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의 개인전도 사례연구

        이훈구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0 복음과 선교 Vol.13 No.-

        The Korean churches began its movement starting 1960’s. It grew rapidly entering 1970’s, and in 1980’s, it made a remarkable church revival of over ten million believers. But entering 1990’s,the church growth began to show a declining curve and in 2000’s,it either made a staggering or minus growth and the number of believers lowered to 8.5 million. Although churches gather various evangelism methods to grow churches again,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no particular alternative available. According to the survey of 14,000 people conducted by Institute for Church Growth on the topic of Which Method Maximize Church Growth, personal evangelism by friends, relatives, and neighbors make up 75 to 90 percents. The survey is classified into different categories: 1) relation evangelism by friends, relatives, and neighbors makes up 75 to 90percents 2) pastors makes up 5 to 6 percents 3) Sunday schools makes up 4 to 5 percents 4) church programs makes up 2 to 3 percents 5) 2-3% through volunteer walk-in makes up 2 to 3percents 6) house visits makes up 1 to 2 percents 7) special needs makes up 1 to 2 percents 8) evangelism conferences makes up 0.5percents. Personal evangelism is a method used by Jesus Christ two thousand years ago, and it is the last alternative of evangelism for this era. Personal evangelism was present in the Old Testament. Eliezel,a servant of Abraham did personal evangelism to Rebecca and her elder brother Laban in Paddan Aram, Joseph who was sold to Egypt by his own brothers did to the government officials who committed sins and imprisoned and the King Pharaoh, the girl captivated to Aram did to the Commander Naaman who was suffering from leprosy, and prophets also did personal evangelism. In the New Testament, Jesus came to the earth as a messiah and showed a good example of personal evangelism through his public life. Jesus gathered twelve disciples through personal evangelism, and saved Nicodemus who visited him at night, the woman who was living in Sychar but walked to Jacob’s well to draw water,Zaccheus, a short and reach chief tax collector who wanted to meet Jesus passing through Jericho through personal evangelism. When Jesus was doing personal evangelism, he used methods of choice, contact, seizing opportunity, assurance on the truth, and power. Whether it is an alternative for church growth, evangelism, or anything else, the answer is the bible and Jesus Christ. Many churches and pastors are tired of, exhausted by, and fed up by numerous church growth programs flooding churches and yet, do not last, various evangelism programs and strategies. The last way for Korean churches to revive is personal evangelism that Jesus Christ set a good example of. I only hope and pray that Korean churches revive applying personal evangelism that Jesus showed to us instead of wasting time and energy looking for alternatives from far away.

