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권도의 전통사상과 현대적 의미에 관한 고찰

        이경훈 ( Kyung Hoon Lee ),빙원철 ( Won Chu Bing ) 대한무도학회 2009 대한무도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의 전통사상과 현대적 의미로서의 태권도에 대하여 다양한 근거를 찾아 관련지어 보는 것이다. 태권도의 전통사상에서 태권도의 정의는 시대적 변화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정의가 생성되었지만, 일반적으로 한국이라는 고유한 사회 문화적 환경 속에서 발전하여 온 독특한 형식을 내포한 한국 전통의 무예를 지칭하는 개념이라고 설명하였다. 태권도의 정신은 생각이나 감정을 지배하는 마음의 능력으로써 정신력과 도덕적 행위의 바탕이 되는 행동이념으로 구분 지었다. 이러한 태권도 정신의 근원적 사상은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생존본능에 의한 무술의 발달, 삼국시대, 화랑도 등의 전통주의적 입장에서 해석하였다. 현대적 의미의 태권도는 무도스포츠로서의 태권도와 인간 교육으로서의 태권도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무도스포츠로서의 태권도에서는 태권도의 스포츠적 유형, 태권도의 스포츠적 요소, 태권도의 스포츠적 특성에 관하여 관련근거를 찾아 설명하였고, 인간 교육으로서의 태권도는 신체교육으로서의 태권도와 정신교육으로서의 태권도, 예(禮)와 도덕교육으로서의 태권도에 관하여 최신의 근거를 찾아 태권도의 현대적 의미를 설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arious relation ground about the traditional thought and modern meaning of Taekwondo. Firstly subject was to discuss the traditional thought of Taekwondo through a definition and a spirit, original thought of Taekwondo. Nextly subject was to discuss the modern meaning of Taekwondo through Taekwondo as a martial art sport and as a human education.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Taekwondo as a sport with contemporary meaning and importance. According to these processes, it was possible to investigate phenomenological aspects and philosophical importance of Taekwondo for contemporary society.

      • KCI등재

        태권도 정체성 담론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가능성 탐색

        이주석,안용규 한국체육철학회 2013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1 No.1

        This research considered preceding research on the Taekwondo identity and deducted logical limitation of discourses on Taekwondo identity which studied so far. Also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new paradigm according to its limitation and categorized Taekwondo identity into three parts. First, it is the history of Taekwondo. That is, two ideas are conflicting regarding its history which are 'tradition of the past' and 'Karate influx'. However, we verified the possibility of 'fusion' theory by developing discussion on 'Karate influx theory'. 'Tradition of the past theory' and the open possibility on the intervention of other martial arts. Second, it is the Taekwondo mind. Research trend of Taekwondo mind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 1)Traditional thoughts and Taekwondo mind, 2)Argument on Taekwondo training and Taekwondo mind, and 3)Taekwondo mind by the change of time. And the logical limitation regarding these ideas can also be divided into three theses, 1)Traditional thoughts and Taekwondo mind do not share common history, 2)Among technical level, psychological level and ethical level of the Taekwondo mind, Ethical spirit is, of course important but we can't underestimate the importance of technical and psychological levels. 3)Taekwondo mind is the essential factor in Taekwondo. Furthermore, it is illogical to say Taekwondo mind changes as the time passes since the essence is the thing that never changes. Third, it is about the validity regarding 'martial art · sports' terms. Taekwondo is the sports that is based on the martial arts therefore, we can't define Taekwondo as the sports as any other sports events. As a result, we are suggesting the term - martial art sports' or 'Martial arts' 이 연구에서는 태권도 정체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관련서적을 참고하여 지금까지 태권도 정체성에 대한 담론들이 갖는 논리적 한계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한계성에 따른 새로운 패러다임의 가능성을 탐색하였으며, 태권도 정체성에 대해 3가지로 범주화 하였다. 첫째, 태권도의 역사이다. 즉 기원설에 대한 논의는‘가라데 유입설’과‘전통설’의 주장이 대립하고 있다. 그러나‘가라데 유입설’,‘전통설’그리고 타 무술의 개입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여‘융합설’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태권도정신이다. 태권도정신 연구의 동향은 1) 전통사상과 태권도정신 2) 태권도수련과 태권도정신에 대한 반론 3) 시대의 변화에 따른 태권도정신, 이 세 가지로 범주화 할 수 있었으며, 그에 대한 논리적 한계성은 1) 전통사상과 태권도정신은 그 역사를 함께 하지 않는다. 2) 기술적 차원, 심리적 차원, 윤리적 차원의 정신성에서 윤리적 차원의 정신은 응당 중요하지만 타 무도와의 차별화를 위해서는 기술적, 심리적 차원의 정신성을 저평가해서는 안된다. 3) 태권도정신은 태권도의 본질적 요소이다. 또한 본질은 변하지 않는 것이므로, 시대의 환경에 따라 태권도정신이 변화 한다는 것은 비논리적이다. 셋째,‘무도·스포츠’용어에 대한 타당성이다. 태권도는 무도를 기반으로 출발한 스포츠로서 이는 여느 스포츠와 같은 의미의 스포츠로 정의할 수 없는 이유이다. 따라서‘무도적 스포츠’또는‘무도’를 제언하였다.

