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등학교 학생의 의복추구혜택과 교복착용 태도의 관계 및 교복착용 태도가 교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하영,박명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5 No.4

        This study is aimed to find correlation between benefits of pursuing clothes and the attitude towards wearing school uniform, as well as the effects that wearing attitude has on the satisfaction. This research is carried out by investigating and researching in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ound capital regions in the hopes of enhancing their satisfaction to their uniforms and their desire for self-expression, resulting in a positive notion to uniforms being settled in among the students. In the regards of benefits of pursuing clothes, female students are highly pursu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esthetics, and economy all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factors. It is notable that students in Seoul are pursuing those elements more strongly than those in Gyeonggi-do. As for the attitude towards wearing school uniforms, the safety weighs a lot among female students. Meanwhile, those in Gyeonggi-do were more inclined to economy as they prefer wearing uniform more often than not. Students who are pursu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s are less likely to pursue economy, whereas those who are pursuing practicality are pursuing better economy. Those in favor of economy, meanwhile, are pursuing aesthetics, safety, as well as economy. When it comes to the attitude towards wearing school uniforms, the result showed that it is more likely for those who are considering aesthetics, safety, and economy to be satisfied with the aesthetics, practicality, and the convenience aspects of school uniforms.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의복추구혜택의 분석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개성 및 심미성과 경제성을 더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유명상표를 더 추구하였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따른 의복추구혜택에서는 개성 및 심미성과 경제성 추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의복추구혜택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학생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학생 모두 개성 및 심미성, 실용성을 추구했지만, 상대적으로 유명상표와 경제성 추구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성별에 따른 교복 착용과 교복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교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복 변형의 경험과 태도에 대한 물음에도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았으며, 교복 변형에 대한 태도는 남녀 모두 전체적으로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중․고등학교에 따른 교복 착용과 교복 만족도의 분석 결과, 교복착용 태도의 심미성에서 고등학생의 점수가 중학생의 점수 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교복 변형은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높다는 비슷한 결과를 통해 해석이 가능하다. 교복의 변형률이 높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외모를 타인에게 매력적으로 보이기 위함이며, 교복을 통해 자신을 개성있고 현대적인 이미지로 보여주고자 하는 심리가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지역에 따른 교복 착용과 교복 만족도 분석 결과, 경기지역 학생들이 서울 지역 학생들보다 교복에 대한 찬성도와 만족도가 높았으며, 교복 착용방법에는 지역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서울에 비해 경기도에서 교복을 변형한 경험이나 변형하려고 하는 의견이 높았고, 그 이유는 개성을 살리기 위해서이며 그 방법으로 치수나 폭을 줄이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추구혜택과 교복착용 태도와의 관계 분석 결과, 개성 및 심미성을 추구하는 학생일수록 교복에서도 심미성과 안전성을 추구하지만 경제성은 추구하지 않았으며, 실용성을 추구하는 학생일수록 교복에서 심미성과 안전성보다는 경제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명상표를 추구하는 학생일수록 심미성과 안전성을 추구하였지만 경제성은 추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성을 추구하는 학생들은 심미성, 안전성, 경제성 모두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복착용 태도가 교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평상시 교복착용 태도에서 심미성과 안전성, 경제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학생일수록 교복에 심미적인 부분과 실용 및 편리 부분에서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의복에 대한 추구혜택과 교복 착용실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교복 착용실태가 교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의복에 대한 의식과 태도가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학생들의 교복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교복업체와 학교를 통해 학생들의 교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여고생의 신체 만족도와 브래지어 착용 행동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조수빈,추미선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3

