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VID-19로 인한 국내 육류 수요체계의 변화

        김나영(Kim, Na-Yeong),엄하람(Eom, Ha-Ram),김창규(Kim, Chang-Gyu),김선진(Kim, Seon-Jin),김도현(Kim, Do-Hyun),문정훈(Moon, Jung-Hoon) 한국외식경영학회 2021 외식경영연구 Vol.24 No.7

        본 연구는 COVID-19 이후 가정 내 육류 소비행태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육류가공식품의 4가지 품목에 대한 수요체계와 대체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진흥청 소비자패널 1040가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2015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의 농식품 구매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COVID-19로 인한 육류 수요함수와 가격탄력성의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COVID-19 발생 여부를 더미변수로 추가한 QUAIDS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COVID-19의 발생으로 인해 국내 소비자의 돼지고기, 육류가공식품의 구매비중은 증가한 반면, 쇠고기와 닭고기의 구매비중은 감소하였다. 가격탄력성 추정결과, COVID-19 발생 후 쇠고기와 돼지고기 간의 보완관계, 쇠고기와 육류가공식품 간의 보완관계, 돼지고기와 닭고기 간의 대체관계가 사라졌으며, 닭고기와 육류가공식품 간의 보완관계가 나타났다. COVID-19로 인해 외식 수요가 감소하고 내식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본 연구결과는 COVID-19로 인해 타격을 입은 육류 외식산업이 새로운 시장 기회를 탐색하고 이에 대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demand system and substitution relationship for four items of beef, pork, chicken, and processed meat to understand changes in meat consumption after COVID-19. In this study, 1040 households consumer panels of the RDA were selected and food purchase data from January 2015 to December 2020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QUAIDS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changes in the meat demand and price elasticity due to COVID-19. The results show that the purchases of pork and processed meat increased, while purchases of beef and chicken decreased after COVID-19. In addition,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beef and pork, and beef and processed meat, and the substitutional relationship between pork and chicken disappeared, and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chicken and processed meat appeared after COVID-19. Thes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foodservice industry to explore new market opportunities and establish strategies for the COVID-19 crisis.

      • KCI등재

        COVID-19가 중소기업의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김경수,오인하 한국혁신학회 2022 한국혁신학회지 Vol.17 No.3

        This paper explores whether unliste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South Korea manage earnings upward in order to mask poor performance that originates from sharp economic recess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e find that SMEs on average engage in more aggressive income-increasing accrual management during the pandemic compared to 2019, suggesting that managers at SMEs exercise discretion to manage earnings upward to conceal poor performance during the pandemic. Further analyses, however, show that SMEs’ incentives to engage in accrual management vary in the cross-section by operating performance.. We document that SMEs that experience sales decline or report loss during the pandemic engage in accrual management to a less extent, compared to SMEs that experience sales growth or report profit. While counterintuitive at a first glance,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that poorly performing SMEs engage in “big bath accounting”, presumably because they can attribute poor performance to economy-wide forces (outside of individual firms’ control), and because government policies designed to support SMEs mute incoming-increasing earnings management incentives. 본 연구는 COVID-19에 따른 경기침체가 중소기업의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소기업 30,006개를 대상으로 2019년과 COVID-19 기간인 2020년의 재량적 발생액을 추정하여 이들 기업의 COVID-19 기간 전후 이익조정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중소기업은 COVID-19 상황에서 보고이익을 상향 조정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COVID-19에 따른 저조한 경영실적을 평균적으로 높게 보고하고자 하는 중소기업 경영자들의 재량적 선택이 증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추가 분석 결과 COVID-19에 따른 중소기업의 이익조정 경향은 개별기업의 경영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전년보다 매출이 감소한 중소기업과 손실을 시현한 중소기업의 경우 COVID-19 상황에서 보고이익을 하향 조정하는 경향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VID-19 기간인 2020년에 매출 감소 및 손실 시현한 중소기업은 부진한 경영실적의 원인을 경영자가 통제할 수 없는 COVID-19라는 특수한 사회, 경제적 상황으로 돌릴 수 있으며, COVID-19에 따른 중소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해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지원정책 등을 고려할 때 매출 감소, 손실 시현에 대한 보고가 불리함이 적을 것으로 인식하여 보고이익을 하향 조정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이익조정에 대한 연구에 있어 흔치 않은 중소기업 대상의 연구이며, 더욱이 세계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친 COVID-19 상황에서 중소기업의 이익조정에 대한 실증분석으로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COVID-19와 같은 또 다른 외생적 충격 발생 시 기업의 이익조정에 대한 연구에 있어 중요한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COVID-19와 아프리카의 동향

