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三國遺事』皇龍寺九層塔條의 編年검토

        허인욱(Heo, Inuk) 한국사학회 2014 史學硏究 Vol.- No.113

        황룡사탑은 신라 善德女王14년 3월부터 조성되기 시작하여 같은 왕15년에 初成되었다. 그 이후 고려시대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훼손과 보수가 이루어졌다. 황룡사탑이 처음 훼손을 입은 것은 聖德王17년 8월이었다. 원인은 벼락으로 인한 화재 발생이었다. 이때의 손상은 성덕왕 19년에 가서 복구되었다. 이후 文聖王代에 와서는 지반 불안정으로 인해 탑이 기울어졌는데, 수리가 이루어지지 않다가 景文王8년에 낙뢰로 인해 다시 심각한 피해를 입자, 경문왕 11년 정월에 개조명령이 내려지기에 이르렀다. 이 개조 작업은 같은 해 8월 12일에 본격적인 작업에 들어가 경문왕 13년 9월에 가서 끝을 맺었다. 당시 경문왕이 황룡사탑 개조작업을 벌인 것은 황룡사탑이 갖는 호국이라는 의미를 이용해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에서였다. 신라 말인 景哀王4년에 북쪽으로 기울어지는 피해가 다시 있었으나, 왕이 살해당하는 등의 혼란한 상황이어서 탑을 복구할 정도의 여력은 그리 없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려시대에 들어와서는 光宗4년에 낙뢰에 인한 화재가 일어 전소된 기록이 처음 나타난다. 이때 입은 피해는 穆宗7년에 가서 재건되었다. 현종대에 가서는 3년과 12년에 2차례 수리를 하였는데, 이 중 顯宗3년의 수리는 팔관회를 부활시킨 崔沆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졌다. 거란의 침입을 극복해 내고자 하는 염원이 담긴 보수였다. 이후 황룡사탑은 靖宗원년에 낙뢰로 인한 피해를 입었는데, 文宗18년에 가서 보수가 이루어졌으며, 다시 獻宗원년 6월과 10월의 2차례 훼손이 기록되어 나타난다. 이 훼손은 헌종 원년 8월부터 肅宗원년에 걸쳐 수리가 되었다. 황룡사탑은 高宗25년 몽골병에 의해 완전히 소실된 이후에는 더 이상의 중성이 이루어지 않았다. 『三國遺事』『皇龍寺九層塔』조를 비롯해 여러 기록에 훼손과 중성 기록이 남겨진 것은 신라와 고려 사회에 황룡사탑이 갖는 영향력이 컸기 때문이다. 선덕여왕은 황룡사탑 초성 때에 탑에 호국이라는 의미를 부여해 국난극복과 내부단합을 도모하였다. 그리고 그 의미는 신라의 삼국 병합 이후에 더욱 강조가 되었다. 황룡사탑의 의미는 고려 전기까지도 꾸준하게 유지되었다. 이는 太祖王建이 황룡사탑의 사례를 본 따 西京에 9층 탑을 세워 통일을 이루고자 하는 의지를 표명하거나, 현종대 거란 침입을 극복하기 위해 朝遊宮의 재목을 이용해 황룡사탑을 수리한 경우를 통해서 알 수 있다. 하지만 고려 毅宗과 仁宗代에 들어서서 중흥궐 등 호국의 의미를 대신하는 건물이 창건되었는데, 이는 고려 내에서 황룡사탑이 갖는 위상이 크게 약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황은 황룡사탑을 포함한 신라삼보가 인간들이 만들어낸 것일 뿐, 국가를 다스리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거나, 태조의 질문은 개인적인 호기심 차원이지 그것을 믿기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니라는 김부식의 史論을 통해서 확인이 된다. 황룡사탑이 고종 25년에 소실되고 나서 더 이상의 중성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도 그러한 의미 약화와 관련을 맺는다.

