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불교 문헌에서 자비의 문제 -그 실천 이유와 근거-

        윤영해 한국불교학회 2012 韓國佛敎學 Vol.62 No.-

        Compassion is, at its best, an important practice in Buddhism.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reason of compassion practice in Buddhism. If the reason can be determined clearly, Buddhists can have more obvious Sollen for the practice. We can find the three reasons of compassion practice in the documents of the early Buddhism. The first reason is because it is a way to Nirvāna. In Early Buddhism, compassion practice is set-up as not a altruistic practice but a practice for practitioners themselves. They do not start to practice compassion after wisdom attainment but can advance to wisdom just after the practice of compassion. Another reason of compassion practice is because they can figure out that they have no choice but to practice compassion if they look at themselves reflected in others or others in themselves. Human beings understands others in mirrors of themselves and comprehends themselves in mirrors of others. If only we understand others in the light of us, everybody can't help practicing compassion. Lastly, it becomes clear that compassion practice is an important tool for overcoming anger and greed. We are then reminded that in order to gain Nirvāna, greed, anger and ignorance must also be eradicated. These three fires are vanquished by compassion and compassionate actions such as giving donations and hence compassion practice is enjoined in the enlightenment project. As for Mahayana views on compassion practice, the idea that it is the exclusive provenance of Mahayana Buddhism is a mistaken assertion. The suggestion that compassion practice must be practiced only after the enlightenment is likewise mistaken. Conversely, compassion practice in Early Buddhism is a practice for all levels of individuals, good for themselves as well as beneficial for others. 자비의 실천은 불교에서 더없이 강조되는 덕목이다. 이 논문은 자비실천의 이유에 대한 논구이다. 이유가 분명할수록 실천의 요청에 대한 설득력은 강할 것이다. 초기불교 문헌에서 나타나는 자비실천의 이유는 세 가지로 설명된다. 첫째 이유는 그것이 열반으로 가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초기불교에서 자비의 실천은 이타적 실천이 아니라 자리적 실천으로 설정된다. 지혜를 먼저 성취한 다음에 자비의 실천으로 나서는 것이 아니라, 자비를 함양해야만 지혜의 길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자비를 실천해야 하는 또 다른 이유는 타자를 자신에게 비추고 자신을 타자에게 비추어 본다면 자비를 실천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깨닫기 때문이다. 인간은 자신을 보고 남을 이해하고 남을 보고 자신을 이해한다. 만일 우리가 남을 자신에게 비추어 보기만한다면 누구나 자비를 실천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셋째, 자비를 실천해야 하는 또 하나의 이유는 성냄을 극복하기 위해서이다. 열반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탐진치의 극복이 필수인 바, 탐욕은 베풂, 어리석음은 지혜, 성냄은 자비로써 극복한다. 자비는 성냄이라는 독약을 위한 유일한 해독제이기 때문이다. 자비의 실천은 대승불교의 전유물이란 생각은 그릇된 통념이다. 자비는 깨달음을 이룬 다음에야 실천한다는 생각도 역시 통념에 불과하다. 다만 초기불교에서의 자비행은 타자를 위한 실천만이 아니라 우선적으로 자신을 위한 실천일 뿐이다.

