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철학실천으로서의 철학상담-철학상담과 심리상담의 차이와 연관하여-

        박은미 ( Eun Mi Park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3 시대와 철학 Vol.24 No.4

        인간의 마음에는 논리와 심리가 얽혀있다. 심리상담은 마음에의 심리적 영향을 직접적으로 이해하게 해주고 철학상담은 논리가 작동되지 않는 부분을 확인하게 하여 마음에의 심리적 영향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철학상담은 논리가 작동되지 않는 영역을 확인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부분에서 논리가 제대로 작동되면 어떠한 결론에 이르게 되는가를 인식하게 할 수 있다는 강점을 가진다. 내담자의 자생적 판단력이 제고되도록 한다는 점이 철학상담이 심리상담과 변별되는 중요한 특징이다. 보다 객관적으로, 보다 보편적으로 사고하도록 생각하는 방법을 오랫동안 수련한 철학자들이 철학적 성찰력을 활용해 일상의 문제에 부딪쳐 고민하는 사람이 보다 폭넓게 생각해서 좋은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철학상담은 철학의 본연의 역할을 회복하고자 하는 철학실천의 한 분야이다. 철학상담의 정체성과 관련한 논의는 3가지 논점으로 압축된다. 첫 번째, 철학상담의 최근 류는 철학인가, 상담인가? 두 번째, 철학상담은 교육인가, 교육이 아닌가? 세 번째 철학상담은 치료인가, 치료가 아닌가? 이 세 가지 질문에 대해서 본 논문에서는 철학상담은 교육이나 치료를 의도하지는 않지만 철학상담이 제대로 기능할 경우 결과적으로 교육효과와 치료효과를 거둘 수 있는 철학실천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Logic and psychology are tangled in human being`s heart. Psychological counseling helps counselee understand one`s own mind directly, but philosophical counseling helps counselee understand one`s own mind indirectly. Psychological counseling explain counselee`s psychological state directly, but philosophical counseling explain counselee`s mind by helping counselee recognize the part of one`s mind which is not functioning logically. Philosophical counseling has a strong point in helping counselee recognize correct logical functioning in mind. Philosopher who has trained in thinking more universally and more objectively can help counselee think more widely and find a better solution about everyday life`s matters. Philosophical counseling is differentiated from psychological counseling in improving counselee`s thinking skill. Philosophical counseling is a sphere of philosophical practice which does philosophical natural role. The criticism about identit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s arranged as three point. First, is philosophical counseling a sphere of philosophical practice or a sphere of counseling? Second, is philosophical counseling education or not? Third, is philosophical counseling therapy or not? I argue philosophical counseling is a philosophical practice which has educational effect and therapeutic effect.

      • KCI등재

        연군논문 : 철학상담, 왜 철학하기인가?