      • KCI등재

        한국교회 프로그램식 전도의 현실과 문제, 그리고 대안

        김남식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6

        이 논문은 한국 교회에서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식 전도에 대한 평가와 대안을 다루고 있다. 현재 한국 교회는 전도의 정의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실적 위주의 프로그램식 전도를 시행해오고 있다. 전도를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인식하면서 매년 혹은 분기별로 이뤄지는 전도 행사에 많은 성도들과 자원이 동원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프로그램식 전도가 얼마나 교회 성장에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프로그램식 전도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앞으로 한국 교회가 전도를 실천하는데 있어서 지금까지 해왔던 프로그램식 전도를 계속 해야할지 아니면 다른 대안을 찾아야 할지에 대해서 고민해야 할 부분이다. 본 소고는 이러한 프로그램식 전도의 한계를 다루면서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조사했다. 보다 근본적인 원인은 숫자적 성장과 신앙적 의무감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프로그램식 전도를 도입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소고는 좀 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하려고 했다. 첫째, 전도 메뉴얼화를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식 전도가 21세기에도 맞을 것인가? 둘째, 다양한 접촉점을 찾고자 하는 프로그램식 전도의 이면에는 시대의 철학적 흐름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가? 셋째, 교회 성장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넷째, 과연 성경적인가? 다섯째, 성경적 대안은 없는가? 이 질문에 대해 본 소고는 첫째, 해리 포(Harry Poe)는 포스트모더니즘에서 프리모더니즘으로 향하고 있다는 시각을 받아들였을 때, 예수 그리스도의 열두 제자 소그룹 전도가 오늘날 더욱 빛을 발할 것이라는 부분을 제시했다. 다원주의와 다신주의, 세속주의가 지속적으로 번져갔던 프리모던 시대에 예수님께서는 열두 제자를 통해서 전도 소그룹의 모형을 보여주셨다. 이 전도 원형은 어떻게 그리스도의 진리를 소유하고 실천하는 제자를 양성할지에 대해서 길을 제시한다고 보았다. 둘째, 단순히 접촉점 개발이 아닌 제자 양성이라는 영적인 열매를 맺어야 한다고 보았다. 많은 교회들이 기독교적 교리의 우수성을 선전하고 전파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접촉점을 개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효과적인 전달 수단은 바로 성결의 삶을 사는 그리스도인이라고 보았다. 셋째, 켈트 기독교와 웨슬리, 그리고 미국의 성장하는 교회들의 예를 보면서 제자 양육으로써의 전도가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다루었다. 넷째, 성경적 성장은 전도는 제자 양육이라는 정의를 받아 들여야 한다고 보았다. 윌리암 아브라함의 전도의 다면적 측면을 강조하면서 교회가 복음 선포와 제자 양육의 두 날개를 전략적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보았다. 다섯째, 보다 근본적인 성경적 대안으로 교회의 전도 사역에 있어서 동행 전도원리의 회복과 실천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ogramatic evangelism issues and suggest the biblical way of evangelism for church growth. While the definition of evangelism is ambiguous, many Korean churches carry out evangelism as programs in order to gain more church members. The Korean Church has been encouraged to practice evangelism programs per year or month with lots of finance and human resources. In this atmosphere, programatic evangelism should be evaluated whether it works for church growth or not. In addition, to clarify the causes of this evangelistic strategies must be done. Furthermore, the Korean Church needs to decide whether she still wants to follow this tendency or turn around. Thus,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causes of this phenomenon. As a result, this article shows that many church leaders wanted to earn more church members and dissolve the burden of biblical mandate on evangelism. In this vein, this study attempted to get more specific answers in the following questions: 1) the programatic evangelism performances which is derived from personal evangelism, does work in the 21st century? 2) this evangelistic performances do really reflect the current philosophical streams? 3) How did it affect the Korean church growth? 4) Is this biblical? 5) Can we find the biblical alternatives? As a result, first if we accept Harry Poe’s perspective that the twenty first century is heading for pre-modernism era again, Jesus’ way of small group evangelism as the prototype of evangelism would be efficient way of evangelism today. This implies the Korean Church needs to focus on how to make disciples first. Second, instead of developing conjunction points with unbelievers, making disciples is a key component and should be a main goal of church evangelism. Many church leaders make every effort to spread their church names and Christian doctrines. However priority is to make disciples. Third, investigations on Celtic Christianity, Wesley movement, and contemporary churches that are growing in United States shows evangelism as discipleship resulted in church growth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aspects. Fourth, for the biblical church growth, biblical definition of evangelism should be recovered in evangelism ministry. This implies that evangelism per se is multidimensional. Therefore, the Korean church needs to develop various approaches to produce followers of Christ. Fifth, recovery of the principle of meta-evangelism is key. Evangelism as discipleship is a long journey. It takes time and sacrifice. Therefore, for a matured Christian, being with unbelievers is a fundamental way of evangelism.

      • KCI등재

        세속적인 사람들을 위한 전도모델들에 관한 연구

        홍기영 한국기독교학회 선교신학회 2004 선교신학 Vol.9 No.-

        This study focuses on some evangelism models to reach secular people. John Wesley’s “ Order of Salvation" model, James Engel’s “ Count Down" model, Agnes Liu ’ S “ Triangle" model, George Hunter's “ Target" model, and Joseph Aldrich’s “ Relationship" model are reviewed. John Wesley’s “ Order of Salvation" model is effective in understanding how secular people become Christians. Further, it is also effective in conserving the new converts. Its small group dynamics can be contextualized in different cultures. James Engel’s “Count Down" model is effective in understanding how secular people become Christians in terms of spiritual maturity However, it overlooks the multi dimensions of how people become Christians. Agnes Riu’s “ Triangle" model is an effective way to understand the several dimensions of how secular people become Christians. It is better than James Engel’s model in this regard. However, it shows an extremely simplified conversion process. George Hunter’ s “ Target" model is an effective way to understand how secular people become Christians, also. It is an extended form of John Wesley’s “ Order of Salvation" model. It takes the c비tural gap into a serious consideration Joseph Aldrich’ s “ Life- Style Evangelism" is based on inter personal relationships. As the early church employed this model, so too modern evangelism needs to apply it to reach secular people effectively. Some evange1ism models are more effective than others according to different cultural contexts. So some models needs to be contextualized in different cultures to be effective. The Lord wants a greater harvest.

