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기록화를 위한 사례연구

        천호준 한국기록학회 2014 기록학연구 Vol.0 No.4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eveloped case of archivingon Mega Sport Event for searching effective method on a documentation ofMega Sport Event.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methodwas using about book, thesis and data of internet homepage for exploringthe stage on Mega Sports Event and case of Mega Sports Event recordmanagement. The field study was conducted about institute related toOlympic record management institution for analysing Mega Sports Eventrecord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ing:Firstly, 2012London Organizing Committee of the Olympic Games’scase(The People’s Record Project) is useful to ex-ante event phase. Secondly,2000Sydney Organizing Committee of the Olympic Games’s case(OlympicGames Knowledge Management Project) is useful to event operation phase. Thirdly. LA84Foundation’s case(Olympic Oral History Project) is useful toex-post ev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hich came up with the study resultabove can be presented as follow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assumed that three case for documentation about Mega Sports Event. Lastl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useful to Mega Sports Event recordmanagement institution. For the more, it will be conducted to study law of Mega Sport Event record management, humane and Material resource and method related torecord management of the Mega Sports Event organizing committee. 현대 사회에서 메가 스포츠이벤트는 한 지역이나 국가의 스포츠 역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키워드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 메가 스포츠이벤트를 효과적으로 기록화 하여 후대에 전달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1986년서울아시안게임을 시작으로 1988년서울올림픽대회 그리고 2002FIFA월드컵대회 등과 같은 메가 스포츠이벤트가 다수개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체육·스포츠 현장에서는 기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재로 이를 체계적으로 기록화 하여 후대에 전달하려는 방법론에 대한 논의는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최할 예정인 메가 스포츠이벤트를 효과적으로 기록화 할 수 있는 방법론을 탐색하기 위하여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진행 단계별로 기록화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진행단계를 이벤트이전단계, 운영단계 그리고 이후단계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단계별로 참고할 수 있는 기록화 사례를 선정하였다. 이후 문헌고찰을 통해서 각 단계별로 선정된 사업의 개요를 파악하였고, 이를토대로 현지 방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체적인 사업내용을 분석하였다. 각 단계별로 선정된 사례는 다음과 같다. 이벤트 이전단계는 국민의 기록(The People’s Record)사업, 운영단계는 올림픽대회지식관리(Olympic Game Knowledge Management)사업 그리고 이후단계는 올림픽 구술사(Olympic Oral History)사업이다. 이들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의 기록 사례는다양한 계층의 경험을 포착하여 기록화 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이벤트 이전단계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올림픽대회 지식관리 사례는 대회운영을 위한 조직위원회의 업무 활동과 지식을 기록화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벤트 운영단계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셋째, 올림픽 구술사 사례는 이벤트의 전 단계에서 발생한 결락기록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벤트 이후단계에서 적용이가능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국내에서 개최가 예정된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기록화에 일정한 역할을 할 것이며,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기록을 관리하고 있는 기관에서 기록관리 방법론을 마련하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메가스포츠이벤트 안전관리를 위한 민간경비 활용방안

        박영만(Park, Young-Man) 한국민간경비학회 2021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20 No.1

        우리나라는 1980년대 이후 국제화 및 첨단화를 통해 경제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예술·체육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 행사를 개최하였다. 다양한 국제행사 중 메가스포츠 이벤트는 대규모의 인력과 투자 비용이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잠재적인 이익을 갖추고 있어 유치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현실이다.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전 세계인의 관심을 받는 메가스포츠 이벤트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서 안전을 확보하는 것은 필수불가결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과거에 진행되었던 메가스포츠 이벤트의 경우 경찰 및 군 등을 중심으로 하는 공경비를 통해 이루어져 왔지만, 최근에 진행되는 메가스포츠 이벤트의 경우 민간경비를 중심으로 안전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메가스포츠 이벤트의 안전관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민간경비를 더욱더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다양한 사건·사고를 예방하고, 국제 행사에서의 범죄 및 테러 발생 등을 철저하게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메가스포츠 이벤트에서 민간경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를 통하여 안전관리 및 민간경비 전문가들과의 심층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안전관리 매뉴얼 구성과 체계화된 교육을 통해 부족한 전문성을 채운다면 민간경비의 역할이 확대될 뿐만 아니라 메가스포츠에서의 성공적인 안전관리 활동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메가스포츠 이벤트에서 효율적인 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민간경비의 실질적인 활용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Since the 1980s, Korea has held international events in various fields such as art and sports as its economic scale has expanded through internationalization and advanced technology. Among various international events, the Mega Sports Event has potential benefits despite the large-scale manpower and investment costs. Securing safety is an indispensable factor for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successful hosting of the Mega Sports Event, which attracts the attention of people around the world. In the past, Mega sport events have been carried out through public security expenses centered on the police and the military. But, in the case of the recent Mega sport event, safety management is being carried out mainly on private security. Therefore, if private security is used more actively to strengthen the safety management capabilities of the Mega Sports Event, various incidents and accidents can be prevented and crimes and terrorism can be thoroughly managed at international events. Accordingly, in order to efficiently utilize private security at the Mega sports Event,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afety management and private security expert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it is intended to provide practical measures for the utilization of private security to establish an efficient safety management system at the Mega Sports Event.

