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상담기관 24시간 위기전화 상담자의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이정민(Lee, Jung Min),김경은(Kim, Kyung-Eun),조은이(Cho, Eun Yi),조수연(Jo, Su-Yeon)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3

        본 연구는 대학 내 학생상담센터에서 근무하는 24시간 위기전화 상담자의 경험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탐색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학상담기관에서 위기전화상담 경험이 있는 3명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위기사례 경험, 위기전화상담의 어려움, 위기전화상담의 보람과 소명, 위기전화 상담자가 인식한 개선사항 등의 주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인 사례연구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기전화 상담자들은 위기사례 경험으로 인한 불안과 긴장을 느끼고, 이차외상 및 대리 외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4시간 근무의 특성이 본인 수면의 양과 질에 영향을 미치며, 자신의 주변인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화상담이라는 매체적 특성과 관련하여 일방향이고 일회적이라는 점, 그리고 익명이라는 점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하였다. 넷째, 위기전화 상담자들은 위기사례에 있어서 일차적이고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학내의 자살사건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는 보람과 소명을 경험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위기전화 상담자들은 위기전화상담 서비스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 위기상담 및 전화상담에 대한 체계적 교육과 처우 개선, 심리적 소진 관련 지원 등을 꼽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상담기관의 위기전화상담 서비스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to explore various aspects of the experience of 24/7 Hotline Crisis Telephone Counselors working at the student counseling center in university. To that end, the researche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counselors who had experience in crisis telephone counseling in the university counseling institution and divided the data into subjects of work in general, crisis case experience, difficulty in crisis counseling, value and calling, and areas of improvement the counsellors identifi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risis phone counselors said they felt anxiety and tension from experience of crisis cases, experiencing secondary trauma and vicarious traumatization. Second, 24 work hours a day affect the amount and quality of the counsellors’ sleep and negatively affect their acquaintances. Third, crisis phone counselors experienced stress as the counselling is one-way, one timeand anonymou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nel of the phone counseling. Fourth, crisis phone counselors found it rewarding and felt the sense of calling of being able to provide primary and direct help in crisis cases and playing a role in preventing suicide attempts at the school. Fifth, for the area of improvement, they called for systematic education, better treatment of crisis counseling and telephone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exhaustion-related suppor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efin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crisis telephone counseling services of university counseling institutions

      • KCI등재후보

        교회 위기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기독교 교육상담적 접근

        강연정 ( Yeon Jeong Kang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2012 복음과 상담 Vol.18 No.-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의 위기청소년들이 위기상황을 잘 극복하고 회복할 수 있는 내적 자원인 자아탄력성을 증진시켜, 교회, 가정, 학교, 사회 등에서 잘 적응하고 기능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기독교 교육상담적 접근 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위기 청소년과 자아탄력성에 대한 이해를 하고, 다음으로, 기독교 교육상담의 가능성과 방법을 정리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위기상황과 대처양식에 맞추어 교육상담적 접근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교회 청소년의 위기상황을 가족/관계적 위기, 학업/진로적 위기, 심리/정서적 위기, 사회/문화적 위기, 영적/신앙적 위기 등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이에 대처하는 교육상담적 접근을 치료 지향적, 성장 지향적, 예방 지향적 대처 등 3가지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아울러 교회 내 위기 청소년들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교육상담적 접근방법을 L. J. Crabb의 상담자 훈련 단계를 참고하여, 첫째, 전체 청소년 대상 위기대처 및 자아탄력성 강화 교육적 접근, 둘째, 위기 극복 및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교육상담적 접근, 셋째, 코칭 및 멘토링 접근 등으로 정리해 봄으로써, 교회에서의 교육상담적 가능성과 구체적인 교육상담적 방법들을 제시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for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educational counseling approach in order to help Christian youth in crisis to adjust and function more effectively in churches, families, schools and society by improving resilience, which is their inner resource to overcome and recover from crisis or problem situations in their live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n the youth in crisis and resilience, this researcher outlined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educational counseling and its methodology, and then finally surveyed educational counseling approach to the Christian youth`s crisis and their response modality. This research categorized 5 types of crisis situations in the youth`s life: family/relational crisis, educational/vocational crisis, psychological/emotional crisis, social/cultural crisis, and spiritual/faith life crisis. By dealing with educational counseling approach to these crisis situations from the three dimensions, which are therapeutic-oriented response, growth-oriented response, and prevention-oriented response, this research seeks to secure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counseling in churches where they can help and improve the resilience of the Christian youth in crisis and thereby suggest specific educational counseling programs and methods.