        Body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affect their school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body satisfaction, brassiere wear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brassiere for adolescent girl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38 high school girls in Gyeongnam province, and the relationships were analyzed. Body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at the waist satisfaction, and breast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at the breast drooping level. Small breast size was the biggest concerns among the breast related problems.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a brassiere was to prevent the breast from swinging when moving, and the greatest effect of wearing a brassiere was to prevent nipple show-through. The common discomforts from wearing a brassiere were sweat under the brassiere and slipping off shoulder straps. The higher the breast satisfaction, the more beautiful the chest line, the better the body balance and silhouette of the outer clothing in the wearing effects of brassiere. Body satisfaction and breast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especially with self-esteem. Among the effects of wearing brassieres, the improvement effect of body appeara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ll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order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adolescent through wearing a brassiere,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shoulder straps, and the material of the brassiere. In addition, it is ideal to design a brassiere with the structure and shape that can prevent the nipple exposure and the swinging of the breast and enhance the appearance improving effect. The result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brassiere with higher functionality to improve body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 girls. 청소년의 신체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은 학교생활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용의 기능성 브래지어 개발을 위해 여고생의 신체 만족도와 브래지어 착용 행동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경남 지역의 여고생 23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신체만족도는 허리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유방 만족도는 유방의 처짐 정도가 가장 높았다. 유방에 대한 고민은 가슴 볼륨이 빈약하다가 가장 많았다. 브래지어의 중요한 기능으로 움직일 때 유방의 흔들림을 막는것이 가장 높았고, 브래지어 착용 효과로는 유두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음이 가장 컸다. 브래지어 착용 시불편함은 땀이 찬다, 어깨 끈이 흘러내린다가 많았다. 유방 만족도가 높을수록 브래지어 착용 효과에서 가슴 선이 아름다워지고, 몸의 균형이 잡히고, 겉옷의실루엣이 아름다워지는 효과가 컸다. 신체 만족도와유방 만족도는 심리적 안녕감의 모든 요인과 양의 상관을 보였으며, 특히 자존감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브래지어 착용 효과 중 외관 보정 효과는 심리적 안녕감의 모든 요인과 양의 상관을 보였다. 청소년이 브래지어 착용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브래지어의 어깨 끈의 위치와 방향 설정 및 소재선정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유두의 드러남과 유방의흔들림을 방지하고 외관 보정 효과를 높일 수 있는구조와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 결과는 여자 청소년의 신체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고기능성 브래지어 개발의 기초 자료로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20대 여성의 팬티스타킹 착용실태 및 신체치수에 따른 맞음새 만족도 차이

