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작중인물의 장소 경험과 장소에 대한 정체성이해에 초점을 둔 소설교육

        선주원 한국독서학회 2021 독서연구 Vol.- No.59

        이 연구는 작중인물의 공간 지각과 장소에 대한 정체성 형성에 초점을 두어소설교육의 내용을 마련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 글의 논의 과정에서의 초점은작중인물의 장소에 대한 정체성을 이해하는 것이 학생들이 실제 삶에서 장소에대한 정체성을 형성하는 토대가 된다는 것이었다. 이 글에서는 장소 경험과작중인물의 장소에 대한 정체성 형성의 의의와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작중인물의 장소에 대한 정체성 형성의 양상을 장소의 안과 밖에 따른 정체성,장소의 이미지에 따른 정체성, 장소에 대한 정체성 형성을 통한 삶의 진정성구현 등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작중인물의 장소에 대한 정체성 형성을 이해하기 위한 교육 내용은 장소감을통한 작중인물의 개별적 정서와 윤리성 이해, 장소감을 통한 작중인물의 타자적 정서와 윤리성 이해, 장소감을 통한 작중인물의 장소에 대한 정체성 이해,작중인물의 장소감에 대한 이해를 통한 장소에 대한 정체성 형성 등으로 나뉘어 논의되었다. This study develops the content of novel teaching by focusing on the spatialperception of the characters and the formation of identity in the places. Thefocus of the discussion process was that understanding the identity of thecharacter’s place in real life was the foundation for students to form an identityof the place in real life. We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aspects of placeexperience and identity formation of the characters’ places. In addition, thecharacter’s identity was divided into the identity of the place inside and outside,that of the place according to its image, and the authenticity of life throughthe identity formation of the place. The contents of the teaching to understandthe identity of the characters were discussed by understanding the individualemotions and ethics of the characters through the sense of place, their identitythrough the sense of place, and their identity.

      • KCI등재

        관광목적지 장소정체성 측정에 관한 연구

        최명진,엄서호 한국관광학회 2011 관광학연구 Vol.35 No.6

        Place identity i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particular place. It distinguishes a place from others, and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a destination's competitiveness. Based on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first, this study conceptualized place identity in terms of four dimensions: 1) natural environment, 2) human and social environment, 3) symbolic setting, and 4) functional setting. Then, the place identity of Jeju island was measured by the four dimension 12-item scale of destination place identity. Data were collected from 193 visitors of Jeju island in 2008. Results showed the scale had reliability and validity. Results also indicated the scale's applicability of explaining the respondents' revisit intention. More specifically, among the four dimensions of place identities, the human and social environment were identified as the most influential antecedent of revisit intention. Limitat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다양한 관광객을 위한 진정한 장소체험이 이루어질 수 있는 관광목적지의 필요성과 함께 장소정체성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장소정체성은 한 장소의 고유한 특성이며, 관광객은 이 특성을 연상하게 되고 또 실제로 접하면서 장소정체성을 지각하게 된다. 장소정체성은 이론적으로 자연환경 영역, 인문·사회환경 영역, 상징적 영역, 기능적 영역의 4개 구성영역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1)장소정체성 4개 구성영역에 대한 개념 구성. 2)측정항목 수집 및 척도개발. 3)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4)장소정체성 및 그 영향력과 유용성 검증 후 결론의 단계로 이루어 졌다. 제주도를 사례로 193부의 유효표본 분석결과, 장소정체성은 4개의 요인으로 나타났고 역사·전통·인문자원, 생활문화자원, 상징적 관광자원, 일반관광자원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장소정체성의 유용성 검증을 위하여 재방문 의향과의 회귀분석 결과, 장소정체성은 관광ㅈl 매력도와 함께 재방문 의향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소정체성 중 생활문화자원이 가장 세부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장소 정체성 강화방안 -도시형 한옥마을과 전통마을을 중심으로-