      • KCI등재

        메가 스포츠이벤트 전,후의 지역경제 효과: 2002부산, 2003대구, 2015광주를 중심으로

        한준영 ( Joon Young Han ),김민철 ( Min Cheol Kim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 구 한국스포츠행정경영학회 ) 2012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7 No.2

        이 연구는 메가 스포츠이벤트 개최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밝혀내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2002부산아시안게임과 2003대구유니버시아드 개최 전·후의 지역경제 지표들과 경기장시설 관리운영비용 등이 분석되었다. 또한 지역주민 의 기대와 성과적인 측면의 분석을 위해서 2015광주유니버시아드와 2003대구유니버시아드를 대상으로 지역주민에게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으며, 총 509명의 설문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2002부산아시안게임과 2003대구유니버시아드의 경우 메가 스포츠이벤트 개최 전과 개최년도에 경제활동의 인구변화(취업자증 가, 경제활동참가율증가)와 건설업의 급격한 성장이 단기적으로 나타났고, 메가 스포츠이벤트 개최 전과 개최년도에 지역관광 객 유입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졌으나 개최 이후 급격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가 스포츠이벤트 이후 경기장시설 관리운영비용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메가 스포츠이벤트 개최예정 지역의 지역주민들은 지역경제, 사회간접자 본, 관광산업, 문화산업에 높은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메가 스포츠이벤트 개최 이후에 지역대부분의 주민들은 이러한 기대감에 매우 낮은 평가를 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핵심전략이 수립이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얼마나 필요한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벤트 후의 급격한 관광객 감소와 건설업 중심의 성장, 그리고 지역민이 체감 하는 낮은 경제효과 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fer the impact of mega-sporting events. Given that, various secondary data of 2002 Busan Asian Games and 2003 Daegu Universiade were analyzed in terms of local economies and operating budgets for sport programs and facilities. Also, local expectations towards upcoming 2015 Gwangju Universiade were compared to local satisfaction after 2003 Daegu Universiade using a same instrument. A total of 509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for the comparison.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after hosting an Asian Games and a Universiade respectively in Busan and Daegu, a little or no economic impact occurred. Even, influx of tourists observed only during the event or for a quite short while. That is, a negative halo effect and a valley effect took place. Also, not much positive economic development was observed except for infrastructure development. Second, more budgets for sport facilities were required after the event. Third, a group of local residents expected positive outcomes in terms of local economy, social overhead capital, tourism, and culture industry; however, the other group of local residents experiencing a mega event responded mostly in negative compared to the compared group. In conclusion, scant effective core strategies for a mega-sporting event could be very harmful against the local economy. Thus, complementary strategies for maintaining tourists, well-balanced economic development, and local fulfillment should be established for a new mega-sporting event.