        임윤정 ( Yoon Jeong Im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1 No.-

        본고는 20여 년의 역사를 지닌 철학상담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그러나 단순히 그 역사적 의의나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아닌, 철학상담의 훈련 방법에 대한 논의가 주된 목적이다. 현재 철학상담 전문가가 존재하며, 다양한 양성 프로그램들도 존재하기는 하지만 표준화된 훈련 프로그램이라고 불릴 만한 프로그램은 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복잡한 사회에서 마음의 병을 앓고 있는 현대인들이 그 문제들을 해결하고, 잘 살고자하는 의지가 강해지는 만큼 철학상담에 대한 요청은 많아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 짧은 역사에 비해 정체성에 대한 주장들은 분분한 반면, 짧은 역사 탓인지 정체성과 방법론에 관한 질문들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의 진행 중이라고 답하고 있을 뿐이다. 뿐만 아니라 철학상담 보다 먼저 현대인의 삶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나섰던 심리치료(심리상담)와의 관계 또한 제대로 정립되지 않았으며, 이 둘의 관계는 오히려 일종의 영역 다툼이 있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는 문제도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우리가 좀 더 관심을 가져야하는 것은 철학상담 관련 교육, 혹은 훈련이다. 개인의 삶의 문제나 마음의 병을 다루어야 하는 철학상담 전문가들이 짧은 훈련 프로그램 참여만으로 전문가가 될 수 있다면 어떠할까? 이를 해명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철학상담이 무엇이며,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우선은 매우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서 철학상담이 자아정체성을 성찰하는 ‘철학하기’와 매우 유사함을 알게 되었고, 철학하기는 철학교육의 한 모습이라고 이해했을 때, 철학교육(철학교육 프로그램)에서 철학상담 교육이나 훈련에 관한 문제의 답을 찾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특히 현재 어린이 철학교육이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시작하여 대학생,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규 철학교육의 내용이나 방법이 철학상담의 모범적인 훈련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 분명해진다면, 철학교육의 한 가운데 서 있는 우리들은 더 좋은 철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발전시켜야 한다는 의무감이 더 커질 것이라 예상된다. This article discusses philosophical counseling which has 20 years of history. Howev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discuss the historical significances or other possibilities, but to discuss the training procedure of philosophical counseling. Despite the existence of philosophical counseling experts and diverse training programs, there is no training program that can be considered standardized. As long as people with mind diseases have the will to live better lives by solving their problems, it is obvious that the request of philosophical counseling rises. Despite the short histor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there are lots of assertions on its identity. However, on the other hand, perhaps from that short history, clear idea of the identity and methodolog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s still on the table. Moreover, its relationship with psychotherapy (counseling), which reached out to the society before philosophical counseling did, is not yet settled. In fa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ay actually be seen as if they are in territorial dispute. Above all, the part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is the education or training of philosophical counseling. What would it be like if the trainees who deal with diseases of human mind or personal problems of individuals are to become an expert with just a short training program? In order to explain this question, this study examined what philosophical counseling is and how it is carried out in general. In the examination process, we discovered that philosophical counseling was very similar to ‘doing philosophy’ which introspects ego-identity, and with the understanding that ‘doing philosophy’ is a part of philosophy education, the answer to the question about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education and training may be found in the philosophy education programs. If it is assured that programs starting from children`s philosophy education to regular philosophy education for adults and college students are capable of becoming an exemplary training programs for philosophy counseling, as researchers in the center of philosophy education, our roles and responsibility to develop and foster better programs of philosophy education would be greater than ever.

      • 철학상담의 정체성과 심리상담

        이진남(Yi Jin-Nam)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1 동서사상 Vol.10 No.-

        철학상담의 발전과정에서 필연적으로 겪을 수밖에 없는 기존의 상담, 특히 심리상담과의 만남의 과정이 어떠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 2절에서는 철학상담의 출현에 대한 심리상담계의 반응인 김옥진의 견해를 소개하고 그 의미를 분석한다. 그는 비지시성과 상호성으로 심리상담과 철학상담을 나누는 논자의 구분을 비판하고 철학상담도 심리상담처럼 치료가 될 수 없고 심지어 철학상담도 지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의 구분은 심리상담과 심리치료에 관한 엄격한 구분에 근거하여 아직 현실과는 다른 이상에 머물러있다는 점과 그가 철학상담의 전형으로 여긴 로고테라피는 여전히 심리상담의 영역에 있다는 점에서 받아들이기 힘든 비판이 된다. 제 3절에서는 철학상담 자체를 돌아보면서 그 정체성을 점검해본다. 여기서 논자는 철학상담은 철학적 사유를 하도록 돕는 대화의 과정이므로 비지시성과 상호성은 본질적 측면이 될 수 없고 또한 철학상담은 철학치료, 철학교육, 철학카페와 더불어 철학실천의 네 영역 중의 하나라는 점을 보인다. 제 4절에서는 철학상담과 심리상담의 관계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 아헨바흐와 김석수의 주장을 살펴본다. 그리고 철학상담의 내용은 인생의 중대한 결정과 관련되기 때문에 상담사에게 전문적 훈련이 필요한 분야이고 따라서 철학상담의 독자적 영역 확보가 심리상담과의 협업과 경쟁에 선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In this essay, I examine how philosophical counseling should encounter psychological counseling. In section two, I introduce OcJean Kim’s opinion on philosophical counseling, a response from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analyze its implication. She criticizes my distinction between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according to non-directiveness and reciprocity. She argues that philosophical counseling as well as psychological counseling cannot be a kind of therapy and it has directive aspects. Based on too much rigorous distinction between them, I argue, her assertion does not reflect reality, and logo therapy suggested as a typical philosophical counseling remains in the boundary of psychological counseling. In section three, I try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 show that non-directiveness and reciprocity cannot be substantial character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because it is a process of dialogue to help clients do philosophical thinking and that it is a kind of philosophical practice. In section four, I scrutinize Gerd Achenbach’s and Suk-Soo Kim’s asser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I hold that philosophical counseling requires counselors to take professional training because it deals with important decisions in life and that we need to secure its independent territory before its cooperation and competition with psychological counseling.