      • KCI등재

        가톨릭 학교의 전인교육 사명에 대한 고찰

        구본만 ( Koo¸ Bon-ma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1 가톨릭철학 Vol.0 No.17

        본 연구는 가톨릭 학교의 사명인 ‘그리스도교적 전인교육’의 풍부한 의미를 드러내는 하나의 개념 모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고찰한 내용은 교육관련 교회문헌, 성경 및 예수의 교육관, 가톨릭 윤리신학 및 영성신학, 인격(persona)개념의 역사적 논의와 현대 인격교육 운동의 흐름 등이었다. 우선 교회문헌 고찰을 통해 가톨릭 학교의 사명이 ‘복음화’와 ‘전인교육’으로 요약되며, 이 둘은 분리되는 사명이 아니라 ‘복음화를 통한 전인교육’, 즉 ‘그리스도교적 전인교육’으로 명명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그리스도교적 전인교육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시도로 고찰했던 성경 및 예수의 교육관은 가톨릭 전인교육이 ‘완전한 인간’ 양성을 목적으로 하며, 완전한 인간이란 하느님의 모상으로서의 완전성에 도달한 사람이고, 이러한 완전성은 회개, 즉 ‘인격’의 총체적 변화를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도록 이끌어 주었다. 이러한 고찰은 그리스도교적 전인이 ‘인격적 인간’을 기반으로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스도교적 인격 개념은 ‘이성적 본성’을 갖고 윤리적 행위 결정의 ‘자율성’과 ‘책임성’을 가진 주체로서의 ‘개별성(독자성)’; 타자에게 ‘열려’ 있으며 ‘관계’를 맺는 존재임을 드러내는 ‘공동체성’; 인간적인 모든 특성이 통합된 ‘완전한 전체성’; 하느님 자녀로서의 ‘존엄성’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고찰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그리스도교적 전인교육의 개념 모형은 다음과 같다. 그리스도교적 전인교육은 전인, 즉 완전한 인간 형성을 목적으로 한다. 완전한 인간은 그리스도의 인격에 자신을 일치시키면서 인격의 완전성에 도달한 인간, 다른 말로 인격이 총체적으로 양성된 인간을 의미한다. 인격의 총체적 양성은 세 가지 원리의 유기적인 통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첫째는 ‘복음적 가치관’ 형성으로 이 원리는 지식의 통합에 기여한다. 둘째는 ‘그리스도교 덕성’ 함양으로 이 원리는 정서·의지·행동의 통합에 기여한다. 이 두 원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한 인격 안에서 완전한 통합을 이루도록 이끌어 주는 세 번째 원리가 ‘영성’으로, 이 원리는 인격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고 완성을 구현한다. 이러한 유기적 통합 과정을 통해 인격적 완전성에 도달한 전인은 ‘참 사람’이며 ‘참된 그리스도인’ 곧 ‘복음화된 사람’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onceptual model that reveals the abundant meaning of ‘Christian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CEWP), which is the mission of Catholic schools. To attain its purpose, the study examines Catholic educational documents, the educational philosophy revealed in the Bible and the teachings of Jesus Christ, Catholic moral theology and spiritual theology, a history of the concept persona and the development of modern character education. Above all, the examination of educational documents elucidates that the mission of Catholic schools is summarized in two terms: ‘evangelization’ and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 These two terms are integrated in the expression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 through evangelization’, that is, ‘CEWP’. The educational philosophy revealed in the Bible and the teachings of Jesus lead to the following understandings: the goal of CEWP is to form a ‘perfect human being’. A perfect human being is one who becomes a perfect reflection of the image of God. Such perfection is achieved through conversion, i.e., the holistic transformation of the ‘persona.’ Such an understanding shows that a Christian conceptualization of the whole person is based on the ‘human being as a persona.’ Persona is a concept that include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dividuality(subsistence)’ as a subject who has a ‘rational nature’, and ‘self-control’ and takes ‘responsibility’ for his or her moral behaviors; a ‘sense of community’ that is ‘open to’ and has a ‘relationship with’ other beings; ‘the completed wholeness’ that integrates the entire range of human characteristics; and ‘dignity’ as a child of Go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studies, this work suggests describing the conceptual model of CEWP as follows: CEWP is a process that aims to form a whole person, in other words, a perfect person. A perfect person is someone who strives to identify his/her persona with the Persona of Jesus Christ, thus becoming a human being with an integrally formed persona. The integral formation of the human persona is realized by integrating three principles in an organic way. The first principle is the formation of a ‘viewpoint of evangelical values’ that contribute to the integration of different kinds of knowledge. The second is the fostering of ‘Christian virtue’ that contributes to integrating the emotions with the will and behavior. The third is a ‘spirituality’ that organically bonds the other two principles and leads to their perfect integration in the persona. Spirituality is a principle that elicits and completes the transformation of the persona. A whole human being, in perfecting the persona by such an organic integration process, is a ‘true person’ and ‘true Christian’, specifically, an ‘evangelized person.’

