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로당 이용 노인의 특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우울감 매개효과 중심으로 -

        강희성 ( Kang Hi-sung ),정신섭 ( Jung Shin-sub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7 사회복지경영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경로당 이용 노인의 특성과 우울감을 변수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농어촌 경로당 이용 노인 652명으로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로당 이용 노인의 특성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정서심리 관계요인, 가족 관계요인, 경제 관계요인이 우울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우울감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신체건강관계요인과 사회 관계요인보다는 정서심리 관계요인, 가족 관계요인, 경제 관계요인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요구된다. 둘째, 경로당 이용 노인의 특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에서는 정서심리 관계요인, 가족 관계요인, 사회 관계요인, 경제 관계요인이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신체건강 관계요인보다 정서심리 관계요인, 가족 관계요인, 사회 관계요인, 경제 관계요인을 향상시키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셋째, 경로당 이용 노인의 우울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노인의 우울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넷째, 경로당 이용 노인의 특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우울감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의 특성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우울감 역시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노인의 특성과 우울감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ek ways to promot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people using senior citizen center. The traits of elderly people in the senior center and depression were set as variables. 652 people using the senior center in rural areas were survey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 of psychological emotion, family relations, and economic status had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as the effect of the traits of elderly people in the senior center on depression. Based on this result, it is needed to find out how to improve the factor of psychological emotion, family relations, and economic status rather than physical health status and social relations in order to reduce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Second, the factor of psychological emotion, family relations, social relations, and economic status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s the effect of the traits of elderly people in the senior center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fore, it suggests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improve the factor of psychological emotion, family relations, social relations, and economic status rather than physical health status in order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people. Third, depression of the elderly people in the senior center had a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Namely, it is needed to find ways to reduce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m. Finally, depression had mediating effect in the influence of the traits of elderly people in the senior center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other words, we can find out that the traits of elderly people not only have the direct effe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m but depression also influence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s. Therefore, it is need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traits of the elders and depression simultaneously to promot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people.

      • KCI등재

        중국 조선족 노인의 생활만족도 및 영향요인 연구: 조선족과 한족의 비교를 중심으로

        안화선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9 디아스포라 연구 Vol.13 No.2

        The ageing situation of the Korean social population is relatively severe. There are more elderly people living in empty nests and living alone than Han people. Therefore, there are ethnic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nd its influencing factors. bsed on the data of 358 elderly people in Yanji City,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Korean elderly people were explored by comparison with Han elderly peopl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elderly people surveyed are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lif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Korean elderly is higher than that of the Han elderly, an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Koreans Comparing with the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in the Han nationalit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ree variables of brother-sister support,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mental health. Third, the correlation analysis found that Korean and Han elderly Family support and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variables are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personal income, neighbor support, mental health variable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Korean elderly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but the Han elderly are not in this variable. Present relevance. Fourth, academic qualifications and family support variables have an impa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Korean and Han elderly people. The income and mental health variables only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Korean elderly people. Among the many variable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Korean elderly people, mental health and social support variables have greater influence. 조선족은 중국의 그 어느 민족보다도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문제를 심하게 겪고 있다. 특히 조선족 사회는 동일 거주지역 한족 노인에 비해 독거 노인수가 많으며 자녀들이 외지에서 생활하는 가정이 많다. 때문에 한족 노인보다 삶의 질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다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중국 조선족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국 한족노인과의 비교를 통해 더욱 정확히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중국 연길시에 거주하는 358명의 노인들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노인들은 대체로 자신의 생활에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생활만족도의 평균은 조선족 노인들이 더 높았고 통계적으로 한족 노인들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사회적 지원 및 정신건강 변수를 비교해본 결과 형제자매 지원, 사회활동 참여, 정신건강 변수들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생활만족도와 관련변인의 상관관계를 분석 한 결과 가정지원과 사회활동참여 두 변인은 두 집단에서 공동으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소득, 이웃지원, 정신건강변수는 조선족 노인만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생활만족도에 공동으로 영향을 미친 변수로는 학력, 가족지원 변인이었고, 소득과 정신건강 변수는 조선족 노인들에게서만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선족 노인의 정신건강 변수와 가족지원 변수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령자와 비 고령자에 대한 운전자세 연구 및 개발 방향

        김영준(YoungJun Kim),안대진(Dae Jin An),권보경(Bo Kyung Kwon),장치환(Chee Hwan Jang) 대한인간공학회 2009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1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driving posture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in a normal sedan. We compare elderly driving posture with non-elderly people. We experiment 22 elderly people and 16 non-elderly people in Hyundai Grandeure. In terms of hip-joint center, eye point, and torso angle, the postures are.analyzed. Elderly people sit a little forwarder than non-elderly people. In addition, elderly people’s eye points are closer to the crash pad. The reasons could be 1) elderly people have a short leg length so sit forward, 2) lack of vision compared with non-elderly people, and 3) not comfortable when they drive. The results could be used in areas of a collision test, an interior package layout such as handreach, visibility for elderly people.

