and material object, and dynamic movements, and valued the interaction with the viewer through the installation method and expansion of the living space of the work. These changes are aimed at criticizing the autonomy of art, which is a bourgeois-centered art system, and in the pursuit of the autonomy of aesthetic experience, which aims for the liberation of art by reconstructing the hierarchical order of existing art and creates a new sense. As a result, Rodchenko’s Faktura is a political aesthetic reflecting the political situation in Russia at the time and its inseparable from art, indicating that the art's formative innovation was a political practice that went beyond just a certain combination of materials and was an experiment to be reunited with the field of life for all and an intervention in a realistic life. 본 논문의 목적은 러시아 구축주의자 알렉산더 로드첸코(Alexander Rodchenko)의 <공간 구축>에 나타난 팍투라(Faktura)를 분석하여 그 예술 실천에 함의된 정치적인 의의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간 구축>의 팍투라는 자크 랑시에르(Jacques Rancière)의 정치적인 미학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랑시에르의 정치적인 미학은 기존 예술 체제에서 소외되었던 감각을 공통의 감각 경험으로 드러내는 예술의 실천이자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이 자율적이고 개방적인 감각을 통해 자신의 감정과 행동방식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사회적인 실천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당시 러시아의 정치적 상황을 반영한 로드첸코의 예술 활동에서 기존의 위계적인 체제를 재구축하여 평등과 자유로운 해방을 추구한 정치적인 미학의 지점을 발견할 수 있다. 로드첸코는 <공간 구축>에서 기존 체제에 대한 저항과 전환의 방법으로 당대 발명된 산업재료가 곧 작품이 되는 팍투라를 강조하였고, 산업 시스템적인 제작방식을 적용하여 그 과정을 드러내었다. <공간 구축>시리즈는 과학적이고 수학적인 구축 방식으로의 결합과 재구축, 빛과 물질의 조응 관계, 역동적인 움직임 등을 실험했고, 작품의 설치와 전시를 일상 공간으로 확장하여 관람자와의 상호작용을 중시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부르주아 중심의 예술 체제인 예술의 자율성을비판하고 기존 예술의 위계질서를 재구성하여 예술의 해방을 지향하는 미적 체험의 자율성을 중시한 것이다. 로드첸코의 팍투라는 당시 러시아가 처한 정치적인 상황과 예술과의 불가분성을 성찰한 정치적인 미학으로 예술의 조형적 혁신이 단순히 특정한 재료의 조합을 넘어서 그동안 소외되었던 감각에 주목하여 예술이 모두를위한 삶의 현장으로 전회하는 실험이자 현실적인 삶에 개입하고자 한 정치적인 실천이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있다.

      • KCI등재

        시공사의 주택 재개발⋅재건축사업 입찰 참여를 위한 의사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지소영,이상엽 한국부동산연구원 2010 부동산연구 Vol.20 No.2

