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与侵害中国网络著作权有关的争论题考查 - 以签定韩中自由贸易地区时网络著作权问题为中心 -

        김종우 (사)한국국제경제법학회 2011 국제경제법연구 Vol.9 No.2

        I analyzes the significance and function of the revision of the Foreign Trade law in five aspects, mainly as follows: enlarging the range of the permitted foreign t rader, supplementing the stipulation of state trade, legalizing the permission of automatic import and export , strengthening and accelerating the intellectual proper ty protection in the foreign trade area, and establishing and completing the invest igation system of foreign trade. Mean while, the lack of it is also pointed out. This article proceeds with research of the international financial service trade barrier, has described the frame of law of WTO's financial service trade, have explained the basic law principle of WTO‘s financial service trade especially, have studied the principle of national treatment, the market access and most favored nation treatment principle of GATS especially among them. In recent year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media industry, network violations arise. As one of the main network of copyright infringement, the issue of act of tort and the legal responsibility of network service providers have begun to attract legislative attention both at home and abroad. For specific issues in judicial practice, China also makes some relevant provisions on network service providers. However, for the lack of legislative experience and complex judicial practice, the system of network service providers’' liability displays certain insufficiency and flaws in our country. Therefore, China needs to learn from other countries and make in - depth practice for refinement and further development. As a new form of communication through information network in recent years,non - interactive communication through information network now falls out of the p resent law as it does not fall into the regulaiton any of the laws and rules concerning exclusive rights in China’ Copyright Law. The reason lies in the fact that the articles on the right of communication through information network in China’ Copyright Law has imp roperly limited the scope of the right of communication to the public in international treaties and confine it to interactive communication through information network. China should, while keep ing the title of the right of communication through information network, abide by the regulations in international treaties on the right of communication to the public so as to make it app licable to all acts of communication through information network and to meet the requirements in international treaties.

      • KCI등재

        경찰 정당성이 법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용재 ( Jeon Yong Jae ) 한국경찰학회 2021 한국경찰학회보 Vol.23 No.1

        준법행위는 사회통제의 요체인 까닭에 경찰학의 주요 연구대상이 되었다. 준법행위는 이면의 동인에 따라 능동적이거나 수동적이다. 보상과 처벌을 활용한 수동적 준법행위는 일시적이며 불안정한 반면 정당성에 기인한 능동적 준법행위는 개인의 내적인 태도와 결부되기에 자발적이며 장기적이다. 이에 경찰학에서는 경찰 정당성의 원인과 결과가 지속적으로 고찰되었다. 다만 경찰 정당성의 결과로서 준법행위만 논의된 점은 한계로 분석되었다. 경찰 정당성에서 출발하는 준법 행위의 근간에는 법규범에 대한 내적인 가치 판단이 존재하는 까닭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준법행위와 내적인 가치 판단을 법의식이라는 상위의 개념으로 포괄한 후 경찰 정당성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찰 정당성은 준법행위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록 경찰 정당성이 법규범의 우호성이라는 정서를 유발하지는 못하였으나, 준법 행위는 유도하는 만큼 정당성의 의의를 역설하였다. Law-abiding acts have become a major subject of research in police science because it is an vital element of social control. The law-abiding acts are active or passive depending on drivers behind them. While passive law-abiding acts using compensation and punishment are temporary and unstable, active law-abiding acts due to legitimacy are voluntary and long-term because they are related to an individual's internal attitude. Thus, causes and consequences of police legitimacy have been studied in police science. However, the fact that only law-abiding acts were discussed as a result of police legitimacy was considered as a limitation. This is because behind the law-abiding acts, which start with police legitimacy, there is an internal value judgment on the law and criminal. Hence, this study included law-abiding acts and internal value judgment as a higher concept of legal consciousness and then verified the influences of police legitimac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n that police legitim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law-abiding acts only. Although police legitimacy did not arouse legal favorability, the importance of legitimacy was not denied as it still induced the law-abiding acts.