      • KCI등재

        철학 상담의 개념

        박준영(Park, Zoon-Yo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8 敎育思想硏究 Vol.22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철학 상담의 개념을 명료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철학 상담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철학 상담의 연구조직들 그리고 철학 상담의 역할, 철학상담 과정을 미국의 대표적인 철학 상담가인 Marinoff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철학 상담은 전통적인 심리 상담과 정신 치료에 대한 비판적인 철학적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이 대안은 철학적 지식을 이론적으로 성찰하는데 머무는 것이 아니라 철학의 실용성이라는 철학의 본래적인 역할을 실천하기 위한 대안인 것이다. 철학 상담자는 내담자의 개념적 혼란이나 가치판단의 혼란과 같은 지적인 결함을 고쳐주는데 도움을 주는 사람이다. 철학 상담은 사고의 혼란이나 개념적 혹은 도덕적 그리고 종교적, 사회적 혼란에 빠져 있는 내담자에게 지적으로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따라서 철학 상담은 정상인을 위한 치료법이다. 이상에서 고찰해 보았듯이, 철학 상담은 인간이 살아가면서 당면한 현실의 긴박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므로 현대인에게 필요한 새로운 상담기법이다. 철학 상담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 몇 가지의 제언을 하려고 한다. 첫째, 급변하는 오늘날의 사회현상 속에서 만성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에게 절실히 요구되는 것은 심리 상담과 정신치료의 기법과 더불어 철학 상담을 더욱 많이 활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철학 상담의 정의, 철학상담의 기법이 빠른 시일 내에 정립되어야 한다. 셋째, 한국에서도 철학 상담에 대한 관심과 실천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넷째, 철학 상담의 이론적 토대와 실천 방안으로서 Dewey의 실용주의 교육철학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The aims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conception of philosophical counseling. Philosophical counseling has emerged as an critical, philosophical alternative to the psychology counseling and mental therapy. This alternative is to practice for the philosophy of the original role of philosophical practicality rather than stay to reflect theory to the philosophical knowledge. The philosophical counselor is a person to help correcting the intelligent confusion such as of the conceptual confusion or confusion of value judgments of counselee. Philosophical counseling helps in order to right judgment to counselee who is falling into confusedly thinking confused or conceptual or moral and religious, social confused. Philosophical counseling is therapy for the sane. Philosophical counseling helps to solves urgent problems the human being lives. Therefore, philosophical counseling is a new counseling techniques necessary to the people of today. To develop of philosophical counseling suggests the followings. First,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is the counseling technique which is demanded to the human annoy to the chronic stress inside the social phenomenon which changes quickly. Accordingly, philosophical counseling must apply frequently to person. Second, the technique and conception of philosophical counseling must take a triangular position in the quick time. Third, in Korea the interest and practice about philosophical counseling will do to become accomplished concretely. Four, the research about Dewey's pragmatism educational philosophy must be researched in order to becoming the practical plan and the theoretical base of philosophical counseling.

      • KCI등재

        철학상담 정체성 관련 논문 연구동향

        박은미 ( Park Eun-mi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6 시대와 철학 Vol.27 No.4