      • KCI등재

        국제정치 시각에서 메가스포츠 대회의 잠재성 검토: 2018 평창동계올림픽 및 유럽클럽축구대항전 사례를 중심으로

        신동민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9 국제지역연구 Vol.23 No.2

        This article focuses on ‘sports mega-event’ such as the Olympics Game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relations, given the situation that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has newly called the people’s attention to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global sport events. This article views that sports mega-event can be a research theme of the academics of international relations(IR) in consideration of their common nature as the phenomenon beyond the boundary of a sovereign state. Against this background, arguing that sports mega-events can function as source of power from the perspective of IR academics, this article studies the related cases,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nd UEFA Champions Leagues. The PyeongChang Olympics demonstrates that sports mega-event exercises ‘platform power.’ The Champions League case shows the potential of the event to form a shared identity among the related people. In the later part, this article explores the ways to exercise the potential of sports mega-event as the sources of power in relations to North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implication.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스포츠의 역할과 기능이 재조명 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고는 국제정치 관점에서 올림픽과 같은 메가스포츠 대회에 주목하였다. 본고는 메가스포츠 대회(sports mega-event)를 ‘보편적(universal)’ 공통 규칙을 바탕으로, ‘초국가(transnational)’ 단위 수용자들이 함께 향유하는, 최소 국가성간(international) 이상의 경쟁과 상호작용을 기초로 이루어지는 스포츠 대회로 지칭하였다. 이렇듯 오늘의 스포츠와 국제정치간에는 국가 주권 영역 이상에서 관련 현상과 상호작용이 발생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점에서 본고는 국제정치시각에서 스포츠 문제를 살펴볼 충분한 유인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한편, 국제정치 고전적 현실주의의 대표적 논자인 모겐소(Hans J. Morgenthau)는 권력을 “인간의 인간에 대한 통제를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모든 것”으로 정의한다. 본고는 메가스포츠 대회가 소위 상위 정치(high politics)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권력 원천이 될 수 있다는 관점아래, 평창동계올림픽과 유럽클럽축구대항전 사례를 살펴보았다. 평창동계올림픽 사례를 통해 본고는 메가스포츠 대회가 ‘플랫폼 권력’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기술하였다. 한편, 유럽클럽축구대항전은 보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관련 행위자간 공통의 정체성을 형성해나가는 기제로 작동하는 측면이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고는 실천적 차원에서 한반도 문제, 대북한 관계에 있어 스포츠의 권력적 속성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 KCI등재

        스포츠메가이벤트와 경제효과:그 진실과 허구의 재구성

        정희준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08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1 No.1

        There has been firm belief in the economic effectiveness of sport mega events in regional development in South Korea, and now it seems that virtually every sports scientists as well as citizens believes that hosting sport events will bring bright future as well as economic success, foreign tourists and heightened brand image of hosting city. This led to a situation where a lot of cities in the nation are into the fierce bidding competition. However it is argued that this 'mega-event strategy' to compete for jobs and financial resources for regional development has proven to be a high risk one, and proven that the economic effects of sport mega events are either limited or not existing. Also these events are often labelled as successful at the cost of sacrifice of the poor and the less privileged. Bidding and hosting sport mega-events have common traits of ignoring democratic process of collecting public opinion, causing unbalanced regional developments, creating enormous debt to citizens, and giving wealth and political career to very few at the expense of many. New viewpoint and academic approach toward sports mega-events are in need. 올림픽과 같은 메가스포츠이벤트가 만들어내는 경제효과가 지역발전에 크게 기여한다는 믿음이 하나의 신화처럼 굳어지고 이러한 이벤트를 통해 해외투자를 유치하고 관광산업을 활성화시켜 도시의 브랜드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믿음이 확산되면서 최근 국내에는 지자체들 간 스포츠메가이벤트 유치 열풍이 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믿음은 일종의 환상에 불과하다. 지자체들은 엄밀히 말해 지역 (재)개발을 위한 재원의 마련을 위해 메가이벤트 전략을 채택하는데 사실 이 전략은 지역개발 방식으로는 가장 위험부담이 큰 정책이다. 일시적인 단기경기부양효과와 사회기반시설 확충 외의 경제적 효과는 대단히 제한적이거나 존재하지 않을 뿐 아니라 국고로부터 끌어 올 재원 이상의 재정적 부담을 지역주민에게 전가하고 많은 주민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며 지역 내 불균형발전을 야기한다. 또 지역사회에 미칠 다양하고도 심대한 사회경제적 문제를 도외시 한 채 이벤트 유치에 앞장서는 지역엘리트와 정치인들, 이에 동조하는 일부 학자들, 그리고 유치 결정과정의 비민주성 등의 문제는 외국의 경우보다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가이벤트 유치는 소비주의 탈근대사회에서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 간, 도시와 도시 간, 자본과 생태환경 간 이해관계가 얽힌 경연의 장이면서 저항의 공간이다.