        김덕하(Deuk Ha Kim),김경화(Kyoung Hwa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팬티스타킹의 합리적인 치수규격 세분화를 위한 기초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신체변화가 일어나지 않은 20대 여성의 착용실태와 요구도 및 신체치수에 따른 팬티스타킹 맞음새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팬티스타킹에 대한 맞음새 불만족이 발생하는 경계 신체치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2013년 1월부터 5월까지 서울·경기 일부지역에서 팬티스타킹 관련 신체항목에 대한 직접측정 및 착용실태와 맞음새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24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 for window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Pearson 상관관계, ANOVA 및 사후분석으로 Duncan test를 시행하였다. 20대 여성의 팬티스타킹 구입·착용실태 및 요구도조사 결과, 편의점과 대형할인점에서 주로 구매하며 선택 시 두께·신축성 등의 제품특성을 가장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수규격 관련 요구도 분석 결과에서는 치수세분화가 필요하며, 치수규격을 3단계로 분류하여 기호(S, M, L 등)로 표시하는 방법을 가장 선호하였다. 그 외에 희망하는 참고치수 항목은 키,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순으로 나타났다. 팬티스타킹의 전반적은 맞음새 만족도 평가 결과, 둘레항목에서는 허리∼엉덩이 부위에서 ‘조인다’는 평가가 많았고, 무릎∼발목부위에서는 ‘헐렁하다’는 평가가 주로 나타났다. 길이항목의 경우는 동일 부위에 대해 ‘헐렁하다’, ‘조인다’의 다양한 불만족 양상이 나타남에 따라 현행 단일치수 규격에 대한 세분화 필요성을 반영하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신체치수 항목에 대해 각각 그룹을 분류하고, 그룹간에 맞음새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키에 따라서 팬티스타킹 길이부위 맞음새만족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몸무게는 팬티스타킹의 둘레와 너비부위에서 맞음새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항목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허리둘레 치수는 다리길이, 발길이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엉덩이둘레 치수는 팬티스타킹의 다리길이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맞음새 만족도 차이를 나타냈다. 맞음새 불만족이 높은 신체치수 그룹을 파악하기 위해 신체치수 항목 간 상관분석 결과를 토대로 독립성이 인정되는 키, 몸무게, 허리둘레를 대표 항목으로 선정하고 이를 조합하여 빈도분포가 높은 8개의 그룹을 선정하였다. 이 중 둘레항목과 길이항목에서 각각 맞음새 만족도가 높은 순으로 4개 그룹을 순차적으로 제외시켜서 최종적으로 C그룹(키2-몸무게1-허리둘레1)과 E그룹(키3-몸무게2-허리둘레1), G그룹(키3-몸무게3-허리둘레3)을 팬티스타킹의 맞음 새 불만족이 높은 그룹으로 판정하였다. 위의 세 개그룹은 길이·너비 부위에 대해 맞음새 불만족이 동시에 발생한 신체그룹으로서, 이는 기존 치수규격 이외에 별도의 치수규격 분리가 요구되는 그룹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팬티스타킹 맞음새 불만족이 높은 그룹에 대해 신체특성을 치수단위로 분석하고, 각 그룹별 맞음새 만족도를 세부적으로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키156.65∼163.90cm, 몸무게 38.40∼48.25kg, 허리둘레56.50∼65.65cm 범위의 신체치수를 갖는 그룹에 대해서는 기존 팬티스타킹 둘레·길이치수에 비해 작은 치수규격이 요구된다. 키 163.90∼175.10cm, 몸무게 48.25∼57.40kg, 허리둘레 56.50∼65.65cm의 신체치수를 갖는 그룹은 기존 팬티스타킹 제품치수에 비해 길이항목은 길게 설정하고 둘레항목은 축소시킨 치수규격이 요구된다. 키 163.90∼175.10cm, 몸무게 57.40∼83.80kg, 허리둘레 73.25∼94.30cm 범위의 신체치수를 갖는 그룹은 기존 팬티스타킹의 둘레·길이항목 모두 작다는 불만족을 나타냄에 따라 기존 규격에 비해 크게 설정된 치수의 규격이 요구되는 그룹이다. 본 연구는 맞음새 불만족이 발생하는 그룹에 대해새로운 치수규격 분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구체적인신체치수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착용자의 직접적인 맞음새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치수규격 세분화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rational subdivision of size standard for women in her twenties before aging, thereby conducting the satisfaction of fitness according to body size, pantyhose, with this result, to analysis the boundary of size to occur dissatisfaction. For this study, the body items in connection with pantyhose were measured directly, and the questionnaire of state of wearing and satisfaction level were conducted for 20`s women in capital area(Seoul and Gyungi-do) in January∼May 2013. The subject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44, performed analysis of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 Pearson correlation, ANOVA and Duncan test for post analysis using the SPSS 18.0 for window statistic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Women in twenties purchase mostly at convenience store and discount store, considering the feature of product such as thickness and stretch mainly. For the needs of size standard, size subdivision was answered, especially three-level size standard marked sign(S, M, L) was high ranked. As the reference measurements, height, waist measurement and hip circumference were demanded in order. In terms of product all-round satisfaction of fitness of pantyhose, people think around waist-to-hip circumference tight and around knee-to-ankle loose for measurement of circumference. For length item, there were different dissatisfaction such as ``loose`` and ``tight`` even in same body part, which may mean the needs of subdivision in a current singular size standard. In the investigation for the classes divided as body size, there were a distinct difference in satisfaction of fitness for length item according to height of research subjects, and subjects`s weight influenced satisfaction of fitness around circumference and width of pantyhose. There were the difference in each body parts except leg length and foot length for groups with waist size, and showed the different satisfaction of fitness in groups with hip circumference in each body parts except height of pantyhose. As a result of correlation to research the high-dissatisfaction group in fitness, height, weight, waist size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item, and eight groups were decided on the combination with them. Four groups of high satisfaction of fitness in measurement of circumference and length item were declassified gradually, and C group (height2- weight1-waist measurement1), E group (height3 -weight2-waist measurement1), G group(height3- weight3-waist measurement3) were decided as high dissatisfaction of fitness lastly. This four were groups to have dissatisfaction of fitness in both length and width part, which may mean to be groups that demand to revision of the current size standard. As follows in the study of special ability of the body on size and satisfaction level in detail for three high dissatisfaction of fitness. The group [height(156.65∼ 163.90cm), weight(38.40∼48.25kg), waist measurement (56.50∼65.65cm)] were needed the small size standard beside the current size standard. The group [height(163.90∼175.10cm), weight(48.25∼57.40kg), waist measurement(56.50∼65.65cm)] were needed the longer size in the standard length item and the measurement of circumference abridged beside the current size standard. The group [height(163.90∼175.10cm), weight(57.40∼ 83.80kg,), waist measurement (73.25∼94.30cm)] were showed the dissatisfaction for small size in both the standard length item and the measurement of circumference, so were needed to widen the current size standard. This study analyzed groups of dissatisfaction in fitness and found the needs for revision and suggest the detail size standard to specific body size by providing standards and to improve the direct satisfaction dimensions of wearer that fit the new standards as a basis of segmentation methods, it is significant to suggest baseline data.

