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족 한국인 남편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인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박인아(Park, In A),윤정수(Yoon Jung Soo),박지선(Park, Ji Sun),김정숙(Kim, Jung Suk),나카지마 카즈오(Nakajima, Kazuo)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사회과학연구 Vol.5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평가-대처 이론을 기초로 외국인 여성과 결혼한 한국인 남편의 일상생활에 대한 스트레스가 아내와의 연령차, 아내의 한국어 습득수준, 남편의 월수입 그리고 결혼지속정도와 한국인 남편의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09년 C도 여성정책개발원이 다문화가족 한국인 남편을 대상으로 실시한 ‘다문화가족의 일상생활문제에 관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모형의 주요 변수에 모두 응답한 총 242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남편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아내에 대한 부정적 감정, 가족 및 이웃에 대한 부정적 감정, 경제적 압박감) 인지를 매개변수로 하고 GHQ-12로 측정한 정신건강을 종속변수, 아내와의 연령차, 부인의 한국어 습득상황, 남편의 월수입, 결혼지속기간을 독립변수로 하는 인과관계모형의 데이터에 대한 적합성을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남편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인지가 남편의 소득수준 및 아내의 한국어 습득수준과 남편의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편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인지의 세 가지 하위요인별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경제적 압박감 요인만이 소득수준과 정신건강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다문화가족 한국인 남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국제결혼으로 인한 지역사회 또는 가족이나 아내와의 갈등보다 경제적 어려움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if the stress perception of Korean husbands who married foreign wive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gap with wives, Korean language level of wives, monthly income of husbands, continuance of marriage and mental health of the husband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 on everyday life of multicultural families’ by C District of Korean Women’s Policy Development Institute in 2009 was used. The data from the total 242 people who answered all major variables of research model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Stress perception of the husbands in their everyday lives (negative feeling toward their wives, negative feeling toward family and neighbors and financial pressure) was set as media variables, mental health measured by GHQ?12 was set as dependent variable, and the age gap between husband and wife, Korean proficiency of wives, monthly income of husband and period of marriage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appropriateness of data of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model was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 From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tress perception of husband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s monthly income, wife’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husband’s mental health. When the mediation effect of three sub?factors in stress perception of husbands was reviewed, only financial pressure was prove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level and mental health.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at policy supp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ir financial power in order to maintain or promote mental health of Korean husbands in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후보

        다문화 가족 한국인 남편의 결혼생활 커미트먼트와 가족관계 지속의사의 관계

        정영조,박지선,윤정수,김정숙,나카즈마 카즈오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13 민족연구 Vol.0 No.5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riage commitment of a multi-cultural family's Korean husband to his married life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his family relations so that we may obtain basic data necessary to give social support to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885 Korean husband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were using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located in A and B provinces. The investigated items consisted of the basic personal information of Korean husband and immigrant wife, each Korean husband's marriage commitment to his married life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his family relations.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data of 407 subjects who had given answers to all the items out of the total collected data of the 495 subjects was used.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in case of Korean husbands' intention to continue their family relations, affective commitment and behavioral commitment that are subordinate concepts of attitudinal commit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affective commitment had influence on . Korean husbands' intention to cotinue their family relations was explained by 46.3%, while were explained by 47.2%. This result academically practically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and develop programs related to improving married life commitment and of the husband and the wife of a multi-cultural family through the function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 KCI등재