        본 논문에서는 철학상담 분야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철학상담의 정체성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을 추적한다. 철학상담의 정체성과 관련해서는 심리상담과의 차이를 분명히 하고자 하는 내용의 연구가 주류를 이룬다. 심리상담계와의 논쟁을 통해 심리상담과 철학상담의 차이에 대해 심리상담은 상담의 하위분야이고 철학상담은 철학실천의 하위분야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철학상담의 정체성과 관련한 논의의 주요 논점 3가지는 다음이다. 첫 번째, 철학상담은 철학의 하위분야인가 상담의 하위분야인가? 두 번째, 철학상담은 교육인가, 교육이 아닌가? 세 번째 철학상담은 치료인가, 치료가 아닌가? 첫 번째 논점과 관련해서는 철학상담을 철학실천의 하위분야로 보는 입장으로 정리되어가고 있다. 치료와 교육과 관련해서는 논의가 진행중이다. 철학상담과 철학교육의 연계가능성에 대해 주목하는 연구도 있고 철학상담이 철학교육이 되어서는 상담의 효과를 거둘 수 없음을 강조하는 연구도 있다. 성공적인 철학상담은 철학교육의 효과가 있고 성공적인 철학교육은 철학상담의 효과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치료와 관련해서는 세 가지 입장이 있다. 철학상담은 치료이므로 치료기법을 방법론적으로 의식화해야 한다는 입장, 치료라는 단어를 상징적으로는 사용할 수 있다는 입장, 치료라는 단어는 상징적으로라도 사용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으로 구분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grasp some tendencie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Studies. Those tendencies can be reduced to some questions of its identity. The identity question is raised originally in its comparison with Psychological Counseling concerning their different status and practical roles. Some scholars argues that Psychological Counseling belongs to Counseling Practice, while Philosophical Counseling is a subfield of Philosophical Practice. But this kind of differentiation was not enough to clarify the nature of Philosophical Counseling. On the contrary, it raised more complicate questions as follows: (1) does Philosophical Counseling belongs either to Philosophy or to Counseling Studies?; (2) is it compatible with Philosophy Education, or not?; (3) can it be a therapy, or not? On the one hand, it is generally agreed that Philosophical Counseling is a subfield of Philosophical Practice. On the other hand, the discussion concerning its relation to education or to therapy is not yet settled. But we need to notice a remarkable argument according to which, though Philosophical Counseling intends neither to be an education nor to be therapy, insofar as it functions rightly, it can produce an educational effect and the effect of therapy. It is also remarkable that some studies concentrate on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between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Philosophy Education. But there are also some important warning that Philosophical Counseling could not get its counseling effect, if it is assimilated to Philosophy Education. Nonetheless, not less scholars estimate that a successful Philosophical Counseling will lead a successful Philosophy Education, and vice-versa. As for the relation between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therapy, there are three remarkable positions according to which: (1) since Philosophical Counseling contains therapy, we need establish its processes and methods; (2) in Philosophical Counseling the term “therapy” can be used only as a symbolic metaphor; (3) the term “therapy” must not be used even in metaphorical level.

      • 철학 상담의 개념

        박준영(Park, Zoon Yo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9 한국교육사상연구회 학술논문집 Vol.43 No.-

        본 논문의 목적은 철학 상담의 개념을 명료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철학 상담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철학 상담의 연구조직들 그리고 철학 상담의 역할, 철학상담 과정을 미국의 대표적인 철학 상담가인 Marinoff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철학 상담은 전통적인 심리 상담과 정신 치료에 대한 비판적인 철학적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이 대안은 철학적 지식을 이론적으로 성찰하는데 머무는 것이 아니라 철학의 실용성이라는 철학의 본래적인 역할을 실천하기 위한 대안인 것이다. 철학 상담자는 내담자의 개념적 혼란이나 가치판단의 혼란과 같은 지적인 결함을 고쳐주는데 도움을 주는 사람이다. 철학 상담은 사고의 혼란이나 개념적 혹은 도덕적 그리고 종교적, 사회적 혼란에 빠져 있는 내담자에게 지적으로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따라서 철학 상담은 정상인을 위한 치료법이다. 이상에서 고찰해 보았듯이, 철학 상담은 인간이 살아가면서 당면한 현실의 긴박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므로 현대인에게 필요한 새로운 상담기법이다. 철학 상담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 몇 가지의 제언을 하려고 한다. 첫째, 급변하는 오늘날의 사회현상 속에서 만성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에게 절실히 요구되는 것은 심리 상담과 정신치료의 기법과 더불어 철학 상담을 더욱 많이 활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철학 상담의 정의, 철학상담의 기법이 빠른 시일 내에 정립되어야 한다. 셋째, 한국에서도 철학 상담에 대한 관심과 실천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넷째, 철학 상담의 이론적 토대와 실천 방안으로서 Dewey의 실용주의 교육철학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The aims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conception of philosophical counseling. Philosophical counseling has emerged as an critical, philosophical alternative to the psychology counseling and mental therapy. This alternative is to practice for the philosophy of the original role of philosophical practicality rather than stay to reflect theory to the philosophical knowledge. The philosophical counselor is a person to help correcting the intelligent confusion such as of the conceptual confusion or confusion of value judgments of counselee. Philosophical counseling helps in order to right judgment to counselee who is falling into confusedly thinking confused or conceptual or moral and religious, social confused. Philosophical counseling is therapy for the sane. Philosophical counseling helps to solves urgent problems the human being lives. Therefore, philosophical counseling is a new counseling techniques necessary to the people of today. To develop of philosophical counseling suggests the followings. First,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is the counseling technique which is demanded to the human annoy to the chronic stress inside the social phenomenon which changes quickly. Accordingly, philosophical counseling must apply frequently to person. Second, the technique and conception of philosophical counseling must take a triangular position in the quick time. Third, in Korea the interest and practice about philosophical counseling will do to become accomplished concretely. Four, the research about Dewey's pragmatism educational philosophy must be researched in order to becoming the practical plan and the theoretical base of philosophical counseling.

