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학개념이 포함되는 신체활동이 유아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유정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3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수학개념이 포함되는 신체활동이 유아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I군에 위치한 S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16명(실험집단)과 I초등학교병설 유치원의 만 5세 유아 14명(통제집단)으로 총 30명이 참가하였다. 연구 도구는 유아의 수학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김지영(2005)이 개발한 유아수학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수학개념이 포함되는 신체 활동이 수학과 신체의 분리된 활동보다 유아의 전반적인 수학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ison of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physical activity including mathematical concepts. For thi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What is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including mathematical concepts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1) What is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including mathematical concepts on young children's ability in number and operation? 2) What is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including mathematical concepts on young children's ability in algebra? 3) What is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including mathematical concepts on young children's ability in geometry? 4) What is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including mathematical concepts on young children's ability in measurement? 5) What is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including mathematical concepts on young children's ability in data analysis? For this study, 14 kindergartens young children at age around 5 were selected for control group and 16 are selected for test group out of total young children in the I public kindergarten of the I primary school in I province in Kang-won state. A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test tool developed by Ji young Kim in 2004 are used for test tools for this study in order to measure the mathemat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thesis, data analysis for the materials was undertaken through the calculation of standard deviation and average using the SPSS/for windows 17.0 program, and through the t-test among groups for the effect sc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hysical activities including mathematical concepts performed better in most areas of the mathematical ability test than the control group who participated in mathematical education physical activities(t=9.562, p< .001).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hysical activities including mathematical concepts performed better in number and operation area of the mathematical ability test than the control group who participated in mathematical education physical activities(t=6.426, p< .001).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hysical activities including mathematical concepts performed better in geometry area of the mathematical ability test than the control group who participated in mathematical education physical activities(t=5.291, p< .001). Forth,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hysical activities including mathematical concepts performed better in mesurement area of the mathematical ability test than the control group who participated in mathematical education physical activities(t=8.212, p< .001). Fifth,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hysical activities including mathematical concepts performed better in analysis area of the mathematical ability test than the control group who participated in mathematical education physical activities(t=5.156, p< .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hysical activity including mathematical concepts have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mathematics ability than mathematics education separated from physical activities. Physical activities including mathematical concepts were meaningful. So they can be adopted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effective teaching methods.

      • KCI등재

        사회과학적 개념, 개념적 은유, 사회과 개념학습

        윤길복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2 사회과교육연구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theoretical grounds of how significant concept learning in social studies is constructed by re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necessary conditions and the logical sufficient conditions of social scientific concepts. The researches of concepts in cognitive psychology that have been theoretical grounds of current concept learning in social studies focus mainly on ordinary concepts, but concepts in social studies is scientific. Scientific concepts is abstract generalizations of ordinary concepts that are characterized by experiential generalizations. But Scientific concepts are deeply and significantly constructed when they are connected with ordinary concepts. Pseudo-concept that is characterized by concepts functionally but complexes structurally may take the role that bridge concrete thinking by things and abstract thinking by concepts. Conceptual metaphors that are structurized by metaphorically mapping abstract concepts into concrete objects take the role of link that bridges abstract scientific concepts and concrete ordinary concepts. Scientific abstract concepts have to be metaphorically formed in complementary relation with ordinary concrete concepts. Such method of concept learning make life of students and products of learning meaningfully linked, and guarantees the fundamental purport of concept learning in social studies. 본 연구는 사회과학적 개념의 심리적 필요조건과 논리적 충분조건을 재검토함으로써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사회과 개념학습이 어떻게 재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사회과 개념학습의 이론적 토대가 되고 있는 인지심리학의 개념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일상적 개념에 대한 것인데 비해 사회과교육의 개념은 과학적이다. 과학적 개념은 경험적 일반화의 기능을 갖는 일상적 개념에 대한 추상적 일반화이다. 그러나 과학적 개념은 일상적 개념과 병합될 때 깊이 있고 의미 있는 개념형성이 이루어진다.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개념적으로 보이지만 구조적인 측면에서는 여전히 복합적인 사고의 형태를 띄고 있는 의사개념은 사물 중심의 구체적인 사고와 개념 중심의 추상적인 사고를 연결시켜주는 연결 고리라고 할 수 있다. 추상적 개념을 구체적 대상에 은유적으로 사상시켜 체계화되어 있는 개념적 은유는 추상적인 과학적 개념과 구체적인 일상적 개념을 연결시키는 고리 역할을 할 수 있다. 사회과학적인 추상적 개념 형성은 일상적인 구체적 개념과의 상보적 관계 속에서 은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개념학습의 방법은 학습자의 삶과 사회과 개념학습의 결과를 유의미하게 연결시켜 주며 또한 사회과에서 추구하는 개념학습의 근본적인 취지를 보장하는 길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지리개념 발달과 상보적 교수-학습