      • KCI등재

        황룡사 창건기토기의 재검토

        이민형(Lee, Minhyeoung) 한국고고학회 2021 한국고고학보 Vol.- No.119

        이 글은 최근 황룡사지 발굴성과 가운데 황룡사 창건기에 해당되는 새로운 자료를 중심으로 황룡사 창건기토기를 재검토하고 신라토기 역연대자료로서의 편년적 위치를 살펴본 것이다. 기존의 황룡사 창건기토기는 1984년에 보고된 황룡사의 습지층, 대지조성층, 1차 가람 기초유구, 금당 기단판축토, 강당 동북쪽 폐토기무지인 5곳에서 출토된 토기이며, 이 중 인화문이 시문된 토기를 제외하고는황룡사 문헌기록에 의해 황룡사가 창건되는 553년부터 금당이 만들어지는 584년 이전으로 편년되었다. 이에 관해서는 신라 후기양식토기에 기준이 되는 절대연대자료로 인정하는 견해와 이를 부정하는 견해가 크게대립되어 왔다. 이렇게 논란이 되는 이유는 황룡사 창건기토기로 소개된 토기 가운데 늦은 시기의 토기가 섞여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황룡사 창건기토기로 묶인 5곳의 출토지가 황룡사 창건기에 부합되는지를최근 황룡사 사역 내의 보완조사와 황룡사 남쪽 유적 발굴조사에서 보고된 습지층과 대지조성층의 발굴성과를 토대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습지층과 대지조성층은 대지조성층의 축조방법과 범위가 밝혀짐에 따라 한시적 대규모 토목공사에 의한 폐기동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이 유구 내부에서 출토된 단각고배와 원통와통작법으로 만들어진 신라기와는 6세기 중엽으로 편년되었다. 다만, 황룡사 강당 동북쪽 폐토기무지에는 7 세기 전반에서 그 이후로 편년되는 토기가 섞여 있고 유구의 조성시기가 불분명한 점에 의해 황룡사 창건기토기에서 제외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황룡사지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습지층과 대지조성층, 그내부에서 출토된 단각고배와 기와는 황룡사 창건연대에 부합되는 절대연대자료로 판단된다. This article reviews pottery made during the founding period of Hwangryongsa Temple, focusing on newly excavated data, and examines their chronological position in an attempt to use the data as absolute dates. The previously excavated pottery dating to the founding period of Hwangryongsa Temple, reported in 1984, came from five locales, including the wetland layer of Hwangryongsa Temple, the site formation layer, the first temple structure foundation remains, the Main Hall foundation stamped soil layer, and the pottery waste site northeast of the auditorium. Based on the textual records of Hwangryongsa temple, the pottery was dated to the time period spanning from 553 (when Hwangryongsa Temple was founded) to 584 (when the Main Hall was built). There has been heated debate between those who therefore accept that the pottery can be seen to provide absolute dates and those who reject this opinion. The reason for this controversy is the fact that later period pottery is included in the Hwangryongsa Temple founding period pottery assemblage.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the dates of the five locales yielding Hwangryongsa founding period pottery, the data from the wetland layer and site formation layer which was reported in a recent supplementary survey within Hwangryongsa, and the excavation results of the southern remains of Hwangryongsa, have been examined. It was possible to confirm, as the construction method and scope of the site-forming layer were revealed, that the deposits of the wetland layer and the site formation layer had been sealed concurrently as the result of temporary, large-scale civil engineering work. In addition, short mounted cups and Silla roof tiles excavated from the inner section of the remains were dated to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However, it was judged that since the pottery recovered from the pottery waste mound of the northeastern part of Hwangryongsa Temple was mixed with examples dating to the first half of the 7th century and later, those examples should be excluded from the Hwangryongsa founding period pottery assemblag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wetland layer and the site formation layer identified through the excavation of the Hwangryongsa site, and the short mounted cups and Silla roof tiles excavated from the inner sections could indeed be regarded as providing absolute dating data consistent with the founding date of Hwangryongsa Temple.

      • 시물레이션을 통해 본 황룡사 조망연구

        ( Kwang Pyo Hong ),( Ki Ho Jung ),( Joon Hyh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9 No.1