      • 태권도를 활용한 넌버벌 퍼포먼스의 공연 포맷 발전방안 연구

        이지은(Lee, ji eun)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0 문화예술콘텐츠 Vol.- No.5

        21세기에 이르러 기존의 공연예술이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국내외의 많은 공연작품들은 과거 전통적인 무대 요소들을 해체하고 고전예술에서 첨단과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무대 기호들을 과감하게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무대예술의 특성을 가장 잘 살리면서 대중들에게 인기를 얻은 것이 바로 넌버벌 퍼포먼스 장르이며 이는 언어적 한계를 넘어 우리의 문화를 상품화할 수 있는 효과적 장르라 할 수 있다. 공연문화산업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세계를 대상으로 한 만큼 보편성을 가지고 자국의 성격이 담겨 있는 독창적 소재에 주목해야 할 때다. 넌버벌 퍼포먼스 장르를 통한 태권도의 문화상품화는 우리의 국기이며, 문화자산인 태권도를 알리는 데 있어 무엇보다 효율적인 방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넌버벌 퍼포먼스의 개념과 현재 활용되고 있는 넌버벌 퍼포먼스의 공연포맷 유형들을 점검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핵심이 되는 태권도에 대한 창작소재로서의 가치를 점검하고 태권도를 활용한 대표적 넌버벌 퍼포먼스인 〈점프〉와 〈더문〉 시리즈의 공연사례를 분석해 세계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전통 스포츠인 태권도가 문화콘텐츠산업의 고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할 산업적 가치가 있는가의 여부를 검토하고 한국 전통문화와 문화정체성을 전제로 한 태권도 넌버벌 퍼포먼스 개발의 중요성과 향후 발전과제를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첫째, 국기 태권도는 문화콘텐츠 창작소재로서 가장 한국적인 것이며 무한한 고부가가치를 내재한 한국문화의 원형으로서, 둘째, 문화상품으로서 한국의 가치관, 문화 등의 정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의 문화전파 및 이미지 제고에 큰 기여를 하게 되며, 단순한 경제적 효과뿐만 아니라 국가이미지 제고 및 국가 경쟁력 향상으로 연결되며, 셋째, 태권도를 소재로 한 다양한 고부가가가치의 문화콘텐츠 창출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여 태권도 연계 산업의 인프라 구축 및 수익창출을 통해 국기 태권도 발전에 재투자 되는 선순환적 경로가 구축되어야 한다. 넷째, 이를 위해서 태권도 넌버벌 퍼포먼스를 세계적 수준의 문화상품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독창성과 보편성을 기반으로 한 공연포맷의 개발과 세계진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과 관광 상품으로서의 연계를 위한 전용관 확보 등이 우선되어야 할 과제로 전망된다. Existing performing arts are rapidly changing by 21C. Internal and external many works introduce various signs of stage from traditional art to high technology, destructing factors of old traditional stage. Nonverbal performance is one of the most favorite genres highlighting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and it is the effective genre which can commercialize Korean culture crossing the language line. Creative, universal material is to be concentrated with nation’s own character and world’s universality so that performing arts business can be competitive. It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commercialize Taekwondo by nonverbal performance genre for introducing Taekwondo, the Korean national sport and cultural asset. Therefore this study is about defining nonverbal performance, and checking nonverbal performance formats. Based on that, the core of this study, the value of Taekwondo as creative material is confirmed with 〈Jump〉 and 〈the Moon〉’s cases, which are the typical nonverbal performances using Taekwondo, analyzed for possibility of globalization. It could be reviewed if Korean traditional sport, Taekwondo, has the industrial value for creating high value product in cultural contents business. So the importance and development plan of Taekwondo nonverbal performance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cultural identity are followed. First, Korean sport, Taekwondo is the archetype of Korean culture, which has unlimited high value as the creative material for cultural contents. Second it can contribute to introducing Korean culture and improving Korean image, and connects to improving national image and competitiveness as well as economic effect, as it includes Korean value, culture and emotion as cultural product. Third, recursive course should be constructed, that the foundation is to be made for creating various high value cultural contents using Taekwondo, Taekwondo connected business is to make it’s own infra and profit, and be reinvested for development of Taekwondo. Fourth, the performance format based on creativity and universality should be developed and government should support for global expansion and finally the theater only for nonverbal performance is necessary for connecting to tourism product, so that Taekwondo nonverbal performance can be the world-class cultural product.