      • KCI등재

        중국의 철학상담 연구 현황에 대한 개괄적 보고 및 인터뷰의 내용을 바탕으로-

        김여진 한국유교학회 2017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9

        본 논문은 최근 약 10년간의 중국의 철학상담(Philosophical Counselling) 연구 현황을 소개하고 장래의 비전을 예측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과 방법은 중국의 학술논문 및 학위논문과 학회논문을 비롯하여, 중국 남경대학교 철학과의 현대논리학응용연구소(Modern Logic and Application Institute)를 방문하여 인터뷰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다. 2008년부터 2016년까지 중국의 철학상담 관련 논문은 약 59편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논문들과 인터뷰 내용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연구내용의 추이를 살펴보면, 2008년 북미의 철학상담 현황을 밝혀 연구 동향을 소개하는 논문을 시작으로 하여 2013년부터 2016년에는 다양한 연구 결과들이 발표된다. 철학상담의 연구 지평이 확장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철학상담의 이론 및 모델 개발에 대한 문제의식이 반영된 논문들이 등장했고, 심리철학·교육철학·의학철학과 같은 응용철학분야에서 철학상담 이론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2010년대 초반부터는 외국학자와의 협업과 활발한 학술교류가 연구에 반영되어 보다 풍부한 주제의 논문들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주요 연구기관의 연구현황 및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철학상담과 관련하여 가장 다양하고 많은 실적을 보여준 곳은 남경대학교 철학과 및 남경대와 지리적으로 근접한 안휘대학교 철학과이다. 특히, 남경대학교는 국내외 철학상담 연구 동향에 지속적으로 주목하고 있을 뿐 아니라, 외국교수와의 협업 및 교류에도 매우 적극적이며, 철학실천 프로그램의 수업을 다년간 지속해오고 있다. 셋째, 수적 추이의 변화와 그 원인에 대해 살펴보자면, 철학상담 관련 논문수량은 2008년부터 미미한 증가폭을 보이다가 2013년에 연구성과물 산출의 정점을 찍고, 이듬해와 2015년 역시 다양하고 폭 넒은 연구 성과물을 보여준다. 다만, 2016년에는 그 숫자가 10편으로 다소 줄었고, 실제 2017년 상반기(8월 기준)까지 철학상담에 관해서는 주로 심리학과 임상의학분야에서 논문이 발표되었을 뿐, 철학분야에서 발표한 논문은 2편에 그친다. 논문의 수적 추이 변화에 관한 문제에 대해서는 현지 인터뷰를 통해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넷째, 중국에서 동양철학을 기반으로 한 철학상담 연구는 최근의 성과이기는 하나 수적으로 많지 않다. 대략 6편 정도가 있는데, 중국 고유의 철학상담 방법론을 세우기 위한 기초 작업이 이제 막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논문들은 중국의 전통적 지혜와 인생철학 안에서 철학상담의 다양한 원천을 찾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중국의 현지화된 ‘철학상담’을 전개해나갈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도모하고 있다. 다섯째, 몇몇 논문들은 중국 내 철학상담의 발전에 관해 다소 비관적인 전망을 예측한다. 혹자는 중국의 환경이 지니는 한계를 극복하고 걸출한 학자들이 철학상담 분야에 더 많이 뛰어들어 대안을 만들기를 촉구하지만, 혹자는 기본적으로 철학을 시장에 끌어들이는 것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지니고 있어 중국에서 철학상담이 일종의 전문 직종으로서 성행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예측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research trend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n China over the past ten years and predicts its vision in the future. Academic papers as well as these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in China were included in this analysis. An interview done at the Modern Logic and Application Institute of the Department of Philosophy at Nanjing University in China was also included in the analysis. There were approximately 59papers related to Chinese philosophical counseling published during the period from 2008 to 2016.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se papers and interviews are summarized below. First, the trend of research topics was examined. Beginning from a paper that briefly introduced the current situation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n case of North America in 2008, diverse study results were published from 2013 to 2016. A new horizon of research on philosophical counseling has opened in this period. For example, a number of papers provided critical perspective on the theor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model development. Philosophical counseling is actively used in the field of applied philosophy such as in philosophy of psychology, philosophy of education, and philosophy of medicine. From the early 2010s, collaboration with foreign scholars and active academic exchange came to be reflected in the research, which consequently produced papers with rich themes. Second, the research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major research institutes were analyzed. The Department of Philosophy at Nanjing University and the Department of Philosophy at Anhui University were the two institutes that produced the most diverse and rich accomplishments related to philosophical counseling. In particular, Nanjing University not only paid close attention to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regarding philosophical counseling, but also very actively collaborated with foreign professors. Third, this paper examined the trend of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the cause of its change.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philosophical counseling continuously increased from 2008 to 2015. However, the number significantly decreased to nine in 2016 after the publication of research outcomes reached its peak in 2015. Additionally, no academic papers on the topic of philosophical counseling were published in the field of philosophy during the first half of 2017 (as of July). Only papers on philosophical counseling in the field of psychology and clinical medicine were published during this time. An interview was conducted at Nanjing University in order to ascertain the cause of this change. Fourth, research on philosophical counseling based on Eastern philosophy is one of the recent trends. However, there are only about six papers on this topic as of now. It could be said that the groundwork for building the unique Chinese methodolog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has just begun. These papers argue that a variety of origin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can be found in the traditional wisdom and philosophy of life in China. Researchers are making efforts to find effective ways to develop a localized philosophical counseling that is unique to China. Finally, some papers published in 2011&2015 casts a pessimistic outlook on philosophical counseling. According to these papers, which basically have a skeptical viewpoint on philosophical counseling, philosophical counseling is unlikely to become widespread in China in a practical sense. It is still unknown whether further studies on philosophical counseling in China will follow in the future.