      • KCI등재

        연민(compassion)의 사회윤리에 관한 연구 : 마르타 누스바움과 마커스 보그를 중심으로

        김현수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2 기독교사회윤리 Vol.24 No.-

        본 논문은 예수가 보이신 사랑의 윤리는 연민의 윤리라는 가정에 근거하여, 연민의 사회윤리 가능성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은 여성철학자 누스바움(Martha C. Nussbaum)과 신약성서학자 보그(Marcus J. Borg)의 연민의 윤리를 분석하는 것을 일차적 목적으로 한다. 먼저 누스바움이 전개하는 연민의 윤리는 다음의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1) 인간은 합리적인 존재인 동시에, 상처 받기 쉬운 본성을 가지고 있다. 이 상처 받기 쉬운 본성 때문에 인간은 연민의 감정을 요구한다. (2) 인간이 연민의 감정을 느끼려면, 인지적 판단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우리는 어떤 사람의 고통이 심각하다고 판단할 때, 그 사람에 대하여 쉽게 연민의 감정을 가질 수 있다. (3) 연민의 윤리는 “우리”와 “그들”의 경계를 넘어설 때에야 진정한 사회윤리로 기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신약성서에 나타나는 예수의 연민의 윤리에 대하여 보그가 논의하는 내용은 다음의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1) 예수의 연민의 윤리는 당시 유대인이 추구했던 순수 사회의 이상과 대립된다. 당시 유대인이 기초한 순수사회의 이상은 이방인과 병자를 더러운 존재로 치부하는 배제의 논리를 보여준다. 반면에 예수의 연민의 윤리는 오히려 사회적 약자에게로 다가간 포용의 논리를 실천한다. (2)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예수의 연민의 정치학은 사회 변혁적 이상을 내포한다. 왜냐하면 연민의 윤리는 사회에서 소외된 약자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대안적 사회비전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의에 근거하여 본 논문은 세 가지 연민의 사회윤리 가능성을 제안한다. (1) 타자의 고통에 민감한 감정으로 연민의 윤리는 타자의 고통에 동참하는 참여적 지식을 추구한다. (2) 연민의 윤리는 고통당하는 타자를 향하기 때문에, 아래로부터의 관점, 다시 말하면 고통당하는 자로부터의 관점을 지향한다. (3) 아래로부터의 관점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연민의 윤리는 정의의 추구를 내포한다. 왜냐하면 연민의 윤리는 불의로 고통당하는 자의 고통을 해결하려는 실천적이고 변혁적인 실천을 함축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tries to suggest a social ethic based on compassion which means “suffering with.” To do this, this paper mainly deals with the social ethic of compassion that Martha C. Nussbaum and Marcus J. Borg develop. First, we can summarize Nussbaum’s social ethic of compassion as follows:(1) Human beings are vulnerable as well as rational. Because of their vulnerability,human beings need compassion. (2) For us to have compassion on someone, we need some rational and cognitive judgments. For example, when we judge that a person’s suffering is serious, we tends easily to have compassion on that person. (3) The ethic of compassion demands us to cross the sharp lines between us and them. Next, Borg makes two main points regarding Jesus’s ethic of compassion that the Bible witnesses: (1) Jesus’s ethic of compassion radically shows the logic of inclusiveness which goes toward the socially excluded persons such as tax-collectors,while the Jews of the times sharply excludes those persons. (2) In this regard, Jesus’s ethic of compassion becomes a radical social ethic transforming the society which unjustly excludes the poor, the weak, and so on. Finally,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paper suggest three insights for a social ethic of compassion: (1) The social ethic of compassion seeks for the participatory knowledge which makes us to enter into the sufferings of a person and share with them. (2) The social ethic of compassion includes view from below,i.e. view from sufferers. (3) The social ethic of compassion goes to transformative practices struggling against the unjust situations which cause the sufferings of the poor, the weak, and so on.