        강창숙 ( Chang Sook Kang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0 No.2

        Vygotsky`s disscussion of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concepts can only be acquired as a result of delibrate and systematic instruction in an educational activity setting. Its development is by focusing on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Z{D). From this it follows that the reciprocal teaching-learning studied as a more effective method theoretically to develop the geographical concepts of the students. First of all, The everyday concepts are spontaneously developed in a dialectical relation to the geographical concepts, which are mediated through the teaching and learning. There is a double move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Thus teacher must guide instruction on the basis of reciprocal teaching-learning. The everyday concepts development depends upon systemically organized geographical concepts of a high degree of generality, so the geographical concepts must be systemized as a knowlege structure. For this I shall propose a systematic frame such as superordinate theme concepts-basic element concepts-subordinate element concepts-concrete facts based on the relation of generality of concepts. A student is individual, its individualities have a ZPD as the sensitive zone of learning. To work with the ZPD in classroom teaching implies that the teacher is aware of the ZPD of student and must be use as a tool to plan for qualitative changes. The concepts development of students is achieved through the interactions with others in the their own ZPD. Therefore they can maximize the interaction through instructional conversation in the environment of peer collaborative interaction, and participate in cognitive structure reconstructing more actively. Consequentiy, it is important to constructs fo activity setting fo rthe interaction. Although the recipocal teaching-learning is directly related to the concepts development process, we can explain it properly only when the study on the geographical concepts development is being performed empirically.

      • KCI등재

        수업에 의해 변화되는 9학년 유전 개념의 생태 지위 분석

        여채영 ( Chae Yeong Yeo ),정재훈 ( Jae Hoon Jeong ),임수민 ( Soo Min Lim ),김영신 ( Young Shin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1 No.5

        개념 생태에서 개념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생태적 환경 하에 놓여 생태 지위를 차지한다. 생물학의 많은 개념들 중에서 유전 개념은 유전 단원 외에도 여러 단원과 관련되어 있으며, 유전 단원 내에서도 영역 사이의 개념 간 의존도가 높은 단원이므로 생태 지위적 접근을 통해 개념의 다양성과 개념 근접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9학년 학생 9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의 설문 영역은 유전자, 염색체, 체세포분열, 감수분열로 4가지 유전 관련 개념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각 영역과 관련된 생물학적 개념이나 용어를 제시하게 하고, 제시한 생물학적 개념이나 용어를 각 영역과의 관련된 정도를 1에서 30의 점수로 표시하게 하였다. 9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통한 유전개념의 변화를 생태 지위적 접근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수업을 통해 전체 개념 수는 감수분열, 체세포분열, 염색 체, 유전자 영역 순으로 모든 영역에서 증가하였고, 전체 개념 수의 증가로 인해 상대밀도는 감소하였다. 개념 다양성 지수는 감수분열, 체세포분열, 염색체, 유전자 순으로 모두 증가하였다. 그리고 학습 후 개념들의 상대밀도의 차이가 감소하였으며, 관련성 점수의 차이도 감소하여 개념 간 유사성이 증가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습을 통해 유전개념의 개념 다양성이 증가하였다. 둘째, 학습을 통해 유전개념의 개념 근접성이 증가하였다. In conceptual ecology, a concept does not exist independently but occupies an ecological niche in ecological environment. Among many biological concepts, genetic concepts are connected to several units including the genetics unit, and within the genetics unit the concepts of sub-areas are highly dependent on one another. For this reason, we analyzed conceptual diversity and conceptual proximity of genetic concepts through the ecological niche approach.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995 9th graders. The areas covered in the survey were four genetic concepts: gene, chromosome, mitosis, and meiosis. The questionnaire presented biological concepts or terms related to each area, and the respondent marked the relevance between the presented biological concepts or terms and each area on a scale of 1~30 points. With 9th grade students, we analyzed the change of genetic concepts through class by the ecological niche approach. Through class, the total number of concepts increased in all of the areas, and the increase was smallest in the area of meiosis followed by mitosis, chromosome and gene. Relative density decreased with increases in the number of concepts. The conceptual diversity index also increased through class in all of the areas, and the increase was smallest in the area of meiosis followed by mitosis, chromosome and gene. In addition, difference in the relative density of concepts was reduced after class, and difference in the score of relevance was also reduced and consequently similarity among concepts increased. From these results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rough class, the conceptual diversity of genetic concepts increased. Second, through class, the conceptual proximity of genetic concepts increased.

