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Gifted Education in Korea:A Look at the ISEP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한기순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7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8 No.3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is currently one of the hottest educational issues in Korea. Much money and effort are being invested in this area of education. Recent announcements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tate that all children should be educated to the level of which they are capable, and the current program for gifted students should be and will be extended. However, there is little attention paid to the actual substance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What is happening in the name of gifted education? What is the meaning of giftedness and gifted education? How and in what respects can the gifted program be differentiated from general programs? What are the problems and concerns in serving gifted students? What are the effects of gifted programs? These are the main questions of the present qualitative study. For the purposes of this ethnographic study, the ISEP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in Korea was observed for a six-month period, and 10 professors and 50 students at the ISEP were interviewed in dept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ISEP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provides differentiated learning environments and teaching methods. Second, through these differentiated learning experiences, students improve their thinking skills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as well as developing positive self-esteem. In addition, the formation of human net works, the special meaning of the 'gifted' label, and the acquisition of personal knowledge were seen to be some of the major educative possibilities on offer at the ISEP gifted education center. However, some professors' low levels of motivation, the absence of individualized educational plans, bureaucratic management, weak student commitment to set tasks, and a lack of opportunity for students' social activities were clearly limitations of the ISEP gifted education cen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specifically, the search for new idea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gifted education as well as helping to surmount the hidden problems lurking beneath the surface of the current gifted education practices in Korea, and, more generally,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diverse gifted educational practices in operation worldwide.

      • KCI등재

        영재교육 경험을 가진 교사들의 영재교육 방향에 대한 인식 고찰

        김고경,백성혜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3 과학영재교육 Vol.15 No.2

        현재 우리나라의 영재교육 상황은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감소하고 있으며, 영재교육기관의 운영 내실화 및 특성화는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한 개인의 영재성 수준과 특성에 따른 체계적인 지원 역시 부족하며, 소수의 엘리트 교육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에 영재교육이 본격적으로 도입된지 20년이 되었지만 영재의 선발에서부터 영재교육프로그램 운영 전반에 걸친 문제가 아직까지 해결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논의되고 있는 영재와 영재교육대상자에 대한 정의의 변화 방향을 살펴보고, 제1차에서 제5차까지의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영재교육 현황 및 그간의 성과와 한계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으며, K대학교 대학원생 중 영재교육의 경험이 있고, 영재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의 방식으로 앞으로의 영재교육 방향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영재 선발, 영재교육 프로그램, 교사 교육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아동의 선발에 대하여 논의한 결과 학생들의 환경을 고려하는 등 다양한 측정도구가 필요하며, 영재성을 지적능력에만 국한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이거나 성취력을 보이는 학생, 배움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도 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둘째,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영재교육 대상자로 선발된 아이들을 개인 또는 소수의 모둠으로 편성하여 맞춤형 수업을 진행하는 것과 교육청 등 외부기관과 협력하여 멘토제 및 교육프로그램 등의 지원을 필요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 교육은 해당 분야의 전문성이 부족한 경우가 다수 있어 영재교사부터 그 전문성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는 논의가 이루어졌고, 교사 교육에 대한 연구 역시 추가적으로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urrently, the interest and demand for gifted education in Korea is decreasing, and it is analyzed that the operational stability and characterization of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re insufficient.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support according to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giftedness, and the negative perception that education is a minority elite still exists. This means that although it has been 20 years since gifted education was introduced in earnest in Korea, problems ranging from the selection of gifted students to the operation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have not yet been resolv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ion of change in the definition of gifted and gifted education recipients that have been discussed so far, and based on the 1st to 5th Comprehensive Plan for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Promotion, the current status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and its achievements and analyzed its limitations. The perception of the future direction of gifted education was examin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gifted education among graduate students at K University and who are interested in gifted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keywords were identified: selection of gifted students, education program for gifted students, and teacher education, and the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discussing the selection of gifted children, there was an opinion that various measurement tools were needed, such as considering the environment of students. In addition, there was an opinion that giftedness should not be limited to intellectual ability, but that students who show outstanding talent or achievement in various fields should b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receive gifted education. Second, in the gifted education program, the need for customized classes was raised by arranging the children selected for gifted education as individuals or in small group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upport such as mentor system and education program was needed in cooperation with exter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Office of Education. Third, teacher education in charge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often lacks expertise in the field, so it was discussed that gifted and talented teachers need to have that expertise, and it was confirmed that additional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is needed.