        발굴보고서와 선행연구 등 문헌중심으로 수행된 신라왕경의 도시전개 및 황룡사와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와 관련하여, 황룡사를 중심으로 근경 중경 원경에서 비쳐지는 현황과 황룡사 복원에 따라 나타날 가상의 모습을 조명하여 실제 경관 상으로 부각되는 현상을 검토하는 것을 본연구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경관시뮬레이션을 위한 현황사진촬영에서는 황룡사 일대의 근경, 중경, 원경으로 조망되는 대표적인 조망지점을 선정하여 원경 및 근경으로 조망되는 장면과 가능한 한 현황을 상세히 담을 수 있는 전경을 촬영하는 한편, 특히 경내의 현황에 대해서는 현재의 모습을 기록해 두기 위한 체게적인 지점 설정을 통하여 각 지점에서 360도 방향으로 현황사진을 기록하였다. 현황사진을 바탕으로 선행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개략적인 모델을 합성한 시뮬레이션으로 천반적인 상황을 검토하여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연구결과물로 작성하였다. 선덕여고 및 황룡사 동측 주거지에서는 직접 황룡사지는 거의 수평면으로 연장되어 있어 직접 인지할 수는 없지만, 시뮬레이션에 의하면 황룡사의 목탑이 우뚝 솟아나 보이며, 랜드마크적 효과가 뚜렷이 나타난다. 안압지에서는 황룡사 일대를 만날 수 있거나 숲 너머로 우뚝 솟아나 보이는 목탑을 조망할 수 있어 랜드마크로서 역할을 충분히 해 줄 것으로 검토된다. 반월성과 낭산은 매우 국한된 장소에서 황룡사 일대를 조망할 수 있지만, 이들 장소에서 만날 수 있는 황룡사 일대는 약간 부감경을 이루는 모습에서 전경이 잘 조망될 수 있기에 특히 중요하게 조망장소로서 검토될 수 있는 좋은 장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분황사에 있어서는 분황사 탑과 황룡사 탑이 서로 한 선상에 놓일 것으로 짐작되는 지점, 현재 분황사의 법당 남측 벽을 조망의 대표적인 시점으로 삼을 수 있다. 현재까지 진행된 제반 발굴조사 및 선행연구들의 성과가 적지 않지만 여전히 실제의 경관을 비춰보기 위한 가상의 모델링을 실시하기에는 건축입면과 의장을 비롯한 입체적인 조명 등 여러 문제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주어진 여건을 바탕으로 근경, 원경으로 황룡사 일대를 조망해 보고, 대략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황룡사 일대를 조명해 본 것은 황룡사와 왕경 일대를 개관해 보는 좋은 기회 가 되었을 뿐 아니라, 현재 주어진 여건을 바탕으로 역사적 흔적을 경관과 함께 만날 수 있는 조망장소와 이들을 이어가며 악사탐방로를 설정해 볼 수 있는 잠재력을 찾아 본 것이 본 연구 성과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xamine some important phenomenon that are aroused from the actual views by shedding light on close/middle-range and distant views from Hwangryongsa and picturing simulated views after the restoration in connection with Silla-Wanggyung`s urban development based on excavation reports and other advanced research. We picked the representative viewpoints of close/middle-range and distant views for taking photos of the present condition in order to use it for the landscape simulation. On one hand, we took photos of the close range and distant views and tried to capture the detailed condition, and on the other hand, we took pictures of 360 degree from each-very systematically selected-points of the precincts in order to record an accurate present condition. The result of current study is based on the simulation that was built upon the present condition photos and those results of advanced research. It is true that there are a lot of advanced research and excavation results that has been done until now, however review of the work is considered not yet enough to run a simulation model in order to use it to view an actual landscape with it. Also, compared to the excavation results of the precincts the building elevation and the design are not that clearly stated yet, and moreover it was very difficult to preview a general landscape of Hwangryongsa without any firm results on the outskirts and surroundings of it are provided. Moreover, viewing the whole area near Hwangryongsa in this very restricted situation and running a broad simulation of it not only helped to overview Hwangryongsa and Wanggyung area but also showed a potential to set a way of history trip by following the view points with this limited current condition.

      • KCI등재

        신라 황룡사의 창건과 진흥왕의 왕권 강화

        최선자(Choi Sun Ja) 한국고대사학회 2013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2

