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율 이론 및 구조 운율 분석

        陸儉明(Jianming Lu),沈陽(Yang Shen),尹愛庚(번역자) 중국어문논역학회 2021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48

        운율 형식은 어법 의미를 ‘발현’시키고 동시에 어법 구조에 ‘제약’을 가하는 작용을 한다. 운율 이론은 운율 형태론과 운율 통사론이라는 두 가지 방면을 포함한다. 운율형태론에 관련된 운율학의 원리에는 ‘상대적 강세 원칙’과 ‘음보 이분 원칙’, ‘음보 단핵 법칙’ 등이 있다. 운율 통사론에 관련된 운율학의 원리에는 ‘핵 강세 할당 규칙’과 ‘2분지 강세 규칙’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운율 규칙들 사이에는 충돌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때 운율 충돌을 조정하는 방법에는 몇 가지가 있다. 기존의 운율 규칙을 수정하여 재해석할 수도 있고 운율 규칙의 ‘제재’를 구조적으로 피할 수도 있다. The prosody form ‘expresses’ the grammatical meaning, and at the same time adds a “restriction” on the grammatical structure. Prosody theory includes two aspects: prosody morphology and prosody syntax. The principles of prosody related to prosody morphology include the ‘relative prominence principle’, the ‘foot dichotomy principle’, and the ‘foot mononuclear principle’. The principles of prosody related to prosody syntax include the ‘nuclear stress assignment rule’ and the ‘binary stress rule’. However, prosodic conflicts may arise between these prosody rules. There are several ways to adjust the prosodic conflict at this time. In order to adjust the prosodic conflict, the existing prosody rules can be reinterpreted by modifying them, or the ‘sanctions’ of the prosody rules can be structurally avoided.