      • 성경적 상담과 상담목회의 실천

        정정숙 ( Chungsook Chung Kim ) 한국성경적상담학회 2016 성경과 상담 Vol.15 No.-

        현대 목회는 위기 상황에 있다. 가치관의 혼란에서 오는 시대적 상황이 목회를 어렵게 한다. 목회를 위한 접근 모델은 은사적 모델, 전통적 모델, 개혁 주의적 모델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평신도들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그 초점이 있다. 연구자는 여러 모델들 가운데서 개혁주의적 모델을 기초로 하여`성경적 상담목회`를 그 원리로 제시하고자 한다. 성경적 상담은 성경을 상담의 원리와 방법으로 삼고 성경의 가르침대로 하는 상담이다. 그러므로 성경적 상담의 바른 실천을 위해서는 성경적 상담의 원리와 방법을 정립하여야 한다. 이것을 기초로 하여 상담목회를 실천해야 하는데 현대사회 속에서 살아가면서 정신적, 육체적,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을 단순한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그들의 사고와 감정과 행동과 성품을 성령과 말씀을 통해 변화시키고 재훈련하여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살도록 하는 것이 성경적 상담이 지향해 가는 목적이다. 따라서 상담목회는 단순한 열정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성경을 바탕으로 한 바른 신학, 성경적 상담에 대한 교육과 훈련, 성경적 상담목회의 실천이라는 단계를 밟아 나가야 한다. 이 사역을 위해 본고에서는 목회적 대안모델로서의 성경적 상담의 실천방안과 상담목회의 전략과 확산에 대해서 고찰한다. Contemporary ministry is at a time of crisis. Confusion of moral values brought on by the societal upheaval makes ministering difficult. In order to help the lay church members cope with these confounding changes, there are a number of approach models, including mentor model, traditional model and reformed model, to the ministry. This article takes the reformed model as the foundation and biblical counseling ministry as the principle of contemporary ministry. Biblical counseling is a method of counseling that takes the bible as the basis of all counseling principles and methods. Therefore, in order for a proper practice of biblical counseling,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and articulate the principles of biblical counseling. Such principles must be the basis of counseling ministry, which must aim to not only resolve the spiritu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faced by lay Christians in contemporary society but also fundamentally transform their lives through the Holy Spirit and the bible. The ultimate purpose of biblical counseling ministry is to help Christians live their lives for the glory of God. Counseling ministry, therefore, cannot be carried out only through one`s passion or compassion, and it requires a systematic training in theology, principles and practice methods of biblical counseling. For the purpose of such ministry, this article offers biblical counseling as an alternative model of contemporary Christian ministry and examines practice methods and ways of expanding and spreading biblical counseling in the Korean church.

      • KCI등재

        가족의 위기 대처를 위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상담 서비스 강화방안

        정혜정 한국가족치료학회 2015 가족과 가족치료 Vol.23 No.3

        Objectives: This study focused on ideas for strengthening family counseling services at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to help families effectively cope with various types of family crises. Methods: Using a critical literature review method, the study evaluated definitions of the term “family crisis” and its related terminologies, and it assessed the condition of family counseling services provided at the various Centers. Results: The study identified several options for strengthening family counseling services at the Centers, including a) providing a roadmap for establishing an identity as a professional family counseling service agency; b) establishing the necessity of universal and unique approaches of family counseling, relative to the context of the family crisis; c) providing various opportunities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family counseling personnel; d) establishing an effective networking of agencies and/or institutes related to family counseling services; and (e) constructing diverse family counseling approaches. Conclusions: The study met the expectation of providing a useful map for family counseling personnel at the Centers. 본 연구는 오늘날 우리나라 가족이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위기상황에 대한 대처능력 향상을 돕기 위해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상담 사업 강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비판적 문헌고찰 방법을 사용하였고, 우선 가족의 위기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고 건강가정지원센터 내 가족상담 운영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상담 사업을 강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족상담 접근방식의 강화방안으로서 가족상담 전문기관으로서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로드맵 제공, 보편성과 특수성에 입각한 융통성 있는 가족상담 서비스 제공, 효과적 연계체계 구축을 통한 가족상담 서비스의 효율성 확보, 가족상담 접근방식의 다양화 방안을 제시하였고, 가족상담 인력의 전문성 강화방안으로서 상담자의 자격과 전문성 향상 방안과 가족상담사의 국가자격증 제도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가족위기의 개념과 가족상담 운영 현황 및 가족상담 사업 강화방안을 통합하여 앞으로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년여성의 위기에 대한 이해와 기독교상담