        본 논문은 신라 황룡사의 창건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진흥왕이 창건을 통해 궁극적으로 목적했던 바가 왕권 강화였음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황룡사는 진흥왕 14년(553)에 새로이 궁궐을 지으려던 터에서 황룡이 출현하자 사찰로 변경되어 창건되었다. 그런데 궁궐은 왕권을 상징하는 가장 강한 표상이므로 진흥왕과 황룡사 창건의 관계가 정치적 상관성을 갖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발굴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 황룡사지의 지반은 원래 늪지였다. 따라서 우선 궁궐 건설의 계획을 수립하고, 늪지의 매립과 같은 대규모 토목공사를 진행해야 했다. 진흥왕 14년이라는 황룡사 창건 연대는 궁궐이 사찰로 변경된 시점을 나타낸 것이다. 이는 늪지의 매립이 6세기 중반에 완료되고 인근에 도로가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한 연구에 의해 입증된다. 이때 조성된 도로는 격자문 도성의 주된 유구로 이와 궤를 같이 하여 황룡사의 寺域이 확정되었다. 북위와 일본의 사례를 통해서 검토해 본 결과 이러한 도성제도는 율령의 제정ㆍ반포와 일정한 상관관계를 형성했다. 곧 율령에 의한 통치제도를 확립하기 위해 도성을 정비하고 궁궐을 건설했던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법흥왕 7년의 율령 반포 및 동왕 18년의 제방수리 명령에 주목했다. 법흥왕을 이어 즉위한 진흥왕은 전대의 정치ㆍ사회적 분위기를 이어 받는 한편, 유년에 즉위한 까닭으로 왕태후와 이사부의 섭정을 받았다. 그러나 재위 초기는 섭정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확산과 전쟁ㆍ대규모 토목공사 등으로 인해 각종 정치ㆍ사회적 문제가 야기되었다. 이는 궁궐 건설에 대한 부정적 인식 및 계획 변경의 원인이 되었다. 그런데 황룡사 창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반드시 주목해야할 것이 창건의 결정적 역할을 했던 ‘황룡’이다. 이에 여러 기록에 의거한 고대인의 인식 체계를 기준으로 하여 다각도로 황룡의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곧 황룡은 상서로운 징조로서 정치의 衰缺함을 은폐하고자 한 의도로도 볼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실한 수호신인 황룡을 잡기 위해 사찰을 세우고 호법룡의 역할을 부여한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황룡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 황룡사 창건에 정당성을 부여하였다. 親政 이후 더욱 강력한 왕권을 위해 전륜성왕사상을 수용한 진흥왕은 즉위의례적 創寺 행위인 황룡사 창건을 통해서 왕위의 정당성을 획득하고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결국 황룡사는 왕권 강화의 기틀을 확립하고자 한 진흥왕의 종교적 상징물이자 정치적 권력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This study try to confirm that King Jinheung pursued ultimately royal authority strengthening through the foundation by looking the process of foundation of Hwangyong temple in silla. As every knows, Hwangyong temple was founded by changing from making the new royal palace to the temple at 14 year of King Jinheung. There is the reason why it have a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foundation of Hwangyong temple and King Jinheung because a palace is symbol of royal authority. According to excavation investigation, the ground of Hwangyong temple area was originally bog land. Therefore, it devised a plan to build of palace at the first and had to progress grand-scale public works such as reclaim bog land. However, provided it takes notice at researcher’s estimation that some roads was made near the temple after end of the reclaiming bog land at the middle of the sixth century, the period of foundation as 14 year of King Jinheung is pointing the changing time from royal palace to the temple. The roads which is made near temple is the main ruins of gridpattern capital system, in sync with it, Hwangyong temple was demarcated the temple area. On investigation in the case of the northern Wei Dynasty and ancient Japan, this capital system formed consistent correlation with establishment and proclamation of the law. Which mean, modifying of the capital city and building royal palace to establish a ruling system by the law. In relation to this, it’s took note of proclamation of the law at 7 year of King Bupheung and command of repairing dike at 18 year of same King. On the other hand, King Jinheung who ascended following King Bupheung inherited political and social moods of previous generation, He was acted as regent by the Empress Dowager and Isabu because King came the throne when he was young. However, in the early reign of King Jinheung, it was occurred various political and social problems with the diffusion of negative awareness about the regency and the warㆍgrand-scale public works. It was became the cause of negative awareness and changing of plan about building of the palace. But we surely have to take notice of Yellow Dragon which was an active role on the foundation in the study about foundation of Hwangyong temple. So I tried analysis from various angles about Yellow Dragon by awareness stage of the ancients on the many data. That is to say, Yellow Dragon can be considered in a intention that it try to cover up political flaw as auspicious sign, on the other hand, it can interpret to give a role of the Dragon as the defence of a Buddhism for catching the Yellow Dragon lost patron saint. This awareness about Yellow Dragon legitimized on the foundation of Hwangyong temple. After the politic by himself, King Jinheung accepted Cakravartin idea to more powerful royal authority. Then he tried to acquire legitimacy of the throne and strengthen royal authority through a sort of the ceremony of a accession to the throne. Finally, Hwangyong temple works as a religious symbolic icon and political power base for King Jinheung who tried to build up the basis of King’s power.