        송영민 ( Youngmin So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5

        (연구배경 및 목적)본 연구는 장소로서의 공간, 보존해야할 대상으로서의 문화재, 삶의 현장으로서의 전통을 포함하는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지속적인 보존과 활용을 전제로 한다. 문화자원은 도시의 이미지를 결정짓는 주요자원이자 지역발전의 중요수단이 되고 있다. 문화자원 활용공간은 문화재 군락을 중심으로 역사적 전통의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 특히 문화자원을 보존하고 활 용하는 거주지역의 주민들에게 문화자원 활용공간은 일상생활과 밀착된 환경이므로 장소와 지역주민, 디자인이 함께 다뤄져야 한다.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장소 정체성 형성과 장소가 해석되는 방식을 이해하여 장소 정체성의 유지 및 강화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보존과 활용을 통한 장소 정체성의 관점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장소와 장소 정체성의 이해를 통해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장소 정체성 형성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먼저 도시형한옥마을과 전통마을의 사례를 토대로 장소형성 과정을 이해하였다. 그런 다음 사례를 종합하여 장소 정체성형성의 배경 및 계기가 되는 요인과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장소의 의미를 분석하여,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장소 정체성 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문화자원 활용공간의 장소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시점의 장소 정체성을 진단하고 방향성을 설정하여 장소의 문화적 특성과 가치를 재정립하여야 한다. 둘째, 공공자원의 활용은 다양한 문화콘텐츠 개발로서 장소 정체성을 정립하고 공동체가 그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셋째,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공공디자인은 공동이 소유하는 문화자원과 거주공간으로서의 생활적 요구를 수용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공동의 문화적 특성과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공동체의 참여를 확대하고 자율권을 보장하여야 한다. (결론)위의 연구결과에 따라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공공디자인은 지역주민의 편의를 보장하면서 문화자원의 보존과 활용을 통해 장소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표를 가져야 한다. 이로써 본 연구가 문화자원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문화자원 활용공간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기초자료가 되리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preserve and utilize cultural resources that involve space as a place, cultural assets as targets of preservation, and traditions. Cultural resources are important for determining the image of a city and for promoting regional development. A cultural resources cluster assumes significance and value from the historical viewpoint, which is centered on the community’s cultural assets. In particular, place, regional residents, and design need to be integrated since efficient use of cultural resources creates a space for residents to preserve and utilize them in a way that is closely related to everyday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thod and identify the place for using cultural resources to improve place identity. (Method) As previously sta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place identity and its continued preservation to utilize cultural resources effectively. The formation process was examined using the examples of an urbanized hanok village and traditional village. Subsequently, the analysis of varied meanings of a place according to its age, background, and formation of identity was conducted, and ways to strengthen cultural identity and space resource utilization were proposed. (Results) Methods to improve place identity and the efficient use of cultural resources follow. First, it is necessary to diagnose the identity of a place in the present and set the direction to reestablish desired characteristics and place value. Second, regarding the usage of public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place identity by developing various cultural contents and access to them as the means for enabling community enjoyment. Third, the public’s design preferences for a designated place to use cultural resources should reflect a community’s cultural identity and a respect for residential spaces. It is necessary to incorporat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resources of a community to enlarge participation of the locals and secure autonomous rights. (Conclusions) Study results suggest that a place designed for public use should utilize cultural resources for the convenience of local residents, with the ultimate goal defined as creation of a new place value resulting from preserving and using cultural resources efficiently. Likewise, this research will hopefully provide base data for increasing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cultural resources and their efficient use.