        다문화 가족 한국인 남편의 결혼생활 커미트먼트와 가족관계 지속의사의 관계

        정영조 ( Young Jo Chung ),박지선 ( Ji Sun Park ),윤정수 ( Jung Soo Yoon ),김정숙 ( Jung Suk Kim ),나카즈마카즈오 ( Kazuo Nakajima ) 한국민족연구원 2013 민족연구 Vol.0 No.5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riage commitment of a multi-cultural family`s Korean husband to his married life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his family relations so that we may obtain basic data necessary to give social support to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885 Korean husband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were using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located in A and B provinces. The investigated items consisted of the basic personal information of Korean husband and immigrant wife, each Korean husband`s marriage commitment to his married life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his family relations.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data of 407 subjects who had given answers to all the items out of the total collected data of the 495 subjects was used.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in case of Korean husbands` intention to continue their family relations, affective commitment and behavioral commitment that are subordinate concepts of attitudinal commit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affective commitment had influence on . Korean husbands` intention to cotinue their family relations was explained by 46.3%, while were explained by 47.2%. This result academically practically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and develop programs related to improving married life commitment and of the husband and the wife of a multi-cultural family through the function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 KCI등재

        한무숙 문학정신의 출발, 초기소설연구: 발굴 한글본 『등잔불 드는 여인』과 『역사는 흐른다』의 개작을 중심으로

        서정자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여성문학연구 Vol.45 No.-

        작가의 등단작을 주목하는 것은 등단작에 작가의 문학세계 원형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새로 발굴된 한글본 『등잔불 드는 여인』은 『역사는 흐른다』보다 6년 먼저 쓰인 일어본 『灯を持っ女』를 바탕으로 한 것이어서 여러 가지 의의가 있다. 비록 미완으로 보이는 작품이지만 5회나 연재된 작품이고 『역사는 흐른다』의 직전 작품으로 문학정신의 형성 및 출발을 살필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일어본 『灯を持っ女』이 번역된다면 한글본 『등잔불 드는 여인』의 의미가 확장 보완되어 한무숙 문학세계를 풍성하게 할 가능성도 있다. 병약하던 작가 한무숙이 겪은 시집살이는 전통적 조선 사대부가의 아름다움과 누적된 문제점을 뼛속 깊이 체험하게 하여 이를 소설화한 첫 작품 『등잔불 드는 여인』은 한무숙 문학정신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문제의식을 담고 있다. 한무숙이 체험한 시집살이는 근대가 시작된 지 수십 년이 지나서도 조선조의 그것으로 그려진 데다 일견 구소설의 구조를 보이나 우리 근대여성 문학사에서 처음 등장한 전통적 여성과 시집살이 문제의 소설화라는 의의가 있다. 그래서인지 한무숙의 소설들은 19세기로부터 역사라고 하는 수직적 시간을 따라 최소 삼대의 이야기를 담는 구성을 보인다. 『灯を持っ女⸱ 등잔불 드는 여인』은 1942년 『신시대』가 모집한 장편소설 모집에서 2등 입선한 작품으로 일어본은 2백 자 원고지 약 840장의 역작이다. 단편 위주로 전개된 우리문학사에서 흔치 않게 장편으로 등단한 작가는 희곡도 썼으나 일어로 된 이들 작품은 일실 되었고 일어본 『 『灯を持っ女』 는 영인 공개되었으나 18년이 지났음에도 번역이 되지 않은 탓인지 연구자의 관심을 끌지 못했다. 따라서 그 위상이 정립되어있지 않은 것 등 한무숙의 초기소설은 몇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이번에 발굴된 한글본 『등잔불 드는 여인』은 일어본과 동명의 작품이고 내용과 비슷해서 대략적이나마 일어본과 비교를 해볼 수 있었고, 5회 연재의 길이여서 작품으로서 어느 정도 논의도 가능했다. 이 글은 한글본 『등잔불 드는 여인』에서 추출된 시집살이 모티프, 남편의 축첩 모티프, 아내의 자살 모티프, 사회운동가 모티프, 그리고 아내의 서사 모티프 중 시집살이 모티프를 주목했다. 다섯 개의 모티프 중 네 개의 모티프가 뇌리에 깊이 각인된 작가의 시집살이 체험이 바탕이 된 것이고 작가가 특히 주목한 조선조 사대부가의 냉혹한 시어머니상(像)은 윤리적 규범의 폭력성을 체현한 인물로 한무숙의 문학정신을 형성하는데 빼놓을 수 없는 인물상으로 보였다. 『역사는 흐른다』에 다시 진지하게 그린 사대부가 주인마님 송씨부인의 일생은 작가가 전통적 여성 인물, 특히 사대부가의 시어머니상에 주목하고 있음을 확인시켜준다. 