      • KCI등재

        국악영재교육의 현황과 운영방안-초․중등 공교육기관을 중심으로-

        김희라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6 국악교육연구 Vol.10 No.1

        Compared to other gifted education program, the gifted education in Korean music has the smallest proportion of the centers and participating students.Thu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atus of the gifted education in Korean music, analyze the curriculum of the national gifted center, and present the better management plan for the education. The management plan for the gifted education in Korean music is composed of five-steps, and has the relation and identity of the steps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This program is organized by the first step (grade 1~2) and the second step (grade 3~4) of the gifted class, the third step (grade 5~6) and the fourth step (grade 6~8) of the gifted education center supported by the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and the fifth step (grade 9~10) of the gifted education center by school unit. The subjects of this program was constructed by the elementary course of Korean music, the basic percussion, traditional Korean plays and songs, dances, musical drama, and so on as mandatory as well as a major field of music as elective.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strengthen the systematic and related approaches to the gifted education and enhance the curricula. 국악영재교육은 영재교육기관이나 영재교육대상자 수에서 타 분야에 비해 매우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악영재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국악영재교육기관별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공교육기관에서의 국악영재교육 운영방안을 구안하였다. 공교육기관에 적용 가능한 국악영재교육 운영방안을 총 5단계로 조직하여 초등학교에서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연계성과 독립성을 동시에 갖출 수 있도록 하였다. 각 단계는 영재학급 형태로 1단계(초 1~2학년)와 2단계(초 3~4학년), 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형태로 3단계(초 5~6학년)와 4단계(중 1~3학년), 단위학교 영재교육원 형태로 5단계(고 1~2학년)로 이루어지며 단계별로 무학년제로 운영한다. 교과목은 선택교과인 전공실기 외에 국악의 기초, 기초 타악실기, 전래놀이와 동요, 놀이춤, 음악극, 무대장치와 음향, 융합교육 및 인성교육 교과 등을 공통교과로 단계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가 국악영재교육과정의 체계성 및 연계성을 강화하고 국악영재교육대상자를 위한 교육과정의 기본 토대를 제공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국내 예술영재교육 연구동향과 과제

        이은선 ( Lee Eun-sun ),윤서진 ( Yoon Seo-jin ),이정숙 ( Lee Jung-sook ),김화례 ( Kim Hwa-rae ) 한국무용과학회 2017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는 예술영재교육 분야에서 최근까지 연구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예술영재교육의 문제 및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과제를 도출해 보기 위하여 2000년~2015년간 관련 연구 논문 190편을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예술영재교육`과 `예술영재`의 주요어를 중심으로 국회도서관 및 한국교원학술정보원에서 검색한 학위논문 및 학회지로 하였고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주제, 연구분야, 연령 및 학년, 연구방법으로 구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주제는 예술영재교육의 동향과 관련한 전망, 기대, 방안, 방향에 대한 연구가 많았고 다음으로 연구프로그램, 실태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분야에 대한 연구동향은 미술, 음악 및 기타 분야인 예술전체에 관한 연구와 융합, 체육 분야의 연구는 25% ~ 35% 정도의 수준인데 반해 무용분야는 9%의 수준으로 저조 하였다. 셋째, 예술영재의 연구동향의 분석에서 연령 및 학년에 대한 연구는 초등, 중고등의 순이고 그 다음으로 전체연령과 교사에 대한 연구인데 반해 발달에 있어 중요기인 유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넷째, 연구방법은 문헌연구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양적, 질적 순으로 연구되었다는 동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의 예술영재교육의 과제를 도출하여 앞으로의 발전적 토대를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연구 분석에 따른 향후 연구에 관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연구주제 및 방법에 의한 연구, 둘째, 장기적 연구 수행, 셋째, 융합적 예술영재교육의 교과과정과 모형 개발 연구, 넷째, 영재교육 담당 교사연구.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bout the research trends of the arts gifted education during the period of 2000 ~ 2015. National Art Education for the Gifted Research Project. As many as 190 research papers from the year of 2000 to 2015 have been sampled with the purpose of developing a task that contribute to solving problems and developing the art education for the gifted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es and analyzing based on the contents of researches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for the gifted. The research tools were classified into theses and journals that were searched i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the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centering on the main words of `artistic gifted education` and `artistic gifted` in order to analyze research trends, research topics, research fields, and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bout the research trends of the arts gifted education during the period of 2000 ~ 2015. First, the research subject were several researches regarding the prospects, expectations, plans and directions related to the trends of the art education of the gifted and showed in the order of the real condition. Second, arts were the most popular in the field of research, followed by others (arts, physical education) and music. Third, in the age and grade, elementary school, others (adults and others), middle and high school except for infants appeared to be at a similar level. Fourth, the trend was understood that literature research was found to be used most as a method of research, followed b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respectively in that order.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contribute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arts gifted education in Korea. Hereafter research based on the researc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f diverse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Second, carry out long-term research. Third, amalgamative course of the art education for the gifted model development research. Fourth, research of the teacher in charge of the gifted education.

