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치료에서 생산된 내담자 작품관리에 관한 연구

        최윤희 ( Choi Yunhea ),김양자 ( Kim Yangja ),김태완 ( Kim Taewan ),권젬마 ( Kwon Gemma ),김광웅 ( Kim Kwangwoo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3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생산되는 내담자의 미술작품을 미술치료자가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조사하여, 작품관리 형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작품관리 형태에 관한 20문항의 설문지를 실시하여, 2017년 6월 22일부터 9월 21일까지 미술치료자 116명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들 중 73%는 내담자의 의사를 반영하여 작품관리 방법을 결정하였다. 내담자의 의사를 반영하는 이유로는, 내담자의 마음을 존중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45.2%로 가장 많았다. 개인치료실을 운영하는 경우에는 치료적 요인을 고려하여 치료자가 작품관리를 하는 경향이 있었고, 고용된 치료자는 내담자의 의사를 반영하여 작품관리를 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작품관리 방법에 따른 치료의 의미를 고찰해보고, 작품관리의 나아갈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art therapist deals with the client’s artwork produced in the field of art therapy, to examine the form of the artwork. 20 questions questionnaires about the form of art work management were conducted from Jun. 22 to Sep. 21, 2017, and data of one 116 art therapists were analyzed. About seventy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determined the way of keeping artwork of client, reflecting the client’s opinion. The most common reason for reflecting the client’s opinion was that forty five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expressed their respect for the client’s mind. In the case of operating the personal clinic, the therapist tended to manage client’s artwork considering the therapeutic factors rather than the client’s opinion, and the employed therapist tended to manage the artwork mainly reflecting the client’s opin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therapeutic significance of the management of the client’s artwork.

      • KCI등재

        미술품 수입과 리스크관리

        최미수,구보경 한국무역상무학회 2024 貿易商務硏究 Vol.101 No.-

        Recently,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importation of artworks, and various risks that can arise during the importation process are imposing significant limitations on participants in the art market. Throughout the importation of artworks, there exist various risks such as damage, theft during transportation, and fluctuations in market value. Effectively managing these diverse risks is crucial. Among them, art insurance is an essential risk management method designed considering the uniqueness and value of artworks. It guarantees the safety of artworks imported from oversea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artwork importation and risks, this study analyzes art insurance as a risk management method for artwork importation, identifying issues and proposing improvements. Through this analysis, we aim to activate art insurance, enhance its effectiveness, and contribute to providing a stable environment for art market participants to transact securely while protecting works of art.

      • KCI등재후보

        FM측면에서의 건축물 미술작품 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성낙원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 2012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지 Vol.7 No.1

        This study targeted maintenance of architectural artworks, which were installed by the relevant law, but are being neglected in the aspect of facility management. Price of installing the architectural artworks nationwide, which were installed by the relevant law, stands at about 829.3 billion won as of April 2012. This study was begun from the critical mind as saying that these precious assets are outside the interests in the aspect of the facility management. A research scope and method were examined and analyzed several fundamental insufficiencies on the maintenance of architectural artworks including outdoor environmental sculptures amid urban environment in the aspect of the facility management, and were comparatively examined foreign case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more precis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was analyzed to be necessary so that the public law and the private law cannot be collided for being possibly recognized as real estate value. Second, there is a need of being able to harmonize with a change in urban environment. In other words, a plan is sought that replaces after displaying for the certain period. Third, the public evaluation is needed that allows value to be possibly acknowledged when housing owner or possessor sells real estate.