        장훈태 ( Huntae Chang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1 생명과 말씀 Vol.29 No.1

        인류 사회를 덮친 COVID-19는 전 인류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코로나 19가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수많은 인류가 다양한 측면에서 고통을 겪고 있다. 코로나 19로 인해 정치·사회·경제·교육이 마비되면서 인류의 생활은 급격한 변화를 맞고 있다. 또한 코로나 19로 인해 인한 글로컬(Glocal)이라는 단어가 무색해질 정도로, 세계가 폐쇄적인 사회로 급변하고 있다. 코로나 19의 세계적대유행을 고려할 때 정부 및 개발 협력 부문은 국가와 국가 간의 상호협력과 조율을 통하여 의료대상자를 신속하게 치료해 나가야만 팬데믹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코로나 19의 영향은 아프리카 대륙의 정치·경제 분야를 비롯한 모든 분야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정치적으로는 민주주의의 퇴보라는 우려스러운 상황이 연출되고 있으며, 경제적으로 실업자가 속출하고 있다. 특히 사회경제적 영향은 상당히 오랫동안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아프리카인들의 전염병에 대한 대응은 대부분은 자연치유적 믿음을 가진 종교문화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화적 관습에 의한 치유 방식은 급속도로 확산되는 코로나19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아프리카에서는 코로나 19의 확산을 막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 아니라, 백신을 구입하고 이를 국민들에게 접종하는 데에도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 특히 경제적 주도권을 가진 서구의 선진국들이 아프리카에 관심을 가지고 지원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글은 코로나 19 시대적 상황에서 아프리카 대륙의 정치와 경제, 교육 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동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간 국내외에서 문화와 종교, 정치와 경제·교육과 관련된 코로나 19 현상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본 글에서는 코로나 19 발생으로 인해 아프리카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통해 아프리카 대륙의 미래적 측면을 고찰하고, 개신교 입장에서 아프리카를 위한 전략을 모색해 보았다. 코로나 19는 개신교에서도 새로운 전략적 모색을 필요하게 만들었다. 이 전략은 하나님이 인간에게 내려준 가장 큰 계명인 ‘서로 사랑하라’라는 계명을 실행할 때 병든 사회를 정화키고, 세상을 위한 복음을 전하는 사명을 완수할 수 있을 것이다. COVID-19 spreads in human society and it shocked us all. As COVID-19 spreads around the world, countless humans are suffering from various aspects. Human life is undergoing rapid changes as politics, society, economy and education are paralyzed by COVID-19. In addition the world is rapidly changing into a closed society so that the word (Glocal) becomes colorless due to COVID-19. Considering the global pandemic of COVID-19, the government and development cooperation sector will be able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pandemic only by promptly treating medical subjects through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between countries and countries. The damage of COVID-19 is also affecting all sectors, including the political and economic sectors of the African continent. Politically there is a worrisome situation of democracy's regression and economically unemployed people are continuing. In particular the socio-economic damage is likely to last for a very long time. However the response of Africans to infectious dis- eases is mostly based on a religious culture with natural healing beliefs and the healing method based on these cultural practices has limitations in preventing and treating the rapidly spreading COVID-19. In addition, in Africa, not only is struggling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but it is also showing limitations in purchasing a vaccine and inoculating it to the public.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hat the developed countries of the world especially the western countries with economic leadership pay attention to and support Africa.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statu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politics, economy and education in the African continent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era. Until now studies on the COVID-19 phenomenon related to culture and religion, politics, economy and education have been conducted both at domestic and abroad. However,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future aspects of the African continent through the phenomena occurring in Africa due to the COVID-19 damage and sought strategies for Africa from the standpoint of Protestants. COVID-19 has created a need for a new strategic search in Protestants as well. This strategy will be able to fulfill the mission of purifying a sick society and preaching the gospel for the world when we obey the commandment of “love one another,” the greatest commandment God gave to humans.

