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 재활체육의 딜레마와 생활체육과의 연계

        조재훈 ( Jae Hoon Cho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4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장애인 재활체육의 딜레마를 알아보고 재활체육의 정착과 나아가 생활체육과의 연계를 위한 방법들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장애인 재활체육이 가지고 있는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 접근을 시도하여 생활체육과의 연계를 통한 재활체육 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 방법을 통하여 공기관 연구보고서, 실태조사, 세미나자료 등과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그 중 네 개의 주요 연구를 문헌 분석하여 실태를 파악하였다. 이연구에서 제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재활체육의 현실과 법률을 기초한 제도적 기반과해외사례를 제시하였다. 둘째, 재활체육과 생활체육의 의미 구분과 담당하고 있는 주무부처, 서비스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셋째, 재활체육의 개념, 재활체육의 역할과 중요성, 생활체육의 역할과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재활체육 서비스의 전달체계를 제시하였고, 아울러 재활체육 서비스 정착을 위해 선결해야할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underlying documents for the dilemmas of the rehabilitation sport and its relations to sport for all.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related literatures were extensively reviewed and among them the four studies were selectively employed for the purpose. This study dealt with the following main contents: First, the examination of the institutional surroundings of the rehabilitation sports and its current working status in Korea. Second, the concepts of the rehabilitation sport, the related authorities, the limitations of the service, and the exemplary cases in foreign. Third, the definition, the role and the importance of the rehabilitation sport, the role of sport for all, and its importance. Forth, the suggestion to the processes in service in the rehabilitation sport.

      • KCI등재

        재활체육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조성, 대동작운동기능 및 일상생활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연태 ( Youn Tae Suh ),한희창 ( Hee Chang Han ),김해미 ( Hae Mi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0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재활체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뇌성마비 장애(1급)아동의 신체조성, 대동작운동기능 및 일상생활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뇌성마비 아동에게 재활체육프로그램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1급 뇌성마비 아동 14명을 선정하였고, 실험군7명과 대조군 7명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자는 재활의학과 전문의 재검진을 통하여 피험자의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실험군은 재활체육 프로그램 16회기(60분/일, 2회/주)를 기준으로 수중재활운동과 짐볼·테라밴드운동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평상시 생활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였다. 재활체육프로그램을 적용 전, 적용 중, 적용후의 신체조성, 대동작운동기능, 일상생활능력등을 측정하여 집단간 회기별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조성의 변인으로는 체중, 제지방량, 체지방량, 체질량지수등을 분석하였다. 재활체육 프로그램적용 후 체중, 체지방량, 체질량지수등에서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지방량에서는 소폭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동작운동기능 평가에서는 재활체육프로그램 참여 집단이 비참여 집단 보다 프로그램 적용 후 큰 폭으로 향상되어 회기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두 집단간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일상생활능력 평가에서도 재활체육프로그램 참여 집단이 비참여 집단보다 프로그램 적용 후 회기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두 집단간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16회기간의 재활체육프로그램은 뇌성마비아동의 신체조성, 대동작운동기능, 일상생활능력평가등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같은 재활체육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에게 보급되어 재활체육이 활성화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o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terms of body composition and GMFM, WeeFIM. We try to ascertain the change of effects during the periods of pre-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eighth(8) and sixteenth(16) after 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on selected fourteen(14)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subject were selected fourteen(14)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o had been primarily examined by rehabilitation specialist doctors from 8 to 14 year old children and they participated in rehabilitation sports for sixteen(16) times(60minutes a day, 2 times a week). They were measured about body composition, GMFM and WeeFIM, three times before 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eighth and sixteenth. The following is analysis results. First, variants of body composition, such as weight, lean body mass, body fat mass, body mass index were analysed; As compared between pre-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eighth(8) and sixteenth(16) after 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weight rate, body fat mass and body mass index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5), but lean body mass showed no change of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 variants of GMF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5) pre-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eighth(8) and sixteenth(16) after 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Third, variants of WeeFI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5) pre-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eighth(8) and sixteenth(16) after 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 KCI등재

