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엽ㆍ중엽ㆍ소엽과 진작

        윤영해 한국국악학회 2011 한국음악연구 Vol.50 No.-

        본고는 大曲의 악곡 부분명칭으로서의 대엽ㆍ중엽ㆍ소엽이 아니라 단일 악곡 명칭으로서의 대엽ㆍ중엽ㆍ소엽의 선율구성방식을 살펴보고 대엽ㆍ중엽ㆍ소엽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선율구성의 특징과 진작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글이다. 고찰 결과 대엽ㆍ중엽ㆍ소엽의 악곡은 유사한 ‘동일 음고의 선율형’을 여음을 포함한 각 旨의 선율에 포함하고 있으며 유일하게 4지에만 등장하지 않는다. 4지의 선율은 대체로 宮과 下一下二음이 등장하지 않는 높은 음으로 구성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어 1, 2, 3, 5지와 여음의 선율과 달리 간략히 추가된 선율과 같은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대엽․중엽․소엽의 선율구성방식의 특징에 주목하여 대상 악곡 중 가장 선율이 소략한 『시용향악보』의 「소엽」과 『대악후보』에 수록된 「眞勺四」의 ‘一’~‘大餘音’의 선율을 비교한 결과 『시용향악보』 「소엽」 4지의 선율을 제외하고 비교하면 양자의 선율이 서로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term Daeyeop․Jungyeop․Soyeop has two meaning. The first is a term used as a small part of song from Jangga(長歌). The second is a name of a particular music. On this paper Daeyeop․Jungyeop․Soyeop means a particular music. As a result of a study, the existence of an idiomatic melodic pattern revealed. That particular idiomatic melodic pattern is shown in all small part of the music(一旨, 二旨, 三旨, 五旨, 餘音) except for one part(四旨). On this paper, to solve the relationships between Jinjak and Daeyeop, picked two sample music. Through the comparison of Jinjak4 and Soyeop, we could know that Jinjak and Soyeop is connected in melodic pattern as well.

      • KCI등재

        Postmodernity and the Buddhist Studies of Ecology: Joanna Macy's Ecological Self and Buddhist Self-Denial

        윤영해 불교학연구회 2006 불교학연구 Vol.15 No.-

        Jacques Derrida (1930~2004) is in the front line of postmodernistic challenges and deconstruction philosophy which is his main ideology. Derrida's deconstructionism is the deconstruction of the absolute from the center and in the center of the subject of which must be deconstructed is the absolute, modern self-definition which has the aspects of uniformity and standardization. Joanna Macy criticized modern self-definition in her thesis "The Ecological Self: Postmodern Ground for Right Action" and advocates ecological self with a postmodernistic vision. She uses the modernistic self-concept in the same context with Buddhist self denial and moreover, she advocates ecological self-understanding based on Buddhist non-self and dependent origination. She also makes it clear that the ecological self-understanding and its practical model that she has suggested are based on postmodernism. Hence, it has been verified that eco-Buddhism uses the same grammar with postmodernistic ecology. Macy's ecological self-theory can only be in the same context with Buddhist bodhisattva. Her theory concludes with an action plan while in Buddhism the Buddhist self-denial can only be concluded with its practical usage of the bodhi's charity performance. The ecological practices as an ethical duty based on modern self-concept can only draw a line of demarcation between oneself and others and eventually can not function as a complete ecological idealism. Therefore, Macy emphasizes the best alternative solution for the current ecological crisis, which is to take action based on the ecological self-understanding that takes the same stance as Buddhist self-denial, dependent origination and bodhisattva.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티와 생태불교학 ― Joanna Macy의 생태학적 자아와 불교의 자아부정