      • KCI등재

        COVID-19 위기지각에 따른 외식과 HMR 소비가치에 대한 연구

        김성은,정유경 한국외식경영학회 2022 외식경영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eating out behavior of eating out and HMR(home meal replacement)according to crisis situations by comparing the degree of psychological status of consumers in crisis situations such as COVID-19 in the future and contribute to preparing countermeasures.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ose aged 20 or older who purchased and experienced HMR and dining out after the COVID-19 outbreak for a week from September 27, 2021, and 409 copies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roups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the COVID-19 crisis, four groups were categorized: COVID-19 ‘Crisis Low Perception Group,’ ‘Isolated Fear Group,’ ‘Safety Fear Group’, and ‘Crisis High Perception Group ’ The perception of restaurant consumers was investigated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eating out and HMR consumption valu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COVID-19 crisis perception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eating out and HMR consumption values within a group according to COVID-19 crisis percep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향후 COVID-19와 같은 위기상황에서의 소비자의 심리상태가 외식행동에 미치는 정도를 비교하여, 위기상황에 따른 외식소비자의 외식과 HMR에 대한 외식소비행동을 예측하고 그에 대한 대처방안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21년 9월27일부터 일주일동안 COVID-19 발생 후 HMR과 외식을 구매하고 경험해 본 20세 이상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SPSS 23.0을 이용하여 409부를 분석하였다. COVID-19 위기지각에 따른 소비자집단의 구분은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COVID-19 ‘위기저인지’, ‘고립두려움’, ‘안전두려움’, ‘위기고인지’의 4개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그에 따른 연구결과로 COVID-19 위기지각은 ‘안전두려움’, ‘사회적고립성’, ‘경제적위축’ 등 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HMR 소비가치와 외식 소비가치는 ‘건강기능성’, ‘상품성’, ‘가격경제성’ 등 3개의 요인으로 각각 도출되었다. COVID-19 위기지각에 따른 집단간의 외식과 HMR 소비가치에 대한 비교분석 및 COVID-19 위기지각에 따른 한 집단내에서의 외식과 HMR 소비가치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여 외식소비자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 KCI등재

        COVID-19 위험지각이 만족과 SNS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언택트관광지를 중심으로

        김동진,전재균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2

        Recently, as the COVID-19 (COVID-19) pandemic continues, tourist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untact(non-contact) tourist attractions. Untact tourist destination refers to a tourist attraction suitable for previously unknown outdoor activities that can avoid contact between people.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 of tourists on untact tourism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ID-19 risk perception on the satisfaction of untact tourist destinations and the intention of SNS recommendation of visitors to untact tourist destinations. It would be timely to check how it affects untact tourist destinations, and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as basic data to expand tourists' understanding of untact tourist destinations in the era of COVID-19. The survey period was from April 1 to April 30, 2022. The subject of the survey was limited to foreign visitors from other regions who visited untact tourist destinations in Busan. A total of 300 copies were collected from tourist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 final 257 copies were used for the study, excluding questionnaires with inaccurate responses. The analysis method was analyzed using programs IBM SPSS 27.0 and AMOS 20.0.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is. When presenting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COVID-19 risk perception was divided into factors such as travel risk, tourist destination risk, financial risk, and health risk. Second, it was found that factors excluding financial risk among COVID-19 risk percep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untact tourism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NS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ourists' COVID-19 risk perception of untact tourism, and untact tourism in a nature-friendly environment with relatively less risk than well-known tourist destinations shows that negative emotions have a positive effect. This suggests that the positive effect of SNS recommendation intention means that there is an intention to recommend an untact tourist destination, and this study confirmed that it can lead to revisit tourism activities for untact tourist spots in the future. Therefore, suggestions for revitalizing untact tourist destinations were presented. 최근 COVID-19 팬데믹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언택트관광지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언택트관광지는 사람 간의 접촉을 피할 수 있으며, 기존에 잘 알려지지 않고 야외활동에 적합한 관광지를 말한다. 본 연구는 COVID-19 위험인식이 언택트 관광지 만족도와 언택트 관광지 방문객의 SNS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통해 언택트관광에 대한 관광객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현대인들의 의사표현인 SNS추천의도가 언택트관광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해 보는 것은 시의적절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는 COVID-19시대 언택트 관광지에 대한 관광객의 이해를 넓힐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로서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조사기간은 2022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 조사대상으로는 부산지역의 언택트관광지를 방문한 타지역의 외래방문객으로 한정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방문객으로부터 총 300부를 수거하였으며 이 가운데 응답이 부정확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257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프로그램 IBM SPSS 27.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COVID-19 위험지각은 여행위험, 관광지위험, 금전위험, 건강위험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COVID-19 가운데 금전위험을 제외한 요인들은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언택트관광 만족은 SNS추천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언택트관광에 대한 관광객의 COVID-19 위험인식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잘 알려진 관광지보다 상대적으로 위험의 경향이 적은 자연친화적 환경에서의 언택트관광은 부정적인 감정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시사하며, 이는 곧, SNS추천의도의 긍정적인 효과는 언택트관광지를 추천할 의향이 있다는 의미로서, 향후 언택트관광지에 대한 재방문의 관광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언택트관광지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일 지역주민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예방 관련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윤경(Yoon-Kyung Kim),임연길(Yeon Gil Lim),부윤정(Yun Jeong B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8