      • KCI등재

        유니크 베뉴의 장소 정체성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최인호 한국무역전시학회 2019 무역전시연구 Vol.14 No.4

        유니크 베뉴는 지역의 매력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장소 정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유니크 베뉴를 둘러싸고 장소 정체성이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지를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코리아 유니크 베뉴 증 남이섬, 한국민속촌, 황룡원 세 곳을 선정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장소의 공적 정체성과 대중적 정체성을 탐구했다. 분석 결과, 남이섬의 공적 정체성은 시각과 미각 그리고 심상이 혼합된 공감각적 장소였고 대중적 정체성은 체험중심 장소, 젊은 장소, 활동적인 장소, 외국과 이미지가 비슷한 장소 등이었다. 한국민속촌의 공적 정체성은 사진기록의 장소, 동반자형 장소, 응시자이자 참여자인 장소였으며, 대중적 정체성은 민족대표 공간, 테마공간, 공포체험 공간 등이었다. 황룡원의 공적 정체성은 행사장소, 경주 랜드마크, 교육현장 등이었고, 대중적 정체성은 행사장소, 불교행사장, 전통문화체험 장소 등이었다. 세 곳의 장소 정체성은 대중들이 주도하는 공적정체성과 언론을 중심으로 한 대중매체가 주도하는 대중적 정체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로그, 카페, 페이스북 등 에서는 대중 본인들의 직·간접적인 체험을 중심으로 유니크 베뉴에 대한 스토리와 가치가 공유되고 있으며 감성적 어휘가 중심을 이루었다. 뉴스를 중심으로 한 담론은 유니크 베뉴가 생산하고 있는 보도자료나 기자들의 취재내용을 통해 정체성이 만들어졌다. 따라서 정보전달성 어휘나 소비를 자극하는 어휘가 많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at how place identity is constructed for unique venue through big data analysis. The analysis targets were Nami Island, Korean Folk Village and Hwang Nyong Won. As a result, Nami Island's public identity was a synesthetic place with a mixture of vision, taste and mind. The mass identity of Nami Island was such as a place of experience center, a young place, an active place, and a place of similar image as a foreign country. The public identity of Korean Folk Village was the place of photographic records, the place of partnership and the place of applicants and participants. The mass identity of Korean Folk Village was its representative space, theme space, and horror experience space. Hwang Nyong Won's public identity was the venue for the event, the Gyeongju landmark and the educational scene. Hwang Nyong Won's mass identity included venues for events, venues for Buddhist events and traditional cultural experiences.

      • KCI등재

        장소정체성을 위한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 비교 연구

        서동진,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3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도시에서 장소에 대한 연구는 다각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장소와 장소성 그리고 장소정체성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고 다양한 해석과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장소와 장소성 관련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장소성에 관련된 개념들은 계속 변화, 진화되고 있으며 복합적이고 모호한 개념으로 인지되고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는 장소와 장소성 그리고 장소정체성에 대하여 개념을 재해석하고 위계적 정립을 통하여 명확한 체계를 정립하고자 한다. 장소에서부터 장소정체성에 이르기까지 관련 유사한 개념들의 이론적 고찰과 비교를 통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용어들의 위계적 체계 및 개념을 보다 명확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장소성과 관련된 유사 개념의 이론적 고찰을 기반으로 장소성과 관련된 혼재된 이론들의 용어에 대한 이해와 장소관련 다의적 개념들을 파악한다. 다양한 관점에서 장소와 그와 관련된 유사 개념들의 혼재적 사용으로 공간과 장소, 공간의 장소화, 장소감과 장소성 그리고 장소정체성에 이르기까지 개념들을 비교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개념의 재정립과 상호간의 관계성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개념적 위계를 도출하고자 한다. 각각의 개념적 위계에 따른 정의를 내리고 관계와 위계적 체계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혼재되어 사용되는 용어의 해석을 통해 용어가 가지는 의미를 비교하였다. 장소와 관련된 용어의 다의적 해석으로 용어, 문맥상, 의미상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공간과 장소, 장소감과 장소성에 대한 개념과 비교를 통한 명확한 개념 재인식과 체계를 구분하였다. 장소정체성에 대한 개념의 이해와 특성을 파악하고 장소정체성의 구성요소를 파악함으로 세부적으로 관련된 다양한 개념의 관계와 확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장소정체성을 위한 다의적 개념들에 대한 종합적 개념과 위계를 정리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장소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이 난립하고 장소정체성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짐으로 기존의 선행연구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장소의 다양한 관점을 비교하고 공간과 장소, 장소감과 장소성, 장소정체성을 구성하는 장소감과 장소성에 대하여 개념적 이해 및 위계적 체계을 명확히 함으로 장소정체성과 관련된 다양한 개념의 혼제적 사용에 대한 관계와 위계를 정립하였다.