      • KCI등재

        21세기 러시아 문화정책 차원에서 바라본 메가 스포츠이벤트

        송정수 ( Jung Soo So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43 No.-

        현대 러시아의 대내외정책 차원에서 ``소프트 파워`` 전략은 국가정책 실현을 위한 중요한 동인 중 하나로, 새로운 형태와 실현 방식을 모색해 나가면서 더욱 강화되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하여 러시아 정부는 ``소프트 파워``의 적극적 활용에 기대어, 국제무대에서 러시아의 긍정적 이미지 형성과 국가경쟁력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러시아의 문화정책 역시 크게 두 가지 방향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양상이다.현재 푸틴 대통령을 중심으로 구성된 크렘린 권력 수뇌부는 대내적으로 ‘애국심’, ‘문화적자긍심’을 바탕으로 단합과 단결을 추구하고, 대외적으로는 ‘강한 러시아’의 위상을 회복시킴과 동시에 과거 소비에트와 차별화 된 ‘새로운 러시아’의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양상이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메가 스포츠이벤트’라는 핫 이슈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이러한 대내/대외 정책 노선을 더욱 강화시켜 나가고 있다.이에 본 글에서는 러시아 소치 올림픽을 중심으로 메가 스포츠이벤트에 은닉된 정치적 메커니즘을 러시아 대내/대외 문화정책 차원에서 분석해본다. 동시에 ‘메가 스포츠이벤트’ 개최 그 이후의 행보를 추적해봄으로써 단기적으로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경제적손실을 충분히 보상하고, 국가 브랜딩 기법을 통한 러시아의 국가 이미지 구축 및 전파전략에 상응하며, 동시에 러시아의 대내/대외 문화정책을 만족시키는 훌륭한 ‘소프트파워’의 일환으로서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주요 기능 및 정치적 차원에서 발휘되는 영향력을 짚어본다.또한 메가 스포츠이벤트 효과에 대한 자국민의 인식을 객관적으로 가늠해보기 위해 2014년 소치 올림픽 대회 전후로 ‘전러시아 여론정보센터(ВЦИОМ)’에서 실시한 다양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 적용해 본다. 동시에 앤홀트의 ‘국가브랜드 지수(NBI)’ 및 영국의‘브랜드 파이낸스(Brand Finance)’에서 실시한 국가 브랜드 평가 지표에 기초하여 메가 스포츠이벤트 개최를 계기로 러시아의 대외 이미지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고, 실제 크렘린에서 추구하고자 했던 대내외 정책 노선이 현실 차원에서 어느 정도까지 그 성과를 이룩했는지 추적해본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메가 스포츠이벤트가현 러시아 정부의 문화 정책적 관점에서 지니는 의의를 규명하고, 러시아 문화정책 기본 방향에 관한 지형도를 그려보는 동시에, 세계무대에서 러시아의 위상과 국가이미지 개선을 위한 정책 및 전략의 향방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strategy of "soft power" in the foreign and internal policies of modern Russia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policies,and the influence of soft power is increasingly becoming stronger and gaining new forms and methods of implementation.The Russian government exerts efforts to form a positive image of Russia in the international arena,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untry``s competitiveness, based on active use of "soft power."Currently, Russian cultural policy is developing in two main directions. In the internal policy sphere, the Russian government emphasizes national unity and civic solidarity, and fosters a sense of patriotism and national pride. In the sphere of foreign policy, the Russian government is attempting to regain its status as a great power and to create a new image of Russia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ormer Soviet Russia.In this article, we examine and analyze various aspects of the hidden political mechanisms involved in mega-sporting events, in particular the Sochi Olympics,from the viewpoint of Russian internal and foreign policy. We address the major functions of mega-sporting events and their influence in the political realm.The political impact of mega-sports projects can even compensate for economic losses incurred during the preparation and hosting of the Olympic games. In this respect, we can define mega-sporting events as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soft power; such events reflect the basic directions of internal and foreign policy in post-Soviet Russia, which are to form and promote an image of Russia using national branding.In order to fairly and objectively analyze the recognition and perception held by Russians of the significance of mega-sporting events, in this work, we carefully studied the results of various surveys conducted by the Russian research organizationVCIOM (Russian Public Opinion Research Center) before and after Russia hostedthe Winter Olympic games in Sochi (2014) and the Summer Olympic games in Kazan (2013). Furthermore, on the basis of the ranking of national brands by Simon Anholt (Anholt Nation Brands Index - NBI), and on the basis of the ranking of 100 national brands conducted by the British consulting company "Brand Finance"(Brand Finance Nation Brands 100), we minutely trace the development and qualitative change in Russia``s image and the role of the mega-sporting projects.This article also examines the Kremlin``s internal and foreign policies that were successfully carried out in practical terms.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mega-sporting events from the point of view of cultural policy of the current ruling party of Russia.This standpoint allows us to outline the main directions of Russian cultural policy and to suggest perspectives on the branding strategy of modern Russia, including strategies related to consolidating Russia``s position in the international arena.