      • KCI등재

        철학상담과 여성주의상담

        노성숙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9 여성학논집 Vol.26 No.1

        최근 철학의 새로운 분야로 부상하고 있는 철학상담은 1981년 아헨바흐 (Achenbach)에 의해 ‘철학실천’이라는 용어로 창안되었다. 철학상담은 상담가인 철학자로 하여금 학계라는 울타리를 벗어나 애초에 실제 삶의 맥락으로부터 시작되었던 ‘철학함’을 회복시키고자 노력한다. 또한 철학상담은 삶의 위기에 처한 내담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하고 새롭게 직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그 스스로의 모습을 되찾고, 자신이 원하는 삶을 실현시키기 위해 다시 용기를 내어 걸어갈 수 있도록 독려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철학상담과 여성주의상담을 비교검토함으로써 한국 여성들을 위한 철학상담의 새로운 모델을 창출하는 데에 필요한 첫 윤곽을 잡아보려는 데에 있다. 우선적으로 2장에서 철학상담의 역사와 특성을 소개한 뒤에, 3장에서 ‘여성의전화’의 상담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에서의 여성주의상담이 지나온 역사와 그 특성을 고찰한다. 나아가 4장에서 양자의 내용적인 공통점들을 찾아내어 비교검토하면서 양자를 더욱 심도있게 이해하고 그 관계성을 더욱 촉진시키고자 시도한다. 그리하여 비록 철학상담과 한국 여성주의상담이 서로 다른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과 배경에서 시작되었고, 각기 다른 활동영역에서 전개되어왔지만, 다음의 네 가지 공통적인 신념, 즉 ‘실천이라는 토대에서의 상담’, ‘상담가와 내담자의 평등한 관계의 확립’, ‘상담가의 경청과 자기개방의 중요성’, ‘깊은 존중과 이해에 기반한 내담자의 자기됨과 자기양육’에 근거하고 있음을 밝혀본다. 이와 같이 볼 때, 두 상담 모두가 진정으로 ‘인간다운 삶’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철학상담이 앞으로 한국 여성들의 ‘잘 삶’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대화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Philosophical counseling, established by Achenbach in 1981, began as "philosophical practice" and emerged only recently as a new field of philosophy in its own right. It attempts, by recasting the philosopher as a counselor, to bring philosophy back from academia and recover the ancient notion of "doing philosophy," in a real-life context. Furthermore, it allows clients who are at a critical moment in their life a chance to revive their authentic selves and empowers them to pursue their own path. By engaging with philosophical counseling, clients are more likely to realize their hopes for their lives by examining their lives thoroughly and facing them anew. This paper first attempts to investigate philosophical counseling services for Korean women and to outline a new model of counseling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wo models of counseling,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feminist counseling. In the second chapter, it seeks to introduce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in the third chapter,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feminist counseling are investigated, focusing on a counseling-activity entitled "Telephone for Women." Finally, in the fourth chapter, a comparative study is made by identifying the common aspects of each counseling type, in order to promote the shared outlooks of both counseling models. Although these two models of counseling emerged from different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hey were founded according to four common beliefs, which are as follows: first, a focus on the importance of "practice," second, the establishment of an equ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third, the importance of counselors listening attentively to the client and opening themselves up, fourth, the encouragement of clients becoming truly themselves and self-educated. Therefore, the writer believes that these two models of counseling are both aiming at the realization of an authentic "human life." It is hoped that philosophical counseling will give Korean women an opportunity to maintain a dialogue that will improve their "well-being" in the future.