      • KCI등재

        자기자비와 자기연민

        김정호 한국건강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8 No.2

        Two terms, ‘자기자비’ and ‘자기연민’, have been used as translations for self-compassion, causing confusion in communication. This study addressed the translation issue of self-compassion in three ways. First, we argued that ‘자기연민’ is an inappropriate translation for self-compassion due to its negative connotations, which are supported by examples from dictionaries, daily usage, and academic/cultural/artistic contexts. We searched for examples in ‘Naver’, ‘Google’, ‘RISS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Google Scholar’. The search results revealed that ‘자기연민’ is used with a negative connotation, not only in dictionaries and common usage but also in academic/cultural/artistic contexts. However, we found that the positive usage of ‘자기연민’ emerged after it was introduced as a translation for self-compassion, causing confusion in its meaning. Second, we presented several pieces of evidence to support the translation of ‘compassion’ in self-compassion as ‘자비(慈悲)’ because the term ‘compassion’ includes not only ‘karuna(悲)’ but also ‘metta(慈)’. We provided evidence from Buddhist literature showing that metta(慈) and karuna(悲) are interrelated, and from compassion-related programs or therapies developed in Western countries showing that the term ‘compassion’ includes both karuna(悲) and metta(慈). Third, we argued that ‘연민’ is not a suitable translation for "compass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연민’ as ‘karuna(悲)’ in the Buddhist context. If you believe that ‘연민’ has been used to mean ‘karuna(悲)’, it is not the case. Rather, ‘자비’ has been used as the meaning of ‘karuna(悲)’. We concluded that ‘자기자비’ is a more appropriate translation for self-compassion than ‘자기연민’. self-compassion의 번역어로 ‘자기자비’와 ‘자기연민’ 두 가지 용어가 사용되어 소통에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방식으로 self-compassion의 번역어와 관련된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자기연민’이 부정적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에 self-compassion의 번역어로 부적절하다는 것을, 자기연민의 사전적 용례, 일상생활에서의 용례, 학문 및 문화·예술 영역의 용례를 통해 논증했다. 사전적 의미의 용례는 ‘네이버’의 ‘어학사전’을 통해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우리말샘’, ‘ET-house 능률 한영사전’, ‘동아출판 프라임 한영사전’에서 확인했다. 일상생활 영역에서의 용례는 ‘네이버’와 ‘구글’을 통해 검색했다. 학문 및 문화·예술 영역의 용례는 ‘RISS(학술연구정보서비스)’, ‘국립중앙도서관’, ‘구글 학술검색(Google Scholar)’을 통해 검색했다. 검색 결과, 사전적 용례나 일반적인 용례에서뿐만 아니라 학문 및 문화·예술 영역의 용례에서도 자기연민은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자기연민이 self-compassion의 번역어로 등장하면서부터 자기연민이 좋은 의미로 사용되는 사례가 나타나고 이로 인해 자기연민의 의미에 혼란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진단했다. 둘째, self-compassion의 compassion이 karuna(悲)만을 의미하지 않고 metta(慈)를 포함하므로 자비(慈悲)로 번역하는 것이 타당함을 몇 가지 자료를 통해 논증했다. 첫 번째 자료로 불교 관련 문헌을 통해 metta(慈) 수행과 karuna(悲) 수행이 서로를 포함하는 관계에 있음을 보였다. 두 번째 자료로 서구권에서 개발된 compassion 관련 프로그램 또는 치료법에서 의미하는 compassion이 karuna(悲)만을 의미하지 않고 metta(慈)도 포함함을 보였다. 셋째, ‘연민’은 karuna(悲)를 나타내는 불교적 용어로 보기 어렵다는 점에서도 compassion의 번역어로 적절하지 않음을 논증했다. ‘연민’이 우리나라 불교계에서 오랫동안 비(悲)의 의미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compassion의 번역어로 ‘연민’을 사용한다고 생각한다면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고 ‘자비’라는 용어가 사용됐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연구는 self-compassion의 번역어로 ‘자기연민’이 부적절하고 ‘자기자비’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함을 보였으며 이러한 번역어 논의 과정을 통해 metta(慈), karuna(悲) 그리고 자비(慈悲)의 개념에 대해 좀 더 분명하게 알아볼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건강한 자비의 함양을 위한 불교와 심리학의 학제적 고찰