        본 연구는 일 지역주민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예방 관련 지식, 태도 및 수행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J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주민 13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온라인 설문지로 2020년 11월 11일에서 11월 15일까지 자료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IBM Statistics Program 23.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연령(t=-2.218, p=.030)과 주관적 건강 상태(t=2.347, p=.020)에 따라 COVID-19 예방 관련 수행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COVID-19 예방 관련 지식(r=.404, p<.001)과 태도(r=.498, p<.001) 변수가 예방 관련 수행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OVID-19 예방관련 지식(β=.287, p<.001)과 태도(β=.401, p<.001)가 수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결과의 설명력은 30.1%(F=16.643, p<.001)였다. 본 연구 결과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COVID-19의 예방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지역주민의 COVID-19 백신접종 관련 내용을 포함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연구 대상자 규모와 지역을 확대하여 COVID-19 예방 관련 수행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는 추가 연구를 제언한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the coronavirus disease-19 (COVID-19) of residents in a single area. The participants of this survey were 137 adults living in Jeju Island in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online questionnaires from November 11th to 15th,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IBM Statistics Program 23.0 to calculat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perform the t-test, Pearson"s correc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 the result, there were noticeable differences in age (t=-2.218, p=.030),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t=2.347, p=.020), and the practice of COVID-19. Knowledge (r=.404, p<.001) and attitude (r=.498, p<.001) regarding COVID-19 presented a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ractice of COVID-19. In addition, both knowledge and attitude meaningfully affected the practice of COVID-19 with the explanatory power of 30.1% (F=16.643, p<.001). With this result, we hope this study will form the foundation of a preventive education program for contagious diseases like COVID-19. Further studies will be required to include vaccination information, and we propose to increase the participant numbers and expand the study to more regions to validate the theoretical model of the practice of COVID-19.

      • RISS 인기논문 KCI등재후보

        2020년 코로나19 상황과 인권 문제의 조망

        이장희(Lee, Jang Hee)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21 인권법평론 Vol.0 No.26