      • 태권도 표준교육과정의 개발과 과제

        손천택 ( Son, Cheon-Taik ) 국기원 2013 국기원태권도연구 Vol.4 No.2

        태권도 교육이 지향하는 인간상, 태권도 교육의 목표, 태권도 교육의 내용, 태권도 교육의 평가 등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 않은 가운데 각 사범들이 서로 다른 주장들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왜 합의된 태권도 표준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하는지 그 당위성을 교육과정 개발 절차에 따라 분석,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세 단계로 진행하였다. 우선, 체육교육과정 개발 이론과 절차를 분석하여 태권도 표준교육과정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고, 현장의 태권도 지도자와의 면담을 통해 태권도 교육과정이 개발되지 않고 있는 이유를 찾아낸 다음, 마지막으로 태권도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태권도 교육에 대한 사회적 기대를 수용하고 변화하는 수련생들의 특성을 고려하는 동시에 축적된 태권도 내용지식을 충실히 반영하는 교육과정을 정기적으로 개정하고 그에 따른 교재를 개발하면 태권도 교육이 더 큰 실효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구체적으로, ``현대적 선비``가 되기 위한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교육내용을 신중하게 결정하여, 교육과정 구성 원리를 쫒아, 태권도 교육과정을 조직한 다음, 수련생들에게 효율적으로 가르치고, 태권도의 세 가지 목표를 통합적으로 평가함으로써 태권도의 사회 교육적 기능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A desirable human character to be oriented, objectives to be achieved, contents to be covered, and evaluation to be estimated have not been agreed among Taekwondo instructors. This means that each Taekwondo instructor holds different opinion concerning what to teach.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suggest why a standard Taekwondo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with the help of theoretical process of curriculum development. This study has been done in three stages. First of all, the possibilities of developing standard Taekwondo curriculum were examined by analyzing the theories and processes of developing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econd, the reason why standard Taekwondo curriculum is not being developed was search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aekwondo instructors in the field. Lastly, direction of developing Taekwondo curriculum was suggested. As a result of research, it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Taekwondo curriculum should be periodically reformed faithfully reflecting social expectation toward the Taekwondo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Taekwondo practitioners and accumulated Taekwondo content knowledges. To produce actual results of Taekwondo curriculum reform, textbooks to be used in the field of Taekwondo gymnasium should be developed. More specifically, the objective of becoming desirable human character of modern ``Sunbee (classical scholar of Korea)`` should be definitely established, and on the basis of it Taekwondo curriculum should be decided. Taekwondo curriculum ought to be organized following constructing principles of curriculum. Most importantly, Taekwondo instructors are supposed to teach Taekwondo effectively and evaluate three objectives of Taekwondo with integrated approaches.

