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용자의 성향 기반의 얼굴 표정을 통한 감정 인식률 향상을 위한 연구

        이종식 ( Jong Sik Lee ),신동희 ( Dong Hee Shin ) 한국감성과학회 2014 감성과학 Vol.17 No.1

        인간의 감정을 인식하는 기술은 많은 응용분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감정 인식의 어려움으로 인해 쉽게 해결되지 않는 문제로 남아 있다. 인간의 감정 은 크게 영상과 음성을 이용하여 인식이 가능하다. 감정 인식 기술은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과 음성을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두 가지를 모두 이용하는 방법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이 중에 특히 인간의 감정을 가장 보편적으로 표현되는 방식이 얼굴 영상을 이용한 감정 인식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사용자의 환경과 이용자 적응에 따라 많은 차이와 오류를 접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감정인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내면적 성향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이에 따라 적절한 감정인식의 정확도에 도움을 주어서 감정인식률을 향상 시키는 메카니즘을 제안하였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이용자의 내면적 성향을 분석하여 감정 인식 시스템에 적용함으로 얼굴 표정에 따른 감정인식에 대한 오류를 줄이고 향상 시킬 수 있다. 특히 얼굴표정 미약한 이용자와 감정표현에 인색한 이용자에게 좀 더 향상된 감정인식률을 제공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Despite the huge potential of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emotion recognition technologies, the enhancement of the technologies still remains a challenge mainly due to the difficulty of recognizing emotion. Although not perfect, human emotions can be recognized through human images and sounds. Emotion recognition technologies have been researched by extensive studies that include image-based recognition studies, sound-based studies, and both image and sound-based studies. Studies on emotion recognition through facial expression detection are especially effective as emotions are primarily expressed in human face. However, differences in user environment and their familiarity with the technologies may cause significant disparities and errors. In order to enhance the accuracy of real-time emotion recognition, it is crucial to note a mechanism of understanding and analyzing users` personality traits that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motion recognition.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users` personality traits and its application in the emotion recognition system to reduce errors in emotion recognition through facial expression detection and improve the accuracy of the results. In particular, the study offers a practical solution to users with subtle facial expressions or low degree of emotion expression by providing an enhanced emotion recognition function.

      • KCI등재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과 표출 정서가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이한빛,이훈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5 No.2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parental emotional invalidation and expressed emotion experienced during childhood on the psychological health of young adults. Based on a sample of 248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validation, expressed emotion, emotional dysregulation, internalizing problems, and externalizing problems were clarifi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revealed that paternal emotional invalidation affected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s, while emotional dysregul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expressed emotion and internalizing-externalizing problems. For male participants, some direct paths of parental emotional invalidation and expressed emotion leading to internalizing-externalizing problem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while, for female participants, emotional dysregulation mediated the path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성장기 동안 경험한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emotional invalidation)과 표출 정서(expressed emotion)가 성인기 자녀의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248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정서적 불인정, 표출 정서, 정서조절곤란, 내면화 문제, 외현화 문제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아버지의 정서적 불인정은 자녀의 내면화 문제에 영향을 미치고, 표출 정서와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 사이에서 정서조절곤란이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표출 정서가 자녀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정서조절곤란이 완전매개 하였다. 남성의 경우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과 표출 정서가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로 이어지는 일부 직접 경로가 유의미하였는데, 여성의 경우 그 과정에서 정서조절곤란이 매개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성장기의 부모-자녀 간 정서적 상호작용이 성인기의 심리적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으며, 이러한 영향력이 부모와 자녀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작용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발달적·치료적 개입의 방향과 한계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국제정치학 감정연구의 쟁점, 함의, 그리고 향배

        은용수 ( Eun Yong-soo ),용채영 ( Yong Chaeyoung )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18 세계정치 Vol.29 No.-

