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불안과 수학교수불안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김리나 ( Kim¸ Rina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初等 數學敎育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불안과 수학교수불안의 관계를 통합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초등학교 교사 256명의 설문 조사의 통계적 분석 결과 두 요인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 = .630, p <.05). 두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수학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직경력과 학위, 수학교수불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교직경력, 학위, 교사 자격증으로 조사되었다. 이어 본 연구에서는 20명의 초등학교 교사와 면담을 중심으로 하는 질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불안이 반드시 수학교수불안을 야기하는 유일한 원인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양적·질적 분석 결과 한국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불안과 수학교수불안은 동일한 몇 가지 요인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기 때문에 두 요인 사이의 유사성이 발견되지만, 별개의 요인에 각각의 정서적 상태의 변화가 확인되는 점을 바탕으로 수학불안과 수학교수 불인이 동일한 정서적 상태가 아니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학불안만으로 수학교수불안을 예측할 수 없다는 점을 가정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불안과 수학교수불안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서적 상태의 치료가 우선시된다기 보다 각각의 정서 상태에 맞는 방법들이 고안되어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In this study, I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teacher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integrated method.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urvey of 256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r = .630, p <.05). The analysis show that teaching experience and degree may affect mathematics anxiety and teaching experience, degree, and teacher qualification may affect mathematics teaching anxiety. Subsequently I conduct a qualitative study focusing on interviews with 20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 confirm that even if the mathematics anxiety is low, mathematics teaching anxiety may occur due to the teaching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is study,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teaching anxiety might be regarded as separate factors.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I suggest that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teaching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ach emotional state might be considered as independent emotional status.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indicate that independent methods might be developed in order to prevent and treat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teaching anxiety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수학불안감 및 수학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김선,장정애,김미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xiety and verify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in accordance with mathematics anxiety decision factors. Additionally, it draws up a plan to improv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in pre-service teacher curriculum. The subjects were 264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five universities located in Chung-Nam province who were asked to test ‘Mathematics Anxiety Rating Scale’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 an average level of mathematics anxiety. Due to the experience the pre-service teachers go through in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is the decisive factor in formatting mathematics anxiety, a demand for teacher training programs can help reduce anxiety levels of the pre-service teachers.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 above-average level of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which doesn’t represent a statistically-significant difference regardless of registration of the courses. Accordingly, teacher training programs that help pre-service teachers improv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re necessary. Thir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were shown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thematics anxiety and teaching efficacy. It represents an effort to decrease the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s anxiety preferentially to improve their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수학 불안감을 분석하고 수학 불안감 결정 요인에 따른 수학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확인함과 동시에 예비유아교사 교육과정에서 수학 교수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를 위해 충청남도에 소재한 5개 대학 유아교육과의 예비유아교사 264명에게 수학불안감과 수학 교수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유아교사는 수학불안을 보통 수준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겪게 되는 수학 관련 경험에 따라 수학 불안감의 정도가 정해지기 때문에 수학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예비교사 양성 수학교육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요청된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고, 수학과목 수강여부에 따라 수학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예비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증진을 적극적인 강의 계획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예비 유아교사의 수학 불안감과 수학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이는 예비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수학 불안감을 낮추려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함을 나타내고 있다.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수학 교수 불안과 교사 성별 및 경력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김리나 ( Ri Na Kim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5 初等 數學敎育 Vol.18 No.3

        본 연구에서는 McAnallen Anxiety in Mathematics Teaching Survey 도구를 이용하여 초등교사 214명의 수학 교수 불안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수학 교수 불안 지수와 응답한 교사의 학력, 자격증, 교직 경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초등교사의 수학 교수 불안은 교사의 학력, 자격증, 교직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반면, 교사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통해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확대를 통해 초등교사의 수학 교수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과 초등교사의 수학 교수 불안의 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In this study, I used McAnallen Anxiety in Mathematics Teaching Survey Tool to analyze 214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anxiety for teaching mathematics. From the analysis of ANOVA and Regression Model, I foun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eachers regarding anxiety for teaching mathematics according to their academic backgrounds, certification levels and teaching experiences.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gender.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I foun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reducing teachers`` anxiety for teaching mathematics with teacher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교수학적 지식과 수학 불안감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김리나 ( Rina Kim ),신항균 ( Hanggyun Sih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수학적지식과 수학불안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미국에서 개발된 MKT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학불안을 분석하기 위해서 수학에 대한 이미지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지식과 수학불안에 대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대응표본 t-검정과 단순회귀분석의 통계적 분석법을 적용하여 교사의 지식과 수학불안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교사의 수학교수학적지식의 양과 수학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그러나 한국초등교사의 수학교수학적지식의 증가는 그들의 수학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의 감소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 수학 수업과 연관된 교사의 지식과 그들의 수학불안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교사 연수 개설 방향과 관련하여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e aim of the study presented in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and their mathematics anxiety. A paired t-test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re applied to examin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that may influence their mathematics anxiety.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and their positive insights toward mathematics. However, there is a little affect of the increasement of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on reducing their negative perspectives toward mathematics. The results of this quantitative study help ou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and their mathematics anxiety, which have a deep impact on their teaching practice.