        하현주(Ha, Hyun-ju)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4 No.-

        최근 심리학계에서는 불교의 자비에 기반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치료 효과를 입증하면서 자비의 가치에 주목하고 있다. 심리학 내에서는 자비를 증진하기 위한 개입방법으로 자비명상이 치료적으로 활용되기도 하고, 자신에게도 우호적인 태도를 함양하는 자기자비가 자존감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각광받으며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자기자비가 불교의 무아와 자타불이의 사상과 모순된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하는데, 자비가 치료적으로 활용되는 과정에서 본래의 의미가 변색되지 않은 채 건강하고 진정한 자비로서 적용되기 위해서는 불교의 철학적 바탕과 심리학적 방법론 사이의 활발한 학제적 접근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불교와 심리학의 관점에서 각각 자비를 조망해보고, 건강한 자비란 무엇인지 고찰함으로써 향후 자비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자비의 불교적 정의와 자리이타 (自利利他), 자타불이 (自他不二), 삼연자비 (三緣慈悲)와 같은 자비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진정한 자비의 측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비와 유사한 듯 보이지만 진정하고 건강한 자비가 아닌 유사 자비 (pseudo-compassion)의 양상으로 자기애적 자비와 반동형성적 자비, 결핍과 희생에 기반한 자비, 슬픔에 압도된 자비를 제언하였다 . 건강한 자비가 갖추어야 할 특성으로 상호연결성과 지혜, 평정심에 기반한 자비, 상호치유 과정으로서의 자비를 제안함으로써, 보다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자비를 함양하기 위한 방편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향후 불교와 심리학의 학제적 접근이 더욱 활발해진다면, 자비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자비 실천을 위한 함양방법이 더욱 체계적으로 제시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Recently, in the fields of psychology, a variety of compassion-based programs have been widely developed and have proved their therapeutic effects on a series of mental problems. Especially, compassion meditation has been used therapeutically as an intervention to promote compassion, and self-compassion which develops a friendly attitude toward oneself is being actively studied as a new alternative to self-esteem.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riticism that self-compassion is contradictory to the Buddhist concepts of non-self (anattā), non duality of I and the not-I. In order to apply compassion without the discoloration of original meaning in the course of the therapeutic use of it, an active interdisciplinary approach between Buddhist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psychological methodology is required. In this perspective, I try to establish an interdisciplinary base for future study by considering authentic and healthy compassion in terms of Buddhism and psychology. I examined the Buddhist definitions of compassion and the characteristics such as ‘By benefiting oneself, one benefits others( 自利利他 )’, ‘non duality of I and the not-I( 自他不二 )’, ‘the three kinds of causal compassion( 三緣慈 悲 )’. I also suggested patterns of pseudo-compassion, which seem to be similar to compassion but not genuine and healthy aspects of it; narcissistic compassion, compassion as a reaction formation, compassion overwhelmed by sadness, and compassion based on destitution and sacrifice. I sought to find a way to cultivate healthier and more sustainable compassion by proposing it based on interconnectedness, wisdom, equanimity and as a process of mutual healing. If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Buddhism and psychology become more active in the future, it will be able to suggest more systematic ways to cultivate in-depth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compassion.

      • KCI등재

        초기불교 연민(karuṇā)의 일관성 이해

        김진이 ( Kim Jin-yi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4

        본 연구는 초기불교의 연민(karuṇā)과 현대감정주의 연민(compassion)을 비교 검토한 후 초기불교 철학에서 도덕 근거로서 연민의 다양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 연민의 일관성이란 탈 애착관계에 기반 한 연민의 확장을 의미한다. 최근 윤리학에서는 연민이 선을 위한 원천으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개인적 사회적 삶의 윤리적 토대가 될 수 있다는 이해 아래 연민 감정의 윤리적 근거를 확보하려는 논의가 활발하다. 누스바움(M. C. Nussbaum)은 고통의 심각성과 응당/부당 그리고 행복주의의 인지적 필요조건에 따른 연민을 주장한다. 그녀의 연민은 연민의 대상에 부분적인 제한이 있으며 연민의 발현을 감정의 가치판단에만 의존한다. 필자는 연민의 일관성 구축을 위해 고통에 참여하는 연민의 다양한 이해와 연민 감정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감정주의 연민과는 다른 방식으로 고통의 문제에 참여하는 불교적 연민 이해를 탐구하고자 한다. 붓다는 현실경험적인 고통의 이면에 내재된 근본적인 고통의 원인을 소멸함으로써 궁극의 해탈을 열망하는 연민의 확산을 요청한다. 즉 자타의 고통 구조를 소멸로 전환하기 위한 연민을 강조한다. 또한 연민의 내적 체화를 위한 수행에 중요성을 부여한다. 필자는 무아ㆍ연기의 세계관과 수행의 실천에 기반 한 초기불교 연민을 통해 연민 일관성의 새로운 모색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 논의의 전개는 1. 초기불교 연민의 기본적 이해 검토 2. 불교 연민의 조건 고찰 3. 누스바움(Nussbaum) 연민의 이해 검토 4. 누스바움 (Nussbaum) 연민의 조건 고찰의 순서이다. 여기서 두 연민 이론의 특성과 차별성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연민 감정의 습득을 위한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사무량심 수행 구조에서 드러나는 연민 수행을 살펴본다. 이 작업을 통해 불교적 연민을 도덕적 준거틀로서 새롭게 이해하며 윤리적 삶의 기반으로 논의하고 있는 현대 윤리학의 연민 일관성 구축에 부응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review the compassion of early Buddhism and the compassion of modernism, and then to seek various kinds of compassion consistency as a moral basis in early Buddhist philosophy. Consistency of compassion means the expansion of compassion based on a de-attachment relationship.Recently, there has been active discussion in ethics to secure the ethical basis of compassion under the understanding that compassion can function as a source of good and can serve as an ethical foundation for personal and social life. For example, the theory of modern emotionalism argues for the seriousness of pain, deserveness and undeserveness of pain and the cognitive compassion of eduemonism. However, cognitive compassion relies on the value judgment of emotion for partial restrictions and expression of compassion on the subject of compass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consistency of compassion, I propose the need for various understanding and ethical models of compassion participating in pain. To this end,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understanding of Buddhist compassion, which participates in the problem of suffering in a different way than cognitive compassion. Buddha asks for the spread of compassion that aspires to ultimate nirvana by dissipating the fundamental cause of pain inherent behind the real-life pain. In other words,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approach of emphasizing compassion from the boundary setting of the target because compassion is emphasized in order to transform the structure of pain into extinction. It also attaches importance to internal embodiment for the expression of compassion. In this article, I'd like to pursue a new understanding of compassion's consistency by highlighting the practicality of early Buddhist compassion. The development of specific discussions for this purpose is as follows: 1. Review of basic understanding of early Buddhist's compassion; 2. Review of condition of Buddhist's compassion; 3. Review of understanding of Nusbaum's compassion; 4. Review of conditions of Nusbaum's compassion. Her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tiation of compassion in the two theories are revealed. Finally, I'll present the need for development to acquire compassionate feelings, and examine compassion performance that is revealed in the structure of the performance of the four immeasurable minds. Through this work, I think that this subject lives up to the establishing of compassion consistency in modern ethics, which is being discussed as the basis of ethical life, with a renewed understanding of Buddhist compassion as a moral quasi-framework.