        이 글에서는 코로나19의 상황에서 인권의 가치를 환기하기 위하여 코로나19의 현실에서 일어난 인권의 문제를 개관해 보았다. 현재 코로나19가 진행 중에 있고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 전망되고 있으므로, 앞으로 새로운 인권 문제가 나타날 가능성도 얼마든지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인권의 시각으로 코로나19의 문제 상황을 살펴보고 ‘인권친화적인 코로나 극복의 방법’이 무엇인지를 생각하면서 인권적 가치의 중요성을 시야에서 놓치지 않는 것이다. 온 인류가 전대미문(前代未聞)의 코로나19로 함께 고통을 겪고 있다. 한편으로는 우리는 인간애적 연대와 협력의 모습으로 코로나19 극복에 큰 힘을 발휘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인간의 무분별한 욕망이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격차와 불평등과 불필요한 사회적 갈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전례 없이 심화된 ‘언택트 사회’의 상황에서 사회적, 경제적, 교육적, 문화적 격차의 문제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사용의 범람으로 인한 환경파괴의 문제가 심각하며, 향후 우리 사회의 어려운 난제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단지 코로나19의 극복만이 유일한 목표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코로나19의 방역과 극복만을 바라봐서는 그 과정에서 더 많은 위험에 노출되고 나락에 떨어지며 소외된 사람들을 간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단지 맹목적으로 코로나19의 극복만을 바라본다면 그 과정에서 인권의 현실을 간과하고 인권 침해를 방치하는 우를 범할 수 있다. 코로나19의 극복과 함께 인권의 가치를 함께 챙기지 않는다면 마치 호랑이 굴에서 생명을 버리고 몸뚱이만 챙겨 탈출하는 자기 모순적 모습에 직면할지도 모른다. 아무리 위기 상황이 심각하더라도 언제나 인권의 시각을 놓치지 않아야 코로나19의 문제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또 올바른 방법과 방향으로 문제 해결에 이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voke the value of human rights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human rights laws, we have opened the issue of human rights that can be raised in the COVID-19. There are high possibilities that new human rights issues will emerge in the future, as the COVID-19 is currently underway and is expected to continue for some time. But what’s important is to look at the problem situation of COVID-19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ights and not miss out on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values. The entire human race is suffering from the unprecedented COVID19. On the one hand, we are exerting great power in overcoming the COVID-19 in the form of humanitarian solidarity, but on the other hand, human reckless desires also emerge from social gaps, inequality and conflict with each other due to the COVID-19. In the unprecedentedly intensified “Untact Society”, problems of social, economic, educational, and cultural gaps as well as environmental destruction caused by the flooding of plastic use are seriously raised, and are expected to be a difficult challenge for our society in the future. So we can hardly say that overcoming COVID-19 is the only goal. Looking only at the quarantine and overcoming of the COVID-19, it is possible to be exposed to more risks, fall into the abyss, and overlook the underprivileged in the process. If we just blindly look at the overcoming of the COVID-19, we can make a mistake in the process of overlooking the reality of human rights and neglecting human rights violations. If you don’t take care of the value of human rights together with the overcoming of the COVID-19, you may face a self-contradictory image of abandoning your life in a tiger’s cave and escaping with only your body. No matter how serious the crisis is, the problem situation of the COVID-19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and solved in the right way and direction only by not missing the human rights perspective at all times. We are reaching the point where we have to look back on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wake of the COVID-19 crisis and think again about where we are coming from to the present, and in what direction we should move forward. With the destruc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especially as a result of the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under the name of economic developmen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new human rights values of the environment in the wake of this COVID-19.

      • KCI등재

        대학병원 간호사의 COVID-19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전상원,한숙정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2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hospital nurses' COVID-19 risk perception, media dependence, government trust, resilience, and Socio-psychological stress on COVID-19 prevention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nurses at university hospital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4.0 program.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29.8 years old, the hospital experience was 6.6 years, and the prevention of COVID-19 was high with 4.3 points. COVID-19 prevention behavior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COVID-19 risk perception, resilience, and media dependence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o-psychological stress. Factors influencing COVID-19 prevention behavior were COVID-19 risk perception, resilience, socio-psychological stress, and media dependence. To ensure that hospital nurses' COVID-19 prevention behaviors can be continued,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manage COVID-19 risk perception and media dependence, and to develop and apply an intervention program to strengthen resilience and reduce socio-psychological stress.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COVID-19 위험인식, 미디어 의존, 정부신뢰, 회복탄력성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COVID-19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학병원 간호사 200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ANOVA,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9.8세, 병원 경력은 6.6년이었고, COVID-19 예방행위는 4.3점으로 높은 편이었다. COVID-19 예방행위는 COVID-19 위험인식, 회복탄력성 및 미디어 의존과는 정적상관관계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COVID-19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COVID-19 위험인식, 회복탄력성,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미디어 의존이었다. 병원간호사의 COVID-19 예방행위가 지속할 수 있도록 COVID-19 위험인식 및 미디어 의존을 적절히 관리하고, 회복탄력성 강화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 COVID-19 팬데믹과 글로벌 공공선