      • 개방형 미술품 데이터 아카이빙 필요성에 관한 연구와 대안: 국내외 시스템 사례를 중심으로

        이길하(Lee, Gilha),이현정(Lee, Hyunjung),하예라(Ha, Yera)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23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13 No.-

        과거 몇 년간 이어져 왔던 국내 미술시장에 일어난 지각변동은 2021년과 2022년에 거쳐 대한민국의 미술계-시장-현장(Art world-market-scene)에 양적, 질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물을 만들어 냈다. 대한민국 미술시장 규모는 3천억 원대에서 1조 원대로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였으며, 그 태동에는 소위 ‘메가(Mega)’ 갤러리, 3대 경매사, 프리즈(Frieze) 아트페어의 국내 진출을 비롯해서 현금 유동량 증가로 인한 MZ세대 컬렉터의 진입, 홍콩 정세의 불안정과 대한민국 미술 인프라에 대한 재평가 등이 포함될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확장이 미술시장에만국한되지 않고, 미술계 전체의 발전으로 이어지기 위해 몇 가지 장기적인 측면에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첫 번째로 현재의 시장 상황에 있어 양적, 물적 증가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얻으려면, 실질적 인프라 구축을 위한 구성원의 자정 성격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두 번째로는 이에 따른 현장에서의 시스템화일 것이다. 특히 현장에서의 시스템화 부재에 따른 데이터 신뢰도의 저하와 전반적인 경쟁력 저하는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온 문제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런 전환에 있어 구성원들이 처한 현실로 인해 산업현장에 직접적으로 자리 잡는 데에는 다소 많은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미술가의 경우는 창작, 영업(갤러리-미술관-언론사 등과의 인적 협력), 세무, 법무, 작품의 운송 및 보관 작품 관리를 혼자 수행해야 하며, 개인 생계까지 신경 써야 하는 직업의 특성상 데이터 관리에 지속적인 시간을 투여하기 어렵다. 박물관·미술관·갤러리·대안공간을 비롯한 전시공간에서도 한정적인 예산과 높은 업무 강도로 인한 이직율은 데이터 관리의 연속성과 전문성의 측면에서 한계점을 가질 수밖에 없다. 국내 상황을 살펴보면, 상업-비상업 공간(갤러리-미술관으로 대표되는)에서는 비용과 보안 문제의 측면에서 소프트웨어 사용을 꺼려하는 측면이 있다. 다만 해외, 특히 미술시장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는 유럽과 북미에서는 이런 방식의 소프트웨어 및 솔루션의 공급이 보편화되어가는 추세라고 할 수 있고, 일부 업체의 경우 30년 이상의 사업경력을 보유하고 있을 정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도 디지털전환(Digital-Transformation, DX)이라는 대전환이 미술계에만 국한되지 않고 정부-산업계를 망라하며 일어나고 있으며, 미술진흥법 제정을 통해 데이터 관리에 대한 의무 조항을 신설하면서, 먼 이야기만 같던 미술계-현장 내의 디지털 전환에도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기반으로 개방형 미술품 데이터 아카이빙에 대한 수요와 인식이 개선되길 기대한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shift in the domestic art market in South Korea, spanning the years 2021 and 2022. This transformation has yield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ults within the Korean art world, market, and scene. The scale of the Korean art market grew from KRW 300 billion to a remarkable KRW 1 trillion, driven by factors including the emergence of so-called “mega” galleries(Pace, Perrotin, Lehmann Mauphin, Thaddaeus Ropac, White Cube, etc.) and three major auction houses(Sotheby’s, Christie’s, Phillips) the entry of Korean collectors from the MZ generation, and a reassessment of South Korea’s Art Infrastructure, expanding the presence of the Frieze Art Fair in the domestic market, among other initiative. This paper argues that for this expansion to lead to overall development in the art world, several long-term transitions are necessary. Firstly, in order to achieve synergistic effects through quantitative and material growth in the current market situation, there is a need for concerted efforts from members in establishing substantial infrastructure. Secondly, this should be followed by standardization in the field. The absence of such systematization and standardization in the field has led to issues related to data reliability and a general decline in competitiveness, which have been continuously pointed out. However, it is a reality that due to the circumstances faced by members of the industry, it may take some time for them to directly establish themselves in the industrial landscape during such a transition. For artists, the nature of their profession, which includes creative work, business operations (collaborations with galleries, museums, and media), taxation, legal matters, artwork transportation and storage, artwork management, and even personal life,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dedicate continuous time and effort to data management. Similarly, museums, galleries, and alternative spaces, face limitations in terms of data management continuity and specialization due to limited budgets and high workloads, leading to high turnover rates. Looking at the situation in South Korea, there is reluctance to use software in commercial and non-commercial spaces (such as galleries and museums) due to cost and security concerns. However, in Europe and North America, which can be considered the epicenter of the art, the supply of such software and solutions is becoming increasingly widespread, with some companies having a track record over 30 years. Despite this, digital transformation(DX) is occurring in South Korea as an undeniable upheaval that encompasses not only the art sector but also government and industry. With the enactment of the Art Promotion Act, which introduces mandatory provisions regarding data management, it appears that digital transformation within the art world, which once seemed distant, is becoming a reality. With this as a foundation, we hope to see improvements in demand and awareness for open artwork data archiving system.