시어머니의 묘사에서 보인 돌이킬 수 없는 윤리적 폭력성과 동시에 전통여성의 아름다운 규범 등 긍정적 묘사는 전통을 살려 현대와 지양해가는 한무숙 문학정신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이는 『역사는 흐른다』의 개작을 살피는 과정에서 다시 한번 확인되었는데 송창규목사와 박옥련교장이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를 두고 대응하는 태도에서 타협과 포용을 허락하여 주목되었다. 이는 다산의 배교를 크게 문제 삼지 않은 『만남』의 문학정신에도 통한다. The reason why we have paid attention to the works of starting writer’s literary career is it has contained the original form of the writer’s literary world. The Korean text [A woman who is holding a lamplight, 등잔불 드는 여인] which has been found in this moment was written based on the Japanese text 『灯を持っ女』 which was written six years earlier than [The history is going on, 역사는 흐른다], so that we thought it has various meanings. Even if it seemed unfinished work, it was published serially five times, and in the future the Japanese text 『灯を持っ女』 will be translated, so the significance of the Korean text [A woman who is holding a lamplight] will be extended and complemented, if so, it will make Han Moo-sook’s literary world rich. The married life in the home of the husband’s parents in which Han Moo-sook suffered hardship, which was a weak constitution, was the motive of her first novel [A woman who is holding a lamplight], so that the novel has contained a critical mind when we couldn’t forget talking about her spirit of literature. The married life in the home of the husband’s parents that she experienced was illustrated vividly in her work like the married life of the Joseon Dynasty, even though the novel was actually a modern work. Was that the reason? Han Moo-sook’s works were composed of containing the story of three vertical generations from the 19th century. [A woman who is holding a lamplight] was placed second in the prize contest for full-length novel that was held by [Sinseadea] in 1942, and the Japanese text was a masterpiece that was total 840pages on squared manuscript paper for 200 characters. In field of Korean literature that showed usually short story, it was rare to start one’s literary career with full-length novel. Even if it was printed 18years ago, this Japanese text has not been translated; therefore, it did not interest the researchers. As the Korean text was found, we could compare approximately. And it was the work in 5 series, so that it was possible to discuss about it like the work. There were a lot of motives in the Korean text [A woman who is holding a lamplight]; for reason of married life in home of husband’s parents, of keeping a mistress of her husband, of wife’s suicide, of a person engaged in a social movement and of narratives of wives. This article has focused on the married life in home of husband’s parents. During the writer’s married life in home of her husband, the image of her husband’s mother that was stamped on the writer’s memory was the power to grow her spirit of literature of approval and tolerance, not the absolute conservation, recognizing deeply that the image of cold-blooded mother of husband would be violence, if the ethical rules were not changed over time. We verified it when we reviewed the adaptation of [The history is going on], namely, in the novel there was a conflict between the pastor, Song Chang-kyu and the principal, Park Ok-ryun for worship at the Japanese shrine, and when they discussed about it, they showed compromise and tolerance in their attitude. We think it showed the writer’s spirit of literature that there was no problem in the apostasy of Dasan, Jeong Yahg-yong, and it is a feature of Han Moo-sook’s spirit of literature that the ethical violence was a key for her work, which the mother of her husband did her.