      • KCI등재

        핵심 개념에 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인식 및 관점

        유은정 한국지구과학회 2023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4 No.1

        Rather than an abstract discou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utline the core concepts in the 2015 revisedcurriculum as a concre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the school context. We interviewed eight secondary scienceteachers and reported their perceptions and perspectives on core concepts using a backward design model based on thecyclical process of the platform, deliberation, and design for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o understand coreconcepts.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ese core concepts differently, such as big ideas corresponding to the ultimateprinciple, minimum science concepts required for daily life, and primary and significant key concepts. In addition, thisaffects the associ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When core concepts are understood as transferable and expandable bigideas, there is a tendency to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and design project learning in a specific direction. However, if core concepts are identified as minimum science concepts at the level of science literacy, that can be recalledwithin the context of life, there is a tendency to emphasize on activities that make a meaningful difference to the lives ofstudents with focus on case studies that are relevant to everyday life. Once core concepts are identified as key scientificcontent elements, such as basic or significant concepts, teachers recognize that it is essential to emphasize conceptchanges by correcting misconceptions, acquiring accurate scientific knowledge, and developing problem-solving itemsthrough paper-and-pencil evaluation. A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finalized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sscheduled for release, effective policy support is required to ensure that the curriculum is revised, which emphasizes thepurpose of big ideas by naming core concepts as core ideas, to be stably implemented in schools.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처음 도입된 핵심 개념이 추상적인 담론으로 그치지 않고 학교 현장에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으로 구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플랫폼, 숙의, 설계의 순환적 과정에 따라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하여 핵심 개념 이해를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에 참여한 8명의 중등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핵심 개념에 대한 인식 및 관점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핵심 개념에 대해 궁극적 원리에 해당하는 빅 아이디어, 일상생활을살아가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과학 개념, 기본적이고 주요한 핵심적 과학 개념 등 핵심 개념의 의미에 대해 동일 교과인 과학과 안에서도 공유되지 않은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교수학습 지향점에도 영향을 주어, 핵심 개념을 전이와 확장 가능한 빅 아이디어로서 이해하고 있는 경우는 개념 간의 관계에 주목하며 분명한 방향성을 갖고 프로젝트 학습을 설계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한편, 핵심 개념을 삶의 맥락에서 떠올릴 수 있는 과학 소양 수준의 최소한의 과학 개념으로 인식하는 경우, 학생들의 삶에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지향하며 일상에 적용 가능한 사례 중심으로 검색 및 조사 활동을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핵심 개념을 기본 개념이나 주요 개념 등 핵심적인 과학내용 요소로 인식하는 경우, 오개념 교정을 통한 개념 변화를 강조하며 정확한 과학 지식을 학습하고 지필 평가 및 수행 평가를 통한 문제 해결 문항을 개발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마무리 되고 2022 개정교육과정이 확정·고시될 예정인 현 상황에서, 핵심 개념을 핵심 아이디어로 명명하여 빅 아이디어의 취지를 재차 강조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할것이다.

      • KCI등재

        통합개념을 중심으로 한싱가포르, 캐나다와 미국의 과학교육과정 내용 요소 분석

        이윤하 ( Yoon Ha Lee ),윤회정 ( Heo Jeong Yoon ),송주연 ( Joo Yeon Song ),방담이 ( Da Mi Ba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싱가포르 과학교육과정의 주제(theme)와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과학과 기술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본질적 개념(fundamental concept), 미국의 과학교육내용표준(NGSS, National Generation Science Standards)에 제시되어 있는 학문 간 교차개념(crosscutting concept)을 살펴보고, 통합개념과 관련된 각국의 성취목표에 어떤 과학 내용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학년 별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국에서 제시하고 있는 통합개념은 그 나라 교육과정의 특성을 반영하며, 통합개념의 특성에 따라 통합개념에 포함되는 과학 내용요소들은 달라질 수 있다는 것과 학년 별로 제시되는 통합개념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통합개념을 중심으로 통합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하는 몇 가지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안할 수 있다. 주요 과학 내용을 포함해야 하는 통합개념의 수는 너무 많거나 너무 적지 않아야 할 것이며, 통합개념이 의미하는 바를 명확히 규정하고 해당 통합개념에 어떤 분과적인 내용 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는지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통합개념을 선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모든 통합개념이 모든 학년에서 고르게 다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지, 또는 특정 통합개념이 특정 학년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지는 것이 필요한지 등을 숙고하여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feasibility of integrated concepts as a key element in designing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has been investigated by analysing science contents included in performance expectations stated at different grades. The science curriculum of Singapore and the state of Ontario in Canada, and next generation of science standard (NGSS) were selected. Each of them presents theme, fundamental concepts, and crosscutting concepts,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concepts proposed in the study. Analysis showed that theme, fundamental concepts, and crosscutting concepts were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urriculum. In addition, science contents related to integrated concepts at different grades varied with the nature of integrated concepts. Based on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made. First, the total number of integrated concepts should be considered for designing integrated curriculum. Second, the nature of integrated concepts and science contents associated with the integrated concepts should be considered. The integrated concepts should be vast and deep enough in the meaning to contain various content knowledge of different science domains. Thir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how the integrated concepts have to be presented at different grades.