        박치완(Tchi-Wan PARK) 글로컬창의산업연구센터 2020 글로컬창의문화연구 Vol.9 No.2

        세계보건기구(WHO)에 COVID-19가 처음으로 보고된 지도 벌써 1년이 다 되어간다. 그러나 연일 확진자 수, 예방 백신 등과 관련한 뉴스들만 쏟아지고 있을 뿐 정책결정자들, 감염병 전문가들은 여전히 ‘가정법’만을 구사하고 있다. ‘만물의 영장’이라는 인간이 COVID-19 앞에서 할 수 있는 일이 고작 손을 씻고, 마스크를 쓰고, 타인과 거리를 유지하는 것밖에 없는 것인가? ‘알려진 것’, 이제까지 인류가 믿었던 객관적/과학적 지식이 COVID-19라는 ‘알려지지 않은 어떤 것’에 의해 이렇게 무력(無力)해질 수 있는 것인가? COVID-19 팬데믹을 겪으며 인류는 무한경쟁 사회, 소수자의 희생을 정당화하는 신자유주의, 사적 이익을 극대화하는 프리바토피아의 한계가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인식하게 되었다. 이것이 COVID-19를 통해 인류가 얻은 첫 번째 교훈이라면, 두 번째 교훈은 이 지구적 사건으로 인해 국제적 연대가 필수적이라는 공의(公義)가 형성되었다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공공선의 개념을 통해 COVID-19 팬데믹 사태를 철학적으로 성찰하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글로벌 공공선의 실천은 지구촌 시민의 연대, 초국가적 공조가 기본 전제다. 개인의 자유보다 사회적 공리를 선택하는 것이 글로벌 공공선의 기본원칙이며 실천규범이다. ‘더 나은 사회’, “‘우리’-세상”은 저절로 주어지지 않는다. 자연의 모든 생명체가 공생하는 지구적 공동체는 글로벌 공공선이 실천되지 않는다면, 제2, 제3의 COVID-19에 직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Already a year has been passed sinc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first got the notification of COVID-19. However what we only know is the numbers of confirmed patients and still, everyday, we are waiting for the related news of vaccines. Policy- makers and experts don’t seem to have much more and better things than us. Is it true that the only thing human-beings, the prime creation of all, could do to control a type of virus, COVID-19 is washing hands, wearing a mask, and staying distant? That’s it? What does the objective/scientific knowledge that mankind has ever trusted do here? COVID-19 Pandemics show us the exact limitations of what-so-called highly developed society which actually evoked endless competition and the sacrifice of minorities under the name of neo-liberalism: Privatopia for specific groups to maximize their interests only. I dare to assert that it is the first lesson from COVID-19. The second is the need to focus on common good with ‘public value’ and ‘public objectivity’ not only for the fighting with pandemics but for the togetherness during and after this global suffering. Thus this study aims to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through the concept of global common good. The practice of global common good is based on solidarity of global citizens and transnational cooperation. Choosing public interest over individual freedom is the basic principle. ‘A better society’, “‘We’-world” cannot be given by itself. Symbiotic Global communities may face the second or the third pandemic unless global common good is practiced.

      • KCI등재

        COVID-19의 빠른 회복을 위한 재활운동방법 고찰(운동형태 및 운동강도 중심으로)

        김영일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isting studies on the effect of exercise rehabilitation following COVID-19. Thesis data search was analyzed through PubMed. The search terms were analyzed using the [MeSH] tool, and 15 related literatures were selected.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is the direct cause of infection for COVID-19, and ACE2 acts as a major receptor. Currently, Covid-19 continues to develop through delta and omicron mutations, and the number of infected is rising again in China as well. Since COVID-19 patients show various sequelae after infection, the role of exercise rehabilitation is very important. Through the selected literature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shown. Regarding COVID-19, exercise has been shown to have various benefits, such as weakening the inflammatory response, strengthening immune function, and improving physical and mental functions. Plays an important role. In addition, exercise rehabili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various fields and complications such as fatigue, weakening of immunity, mental psychology, and quality of life.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rehabilitation exercise for rapid healing and return to daily life during and after infection in Covid-19 related exercise rehabilitation, and provide desirable aerobic and resistance rehabilitation exercise methods. 본 연구는 COVID-19에 따른 운동재활의 효과에 대해 기존연구들을 조사하였다. 논문 데이터 검색은 PubMed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검색어는 [MeSH] 툴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관련문헌 15편을 선정하였다. COVID-19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2 (SARS-CoV-2) 가 직접적인 감염 원인이며 ACE 2가 주요 수용체로 작용한다. 현재 COVID -19는 델타 및 오미크론 돌연변이를 통해 계속 발전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도 감염자 수가 다시 증가하고 있습니다. COVID-19환자는 감염 후에도 다양한 후유증을 보이기 때문에 운동재활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선택된 문헌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COVID-19와 관련하여 운동은 염증 반응 약화, 면역 기능 강화, 신체 및 정신 기능 향상 등 다양한 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은 대부분의 COVID-19 환자가 경험하는 호흡 기능과 근육 손실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운동재활은 피로, 면역력 약화, 정신심리, 삶의 질 등 다양한 분야와 합병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COVID-19관련 운동재활에서 감염 중 및 감염 후 빠른 치유와 일상생활 복귀를 위한 재활운동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바람직한 유산소 및 저항성 재활 운동방법을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