      • KCI등재

        다문화 가정의 부부 교육 방안 -<김현감호(金現感虎)>와 사례를 중심으로-

        조광국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8 No.-

        본 논문은 다문화 가정의 부부를 위한 실제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문학작품을 통한 교육 단계와 사례를 통한 교육 단계를 마련하고, 이 둘을 통합하는 방안을 마련해 본다. 구체적으로는 문학교육이 사례교육으로 이어지게 하고, 사례교육에서 문학교육의 내용을 환기ㆍ심화함으로써 양자가 상호 보완성과 논리적 일관성을 갖추도록 한다. 제 1단계. <김현감호>의 독법을 부부 이야기로 맞추고, 그 이야기가 다문화 가정의 부부생활과 통한다는 점을 짚어준다. 김현 이야기와 신도징 이야기의 ‘남편-호녀’ 혹은 ‘남편-호녀-친정가족’ 부부서사가 오늘날 다문화 가정의 ‘한국인남편-이주여성’ 혹은 ‘한국인남편-이주여성-친정가족’ 부부서사와 통한다는 점을 알아차리게 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한국인남편과 김현ㆍ신도징의 모습을 대응시킴으로써 한국인남편의 부족한 점을 우회적이고 간접적으로 성찰하게 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두 이야기에서 호랑이는 부부 사이에 존재하는 실제적이고 심리적인 거리감을 의미하는 이미지이고, 그런 호랑이의 이미지와 같은 것이 다문화 가정의 부부 사이에도 존재할 수 있음을 깨닫게 해준다. 제 2단계. 다문화 가정의 부부 사례를 활용하는 교육 단계인데, 세부적으로 두 과정을 둔다. 첫째 과정에서는 제 1단계의 두 이야기에서 추출한 ‘남편-호녀’의 부부서사를 환기하면서, 다문화 가정의 ‘한국인남편-이주여성’ 부부서사에서의 문제점을 객관화하는 교육을 실시한다. 둘째 과정에서는 다문화 가정의 ‘한국인남편-이주여성-친정가족’ 부부서사에 초점을 맞추어 ‘이주여성-친정가족’의 연결고리 확보의 중요성을 언급한다. 한편으로 이주여성의 한국인남편에 대한 이해와 배려의 필요성을 보완함으로써 부부문제 해법에서의 균형성을 갖춘다. 부부가 서로 배려하고 사랑하는 실제적인 행위가 뒤따라야 하며, 그런 노력들이 고귀하다 는 결론을 내린다. This paper aims at groping a method of the multicultural couple education. To put it concretely, first I draw up the literature education and form the case education about the multicultural couple, at last join the literature education and the case education together. On first education stage is as follows. we extract the narrative of a married couple in Kimhyenkamho, and evoke attention as following. There is a similarity of the married-couple-narrative of a between Kimhyenkamho and multicultural family. Going through the process stage of comparing korean husband with two heros in Kimhyenkamho, we point out the shortage and deficiency of korean husband. And we indicate the point that the tiger is the image of the practical and psychological sense of distance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indicate the point that the tiger’s image can exist in korean husband and immigrant wife of multicultural family. On second education stage is as follows. That is the application education through the cases of korean husband and immigrant wife in multicultural family. Here are two processes; one is objectifing the troubles between korean husband and immigrant wife, the other i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securing connection wife with her parents’ home. And we take complementary measures that immigrant wife needs have comprehension and consideration about her korean husband, and then we can make them desire happy life. At last we conclude that korean husband and immigrant wife must a practical deed of regarding each other and loving each other, such deed is valuable.