      • KCI등재

        정보영재교육이 학습자의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

        최정원,이영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敎員敎育 Vol.30 No.4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a gifted informatics education on the career path selection of learners who have completed it, and to present its implications. For this, learners were surveyed who had completed a gifted informatics education at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The survey questions concerned: the career paths selected by learners; the effect of gifted informatics education on career path selection; the effect of factors internal to learners (interest in gifted informatics education, difficulty of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on career path selection; and the effect of factors external to learners (gifted informatics education management methods, people around learners, and contents of the education) on career path selection. It was found that internal factors did not affect learners’ career path selection. In the case of external factors, while intensive education during vacations and education during semesters had a considerable effect in terms of education management methods, distance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competitions did not have much effect on career path selection. The following had the greatest effect on learners’ career path selection: for people around the learners, teachers had the largest impact; and, for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programming language and algorithms for learners who selected fields in informatics and programming language, and application software for those who selected other fields, had the greatest effects, respectively. Such results imply several things about gifted informatics education. Based on this results, in terms of students' career choices, self-realization and cultivating human resources for national competitiveness it was suggested how informatics gifted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Also, it is necessary to track which career paths learners who have completed gifted informatics education actually select in adulthood and whether they are linked to the career paths of their wishes at present, thus analyzing the effect of gifted informatics education on learners’ career paths from a more long-term perspective.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영재교육이 정보영재교육을 수료한 학습자들의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영재교육기관에서 정보영재교육을 이수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은 학습자들이 선택한 진로, 학습자 내적 요인(정보영재교육에 대한 흥미, 교육 내용에 대한 난이도, 자기주도적인 학습 태도)과 학습자 외적 요인(정보영재교육의 교육 운영 방법, 주변 인물, 교육 내용)이 진로 선택에 미친 영향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습자 내적 요인은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외적 요인의 경우, 교육 운영 방법에서는 방학 중 집중 교육과 학기 중 교육이 많은 영향을 미친 반면 원격 교육이나 대회 출전의 경우는 진로 선택에 영향을 크게 주지 못했다. 주변 인물로는 교수자가, 교육 내용의 경우 정보 분야의 진로를 선택한 학습자들에게는 프로그래밍 언어와 알고리즘, 다른 분야의 진로를 선택한 학습자들에게는 프로그래밍 언어와 응용소프트웨어가 진로 선택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진로 선택과 자아실현,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인력 양성 측면에 있어 정보영재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정보영재교육을 이수한 학습자들이 실제 성인이 되었을 때 선택한 진로는 무엇인지, 현재 희망하는 진로와 연계가 되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보영재교육이 학습자의 진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중등 영재 지도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과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서보경,맹희주 韓國英才學會 2016 영재교육연구 Vol.26 No.1