      • KCI등재후보

        Kumbhakapaddhati의 운율 체계 연구

        박영길 한국요가학회 2022 요가학연구 Vol.- No.28

        라그후비라(Raghuvīra)의 Kumbhakapaddhati는 하타요가 특유의 호 흡법이라 할 수 있는 꿈브하까 만을 전문적으로 설명하는 문헌이다. 이 문헌에서 설명된 기법은 40여 종류로 태양 관통 꿈브하까, 풀무 꿈브하까 등 널리 알려진 여덟 기법뿐만 아니라 달 관통-꿈브하까, 나디 정화-꿈브하까 등 여타의 문헌에서 발견되지 않는 기법들도 포함 한다. 이 작품을 통해 18-19세기에도 하타요가의 호흡법이 중요시되었 고 또 그 기법 역시 계속해서 발전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umbhakapaddhati라는 미지의 하타요가 필사본이 존재한다는 것 은 1800년대 후반에 알려졌지만, 이 필사본에는 필사 상의 오류와 누락 된 게송이 적지 않았고 따라서 학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했다. 로나블라 요가 연구소의 그하로떼와 데브나트는 새로운 필사본 하나를 추가로 발견하고 2000년에 최초의 교정본과 번역(KPL)을 함께 출판함으로써 이 작품은 빛을 보게 되었다. 하지만 현 교정본에는 다소 의아한 단어나 몇몇 게송의 부자연스러운 배열 그리고 심지어 운율 상의 오류들도 발견된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다소간의 오류를 지닌 단 두 개의 필사 본’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던 물리적 한계에 기인한다. 따라서 새로운 필사본의 발굴 등 더 많은 원천 자료를 확보하지 않는 이상, 현재로서 는 상기 교정본의 난점을 온전하게 해결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운율의 문제에 대해서는 조심스럽게나마 접근할 수 있고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 이유는, 운율을 어길 산스끄리뜨 작가는 존재할 수 없으므로 운율 상의 오류들은 거의 대부분 필사 전승 과정에서 생겨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운율 구조만으로 ‘오리지널 단어’를 확정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운율 구조를 통해 오류가 일어난 위치를 추정해볼 수 있고 동시에 운율 구조 내에서 ‘오리지널 단어’의 후보군을 추려낼 수 있을 것이다. 본 고는 289송의 운율을 분석한 후 운율에 어긋난 음절에 대한 ‘운율 적 대체어’를 모색했다. 56 요가학연구 제28호(2022. 9) 나 몇몇 게송의 부자연스러운 배열 그리고 심지어 운율 상의 오류들도 발견된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다소간의 오류를 지닌 단 두 개의 필사 본’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던 물리적 한계에 기인한다. 따라서 새로운 필사본의 발굴 등 더 많은 원천 자료를 확보하지 않는 이상, 현재로서 는 상기 교정본의 난점을 온전하게 해결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운율의 문제에 대해서는 조심스럽게나마 접근할 수 있고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 이유는, 운율을 어길 산스끄리뜨 작가는 존재할 수 없으므로 운율 상의 오류들은 거의 대부분 필사 전승 과정에서 생겨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운율 구조만으로 ‘오리지널 단어’를 확정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운율 구조를 통해 오류가 일어난 위치를 추정해볼 수 있고 동시에 운율 구조 내에서 ‘오리지널 단어’의 후보군을 추려낼 수 있을 것이다. 본 고는 289송의 운율을 분석한 후 운율에 어긋난 음절에 대한 ‘운율 적 대체어’를 모색했다. Kumbhakapaddhati (KP) of Raghuvīra is a unique hathayoga literature specialized in explaining kumbhaka-s, a breathing technique of hathayoga. It can be seen that breathing techniques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through the 40 types of breathing methods described in Kumbhakapaddhati, and that breathing techniques were considered as an important skill eve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In the late 1800s, it became known that a manuscript called Kumbhakapaddhati existed, but this manuscript was incomplete and did not received much attention. About 100 years later, in 2000 AD, the first edition of Kumbhakapaddhati was published of the Lonavla Yoga Institute. Although this edition was done with great care, it appears that the errors in both manuscripts have not been completely corrected. Not only are some strange words found, but some phrases are arranged unnaturally and sometimes even rhyming errors occur. This is primarily due to the physical limitations of relying on ‘only 2 manuscripts with errors’. Therefore, it seems that it will 102 요가학연구 제28호(2022. 9) be difficult to completely solve the errors unless more source materials are secured, such as discovering new manuscripts. However, in the case of words that do not match the meter, it is judged that some alternatives can be suggested based on the rhyme. The reason is that there can be no Sanskrit writer who breaks the rhyme, so prosodical errors can be considered to originate from the scriber. Of course, prosody is not a panacea, but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the meter, it is possible to find the location where the meter is broken and to suggest alternative syllables within the structure of the meter. 1) Analysis of 280 verses First, I analyzed the meter of 289 verses, and it is as follows. Type Total The Prosodical System of Kumbhakapaddhati Name of Meter Anuṣṭubh-Śloka Indravajrā Upajāti Kīrti Svāgata Śālinī Sub-name Pathyā Vipulā Ja-vipulā Bha-vipulā Na-vipulā Sa-vipulā Pāda-s 0 9 16 1 238 1 1 1 1 Verses Ma-vipulā Ta-vipulā Ra-vipulā 9 1 15 51 42 Āryā Āryā (Pathyā) Upagīti 1 4 Vṛtta 280 1 1 1 1 Jāti 5 289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chart, 281 verses were composed in 8 syllables and 4 phrases, Anuṣṭup. Of these, 238 were written in the typical anuṣṭup, or basic form (pathyā), while the remaining 42 verses (51 pādas) were written in vipulā. And the meters belonging to the Vṛtta type, such as Indravajrā, Upajāti, Śālinī, and Svagata are used once each. In the case of Jāti Type, Āryā was used one verse and Upagīti is used four verses. 2) 11 verses out of meter. The location of a syllable that is out of meter is marked with { } as follows. Re- marks 19b 1- 25b 1- 79e 1- 97b 1m- 99b 1- 166d 2- 173a 1- 174b 1+ 212c 1+ 227b 1- 245c 1- Verse Verse in the Edition { x }pūryed ānanena vā {nir}gamam antararecakaḥ bhavato’bhyāsavaśā { x } śārīreṣu guror { x } agre nābhyād { x } āśugaṃ dhṛtiḥ granthi{x1 x2} nipunaḥ sukhado’yam śṛṅkhalā jīvacālo { x } vātagra{nthi}ṃ labhate dhruvam ākaṇṭhaṃ hṛtkhād {votpramātayaṃ} paitīty {tā} dvighnā jyotiṣmatī {x2 x1} yogino nityatveva { x } Name Anuṣṭup- śloka Anuṣṭup- śloka Anuṣṭup- śloka Upajāti Anuṣṭup- śloka Svagata Anuṣṭup- śloka Anuṣṭup- śloka Śālinī Anuṣṭup- śloka Anuṣṭup- śloka { } : suspicious syllable(s) x : omitted syllable = (laghu or guru) x1 : omitted syllable = ⏤ (guru) x2 : omitted syllable = ∪ (laghu) 1+ : 1 akṣara exceeded 1- : 1 akṣara missing 1m- : 1 mātrā missing 2- : 2 akṣara-s missing Based on the prosody structure, the location of the missing syllable (or mātrā) and alternatives are suggested as follows. Verse A1 - A1 - Verse in the Edition { x } pūryed ānanena vā { A1 + } ⏤⏤⏤∪⏤∪⏤ {nir}gamam antararecakaḥ {⏤} ∪∪⏤∪∪⏤∪⏤ bhavato’bhyāsavaśā { x } ∪∪⏤⏤∪∪⏤ ...