      • KCI등재

        인간주의 장소정체성 교육의 한계와 급진적 전환 모색

        조철기 ( Chul Ki Cho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기존의 장소정체성 교육의 한계를 지적하고, 고등학교 학령단계에 적실한 장소정체성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10학년 『사회』교과서에는 장소 관련 단원이 새롭게 설정됨으로써 장소정체성 교육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소의 개념이 모호하게 제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장소 인식의 차이를 입지와 연계시킴으로써 교사와 학생들로 하여금 개념상 혼돈을 초래시킬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장소와 관련한 탐구활동 역시 주로 개인의 심리적 반응에 근거한 인간주의 장소정체성 교육의 관점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고등학교 학령단계에 적실한 장소정체성 교육을 위해서는 장소에 대한 느낌, 감정, 선호라는 개인적 반응의 차원을 넘어, 현대사회로 올수록 더욱 심해지는 장소의 상실, 왜곡, 무장소성 등을 비판적으로 읽고 쓸 수 있는 관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장소정체성 교육이 기존의 ``분포의 정치학``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인식론으로서 ``문화정치학``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즉 삶의 세계로서의 장소를 구성하는 젊은이들의 문화를 끌어와서 이를 비판적으로 읽고 쓸 수 있도록 하는 비판적 문해력 향상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그렇게 될 때, 지리교과를 통한 장소정체성 교육은 학생들의 책임감과 행동 변화에 초점을 둔 실천지향적 관점으로 나아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up the direction of the suitable education of place identity in the high school. A place related unit was newly set in social studies textbook for ten year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Nevertheless, teachers and students can be confused because of the concept of place defined vaguely and by relating the difference of place recognition to location. Moreover, inquiry activity concerned with place mainly remains in the viewpoint of the education of humanistic identity place based on personal psychological response. Therefore, it is required not personal response called feeling, preference of place but literacy which can read and write critically placelessness and distortion of place in modern society. For this, education of place identity is necessary to be transformed ``the politics of culture`` from the existing ``the politics of a distribution``. That is, we have to put a focus on the improvement in critical literacy that can read and write this critically with drawing the culture of the young people which constitute the place as the life-world. The time of becoming such, the education of place identity through geography subject can travel to practical viewpoint put focus on students` responsibility and change of action.

      • KCI등재

        장소 정체성을 위한 도시 공공공간 유형 연구

        서동진 ( Dong-jin Seo ),임종훈 ( Jong-hoon L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1