      • KCI등재

        황룡사 강경법회

        金福順(Kim, Bok-Soon) 고려사학회 2017 한국사학보 Vol.- No.67

        황룡사는 신라 진흥왕대에 창건(553)되어 고려 후기 몽고의 침략으로 1238년 전소되기까지 685년간 존속하면서 강당에서 수많은 강경법회가 개최되었다. 신라 황룡사는 왕경의 국찰로서 국가 규모의 강경법회를 개최하였고 원광, 자장, 원효에 의한 강경 기록이 남아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황룡사 강경법회의 사례를 각 왕대 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황룡사 강경법회의 준비와 진행에 관한 내용이다. 준비는 텍스트로서의 경전을 정하고, 국왕의 치병, 국태민안 등의 목적을 분명히 한 후, 강사를 선정하여 강경안을 작성하게 한 다음, 참석대상을 확정하고 황룡사 강당 내지 마당에 천막을 쳐서 장소를 확보하였다. 그리고 강경일의 택일과 사부대중의 참석 권유, 유나승과 식순을 확정지은 후 강경법회를 식순에 의거하여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라 강경법회의 유형과 변화이다. 황룡사와 같은 국찰에서는 국왕과 대신 등을 위해 강경안이 마련되어졌으나, 의상이나 승전 등의 강경법회는 강경 후 제자들이 강의안을 작성하고 있어, 실로 두 유형의 강경법회가 존재하였음이 보인다. 또한 신라 황룡사 강경법회는 교종승에 의해 주도된 국가 규모의 강경법회가 그 모습에서 점차 형식화되어 가다가, 신라말 선종의 영향으로 선교통설(禪敎通說)의 변화가 보이고 있다. Buddhist lecture meeting (Ganggyeong-BeopHoe) was held many times at the lecture hall of Hwangnyongsa Temple for 685 years, from 553 when it was built in the reign of King Jinheung in Shilla dynasty to 1238 when it was completely destroyed by the invading Mongol army in the late period of Goryeo Dynasty. Buddhist lecture meeting was held on a national scale at Hwangnyongsa Temple, a national temple in the capital of Silla Dynasty, and the records of Buddhist lecture meeting performed by monk Won-Gwang, Ja-Jang and Won-Hyo remained.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ses of Buddhist lecture meeting held at Hwangnyongsa Temple according to “each period of kings” in Silla Dynasty. Second, this study addressed preparation and progress of Buddhist lecture meeting at Hwangnyongsa Temple. Buddhist scripture was selected as a text for the meeting, and a clear purpose was established such as curing King"s diseases or prosperity and welfare of the country. Then, “participants for” the meeting were selected and a camp was set up at the lecture hall or yard of the temple after Ganggyeonan (plan for lecture meeting) was made by a lecturer who was selected for the meeting. After picking the date for the meeting and inviting monks and Bodhisattvas(the laity) to attend the meeting, the order of the meeting was organized in consultation with Buddhist rector and the meeting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order. Fin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ypes and changes of Buddhist lecture meeting in Silla dynasty. There were two types of Buddhist lecture meeting; In national temples including Hwangnyongsa Temple, Ganggyeonan was prepared for king and ministers, but in other Buddhist lecture meetings performed by Eui-Sang, Seung-Jeon and Jin-Pyo, their disciples prepared lecture materials after the lecture. The Buddhist lecture meeting at Hwangnyongsa Temple was originally nationalscale meeting led by monks of dogmatic Buddhism, but it was formalized and finally showed a changes of integration of dogmatic and Zen Buddhism under the influence of Zen Buddhism at the end of Silla dynasty.

      • KCI등재

        신라 진흥왕대 황룡사(皇龍寺) 창건과 그 의미

        최준식 ( Choi Jun-sic ) 대구사학회 2021 대구사학 Vol.145 No.-

        황룡사가 창건된 배경과 목적에 관한 연구는 관련 기록이 소략함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 결과 황룡사 창건에 관한 대략적인 윤곽은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미처 꼼꼼하게 살피지 못한 부분도 확인된다. 예컨대 진흥왕대 활발하게 진행된 대외활동이 황룡사 창건 과정에 끼친 영향에 관해서는 거의 검토되지 못했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황룡사 창건의 배경과 목적을 대외적인 상황 속에서 살펴보았다. 문헌 기록과 고고 자료를 살펴보면 진흥왕 14년(553) 신궁(新宮) 조영을 위한 공사가 어느 정도 완료된 상태에서 사찰로 전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최근 황룡사 보완발굴조사 내용을 참고하면 황룡사는 북편의 건물군(建物群)과 담장이 먼저 들어서고, 점차 불상(佛像)과 금당(金堂) 등이 갖추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진흥왕이 신궁을 사찰로 전환하게 된 명분은 ‘황룡(黃龍)’의 출현이었다. 이때 ‘황룡’은 당시의 대외적인 상황을 고려하면 한강 유역을 장악하고 백제 성왕(聖王)과의 경쟁 관계에서 우위를 가져간 것을 상징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파악하였다. 즉, 신라 토착신앙의 대상으로서의 ‘용’ 서상(瑞祥)에 황제를 표상하는 중국 ‘용’을 결합하여 만들어낸 것이었다. 그러나, 신궁의 황룡사로의 전환은 백제와의 전쟁과 전쟁 이후 새롭게 확보한 영역을 안정시키는 데 집중하게 되면서 늦어지게 되었고, 결국 17년만인 진흥왕 30년(569) 마무리되었다. 진흥왕의 불교정책은 백제 성왕과 마찬가지로 양무제(梁武帝)의 숭불(崇佛) 정책을 참고하여 실현한 것이었다. 특히 황룡사에 양의 국가대사였던 광택사(光宅寺)와 동태사(同泰寺)의 역할과 유사한 부분이 확인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황룡사는 진흥왕이 불교를 통치에 적극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창건한 사찰로 볼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황룡사는 진흥왕 당시부터 정치적으로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 사찰이었다고 생각된다. Research on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establishing Hwangnyongsa Temple in the 14th reign of King Jinheung(553) has been studied despite the lack of relevant record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see the general ideas of establishing Hwangnyongsa Temple. However, it is also seen that some parts could not have been thoroughly examined when looking at previous research. For instance, it was hardly considered the impact of international activities, was briskly conducted on the foundation of Hwangnyongsa Temple in the King Jinheung era.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examine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establishing Hwangnyongsa Temple in the external context.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literature records and archaeological data, it can be seen that the construction plan for Singung - new palace, which had been finished laying the foundation, was changed its usage to a temple. The temple firstly consisted of a huge building with small buildings on the north side and a wall on the rest of the sides. Then, they gradually built Buddhist sculptures and Geumdang(Goden Hall, 金堂). King Jinheung changed the palace plan into the temple because of the emergence of ‘Hwangnyong - yellow dragon.’ The emergence of the Hwangnyong could be created by combining the Silla’s traditionally auspicious creature ‘Yong - dragon’ with the Chinese auspicious creature to reveal that king Jinheung dominated the Hangang River basin and took over the power in the competitive relationship with the king Seong(聖王) in Baekje. However, Hwangnyongsa Temple's construction took some time to build as Silla was more focused on stabilizing newly secured territories. The establishment of the Hwangnyongsa Temple by King Jinheung was related to worshiping Buddhism as a policy of Emperor Wu(武帝) of Liang(梁). Like King Seong in Baekje, King Jinheung intended to reveal the royal authority through Buddhism as Emperor Wu did political actions through Buddhism. One of the cases was that King Jinheung sacrificed his palace to build the Hwangnyongsa Temple. In that respect, the temple can be considered a significant temple since King Jinheung. (Kyoungpook National University / jschoihistory@naver.com)