      • KCI등재

        현대시 교육에서의 운율 교육 내용 재설정 연구 -운율 개념을 중심으로-

        정정순 ( Jung-soon Ju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5 문학교육학 Vol.48 No.-

        이 연구는 시의 핵심적인 구성 원리이자 요소인 운율에 초점을 맞추어 그 교육 내용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운율 개념을 재설정하고자 하였다. 먼저 운율이 현재 어떻게 가르쳐지고 있는지, 즉 어떤 시들을 바탕으로 어떤 설명과 활동이 다루어지고 있는지 현행 교육과정 및 초중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통해 분석하였다. 현행 교육과정에서 ‘운율’ 관련 내용은 이전 학령의 내용 및 활동과 별개로 독립적인 형태로 산발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대 자유시의 운율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행과 연, 구두점 등의 기능을 다루지 않고, 정형적인 율격을 지닌 현대시를 주로 제재로 다룸으로써 학습자들로 하여금 현대시의 운율을 이해하게 하는 데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현대시의 다양한 운율 실현 양상을 교육 내용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운율의 개념을 새로이 설정할 필요가 있다. 운율을 재정의하기 위해 최근의 현대시의 리듬 체계에 관한 논의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두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운율을 시의 형식적인 요소로만이 아닌 의미와 관계하는 주체적인 성격을 가진 시의 핵심 구성 원리로 볼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둘째 시를 텍스트 내적으로 구조화된 언어예술로 보기보다 독자에 의해 의미가 실현되는 담화로 보는 관점이다. 이러한 분석과 검토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운율은 ‘독자에 의해 음성으로 실현되는 과정에서 의미에 관여하는 모든 음성적, 비언어적 자질’로 정의하였다. 운율의 개념을 이렇게 재정의함으로써 현재 ‘낭송, 의성ㆍ의태어, 음보율, 특정 단위의 반복’에만 한정되어 있는 운율 교육 내용이 보다 구체화, 체계화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Unyul’ is one of the major poetic principles that normally functions as versification. It has been usually understood as the word that combines rhyme and meter in Korean literary world. This notion of ‘Unyul’ doesn’t cover the various modern poems’ rhythm, and that’s why there have been many papers these days which tried to systemize the rhythm of Korean free verses. I analyzed the 2011 revised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elementary & middle school students to see the contents of ‘UnYul’ in teaching poetry. The contents of ‘Unyul’ in teaching poetry are also confined to just foot and repetition. The poems in the textbooks selected as materials to teach ‘UnYul’ don’t cover Korean free verses. If we agree to teach the rhythm of free verse in teaching poetry, we need to redelineate the notion of ‘Unyul’. The things we need to consider in redelineating the word are as follows:1. UnYul is not just component of form but principle of constructing the meaning of poem. 2. Poem is not just a work but a discourse that waits for reader’s reading. Conclusionally I proposed redefinition of ‘Unyul’ as the contents of teaching poetry. ‘UnYul’ is all sound and non-verbal features involved by reader in the process of making meaning of poem.

      • 언어장애인 운율손상의 생리학적 기전 연구동향

        심현섭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7 특수교육 Vol.6 No.2

        본 연구는 언어장애로 수반되는 운율적 손상의 생리학적 기전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운율정보의 특성과 운율정보의 처리에 관련된 이론을 살펴보고, 신경영상연구를 통해 밝혀진 뇌에서의 운율정보처리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언어권에 따른 운율정보처리 방식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fMRI와 PET 같은 신경영상을 통한 연구들이 운율의 지각과 산출을 담당하는 신경기전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못하고 있는데, 이러한 결과는 표준화된 연구방법의 부재하고 운율자질 및 기능의 복잡성과 관련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This article reviews the recent researches and hypotheses concerned with the prosodic processing of linguistic prosody and affective prosody in speech disordered people. While many physiolog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y using neuroimaging techniques such as fMRI and PET, the results are not consistent. The lack of consistency could be expected from the complexity of prosodic functions and features.