      • KCI등재

        심리상담과 철학상담: 오해와 딜레마

        김옥진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5

        철학실천(상담)과 심리상담이 분업의 관계가 아니라 협업과 경쟁의 관계여야 한다”는 아헨바흐의 주장에 따라 이진남은 철학상담과 심리상담을 구분짓는 고유한 특성으로 비지시성과 상호성을 들어 철학상담의 고유성과 독립성을 주장한다. 그러나 이진남은 심리상담 역시 비지시성과 상호성을 지향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그의 입장을 선회해 철학상담의 고유성은 철학하기 즉 철학적 사유에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철학상담의 본질이 철학하기에 있다면 굳이 2500년의 역사를 지닌 철학의 고유성과 독립성을 새삼 주장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심리상담과 철학상담은 전혀 다른 종류의 상담이 되어 이진남이 주장하려던 철학상담과 심리상담의 관계는 협업이 아닌 분업의 관계가 되고 만다. 이 같은 결과는 논자가 앞서 언급한 “철학상담은 지금처럼 심리상담의 여러 상담기법 중 하나로 자리매김해야 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이 된다. On the authority of Archenbach's view that there must be a relationship of cooperation and competition, not of specialization, between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Jin-Nam Yi claims the peculiarity and independence of philosophical counseling by presenting non-directiveness and reciprocity as its peculiar characteristics. However, as he realizes that psychological counseling is too oriented to non-directiveness and reciprocity, he changes his view and presents ‘doing philosophy’ or philosophical thought as a peculiar characteristic of philosophical counseling. But if the nature of philosophical counseling lies in doing philosophy, there would no need to claim the peculiarity and independence of philosophy, which has a history of 2,500 years. Furthermore,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are not that of the same sort. and they have a relationship of specialization, not of cooperation. This fact supports my view that philosophical counseling must be one of the diverse techniques of psychological counseling as it is.

      • KCI등재

        철학상담의 정체성과 그 한계: 심리상담의 관점에서

        김옥진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09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18 No.-

        Recently philosophical counseling attracts public attention. Philosophical counseling discussed in philosopher’s circles since 1993 may be regarded as a competitor from the viewpoint of psychic counseling circles. Unlike psychic therapy that takes neurotic anxiety as the object of therapy, philosophical counseling takes normal anxiety as the object of therapy as psychic counseling do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the logical grounds of the assertion that philosophical counseling must be positioned as one of the several methods of psychic counseling. For this purpose, I will first clarify that the art of life at which philosophical counseling aims is an idea native to philosophy. Secondly, I will explain logotherapy as an example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at the same time a method of psychic counseling. Philosophical counseling taking the method of Socratic dialogue as the principle of counseling is not a therapy to a psychopathologic symptoms. Finally, I will consider the possibility and limit of philosophical counseling by comparing it with psychic couns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