      • KCI등재

        조선후기 여성 유서 연구 ― 순절 열녀 신씨부(申氏婦)의 한글 유서를 중심으로 ―

        홍인숙 ( Hong Insook ) 온지학회 2018 溫知論叢 Vol.0 No.56

        이 연구는 조선후기 여성이 남긴 한 편의 한글 유서 자료를 소개하고 그 기본 정보와 내용을 파악하고 유서 작성의 상황과 맥락을 면밀하게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유서의 작자는 자신이 남편의 죽음 이후 따라 죽음을 밝히고 있으므로 이 유서는 기본적으로 조선후기 열녀 관습 안 에 있는 텍스트라고 볼 수 있다. 학계에 처음 소개되는 이 유서의 원 텍스트는 한 장으로 이어져 있는 1.5미터 정도의 종이 두루마리이며 유서 작자가 직접 쓴 것으로 보이는 한글 친필본이다. 유서는 총 네 명의 수신자를 대상으로 쓰여 있으며 수신자는 친척 동생, 딸 내외, 친정 오빠 내외, 시부모님이다. 전체 분량은 원고지 23매 분량으로, 동생과 딸과 친정 오빠에게 쓴 유서는 각각 원고지 3~5매, 시부모에게 쓴 유서는 원고지 약 11매 정도의 분량이다. 유서를 통해 알 수 있는 기본 정보는 이러하다. 첫째, 유서 속에 남편이 죽은 해로 언급된 ‘병인년(丙寅年)’이라는 연대는 조선후기 ‘1746년, 1806년, 1866년’ 중 하나일 가능성이 높다. 둘째, 남편을 ‘신 서방님’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보아 유서 작자의 시댁은 신씨 가문이다. 셋째, 작자는 남편의 죽음 당시 임신 중이었던 외동딸 ‘은슌’을 키워내고 ‘지난 해’ 혼인시킨 후 자결함을 밝히고 있다. 넷째, 작자는 남편의 뒤를 이을 양자를 들이고 혼인까지 시켰으나 정식으로 입양을 하지 못해 시댁과 갈등을 겪었다. 다섯째, 이 여성의 자결 당시 나이는 조선후기 여성의 일반적인 초혼 연령과 딸의 혼인 사실을 고려할 때 대략 30대 후반이었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유서 네 통 중 친척 동생, 딸 내외, 오빠 내외 등 친정 식구들에게 남긴 세 통의 유서에서는 애정과 그리움을 주로 표현하고 있다. 이 세 통의 유서는 자신의 죽음이 ‘아무런 한도 미련도 없다’고 하면서 자기 죽음을 슬퍼할 식구들을 오히려 위로하는 다정한 어조를 담고 있다. 반면 시부모님에게 남긴 유서는 이와 전혀 다른 감정 표현과 문체를 보여주는데, 이 네 번째 유서는 친정 쪽 유서의 두 배가 넘는 장문의 글이며 시댁에 오랫동안 품어온 서러움과 원통함을 호소하고 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특히 작자는 시부모에게 자신이 남편의 죽음 직후 따라 죽지 못한 이유를 매우 길게 해명하듯이 서술하고 있다. 이 시부모 대상 유서는 작자가 가부장인 시아버지와의 관계에서 ‘딸의 출산, 양자 결정, 자결 지연’ 등의 일에 있어서 오랜 세월 모종의 깊은 갈등이 있어 왔음을 함 축적으로 보여준다고 분석하였다. 조선후기 남편을 따라 죽은 여성의 유서는 열녀 담론을 받아들이면서 살아야 했던 조선시대 여성의 내면이 단순하게 통제되고 조율되는 것만이 아니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조선후기 여성 유서는 이 시기 점차 강화되고 있었던 가부장적 질서와 열녀 이데올로기 속에서 여성 스스로 남긴 언어와 인식, 경험과 감정, 판단과 선택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으며, 자결이라는 참혹한 선택 앞에서 여성이 남긴 복잡한 자기 내면에 대한 최후의 진술이라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a Korean testament written by a woman of the late Joseon and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ignificance therein. The writer of the testament decided to follow her husband after he died, accordingly, this testament could be included in the custom of exemplary women of the late Joseon. The number of testaments is 4, and the recipients were cousin, daughter and her husband, brother and his wife, and parents-in-law. Basic information that were informed through the testaments are as below. First, the year, ‘Byeong-in year(丙寅年)’, mentioned in the testament as the year when her husband died, might be one of ‘1746, 1806, 1866’ during the late Joseon. Second, considering that the writer called her husband ‘My husband Shin’, her husband’s family name was Shin. Third, the writer informed that she nurtured her only daughter ‘Eunsoon’, who was a fetus when her husband died, and the writer finally killed herself after having her daughter get married in the ‘last year’. Fourth, she adopted a son to carry on a family line after her husband and had him get married, however she had conflict with her husband’s family, since she couldn’t duly adopt the son. Fifth, her age when she killed herself could be guessed around her late thirties, considering general age of first marriage during the late Joseon and the point of daughter’s marriage. Three testaments left onto her parents’ family, her cousin, daughter and daughter’s husband, and brother and brother’s wife mainly expressed love for them and longing. These three testaments