      • KCI등재

        공감의 영성

        신익상(Ick-Sang Shin)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6 신학논단 Vol.83 No.-

        This paper’s aim is to newly recognize ‘the spirituality of compassion’ with the inquiry into the modern studies of Paul’s spirituality with the help of the recent achievement of neuroethic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a theological response to social sufferings. For this purpose, four questions are asked as follows: is it possible for human to possess the potentiality of empathy? If possible, what is the reason that the intensity and the directivity of empathy are revealed variously in each individual? Is it possible to detect the right empathy among various ones? Further, within a radius of theological responses? In order to search for the answers of these questions, neuroethical understanding of empathy is examined and evaluated critically, then this evaluation with the modern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Paul’s spirituality is considered to propose the spirituality of compassion theologically. In this process, the concepts of sympathy, empathy and compassion are analyzed etymologically and historically. The result is the division between sympathy-empathy as a neuroscientific process and compassion as a theological spirituality. These two concepts are inter-complemented so that the spirituality of compassion could be understood systematically from all angles to be rebuilt as a theological concept. Through the results of neuroscientific researches, it would be confirmed that sympathy-empathy process is the general potentiality of all human beings. This potentiality could not be actualized only by the neural networks of brain but rather by interaction between synapses and the surroundings intermediated by its body to maintain the homeostasis. Due to this relational nature, sympathy-empathy process achieves its distinction and diversity. But this distinction and diversity are not the direct criterion for the judgement of value. Rather, while Paul’s spirituality is looked into so as to find the basis of such criterion, compassion would be unveiled as an empathy based on the equality between inclusively exclusive subjects. When sympathy-empathy process as human potentiality is at a crossroads in front of its distinction and diversity, Paul’s spirituality plods away at the way to compassion. This paper’s aim is to newly recognize ‘the spirituality of compassion’ with the inquiry into the modern studies of Paul’s spirituality with the help of the recent achievement of neuroethic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a theological response to social sufferings. For this purpose, four questions are asked as follows: is it possible for human to possess the potentiality of empathy? If possible, what is the reason that the intensity and the directivity of empathy are revealed variously in each individual? Is it possible to detect the right empathy among various ones? Further, within a radius of theological responses? In order to search for the answers of these questions, neuroethical understanding of empathy is examined and evaluated critically, then this evaluation with the modern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Paul’s spirituality is considered to propose the spirituality of compassion theologically. In this process, the concepts of sympathy, empathy and compassion are analyzed etymologically and historically. The result is the division between sympathy-empathy as a neuroscientific process and compassion as a theological spirituality. These two concepts are inter-complemented so that the spirituality of compassion could be understood systematically from all angles to be rebuilt as a theological concept. Through the results of neuroscientific researches, it would be confirmed that sympathy-empathy process is the general potentiality of all human beings. This potentiality could not be actualized only by the neural networks of brain but rather by interaction between synapses and the surroundings intermediated by its body to maintain the homeostasis. Due to this relational nature, sympathy-empathy process achieves its distinction and diversity. But this distinction and diversity are not the direct criterion for the judgement of value. Rather, while Paul’s spirituality is looked into so as to find the basis of such criterion, compassion would be unveiled as an empathy based on the equality between inclusively exclusive subjects. When sympathy-empathy process as human potentiality is at a crossroads in front of its distinction and diversity, Paul’s spirituality plods away at the way to compassion.