        This research studies the perception to gifted education teachers between the middle school gifted education for STEAM and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for revitalizing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shows that the awareness of gifted education teachers for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s lower than the level of the awareness for STEAM, and it appears that the Gifted education teachers especially has the experience adapting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who awareness for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s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not only teachers has the experience adapting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and the very poorly recognition for the task of Comprehensive Plan for Gifted Education promotion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an creative and convergence content, a they has the very low experience for the development. And it analyzes that although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s, teachers who are in science gifted teachers and the mature experienced man realizes very optimistically the necessity need of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Therefore, it analyzes that recognition to the necessity need of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s reinforced through the training for the gifted teachers in the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and in less teaching experience. But it points out that answers over the majority cognized to resemble the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and STEAM, though the object is only different.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the differentiated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curriculum providing the suitableness for the characteristic and level is needed for the desirable fixedness. 본 연구는 융합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중등 영재 지도교사들을 대상으로 융합인재교육(STEAM)과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 지도교사들의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지도는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지도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교사들은 현장 적용 경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의 추진과제로서 창의․융합형 콘텐츠 개발이 포함되어 있음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낮았으며, 콘텐츠 개발 경험 또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지만 과학영재 지도교사와 영재 지도 경력이 높을수록 융합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재교육 교원 연수를 통해 수학영재 지도교사와 저경력의 영재 지도교사들에게 융합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과반 수 이상의 응답자들이 융합인재교육(STEAM)과 융합영재교육이 대상만 다를 뿐 유사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융합영재교육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영역별 영재의 특성과 수준에 적합한 차별화된 융합영재교육이 필요함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 KCI등재

        우리나라 영재교육 40년, 영재교육 패러다임의 도전과 전환

        이정규(Jeong-kyu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20 영재와 영재교육 Vol.19 No.1

        우리나라에서 영재교육이란 용어가 정부 공식문건에 처음 나타난 지 40년, 그리고 2000년에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된 지 20년의 변화를 정부교육계획과 언론매체를 통해 영재교육 현상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현상 고찰에 기초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영재교육 연구자들의 역할에 대해 제언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2020년을 맞아, 기존의 영재교육 패러다임은 여러 도전에 직면하였고, 전환이 요구된다. 이에 영재교육 연구자들은 무엇을 고민하고, 연구하면서 행동해야 할 것인가? 먼저, 연구자는 끊임없는 연구를 통해 영재교육 연구력을 높여 나가야 한다. 영재교육 이론연구뿐 아니라, 영재교육 현장밀착형의 연구와 연구 결과를 학회에 발표하고, 이를 근거로 정책행정가들에게 정책을 제언해야 한다. 다음으로, 연구 논문과 보고서, 나아가 방송언론매체로의 홍보를 통해 국민들의 지지와 관심을 높일 수 있도록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영재교육의 지평을 넓혀나가야 한다. 우리는 미래사회를 선도적으로 혁신시켜 나갈 주체로서 영재들과 영재교육이 더욱 중요해지는 사회라고 믿는다. 그럴수록 영재교육 연구에 집중하는 소극적 활동과 동시에, 영재교육 붐 조성을 위한 국민적 공감대형성을 위해 국회, 언론, 정부를 대상으로 적극적이고 포괄적인 노력도 함께 기울여야 한다. In Korea, the term “the gifted education” first appeared in official government documents for 40 years, and 20 years after the “the gifted education promotion law” was enacted in 2000, the government education plan and media examined the status of gifted education.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draw up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to suggest the role of gifted education researchers. Toward 2020, the existing paradigm of gifted education has faced many challenges and requires a transition. In what researchers currently concerned about education, research for gifted children, to act? First, researchers should improve their ability to study gifted children through endless research. In addition to research on theory of gifted education, research and research results of field-close approach of gifted education should be published to the academic society, and on this basis, policies should be proposed to policy administrators. Next, we should expand the scope of gifted education by forming a consensus to increase public support and interest through research papers, reports, and further promotion as a broadcasting media. We believe that gifted children and gifted children are becoming more important as those who will lead to innovation in the future. As such, the government should also make active and comprehensive efforts to create a national consensus for creating a boom in gifted education at the same time as passive activities focusing on the study of gifted education.