        홍근미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2 복음과 실천신학 Vol.25 No.-

        This study confirmed the crisis of middle-aged women was caused by physical, socio-cultural, psychological-family therapeutic factors and it was not properly solved. For the solution of the crisis,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middle-aged women’s crisis and Christian counseling. It was confirmed middle-aged women’s crisis came from senility and the menopause in physical dimension, and double burden of family conflict and working in the mid of traditional and western values in socio-cultural dimension. Also, it was ascertained that the crisis came from sense of developmental crisis in psychological dimension and usual stress and psychological stagnation by husband, children and her aged parents, in family therapeutic dimension. And this study proposed three methods of Christian counseling for solution of the crisis of middle-aged women. Firstly, the solution of the crisis through self-confession makes middle-aged women feel psychological abreact by self-exposure. Secondly, the analysis of cause and the cognitive reconstruction makes middle-aged women recover the problem of family conflict by forgiveness, Thirdly, the positive cognition of future and the establishment of hope makes middle-aged women have strength to overcome crisis when having futuristic hope in situation of crisis. It is prospected that the physical, socio-cultural, psychological-family therapeutic analysis about cause of the crisis of middle-aged women and Christian counseling methods based on the analysis will be effective for solution of the crisis of middle-aged women.

      • KCI등재

        국가적 재난 발생 대응에 대한 상담자의 경험적 합의 - 재난상담 수행 경험 및 상담자 요구 -

        김형수,안지영,김동일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재난 대응 심리 개입에 대한 상담자들의 경험과 요구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상담관련 주요학회(한국상담학회 및 한국상담심리학회), 서울 경인지역 중고등학교와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소속 상담자 300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는 재난상담 교육 경험 및 요구, 재난상담 참여경험 및 수행역할, 인접 분야와의 상담자 수행 역할 유사도 등에 대한 12문항의 설문이 실시되었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응답자들은 재난상담관련 교육 경험이 적었고, 재난 상담 참여 경험 유무나 경력 수준별 차이에 상관없이 교육 요구는 모든 항목에서 전반적으로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응답자들 가운데 약 25% 정도가 재난 상담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인원 대비로는 5년 이상의 경력자들의 참여도가 높은 편이었다. 셋째, 응답자들은 재난 상담 시 역할을 의사 및 임상심리사와 비슷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실제 역할과 다소간 불일치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comprehensive data on counselors' experience and perception about disastrous situation when proper psychological support is needed. This study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300 counselors belong to major counseling associations(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and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Incheon area, and youth counseling & welfare centers. The survey consisted of 12 questions about training experience of disaster counseling, needs of disaster counseling training,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performance role of disaster counseling, and counselors’ role similarity to adjacent fiel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overall, had less experience of disaster counseling training, and there was a great demand for disaster counseling training regardless disaster counseling experience and different career levels. Second, among all respondents, only 1/4 had field experience. The counselors with five or more years of experience showed the highest rate of disaster counseling experience in the field. Third, the respondents had a perception that their roles in disaster counseling are similar to those of doctors and clinical counselors. Thus, there exists an inconsistency in counselor’s actual roles in disaster counseling.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are provided.