        윤영해 대동철학회 2006 大同哲學 Vol.37 No.-

        포스트모던적 도전의 선봉에 데리다(Derrida, Jacques, 1930~2004)가 있으며 그의 중심사상을 해체철학이라 부른다. 데리다의 해체주의는 중심으로서의 절대의 해체이며 그 해체되어야 할 대상의 중심에 절대와 획일과 보편적 성격을 갖는 근대적 자아개념이 자리 잡고 있다. 조안나 메이시(Joanna Macy)는 자신의 논문 “생태학적 자아 : 올바른 실천을 위한 포스트모던적 기반”에서 이 근대적 자아개념을 비판하고 포스트모던적 비전으로서 생태학적 자아를 주창한다. 메이시는 불교의 자아부정과 동일한 문법으로써 근대적 자아의 개념을 용도폐기하고, 나아가 불교의 무아설과 연기법에 근거한 생태학적 자아이해를 주창한다. 또한 자신이 제시한 생태학적 자아이해와 그 실천적 모형이 포스트모더니즘에 근거하고 있음도 명백히 한다. 이로써 생태불교학은 포스트모던적 생태학과 그 논리체계를 같이 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메이시의 생태학적 자아이론은 불교의 보살론과 맥을 같이 할 수밖에 없다. 조안나 메이시의 이론은 실천으로 결론을 삼고 있으며 불교의 자아부정은 그것의 실천인 보살의 자비행으로 결론지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근대적 자아개념에 근거한 윤리적 의무로서의 생태적 실천은 자타의 분립을 피할 수 없으며, 이는 결코 온전한 생태적 이상으로 기능할 수 없다. 따라서 메이시는 불교의 자아부정, 연기법 및 보살론과 맥을 같이하는 생태학적 자아이해와 이에 근거한 실천만이 오늘의 생태위기에 대한 최선의 대안임을 역설한다. Jacques Derrida (1930~2004) is in the front line of postmodernistic challenges and deconstruction philosophy which is his main ideology. Derrida's deconstructionism is the deconstruction of the absolute from the center and in the center of the subject of which must be deconstructed is the absolute, modern self-definition which has the aspects of uniformity and standardization. Joanna Macy criticized modern self-definition in her thesis "The Ecological Self: Postmodern Ground for Right Action" and advocates ecological self with a postmodernistic vision. She uses the modernistic self-concept in the same context with Buddhist self denial and moreover, she advocates ecological self-understanding based on Buddhist non-self and dependent origination. She also makes it clear that the ecological self-understanding and its practical model that she has suggested are based on postmodernism. Hence, it has been verified that eco-Buddhism uses the same grammar with postmodernistic ecology. Macy's ecological self-theory can only be in the same context with Buddhist bodhisattva. Her theory concludes with an action plan while in Buddhism the Buddhist self-denial can only be concluded with its practical usage of the bodhi's charity performance. The ecological practices as an ethical duty based on modern self-concept can only draw a line of demarcation between oneself and others and eventually can not function as a complete ecological idealism. Therefore, Macy emphasizes the best alternative solution for the current ecological crisis, which is to take action based on the ecological self-understanding that takes the same stance as Buddhist self-denial, dependent origination and bodhisattva.

