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경영과 환경교육을 위한 기업 환경교육의 의의: 일본의 협동 환경교육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김이성 ( Yi Sung Kim ),류재명 ( Jea Myong Ryu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기업 환경교육의 연구와 실천이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일본에서, 기업과 환경교육 전문단체가 협동으로 실시하고 있는 기업 환경교육의 우수한 두 사례를 선정하여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두 사례의 관계자들과의 인터뷰, 관련 문헌 조사 그리고 현장 관찰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 ``분석``, ``해석``이라는 절차에 의해 결론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드러난 결과가 기업 환경교육의 가능성, 즉 기업 경영과 환경교육에 어떤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하였다. 두 협동 환경교육에 대한 연구를 통해, 첫째 기업 환경교육은 기업이 직면한 과제인 환경 문제에의 대응과 실천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 둘째, 기업 환경교육은 환경교육의 발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업 환경교육은 기업의 경제적 이윤을 위한 ``생산 활동``과 ``생산을 위한 모든 기업 활동``, 심지어 사회적 가치를 위한 ``사회적 활동``에서 환경을 고려하게 할 수 있었다. 기업의 환경교육을 위한 잠재력은 ``기본 요소``, ``전문 요소``, ``네트워크 요소``로 범주화 될 수 있었다. This paper has taken on the challenge of finding out the importance and possibility of corporations`` EE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is focused on the two collaborative EE programs initiated by corporations and NGOs. The main data research was compiled by conducting interviews, reviewing documents that related to the issue of EE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s the significant results of this research revealed, the corporations` EE can contribute to their economic profit as well as create social values, which have became more important for business organization. In the case of economic profit, EE can contribute by instill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ind set into its employees which is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of environmental management. Furthermore a company can also develop their production through EE, and a corporation EE can be very effective for EE groups. Corporations have various potential elements for EE, which can be divided into ``basic element``, ``specialized element`` and ``network element``.

      • KCI등재

        일본의 기업 환경교육 연구 동향에 관한 고찰

        김이성(Yi-sung Kim) 한국환경교육학회 2010 環境 敎育 Vol.23 No.1

        It is time for environmental educators to think about corporations and it is also time for corporations to consider about the environment and EE(environmental education). However there is very little research that discusses the importance of corporation's involvement in E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research of corporate environmental education.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disclose the research trend, result of corporate EE. To do this, environmental education journals and books, published in Korea and oversea, are reviewed. However, there is very little research and are a few articles focused on corporate EE, which mainly conducted in Japan. Furthermore, these articles usually introduce the status and cases of corporate EE. As a results this article analysed that the main themes of the researches of corporate EE are the possibility of corporate EE, the status of corporate EE, the collaboration between school and corporation, the effect of corporate EE, and the limits and challenges of corporate EE. Also some important results of these themes are introduced and discussed for the application in Korea.