      • 대안가정공동체 위기 청소년의 변화경험 연구

        강호인,여한구 한국상담전공대학원협의회 2019 융합상담치료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대안가정공동체에서 생활하는 위기청소년의 변화경험을 현상학적 방법으로 살 펴보는 것으로, 대안가정공동체 청소년의 변화요인과 과정을 이해하려는 목적이 있다. 대안 가정공동체에서 생활하는 위기청소년들의 변화경험을 이해하고 본질적 의미를 밝혀내기 위 해 지오르지(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경기도 B시 소재 e공동체에서 2년 이 상 생활한 고등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분석결과 대안가정공동체에 입소 청소년의 변화경험은 167개의 의미단위, 22개의 하위 구성요소, 7개의 핵심 구성요소로 범주 화하였다. 핵심구성요소는 <열악한 가정환경>, <위기경험>, <기회선택>, <적응갈등>, <변 화의지>, <변화경험>, <새로운 목표가 생김>으로 범주화되었다. 연구결과 대안가정공동체 에 입소한 청소년의 위기경험은 <열악한 가정환경>에서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위기상황 에서 e공동체 입소와 적응갈등을 통해 변화의지가 생기고 변화경험을 하였다. 참여자들의 구체적 성장과 변화를 촉진시킨 힘과 위기청소년의 변화경험은 생활습관, 학업습관, 관계, 신앙생활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열악한 가정환경으로 인해 돌봄의 부재 속에서 위 기경험을 한 청소년이 대안가정공동체를 통해 기독교 신앙에 기초한 개입, 돌봄, 교육을 통 해 긍정적 변화경험이 나타났다. 이에 대안가정공동체가 안전한 울타리가 되면서 위기청소 년들의 삶의 전환점이 되었다는 점에서 향후 환경변화에 따른 가정과 청소년을 위한 상담목 회적 가정공동체 운영에 대한 긍정적 적용이 필요하다. 나아가 한국사회를 위해 기독교 교 회가 청소년들을 위한 가정공동체 적용의 기초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henomenologically examine the evolving experiences of several adolescents in crisis living in a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The present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changed them while living in this alternative home community environment, and their evolving process. To understand the evolving experiences of the adolescents in crisis living in a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and to elucidate the essential meaning of these experiences, 10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been living in the E community based in B city, Gyeonggi Province for 2 years or longer were surveyed according to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The evolving experiences of the adolescents at the community were categorized into 167 meaning units, 22 subcomponents, and 7 core components. The core components are comprised of poor family circumstances, experiencing a crisis, choosing an opportunity, adaptation and conflict, the will to change, experiencing a change, and achieving a new goal. The study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crisis in adolescents who entered the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started from poor family circumstances. In moments of crisis, they gained a will to change through adaptation and conflict after entering the E community and experienced a change. The strength that stimulated the concrete growth and change in the study participants, and the evolving experiences in these adolescents in crisis were demonstrated in their daily habits, study habits, relationships, and religious lives. This study found that the adolescents, who underwent a crisis in the absence of care due to their poor family circumstances, demonstrated positive evolving experiences through pastoral counseling intervention, care, and education based on the Christian faith in the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This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became a safe refuge for adolescents in crisis and a turning point in their life. Therefor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ositively include this type of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ies for families and adolescents going through changes in their environment. Finally, this study is valuable for the Korean society in that it is the foundational study that examines the Christian church’s application of the pastoral counseling-based alternative home community for adolescents.

      • KCI등재

        중년기 여성의 이혼위기감 형성 및 해소 경험 연구: 부부 집단상담 참여자를 중심으로

        최미란 한국가족학회 2020 가족과 문화 Vol.32 No.2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formation and resolution of middle-aged women’s divorce crisis who participated in group counseling for couples. This study presented theories about couple relation and divorce, divorce crisis of middle-aged women, efforts to resolve the divorce crisis and group counseling for couples and set analysis clues according to research objective. A total of ten middle-aged women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1:1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adopted a case study approach suggested by Creswell(2013) to resolve the clue of the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in-case analysis’ and ‘case by case analysis’ according to the study procedure. In-case analysis revealed formation and resolution experience process of the middle-aged women’s divorce crisis in the overall context of life. Case by case analysis extracted three stage of formation of divorce crisis, resolution of divorce crisis and creation of new marital relations. The stage of formation of divorce crisis integrated themes including ‘inner world of hatred fixation towards their husbands’, ‘composition of divorce decision’, ‘reason of divorce anxiety’, ‘problem behavior of their husbands that cause hatred’. The stage of resolution of divorce crisis integrated themes including ‘personal efforts to improve the relationship’, ‘result of efforts for conjugal relations improvement through group counseling for couples’, ‘husband’s introspection through recognition of other experience’. The stage of creation of new marital relations integrated themes including ‘flexible perception’, ‘altered husban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researcher presented the need of establishment of divorce crisis management system, activation of group counseling for couples and development of program for continuing marital relations after resolving the crisis as practical and political sugges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부부 집단상담에 참여한 중년기 여성의 이혼위기감 형성 및 해소 경험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부관계와 이혼, 중년기 여성의 이혼위기감, 이혼위기감의 해소 노 력과 부부 집단상담에 관한 이론들을 제시하고 분석과제들을 설정했다. 총 10명의 참여자를 선 정하여, 1:1 심층면담을 통해 분석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Creswell(2013) 이 제안한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연구절차에 따라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 석’을 시도하였다. 사례 내 분석에서는 삶의 전체적인 맥락에서 중년기 여성의 이혼위기감 형성 및 해소 경험의 과정을 드러냈다. 사례 간 분석에서는 이혼위기감 형성 과정, 이혼위기감 해소 과정, 새로운 부부관계 창조의 3단계로 분석하였다. 이혼위기감 형성 과정에서는 ‘남편 증오심 고착의 내면세계’, ‘이혼 결심의 구성’, ‘이혼 불안의 이유’, ‘남편 증오를 유발하는 언행’과 이혼 위기감 해소 과정에서는 ‘관계 개선을 위한 개인적 노력’, ‘부부 집단상담을 통한 관계 개선의 노 력과 그 결과’, ‘타인 경험의 인지를 통한 남편의 성찰’ 그리고 새로운 부부관계 창조에서는 ‘유 연한 인식’과 ‘변화된 남편’을 통합주제로 추출하였다. 연구자는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 로 이혼위기 관리 시스템 구축, 부부 집단상담제도 활성화와 위기 해소 후 부부관계 지속 프로 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실천 및 정책적 함의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목회상담의 위기해결을 위한 실천적 대안