      • KCI등재후보

        한국 메가 스포츠이벤트 레거시에 대한 시론적 접근

        백정민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2

        이 연구는 한국에서 개최된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레거시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메가 스 포츠이벤트 레거시에 대한 정의 및 유형을 규정하고, 메가 스포츠 이벤트의 레거시는 어떠한가? 를 분석함으로써 메가 스포츠이벤트 레거시에 대한 시론적 논의를 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첫째, 메가 스포츠이벤트 레거시는 개 최이후 남겨진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 유형과 무형의 모든 것으로 정의하였고, 레거시의 유형은 경제적 레거시, 사회 문화적 레거시, 환경적 레거시로 구분 하였다. 둘째, 한국에서 개최된 메가 스포츠 이벤트(88서울올림픽, 2002 한일월드컵, 2010 F1 코리아그랑프리, 2011 대구육상경기대회)의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레거시를 분석하였다. 셋째, 메가 스포츠이벤트를 통해 생산되는 레거시들을 후세대에게 전승하고 사회의 원동력으로 활용해야할 시점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gacy of mega sport events held in Korea. To this end, define the definition and type of mega sport event legacy, and what about the legacy of mega sport event? We will discuss the legacy of Mega Sport Event Leg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ga sport event legacy is defined as positive and negative, tangible and intangible, remaining after the event. Legacy types are classified as economic legacy, socio-cultural legacy, and environmental legacy. Second, we analyzed the economic, socio-cultural and environmental legacy of mega sport events held in Korea (88 Seoul Olympics, 2002 Korea-Japan World Cup, 2010 F1 Korea Grand Prix, 2011 Daegu Athletics Competition). Third, it seems to be a time when legacy produced through mega sport event should be hand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and used as a driving force of society.

      • KCI등재후보

        메가스포츠 이벤트 유치와 지역사회 파급효과의 관계

        김병식(Kim Byung-shik),김성겸(Kim Sung-kyeom) 한국체육과학회 2008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7 No.2

        After experiencing nat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and the 2002 Korea-Japan World Cup, Korea has adopted hosting a mega-event as a strategy to develop the economy of local communities. The present study purported to suggest new perspectives on the effects of hosting a mega-sport event by exploring the positive as well as negative effects of the event.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the ripple effects of a mega-sport event are divided into socio-economical effects and environment-friendly preparation and analyzed. The main issues related to a mega-sport event are who will receive the benefits of the event and how well we can manage relevant facilities after the event. In order to effectively tackle the related issues with a mega-sport event, potential hosting governments of the event should maximize its effects through diversified analyses, and a variety of studies on a mega-sport event should actively conducted.

      • KCI등재

        메가스포츠이벤트 및 개최국 브랜드성격이 이벤트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대환,김하니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9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4 No.6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and the Brand Personality model, to examine the theoretical relationship among nation brand personality, event brand personality, and event visitation intent,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event involvement. For this, a survey targeting 300 participants in the Amazon Mechanical Turk was performed, and 261 cases of the 300 participants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to test the research model. The results of a Latent Modera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nation brand personality has a positive impact on event brand personality. Furthermore, event brand personality was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event visitation intent while nation brand personality indirectly influences it. Interestingly, event involvement negatively moderates the effect of event brand personality on event visitation intent. Specifically, as the level of event involvement decreases, the effect of event brand personality on event visitation intent escalates. We conclude that an event branding strategy reflecting key words of Korean culture such as uniqueness and traditionalism would be effective for promoting mega sport events in Korea and such strategy would be more effective for those who are highly interested in the target event. 본 연구는 기존의 브랜드성격 모델을 확장하여 한국 문화에 적합한 메가스포츠이벤트 및 개최지 브랜드성격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메가스포츠이벤트 및 개최지 브랜드성격과 이벤트 방문의도의 구조적 관계와 이벤트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설명하는 연구모형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전 300명의 Amazon Mechanical Turk 패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261명의 자료를 활용한 잠재조절구조방정식(Latent Moderated Equation Modeling) 분석을 실시하여 설정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개최지 브랜드성격은 메가스포츠이벤트 브랜드성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가스포츠이벤트 브랜드성격은 직접적으로 이벤트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최지 브랜드성격은 이벤트 브랜드성격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벤트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이벤트 관여도는 메가스포츠이벤트 브랜드성격이 이벤트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올림픽 관여도가 낮을수록 메가스포츠이벤트 브랜드성격이 이벤트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잠재적 이벤트 방문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이벤트를 홍보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진실성, 흥미로움, 능력, 세련됨, 평화로움, 독특함, 전통추구성을 투영한 이벤트 브랜딩이 필요하며, 이러한 전략은 이벤트에 대한 관여도가 낮은 소비자 집단에게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메가 스포츠이벤트와 문화정체성(2011년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중심으로)