      • KCI등재

        노인의 나눔행동 영향요인 연구:기부금액과자원봉사시간에 대한 연령대별 비교분석

        강철희,김새로미,이종화 한국노인복지학회 2017 노인복지연구 Vol.72 No.3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philanthropic behavior(amount of money and time) of the elderly people with the comparison of young-old and old-old elderly people by using the 2015 Social Survey and the Seeming Unrelated Regression Tobit Model(SURTobit Model). Main results are as follows:(1) when focusing on all the elderly people, most of human capital factors, social capital factors, and cultural capital factor were significant for giving and volunteering; (2) when focusing on all the elderly people, household income and gender had different direction in the relationships with giving and volunteering; (3) when separately examining young-old elderly people and old-old elderly people, it was found that young-old elderly people are more active in both giving and volunteering; and (4) in young old elderly, almost all the factors were significant for both giving and volunteering while in old-old elderly, only social capital factors were significant for both giving and volunteering; and (5)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weak but significant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giving and volunteering of elderly people. Although this study has limitations caused by using secondary data, it contributes to broadening and deepening understanding on the elderly's philanthropic behavior. 본 연구는 2015년 ‘사회조사’자료를 활용하여 60세 이상 노인에 있어 인적, 사회적, 문화적자원 및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이 기부금액과 자원봉사시간에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살핀다. 이 관계에서 연령이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어, 연령구분이 없는 모형 및 두 연령대로 구분된 모형들을 통해 그 관계들을 세부적으로 검증한다. 분석 방법으로는 두 종속변수의 특성을 반영하여 가장 효율적인 추정치를 도출할 수 있는 SUR토빗모형을 사용한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세대 전체를 대상으로 할 때 인적, 사회적, 문화적자원의 하위요인 거의 모두는기부금액과 자원봉사시간에 유의한 영향력을 지니고, 가구소득과 성별은 영향력의 방향이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대별 비교에서는 전기 노인의 경우 나눔활동이 보다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기 노인의 경우 기부금액과 자원봉사시간에 거의 모든요인들이 유의한 영향력을 갖고, 후기 노인의 경우 사회적 자원 요인이 기부금액과 자원봉사시간 모두에 정적인 방향에서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노인의기부금액과 자원봉사시간은 약한 수준의 보완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의 기부와 자원봉사행동을 모두 포괄함과 동시에 나눔행동에 대한 영향요인을 노인세대내 연령대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국제법상에 나타난 보편적 인권규정과 노인인권

        김주현 ( Ju Hyun Kim ),박경숙 ( Keong Suk Park ),이상림 ( Sang Lim Lee ),최인희 ( In Hee Choi ),손정인 ( Jeong In Sohn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1 법과 사회 Vol.0 No.40

        Unlike the human rights issues involving women, children or the disabled, the universal norm for the human rights of elderly people is not firmly established from the aspect of the international la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y the human rights of elderly people and to explore a range of potential policies to socially realize those human rights that serve as a base for an independent life in old age and social integration by more narrowly focusing on the unique experience and recognition in old age. To this end, this study materializes the human rights of elderly people by closely analyzing human rights principles emphasized in international and domestic laws and those addressed from the unique experience of Korean people in old age. Further, it classifies the area of the human rights of elderly people by looking through relevant provisions and clauses of international laws or conventions related to the human rights of elderly people in order to present Korea-specific situations. The study mainly deals with income/dwelling, labor, social participation and family caregiving among many human rights areas of elderly people. It reconstructs universally declared principles on human rights by looking into the conformity of those principles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and practices for elderly people. The human rights principles on elderly people can be found in universally declared principles on human rights. And those principles recommend that the human rights of elderly people should be guaranteed in the same conditions as those of other people in the course of application of the rights in a universal way but it is still fragile.