        본 논문은 국제정치학(IR)에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감정에 관한 연구들을 이론적, 방법론적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향후 이론화에 주는 함의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감정의 개념화와 존재론적 기반에 대해 고찰한다. 기존 의 감정연구에선 미시/거시 수준과 개인/집합적 수준에서 감정의 개념화나 존재 화가 이뤄지는 경향이 있으나 본 글에서는 감정이 인간의 보편적 특성과 사회문화적 특수성을 동시에 갖고 있으며 이 두 측면이 대립하는 것도 아니며 어느 한쪽 이 우위를 갖는 것도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다. 나아가 본 논문은 IR에서 감정연구 의 핵심적 과제 중 하나는 개인의 감정이 어떻게 집단화/정치화되는지를 파악하는 것에 있다고 보고, 집단감정, 사회정체성과 감정의 역학관계, 그리고 감정정치 (affective politics)에 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전개한다.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감정과 권력정치의 관계를 좀 더 명료하게 이해하기 위한 세 가지 연구방향과 관련 개념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본 글은 감정연구의 발전과 수용이 국제관계 이론화에 주는 함의를 논의하면서 감정연구가 성찰주의(reflectivism)의 시각에서 설명이론의 차원을 넘어선 규범적 측면에서 더욱 요청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성찰적 관점에서 볼 때, 감정연구는 국가 간 혹은 민족 간의 갈등중재, 화해, 평화 구축을 위한 공감적 기반의 형성을 위해 매우 중요한 실천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본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emotion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Relations (IR). This article intends to carry out a critical review of the recent IR literature on emotion from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erspectives and discuss what implications an ‘emotional turn’ has for theorization about the international. To this end, the article first ponders the issues associated with the conceptual and ontological foundation of emotion. Although the extant studies tend to conceptualize emotions at a micro vs. macro level or at an individual vs. group level, we argue that emotion has both individual and group (micro and macro) ontological natures in which neither of them is given an ontological and thus conceptual and analytical priority. Based on this discussion, the article identifies how individual emotions lead to a collective and political emotion. Given such a paucity of work on ‘affective politics,’ we lay out a set of research agendas and related concepts that can help us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and power politics. This article concludes with critical implications of the developments in the recent studies on emotion for theorizing international relations. We suggest that IR should take the study of emotion and its normative appeal seriously. Through reflectivism, emotion studies can offer significant practical values in terms of generating empathy, a necessary foundation for reconciliation and peace building among states and ethnicities.

      • KCI등재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과 적응적․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이수연,정은정 한국상담학회 2023 상담학연구 Vol.24 No.5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와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권 4년제 대학에 재학 및 휴학 중인 남녀 대학생 461명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1.0을 이용해서 기술통계․신뢰도․상관을 분석하였고, 주요 변인 모두 개별적으로 각각 유의미한 상관이 확인되었다. AMOS 21.0을 이용해서 매개효과 및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명확성은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적응적․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각각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논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and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daptive cognitive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461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or on leave of absence from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To analyze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d the correlation were assessed using SPSS 21.0.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confirmed individually for all major variables. And mediating effect and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s were examined using AMOS 21.0.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al clarity had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Seco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were confirmed to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Third,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adaptiv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Finally, a discussion of this study was presented.

      • KCI등재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및 유아의 의도적 통제의 매개효과

        김민주 ( Kim Min Ju ),신나나 ( Shin Nana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9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통해 매개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만 4, 5세 유아(남아: 156명, 여아: 159명)를 자녀로 둔 어머니 31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정, 상관관계분석, 다중 매개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지만, 지지적 반응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상위정서가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유아의 의도적 통제에 의해 순차적으로 매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기 내면화 문제행동에 대한 조기 개입 및 중재와 관련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유아의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 태도 및 가치관을 성찰하고 긍정적인 상위정서를 도모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direct effect of maternal meta-emotion on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maternal reactions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and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A total of 315 mothers whose children were 4 to 5 years old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correlations, and serial multiple mediator model. First, maternal meta- emotion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Second, maternal meta-emotion had an indirect effects on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rough maternal non-supportive reaction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However, a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supportive reaction was not significant. Third, maternal meta-emotion had an indirect effects on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rough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Lastly, maternal meta-emotion had indirect effects on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rough maternal reaction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s and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a basic source that can prevent and intervene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provide data for developing parent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부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정서통제와 부정적 정서의 다중매개효과