      • KCI등재

        사회선교의 정당성과 전망에 대한 고찰

        김회권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3

        이 논문은 먼저 한국교회가 왜 사회선교에 무관심한가를 분석한 후, 한국교회가 어 떻게 개인전도를 넘어 사회선교를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다. 이 논문의 목 적은 한국 복음주의 교회의 사회선교를 장려하기 위함이며, 사회선교를 수행해야 할 정당성과 사회선교의 유익과 제한성을 환기시키는 데 있다. 이 글의 중심논지는 “교 회의 선교는 개인의 회심을 넘어, 사회적 성화를 기도(企圖)하는 사회선교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논지를 뒷받침하는 논거는 세 가지이다. 첫째, 성경적 근거이다. 모세는 오경의 세 가지 법(출 21-23장 계약법전, 레 17-26 장 성결법전, 신 12-26장 신명기법전)을 통해 하나님의 해방과 자유를 영속화하기 위 해 입법적 토대를 구축했다. 예언자들도 모세가 설계한 이상사회에 대립되는 악한 폐 습들과 악한 법령들을 척결하려고 애썼다(사 10:1-2). 예수 그리스도의 하나님 나라 선포도 모세와 예언자들이 설계한(마 5:17; 눅 24:27) “이상적 사회”를 이 땅에서부터 세우려는 사회선교 사역이었다. 둘째, 선교신학적 근거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명령(마 28:18-20; 행 1:8) 안에 사회선교가 내포되어 있다. “만민들을 예수님의 제자로 만드는 사역”은 예수님이 명 하신 것을 사회생활의 공적 영역에서 실천하고 적용하도록 돕는 지속적인 사역이기 때문이다. 바울의 이방교회개척 사역은 그레코-로만 사회에 전혀 새로운 사회인 “하나님의 에클레시아”를 건설하는 사회선교행위였다(행 19장). 셋째, 교회사적 근거이다. 2천년 내내 교회의 선교는 개인들에 대한 복음을 전파해 회심시키는 활동임과 동시에 개인전도를 통해 중생을 맛본 그리스도인들이 펼친 사회 선교 활동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논문은 19세기 영국 감리교도들의 사회선교, 19세기 중반의 윌버포스와 클래팜 섹트의 노예무역 폐지운동, 그리고 20세기 중반의 미국 가 톨릭 노동자 운동을 모범적인 사회선교의 사례들로 제시한다. 끝으로 사회선교의 정당성을 논증한 후에 이 논문은 사회선교의 유익과 한계도 지 적하며 마무리된다. 이 논문의 결론은 교회가 이제 ‘희어져 추수하게 된’ ‘세상’이라는 밭에 사회선교사를 파송하시려는 하나님께 응답해야 한다는 것이다. Following an analysis of why the Korean church has neglected its social mission, the present essay seeks to explore how the Korean church can fulfill this task simply beyond personal evangelism. The aim of the present article is to both encourage Korean evangelical churches to engage into social mission and discuss its legitimacy, its benefits, and its limitations. The central thesis of this paper is that the original mission of the Church includes efforts to sanctify the larger society in which it is anchored, in accordance with the biblical value and norms of an ideal society, as well as its efforts to convert individuals to Christianity. The present essay offers three ideas to support this thesis. Firstly, throughout the entire Bible, God commands His people to build an ideal society which will be sustained by dual covenants(the vertical covenant between God and Israel, and the horizontal covenant between individuals and their neighbors), and will thus remain an equitable and free, just and righteous community. Moses and the Mosaic prophets thus applied themselves to building and sustaining the nation of Israel on the rock of such covenant laws as Exod 21-23, Lev 17-26, and Deut 12-26(cf. Isa 10:1-2). Jesus of Nazareth’s proclamations of the coming of God’s kingdom were a social mission to realize all the prophetic visions of an ideal world(Matt 5:17; Lk 24:27). Secondly, a social mission is included in the Supreme Commission of the risen Lord(Matt 28:18-20), who commanded his apostles to make all the nations and peoples of the world his disciples- a mission that seeks to have Jesus’ commandments be realized in the public sphere of social life. Even the gentile mission of the apostle Paul was carried out with a view to creating an ecclesia in which both Jews and gentiles will be reconcil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blood of Jesus Christ(Acts 19). Thirdly, there have been many exemplary social missions that have borne witness to the legitimacy of the Church’s social mission, which include the 19th century British Methodists’ social mission, the mid-19th century anti-slavery trade movement of Wilberforce, and Dorothy Day’s mid-20th century Catholic Worker movement. Finally, the present essay adds some discussion on the effect of social mission and its possible limitations. It concludes that the Church should respond to God, who seeks to build a society that approximates God’s kingdom by sending His social missionaries into ‘the larger world,’ “the fields ripe for harvesting.”