      • KCI등재

        태권도 도장 운영 실태조사를 통한 발전 방향

        정명수(Myong-Soo Jung),이천인(Chun-In Lee)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3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8 No.2

        현재 태권도 도장 경영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도자의 끈임 없는 노력과, 태권도가 생활체육으로서의 태권도 보급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태권도장의 활성화가 가장 중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자는 태권도의 활성 방안인 도장 운영의 교육현황 및 시설 현황, 수련생 및 학부모의 만족 등 운영 실태조사를 통하여 태권도 도장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수련생의 연령이 초등학생이 70.9%로 가장 높게 나타나, 수련생의 분포가 유년화되고 있는 양상을 나타냈다. 또한 유급자 단계에서 승단과정에 이르는 시기에 현저히 수련인원이 떨어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둘째, 태권도 도장의 인지경로는 체육관 간판을 통해서 가장 많이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체육관 위치가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태권도 수련의 동기는 호신용으로 배우기 위해, 내성적 성격 때문에 순으로 나타나 호신술에 가장 많은 관심을 나타냈다. 넷째, 태권도 도장 수련 선택의 결정 요인 가운데 부모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도자의 교육현황에서는 태권도와 관련된 전공서적 보유율과 VTR 자료가 부족하고, 사범에 대한 자체교육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태권도 교육의 질적 향상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태권도 수련 중 품새위주의 교육과 인성위주의 교육을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나, 태권도의 전반적인 교육인 이론 및 격파술 등과 같은 폭넓은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일곱째, 태권도 수련 중 학부모들이 가장 우려하는 사항은 운동 시 부상당하는 것과 성격이 난폭해지는 것으로 나타나, 태권도 교육 중 이에 대한 방지 시스템을 모색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여덟째, 태권도 도장 시설만족도에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나, 타 도장과의 경쟁과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더욱 시설만족도를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hich has conducted over coaches, trainers, and parents to advance Taekwondo education through learning the management of training institutions was as following. First, the great percentage of people interested in Taekwondo training was younger generations. Second, gymnasium's location and signboards were very important to publicize. Third, the reasons to train Taekwondo were to protect themselves and to change their personality. Fourth, the reason to decide Taekwondo was because of children's parent. Fifth, education present condition of Taekwondo's problem were lack of the monograph possessions and VTR data. Sixth, Taekwondo education needs to educate the Taekwondo comprehensively like theory of Taekwondo. Seventh, Taekwondo education needs to grope some prevention systems of Taekwondo education. Eighth, Taekwondo gymnasiums need to raise facilities satisfaction to compete. After understanding the problems of Taekwondo training, one which nay help. First, the city and the state government must operate classes for Taekwondo coaches such as course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old age, respiration of dan-qian, qi-gong, and Taekwondo gymnastics. Second, Taekwondo needs some precede new programs for being contact from children and toddlers to adult. Third, Taekwondo gymnasiums has to improve facilities for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태권도 지도자의 교육신념이 아동수련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원삼,이재봉 한국스포츠학회 2016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4 No.3