      • KCI등재

        미술치료에서 내담자가 사용하는 작품보관함의 치료적 의미에 관한 연구

        김양자 ( Yangja Kim ),김태완 ( Taewan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내담자가 사용하는 작품보관함이 어떤 치료적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2008년부터 2018년까지 작품보관함을 사용한 두 명의 아동 사례로 치료과정에서 관찰된 내용들을 정신분석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작품 보관함은 ‘안아주기’라는 치료적 의미를 갖는다. 둘째, 내담자에 의해 보관된 작품은 그들의 ‘내면세계’라 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결론은 첫째 작품을 보관한다는 행위가 내담자의 미술작품에 대한 존중이고, 둘째 작품보관함은 적절한 제한이며, 셋째 작품보관함은 치료자의 ‘안아주기’ 능력이다. 이에 작품보관함은 내담자의 현실적응능력을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meanings of a storage box used by a client in art therapy.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amined two cases that used a storage box of artworks from in 2008-2018. As for methodology, the study conducted psychoanalysis of the content observed in the subject cases and examined the therapeutic meanings of such a storage box.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therapeutic meaning of a storage box for artworks was ‘holding’; and secondly, the artworks kept in such a box by clients would represent their ‘internal world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analysis conclusions: first, the act of keeping an artwork in a box meant a client’s respect for his or her artworks; secondly, a storage box for artworks put proper limits; and finally, such a box would represent a therapist’s ability of ‘hold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orage box of artworks enhances clients’ real abilities.