      • KCI등재

        가톨릭 교회 문헌을 통해 바라본 청소년 상의 변화

        이진옥(Lee, Jin O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神學展望 Vol.- No.202

        본고는 한국 청소년 사목의 재고(再考)를 위해서 보편 교회 문헌 속에 나타난 청소년 상의 변화를 살펴보는 초석 연구이다. 본고의 연구 목적은 한국 가톨릭 교회 청소년 사목이 청소년들을 위하여 현재 다양한 노력을 보이고 있으나 계속 감소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신앙생활 참여율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한국 청소년 사목 개선을 위한 다양한 실천적인 노력 이전에 혹시나 간과하고 있는 점은 없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좀 더 본질적으로 접근하여 보편 교회의 문헌 속에서 청소년 상의 변화를 살펴보는 데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전후로 청소년에 대한 인식은 크게 변화되었다. 공의회 이전에는 청소년들을 그저 올바른 신앙관 확립을 위한 신앙교육의 대상으로 이해했다면,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기점으로 교회는 본격적으로 교회와 사회의 미래이자 희망인 청소년들의 사도성(apostle)을 바탕으로 세상 복음화를 위한 교회 선교 사명에 능동적인 참여의 책임을 강조하기 시작한다. 그러면서 사도성을 바탕으로 한 교회의 선교 사명 참여에 청소년들의 주체 혹은 주인공성(protagonist)을 강조한다. 한국 가톨릭 교회 청소년 사목은 이러한 보편 교회의 흐름을 존중하여야 한다. 개선을 위한 다양한 방법론적이고 실천적인 접근 이전에 반드시 본질적으로 접근하여 교회 선교 사명의 주인공인 청소년들이 하느님의 부르심에 자신 있게 응답하며 각자에게 주어진 성소를 찾아 살며, 긍정적인 신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모든 젊은이들이 이 세상에서 ‘착한 그리스도인, 선량한 시민’(Good Christians, Honest Citizens)을 지향하는 삶을 살 수 있도록 동행해 주어야 한다.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development of the image of young people in the Catholic Church’s formation both in the pre-second pre-second Vatican Council and in the Second Vatican Council also in the-conciliar period. In the study one can expect to find some aspects that the Korean youth ministry should reconsider by looking at the changing images of young people in the Universal Church. In the pre-Second Vatican Council, youth was considered as an object of faith education. But since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e image of them has been changed. The Council emphasizes their Apostolates and asks for their positive participation in the mission of the Church. After the Council, the image of young people in the Church was more developed. Based on their apostolates the Church now asking them to take a leading role by participating in the Church and the society for renewal of the temporal order and so realize the kingdom of God in the world today. The youth ministry in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tries a lot of effort to help young people live their faith and direct their life to God. But before they approach the young people in a methodological process they should evaluate the theoretical aspects of the Ecclesial orientiations. In other word, they should focus on both ‘why’ young people are important, and ‘how’ youth ministry can lead young people toward God. Finally, the youth ministry should provide young people with the abillity to live as ‘Good Christians, Honest Citizens’ in the world. In this way the young people can build up the kingdom of God in the world and witness to the gospel among the young people.