      • KCI등재

        구두 선택속성 중 평가요소와 착용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경북지역 20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

        김재희,김문영,허정선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0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0 No.3

        현대에 들어와서 구두는 의상과 조화되는 패션의 도구로만 다양하게 확장되고 있다. 구두가 착용자의 발 에 잘 맞지 않으면 통증과 피로가 오며, 이러한 피로가 반복되면 발의 변형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경북지역 20대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구두 구매 행동, 구두 착용 실태를 조사하고 착용 구두에 관련된 불편 부위를 파악하여 구두 선택 요인의 추구 특성에 따른 집단 간 구두 선택 요인의 차이 분석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요약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구두 구매 행동 특성을 알아본 결과, 1년에 구두를 구매하는 횟수로는 1~2회, 구매 장소는 인터넷 쇼핑몰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하는 정보원은 대부분 주위 사람들의 조언으로 나타났으며 구두 구입 동기는 사고 싶은 구두의 발견과 새 옷과의 매치를 위해 구입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보유하고 있는 구두의 켤레 수는 1~3켤레와 선호하는 가격대는 2만 원~10만 원 미만을 가장 선호하는 편이었다. 둘째, 조사 대상자의 구두 착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하루에 구두를 착용하는 시간은 대체로 3~6시간이 가장 많았고, 구두를 착용 후 발의 여러 부위에서 통증을 느끼는 것으로 파악된다. 셋째, 조사 대상자의 착용 구두에 관련된 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불만족의 경우 불편감 호소 부위는 주로 새끼발가락 부위와 엄지발가락 부위, 앞볼 안쪽 부위, 발바닥 쪽 발꿈치 부위 와 앞쪽 부위, 기타 부위로는 발뒤꿈치와 발등에 아픔을 호소하였다. 넷째, 구두 구매 시 선택 기준에 따라 요인 분석한 결과, 착용감, 가격, 내구성, 디자인으로 총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구두 구매 시 선택 기준의 요인에 따른 응답자를 세분화하기 위하여 군집 분석한 결과 3개의 집단으로 분류가 되었다. 각 집단의 구두 선택속성의 특성을 살펴보면 ‘착용감 중시집단’은 상대적으로 디자인보다 착용감과 내구성에 민감하고 ‘디 자인 중시집단’은 디자인과 유행을 더 중요시하는 집단으로 ‘무관심 중시집단’은 어떠한 선택 기준도 특별히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 모든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기에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에 비 해 모두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본다. In modern times, shoes have become a fashion tool that people seek to harmonize with their clothing. However, shoes that do not fit wearer's feet cause pain and fatigue, and perpetual fatigue can lead to foot de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discomfort when wearing shoes using the oral responses of 20 college students from the Gyeongbuk area regarding shoe attribute evaluation factors and wearing satisfac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of the survey respondents' shoe purchasing behaviors indicated that they purchased shoes one or two times a year, and generally preferred to buy shoes on the Internet. Their most trusted sources of information for shoe-related advice were the people around them, and they were motivated to find the shoes they wanted and ones that matched new clothes. Second, the analysis of shoe wearing behaviors of the survey respondents showed that, they spent between three and six hours per day wearing shoes and experienced various side effects. Third, regarding the areas of discomfort related to wearing shoes, the respondents reported pain in the areas of the toes, the big toe, the inner part of the feet, and the sole. Fourth, the analysis of the selection criteria respondents used when purchasing shoes identified four common selection criteria: wearing sensation, price, durability, and design; it also showed, significant group-based variation among the respondents when it came to the application of these selection criteria.