      • KCI등재

        공공조형물의 설치·관리에 있어서 공법적 쟁점

        김성배 사법발전재단 2020 사법 Vol.1 No.54

        Human has an instinct to communicate with others, expressing one’s existence and one’s wishes in the form of art. Art, which started from the expression of self-consciousness of individuals or groups, is conveyed to the public through a specific form or expression to communicate its meaning. With the reinforcement of local autonomy, the elected head of a local government is pushing ahead with plans to install public sculptures in order to commemorate his achievements, and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re installing many public sculptures as well. However, too often it is reduced to a grotesque monstrosity, annoying citizens and stoking controversy, and it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waste of budget. Even in the case of the statute symbolizing the Korean women forced into sexual slavery by the Japanese military during WWII (“Statute of Peace”), a public sculpture that has garnered much national attention, disputes have arisen over its installation and management not only overseas but also domestically, and there are precedents of the statutes having been removed by the local authorities. Currently, there is no nation-level law that directly regulates “public sculptures,” but local governments have ordinances that directly regulate “public sculptures.” The so-called Dorasan Mural Case, a representative Supreme Court precedent related to public sculptures, received attention more from culture and arts specialists, civil law scholars, and copyright law scholars than administrative law scholars, despite being a state compensation case. The Dorasan Station where this mural is installed is a railway facility, and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law, they are artificial and public objects, and are state-owned. In addition, the mural was also a public property, although there is no direct applicable law on its management and disposal. Contrary to the judgment of the second instance decision, the Dorasan Mural Paintings were not subject to the artwork management regulations. The state compensation lawsuit is an administrative lawsuit, which must be based on public law doctrine and principles, but in practice it is proceeding as a civil lawsuit.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a place-specific art raised in the art world are understood, it is impossible to grant special protection of a place-specific art under the current copyright law through legal interpretation. If Korean precedents recognize a place-specific art, the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relocating the Statute of Peace and the worker statue will be deemed a violation of the author’s personal rights under the Copyright Act, but such recognition seems unlikely under the attitude of the current precedent. Even i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ffirms the principles of a cultural state and protects the rights of artists by laws, the protection of artists cannot always take precedence in a conflict between the protection of artists and protection of other legal interests. Our constitution holds the legislature primarily responsible for building a cultural state, and trying to protect artists through interpretations beyond the scope of the current law is a dangerous attempt in the field of public law that requires harmonization and adjustment of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Even if there is a national consensus to give special treatment only with regard to the Statute of Peace, it is unfair to use a different interpretative and enforcement measure for only the Statute of Peace and other specially designated sculpture against the current statutory regulations concerning public sculptures, and it is unjustifiable to exempt the application of national laws and regulations only for certain sculptures such as the Statute of Peace. It would be difficult to take measures, and this is a part where the legislator’s prompt action is required. For certain structures that are subject to private ownership, the installation of artworks is regula... 인류는 자신의 존재와 자신의 소망을 예술의 형태로 남기고 타인과 소통하는 본능을 지녔다. 개인이나 집단의 자의식발현에서 출발한 예술은 특정의 형태나 표현을 거쳐 대중에게 전달되어 그 의미를 표출하게 된다. 지방자치가 강화되면서 선출직 지방자치단체장은 자신의 업적을 남기거나 지자체를 홍보하기 위해서 공공조형물을 설치하려는 계획을 추진하고 중앙행정기관들도 많은 공공조형물을 설치하고 있지만 흉물로 전락하거나 시민들에게 오히려 불편을 주거나 논쟁거리를 제공하고 대표적 예산낭비 사례가 되기도 한다. 국민적 관심을 받는 공공조형물인 평화의 소녀상의 경우에도 해외에서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그 설치와 관리에 있어서 논쟁이 발생하였으며 철거되는 전례도 존재하고 있다. 현재 ‘공공조형물’을 직접 규율대상으로 하는 국가법령은 존재하지 않지만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는 ‘공공조형물’을 직접 대상으로 하는 조례들이 존재하고 있다. 공공조형물과 관련된 대표적인 대법원 판례인 일명 도라산벽화사건은 국가배상사건임에도 불구하고 행정법학자보다는 문화예술관계자나 민사법학자와 저작권법학자의 관심을 더 많이 받은 사건이었다. 본 벽화가 설치된 도라산역과 그 대합실 등은 철도시설로서 행정법적으로는 공물 중에서 인공공물이면서 공공용물에 해당하고 국유공물이다. 또한 당해 벽화도 공물이 되었으며 공물관리권의 대상이지만 현재까지 그 관리와 폐기에 관한 직접 적용되는 법령이 없다. 대법원이 인용한 제2심판결의 판단과는 달리 도라산벽화는 미술품 관리규정의 적용 대상이 되는 미술품이 아니었다. 국가배상소송은 행정소송으로써 공법상 당사자소송에 의해야 하겠지만 실무에서는 민사소송으로 진행하고 있다. 소송당사자가 행정사건의 특성을 이해하고 주장하고 공격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행정법적 사고와 분석을 깊이 하지 않고 변론한 자료를 바탕으로 판단해야 할 법원의 입장은 일응 이해되지만, 본 판례를 해석·적용하면서 단순히 예술가의 권리와 소유권능의 분쟁으로 파악하려는 입장은 경계한다. 장소특정적 미술은 예술가가 작품을 구상하고 작품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특정 장소를 고려해서 작품을 제작하는 특정한 작품들로서 특정의 장소에 있음으로써 그 작품의 의미가 살아나는 작품이다. 예술계를 중심으로 제기되는 장소특정적 미술의 특징은 이해되지만 현재의 저작권법상 장소특정적 미술의 특별한 보호를 법해석상 도출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그런데 이런 해석을 논란이 되는 공공조형물에 적용할 경우 예기치 못한 결과가 도출될 수도 있는데 우리 판례가 장소특정적 미술을 인정한다면 소녀상과 노동자상의 이전 설치에 대해서 저작권법상 저작인격권위반을 주장하여 인정받을 가능성이 높지만 현재의 판례 태도로는 어려울 것이다. 대한민국 헌법이 문화국가의 원리를 천명하고 있고 예술가의 권리를 법률로서 보호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예술가의 보호와 다른 보호법익의 충돌에서 예술가의 보호를 항상 우선시할 수는 없다. 우리 헌법은 제1차적 문화국가의 구현을 입법부의 책임으로 하고 있으며, 현행 법률의 해석범위를 넘어서는 해석을 통해서 예술가를 보호하려는 것은 공익과 사익의 조화와 조정이 필요한 공법영역에서는 더욱 위험한 시도가 아닐 수 없다. 소녀상만을 특별히 대우해야 할 국민적 ...