      • KCI등재

        한국교회 교인들의 기독교인성에 관한 연구 : 신앙요인 중심으로

        한만오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8 복음과 실천신학 Vol.47 No.-

        본 연구는 한국교회 성도들의 기독교인성에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앙적인 요인들이 기독교인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신앙적인 요인들과 기독교인성과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회를 직접 방문하여 교회 관계자의 도움을 얻어 일대일 면접조사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설문조사를 토대로 신앙적인 요인들과 기독교인성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신앙의 수준이 높을수록, 전도의 경험과 성령체험의 경험이 있을수록, 기독교인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교회 기독교인성에 미치는 신앙적인 요인들이 무엇인가를 알게 되었고, 신앙과 기독교인성이 비례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래서 본 연구는 한국교회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신앙과 인성교육이 절실하게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향후 연구방향은 기독교인성이 한국교회와 기독교인들의 신뢰회복의 개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한국교회의 기독교인성을 위한 교회학교의 인성교육과 프로그램들은 실시하고 있는지를 연구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한국교회의 기독교인의 기독교인성 함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될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Christianity of Korean church members. Especially,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s of religious factors on Christian persona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factors and Christian personality,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one – one interviews by visiting the church and with the assistance of church officials. Based on the survey questionnaires, the relationship was studied between religious factors and Christianity personality. The results showed the higher the level of faith and the more the experiences of evangelism and the Holy Spirit, the Christian personality was higher. Through this research, the religious factors on the Christianity of Korean church were identified, and the truth was found that the faith and Christianity are proportional.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faith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image of Korean church. This study will set its basic direction towards reviewing how the character of Christians affect the Korean church andn the restoration of faith in Christians, as well as whether programs are being implemented at church schools in Korean churches to promote a well-rounded character in Christians. This study seeks to promote further interest in instilling an appropriate character as Christians in Korean christians.

      • KCI등재

        언더우드의 고아원 사업에 대하여(1886-1897)