      • KCI등재

        의사의 비언어적 단서가 환자의 지각된 공감과 진료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의사의 마스크 착용 여부를 중심으로

        박진영,최명일,김봉철 한국광고PR실학회 2016 광고PR실학연구 Vol.9 No.1

        국문초록이 연구는 의사의 마스크 착용이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단서로서 환자가 지각한 공감과진료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이다. 그동안 비언어적 단서가 의사와 환자의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어졌지만 의사의 마스크 착용이 의사에 대한 환자의 공감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 연구는이비인후과 의사로 하여금 한 환자 집단은 마스크를 착용하고 진료하고 다른 환자 집단은마스크를 벗고 진료하게 한 뒤, 각각의 환자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마스크 착용이 의사에 대한 공감과 진료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의사의 마스크 착용은 의사가 환자에게 공감했는지에 대한 환자의지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사가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진료하는 것이 환자가 의사에게 느끼는 공감을 높여 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영향은특히 연령대로는 40대 이상에서,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의 고학력자에서 두드러졌다. 그러나 의사의 마스크 착용은 환자의 진료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imed at looking into the effects of a physician’s wearing of a mask as a nonverbal communication cue on the empathy and treatment satisfaction sensed by the patient.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conducted which examine the effect nonverbal communication cues has on doctor-patient communic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studies which look into the effects of a doctor’s wearing of a mask on the level of empathy the patient senses from the doctor and his or her satisfaction of the treatment. This study is based on an experiment in which patient groups are treated by a physician either wearing or not wearing a mask, and are then surveyed to measure and analyze the degree of the empathy they feel and their satisfaction of the treatm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aken together show that the physician’s wearing of a mask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patient’s perception of the doctor’s empathy towards him or her. Thus, it can be said that a physician’s not wearing a mask while treating the patient heightens the patient’s sense of empathy felt from the physician. This influence was most prominent among patients who are at least 40 years of age, have an advanced academic background of and beyond a college education. However, on the other hand, this study’s results show that the doctor’s wearing of a mask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atient’s treatment satisfaction.

      • KCI등재

        노인의 주관적 신체 기능과 의복 행동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정지은,추미선,정수진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2

        Clothing plays an important role for healthy and active ag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physical function, clothing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10 male and female elderly from their 60s to 80s living in Gyeongnam province to investigate their perceived physical function, wearing behavior, preferred clothing type and life satisfaction. Upper limb function was the highest in perceived physical function in both genders. Lower limb function, trunk function, and thermoregulatory function were better recognized by males than by females. In the wearing behavior, males fastened the clothing better than females did. In the preferred clothing type, females preferred functional, practical and aesthetic clothing than males did. Clothing fastening, dressing and undressing motion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lower limb function, upper limb function, and trunk function in both male and female elderly. Preferred clothing type depended on perceived physical function in both male and female elderly. Life satisfaction did not show correlation with perceived physical function of male elderly bu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lower limb function and thermoregulatory function of female elderly. Only female elderl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earing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correlations among perceived physical function, clothing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lothing suitable for physical function of the elderly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의복은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를 보내는 데 중요한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신체 기능, 의복 행동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60대에서 80대 남녀노인 210명을 대상으로 신체 기능, 의복 착용 행동, 선호 의복 유형, 삶의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주관적신체 기능에서 남녀 노인 모두 상지 기능이 가장 높았다. 하지 기능, 체간 기능, 체온조절 기능은 남성이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의복 착용 행동에서 여밈동작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선호 의복 유형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기능적, 실용적, 심미적 의복을 더 선호하였다. 의복 여밈동작과 착탈동작은 남녀노인 모두 하지기능, 상지기능, 체간기능과 양의 상관을 보였다. 선호 의복 유형은 남녀 노인 모두 주관적신체 기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는 남성 노인의 주관적 신체 기능과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여성 노인의 하지기능과 체온조절기능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의복 착용 행동과 삶의만족도는 여성 노인에서만 양의 상관을 보였다. 노인의 주관적 신체 기능, 의복 행동 및 삶의 만족도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노인의 신체 기능에 적합한 의복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있을 것이다.

      • KCI등재

        남성용 상반신 보정속옷의 착용감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현숙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7 No.8