      • KCI등재

        취업규칙의 판례법리와 취업규칙의 규범적 효력의 한계

        유혜경 한국사회법학회 2023 社會法硏究 Vol.- No.50

        근로기준법 제94조 제1항 단서는 취업규칙의 불이익변경시 근로자집단의 동 의를 요구하고 있다. 취업규칙을 불이익변경할 때 근로자집단의 동의를 요하는 것은 근로자측과 사용자측이 대등한 상태에서 불이익변경에 합의함으로써 사용 자의 자의를 막고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취지이다. 그런데 취업규칙이 근로자 집단의 동의를 받아 불이익하게 변경된 경우 유리한 근로조건을 정한 근로계약 이 존재하는 경우 불리한 취업규칙이 우선적으로 적용되는지가 문제이다. 판례는 불이익하게 취업규칙이 변경된 경우 유리한 근로계약이 존재하는 경우 에는 유리한 근로조건을 정한 근로계약이 우선 적용된다고 하였다. 즉, 근로기준 법 제94조 제1항 단서에도 근로기준법 제97조가 적용되어 불이익한 취업규칙보 다 유리한 근로계약이 존재하는 경우 유리한 근로계약이 우선 적용된다는 것이 다. 취업규칙의 불이익변경 시 근로자집단의 동의는 집단적 동의로서 개별적인 합 의에 우선하는 효력을 가지지만 이 경우에도 취업규칙이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결정하는 것이란 내재적 한계가 작용하므로 취업규칙에 미달하는 근로계약은 무 효가 되고 취업규칙보다 유리한 근로계약은 불이익변경된 취업규칙보다 우선적 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판례는 근로자집단의 동의는 취업규칙 변경의 효력요건일뿐 근로조건은 사용 자와 근로자가 동등하게 자유롭게 결정하여야 하기에 노사대등결정원칙에 의해 유리한 근로계약이 우선적으로 적용된다고 하였다. 하지만 노사대등결정의 원칙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취업규칙이 가지는 규범적 효력의 내재적 한계로 인하 여 집단의 동의를 거쳐 불이익하게 변경된 취업규칙보다 유리한 근로조건을 정 한 근로계약이 존재하는 경우 유리한 근로계약이 우선적 효력을 갖는다고 보아 야 한다. 즉, 근로기준법 제94조 제1항 단서의 집단적 동의를 얻은 불이익한 취업규칙 도 그것이 「사후동의」라는 본질을 띠는 한 취업규칙은 사용자에 의해 일방적으 로 작성된다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고, 따라서 취업규칙일반(집단의 동의를 거 쳐 불이익하게 변경된 취업규칙이든 일반적인 취업규칙이든)은 규범적 효력의 내재적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불리하게 변경된 취업규칙이 근로자집단의 동의 를 얻은 경우에도 그 취업규칙에 미달하는 근로계약은 무효이지만 그것보다 유 리한 근로계약에 대하여는 유리한 근로계약이 우선적으로 적용된다. 결국 근로기준법 제97조는 취업규칙의 규범적 효력의 내재적인 한계를 근거로 하여 취업규칙의 최저기준의 효력을 밝힌 것(편면적 강행성설)으로서 이해해야 하고, 따라서 불이익하게 변경된 취업규칙은 그것에 미달하는 근로계약부분은 취업규칙기준보다 미달하여 무효이지만 그 취업규칙보다 유리한 근로계약이 존 재하는 경우에는 유리한 근로계약이 우선적으로 효력을 갖는다고 해석해야 한다. Employment regulations have inherent limits in their normative effectiveness because they are unilaterally drafted by employers. Employment regulations cannot be considered norms in and of themselves. They are policies established by the state within the limits of complying with the provisions of the Labor Standards Act, and they have norm-like effectiveness. Therefore, while a labor contract that is less favorable than the employment regulations is invalid, a labor contract that is more favorable than the employment regulations has a priority effect over the employment regulations. The Labor Standards Act requires the consent of the collective of workers as a condition for detrimental changes to employment regulations. As the collective consent holds superior weight compared to individual consent, there is an argument that when detrimental changes to employment regulations are made with the collective consent, the disadvantageous employment regulations with collective consent take priority over more favorable labor contracts. However, even the requirement of collective consent for detrimental changes to employment regulations has the same limitation as the fact that employment regulations are unilaterally drafted by employers, as long as it possesses the essence of “post-consent.” Ultimately, in all cases of general changes or detrimental changes to employment regulations, employment regulations have the limitation of being unilaterally drafted by employers. Therefore, while a labor contract that is less favorable than the employment regulations is invalid, in cases where a more favorable labor contract exists than the employment regulations,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the more favorable labor contract has a priority effect over the employment regu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