        이 연구는 태권도 지도자의 교육신념이 태권도를 수련하는 아동수련생들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태권도장을 대상으로 태권도 지도 자 121명, 태권도를 수련하고 있는 아동수련생 164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요인 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빈 도분석(Frequencies), t-검증(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치의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으며, 분석을 통해 얻어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지도자의 개인적 특성별 교육신념의 하위변인 분석 결과 성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결혼 유·무에는 성숙주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연령에서도 성숙주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아동수련생들의 개인적 특성별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인을 분석한 결과 성별과 연령에서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수련경력에서 일반적 자아와 가정적 자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 다. 셋째, 태권도 지도자의 교육신념이 아동수련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도자의 교육신념의 하 위변인에서 행동주의가 사회적 자아존중감과 가정적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how educational belief of taekwondo instructors affects self-esteem of child trainees training taekwondo. A survey is conducted and analyzed targeting 121 taekwondo instructors and 164 child trainees training taekwondo of taekwondo studios in Seoul and Gyeonggi-do. To confirm the effect between factor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ie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conducted by using SPSS 20.0. A significant level of all statistics is 0.5, and a result through an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to analyze sub-variables of educational belief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aekwondo instructors, gender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 marriage,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velopmentalism. In age,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velopmentalism. Second, as a result to analyze sub-variables of self-esteem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aekwondo child trainees,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nd age. In training career,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ego and family ego. Third, as a result to analyze the effect of educational belief of taekwondo instructors on self-esteem of child trainees, behaviorism of sub-variables of educational belief of instructor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self-esteem and family self-esteem.

      • KCI등재

        무형문화재 평가지표로 본 태권도 지정 가능성

        남덕현 ( Nam Duck-hyun ) 국기원 2020 국기원태권도연구 Vol.11 No.3

        태권도는 국가 무형문화재 지정으로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공인받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태권도 선행연구와 무형문화재 제도를 참고하여 태권도의 무형문화재적 의미를 확인하고자 한다. 국가 무형문화재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문화재청 심의위원회 평가에서 기준 점수 이상을 얻어야 한다. 항목은 크게 역사성, 학술성, 예술 및 기술성, 대표성, 무형문화재 형태 지속성, 전수 활성화 정도를 중심으로 볼 수 있다. 역사성에선 초기 태권도 도장이 형성된 1944년부터의 과정이 신뢰도를 얻고 있다. 학술성에서는 정부 정책지원과 대중문화 인지도와 연구성과를 볼 때 우수 평가를 받을 것으로 보았다. 예술성 및 기술성에서는 이미 태권도가 독창적 기술 수련체계를 보이나 한국 전통무예로서의 태권도 기본을 발굴해야 하며 태권도 상업화에 대한 보완책이 마련되면 우수한 평가를 받을 것이다. 태권도 역사는 다른 문화재에 비해 짧다고 평가되나 그간의 태권도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전통문화로의 대표성 평가는 긍정적일 것으로 보았다. 태권도 역사는 100년이 넘지 않기 때문에 지속정도에서는 낮게 평가될 수 있으나, 태권도는 공인된 국내외 발전 결과가 많아 스포츠화되었다는 부정논리를 극복하고 집단 문화적 정체성, 다양성, 창의성에서 좋은 평가를 얻을 수 있다. 태권도의 사회적 빈도 및 범위는 다른 무예보다도 지속 가능성 면에서 우수하며 전승 활성화도 같은 맥락에서 볼 때 최상의 등급을 확보할 수 있다고 보았다. 결과적으로 볼 때 태권도의 무형문화재 지정 평가는 최상 등급을 확보할 수 있으나 전승과정에서의 독창성, 역사성, 고유성 면에서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 가라테를 주체성 없이 수용하였다는 논란, 한국 전통무예의 수용력이 부족한 태권도 상황은 긍정과 부정이 첨예하게 대립할 것이며 스포츠화되는 경향을 어떻게 수용하느냐도 논란이 될 수 있다. 만일 태권도가 무형문화재로 지정된다면 종목, 전수단체, 전수기능자 순서로 진행되어야 한다. Taekwondo intends to be recognized as a UNESCO heritage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mean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Taekwondo by referring to preceding research and related systems. In order to be recogniz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t is necessary to obtain a score higher than the standard score in the evalu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the items can be largely centered on history, scholarship, art and technology, representativeness, continuity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vitalization of transmission. in history, the period since 1944 when the early Taekwondo Dojo was formed is trusted. in the academic field, it is expected to receive excellent evaluations given government policy support, popular culture awareness, and research results. in the art and technology fields, Taekwondo showed an original skill training system, but it is necessary to further discover the basics of Taekwondo as a Korean martial art, and it will receive excellent evaluation if a supplementary plan for commercialization of Taekwondo is prepared. Taekwondo history is evaluated to be shorter than other cultural assets. however, if we look 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aekwondo, the evaluation of representativeness to traditional culture would be positive. since Taekwondo history is less than 100 years old, it can be underestimated in sustainability. however, Taekwondo can overcome the negative logic that it has been sported due to the many results of the developed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and get a good evaluation in group cultural identity, diversity and creativity. the frequency and scope of Taekwondo are superior to other martial arts in terms of sustainability, and the activation of tradition can secure high grade in the same context. as a result, the evaluation of the designation of taekwondo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can secure the best grade, but controversy may arise in the originality, historicity, and uniqueness of the tradition. the controversy over the karate acceptance and the lack of Korean martial arts traces may lead to a sharp conflict between affirmations and negatives. if Taekwondo i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t should proceed in the order of sport, training organization, and training skill.