      • KCI등재

        Analysis of Concept`s Diversity and Proximity for Photosynthesis in Grade 7 Students

        ( Soo Min Lim ),( Jae Hoon Jeong ),( Young Shin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6

        Concepts of science have been developed by occupying ``ecological niche`` within conceptual ecology. The ecological niche is determined from the mutual effect between intellectual environmental of the learner and new concept, which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his study examined how the ecological niche of the concept of photosynthesis in 7th grade is changed by instruction. The ecological niche was analyzed using 2 methods: (1) the change in the diversity of concepts, and (2) the change in the proximity of concepts based on the frequency and the relativeness score of the concepts. The concept of photosynthesis was analyzed in the 4 domains in the place of photosynthesis, products of photosynthesis, reactants of photosynthesi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reduced diversity of concepts, (2) increased frequency and relativeness score of the scientific concepts, and (3) increased proximity of the scientific concepts by instruction. With these results, the mutual effects of the concepts within the conceptual ecology have become active by class to different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cepts, which accordingly displayed their changes in status.

      • KCI등재후보

        중학교 학생의 일반사회 영역 개념 이해도: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분석을 중심으로

        박은아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1 사회과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을 중심으로 중학교 학생들의 일반사회 영역의 개념 이해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념 이해도를 개념 형성/개념 활용 측면에서, 개념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개념의 수, 이전 학습 경험 여부 및 생활 관련자료 활용을 살펴보았고, 성취수준별 개념에 대한 이해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교 학생들은 개념 형성과 개념 활용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상대적으로 개념 형성보다는 개념 활용을 어려워하고 있었다. 한편, 이전학습 경험 및 생활 관련 자료 활용보다는 개념의 수가 개념 이해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성취수준별 개념 이해도의 특성을 살펴볼 때, 우수학력 학생들의 기본 개념 이해도는 높은 편이지만, 관련 개념과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경우 정답률이 낮게 나타났다. 반면 보통학력 학생들은 선거제, 희소성 등과 같은 기본 개념의 결정적 속성은 대체적으로 이해하고 있지만 관련 및 상위개념에 대한 이해 정도는 낮은 것으로 보인다. 반면 기초학력 학생들은 기본 개념 이해도는 매우 낮은 수준이지만, 공식/비공식조직, 청소년기 등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었다. 따라서 중학교 학생들의 관련 개념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개념의 기본적 속성에 대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교과서 구성 및 수업 과정에서 제공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oncepts understanding in Politics, Economics and Socio-Cultural Content of middle school student by using 2004-2008 National Asses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al Achievement. To achieve this purpose, it was analyzed 3 parts: Concept formation/concept using to solve problem, some variables affecting the concept understanding(previous learning experience, the number of concepts, using the familiar materials) and concept understanding by achievement level. The result show that middle school student understand the concept using to solve problem more difficult compared to the concept formation. The number of concepts have effect to concept understanding rather than previous learning experience and the using the familiar materials. The superior group of middle school students have the ability to understand basic concepts well but they find it hard to understand related concepts in one questions. The middle group students can understand attribute of concept but fi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related concepts and upper concepts. The basic group of middle school students don’t know well the concepts. We can seek to improvement of student’s concept comprehensive understanding by providing opportunity to inquire the attribute of concepts in textbook and learning process.