mentioned that she had no regret for her death, instead, she consoled her family who would feel sorry for her death. On the contrary, she showed completely different emotional expressions and writing style. Fourth testament was a long writing, which was over two times longer than the testaments to her parents’ family, which expressed her long sorrow and resentment. Particularly, the writer narrated the reason why she couldn’t die immediately after her husband’s death, just like she explained it lengthily to her parents-in-law. Also, this testament implies a serious conflict with the father-in-law, head of household, in respect of ‘birth of daughter, decision of adoption, delay of suicide’. Testaments of the women who killed themselves after their husband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re significant in respect that they directly showed the inner side of Joseon women, who had to live within the custom of exemplary wome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Because they fully display the women’s own language, awareness, experience, and emotion in the patriarchal order and exemplary women ideology, which were gradually reinforc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국제결혼 한국인 남편의 복지욕구, 양육참여도, 양육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김정희,정희정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2016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Vol.1 No.3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의 국제결혼가족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에 대한 정 책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거주하며 현재 외국인 부인과 함께 살 고 있는 한국인 남편 133명이다. 조사내용은 한국인 남편의 결혼생활전반에 관한 인식, 복지욕구에 관한 실태 등이다. 분 석결과 첫째, 한국인 남편이 가지고 있는 가족가치관 중 가부장적 가치관이 가장 높았고, 경제적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를 가장 심각하게 경험했음이 나 타났다. 부인과의 사이에서 일어나는 갈등은 부인과의 의사소통, 경제적 어 려움 순으로 많았다. 둘째, 한국인 남편의 나이와 월 소득에 따라 양육스트 레스에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한국인 남편의 양육참여도와 양육스트레스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넷째, 한국인 남편의 정서 중심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부모역할에 대한 부담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rvey on the reality of interracial families in a view of their korean husbands in Gyeonggi-do and to seek support policies for the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33 korean husbands who married interracial family-immigrant women and lived in Gyeonggi-do. The survey focuses on the whole of marriage life, fathers' awareness on their children, and their needs, demands for social welfare, paternal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parenting stress and stress coping. Firstly, interracial families korean husbands most strongly hold patriarchal value of family values, and experienced the most terrible stress in economical issues. The highest conflict between interracial families korean husbands and wife was aroused because of communication, the next because of economic difficulties. Secondly, there are statistically a meaningful difference in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korean husband’ age and income. Thirdly, t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korean husband’ paternal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and parenting stress. Fourthly,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korean husband’ emotion-oriented stress coping and burden on paternal role.