      • KCI등재

        태권도지도자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선수들의 리더신뢰와 태권도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장재석 ( Jang Jae-seok ),이병관 ( Lee Byung-kwan ),이석준 ( Lee Suk-jun ) 국기원 2020 국기원태권도연구 Vol.1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지도자의 공정성이 리더신뢰 및 태권도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8년도 서울특별시, 경기도, 충청남도, 경상남도, 전라남도,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중등학교(중학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태권도선수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394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Cronbach’s α검사와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 및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태권도지도자의 공정성은 리더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모두가 정(+)의 영향을 미치며, 그중 상호작용공정성이 리더신뢰에 가장 큰 영력을 행사하였다. 둘째, 태권도지도자의 공정성은 태권도지속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성의 하위요인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그중 분배공정성이 태권도지속의사에 가장 큰 영력을 행사하였다. 셋째, 리더신뢰는 태권도지속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태권도선수가 태권도 활동에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선수에게 신뢰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태권도지도자의 공정성은 선수들이 리더를 신뢰하게 하고, 태권도를 지속하는 데 중요 요인으로 작용을 하므로 지도자는 공정한 팀 관리로 자신의 신뢰감 증대와 더불어 선수들의 태권도 지속성을 강화시켜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justice of Taekwondo leaders on leader trust and Taekwondo continuance intention. The research subjects were collected from Taekwondo players in secondary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 Chungnam, Gyeongnam, Cheonnam, and Busan in 2018.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standard sampling method, and the final analysis was based on the responses of 389 student Taekwondo players. For data processing,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as results through those methods and procedures. First, leader’s justice has a positive effect on leader trust. Second, it was proved that leaders’ justice has a positive effect on players’ Taekwondo continuance intention. Third, players’ trust in their leader has a positive effect on Taekwondo continuance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 of leader trust with the justice and Taekwondo continuance was proved to exist through the research, which suggests that Taekwondo leaders perform fair leadership to improve the players’ leader trust and Taekwondo continuance.