      • KCI등재

        7학년 학생의 과학 태도 수준에 따른 광합성 관련 개념의 근접성 변화 분석

        이희정 ( Hee Jeong Lee ),김영신 ( Young Shin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10

        과학 태도는 학습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며 과학 교육에서 중요한 관심사 중의 하나이다. 과학 태도 수 준에 따라서 인지적 영역의 구조적 측면, 특히 개념 간의 근접성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과학 태도 수준에 따라서 광합성 관련 개념의 근접성 이 수업 후에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 이 있다. 이를 위하여 7학년 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수업 전과 수업 후의 과학 태도와 광합성 개념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광합성 개념은‘광합성이 일어나 는장소’,‘ 광합성에 필요한 물질’,‘ 광합성결과생성 되는 물질’,‘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구성 하였다. 광합성 개념의 근접성은 다차원척 도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업을 통해 학생 들은 구체적인 개념을 습득함으로써 개념의 근접성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학습을 통해 과학 태도 상집단이 중하집단에 비해 과학적 개념의 근 접성이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다. (3) 과학 태도의 모 든 수준의 학생에서 비과학적 개념이 수업 후에도 계 속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비과학적 개념이 광 합성과 관련된 과학적 개념 사이의 근접성을 방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4) 학생들은 광합성과 관련된 4 개 영역에서 서로 관련된 개념은 가깝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광합성에서 광합성 장 소와 필요 물질을, 광합성 결과 생성되는 물질과 필요 물질을 가깝게 인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Science attitudes affect the quality of learning, and they are considered as one of the major concerns in scien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roximity between concepts with science attitudes. According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proximity of the concept related to photosynthesis as it changed after class according to the levels of science attitudes. A survey on the concept of photosynthesis and science attitudes before and after class was conducted on 270 7th-grade students. The concept of photosynthesis was composed of ``the place of photosynthesis,`` ``products of photosynthesis,`` ``reactants of photosynthesi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proximity of the concept of photosynthesis was analyzed through the utilization of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1) Students changed the proximity between concepts by acquiring concrete concepts through class. (2) The upper group in science attitudes tends to be closer to the proximity between scientific concepts through class, compared to the intermediate and lower groups. (3) In all students with entire levels of science attitudes, non-scientific concepts continued to exist even after class, and the non-scientific concepts were deemed to interfere with the proximity between scientific concepts related to photosynthesis. (4) Students turned out to be aware of the concepts related to each other in four areas associated with photosynthesis. That is, it can be said that students are closely aware of the place where photosynthesis can occur and the materials needed as well as materials generated as a result of photosynthesis and the materials needed in terms of concepts related to photosynthesis.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지리개념의 체계성 분석 - “개념체계도”를 중심으로 -

        정다애 ( Da Ae Jeong ),남상준 ( Sang Joon Nam ),권정화 ( Jung Hwa Kw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체계도를 활용하여 2007년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3, 4, 6학년 교과서에 담긴 지리개념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개념과 범주화, 지리교육의 기본 개념, 개념체계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NCGE&AAG, NGS, 영국 지리교육과정에서 제안한 기본 개념 분류 방식에 따라 교과서 내 각 제재/주제별 개념이 어떠한 유형에 해당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제재/주제별 개념체계도가 개념들 간의 관계를 통한 설명 방식에 있어서 위계적, 범주적, 인과적 개념체계도 유형 가운데 어느 유형에 해당하는지도 분석하였다. 개념체계의 유형과 지리 기본개념과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지’와 관련된 개념은 위계적인 서술 방식이 사용되었다. 둘째, ‘장소 내 관계’에 해당하는 개념은 대체로 인과적인 서술 형태를 보였다. 셋째, ‘이동’에 해당하는 개념은 대체로 인과적인 경향을 보였다. 넷째, 환경과 관련된 개념은 대체로 인과적인 서술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지리적 탐구와 기능’ 개념에 해당하는 제재/주제는 범주적인 개념체계도나 위계적인 개념체계도의 형식을 지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whether or not geographical concepts in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revised by the 2007 Curriculum, from Grades 3, 4 and 6 are organized systematically, using a concept map. For th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concepts and categorization, basic concepts in geographical education and concept maps, concepts for each topic/theme in the textbooks were categorized and analysed for each type according to the method of concept classification proposed by the NCGE&AAG, NGS and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for England. Furthermore, concept maps for each topic/theme were analysed as to which type they pertain to amongst hierarchical, categorical and causal concept maps in terms of the form of descri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In connection with the type of concept system and basic geographical concep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cepts related to ‘location’ used the hierarchical description. Second, concepts related to ‘relationships within places’ mostly showed a causal form of description. Third, concepts related to ‘movement’ mostly showed a causal form. Fourth, concepts related to environment generally showed a causal form of description. Fifth, topics/themes related to the concept of ‘geographical enquiry and skills’ demonstrated forms of categorical concept map or hierarchical concept ma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