        노인생활체육 진흥을 위한 운동재활분야 활성화 방안

        조경환(Kyoung-Hwan Ch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4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와 고령사회를 맞아 노인생활체육 진흥을 위해 운동재활분야의 현주소를 파악하여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노인생활체육 활동 및 관련 운동재활분야의 실태를 분석하고 노인보건복지와 노인생활체육 사업의 분석, 그리고 노인생활체육 진흥을 위한 운동재활분야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노인들의 생활체육 참여 유인 홍보 시 운동 재활의 필요성과 중요성의 인식과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둘째, 노인여가복지시설 등에 노인스포츠지도사를 의무적으로 배치하여 사회복지사와의 협업으로 효율적인 노인건강지도 관리에 전문성을 강화시켜야 한다. 셋째, 대학의 생활체육학과, 노인체육복지학과 및 실버복지스포츠학부 등 교육과정에 운동재활 및 유사과목을 이수하도록 하며, 노인여가복지시설 등의 자원봉사활동 과목도 이수하도로 하여 진로선택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문화체육관광부와 보건복지부와의 협업을 통해 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교실 등 특성화된 운동재활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운동종목 능력과 운동재활능력을 겸비한 전문가를 순회강사로 활용하여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에 이바지해야 한다. 다섯째, 노인생활체육에 필요한 연구개발에 투자를 확대한다. 여섯째, 노인대상의 혼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운동재활치료 동영상과 지침서를 개발하여 배포한다. 이는 다섯 번째와 연계된 내용이며, 특히, 코로나19 관련 긴급히 대비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문화체육관광부와 보건복지부의 조정된 노인체육진흥 기구신설을 통해 이중적 업무에 따른 비효율성과 예산낭비를 줄여야 하며, 기구신설의 기능을 확대하여 은퇴 후 건강관리, 운동재활, 안전사고 예방, 바이러스 등 교육부분도 강화해야 할 것이다.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sent state of the exercise rehabilitation field, promote elderly sport for all, and present a revitalization program for higher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the coming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ged society.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activities for elderly sport for all and the relevant field of exercise rehabilitation, analyze the elderly health and welfare and elderly sport for all programs, and present a plan for revitalizing the field of exercise rehabilitation to promote elderly sport for all. First,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awareness and promotion of the need and importance of exercise rehabilitation in inducing seniors to participate in sport for all. Second, it is necessary to make it compulsory to place sport leaders for seniors at such places as elderly leisure and welfare centers and promote expertise in managing elderly health guidance efficiently through cooperation with welfare workers.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it compulsory to take exercise rehabilitation and similar subjects in the curriculums of sport for all, elderly sport welfare, and silver welfare sport as well as the subject of volunteering activities at such places as elderly leisure and welfare centers with the aim of giving opportunities for career choice.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characterized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s at senior welfare centers, community centers for the elderly, and elderly classes and employ experts equipped with exercise event and exercise rehabilitation capabilities as itinerant lecturers to contribute to the government"s job creation policie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OCST)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Fifth, it is necessary to make a greater invest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required for elderly sport for all. Six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various exercise rehabilitation treatment videos and guidelines that seniors can use for themselves. This is associated with the fifth one; in particular, it is urgent to devise measures against Coronavirus 19. Seventh, it is necessary to reduce inefficiency and budget waste caused by overlapped tasks by establishing a new elderly sports promotion organization through adjustment by MOCST and MOHW; it is also necessary to increase the functions of organization establishment with the aim of reinforcing the education area, which involves post-retirement health care, exercise rehabilitation, safety accident prevention, and virus.