      • KCI등재

        건축물 미술작품의 사후관리를 위한 법령 개정 방향

        이준형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아주법학 Vol.8 No.4

        일정한 종류 또는 규모 이상을 건축하려면 건축비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이른바 ‘건축물 미술작품’의 설치에 쓰거나 문화예술진흥기금에 출연하여야 한다(문화예술진흥법 제9조, 동법 시행령 제12조, 제13조, 제13조의2, 제14조, 제15조, 제15조의2 참조). 이 제도는 1972년부터 권장사항으로 실시되었던 내용을 1995년 의무사항으로 법정화한 것으로서 건축주의 입장에서 보면 중요한 재산권 행사의 제한에 해당한다. 2014년 10월 31일 현재 전국에 설치된 건축물 미술작품은 총 14,435점, 금액으로 환산하면 1조 원에 넘는다. 그런데 이들 미술작품에 대한 수명(life span), 사후관리규정이 제대로 갖추어지지않아 그 중 많은 작품들이 도시의 흉물로 전락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개정의 방향을 어떻게 정립할 것인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사후관리의 개념과 범위, 관리관계의 당사자(건축물 양도를 포함하여) 및 존속기간, 관리권의 행사요건, 관리의무의 내용을 차례로 검토한 후(Ⅱ), 입법자가 선택할 수 있는 부담금과 민관협력계약 두 가지 방식 중 원칙적으로 민관협력계약 방식을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에서 이를 보충하기 위한 기금 및 표준계약서의도입가능성을 살펴보고(Ⅲ), 현재 국회에 제출된 개정안의 내용을 비판한 후(Ⅳ) 마지막으로 현행 문화예술진흥법과 그 시행령의 해당조항들에 대한 개정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Ⅴ). According to the Korean current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ny person who intends to construct any building falling under the category or same as or larger than the size prescribed by the concerning Presidential Enforcement Decree shall spend an amount equivalent to a specified ratio of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building on art decorations(so-call ‘arts-in-architecture’); or he shall contribute, in lieu of spending, 70% of the amount to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Fund(art. 9 of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rts. 12, 13, 132, 14, 15, 15-2 of the Enforcement Decree). The arts-in-architecture, for the time being having stayed a recommendation since 1972 until there came out a law mandating it in 1995, is now functioning as a serious limitation to private property. As of October 31, 2014 there are nationalwide totally 14,435 artworks with the amount of one billion dollars. Although a corporeal artwork, especially set up in the open air, is bound to need more post management with the passage of time, there is actually no statutory clause regulating its life span or necessary management measures. As the result, a considerable number of artworks have degenerated as the city's horrid things. This article aims to cope with such a problem through law reform. After the topic is circumscribed in Part Ⅰ, some essential issues about ex post management is scrutinized in Part Ⅱ: concept, scope, parties(including the case of transfer), life span, conditions and effects. Part Ⅲ is mainly dedicate to the review of feasibilities of charge and public-private-partnership(PPP) as reform model, on which the latter is preferred on principle, possibly supplemented by nationally/ locally managed fund and a standard contract form between an owner and a contractor. The bill actually introduced in the Congress is criticized in Part Ⅳ; an alternative amendment idea is proposed in Part Ⅴ.