      • KCI등재

        정서전염과 자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자기몰입의 매개효과

        하현주,권석만 한국건강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4 No.4

        본 연구는 타인의 기쁨과 고통에 관심을 지니고 공감하며 지지를 제공하는 자비(慈悲, compassion)의 심리적 기제를 탐색하기 위하여 자비와 정서전염의 관계에 마음챙김과 자기몰입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00명의 남녀 성인에게서 정서전염, 자기몰입, 자비, 마음챙김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상관관계 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정서전염과 자비, 마음챙김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자기몰입과 다른 변인들 간에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한편, 자기몰입은 부정 정서전염과 정적 상관을, 자비, 마음챙김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마음챙김이 정서전염과 자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몰입은 정서전염과 자비의 관계를 매개하여 정서전염에서 자비로 가는 경로를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서전염을 긍정 정서전염과 부정 정서전염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긍정 정서전염과 자비의 관계를 마음챙김이 매개하며, 부정 정서전염과 자비의 관계를 자기몰입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서전염이라는 현상 속에서 자기몰입이 자비를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부정적 정서전염 상태에서는 마음챙김과 자비로 이어지기가 쉽지 않으므로 자기몰입에 대한 개입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근거로 향후 자비와 마음챙김을 활용한 치료적 개입에 있어 자기몰입을 줄이기 위한 체험적 탈자기참조적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indfulness and self-absorption through emotional contagion on compassion,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compassion that cares, empathizes, and provides support for other’s joy and distress. The level of emotional contagion, self-absorption, compassion, and mindfulness was measured in 300 adults, and correlation and mediating effect analyses were conduct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emotional contagion, mindfulness, and compassion.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absorption and the others. Conversel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absorption and negative emotional contagion,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ompassion and mindfulness. Second, mindfulness was found to mediate par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ntagion and compassion. Additionally, self-absorption supp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ntagion and compassion. The results of dividing emotional contagion into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contagion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emotional contagion and compassion was mediated by mindfuln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al contagion and compassion was mediated by self-absorp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self-absorption is a factor that suppresses compassion amid the phenomenon of emotional contagion. It also revealed that intervention in self-absorption needs to precede to facilitate compassion, otherwise it is not easy to lead to mindfulness and compassion in a state of negative emotional contagion. Based on this, implications for clinical intervention reducing self-absorption through the experiential selfless process a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is suggested.