      • KCI등재

        장애인건강권법 제15조 ‘재활운동 및 체육’의 정의와 시행방안에 대한 고찰

        박지영 ( Jiyoung Park ),강동헌 ( Dongheon Kang ),은선덕 ( Seon-deok Eu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재활운동 및 체육’의 원활하고 체계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국내·외에서 실시되는 장애인의 체육활동을 살펴보고, '재활운동 및 체육'의 정의와 서비스 시행에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와 「장애인복지법」,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 등에 명시된 장애인의 체육활동에 대한 용어를 확인하여 본 결과 재활치료, 재활운동, 운동재활, 재활체육, 재활운동 및 체육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었다. 장애인의 체육활동에 대한 용어가 주로 사용된 국내 학술지 분야를 확인하여 본 결과 재활치료는 의약학 분야 46.88%, 공학 22.22%, 사회과학 13.55% 등의 비율 순으로 의약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었고, 재활운동은 예술체육학 47.55%, 공학 26.96%, 의약학 14.46% 등으로 재활체육은 예술체육학 80.97%, 사회과학 12.08%, 공학 3.69% 등으로 체육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2018년 6월 10일 삭제된「장애인복지법」제29조 제2항의 ‘재활체육’과 2017년 12월 30일 시행된「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에 명시된 ‘재활운동 및 체육’은 같은 의미로 쓰이고 있으나 용어의 통일이 되지 않아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는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활성화의 저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에 명시된 '재활운동 및 체육'의 정의에 대하여 살펴보고, '재활운동 및 체육'의 원활한 서비스 시행을 위해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evious studies on physical activities for the disabled to provide a smooth and systematic service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physical education' and then discuss the definition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physical education' and necessary matters for service implementat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terms of physical activity for the disabled as specified in the preceding research and the 「Act on Disabled Welfare」 and 「Act on Guarantee of Right to Health and Access to Health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etc., rehabilitation treatment, rehabilitation exercise, exercise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physical education, rehabilitation exercise, and physical education, etc., it was used in various ways. Besides, it has identified the fields in which the terminology for physical activity of the disabled is used in domestic journals. In the case of rehabilitation treatment, 46.88% in medicine, 22.22% in engineering, 13.55% in social science were mainly used in the medical science field, and in the case of rehabilitation exercise, art and physical education 47.55%, engineering 26.96%, medicine 14.46%, etc., rehabilitation In the case of physical education, 80.97%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12.08% of social sciences, and 3.69% of engineering were confirmed to be mainly used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In particular, 'rehabilitation sports' in Article 29 (2) of the 「Disabled Persons Welfare Act」 deleted on June 10, 2018, and 'rehabilitation exercises and physical education' specified in the 「Act on Guarantee of Health Rights and Medical Accessibi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s used in the same meaning. However, the terms are not unified, which intensifies confusion. This can act as a deteriorating factor in activat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and physical education' servic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definition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physical education' specified in the 「Act on Guarantee of Right to Health and Access to Health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suggested matters necessary for smooth service implementation 'rehabilitation exercise and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지역사회기반의 재활체육 지원체계에 관한 독일과 일본 비교연구