        황미숙(Hwang Mee-Sook)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4

        언더우드는 곤궁한 처지에 있는 집 없는 아이들과 사생아들을 위하여 옷을 입혀주고 음식을 먹여주는 고아원 사업을 통하여 ‘복음전파’를 달성하고자 하였고 “언젠가 한국에 대학교와 신학교를 세워 기독청년들을 키우겠다”는 소망을 담고 한국의 기독청년들을 길러내고자 하였다. 조선정부는 이러한 고아원 사업을 복지사업의 의미로 선교사들의 제안을 수용하였다. 언더우드는 독자적으로 건물을 마련하여 한 명의 소년을 데리고 1886년 5월 11일 고아원 사업을 시작하였다. 초기 고아원학당의 운영은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의식주를 해결해 주었으며, 영어, 한문, 한글을 가르쳤다. 교사는 선교사들과 조선인이었다. 어려움도 있었다. 한국인들의 인식 부족으로 인한 오해, 재정적인 어려움, 그리고 고아원 운영을 놓고 발생하는 선교사들 간의 갈등이 난제였다. 무엇보다도 재정적인 어려움이 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아원학당 사업은 자리를 잡아가고 있었다. 언더우드와 헤론은 이를 토대로 수차례 학교 설립청원을 제출한 바 있었으나 긍정적인 회신을 받지 못했다. 학교 설립청원이 현실화되지 않는 가운데, 고아원학당 사업은 마펫 선교사가 내한하여 담당하면서 고아원 방식이 아닌 남학교(Boy"s school)’로 전환이 이루어졌다. 선교부 역시 자치, 자립, 자전이라는 네비우스 원칙들을 수행하기 위해 1891년 일련의 규칙들과 정관들을 채택했다. 규칙 적용 중 하나가 고아원에 관한 새로운 운영방침이었다. 즉, 학교에 다니고 있는 소년들 일부는 학비를 부담해야 하며, 방학 중에는 집이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자신들의 집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이었다. 마펫은 이를 즉각 행동으로 옮겨 실지로 그런 아이들만 남도록 조치하였다. 그리하여 1891년 2월 남학교가 되었다. 학교로의 전환으로 마펫이 말한 학교 운영의 목적인, ‘선한 사역’, 즉 복음을 전하는 일에 훨씬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게일을 거쳐 밀러가 내한하면서 학당의 책임을 맡으면서 보다 탄탄한 모습의 학교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학교 운영방침은 “학생들이 자신의 고향 사람들에게 진리를 전하는 설교자 내지는 교사로 준비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밀러는 교과과정의 개편을 통하여 다양한 과목을 가르쳤다. 숙식을 제공받는 학생들의 경우 학교에서 필요한 물품을 스스로 마련하거나 봉사를 하도록 하였다. 북장로교의 고아원학교는 윌리엄 베어드(William M. Baird)가 1896년에서 1897년까지 일하게 되면서 기독교 교육만을 추구하는 학교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1897년 8월 북장로회 선교부 제13차 연차대회가 열렸다. “기독교학교의 주된 목적은 현지 교회와 지도자들을 성장시켜 자국민들 사이에서 생동감 있는 기독교 활동을 하게 하는 것이다”라며 그동안 진행되어 왔던 교육 사업에 대한 개혁의지를 피력하였다. 이러한 교육정책에 따라서 선교사들은 복음을 전하는 전도사를 양성하는 전문가가 되어야 했다. 이러한 선교정책 혹은 선교철학은 한국 선교부의 강력한 반기관적인 태도(Anti-institution attitude)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고아원 남학교 사업을 계속하는 것은 재정 낭비와 선교사들의 시간낭비라고 여겼다. 결국, 1897년 10월 선교부는 고아원학교의 완전 폐쇄를 결정했다. 이후 북장로교의 학교사업은 교회 내에 초등학교를 두는 한편, 중학교의 경우 1901년 게일이 연못골에 서양식 커리큘럼을 중심의 교육제도를 강화한 ‘중학교(Intermediate School)를 설립하면서 이어갔다. 언더우드가 시작한 고아원 사업은 기독교적이며 근대적인 고아원이었으며, 선교초기 한국에서 벌인 북장로교의 사회복지선교사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선교가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하는데에 도움을 주었다는 설립 목적을 성취한 것도 사실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언더우드 고아원 사업은 목적은 복음전파이며 수단은 복지사업이었다. 그러나 북장로교 선교정책에 입각한 고아원학교가 폐쇄조치에 따라, 고아원과 같은 복지의 의미를 담고 있는 사업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게 되었다. H. G Underwood started orphanage work in 1886 to raise Korean children who were in miserable situation without home and guardian, by which he intended to achieve gospel dissemination in Korea. Moreover, he hoped to establish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 to support Korean Christian young people. Since Korean government accepted missionaries’ proposition, Underwood bought a building by himself and opened the home for orphans on May 11. Initial management gave success as serving the children with shelter and foods, additionally teaching English, Chinese, and Korean. Missionaries and Korean teachers shared educational work. Despite some financial hardships, Orphan school service became stable. Based on this, H. G. Underwood and J. W. Heron petitioned the government for founda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 but they couldn’t get positive response. In this situation, orphanage work switched into Boy’s school under the control of Samuel A. Moffett in 1891, Missionaries also changed their rules and articles to follow the Nevius Method(Principle) which emphasize “self-propagation, selfgovernment, and self-supporting” From this changeover, Some of the students needed to pay tuition from this time and to go back to their home on vacation season. Missionaries were able to concentrate on the “evangelical work”. Since then, Boy’s school developed into complete institutional form by J. S. Gale and F. S. Miller who took charges after Moffettt. Their policy of management was “Foster the students to be not only missionaries but also be teachers who would disseminate gospel all over the country”. Miller reorganized the curriculum in which student can learn various subjects and volunteer to procure their own board and lodging. Presbyterian Orphanage school was changed into pure Christian educational institution over the period of 1896 to 1897, when William M. Baird served for management position. In August 1897, The 13th Conference of the Presbyterian Missionaries held. Missionaries expressed their determination as “The main goal of Christian school is nurture local churches and people to do active christian work among Korean”. In terms of this kind of their own policy, Missionaries had to be expert to educate preachers under the Anti-institution attitude. By this point, they started to estimate orphanage work as waste of time and money so that they determined termination of the work in October 1897. In spite of this closure, the Presbyterian’s educational work continued as the form of Elementary and Intermediate school at Yeon-mot gol(연못골) in 1901. To Sum, Underwood’s Orphanage service was modern and evangelical social welfare work operated in Korea at early time of missionary. In addition, He could achieve original purpose that to prepare mission work by orphanage, even though the interest upon social welfare work of the Presbyterian decreased from the time of closure.

      • KCI등재

        신앙과 학문의 통합을 위한 복음적 인성교육: 기독교대학의 인성교육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허도화(Huh, Do-Hwa)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6 신학사상 Vol.0 No.173