        최정은,이소연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emotional control and positive emo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behaviors and preschooler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by gender. Fathers and mothers of 166 preschoolers from 7 daycare center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completed parenting behaviors and only mothers completed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and internalizing behaviors sca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2.0 and Process Macro.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eschoolers’ emotional control and positive/negative emotion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warmth-acceptance/permissive-neglectful parent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s. Also, both mothers and fathers’ rejection-restriction parenting influenced preschoolers’ internalizing behaviors through negative emotions. Second, boys’ emotional control and negative emotion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jection-restriction and permissive-neglectful parent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s. For girls, parents’ rejection-restriction parenting influenced girls’ internalizing behaviors through negative emotions, while mothers’ warmth-acceptance parenting affected girls’ internalizing behaviors through positive emotions. These results supported the importance of father and mother’s parenting and preschoolers’ emotional control and negative emotions to decrease internalizing behaviors, while taking the effects of preschoolers’ gender on these variables into account. 본 연구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정서통제와 부정적 정서를 매개로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매개분석을 적용하여 검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유아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세에서 6세 유아를 둔 부모 166명을 대상으로 부모양육행동, 유아의 정서조절, 내재화 문제행동 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부모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을 통해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온정․수용적인 양육행동은 유아의 정서통제와 긍정정서를 통해 내재화 문제를 낮추는 반면, 어머니의 허용․방임적인 양육행동은 유아의 정서통제와 부정정서를 통해 내재화 문제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거부․제재적인 양육행동은 유아의 부정정서를 통해 내재화 문제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모형을 유아의 성별에 따라 각각 분석한 결과, 남아의 경우 어머니의 거부․제재와 허용방임적 양육행동만이 정서조절능력을 통해 내재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친 반면, 여아의 경우 어머니의 온정․수용적 양육행동이 긍정정서를 통해 그리고 아버지와 어머니의 거부․제재적 양육행동이 부정정서를 통해 내재화 문제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을 개선하기 위해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차별적 개입뿐 아니라 유아의 정서통제나 부정적 정서를 유아의 성별에 따라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부모의 정서 표현성이 아동의 애착관계에 대한 내적 표상에 미치는 영향

        송하나 한국인간발달학회 2006 人間發達硏究 Vol.13 No.3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types of attachment security and individual representations of family members. Additionally, the influence of parental emotion expressiveness on children's mental representations of attachment relationships was examined. Sixty four children (37 boys and 27 girls) who live in Seoul and its vicinity were interviewed using a Korean translation of Attachment Story Completion Task, and their mothers and fathers completed a questionnaire for emotional expressivenes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representations of mothers and fathe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types of attachment securit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ypes of attachment security and representations of siblings. It was obvious that mothers and fathers are the important attachment figures to children in early childhood. Children's type of attachment security was also significantly influenced by mothers' negative and fathers' positive emotion expressiveness. Securely attached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have mothers who expressed fewer negative emotions, and fathers who expressed more positive emotion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a concept of open communication in relationships, and the discussion also include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 Emotions of expatriate children and families transitioning into Malaysia: A cultural historical perspective

        Megan Adams 환태평양유아교육연구학회 2014 Asia-Pacific journal of research in early childhoo Vol.8 No.2

        Much of the literature on Third Culture Kids (TCKs) is focussed on negative emotions that children and adults experience during an international transition. Few studies were found that draw on a cultural historical reading of emotions during an international transition. This paper seeks to fill the gap by presenting a study of a young child and her family transitioning into Malaysia as expatriates and looks at the individual and collective emotions present at home and school during the transition. Findings positioned from the child’s perspective show heightened emotions gradually reducing over time with the support of the mother and teacher (Vygotsky, 1987). Further findings reveal that the absence of everyday routines adds to the range of heightened emotions felt by the individual child and collectively in the family and attending school is one of the first stable routines that the child undertakes. It is argued that a cultural-historical reading of this situation offers a different perspective and beginning theorization on the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transitioning internationally.

      • Parental Emotion Socialization in Military Families

        Ya Liu He,Abigail Gewirtz,Jodi Dworkin 한국아동학회 2015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 Vol.5 No.1

        Reintegration after military deployment is a significant family stressor. Guided by Eisenberg’s heuristic model of socialization of emotion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emotion socialization, children’s emotionality and children’s internalizing symptoms using a military sample. It was also investigated whether gender of parents and children impacted parental emotion socialization. Questionnaires were gathered from 248 families with a 4-12 year old child (M = 7.78) in which a parent had been deployed to Iraq or Afghanistan. Children’s emotiona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internalizing symptoms and non-supportive parental emotion socialization. Independent-t-tests and two-way ANOVAs showed that mothers reported more supportive reactions towards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han fathers. Father reports of expressive encouragemen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hild reports of anxiety and depression. Child gender did not influence how parents responded to negative emotion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 Parental Emotion Socialization in Military Families

        He, Yaliu,Gewirtz, Abigail,Dworkin, Jodi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2015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 Vol.3 No.1

        Reintegration after military deployment is a significant family stressor. Guided by Eisenberg's heuristic model of socialization of emotion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emotion socialization, children's emotionality and children's internalizing symptoms using a military sample. It was also investigated whether gender of parents and children impacted parental emotion socialization. Questionnaires were gathered from 248 families with a 4-12 year old child (M = 7.78) in which a parent had been deployed to Iraq or Afghanistan. Children's emotiona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internalizing symptoms and non-supportive parental emotion socialization. Independent-t-tests and two-way ANOVAs showed that mothers reported more supportive reactions towards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han fathers. Father reports of expressive encouragemen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hild reports of anxiety and depression. Child gender did not influence how parents responded to negative emotion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