      • KCI등재

        고등학생용 수학불안 요인 측정 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증

        강양구,한선영 한국수학교육학회 2022 수학교육논문집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measuring mathematics anxiety suitable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study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setting components of mathematics anxiety, developing questions, and verifying validity and reliability. First, in order to set the components of mathematic anxiety, previous studies on mathematic anxiety. Through this, six factors of mathematic anxiety were derived. Next, new questions were developed for each of the six constituent factors. The 122 question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two content validity tests, and the final instrument for mathematics anxiety consisted of 49 questions of 6 factors. Finally,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instrument for mathematics anxiety, a survey was conducted on 1,848 students from 16 universitie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Next, a validity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1,645 responses, excluding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re was no mathematics anxiety.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15 out of 49 questions were removed. Six factors were nam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pressure on achievement, abstraction i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style, parental attitudes, and cumulative mathematics subjects.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odel fit was found to be appropriate, and the convergence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found to be good. 한국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적합한 수학불안 요인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요인 탐색, 문항 개발,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의 단계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분석을 통해 기 개발되어 사용되어온 문항을 수정 보완하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개방형 조사를 통해 사교육 및 수학 교수 방법에 대한 시대적 배경을 반영한 신규 문항을 추가하였다. 개발된 측정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연구 결과, 수학교과의 특성에 기인하는 불안 요인이 구체화되었고, 모둠학습이나 발표수업 등과 같은 교수학습 방법 등이 반영되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수학 불안 종단 연구

        김리나(Rina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 불안 상태를 확인하고, 수학 불안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 원인을 조사한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 수학 불안의 발생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 380명을 대상으로 2022년 3월부터 2024년 2월까지 수학 불안에 관한 종단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학 불안 검사지를 활용하여 총 3회에 걸쳐 학생들의 수학 불안 정도를 조사하고 후속 면담을 통해 수학 불안의 원인을 확인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초등학교 1학년 대부분은 수학 불안이 없거나 낮았으나, 수학 불안이 높은 소수의 학생도 존재하였다. 특히 1학년 입학 초기 수학 불안이 가장 높았다. 학생들은 두려움 원인으로 수학 학습에서 실패할 것 같다는 걱정을 가장 많이 언급했다. 결론 수학 불안이 1학년 초에 가장 높다는 결과는 학생들이 새로운 수학 학습 상황에 적응하기 전 스스로 어렵다고 생각하는 수학 과제를 마주했을 때 더 불안감을 느끼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의 수학 불안을 이해하고, 학생들의 수학 불안 예방을 위한 교수법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n to investigate the state of math-anxiety in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causes. Methods I conducted a longitudinal study on math-anxiety on 380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arch 2022 to February 2024. Students' level of math-anxiety was investigated three times using the math-anxiety survey items, and the cause of math-anxiety was confirmed through follow-up interviews. Results Most first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had no or low math-anxiety, but there were a small number of students with high math-anxiety. In particular, math-anxiety was highest at the beginning of first grade. Students most frequently cited concerns about failing in mathematics learning as a cause of fear. Conclusions The finding that math-anxiety is highest at the beginning of first grade suggests that students feel more anxious when faced with math tasks they find difficult before they have adapted to new mathematics learning situ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understand math -anxie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evelop teaching methods to prevent math-anxiety in student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수불안(數學敎授不安) 측정 도구 개발 연구

        김리나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및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의 통계적 검증 절차를 기반으로 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수불안(數學敎授不安)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 검증을 위해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s Analysis)을 이용하여 설문 문항 간 유기성을 검증하였으며,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수학 교수 효능감 도구의 적용 결과와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개발된 문항들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통계적 검증 절차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21문항으로 구성된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수불안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teaching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elementary teachers in South Korea. The sample consisted of 150 elementary teachers in 22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 total of 21 items were developed and examined for the internal consist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scale was appropriate to represent the teaching mathematics anxiety of elementary teachers.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성과 수학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수학 불안감의 매개효과

        김길숙,임양금 한국보육학회 2023 한국보육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성과 수학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수학 불안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의 4년제 대학 1곳, 전라남도, 충청남도 소재 3년제 대학 각 1곳, 총 3개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205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했으며, 문항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성과 수학 교수효능감은 보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학 불안감 점수는 보통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성이 높을수록 수학 교수효능감이 높은 반면, 수학에 대한 불안감이 높을수록 자기주도성과 수학 교수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학 불안감은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성과 수학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주도성은 수학 교수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수학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수학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수학 불안감을 낮추고 자기주도성과 수학 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수학 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