      • KCI등재

        결혼이민자가정 한국인 남편의 가족관련 가치관 및 문화적응태도가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온정,박정윤 한국가족학회 2009 가족과 문화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marital-life of Korea resident Korean men who married with women from different countries and the process of marital-life adaptation among Korean men population. The target population of the study is the group of 215 Korean men who got married with non-Korean women. A survey is used as a data collection and its result is analysed by SPSS PC 12.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result presents that Korean husbands' family-value has highlighted in the area of modern gender role and traditional family-center-value. In terms of cultural adaptation attitude, they have more points the mother-culture propagation attitude rather than multi-cultural propagation attitude which is accepting wife's culture. Second, sociological variables of men's population those affect to international marriage adaptation are husband and wife's education level, wife's current employment status, and family income. Third, the possessed values of the Korean husbands of modern gender role or traditional family-center-value, they perceive high-level of the marital-adaptation. The husband's attitude such as trying to understand wife's culture or trying to acknowledge Korean culture to wife is presented as an influential variable for adjusting their marriage. Fourth, relatively influential variables, which are related to martial adaptation, are examined in order. The whole marital adaptation depends on in the order of self culture propagation attitude. traditional family-orientered-view,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가정 내 한국인 남편의 개인적 특성인 가족관련 가치관과 문화적응태도, 결혼적응의 경향성을 알아보고, 가족관련 가치관과 문화적응태도가 한국남편의 결혼적응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갖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전국 10개의 시․군에 거주하는 국제 결혼한 한국인 남성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조사대상자는 근대적 성역할관과 전통적가족주의가치관 성향이 높았고, 자문화전달태도보다 다문화수용태도를 더 많이 취했으며, 결혼적응은 비교적 높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조사대상자 부부의 학력이 대졸이상이고, 아내가 전업주부이고, 소득이 높은 경우에 결혼적응 수준이 높았다. 셋째, 조사대상자가 근대적 결혼관과 성역할관을 가질수록, 전통적 가족주의적일수록 높은 결혼적응 수준을 보였다. 또 자문화전달태도와 다문화수용태도 수준이 높을수록 결혼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결혼적응에 대한 관련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문화적응태도 변인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가족관련 가치관, 인구사회적변인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결혼이민자 가정의 원만한 결혼생활을 위해 한국인 남편의 문화적응태도 및 가족관련 가치관에 관한 인식개선을 위한 개입이 요구된다.