      • KCI등재

        자기 연민의 이타적 변화를 위한 불교적 고찰

        한주희(Hahn Ju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8

        본 연구는 현대 서양 심리학계에서 연민, 자비의 개념이 다양하게 이해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불교적 자비의 개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비는 마음챙김 명상이 서구 사회에 다져놓은 불교적 인간 이해의 바탕 위에서 새로운 화두로 떠올랐다. 그리고 자아중심적, 개인주의적인 서구 문화 속에서 스스로에게 먼저 베푸는 자기 연민(self-compassion)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서 재구성되었다. 불교 문화에 익숙한 우리 사회에서는 자비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이라도 자비는 타인에게 베푸는 선한 마음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전통적 사고방식과는 달리 서구인들은 자비와 연민의 대상을 먼저 자신으로설정하였으며, 자기 연민은 자아존중감을 대체하는 것으로까지 여겨지고 있다. 여기에서 서구의 자비, 연민 개념이과연 본래 불교적 자비와 맞는 것인가 하는 의문이 일어난다. 불교적인 자비의 본래적 개념은 무엇인가. 자비와 연민의 대상이 타인이 아닌 자신일 수 있는가. 자신을 대상으로 하는 자비가 타인을 대상으로 하는 자비로 발전되기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등의 질문에 대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불교적 자비가 어떤 의미인지 살펴보기 위하여 불교에서 자비의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는 사무량심의 의미와, 그것이 초기 불교에서 대승으로 넘어오면서 확장, 변화되는 개념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현재서양 심리학의 주된 배경이 되고 있는 초기 불교적 자비에서부터 대승 불교적 자비로의 변화가 필요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Buddhist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concepts of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are understood in various ways in the circles of modern Western psychology.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emerged as a new topic on the basis of the Buddhist understanding of people and meditation, which was consolidated by the meditation of mindfulness in the Western society. In the self-centered and individualistic Western culture, compassion was later reorganized into a new concept of self-compassion of showing kindness to oneself first. In the Korean society accustomed to the Buddhist culture, compassion is generally considered as a good heart of showing kindness to others even by those who have no good idea of compassion. Unlike this traditional way of thinking, Western people set themselves as the first object of their compassion and even consider self-compassion to replace self-esteem. Here, a question rises as to whether the Western concept of compassion is in line with original Buddhist compassion. What is the original Buddhist concept of compassion? Can oneself be the object of his or her compassion instead of others? What is needed to develop compassion targeting oneself into compassion targeting others? It is important to be able to answer these questions from the Buddhist point of view. Trying to figure out the meanings of compassion in Buddhism,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meanings of Four Immeasurable Minds, which are the starting point of compassion in Buddhism, and their expanding and changing concepts from early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Based on its findings, the study raised a need for changes from the compassion of early Buddhism, which is a major background in Western psychology, to the compassion of Mahayana Buddhism today.

      • KCI등재

        전상국의 「동행」에 구현된 공간 배치 전략과 연민의식

        김민옥(Kim Min-Ok)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8 No.-

        이 연구는 전상국의 「동행」에 나타난 공간 배치 전략과 연민의식을 살피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전상국 소설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대부분 고통의 감정을 표출하고 있으며, 이 고통은 고통 그 자체로 머무는 것이 아니라 혐오, 자기처벌을 거쳐 연민의식으로 확장되는 양상으로 드러나는 경우가 많고, 또한 작가가 직조해 낸 공간 구조와 이 연민의식이 얽혀서 소설적 의미망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작품 속에 드러난 공간 배치 전략과 연민의 감정이 어떻게 연결되며 어떤 과정을 거쳐 그 의미를 형성하는지 파악한 다음, 이것이 작가의식을 어떤 방식으로 드러내는지 규명하기 위해 루드비히의 공간 이론과 고통을 핵심 감정으로 삼는 누스바움의 연민론을 방법론으로 적용하였다. 「동행」은 눈길을 따라 ‘개울→산비탈→고갯마루→내리막길(갈림길)’로 공간 이동이 이루어지는데, 고갯마루를 정점에 두고 상승과 하강 곡선을 이루며 동행하는 여정에서 두 인물의 고통이 발현되며 그 고통을 통해 공감하고 연민에 이르는 과정이 드러나고 있다. 육체적 고통이 전제된 ‘개울’과 ‘산비탈’의 공간 배치는 형사의 관찰자적 시선을 자연스럽게 형성하고 비좁고 상승하는 조율된 공간을 형성하여 주인공의 고통을 발현시키고 강화하고 있다. 고갯마루에서는 억구의 고통에 대한 형사의 공감이 수치심과 자기처벌의 의미를 지닌 ‘광’과 ‘담’의 상징적 공간 배치를 통해 형성되고 있다. 내리막길은 눈이 내리는 설정과 맞물려 고통을 전제한 ‘개울-산비탈’과 대조적인 의미를 형성하면서 연민의식이 실현되는 공간으로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주인공들의 목적지인 ‘와야리’까지 향해 나아가는 눈길의 공간 배치는 상승과 하강의 대립을 전제하면서 넓은 곳에서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보이다가 다시 넓어지는 특성을 보이면서 인물들의 고통을 발현하고, 자기처벌을 공유하도록 만들면서 눈의 의미망을 형성하여 공감을 통해 연민의식에 이르는 또 다른 ‘길’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This thesis started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spatial arrangement strategy and compassion in Jeon Sang-gu’s 「Companion」. Most of the protagonists in Jeon Sang-guk’s novels express emotions of pain, and this pain does not remain in the pain itself, but rather expands through disgust and self-pity to a sense of compassion. This is because the spatial structure and this sense of compassion are intertwined to form a novel meaning network. In this study, Ludwig’s space theory and suffering are the key to understand how the composition and compassion of space revealed in the work are connected and through what process they form their meaning, and to analyze how this concretely reveals the artist s consciousness. Nussbaum’s compassion theory was applied as a methodology. In 「Companion」, the space moves from ‘Stream → Mountain slope → Pass crest → Downhill(crossroads)’. The process of becoming empathetic and compassionate through the pain is being revealed.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stream’ and ‘mountain slope’, which presupposes physical pain, naturally forms the detective’s observer’s gaze and creates a narrow and ascending coordinated space to express and reinforce the suffering of the protagonist. At the top of the hill, the detective’s sympathy for the suffering of the scourge is being formed through the symbolic spatial arrangement of ‘gwang’ and ‘dam’, which have the meaning of shame and self-punishment. It can be seen that the downhill road is arranged as a space where a sense of compassion is realized while forming a contrasting meaning with the ‘stream-mountain slope’ that rises to the top of the pass in conjunction with the setting of snow. In the end,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eyes leading to the main character’s destination, ‘waya-ri’, assumes the confrontation between ascending and descending, showing a gradually narrowing shape in a wide place and then widening again, expressing the suffering of the characters, causing pain and self-esteem. While sharing punishment, they are creating another ‘path’ to compassion through empathy. In this way, Jeon Sang-guk suggests that, above all else, compassion is required to save human beings who are vulnerable to suffering through 「Companion」. In other words, human beings, who are fundamentally vulnerable to each other’s pain, can move forward with compassion by sharing each other s pain, revealing the author’s consciousness that pain and wounds can be healed through compassion.