      • KCI등재

        주거약자 지원에 관한 법, 제도적 연구 -노인 주거약자를 중심으로-

        선은애 ( Seon Eun-ae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일감부동산법학 Vol.15 No.-

        주거약자로 볼 수 있는 노인의 증가로 인하여 2000년에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으며 2026년에는 초고령 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되는 바,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인 노인의 노후생활 등을 생각 해 볼 때 그 어느 때보다도 복지에 있어서 노인의 주거에 관한 지원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노인주거약자의 주거권에 있어서는 생존권 중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로서 주거권의 의미를 찾는 게 타당하다고 할 수 있으며 주거권의 실현 중 노인주거약자의 지원에 대해서는 현재 주거급여에 있어서의 부양의무자의 폐지와 더불어 노인주거약자의 소득인정액 환산에 대한 부분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며 노인주거약자 주거의 수선에 있어서도 자가나 비자가를 구별하지 말고 수선, 유지에 관한 판단을 재량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닌 실질적인 기준을 통해서 결정하여야 하며 자가가구가 아닌 경우 소유자에게 지원하여 실질적으로 거주하고 있는 노인주거약자의 권리를 증진 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서류의 신청에 있어서도 노인주거약자의 교육수준 등을 고려하여 이를 사전적으로 구제 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되어야 하며 불복시이를 구제 할 수 있는 주거지원에 관한 권리구제 담당기관이 신설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노인주거약자에 대한 주거권 실현이 복지증진과 더불어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A rise in old people, who can be regarded as the housing underprivileged people, led to having entered the aging society in the year of 2000. The entry into a super-aged society is expected in 2026. Thus, in light of being considered the aged life in the elderly who are put in the blind spot of welfare, a support for the elderly housing in welfare is an element that will need to be weighed importantly more than ever. In this regard, it can be said to be appropriate to seek a meaning of a residential right as the right to lead a life worthy of human dignity among the rights for living in terms of the housing right in the elderly housing underprivileged people. As for a support for the elderly housing underprivileged people out of the realization in the residential right, there is a need to be improved a part on the conversion to the amount of income recognition in the elderly housing underprivileged people, along with being abolished a support obligator in the current housing allowance. Even the housing repair of the elderly housing underprivileged people should be determined through the substantial standard, not through the discretionary judgment in terms of a decision on mending and maintenance, without discriminating between homeowner and non-homeowner. In case of being not home-owning households, there will be a need to promote a right of the elderly housing underprivileged people who are dwelling effectively through supporting a possessor. Also, even the application for document needs to be pursued a plan as well that can give aid to this pro-actively in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level in the elderly housing underprivileged people. There will be a need to be newly established an agency in charge of relieving a right pertinent to a support for housing available for helping this given the disobedience. This is considered to lead to being likely realized a housing right for elderly housing underprivileged people along with promoting welfare.

      • KCI등재후보

        노인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과 입법방향

        김나래(Kim, Na Rae) 한국부동산법학회 2018 不動産法學 Vol.22 No.1

        노인인구가 급증하면서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가 발생하는데, 그 중에 노인의 특성을 반영한 주거공간의 부족은 그들이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없게 하는 주된 요인이다. 이제까지의 국가의 주택정책은 많은 양의 주택을 공급하는 것에만 초점을 두고, 노인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주택을 공급하는 것에 대해서는 간과한 측면이 있다. 또한 1981년에 제정된 노인복지법상에 노인주거시설과 관련된 규정, 2007년에 제정된 노인장기요양보험법상에 재가급여와 관련된 규정, 주거복지를 향상 시키기 위하여 2012년에 제정된 장애인·고령자 등 주거약자 지원에 관한 법률, 2015년에 제정된 주거기본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노인의 주거복지를 실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국가는 이들이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책과 법을 수립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주거정책 분야에서는 국가가 주택의 양적 공급보다는 노인의 필요에 맞는 주택을 공급하는 정책을 시행하여 노인이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또한 입법 분야에서는 노인의 주거와 관련된 다양한 규정을 하나의 법으로 통합하고, 주거복지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노인의 연령을 명확히 해야 한다. 그리고 임대주택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근거와 주택개조 비용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근거를 마련하고, 재가급여기관의 진입을 엄격히 하여 서비스의 질적 하락을 막아야 한다. The rapid increase of elderly people causes lots of social problems. Among these problems, the lack of housing for elderly people is one of the reasons not to live the rest of their lives comfortably. The government has focused on supplying large amounts of houses without the reflection about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elderly people. In addition, there are limits to fulfill the housing welfare even though there are some regulations when it comes to elderly people such as Act on the Welfare of Elderly People, Act o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Elderly, Act on Support for Underprivileged Group, Disabled Persons and Age, etc and Framework Act of Housing.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legal systems and policies in order for elderly people to live comfortably. That is, the government has to supply the housing with the needs of elderly people regarding housing policy for them, and integrate various regulations into one system. The age of elderly people who are able to receive the housing welfare service also should be clarified. Moreover,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provisions of support the remodeling expense of housing and supplying rental houses effectively and prevent the low quality of housing care service for elderly people by reinforcing the requirements of organizations providing housing care services.