      • KCI등재
      • KCI등재

        예수의 성령체험과 붓다의 깨달음체험의 내용과 구조 - 4복음서, 마하삿짜까숫따, 아리야빠리예싸나숫따를 중심으로 -

        윤영해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30 No.-

        창시자의 첫 종교체험은 그가 창시한 종교를 이해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예수는 세례요한으로부터 세례를 받고 난 직후 성령의 강림을 체험하는바 이것이 그의 첫 종교체험이다. 바로 그 순간부터 그는 전혀 다른 인간으로 변모한다. 이 순간 이전까지 그는 종교와 전혀 상관없이 살았으며 어떤 종교체험을 의도적으로 시도한 적도 없었다. 그러나 이 체험 직후부터 그는 열정적 전도자가 되었으며 많은 신봉자들이 그를 따랐고 결국 위대한 종교전통인 기독교가 시작되었다. 성인이 된 싯다르타는 예수와 달리 계획적 종교체험을 한다. 깨달음을 체험한 싯다르타 역시 완전히 새로운 사람, 붓다가 되고 위대한 전통 불교가 시작된다. 이 논문은 붓다와 예수의 종교체험을 1) 체험과 관계된 의도나 계획, 2) 체험을 매개자나 인도자의 여부, 3) 체험의 상세한 묘사 여부, 4) 두 사람의 인생에서 체험이 갖는 의미, 5) 초월적 체험 혹은 일상적 체험, 9) 체험 직후의 심사숙고의 과정, 10) 유혹의 유무, 11) 체험에서 비롯되는 권위나 자신감, 12) 신봉자들에 의한 재체험의 시도 등의 12가지 주제로 비교분석한 논구이다. 결론적으로, 그 12가지 주제 중에서 1), 2), 6), 7)은 서로 다른 성격으로 나타나는 반면, 3), 4), 5), 8), 9), 10), 11), 12) 공동적 성격을 갖는다. 두 사람의 체험은 서로 다른 내용과 성격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3분의 2 이상이나 유사한 성격과 구조를 보여준다. 두 창시자의 이 8가지 보편적 성격은 다른 모든 종교적 체험의 준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first religious experience of founder is a quite important element to understand of his religion. Jesus experienced the decent of the holy just after being baptized by John the baptist. This is the first religious experience of Jesus. From this point, he became a completely different person. Before this time, he had lived regardless of any religion and had never tried to do any religious experience intentionally. But After this experience, he became an enthusiastic evangelist and a lot of people followed him, and a great religious tradition, Christianity started. The young Siddhārta also had some unplanned experiences like Jesus, but adult Siddhārta tried to do intentional experiences. Experienced enlightenment, he also became a completely different person, or Buddha and went into action, then the great tradition, Buddhism began. This paper compares together the experiences of Jesus and Buddha concerning 12 subjects such as 1) unintentional or planned experience, 2) whether any mediator for experience was or not, 3) detail description of the religious experience, 4) the status of their experience in their life, 5) transcendental character of their experience, 6) internal or external, 7) gradual or sudden, 8) ultimate or normal life experience, 9) serious consideration just after experience, 10) whether or not temptation was, 11) charisma or confidence derived from experience, 12) attempt to do reexperience of other people. In the one hand, among them, 1), 2), 6), 7) have different characters and in the other hand 3), 4), 5), 8), 9), 10), 11), 12) have common characters. In spite of different contents, one third common characters and structures are there. These 8 universal characters in structure among 12 characters of the two founder's experience can be the standard or criteria for all other religious experiences.

      • KCI등재

        언어권별 삽입모음의 유형과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ㅡ’ 모음의 발음 양상 연구

        윤영해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 vowel pronunciation pattern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 vowels were identified and the types of vowels were classified by language.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type of epenthetic vowel for each languages and see how these predictions differ from the learners' pronunciation. As a results, Some languages show that the predicted vowels by language based on this study actually differ from native speaker’s pronunciation. For example, /i/ was predicted as a epenthetic vowel in Chinese and Japanese, but Chinese speakers and Japanese speakers pronounced it as[u]. The same goes for Indonesian. / ɨ / was expected as a epenthetic vowel, but Indonesians pronounced it as [ə]. On the other hand, some languages ​​have the same expected the epenthetic vowel type and actual pronunciation. Mongolian is representative. Mongolian was predicted to be an insertion vowel /i/, and real Mongolian speakers pronounced [i]. In addition, French, German and Russian are the same case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ㅡ’ 모음의 특성과 언어권별 삽입모음의 유형, 그리고 ‘ㅡ ’ 모음에 대한 학습자들의 발음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언어권별로 삽입모음의 유형을 예측해 볼 수 있었고 예측한 내용과 학습자들의 발음이 어떻게 다른지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예측한 삽입모음의 유형과 같은 경우도 있었지만 전혀 다른 경우도 있었다. 중국어와 일본어의 경우 /i/가 삽입모음이 될 것이라 예측하였지만 실제 중국어 화자들은 [u]로 발음하였다. 인도네시아어의 경우 /ɨ/가 삽입모음이 될 것이라 예측하였지만 실제 인도네시아어 화자들은 [ə]로 발음하였다. 다음으로 예측한 삽입모음의 유형과 학습자들이 발음이 같은 경우인데 몽골어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몽골어는 /i/가 삽입모음이 될 것이라 예측하였고 실제 몽골어 화자들도 [i]로 발음하였다. 프랑스어와 독일어, 러시아어 또한 삽입모음으로 /i/를 예측할 수 있었고 실제로 [i]로 발음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