      • KCI우수등재

        사회복지사의 연민만족과 연민피로에 관한 연구

        김용석(Kim, Yong-Se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 Vol.69 No.2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고통을 공감하고 고통 속에 있는 클라이언트를 걱정하며 그 고통을 덜어 주기 위해 노력한다. 이를 연민(compassion)이라고 하며 연민은 효과적인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연민은 사회복지사에게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 결과를 주기도 하고 만족감 같은 긍정적 결 과를 제공하기도 한다. 긍정적 결과를 연민만족, 부정적 결과를 연민피로라고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민만족과 연민피로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한국어판 ProQOL을 평가한 다음, 사회복지사의 연민만 족도와 연민피로도를 파악하고, 연민만족도와 연민피로도를 조합하여 사회복지사들을 군집으로 분류하 는데 있다. 본 연구에는 수도권에서 활동하는 사회복지사 284명이 참여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어판 ProQOL은 기존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2요인으로 구성되었고 신뢰도와 타당도 또한 양호하 여 사회복지사의 연민만족과 연민피로를 측정하기에 적합한 도구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사 회복지사의 연민만족도는 보통 이상 수준이었고 연민피로도는 보통 이하 수준이었다. 연령이 상대적으 로 많고 학력이 높고, 경력이 많거나, 또는 직급이 높은 사회복지사의 연민만족도가 높았다. 군집분석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사회복지사들은 3개 군집으로 나누어졌다. 군집1은 연민만족은 중간수준이고 연민피로는 가장 낮은 군집이었고, 군집2는 연민만족도는 가장 낮았고 연민피로도는 중간수준이었으 며, 군집3은 연민만족도와 연민피로도 모두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Social workers empathized with clients’distress, feel concerned for clients in distress, and try to reduce their distress. This is called compassion. Compassion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social work practice. However, compassion results in both positive results and negative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Korean version of ProQOL which was developed to measur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compassion fatigue of helping professionals, to identify levels of compassion satisfaction/fatigue of the participants, and to divide the participants into clusters by clustering variables which are compassion satisfaction/fatigue. A total of 284 social workers residing in Seoul and Surrounding are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Korea version of ProQOL is composed of compassion satisfaction factor and compassion fatigue factor as reported in a previous study.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satisfactory. The level of participants’compassion satisfaction was above moderate and their level of compassion fatigue was below moderate. Those who are older, have graduate education, have more years of work experience, or have higher positions have more compassion satisfaction. Cluster analysis divided the participants into 3 clusters. Cluster 1 is characterized by moderat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low compassion fatigue, Cluster 2 is characterized by low compassion satisfaction and moderate compassion fatigue, and Cluster 3 is characterized by high compassion satisfaction and high compassion fatig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