      • Research on Interactive Device Ergonomics Designed for Elderly Users in the Human-Computer Interaction

        Xiaolei Zhou,Wei Shen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Smart Home Vol.10 No.2

        In the era of aging society in China, focusing on the issue that it is difficult for elderly people to operate a variety of computing devices with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brought by the aging, a research for ergonomics of interactive devices was put forward for elderly user groups. The research studied the performance of elderly people using the mouse, stylus and touchscreen to perform two-dimensional pointing tasks, compared with younger people, in the computer user interface by controlled experiments, measured the movement time and hit accuracy, and also investigated the subjective experience when they used the three input devices for completing two-dimensional pointing tasks. Experimental data analysis showed that elderly people spend more time than younger people to complete the pointing tasks with any of the three input devices, Fitts' law still hold when the elderly people used mouse, stylus and touchscreen to perform the two-dimensional pointing tasks, and the use of touchscreen can achieve higher performance with the target size should not less than 80 pixels (about 11.2 mm) for both elderly and younger people. Elderly people can benefit more from the touchscreen than younger people.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지방 분권과 노인복지 정책

        조현(Hyun Cho),강인순(In Soon Kang) 한국노인복지학회 2004 노인복지연구 Vol.0 No.26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시대의 국가 제반 복지정책이 지방자치단체에게 위임되어 진행되고 있는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복지수혜 요구자들에 대해 직접적인 대면관계에서 보호와 지원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가 어떻게 역할을 수행하느냐에 따라 크게 영향을 미침으로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규명해 보고 나아가 장기적인 관점에서 현실성 있는 노인 복지정책이 수립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노인문제 양상을 크게 현대화 요인에 따른 노인문제, 고령화 추이에 따른 문제, 노인관련 문제의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노인복지제도는 소득보장제도, 노인보건제도, 노인주택보장제도, 노인복지서비스제도 등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 노인복지 정책실태는 보건복지부의 정책결정 하에 모든 예산이 편성되고 결정되는 상부 하달식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노인복지정책에는 지방자치단체의 독특한 환경을 감안한 노인복지서비스가 실행되기 어려운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지방자치시대의 노인복지정책 기본 방향은 사회경제적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노인인구의 기본욕구의 충족과 동시에 예방적 보편적 차원에서의 지역전체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복지서비스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종합적인 대책과 국가의 현실적인 지원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Korea has entered an ageing society. It is estimated that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will be almost 13% of all population in 2020. Rapid growth of the elderly people necessarily expands the demands on employment, income, health care and recuperation, thereupon the rol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municipalities are expected all the more. At present, the main welfare system for the elderly people includes the guarantee of income, medical insurance, housing security and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people at home etc. However the current elderly people welfare aid system is far below the satisfactory standard, particularly being compared with the degree of social development and the elderly people demands. Accordingly the central government and municipalities should arrange the long-term elderly people welfare aid system that could satisfy the elderly people`s demands. Especially strengthening of the welfare system on municipality level is more important because social welfare service has the attribute of field-initiation. The present municipality`s welfare activation has numerous problems. Some of them are: an unbalanced organizational structure, an inefficient administrative system, a lack of systematic study program on vacational training for elderly people, the shortage of manpower and facilities, so on. And the problems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municipalities are the irrationality of elderly people welfare ser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ambiguous work allocation Also, the problems between municipalities and private organizations are the weakness of elderly people welfare service by the third sector system, and the insufficient link with volunteer welfare organizations. The breakthroughs for all these problems should be made both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ith close connection. And the policies should consider the overall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people in a municipal and should provide detail practices for implementation of welfare system.