        서해정(Hae jung Suh),조재훈(Jae hoon Cho),김재근(Je gun Kim)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7 재활복지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독일과 일본의 재활체육 서비스 지원체계를 분석하여 한국에 적용 가능한 지역사회 기반의 장애인 건강권 확보를 위한 재활체육 서비스 지원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문헌 검토 및 일본을 직접 방문조사하여 재활체육의 운영 배경 및 발전 상황, 개념 및 범위, 대상, 서비스 전달과정, 제공기관, 제공인력 그리고 재원 등에 대한 내용분석을 하였고, 이를 근거로 우리나라에 정책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재활체육의 개념과 범주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독일과 일본은 처음에는 의료적 재활을 목적으로 상이군인 등을 대상으로 재활체육이 시작되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재활체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장애를 예방하거나 장애로 인한 2차 질병을 예방하는 차원으로 대상자들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둘째, 재활체육이 실시되기 위해서는 의료, 복지, 장애, 운동처방 등의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는 인력이 필수적이며 독일과 일본에서는 이들을 전문적으로 양성하고 있다. 셋째, 독일과 일본에서는 재활체육 제공기관을 특별히 한정짓고 있지 않고 제공기관에 재활체육을 지도할 지도자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강조하면서 장소기반이 아니라 인력기반의 재활체육 서비스로 나아가고 있다. 넷째, 재활체육 단순한 의료적 프로그램이나 스포츠 중심이 프로그램이 아니라 질병 중심의 장애유형별 체계화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전달과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easures to support the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for health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hich can be applicable to South Korea, by analyzing the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support system of Germany and Japa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direct visiting to Japan, the researcher explored such factors as, background of initiating the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concept, range, and subject of theservice, service delivery procedure, and institutions, and finance of the service. The institution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and range of rehabilitation sports are gradually expanding. Initially, the rehabilitation sports started targeting for veterans with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of medical rehabilitation in Germany and Japan. As time passes, however, the importance of rehabilitation sports has emphasized, and the subjects have gradually expand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disability or secondary diseases caused by disability. Second, in order to perform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it is essential to have manpower with expertise in medical treatment, welfare, disability, and exercise prescription, likewise Germany and Japan do. Third, Germany and Japan emphasize the assignment of rehabilitation sports instructors in institutions, rather designating specific institutions, which is moving toward the manpower-based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rather place-based service. Fourth, rather having simple medical programs or sports-oriented programs,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the systematized disease-oriented programs for each type of disability. Lastly, the clients-oriented service delivery process should be established.

      • KCI우수등재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화 과정 및 쟁점과 해결

        조재훈 한국체육학회 2023 한국체육학회지 Vol.62 No.1

        이 연구는 재활운동 및 체육의 배경과 전개과정, 쟁점과 방향을 제시하여 서비스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체계적으로 문헌을 고찰하고 분석을 하였다. 수집 자료는 정책보고서와 토론회 자료, 논문 등의 선행연구를 수집하였고, 주요쟁점 자료는 ‘재활운동 및 체육 협의체’의 7차례 간담회 자료를 사용하였다.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화 과정은 2015년 장애인건강권법이 제정된 이전과 이후, 그리고 시행 이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또한 각 시기별로 주요 쟁점과 흐름을 제시하였다. 쟁점 해결을 위해 보건복지부가 중심이 되어 구성한 ‘재활운동 및 체육 협의체’의 간담회자료를 제시하여 주요 쟁점과 협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화를 위해 법률적 정비가 필요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장애인건강권법 제15조에서 ‘재활운동 및 체육’ 용어의 통일이 필요하다. 둘째, ‘의사의 처방’을 ‘의사의 소견’으로 변경해야 한다. 셋째, 법률상 국민건강증진기금에 대한 소요예산 명기가 필요하다.