      • KCI등재

        메이커 교육에 대한 영재 담당 교사들의 인식

        김명성(Kim, Myoungs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2

        연구목적: 영재교육이 추구하고 있는 교육목표는 메이커 교육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이 연구는 영재교육에서 메이커 교육의 도입과 관련하여, 메이커 교육에 대한 영재 담당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영재 담당 영역, 지도 경력, 연수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메이커 교육을 구성하는 6개 영역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개발하고, B시의 영재교육기관과 영재학급에서 영재를 지도하는 교사 16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기술통계와 일원변량분석으로 나타내었다. 연구결과: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은 메이커 교육의 필요성과 가치, 메이커 스페이스 설치, 과정 기록과 평가, 교사 연수와 지원 체제 등에서 인식이 높았던 반면, 교수 학습 모형, 메이커 스페이스의 영역 구성, 자료와 도구 활용 등에서는 평균치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메이커 교육에 대한 영재 담당 교사들의 인식은 영재 담당 영역, 지도 경력, 연수 경험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에게 메이커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연수를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연수의 방향이 올바르고, 프로그램이 생산적이어야 한다. Purpose: The educational goals pursued by gifted education can be effectively realized through maker education. To be the part of maker education in gifted education,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instructors for gifted education on maker education in relation and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rea in charge of gifted students, teaching experience, and training experience. Metho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cusing on six areas that constitute maker educa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168 instructors who instruct gifted students at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nd gifted classes in city B,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as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instructo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had high awareness of the necessity and value of maker education, establishment of a maker space, process recording and evaluation, and instructor training and support system, etc., while in the teaching/learning model, makerspace domain composition, and data and tool use, it was relatively low at the average level awareness.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s of instructors for gifted education on maker education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area in charge, teaching experience, and training experienc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ystematic training on maker education to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training must be correct, and the program must be productive.

      • KCI등재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 영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육만족도 조사

        강갑원(Kab-won Kang),김용순(Yong-Soon Kim),이근임(Geun-Yim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8 영재와 영재교육 Vol.17 No.3

        본 연구는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 영재 학생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육만족도를 확인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확인하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북부에 소재하는 D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초등학생과 중1, 2, 3학년 200명이었다. 2017년 4월과 10월에 동일한 설문지로 두 번 조사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자신이 영재라고 인정하는 비율은 전체의 약 31%이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고 중학교 1학년이 초등학생보다 더 높았다. 둘째, 학생들은 자신보다 동료의 영재성 인정을 다소 낮게 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성, 학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셋째, 학생의 약 63%는 영재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약 81%는 영재교육에서 사고력과 창의성 교육이 가장 중요히다고 생각하고 있다. 넷째, 자신이 영재교육을 받는 목적은 훌륭한 학자가 되는 것과 좋은 대학에 진학하는 데에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다섯째, 영재 교육내용 선정은 학생과 교사가 공동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여섯째, 잘 가르치는 것은 스스로 생각하고 활동하도록 안내해 주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일곱째, 교육만족도는 5점 만점에 4.15점으로 비교적 높으며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큰 변인은 ‘사사지도, ‘교육 방법’, ‘교육내용’, ‘자신에의 도움’, ‘교수님 지도’였다. 사사지도를 제외한 나머지 10개 변인이 교육만족도를 설명해주는 비율은 약 66%였으며, 자신을 영재로 인식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교육만족도는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perception of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gifted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in university-attached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in D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Research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students perceiving themselves as gifted students is about one-third of the total, and a majority of students are in a state of gifted identity disorder. This tendency is more prevalent in elementary school and girl students. Second, students are somewhat stingy in acknowledging their colleagues giftedness over themselves. This tendency does not depend on sex or grade. Third, about 63% of students perceive that gifted education is necessary, and about 81% of students perceive that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education are most important in gifted education. Fourth, the purpose of receiving gifted education is both ideal and realistic goals of being a good scholar and going to a good university. Fifth, the content of gifted education has a learning consciousness that students and teachers should jointly select them. Sixth, a well-educated teacher thinks that a student is a person who guides them to think and act on their own. Seventh, gifted education satisfaction is relatively high at 4.15 points out of 5 points. Big 3 variables are education method satisfaction, education content satisfaction, and usefulness of education for themselves, and these three variables account for about 62.4% of education satisfaction. The major variables influencing education satisfaction are education method satisfaction, education content satisfaction, and mentor-course satisfaction. The combined explanatory power of 11 variables affecting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about 99%.