      • KCI등재

        황룡사 창건 구층목탑 단상

        이주헌 국립문화재연구원 201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2 No.2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의하면 황룡사 구층목탑은 백제의 장인 아비지(阿非知)에 의해 선덕여왕 13년(645)에 건립된 것으로 전한다. 이후 고려 고종 25년(1238) 몽고군의 침략으로 사찰이 완전히 불타버리기 전까지 약 700년 동안 당시대인의 정신문화 속에서 최고의 자리를 차지하는 상징이자 호국불교의 구심체로서 존재하였다.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이 문헌기록과 발굴조사 자료를 근거로 황룡사 창건 목탑에 대한 구조와 전체적인 형태에 대한 다양한 복원안을 제시해왔다. 하지만 그들이 제시한 황룡사 목탑의 모습은 기본적으로 현재 남아 있는 목탑지의 외형적인 형태와 단순한 목구조를 가정한 사각구층의 형태였다. 이는 관련 자료의 부족과 제한된 지식으로 인해 황룡사 창건 목탑의 기술적 계보에 대한 충분한 인식이 부족한 시기에 이루어진 것이어서 새로운 자료의 발견과 고대 대형 불탑의 구조 체계에 대한 인식정도에 따라 충분히 수정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2005년부터 진행된 <황룡사 복원 연구>를 통해 정리된 목탑지에 대한 재분석 자료를 근거로 동아시아 고대 불탑의 구조 체계에 대한 폭넓은 이해 속에서 황룡사 창건 목탑의 계보와 구조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함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황룡사 창건 목탑은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에 걸쳐 적어도 두 번의 큰 중창을 겪는 동안 기단의 규모와 평면 형식 등이 변화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따라 상부 구조에도 큰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파악된다. 발굴조사 결과 드러난 유구에서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전하는 구층목탑과 관련된 흔적은 현재 판축으로 조성된 기단토와 심초석 정도이며, 그외 초석과 기단 석재 등 대부분은 9세기 이후의 것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황룡사 창건 목탑의 실질적인 구조는 당시 동아시아 대형 불탑의 변화과정 속에서 이해하여야 하며, 기술적 계보는 북조의 영향을 받은 백제의 대형 불탑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나아가 남산 탑곡 마애조상군에 표현된 9층 마애탑의 모습과 황룡사지 강당지에서 출토된 금동제 불탑 난간편 분석을 통하여 파악된 고고자료를 근거로 황룡사 창건 목탑의 이미지를 추정해본다면 외형상으로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도 지금까지 우리가 인식하고 있던 순수한 목구조를 한사각구층탑과는 다른 형태로 파악되는데, 아마도 실심체를 갖춘 이원 구조의 팔각구층탑일 것으로 파악된다. According to the Samguk Yusa, the nine-story wooden pagoda at Hwangnyongsa Temple was built by a Baekje artisan named Abiji in 645. Until the temple was burnt down completely during the Mongol invasion of Korea in 1238, it was the greatest symbol of the spiritual culture of the Korean people at that time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Buddhist thought in the country for about 700 years. At present, the only remaining features of Hwangnyongsa Temple, which is now in ruins, are the pagoda’s stylobate and several foundation stones. In the past, many researchers made diverse inferences concerning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structure and the overall architecture of the wooden pagoda at Hwangnyongsa Temple, based on written records and excavation data. However, this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remaining external structure of the pagoda site and the assumption that it was a simple wooden structure, actually suggest that it was a rectangular-shaped nine-story pagoda. It is assumed that such ideas were suggested at a time when there was a lack of relevant data and limited knowledge on the subject, as well as insufficient information about the technical lineage of the wooden pagoda at Hwangnyongsa Temple; therefore, these ideas should be revised in respect of the discovery of new data and an improved level of awareness about the structural features of large ancient Buddhist pagodas. This study focused on the necessity of raising awareness of the lineage and structure of the wooden pagoda at Hwangnyongsa Temple and gaining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al system of ancient Buddhist pagodas in East Asia. The study is based on a reanalysis of data about the site of the wooden pagoda obtained through research on the restoration of Hwangnyongsa Temple, which has been ongoing since 2005. It is estimated that the wooden pagoda underwent at least two large-scale repairs between the Unified Silla and Goryeo periods, during which the size of the stylobate and the floor plan were changed and, accordingly, the upper structure was modified to a significant degree. Judging by the features discovered during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traces relating to the nine-story wooden pagoda built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clude the earth on which the stylobate was built and the central pillar’s supporting stone, which had been reinstalled using the rammed earth technique, as well as other foundation stones and stylobate stone materials that most probably date back to the ninth century or earlier. It seems that the foundation stones and stylobate stone materials were new when the reliquaries were enshrined again in the pagoda after the Unified Silla period, so the first story and upper structure would have been of a markedly different size to those of the original wooden pagoda. In addition, during the Goryeo period, these foundation stones were rearranged, and the cover stone was newly installed; therefore, the pagoda would seem to have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in size and structure compared to previous periods. Consequently, the actual structure of the original wooden pagoda at Hwangnyongsa Temple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changes in large Buddhist pagodas built in East Asia at that time, and the technical lineage should start with the large Buddhist pagodas of the Baekje dynasty,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Northern dynasty of China. Furthermore, based on the archeological data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the images of the nine-story rock-carved pagoda depicted on the Rock-carved Buddhas in Tapgok Valley at Namsan Mountain in Gyeongju, and the gilt-bronze rail fragments excavated from the lecture hall at the site of Hwangnyongsa Temple, the wooden pagoda would appear to have originally been an octagonal nine-story pagoda with a dual structure, rather than a simple rectangular wooden structure.