        정혜연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oach and analyze the crisis of pastoral counseling in Korean churches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to propose practical alternatives for overcoming the crisi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concept and goals of pastoral counseling in detail, and then confirms the essential identity of pastoral counseling as it moves toward living in union with God under God's presence. It then describes the crisis and causes of pastoral counseling are explored in depth by dividing them into the indiscriminate acceptance of psychology, the multi-role conflict of pastoral counsellors, and the lack of a pastoral counseling perspective on the increase in activities in cyberspace.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s of the crisis in pastoral counseling based on the biblical view of history from creation, fall, redemption, and the second coming, and the biblical view of human beings that assert that human beings are precious beings made in the image of God. Specifically, the biblical view of history tells us that God is the owner of the world, and that God is the owner of cyberspace. It teaches us that human understanding is futile and that the multi-role conflict of the pastor must be resolved on a God-centered basis. Finally this study presents a pastoral counseling perspective on the indiscriminate acceptance of psychology, extension of the concept of pastoral counsellor to resolve the multi-role conflict of pastoral counsellors, and a pastoral counseling perspective on activities in cyberspace as practical alternatives. In addition, this study has a weakness of a literature study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future study that investigates more cases related counseling studies from more diverse perspectives.

      • KCI등재후보

        현대의 심리적 위기문제와 기독교해결중심치료적 접근

        장명수 ( Myoung Soo Chang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2011 복음과 상담 Vol.17 No.-

        인간의 삶은 위기와 언제나 맞닿아 있다. 현대 사회는 과거 어느 시대보다 많은 위기를 내포하고 있다. 경제적인 위기와 정신적인 위기 그리고 환경적인 위기들은 상상을 초월할 만큼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인간의 삶에 위협적이다. 본 소고에서는 인간의 삶에 찾아오는 위기의 문제들과 그 특성을 기독교상담적인 관점에서 인식하고 위기를 만난 사람에게 해결중심치료적 접근을 통하여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위기는 인간에게 절망만 주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수용하는 입장에 따라 변화와 성장의 기회로 선용할수 있다. 위기를 만난 사람들이 영적인 자원들을 발견하여 건설적으로 활용하게 되면 위기는 많은 기회를 제공할 뿐 아니라 하나님과 보다 가까운 삶으로 나아갈 수 있다. 위기가 찾아올 때 스스로 자폐적인 상태로 물러가지 말고 용기와 담대함을 가지고 이웃과 공동체와 하나님 앞에서 자신을 열고 나아갈 때 수많은 기회들이 찾아올 수 있게 될 것이다. 해결중심치료적 접근은 그것이 가진 장점을 가지고 위기문제를 보다 더 효율적인 결과로 인도해 낼 수 있다. Crisis is closely connected with every aspect of human life. There are more crises than ever in today’s modern society. Economic crisis, mental crisis and environmental crisis have various aspects of problems and threaten human life. This thesis was written from the viewpoint of Christian counseling concerning crisis problems and its specific characters. It is an inquiry into the basic understanding of crisis 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f people in crisis. Consequently, I hope that it will be useful in helping people in crisis. Also it is a study on crisis and suffering from biblical perspective. Crisis causes us pain and despair. However, it could also lead us to develop a new perspective in life and provide an opportunity for personal growth. Crisis can also help people get closer to God if they could discover their own spiritual resources and make a constructive use of them. Responding to the crisis with too much sensitivity could make people feel overwhelmed by the crisis. Crisis can help an individual develop his/her courage, boldness and openmindedness. Solution-focused therapy is a very useful tool to overcome today`s crisis problems. It will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problem of contemporary psychological cri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