      • KCI등재

        한국 서사민요와 영미 발라드에 나타난 ‘아내’의 형상 비교

        서영숙 한국민요학회 2013 한국민요학 Vol.38 No.-

        This paper compared the figuration of wife in Korean narrative songs and Anglo-American ballads. The figuration of wife is well expressed in narrative sings and ballads that deal with conflicts between husband and wife. I divided those songs into three categories-conflicts come from labours, conflicts come from husband’s infidelity, conflicts come from wife’s infidelity. I selected “A husband who doesn’t care of household chores”, “Jinjunangun who enjoys with concubine”, “A wife who cheats her husband” in Korean narrative songs and Child #275 “Get Up and Bar the Door”, Child #62 “Fair Annie”, Child #274 “Our Goodman” in Anglo- American ballads as the representative songs. These narrative songs and ballads have the common figurations of wife, that is, wife who suffers from household chores, wife who grieves for concubine and wife who cheats her husband. The narrative songs and ballads express women’s life suffered from the patriarchal society. However, wives in the Anglo-American ballads are configurated as the winners through wisdoms, wits and battles, wives in the Korean narrative songs are configurated as the losers through the expulsion, suicide and beating. Moreover, wives in the Anglo-American ballads are configurated as the positive and active figures who achieves their personal desires. By contrast, wives in the Korean narrative songs are configurated as the passive and inactive figures who fails to achieve their personal desires. While the Anglo-American ballads have the happy endings, the Korean narrative songs have the unhappy endings in the relations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Consciousness in the Anglo-American ballads are anti-fatalistic, contrary to that, the consciousness in the Korean narrative songs are fatalistic. These differences have been provoked from the differences of how strong the patriarchal system of each society is and how women are affected from the system. 이 글에서는 한국 서사민요와 영미 발라드 중 남편과 아내의 관계를 다루고 있는 유형에서 아내가 어떤 모습으로 형상화되어 있는지를 가사 노동에 대한 남편과 아내의 대응, 남편이 데려온 여자에 대한 아내의 대응, 바람난 아내에 대한 남편의 대응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한국 서사민요와 영미 발라드에서 모두 아내의 형상은 남편의 무관심 속에서 일만 해야 하는 아내, 남편이 데려온 또 다른 여자로 인해 탄식하는 아내, 남편을 두고 다른 사랑을 찾다 발각된 아내의 모습으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이는 두 사회 모두 발라드와 서사민요가 남성 중심적 가부장제 사회에 처해있는 여성의 삶을 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영미 발라드 속 아내가 임기응변이나 재치, 내기 등으로 자신의 요구를 관철시키는 모습으로 형상화된 반면, 한국 서사민요 속 아내는 남편에게 쫓겨나거나, 자살하거나, 남편에게 매를 맞는 등 자신의 요구를 관철하지 못하는 모습으로 형상화된다. 즉 영미 발라드의 아내가 주로 개인적인 요구를 달성하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모습으로 나타나는 데 비해, 한국 서사민요의 아내는 개인적인 요구를 달성하지 못하는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한편 남편과 아내의 관계 유형에서 영미 발라드는 행복한 결말이 주로 나타나는 반면, 한국 서사민요는 불행한 결말이 주로 나타난다. 이는 상대적으로 영미 발라드에 나타나는 여성의 의식이 반 운명론적이라면 한국 서사민요에 나타나는 여성의식은 운명론적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차이는 영미 사회와 한국 사회에 형성돼 있는 가부장적 권위와 규제의 견고함과 이로부터 여성들이 얼마나 영향을 받았는지의 차이에서 온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결혼이민자가정 한국인 남편의 가족관련 가치관 및 문화적응태도가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온정(Chang On-jeong)ㆍ박정윤(Park Jeong-yun) 한국가족학회 2009 가족과 문화 Vol.21 No.2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가정 내 한국인 남편의 개인적 특성인 가족관련 가치관과 문화적응태도, 결혼적응의 경향성을 알아보고, 가족관련 가치관과 문화적응태도가 한국남편의 결혼적응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갖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전국 10개의 시군에 거주하는 국제 결혼한 한국인 남성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조사대상자는 근대적 성역할관과 전통적가족주의가치관 성향이 높았고, 자문화전달태도보다 다문 화수용태도를 더 많이 취했으며, 결혼적응은 비교적 높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조사대상자 부부의 학력이 대졸이상이고, 아내가 전업주부이고, 소득이 높은 경우에 결혼적응 수준이 높았다. 셋째, 조사대상자가 근대적 결혼관과 성역할관을 가질수록, 전통적 가족주의적일수록 높은 결혼적응 수준을 보였다. 또 자문화전달태도와 다문화수용태도 수준이 높을수록 결혼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결혼적응에 대한 관련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문화적응태도 변인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가족관련 가치관, 인구사회적변인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결혼이민자 가정의 원만한 결혼생활을 위해 한국인 남편의 문화적응태도 및 가족관련 가치관에 관한 인식개선을 위한 개입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marital-life of Korea resident Korean men who married with women from different countries and the process of marital-life adaptation among Korean men population. The target population of the study is the group of 215 Korean men who got married with non-Korean women. A survey is used as a data collection and its result is analysed by SPSS PC 12.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result presents that Korean husbands' family-value has highlighted in the area of modern gender role and traditional family-center-value. In terms of cultural adaptation attitude, they have more points the mother-culture propagation attitude rather than multi-cultural propagation attitude which is accepting wife's culture. Second, sociological variables of men's population those affect to international marriage adaptation are husband and wife's education level, wife's current employment status, and family income. Third, the possessed values of the Korean husbands of modern gender role or traditional family-center-value, they perceive high-level of the marital-adaptation. The husband's attitude such as trying to understand wife's culture or trying to acknowledge Korean culture to wife is presented as an influential variable for adjusting their marriage. Fourth, relatively influential variables, which are related to martial adaptation, are examined in order. The whole marital adaptation depends on in the order of self culture propagation attitude. traditional family-orientered-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