        Financial crisis and following depression of real estate market for last few years have caused a freeze on construction business in public housing industry, and only successful bidders for contract can maintain construction business.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key considering decision factors of participation for contract bidding for housing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business with contractor’s view to select the suitable project. This paper analyze the bidding data of all the domestic housing projects since 2004 by Binary Logistic Regression method and it also covers relevant study literature review. A dependent variable Y is a decision of participation for contract bidding, and Gross Floor Area(GFA), A Facility(AF), Ordinary Income(OI), Region(R), Member’s Cost(MC), Rental Ratio (RR), Interest Rate(IR) and Construction Period(CP)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logistic model. Independent variable of OI, GFA, and IR can satisfy valid level (5%), and they have influence on participation decision for contract bidding in the order, and for negative coefficient, the lower value can result in the more positive decision for participation. AF is out of valid level, but it has high impact for decision, and also it proves that Seoul and/or other capital region have the more privilege regionally. The paper statistically proves that derived independent variables from study are critical decision factors for participation of contract bidding for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of housing business. However insufficient data from company A, compared with the number of variables need to be reviewed for next study together with environmental location and marketability for sales as decision factors. 글로벌 금융위기에 이은 부동산 시장의 침체로 부동산 경기가 침체됨에 따라 건설회사의 수주전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건설업은 수주를 통해서만 경제활동이 가능함으로 수주 가능한 프로젝트를 선별하여 입찰참여 여부를 결정하는 의사결정은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아직 절대다수의 시공사들이 입찰에 대한 뚜렷한 입찰전략이 없으며 기존 연구 또한, 개발사업의 일부분에 대한 사업타당성 항목에 대한 연구가 일부 있을 뿐 주택사업과 관련한 시공사의 입찰참여시 고려해야 할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의사결정에 관한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일반 및 재개발⋅재건축사업에 대한 입찰영향요인과 2004년 이후 수주 심의된 주택 재개발⋅재건축 프로젝트 사례에서 고려된 입찰영향요인을 기반으로 주요 입찰영향요인을 도출한 후 A사의 수주심의 Data를 연구자료로 하여 로지스트 회귀분석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모형에 포함된 독립변수의 추정개수는 각각 연면적(0.148), 혐오시설(38.665), 한계손익(1.726), 지역(1.802), 분담금(-0.007), 임대비율(-0.0.035), 금리(-1.112), 사업기간(-0.123), 상수(-45.226)로 나타났으며 유의확률 중 유의수준 5%를 만족시키는 변수는 연면적, 한계손익, 금리로 분석되었으며, 시공사의 입찰참여 의사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한계손익, 연면적, 금리 순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입찰참가 결정요인들이 실제 입찰참여 결정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시공사의 주택 재개발⋅재건축 사업 입찰참여시 최적의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의 의의를 가진다.

      • 재건축사업의 건설사업관리 프로세스 모델 연구

        하한기,박태근 목원대학교 건축도시연구센터 2004 建築·都市環境硏究 Vol.12 No.-

        The new policy of the cities and residential areas arrangement is solving those problems from July 1, 2003, and the policy takes the system of planning and development to redevelop the cities. And the redevelopment business is very complicated like establishment a guild, operating, building diagnostics, making a plan of business and operating, design procedure, clearance. So they need to get specialists each part. "CM Process Model for Re-Construction Project" can be applied to decision tool of owner for improvement of Construction Management. So this study expects that the model can be a standard one for computerization of Construction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BPR methods and simplification of business procedures.

      • KCI등재

        증발가스 재액화 드럼의 단열구조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익수(Ik-Soo Kim),정영준(Young-Jun Jung) 한국가스학회 2021 한국가스학회지 Vol.25 No.1

        재액화 드럼은 과냉각된 LNG를 증발가스에 직접 분사하기 위해 상부에 스프레이 노즐을 설치하고, 기액분리가 용이하도록 데미스터를 설치한 제품으로, 소형 재액화 설비의 재액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개발한 제품이다. 드럼의 상온 내압기밀시험에서는 설계압력의 1.5배 이상의 압력에서도 누설(Leak)이 없었으나, 단열성능시험 중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으로 인해 볼트풀림 현상이 발생하였다. 제품의 지속적인 사용을 위해 플랜지 결합부의 단열 시공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으며, 기존 단열과의 열침입량 비교 결과 드럼 내유입 유량 대비 매우 미미함을 확인하였다. The re-liquefaction drum is a product that installed spray nozzles at the top to directly spray overcooled LNG into evaporative gas and installed demistors to facilitate gas separation, which was developed to increase the re-liquidity efficiency of small scale re-liquefaction facilities. In the hydrostatic test of the drum, no leakage occurred even at a pressure of 1.5 times the design pressure, but during the BOR(Boil Off Rate) test, the bolt loosening occurred due to contraction and expansion by temperature change. For the continued use of the product, insulation construction on flange connections was developed to enable detachment and attachment, and the comparison of heat load with existing insulation confirmed that it was very small compared to the inlet flow rate in the dr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