      • KCI등재

        발달재활서비스로서의 특수체육

        윤태현 ( Tae-hyun Yoon ),최승권 ( Seoung-gweon Choi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7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발달재활서비스로서의 특수체육이 제공영역 인정 기준과 정착방안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 및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는 논문, 정책보고서, 장애인관련법, 서비스관련지침 등을 토대로 발달재활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특수체육 제공기관의 운영자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발달재활서비스의 영역 인정 기준으로써의 특수체육과 장애아동발달의 관련성, 제공인력 양성, 특수체육의 정체성, 특수체육의 학문성, 그리고 제공기관 운영의 문제를 제시하였다. 연구에 따른 결론은 첫째, 발달재활서비스로서의 특수체육은 장애아동의 신체적 발달에 반드시 필요한 서비스이다. 대근활동을 중심으로 한 활동은 체력발달, 건강유지 및 증진, 안전 활동에 필요한 활동이다. 둘째, 발달재활서비스로서의 특수체육 제공인력은 전국에서 11개 대학과 4개 대학원에서 전문인력이 양성되고 있으며, 국가자격으로 장애인스포츠지도사가 매년 육성되고 있다. 셋째, 다른 발달재활서비스 영역과 특수체육의 차별성이 명확하다. 특수체육은 대근활동을 중심으로 한 활동으로써, 다수의 장애인 관련법에서 체육에 관한 용어를 기술하면서 체육을 명확히 인정하고 있다. 또한 사정 도구는 타영역과는 차별을 명확히 나타낸다. 넷째, 특수체육은 국내외적으로 공인된 학술단체가 있고 학술지를 발간하고 있으며, 관련 학과와 대학원 과정이 있다. 다섯째, 발달재활서비스 특수체육 제공기관 운영체계의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영역별 제공기관의 지침을 만들고 이를 토대로 시설 및 운영체계를 세분화하여 제공기관이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adapted physical activity (APA) contributes to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DR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Literature review and focus-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 purpose. Status of the current DRS was reviewed using research articles, policy reports, laws and regulations, and service-related guidelines, and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directors of APA programs. This study found four themes to explain potential contributions of APA to DRS. First, APA is necessary to develop psychomotor skill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icularly, learning gross motor skills is a pre-requisite to develop fitness and to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y, which in turn develops and maintains one`s healthy lifestyles. Second, many APA specialists who can provide quality DRS are trained at a university level. Currently, 15 APA programs (11 undergraduate and 4 graduate) train APA majors and many of them become APA specialists certified through a national exam. Third, the current DRS lacks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related services that are key aspects in other disability laws and regulations. Fourth, APA is recognized as one of fields in kinesiology as it has its own academic association that publishes a scientific journal and organizes scholarly events. In conclusion, a specific guideline will be necessary to effectively include APA in DRS. The guideline will help APA professionals to systematically plan and implement APA services t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DRS.

      • KCI등재

        재활체육프로그램 구성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

        이동철(Dong-Chul Lee)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6 재활복지 Vol.20 No.4

        본 연구는 재활체육프로그램의 구성요인과 요소를 탐색하여 도출하고 각 요소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함으로써 재활체육프로그램의 체계적인 구성과 효율적 시행을 위한 토대를 마련함에 그 목적이 있다. 재활체육프로그램의 구성 요인과 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장애인을 대상으로 재활체육 및 장애인체육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한 기관·단체·병원에 2년 이상 종사한 경험이 있는 지도자, 특수체육교사, 특수체육학계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기법(Delphi Technique)을 활용하여 3차에 걸쳐 설문을 진행하였다. 도출된 재활체육프로그램 구성요인들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하기 위해 의사결정 방식의 과학적 방법 중 하나 인 계층분석(Analytic Hierarchy Process:AHP)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재활체육프로그램의 구성 요인으로 체력운동, 심리운동, 수중운동, 감각·지각운동, 보행운동, 운동기술 6개 요인과 21개의 하위요소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재활체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인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체력운동(33.2%), 수중운동(20.6%), 심리운동(15.1%), 감각·지각운동(11.7%), 보행운동( 10.8%), 운동기술(8.6%)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또한 재활체육프로그램 구성 요인의 가중치가 부여된 상태에서 전체 요소 간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근력 및 근지구력운동이 23.4%의 가중치를 나타내어 가장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명상’은 0.3%의 가중치를 나타내어 가장 낮은 중요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ystematical components and implementation of rehabilitation physical activity by analyzing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each facto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20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they consisted of instructors and adapted physical activity teachers and professional who have experiences in institutes and hospital where have operate program related to rehabilitation physical activity and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gram. Delphi technique was conducted for three times by the participants. For the decision of priorities about improvement factors, AHP was perform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actors of the rehabilitation physical activity consisted of six type of exercise; fitness, psychological exercise, aquatic exercise, sense & perception exercise, ambulatory exercise, and motor skills. Also, 21 sub-factors were also extracted. The result from analyzing the priorities of factors was fitness 33.2%, aquatic exercise 20.6%, psychological exercise 16.3%, sense & perception exercise 11.7%, ambulatory exercise 10.8% and motor skills 8.6%. Also, among results from the weighted state of priority factors,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were the most importance factor which had 23.4% weighting, and meditation was the least importance factor which had 0.5% weighting.