        본 연구는 복음적 인성교육을 기독교대학의 교육적 사명인 신앙과 학문을 효과적으로 통합시킬 수 있는 가능성으로 제시하며, 동시에 기독교대학의 인성교육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시하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현재 한국기독교대학들의 인성교육은 대학 채플과 기독교 교과목들인 교양필수 과목들에 지나치게 의존되어 있어서, 교양 교육의 수준을 넘지 못하거나 필수과목이란 보호 아래 최소한의 종교의식으로 대접을 받고 있다. 대학 채플은 비기독교인 학생들에 대한 관심과 배려를 제공하지 못할 때 마찰을 피할 수 없으며, 교양과목으로 분류된 기독교 교과목들은 점차 저학년들만을 대상으로 축소 운영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한계와 문제들을 지니고 있는 기존의 인성교육에 대한 대안으로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으며 동시에 신앙과 학문을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새로운 인성교육 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본 연구는 기독교대학들의 인성교육이 지닌 문제들과 동시에 해결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신앙과 학문의 통합이라는 관점으로부터 접근하여 먼저, 현재 한국의 기독교대학들에서 진행되고 있는 인성교육의 현황과 문제들을 다루면서 일반 대학의 인성교육과의 차별성을 상실하게 된 원인들을 규명한 다음, 이런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대학 채플과 기독교 교과목들이 지니고 있는 한계와 문제들을 보완하기 위해 현재 계명대학교가 운영하고 있는 인성교육 과목의 사례를 중심으로 기독교대학에서 적용 가능한 복음적 인성교육 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The study is an attempt to suggest evangelical personality development as a possibility as well as an effective strategy for faith-learning integration. The integration of faith and learning is at the essence of authentic Christian higher education with the purpose of campus evangelization and should be wholeheartedly implemented across the campus and across the curriculum. This was once the goal of almost every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However, it is no longer the case. Evangelical personality development is a unique Christian education to integrate faith by university chapel and learning by liberal arts. The inclusive personality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must be evangelical and intentional about integrating faith and learning in every discipline as well as chapel and Christian liberal arts. In this essay, in order to find an alternative way of faith-learning integration we attempts to map the territory of personality development between non-Christian universities and Christian ones in Korea. After discussing the nature of and necessity for such integration, we evaluates several strategies for integration in them. The study concludes by outlining dimensions of faith-learning integration by way of evangelical personality development in both the theoretical and applied disciplines.

      • KCI등재

        1인 가구 시대에 관계적 존재의 회복과 선교적 방향 제시

        김광연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9 복음과 선교 Vol.46 No.-

        급속한 경제발전 이후, 사람들은 도시로 이주하면서 도시문화를 형성해 나갔다. 우리나라의 경우 인구의 절반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 도시 생활에 익숙한 현대인들은 공동체에서 살아가지만 오히려 그들은 개인주의 가치관을 더욱 소중히 여기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1인 가구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고 개인은 어느 누구에게도 간섭받지 않는 삶을 추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공동체 의식을 소중히 여기고 더불어 살아가는 방식들을 선호했다. 기성세대들은 서로 의지하면서 서로의아픔을 나누었다. 그리고 그들은 어려울 때 품앗이를 통해 서로 돕는 문화를 즐겼다. 하지만 오늘날 1인 가구 또는 핵가족화로 인해가족 간의 소통의 부재와 타자의 얼굴을 마주하는 시간들이 점점줄어들고 있다. 심지어 우리는 가족끼리도 얼굴을 마주하는 시간이 별로 없다. 간혹 우리가 부모님과 식사를 같이하는 시간을 갖더라도 얼굴을 마주보기 보다는 SNS를 통해 타인과 소통하며 식사를 한다. 이 논문은 개인주의 사회 속에서 기독교 공동체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시대에 부합되는 선교적 방향도 제시하고자 한다. 예수는우리에게 “누가 네 이웃이냐?”라고 질문했다. 개인주의 가치관이팽배한 사회에서 예수의 질문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우리는 타자에 대해 지나치게 무관심하다. 서로에 대한 무관심은 기독교 공동체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기독교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예수의 질문에 답해야 한다. 끝으로 이 논문은 개인주의 사회에서 관계적 존재로서의 인간양식과 타자의 윤리를 회복하고 관계지향적인 선교의 방향으로서의 소그롭 전도의 필요성을 언급할 것이다. After rapid economic development, people moved to cities and formed urban culture. In Korea, half of the population is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Modern people who are accustomed to urban life live in the community, but they value the individualism values more and more. In this process,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gradually increasing, and individuals are pursuing a life that is not interfered with by anyone. Korea has always preferred the ways of living together with respect for community consciousness. The older generations shared their pain with each other. And when they were in trouble, they enjoyed the culture of helping each other through Pumasi. Today, however, due to the single-person households or the nuclear family,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family and the face of the other is gradually diminishing. Even we do not have much time to face each other. Sometimes, even if we have time to eat with our parents, we communicate with others through SNS rather than face to face.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value of Christian community in the individualistic society and to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mission in accordance with the times. Jesus asked us, “Who is your neighbor?” In a society where values of individualism are prevailing, Jesus’ question is attracting attention again. We are overly indifferent to others. In the Christian community, indifference to one another is no exception. Members of the Christian community must answer Jesus’ questions. Finally, this paper will address the need to restore human form as a relational being and the ethics of others in individualist societies, and to evangelize as a direction of relational ori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