      • KCI등재

        학교 교육을 위한 기업의 교육기부 참여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김이성 ( Yi Sung Kim ),이상원 ( Sang Won Lee ),조현준 ( Hyun Jun Cho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공교육 활성화를 위한 사회자원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수요에 대한 것으로,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창의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교육기부를 위한 기업의 참여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은 공교육을 위한 사회 자원 활용, 기업의 참여, 기업의 참여에 있어 선과제 등의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이 내용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지를 개발하여 초등학교 교사 46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공교육에서의 사회자원 활용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학교를 위한 교육기부에 적절한 기관으로 ``미술관·박물관·과학관``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기업은 그 다음 선호 대상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기업의 공교육에 대한 기여는 저조한 편이며, 기업이 교육기부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기업의 교육 기부 내용과 방법에 대해 교사들이 가장 기대하는 것은 ``금전적 재원``이었으며, 가장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교과로는 ``진로 체험 등의 창의적 체험활동``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교사가 생각하는 기업의 교육기부 참여로 학생들이 함양할 수 있는 역량은 ``진로개발능력``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업의 공교육을 위한 교육기부 참여에 앞서 해결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예상문제는 기업이 교육기부를 자회사의 홍보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이었으며, 교사들이 느낄 수 있는 부담으로는 ``행정업무`` 증가와 ``학생 인솔 등 안전 문제``였다. 또한 기업이 공교육을 위한 ``교육기부``에 참여하기 전에 해결되어야 할 선과제는 ``학교 교육에 대한 기업의 이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Schools, where younger generations learn skills for their future, students confront some difficult challenges. One of most serious challenges facing youth in schools today is how to improve student creativity, which can be addressed effectively through partnerships with other sectors. To achieve its purpose, this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es. First, the researchers reviewed related articles and documents. Second, the researchers organized a questionnair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questionnaire includes several subjects with varying scope. The scope of these questions include teachers` perceptions about using social resources for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ir daily challenges as school teachers (i.e., obstacles to teaching),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partnership with corporations and so on. Third, the questionnaires completed by 469 teachers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by SPSS program. The key result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From this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 we can confirm some important facts. First, school teachers are willing to use social resources in order to providing various opportunities to students. Using social resources they expect, also, that students will foster some important competencies, such as career competency and citizenship. Second, most teachers also agree that making partnerships with corporations is beneficial and almost half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y already have participated in some form of educational program initiated by a corporation. Third, teachers also have some concern regarding making partnerships with corporations. Most of them worried that corporations would like to do not only educational contribution but also use it for their own advertisement. Furthermore, teachers think it is important that corporations should seriously consider the school`s education, student level, and curriculum before they participate.

      • KCI등재후보

        서울 지역 학생 저탄소 녹색성장교육 방안 연구

        이상원 ( Sang Won Lee ),종우 ( Jong Woo Kim ),김이성 ( Yi Sung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1 No.3

        본 연구는 서울 지역 학생 저탄소 녹색성장교육에 대한 중장기 발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저탄소 녹색성장교육에 대한 교사 교육 및 연수, 교육과정 운영 그리고 학교 교육 여건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문헌 연구는 국내외 관련 문헌 자료의 수집 및 분석, 국내외 관련 기관 및 국가의 온라인을 통한 자료 수집 및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 관련한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한 요구도 분석은 각 분야별(예비교사, 현직 초등교사, 현직 중등교사, 관리자, 교육전문직)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조사하였으며, 수합된 설문지에 대하여 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문항 개발은 교수, 중등 환경 담당 교사, 초등학교 교사 등으로 구성된 공동 연구진에 의해 설문 조사 문항의 시안을 개발한 다음, 연구진 간의 내부 교차 검토 및 외부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비교·검토하여 개발하였다. 그리고 연구 방향과 내용 분석을 위한 연구진 및 전문가 워크숍 개최하였으며,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과 협조하여 중간보고 세미나 및 최종 보고회를 개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목표(1개), 추진 전략(5개), 추진 영역(3개) 및 추진 과제 예시(10개)를 추출하였으며, 본 연구를 기초로 체계적인 서울 지역 학생 저탄소 녹색성장교육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향후 보다 구체적인 단기, 중기, 장기의 정책 로드맵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policy plan of low carbon green growth for students of schools in Seoul area. As methodology, this research conducted literature reviews of related research, surveys, several meetings between researchers and experts` workshops. Through this research, we derived one aim, five strategies, three main themes of education which can promote green growth. The policy aim is ``to improve understanding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apacity for participating green life``. The strategies to promote education for green growth are ``to enforce pre-teacher education for green growth education and practice``, ``to enforce school curriculum reformation for green growth education and practice``, ``to enfor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green growth education and practice``, ``to construct school facilities of classroom and school ground for green growth education and practice``, and ``to develop and disseminate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green growth education and practice``. As three main themes of education could promote green growth, we established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curriculum design``, and ``improvement of educational condition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In addition, we derived ten detail subjects which can support these themes. For further development of education policy, which can encourage schools and student to participate in building sustainable society, it should be suggested that more detail and short term/middle term/long term education strategy plans for education for green growth are essential.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정부 출연 연구기관의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를 위한 교육기부 활동 참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분석