      • 노령 장애인의 직업재활 욕구와 태도에 관한 연구

        박혜전(Hye-Jeon Park),이달엽(Dal-Yob Lee),이승욱(Seung-Wook Lee) 한국직업재활학회 2003 職業再活硏究 Vol.13 No.2

        본 연구는 노령 장애인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다시 일반요인, 경제상황, 보건생활 실태, 직업적 특성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요인이 노령 장애인의 직업재활에 대한 욕구와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노령 장애인의 직업재활 욕구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밝혀, 그 결과를 바탕으로 노령 장애인의 직업재활 서비스에 대한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전국에 있는 만 50세 이상의 노령 장애인을 대상으로 방문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210명에 대한 연구결과와 함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40대 이후의 중ㆍ고령에서의 장애발생이 52.3%톨 차지하였고, 후천적 원인에 의한 장애발생도 83.8%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경제적 상태에서는 월평균 소득이 50만원 미만이 56.5%를 나타내 1995년도 한국인구보건원 조사에서의 44%에 비교해 과거 보다 더욱 열악한 경제상태임에 처해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보건생활면에서는 자신의 건강에 별 지장이 없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은 것이 특이할만한 차이점이다. 취업 면에서 노령 장애인이 가장 선호하는 근로형태는 시간제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리고 가장 바라는 것은 취업알선이며, 취업알선 기관에 바라는 사항은 직종의 개발로 나타났다. 그리고 의료비용의 과다한 지출을 위해서 취업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하는 장애인의 취업욕구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하나의 일거리를 다수의 사람들에게 시간제로 골고루 취업시켜 일을 분배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본다. 둘째, 노령 장애인의 직업재활 욕구에 가장 영향을 크게 미치는 변수로는 연령과 장애급수, 그리고 취업경험과 장애인종합복지관과 같은 기관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났다. 또 노령 장애인의 높은 취업의사와 취업알선에 대한 욕구에 부응하도록 다양한 직종의 개발과 직업훈련이 이루어져야 힐 것이다. 나아가 노령 장애인의 취업을 위하여 직업훈련 보조금 지급 등의 활발한 경제적 유인정책이 마련되어져야 한다. 끝으로, 사회가 인구고령화에 따른 노령 장애인 증가에 대한 관심과 계속적인 후속연구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체계적 사회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In our society,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has remarkably increased due to the extensions of life-expectancy and the improvement of health services. Korea is now entering in aging society. Therefore, elderly persons will be expected to continuously increase. This segment of society is currently comprising about 8.3% of the total population, numbering about 3.97 hundred peopl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persons who acquired disabilities in the life process have been increasing due to the accidents and disease. 210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in Daegu, Gyeongsang-do, Seoul, Gyeonggi-do, Jeolla-do, Gangwon-do, Chungcheng-do, Ulsan, Kwangju, Busan and Juju-do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package of survey items included a cover letter and a questionnaire devised by the author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e following five basic areas: ① 12 demographic items, ② 7 economy-related items, ③ 9 health-related items, ④ 24 occupation-related items and ⑤ 18 vocational rehabilitation needs and attitudes items. From the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data, in the ares of disability related traits, and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indicated that several policy strategies to deal with the significant problems of the disabled elderly should be embarked in timely manner.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elderly for preparing rehabilitation and welfare policies of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onset of disability, above forty-years is composed of 52.3% of the total participants. Those who acquired disabilities in the life process due to the accidents and disease are composed of 83.8 %. The monthly income level of below 500 thousand won is 56.5%. In particularly, the participants who replied that the health condition would not interrupt for working are composed of 71.4%. The preference of working among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is a part time job. Second, the results of t-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needs and attitudes based on the health-cost, registration of disability and the recognition of welfare facilities. Third, th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needs and attitudes based on the age, needs of The Olden Act, the purpose of job, the purpose of job-training. Also, the results of factorial ANOVA showed the economy situation, the health condition, the type of vocation cause reciprocal action are being significant statistically. Fourth, based on th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important predict variabl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needs is identified as the age. The class of disability, vocational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welfare facilities for person with disabilities are the next in the order of importance. In conclusion, the following research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First, various works development and job-training efforts corresponding with the needs of elderly people should be pursued. Second, strong employment policies for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prepared. Third, studies concerning for planning for rehabilitating the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continued. Fourth, further investigation should be concentrated on people who are home-bounded as well as the users of welfare fac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specialized rehabilitation policies and servic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disabled elderly, by consider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ir handicapped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