        (연구배경 및 목적)오늘날의 도시는 고도성장과 과밀화로 인한 정체성의 혼재 속에 있다. 다양한 기반시설이 구축되고, 사용자 요구와 편리함, 경제적 측면 등을 고려한 공공 공간과 건축물들이 계속 생산되고 있지만 환경적인 관점에서는 많은 유휴공간들이 생겨나며 일부는 부정적인 도시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있기도 하다. 또한 사용자의 생활방식의 변화와 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대면 접촉의 필요성이 감소함으로 공공공간의 활용이 저하됨과 더불어 그 의미를 상실하고 있다. 즉 공공공간의 본래의 의미에서 벗어나 지역적, 기능적으로 각자의 편리성만을 추구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현대인의 생활양식이나 행태가 반영된 공공공간의 활용을 위해 장소의 이미지 향상과 장소정체성의 확립을 통해 공간의 다양한 특성에 따른 공공공간의 유형을 파악하여 제시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장소정체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장소의 개념, 구성요소를 통한 장소정체성의 구조와 확립에 관하여 고찰하고, 도시의 공공공간과의 연계를 위하여 도시의 공공공간에 관한 이론적 고찰로서 공공공간의 개념과 확장, 공공공간의 생성유형과 패러다임의 변화, 공공공간의 구성요소 특성을 파악하며, 현대 도시의 공공공간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장소정체성과 공공공간의 구성요소의 관계성을 파악한다. 장소정체성과 공공공간의 관계성에 근거한 공공공간의 사례연구를 통해 현대 도시의 장소정체성을 위한 공공공간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결과) 현대 도시에서 공공공간은 사용자요구에 따라 개념적인 확장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공공공간은 기본적으로 공간의 매개적인 의미를 지닌다. 장소정체성의 구성요소들은 6가지로 분류되며, 공공공간의 구성요소의 특성은 매우 다양하다. 장소정체성의 구성요소와 공공공간의 구성요소와의 관계를 통하여 4가지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결론) 도시 공공공간에서 공공성의 향상에 대한 수요는 공공공간이나 공공건축물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의 계획이나 사적인 건축물에 까지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장소정체성을 기반으로 다양성이 확보되어야 공공공간이 원활히 제 역할과 가치를 생산한다는 것을 연구 가설로 세우고 장소정체성의 구성요소와 공공공간의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들 요소의 상관성을 통하여 현대 도시에 적합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적용된 공공공간의 유형을 구분하고 분석하였다. 그 유형은 문화,휴식형 공공공간과 , 커뮤니티형 공공공간, 예술,디자인 중심형 공공공간, 그리고 매체형 중심형 공공공간의 네 가지로 구분 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 공공공간 디자인과 도시 개발 전략 단계에 있어서도 보다 다양한 속성의 공간기획과 디자인의 접근이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Contemporary cities are facing complex circumstances concerning ambiguity of identity because of density and rapid development. Various public spaces and buildings have been constructe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user’s need and convenience, economic value, as well as urban infrastructures. The change in lifestyle and ICT culture has led to an inference that human face-to-face interaction will eventually fade away leading to diminishing identity and usage of public space. The above-mentioned situation curse the problem that identity of public space losing its own meaning and contact, which is only focuses every function and convenience as locally.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tries to find types of public space through various features of space by suggesting lifestyle and behaviors, which are associated with creation of place identity and upgrading its image. (Method) Chapter 2 discusses the meaning of place and structural formation of place identity. Chapter 3 is a theoretical review of urban public space, such as concept of public space, formation types, features and paradigm shift, and subsequently searches for relationship between space elements. Chapter 4 deliberates on developing different types of public space for conceiving an identity for a city through case studies and analyses. (Results) Public space in contemporary cities is proceeding with this conceptual expansion, depending on user’s need. It essentially has implications of intermediate space. Elements of place identity are classified into six types: physical elements, user-centered elements, meaning and symbolic elements, historical (time) elements, communication elements, and media elements. Therefore, this research trie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of place identity and public space. It has inferred four types: culture and leisure.oriented public space, community-centered public space, art and design.based public space, and technology-embedded public space. (Conclusions) The expectation about improvement of publicity within public space not only lies in public buildings, but also in private houses as well as urban planning. With the hypothesis that public space can be working well under the condition of diversity based on place identity, this research tries to understand the element of place identity and public space. Subsequently, it verifies and analyzes the adapted types of various contemporary public spaces: culture and leisure.oriented public space, community-centered public space, art and design.based public space, and technology-embedded public space. This research can be the basis for developing various approaches in space design planning, urban design, and strategy making process.

