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서울 지역 학생 저탄소 녹색성장교육 방안 연구

        이상원 ( Sang Won Lee ),김종우 ( Jong Woo Kim ),김이성 ( Yi Sung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1 No.3

        본 연구는 서울 지역 학생 저탄소 녹색성장교육에 대한 중장기 발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저탄소 녹색성장교육에 대한 교사 교육 및 연수, 교육과정 운영 그리고 학교 교육 여건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문헌 연구는 국내외 관련 문헌 자료의 수집 및 분석, 국내외 관련 기관 및 국가의 온라인을 통한 자료 수집 및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 관련한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한 요구도 분석은 각 분야별(예비교사, 현직 초등교사, 현직 중등교사, 관리자, 교육전문직)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조사하였으며, 수합된 설문지에 대하여 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문항 개발은 교수, 중등 환경 담당 교사, 초등학교 교사 등으로 구성된 공동 연구진에 의해 설문 조사 문항의 시안을 개발한 다음, 연구진 간의 내부 교차 검토 및 외부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비교·검토하여 개발하였다. 그리고 연구 방향과 내용 분석을 위한 연구진 및 전문가 워크숍 개최하였으며,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과 협조하여 중간보고 세미나 및 최종 보고회를 개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목표(1개), 추진 전략(5개), 추진 영역(3개) 및 추진 과제 예시(10개)를 추출하였으며, 본 연구를 기초로 체계적인 서울 지역 학생 저탄소 녹색성장교육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향후 보다 구체적인 단기, 중기, 장기의 정책 로드맵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policy plan of low carbon green growth for students of schools in Seoul area. As methodology, this research conducted literature reviews of related research, surveys, several meetings between researchers and experts` workshops. Through this research, we derived one aim, five strategies, three main themes of education which can promote green growth. The policy aim is ``to improve understanding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apacity for participating green life``. The strategies to promote education for green growth are ``to enforce pre-teacher education for green growth education and practice``, ``to enforce school curriculum reformation for green growth education and practice``, ``to enfor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green growth education and practice``, ``to construct school facilities of classroom and school ground for green growth education and practice``, and ``to develop and disseminate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green growth education and practice``. As three main themes of education could promote green growth, we established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curriculum design``, and ``improvement of educational condition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In addition, we derived ten detail subjects which can support these themes. For further development of education policy, which can encourage schools and student to participate in building sustainable society, it should be suggested that more detail and short term/middle term/long term education strategy plans for education for green growth are essential.

      • 친환경 지식 함양을 위한 아트 전시 디자인 작품 연구 -5R림(5R林); 5R을 알려 숲을 이루다-

        권지민(주저자) ( Ji Min Kwon ),백지원(주저자) ( Ji Won Baek ),정희경(주저자) ( Hee Kyung Jung ),허나윤(주저자) ( Na Yun Heo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서울시 녹색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시작되었으며, 친환경을 실천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시민들에게 생소한 5R(Recycling, Refill, Reform, Rental, Reusing)에 대한 계몽의식 전달과 이를 바탕으로 서울시 환경보존의 의식을 함양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의 친환경 전시 박람회에서 이루어지는 일방향적인 전시관람방식의 틀에서 벗어나 ‘관람자의 참여’와 ‘예술’을 접하여 정보전달 전시의 효과적인 디자인을 연구,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기본적인 공간의 조닝(zoning)과 스토리텔링(storytelling), 전시 아이덴티티(exhibition identity)를 구축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시각적 결과물로 나타낸다. 본 연구를 통해 전시를 관람한 관람객들에게 오늘날 환경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게 하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써 5R운동의 실천을 제시하여 사람들의 참여를 통한 환경개선을 불러일으킬 뿐만 아니라 서울시의 ‘녹색성장’이라는 또 다른 이미지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study is initiated to set up the foundation for the green growth of Seoul and the purpose is to increase the consciousness of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of Seoul based on 5Rs (Recycling, Refill, Reform, Rental, Reusing) new to citizens as a way of implementing eco-friendly lifestyle. In addition, the study is meaningful in researching and proposing the effective design of the exhibition with the information delivery by combining ``Gallery participation`` and ``Art`` beyond the unidirectional exhibition visiting in the existing eco-exhibition. The study expressed a series of process forming the basic space zoning, storytelling and exhibition identity as the visual output. The study leads visitors to have the consciousness on current environmental issues, proposes 5R movement as a solution, causes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by the participation and builds another image of ``Green growth`` of Seoul.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