      • KCI등재

        개념클립(CLIP) 교육과정에 기반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시각예술영재교육을 중심으로

        박지숙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특별호

        In recent years, as changing paradigm of gifted education, the necessity of phased, and by field professional assistance for the manifestation of giftedness is emerging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mental giftedn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education environment that can help children to demonstrate their’s broad abilities through systematic career education. Because Gifted children have a specific plan for their career and have high career maturity, they need to have a special teaching in the care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gifted in visual arts. For the first, the concept and purpose of the program for career education for gifted in visual arts is defined. To provide differentiated career training for the gifted students in visual arts, it is necessary to help each student's self-realization with a convergent and creative learning method. In this thesis, the researcher developed a differentiated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attempted to apply the theory into practice.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reviewed the core references on career education for the arts gifted in Korea and identified current trends through referrals. The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from domestic and foreign. Next, the researcher examined case studies of gifted education in visual arts programs in Korea and identified the career decision and maturity variables of artists. Based on this investigation, the researcher proposed a road map for career education. The theoretical basis of career education and project design are key elements of the concept clip (CLIP) curriculum. The researcher developed the program based on Concept, Creativity, Leadership, Inquiry, and Problem Solving. Based on this, the learning stage of the program consisted of the presentation of the subject, problem identification, task execution and problem-solving, and emotional reflection reflecting the fundamental elements of the concept CLIP.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raise the social awareness of the career of the arts gifted and promote the decision making of their life, as well as the challeng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that satisfy the academic, social and emotional needs of the gifted children. In this regards, this study will be expected to contribute for the appropriate and systematic career education for the gifted in visual arts. 최근 들어 영재교육의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재능계발 접근 방식의 발달적 영재성의 관점에서 영재성 발현을 위한 단계별, 분야별, 전문적 조력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체계적인 진로 교육을 통해서 자신의 전공분야에서 뿐 아니라, 폭넓게 자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융합 능력 및 환경적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영재는 자신의 진로에 대하여 구체적인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진로 성숙도가 높은 편이므로 진로 교육에 있어서 보다 차별화된 교육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시각예술영재를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로서, 영재를 위한 진로교육의 개념 및 목적을 정의하고, 실제교육현장의 현황 조사를 통해 예술영재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시각예술영재를 위한 차별화된 진로교육의 방향을 융합적이고, 창의적인 학습, 자아실현을 위한 학습으로 정하여 시각예술영재를 위한 차별화된 진로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해 보고자 한다. 먼저 예술영재 진로교육 선행연구와 동향을파악하고 국내외 영재 대상 진로교육 프로그램들을 조사 및 분석하여, 현재 영재교육 시스템에서 진로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현장조사 후 전문가의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모형을 구축하였다. 그 다음으로 예술영재 진로교육 프로그램 국내 외 사례 조사하여 예술영재 진로 성장 과정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예술가의 진로 결정 및 성숙 변인을 정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진로교육 로드맵을제안하였다. 진로교육의 이론적 기반과 프로젝트 설계는 개념클립(CLIP) 교육과정의 핵심요소인 개념(Concept), 창의성(Creativity), 리더십(Leadership), 탐구(Inquiry), 문제해결(Problem Solving)을원칙으로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의 학습단계는 개념클립 핵심요소를 반영하여 주제제시, 문제파악, 과제수행 및 문제해결, 감성적 성찰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예술영재의 진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제고하고 진로교육은 자신의 삶에 대한 의사결정을 촉진함과 동시에 영재아동들의 학문적, 사회적,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흥미롭고 도전적인 교육의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알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시각예술 영재의 발달에 따른 적절하고 체계적인 진로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