        곽영만,류동수 한국체육교육학회 2019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4 No.1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the aspects of Korean cultural identity expressed in mega sports events by analyzing the background of the cultural identity formed at the 2011 World Championship in Athletics held in Daegu, Korea. Method: The research method is to draw the final conclusion through a process of inter-subjective Discussion and to narrate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various record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method and the conference related white paper. Results & Conclusion: First, the Championship became a cultural locus that helped improve the regional economy and local culture. It also led citizens to start to consider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values as they participated in the games and related cultural events, as well as when they saw the successful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games and cultural events. Second, the games were viewed as a mega sports event that provided an opportunity for Korean athletics to move one step closer to the world class level and revealed Korea’s intention to address its relatively poor athletics image, proving that the country’s athletes can compete at the highest level on the global stage. It also became a chance to promote Daegu’s brand image at the international level and had profound positive economic effects on the area. Third, when the hype of the world media was focused on the local city of Daegu, there was no better chance to advertise the local culture and traditions. However, all the focus was, in reality, on Usain Bolt’s running spikes. The success of mega sports events is now more dependent on operations surplus,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rather than strengthening national brand value and identity or propaganda about cultural superiority. Fourth, Korea has grown politically, economically, socially, and culturally to the point that is capable of performing glocalization. Thus, the achievements and potentials related to cultural identity revealed through the 2011 World Championship in Athletic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direction of mega sports events hosted by Korea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개최 된 2011년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서 형성된 문화정체성의 배경이 무엇인지를 개최 전부터 대회준비와 개최과정 및 개최효과 등을 분석해봄으로서 메가 스포츠이벤트에서 표출된 문화정체성을 밝히는데 초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었다.첫째, 대회의 경기와 문화행사에 참가하고 간접적으로 성공적인 대회의 조직과 운영 그리고 문화행사를 보고, 국민들은 이 대회가 실질적으로 지역의 경제와 문화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가치관의 중요성을 다시금 인식하고 재검토하는 하나의 문화적 장이 되었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인식은 한반도 전역에서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쳐 한국의 특색 있는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고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데 긍정적인 기여를 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스포츠문화적인 측면에서 한국 육상이 세계적 수준에 한발 더 다가가는 계기를 마련함과 동시에 현재까지 세계무대에서 타 종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약했던 육상이라는 스포츠를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한국의 의도를 제시한 메가 스포츠이벤트였다고 볼 수 있으며 대구의 도시 브랜드 이미지를 세계무대에서 각인시키고 경제적인 효과 또한 도모할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렇듯 이 대회는 스포츠 행사 그 자체와 국가의 문화정체성 차원에서 국내외 관객들로부터 독특한 특징적 정체성으로 표현되어 인식되는 글로벌한 문화의 장이 되었다는 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셋째, 전 세계인의 이목이 한국의 대구라는 지방 도시에 집중된다는 측면에서 오히려 지역의 전통과 발달된 지역문화를 선전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초점은 우사인 볼트의 스파이크에 집중될 수밖에 없었다. 이제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성공적인 개최 여부가 국가 브랜드 가치나 정체성의 강화, 문화의 선전보다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흑자운영 여부에 달려있는 상업주의 시대로 접어들었다고 분석할 수 있다. 넷째, 2011년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는 종래까지 이어지던 국가주도의 메가 스포츠이벤트라는 틀을 깨고 지방 도시가 구심점이 되어 대회의 제반사항을 결정하고 운영했다는 측면에서 성공적인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의 전기를 마련했다고 분석할 수 있다. 각종 문화행사 또한 ‘대한민국’이 아닌 ‘대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고 한국의 메가 스포츠이벤트에서 개최도시 중심으로 대회가 운영된 사례는 2011년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가 효시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결국 대한민국이 그만큼 정치·경제·사회·문화적으로 과거에 비해 성장해 왔으며 글로컬라이제이션을 실천할 수 있는 수준까지 도달하고 있음을 대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2011년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통해 드러난 글로컬라이제이션의 실현과 가능성은 향후 한국에서 개최될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방향성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주는 문화정체성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