      • KCI등재

        장소에 기반한 자아 정체성 교육

        임은진 ( Eun Jin L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소를 통해 존재의 의미를 회복하고 자아 정체성을 명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수업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접근과 실행 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일상생활세계에서 직접 경험하는 의미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장소``와 장소와의 심리적이고 감정적인 관계를 뜻하는 ``장소 유대감``에 대해 이론적으로 체계화하였다. 장소 유대감은 장소 애착, 장소 정체성, 장소 의지로 구성되며, 이중 장소 정체성은 장소에서의 사람의 사회화와 관련되어 개인의 자아 정체성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본 연구의 자아 정체성은 ``나는 누구인가?``에 대해 이야기 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서사적 정체성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본인의 삶에서 가장 의미 있는 장소를 말하는 과정을 통해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고, 실제 지리 수업에서 적용하였다. 수업의 주요 절차는 ``교사의 의미 있는 장소 소개``, ``학습자의 의미 있는 장소에 대한 사진 준비와 쓰기``, ``학습자의 의미 있는 장소에 대한 발표``로 이루어졌다. 장소를 만들어가는 주체인 학습자들은 의미 있는 장소에 대한 기억과 경험을 나누고, 자기 스스로에 대해 고민해보는 활동 등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명료화하였다. 학생들이 발표한 장소는 또 다시 학생 자신을 설명해주고 있었으며, 학생들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긍정적인 힘을 제공하고 계속적으로 그 의미를 재생산하고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find the way of teaching process which can contribute for the clarification of self-identity and regain the significance of existence through ``the place``. To achieve this aim, this paper took the theoretical approach and the practical approach. First of all, this paper was an attempt to systematize the theory related to ``place`` as a center of the meaning of experience in daily life directly and the theory related to ``place bonding`` as a meaning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elationships with the place. Place bonding is comprised of place attachment, place dependence and place identity, and place identity is deeply related with self-identity, since the place helps the socialization of the people. Selfidentity in this paper was discussed from the aspect of ``narrative identity`` formed when we talk about ``who am I?``. Teaching process is designed for learners to be able to form their identities during they talk about the most meaningful place of their own life in the classroom, and tried to apply the teaching process in real geography class. The main process of the class were constructed of ``the introduction of a meaningful place by teacher personally``, ``the writing and preparation of a picture for a meaningful place by learners``, and ``the presentation for the learner`s meaningful place``. The learners as main agent of taking care of the place could clarify their self-identity through the learner`s sharing of memories and experiences of a meaningful place in geography class and the activities worried about themselves. The places presented by learners showed who themselves are again in there, and it was reproducing the meaning continuously and providing the positive energy to learner to live.

      • KCI등재

        삶과 공간, 그 의미 확장의 체험주의적 해명

        표인주 ( Pyo In-ju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2 감성연구 Vol.- No.24