        조현준(Cho Hyun jun),김이성(Kim Yi sung),박태윤(Park Tae 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을 통해 공교육에 기여하기 위한 정부 출연 연구기관의 참여에 대한 초 · 중등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은 정부 출연 연구기관의 공교육 기여에 대한 교사의 인식,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참여 방법,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를 위해 교육기부에 참여하기 위한 선과제의 세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이 내용을 조사하기 위해 객관식 7문항, 주관식 1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초등교사 315명, 중등 과학교사 12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현재까지 정부 출연 연구기관의 공교육 참여 수준에 불만족스러운 인식을 가지고 있으나, 향후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를 위해 정부 출연 연구기관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관련 교과교육 전문가나 전문성을 갖춘 현장 교사가 자료 개발 과정에 참여하여 교육적 효과를 담보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정부 출연 연구기관이 정당하게 교육기부에 나서기 위해서는 상위 기관으로부터 교육기부 등의 공교육 활동을 위한 당위적 임무부여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따른 정부 기관의 역할과 사회적 인식 확대를 위한 후속 연구들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inservice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about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participation into donation for education for activating creative activity in public education are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comprised of 3 sub area; the inservice teachers view about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contribution in public education area, the method of institutes participation, and prior problem for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to participate into the donation for education movement for activating creative activity in public education area. For the survey from inservice teacher, questionnaire which consists of seven multiple type questions and single open ended question was develope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15 elementary and 127 secondary science teachers. The finding from the survey was summarized in three following; first, the teachers had not been satisfied to the level and quality of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contribution in to the public education area, but they had a perception there was a necessity for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to participate in public education area; second, it is necessary to participate expert about subject education or inservice teacher who had expertise in developing procedure to get educational effect, and the last, for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participation with their due, it is need superior organization to have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included educational mission in their own mission to the donation for the education. From these finding and implication, following researches were suggested about the government s role and part about leading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and increasing view of general public.

      • KCI등재후보
      • SCOPUSKCI등재

        Dextranase 생산균주의 분리, 동정 및 효소생산

        이종태,이동희,이성,영호,성현순,찬조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5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3 No.4

        Dextran을 잘 분해하는 미생물 기원의 dextranase를 검색코자 토양에서 dextranase 생산균주를 분리, 동정하였으며 이 균주가 생산하는 dextranase의 최적 생산조건을 검토하였다. 대전근교의 토양에서 dextran 분해활성을 지닌 197주를 분리하였으며, 그중 높은 dextran 분해활성을 가진 3주를 1차 선발하였고, 최종적으로 dexran 분해활성이 가장 높은 GR-98 균주를 선발하였다. 이 균주를 형태학적 및 배양상의 특성등에 의해 동정한 결과 Aspergillus ustus 또는 그 유연균으로 추정되었다. 이 균주의 dextranase 생산성을 조사한 결과, 최적 배양온도 및 초발 pH로 30℃ 및 pH 7.0이었고, 2% dextran, 0.3% KNO_3, 0.05% K_2HPO_4, 0.02% MgSO_4·7H_2O, 0.05% KC1, 2.5 ㎍/㎖의 농도로 phridoxamine을 첨가하여 7일간 정치 배양하였을 때 생산량이 가장 많았다. In order to screen dextranase with high dextranolytic activity from microbial origins, dextranase producing fungal isolates were isolated from soil of the Taeion area. 197 strains with dextranolytic activities were isolated, out of which 3 strains with high dextranolytic activities were selected in the first screening. A strain (GR-98) with a best dextranolytic activity was selected in the second screening. The strain was identified to be similar Aspergillus ustus by the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e optimum culture temperature and initial pH for the dextranase production of the strain was 30℃ and 7.0, respectively. The optimum culture medium was composed of 2% dextran, 0.3% KNO_3, 0.05% K_2HPO_4, 0.02% MgSO_4·7H_2O, 0.05% KCI, and 2.5 ㎍/㎖ pyridoxamine, and the enzyme production was maximum when the strain was subcultured at 30 ℃ for 7 d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