      • 황룡사 디지털 복원형 가상현실(假想現實) 콘텐츠 :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박진호,김상헌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2

        세계 역사상 단일 목탑으로는 가장 오래 지속된 세계 최고의 목탑(木塔)인 황룡사9층목탑이 존재했던 인류문화사상 기념비적인 사찰이었다. 그러나 AD 1238년 몽고의 침략으로 불타없어진 이래 지난 8백년동안 그 존재는 역사의 저편으로 사라져버렸다. 21세기 들어와서야 정부에서는 3천억원 이상의 예산을 들여 황룡사를 실제로 복원하려는 조짐이 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황룡사 실물 복원보다 가상현실 기술을 통한 가상공간 디지털 복원이 확실한 대안(代案)이 될 수 있다는 것과 그럼으로써 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활용가치가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건축물 복원의 경우 천문학적인 예산과 함께 실제 경주 황룡사지에 와야만 볼 수 있는 단점이 있지만 가상현실의 경우 세계 어느곳에서도 접속해 자유로이 황룡사 가상현실 체험이 가능하다. 이는 지역과 시간을 구애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 실제 유적 현장에 국한되지 않는 디지털 가상관광 (假想觀光: Virtual Travel) 가능성 까지도 제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황룡사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활용의 최종목표는 VR 기술을 통해 제한적 접근에 의존해왔던 문화유산에 대한 보다 자유로운 디지털 문화체험(文化體驗) 플랫포엄 확립도 가능하다. 이로써 전통적인 관광과 상호보완이 가능한 가상문화재체험(假想文化財體驗)이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三國遺事』 塔象 皇龍寺丈六條의 초주 환희사와 원효

        하도겸(HA Do Gyeom) 한국사학사학회 2015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1