        인간은 끊임없이 시간과 공간을 경험하면서 삶의 방식을 만들어내고, 물리적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의사소통을 통해 공간의 확장과 의미를 탐색해 왔다. 본고는 공간과 장소의 개념을 파악하고, 인간의 다양한 공간 경험이 민속문화에서 어떻게 장소성을 갖게 되고, 그것이 갖는 의미를 파악하여 지역성과 정체성 형성에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탐구하려 한다. 장소는 인간이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만들어지는 문화적 공간으로서 인간의 경험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누적된 곳이다. 장소야말로 인간이 정서적인 끈을 형성하며 가치를 부여하는 공간으로서 단순한 물리적 사물뿐만 아니라 인간의 심성과 유대를 통해 형성된 곳인 것이다. 이러한 장소를 근거로 그 곳에서 발생한 사건이나 행위, 그곳에 위치한 자연적이거나 인공적인 물체를 통해 형성되고 구현된 것이 장소성이다. 그래서 장소성의 구현요소를 장소, 사건과 행위, 물체라고 할 수 있다. 장소성은 장소에 대한 개인적, 집단적 체험이 모여 사회적인 의미가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장소의 정체성이면서 이미지인 것이다. 그러한 까닭에 지명이나 고향에 대한 인식이 장소성에 근거하기도 한다. 마을의 지명이 마을신앙의 신체와 밀접한 관련이 있거나 마을의 장소성 형성이 마을신앙을 비롯해 민속놀이 및 세시행사, 성장민속 등 민속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마을에서 장소성의 결합은 장소의 이미지 통합을 통해 마을의 정체성을 형성시키고, 그것은 마을사람들의 고향에 대한 장소적 관념을 갖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향에 대한인식은 마을의 장소적 관념과 그것을 토대로 형성된 마을사람들의 정체성이 결합하여 형성된 것이다. 인간은 이동을 통해 세계와 접촉하면서 세상사 지식을 축적하고 그와 동시에 우리 자신의 본질이며 능력과 한계를 깨닫는다. 이동능력은 신체적인 활동과 다양한 의사소통을 활용하여 정신적이고 추상적인 경험을 장소에서 지역으로 확장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역의 출발점이 장소이고, 즉 장소의 연결을 통해 마을, 고을, 지역으로 확대되는 것이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이동에 근거하여 교류를 통해 이루어지며, 교류는 마을공동체의 접촉과 상호작용을 통해 민속문화를 변화시킨다. 따라서 공간 이동은 길(도로)을 통해 이루어지고, 길이 연결되는 장소가 지역성의 물리적 기반으로서 문화적 공간이자 지역성의 원천이다. 지역성은 공공성과 공익적인 발전의 개념으로, 한 지역의 독특한 성격을 지닌 로컬리티로서 의미를 갖는다. 지역성은 공간적이고 사회적이며 문화적 개념이 상호작용하여 형성된 것이어서 지역 정체성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성은 권력 관계의 맥락 안에서 재구성되기도 하는 데, 그러한 예로 지역축제를 들 수 있다. 그래서 지역성은 기억을 통해 형성되기도 하며 인간과 인문환경의 상호작용에 따라 가변적이다. 정체성은 장소와 지역의 경계 안에 형성되는 정서적 공동체의 원동력이고, 지역의 다양한 환경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정신적이고 추상적인 경험 내용이다. 정체성은 기본적으로 동일성, 통합성, 공유성의 개념을 내포하고, 장소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집단적인 체험에 근거한다. 정체성이 기본적으로 지리적 공간을 근거로 형성된 문화적인 내용이지만 항상 불변하는 것은 아니고, 지역의 경제적, 정치적 요구에 의해 변화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러한 예로 주로 역사성을 지닌 민속문화보다도 지자체가 활성화된 이후 개최된 지역축제에서 나타난다. 지역축제야말로 지역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지역의 브랜드로 활용하려는 경제적이고 정치적 의도가 반영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정체성은 지역의 문화적 지표로 활용되기도 한다. Human created his life pattern by constantly experiencing time and space, and through different types of communications searched for expansion of space and its meaning, in order to respond to changes in physical base. Place formed according to human-environment interaction, is a cultural space where human experience is accumulated by time. Based on place, incidents and actions occurring in the place, natural and artificial objects located there form locality. Locality is the identity and image of a place. That is the reason that the perception of place names and hometown is based on locality as well. Human contacts with the world and accumulates knowledge about it, also understands our nature, abilities and limits by movement. The starting point of a region is place, therefore by connecting the place it expands to village, district, region. The spatial movement occurs through road, and as a physical base of locality the place where the road connects is the cultural space and origin of locality. Locality, as public interest and public development concept, is restructured within a context of power relationship, such as local festivals. Identity formed within the boundaries of place and region, is a driving force for the community sense, and also it is spiritual and abstract experience formed by diverse environmental influences of the region. Identity is basically including the concept of oneness, integration, commonality, also it is based on a collective experience of people using the place. Identity is a cultural content based on geographical space, however it is not always unchangeable and there are number of cases also that according to local economical, political demands identity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