      • KCI등재

        장애인 재활운동 및 체육활동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현장 전문가 요구도 분석

        강동헌(Dong-Heon Kang),박지영(Ji-Young Park),은선덕(Seon-Deok Eu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8

        퇴원 이후의 의료적 조치와 재활치료 이후 연계되는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체계의 부재로, 장애인들은 개인별 장애유형 및 특성과 신체기능에 적합한 체육활동에 참여할 수 없는 실정에 처해있다. 2017년도 12월,‘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어 장애인들이 재활운동 및 체육에 대한 요구와 다양한 욕구를 해소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수행된 관련 연구들을 바탕으로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제공자인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도 조사 결과들을 수집하여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를 정책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에서 제시한 전문가의 요구 내용을 추출하고 추출된 내용을 귀납적 내용분석으로 제시하였다. 문헌선정의 기준은 국내에서 수행된 ‘장애인 체육’, ‘장애인 생활체육’, ‘재활운동 및 체육’ 관련 연구들을 바탕으로 전문가(관련학계, 시설 담당자, 체육 지도자 등)를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도 조사 결과가 포함된 연구가 선정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제공자인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도 조사 결과들은 7가지(체육활동에 관한 인식, 프로그램, 지도자, 시설, 접근성, 비용/지원/재원, 기타)로 구성하여 범주화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수요자인 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인 체육 현장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Due to the absence of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systems linked to post-discharge medical measures and rehabilitation, disabled people cannot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ies suitable for individual disability types,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functions. In December 2017, the Act on the Rights of Health for the Disabled) was implemented to provide an institutional basis for disable people to address their needs for rehabilitation sports. Based on related studies conducted in Korea, this study aims to collect the results of a demand survey conducted on experts who are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providers and analyze the demand for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s from a policy perspective. This study extracts the needs of experts presented in the literature and presents the extracted content as an inductive content analysis.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literature were selected based on studies related to “adaptive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sports for all for the disabled,” and “rehabilitation sports” conducted in the Republic of Korea, including the results of a demand survey on experts. The study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seven categories (perception of sports activities, programs, leaders, facilities, accessibility, cost/support/financial resources, and others) of field experts who are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providers. In a future study, it will be necessary for people with disability, who are consumers who will provide actual services, to identify problems at the disabled sports site and come up with measures to improve them.

      • KCI등재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애인 요구도 분석

        강동헌(Dongheon Kang),박지영(Jiyoung Park),은선덕(Seon-Deok Eun)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8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장애인 체육’, ‘장애인 생활체육’, ‘재활운동 및 체육’ 관련 연구들을 바탕으로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실수요자인 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도 조사 결과들을 수집하여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장애인의 요구 내용을 추출하고 추출된 내용을 귀납적 내용 분석으로 제시하였으며, 연구자의 선입견과 주관적인 판단을 최대한 배제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수행된 ‘장애인체육’, ‘장애인 생활체육’, ‘재활운동 및 체육’ 관련 연구들을 바탕으로 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도 조사 결과가 포함된 연구가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활운동 및 체육 서비스 실수요자인 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도 조사 결과에 대하여 8가지(체육활동에 관한 인식, 프로그램, 지도자, 시설, 접근성, 체육활동 참여에 관한 저해요소, 비용/지원/재원, 기타)로 구성하여 범주화하였다. Based on related studies on ‘disability sports,’ ‘sports for all,’ and ‘rehabilitation sports,’ this study collected the results of a survey on the disabled, who are the actual users of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s. It analyzed the need for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s. The requiremen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extracted, and the extracted contents were presented as inductive content analysis. The researcher’s preconceptions and subjective judgments were to be excluded as much as possible. Based on studies related to “Disability sports,” “Sports for all for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sports,” conducted in Korea, a study that included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disabled people was selected. This study’s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eight categories (perception of sports activities, programs, instructors, facilities, accessibility, cost/support/financial resources, and oth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