      • KCI등재

        3차원 형식 예술작품에 대한 효율적인 온라인 디스플레이 운용방법 연구

        임도하(Lim Doha)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1

        급속한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문화콘텐츠는 다양한 형태의 대체경험재로서 역할을 해오고 있다. 이런 대체경험재는 텍스트와 이미지 그리고 사운드 및 동영상 등 이미 우리에게 익숙한 형태로 기존의 매체로부터 디지털 형식으로 전환되어 인터넷과 컴퓨터를 비롯한 관련 전자기기들의 성공적 활용과 함께 다양한 사업영역을 형성해 오고 있다. 이에 반해 3D디스플레이 영역은 여전히 실험적인 영역으로 남아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3D형태의 예술작품의 경우 디지털기술을 통해 그것이 담고 있는 경험재로서의 시각적 가치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데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기존의 표현기술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분석하고 3D작품의 표현을 위한 미학적 인지적 기술적 관점에서의 관련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문제해결에 대한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인지실험을 통하여 3D작품에 대한 시각적 가치를 전달할 수 있는 기준을 감상자의'관심도'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기술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그리드세트를 적용하여 기준장면의 복잡도를 분석하고 필수장면을 자동 추천하여 그것을 감상자의 실제관심시점과 비교하는 운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차후의 심미적 분석 기능을 가진 기술적인 3D 디지털데이터 운용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ccording to the rapid improvement of digital technology cultural contents have been the roles as various types of alternative experiential goods. These experiential goods with the types of such as texts images sounds and movies already have been forming their business areas with successful utilizations of digital technology. On the while 3D displays through digital presentation still seem to have been in experiment stages in terms of a business point of view. Specifically for the artworks of 3D forms there have been no many efforts about conveying the visual value of the art as experiential goods through digital technology. Thus this study suggests approaching methods for the 3D artworks through analyzing the fundamental problems of current presentation technologies and surveying the related studies which have done in aesthetical cognitive and technological areas. In addition through a cognitive test this study sets up the criterion the 'degree of viewer's interest' for delivering the visual value of the works. To measure the degree of interest this study suggests the management method of comparing the automatically recommended scenes analyzed by the Grid Set for the complexity and the viewers' actual interesting viewpoints for the 3D works. Through these this paper intended to suggest the guidelines for developing the future applications of technical digital 3D data management which will have aesthetical analysing functions.

      • KCI등재

        미술품재판매보상청구권의 강제적 집중관리 관련 법적 쟁점

        이동기,박경신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法學硏究 Vol.34 No.2

        After a long controversy over the pros and cons, the resale royalty right, also known as the ʻdroit de suite,ʼ was eventually introduced in Korea following the enactment of the Art Promotion Act dedicated to supporting the fine arts ecosystem. In relation to the enforcement of resale royalty right, the Art Promotion Act stipulates the colle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resale profits should be made through institutions dedicated to the promotion of the art as designated by the Minister of the MCST, or non-profit organizations comprised of individuals entitled to the Artistʼs Resale Right. However, the requirements for designation of the organization executing the resale royalty right, cancellation of designation, details of procedures for collection and distribution of resale royalties, and management fees, etc. should be detailed through the Enforcement Decre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detailed regulations and systems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resale royalty right during the four-year grace period until the implementation of provisions stipulating the resale royalty right. Accordingly, this paper reviewed the mandatory collective management of the resale royalty right. For this purpose, Chapter 2 reviews related regulations under the Art Promotion Act and examines overseas cases where the resale royalty right has been introduced and implemented. Next, Chapter 3 addresses the legal relationship of the resale royalty right holder and the collective management organization in charge of the collection and distribution of resale royalties and examines the direction of enactment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rt Promotion Act related to the enforcement of the resale royalty right and other legal and institutional considerations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enforcement of the resale royalty r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