        황룡사에서 『금강삼매경론』을 강설한 元曉는 骨로서 황룡사가 소속사찰인 승려였다. 삼국유사 탑상의 황룡사장육조는 황룡사구층탑조에서 일연 사후에 재편집된 조목 가운데 하나인 듯, 문장 가운데 갑자기 금당과 역대주지에 대한 내용 등이 나타나게 된 것으로 보인다. 흥륜사금당십성 가운데 제2주인 자장 등은 보이는 반면에 환희사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환희지란 초지보살의 다른 말로 그러한 능력을 보인 승려는 원효가 유일하다. 원효가 환희사로 기록된 이유는 계율을 강조하는 제2주 자장과 원효의 무애행을 이해 못하는 승려 등 때문이었던 듯하다. Lama Wonhyo(元曉) who expounded in Diamond sutra was a noble man (眞骨 : 'Jingol' blood) at Hwangnyongsa(皇龍寺 : Hwangnyong Temple). From the fact that the discussion of Main Edifices and chief monks of many generations suddenly appeared in the article 'A sixteen-feet-high Buddha statue of Hwangnyongsa'(皇龍寺丈六條) of Samgukyusa (三國遺事: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shows that there was reorganization of the article 'the Wooden Stupa at Hwangnyongsa'(皇龍寺九層塔條) after the death of Lama Ilyeon(一然). the Article 'In ten saints of the Main Edifices in the Heungryeunsa'(東京興輪寺金堂十聖條) of Samgukyusa, Lama Hwanhui(歡喜師), the first chief monk, was not mentioned while Lama Jajang(慈藏), the second chief monk, was discussed. the Ground of Joy(歡喜地) is another word for the first level of Bodhisattva(初地菩薩) and Lama Wonhyo was the only Bottisatava who reached the extraordinary level of enlightenment. The monks of the era had difficulty grasping Lama Wonhyo's liberated mind. Lama Jajang emphasized the strict observation of the religious precepts. These two factors were presumed to be the background for Lama Wonhyo being labeled as Lama Hwanhui by the monks of his time.

      • KCI등재

        진흥왕(眞興王)의 황룡사(皇龍寺) 조성(造成)에 관한 불교적 의미의 재검토 - 불교진흥을 통한 왕권강화를 중심으로 -

        염중섭 ( Youm Jung-seop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0

        현존하는 황룡사와 관련된 문헌기록들은, 모두 불교적인 신성함과 관련된 것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황룡사와 관련된 불교적인 관점에서의 보다 면밀한 의미해석에는 미진한 측면이 존재한다. 본고는 기존의 연구성과들을 바탕으로, 진흥왕에 의한 황룡사의 건립배경과 황룡사장육존상에 대한 불교적인 의미들을 보다 명확하게 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진흥왕의 황룡사 창건과 관련된 내용을 모색해 보게 된다. 황룡사는 新宮을 축조하기 위해서 시작한 공사가, 황룡의 출현을 계기로 사찰로 변모하게 되는 것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황룡의 출현이 불교적인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진흥왕에 의해서 사찰건축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직접적인 계기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瑞祥해석 방식과 관련해서, 진흥왕의 불교진흥과 이를 통한 왕권강화의 측면을 도출해 볼 수가 있게 된다. 다음으로 황룡사장육존상의 조성에서 확인되는 내용은, 가장 불교적인 왕으로 평가받는 아소카왕을 능가하는 진흥왕의 면모이다. 이는 불교를 통해서 왕권을 강화하고, 신라의 강국화를 도모하는 정복군주적인 측면이라고 하겠다. 또 장육존상의 조성과 관련해서 등장하는 것으로, 황룡사만의 독특한 구조인 一塔三金堂 형식의 가람배치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구조가, 기존의 설과는 달리 釋迦三尊을 중심으로 하는 法興王과 진흥왕의 等身佛이 모셔졌을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이는 일탑삼금당 형식의 이해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충분한 연구의의를 확보한다고 하겠다. All the existing documents on Hwangnyongsa Temple are just about its Buddhist divinity. Despite it, there have been some insufficient aspects in closely analyzing its significance in the respect of Buddhist viewpoint on Hwangnyongs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re clarify the background of Hwangnyongsa`s foundation by King Jinheung and the Buddhist meanings of Jangyug Jonsang in Hwangnyongsa based on former studies. For this, the story on the foundation of Hwangnyongsa by King Jinheung is examined first. The work began to construct a new palace, but it was changed to the temple due to the appearance of Hwangnyong. Though the appearance of Hwangnyong was not a Buddhist event, it became the direct turning point for King Jingheung to build the temple. In relation with the interpretation method about the auspicious event, we can see King`s intention to promote the Buddhism and to strengthen the royal sovereignty. Next, in relation with the construction of Jangyug Jonsang in Hwangnyongsa, we can see that King Jinheung was far greater than King Asoka who had been respected as the most Buddhist monarch. King Jinheung exercised the excellent sovereignty by strengthening his lordship through the Buddhism as well as his country Silla. And, what is always mentioned along with the construction of Jangyug Jonsang is the peculiar building arrangement of Hwangnyongsa - 1 Tower and 3 Golden Shrines. Unlike former studies,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Deungsinbuls (等身佛) of Kings Beobheung and Jinheung were enshrined along with Buddha`s 3 statues. This study is sufficiently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a new direction in understanding the type of 1 Tower and 3 Golden Shr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