      • KCI등재

        中国大众跆拳道现状与2021年东京奥运会后的发展方向

        요준,김정석 세계태권도문화학회 2022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Vol.13 No.1

        2022년 8월, 한중수교 30년을 맞이하는 가운데 지난 30년간 중국의 태권도는 무에서유를 창조하며 수많이 발전했다. 2021년 현재, 5천만 명에 달하는 태권도 수련인구와 전국 10만개에 달하는 도장과 구락부, 선수팀 등에서 대중태권도와 경기태권도를 수련하고 있다. 1995년중국태권도협회가 창립된 후 올림픽 출전을 위한 스포츠 태권도가 선도적으로 발전하며 2000년시드니 올림픽에서 첫 금메달을 획득 후 중국의 경기태권도와 ‘대중태권도’는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그러나 2021년 동경올림픽에서 동메달 한 개만을 획득한 중국 태권도는 새로운 도전과 전환기를 맞이했다. 분명 그동안 중국 태권도는 양적 질적 모두 큰 성적과 성과를 거뒀으나 동경올림픽의결과를 놓고 보면 경기태권도와 대중태권도 두 부분 모두 많은 변화와 조정이 불가피하다. 이에본 논문은 지난 30년간 중국 태권도 발전과정과 현황을 한⋅중 태권도 학술자료의 비교와 분석, 종합을 통해 되짚어보고 2021년 동경올림픽 이후 향후 30년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전망하여중국 대중태권도의 질적인 성장과 변화 발전을 위해 네 가지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태권도 시범경연대회 활성화에 따른 태권도 시범기술변화에 관한 연구

        유동현,최천 한국무예학회 2019 무예연구 Vol.13 No.4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ere to present the future courses of Taekwondo demonstration techniques by exploring the demonstration techniques which had been changing in the midst of promotion of Taekwondo demonstration competitions. To obt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researcher conducted this study through direct participation in the Taekwondo demonstration competition held under the auspice of the President of Kyunghee University from June 23 to 24, 2018, the Taekwondo demonstration competition held under the auspice of the President of Woosuk University on July 15 in 2018, Chuncheon International Taekwondo Open Festival on August 25, 2018, and Well-being Taekwondo Festival held from November 13 to 14, 2018.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8 persons including 3 persons such as a head, a couch and a Taekwondo instructor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who were the jurors of the 4 Taekwondo demonstration competitions mentioned above and had the experience of at least 1 year, 2 instruction professors of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2 professors of Taekwondo Department, and 1 former national Taekwondo athlete of demonstration team. The following results of the study were derived from the outcomes of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related to the in-depth interview method. First, the promotion of Taekwondo demonstration competition led to the loss of the identity of Taekwondo demonstration techniques. Second, high-level demonstration techniques were giving rise to serious injuries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players. Third, the ambiguous evaluation methods for Taekwondo demonstration techniques were causing confusion among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players and instructors of Taekwondo demonstration. 본 연구는 태권도시범경연대회가 활성화됨에 따라 변화되는 시범기술들에 대한 탐색을 통해 태권도 시범기술이 나가야할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이다. 연구의 결과를 출하기 위해 연구자는 2018년 6월 23~24일 경희대학교 총장기 태권도 시범경연대회, 2018년 7월 15일 우석대학교 총장기 태권도 시범경연대회, 2018년 8월 25일 춘천국제 태권도 오픈 태권도 페스티벌, 2018년 11월 13~14일 웰빙 태권도 페스티벌에 직접 참여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위 4개의 태권도 시범경연대회에 참여한 태권도 시범 심판으로서 경력 1년 이상의 태권도 시범단 감독, 코치 및 사범 3명, 태권도 시범단 지도교수 2명, 태권도학과 전공 교수 2명, 전 국가대표시범단원 1명, 총 8명을 선정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명담(in-depth interview)방법 중 비구조화면담법(semi-Structured interview)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태권도 시범경연대회 활성화는 태권도 시범기술의 정체성 상실의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고난이도의 시범기술이 태권도 시범선수들의 심각한 부상을 초래하고 있으며, 셋째, 태권도 시범기술에 대한 평가방식의 모호함을 야기 시키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