        본 연구에서는 20대 경도비만 남성을 대상으로 시판 남성용 상체 보정속옷에 대한 착용만족도를 알아보고 개선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20대 남성이면서 BMI지수가 25~30인 (경도비만)인 사람으로 15명을 선정했다. 연구 결과, 남성들의 보정속옷에 대한 인지도와 관심도는 낮은편이었다. 착용 만족도 조사에서는 입고 벗을 때 불편하다고 부정적으로 답한 사람이 많았다. 압박감면에서는 초반에는 압박감이 강하다고 느끼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익숙진다고 하였다. 답답함과 더위와 관련하여 부정적으로 응답한 사람이 과반을 넘었고 땀 흡수 및 배출과 관련해서도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시각적인 부문에서는 가슴 보정, 허리 옆부분 보정, 허리 앞부분에서 모두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남성용 상체 보정속옷의 개선점은 과한 압박감이 가져다주는 답답함과 소화불량, 여름철을 고려하여 더위와 땀과 관련한 기능성 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a survey on the wearing satisfaction of commercial men's upper body correction underwear was conducted targeting mildly obese men in their twenties, and it was intended to suggest improvement points for the correction underwear. The product used for the study was Adapt's 95 PROBLEM, and 15 subjects were selected as males in their 20s with a BMI of 25-30 (mild obesity). As a result, men's awareness and interest in corrective underwear were low. In the wearing satisfaction survey, 74% of those who answered negatively that it was uncomfortable to wear and take off. In terms of pressure relief, 60% of those who felt the pressure was strong at the beginning, but as time passed, they got used to it and answered that there was no major inconvenience. However, with regard to digestion after a meal, 40% of the subjects felt that the pressure interfered with digestion. There were many deficiencies in terms of functionality, with more than half of those who responded negatively with regard to stuffiness and heat, and many negative opinions regarding sweat absorption and discharge. In the visual section, positive reaction was shown in chest, side waist and front waist correction, and among them, the front waist had the highest score. In conclusion, it seems that functional parts related to heat and sweat must be improved in consideration of the stuffiness and indigestion brought about by excessive pressure for men's upper body correction underwear.

      • KCI등재

        골프웨어 착용실태 및 만족도 조사-40∼60대 남·여를 중심으로ㅡ

        백경자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4

        본 연구에서는 골프웨어의 요건으로써 디자인, 활동성, 기능성, 쾌적성, 내구성 등 다양한 소비자 니즈에 적합한 골프웨어의 설계 및 연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연 1회 이상 라운딩 활동과 골프 연습 활동을 꾸준히 하고 있는 의도표집된 연구 대상자 40∼60대 남녀 64명을 대상으로 골프웨어 착용실태와 만족도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현재 보유하고 있는 골프웨어가 연구 집단의 소비자들을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합리적인 가격, 연령에 맞는 디자인, 패턴개발, 활동성과 쾌적성을 고려한 소재선택 등을 고려한 중년을 위한 골프웨어가 연구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골프활동 시 노출되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기능성이 부여된 골프웨어가 개발된다면 보다 쾌적한 골프활동을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호텔 종사원의 유니폼 착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희영 동국대학교 관광산업연구소 2000 관광·호텔경영연구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to analyze the employee's satisfaction with the uniform in hotel And try to find out their satisfaction with the uniform according to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to clear the relations among each variables of satisfaction with the uniform.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were consisted of seven items such as sex, age, married or not, education, salary. department, total working career,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uniform was investigated with 4 items such as aesthetic, modesty, comfort, and interest.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employee, who are working in deluxe hotel.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computer to produce Frequency, T-test, One-Way ANOVA, multiple-regression. The finding concluded as follows. First, socio-economic background affects girl's satisfaction with the uniform. Second, modesty, comfort, and interest affects the employee's satisfaction with the uniform positively and aesthetic affect negatively.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he hotels which want to establish the strategy.

      • KCI등재

        남자 고등학생의 하복 착용실태 및 착용만족도

        권수애,최종명,김인화 대한가정학회 2003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41 No.10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wearing comfort of high school boys summer uniforms. The subjects were 640 boy students of high schools in Cheongiu and Ansung city. The data was collect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o measure the actual wearing condition and the wearing satisfaction. Factor analysis, t-test, and F-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st students were wearing shirts made of polyester/rayon blended fabrics and pants made of wool/polyester blended fabrics. 2) Most students were wearing round neckliie T-shirts or running shirts as underwears of the shirts, and trunks as pants. 3) About a half of respondents had altered their summer uniforms, and main alteration of their uniforms was focused on making their pants narrow. 4) The wearing satisfaction of uniforms were classifies into three factors: aesthetic, moving function, thermal comfort wearing sensation. 5) They evaluated the wearing sensation of school uniforms of shirts and pants with low satisfaction. 6)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ree factors of the wear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uniform's fabrics, the wearing of underwear and the alteration of uni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