      • KCI등재

        일본어의 한글 표기 및 그 운율의 리듬분석을 통한 새 교육 방안 연구

        정원수(Jeong Won-soo) 어문연구학회 2021 어문연구 Vol.108 No.-

        이 글은 일본어의 단어와 문장을 한글로 표기함은 물론 그 운율을 리듬분석하여 오선지 위에 음표로 그려줌으로써 일본어의 리듬과 운율 구조를 밝혀내고 나아가 새로운 일본어 교육 방법론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가 피교육생들에게 외국어를 잘 가르치려면 단어들과 문장들의 발음(pronunciation)은 물론 그 리듬(rhythm) 및 운율(prosody)을 정확하게 알아듣고 말하는 훈련을 시켜야 한다. 다시 말해서, 학생들은 자기들이 공부하는 일본어 의 단어와 문장을 눈으로 보고 읽고 해석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그 단어와 문장들을 잘 알아듣고 말하는 능력을 쌓아야 한다. 이 글에서는 우선 유니코드 한글자모(Unicode Hangul Jamo)를 가지고 일본어를 한글로 표기하였다. 일본어 한자어의 심리적 음절을 한글로 표기할 때, 그 한자음의 입성운미(/k/, /t/, /p/ 등 3가지 받침을 말함)를 받침으로 표기해 주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때의 심리적 음절의 받침을 각각 {ㄱ, ㄽ, ㅄ}으로 표기하였다. 그리고 내파(불파)되는 경우에도 음절분할은 일어나기 때문에 그 심리적 음절의 받침을 각각 {ㅋ, ㄷ, ㅂ}으로 표기하였다. (예: 大学 [대각-다이가꾸] (だいがく), 学校 [?J꼬ᇢ-가?梶옜?] (がっこう), 翌日 [욕??-요꾸지쯔] (よくじつ), 日記 [??끼-니?浜?] (にっき), 血圧 [?I??-케쯔아쯔] (けつあつ), 圧迫 [압빡-압빠꾸 (あっぱく) 그리고 한글운율문법”이론에 따라 문장들의 운율을 리듬분석하는 방법을 잘 익혀야 한다. 이를 위해 일본어를 한글로 표기하면서 피치 악센트 가 얹힐 때 심리적 음절이 물리적 음절들로 분할되는 과정과, 또한 어떤 리듬과 운율을 형성하는가를 보여주도록 한다. 손뼉을 쳐가면서 리듬에 맞춰 여러 번 읽고 말하는 훈련을 하면서 운율 분석된 일본어 문장들이 몇 박자 리듬을 이루는지, 피치 악센트 가 각 음절에 얹히면서 그 리듬꼴이 어떤 운율형으로 변하는지 잘 익혀야 한다. 이제 ‘한글운율문법’을 어릴 때부터 아이들에게 잘 가르칠 때가 되었다. 언어습득 능력이 뛰어난 초등학교 시절에, 원어민의 목소리를 녹음한 일본어 교과서의 문장들은 물론, TV에 나오는 아나운서의 일본어 뉴스 문장들, 명작 드라마나 영화에 등장하는 원어민들의 현실 대화문들의 운율을 온전히 ‘리듬분석’해 주면서 학생들로 하여금 ‘반복숙달’하게 해야 한다. 그래야 학생들은 일본어를 잘 알아듣고, 잘 말할 수 있으며, 독해력과 작문력까지 제대로 향상시킬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Japanese rhythm analysis of prosody and writing Japanese words and sentences in Korean alphabet. To learn and teach a foreign language well, we need to learn to understand and speak the pronunciation of words and sentences, rhythms, and prosody (tone, accent, length). In other words, students should go one step further in developing their ability to see, read, and interpret the Japanese words and sentences they study, and build up the ability to hear and speak those words and sentences. In order to cultivate reading and speaking , listening ability and speaking ability in this way, prosodic grammar must be studied. As you clap your hands, you should train yourself to read and speak several times. You should teach how many rhythms are made, and how the rhythm changes as the “pitch accent” is placed on each syllable. In other words, we need to teach rhythm rules and prosodic rules by rhythmic and prosodic analysis of sentences so that children can hear and speak native Japanese voices that are broadcast in Japanese since childhood. Now it is time to teach the children of prosodic grammar from an early age. In elementary school with a high level of language proficiency, he thoroughly should analyze the rhythms of foreign language textbooks recording the voices of native speakers, as well as the Japanese news sentences of the announcers on TV, and the actual dialogues of native speakers in masterpiece dramas and movies. That way, students can understand Japanese well, speak well, and improv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ing skills.

      • KCI등재

        고전 산스끄리뜨의 빠다짜뚜루르드흐바(Padacaturūrdhva) 운율 군(群) 연구 -Chandaḥśāstra와 Vṛttaratnākara를 중심으로-

        박영길(Younggil Park)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1 동서인문 Vol.- No.15

        ‘빠다짜뚜루르드흐바 군(群, Padacaturūrdhva, PU-g)의 운율들은 음절 수와 운각으로 구성되는 이질 운율(Viṣamavṛtta)의 한 부류이다. 이질 운율은 빠다짜뜨루르드흐바 군(群)을 비롯해서 우드가따 군(Udgatā, UG-g), 우빠스띠따쁘라쭈삐따 군(Upasthitapracupita, UP-g)과 같은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지고 각각은 일련의 세부 운율을 지닌다. 세 유형의 이질 운율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형식이자 이질 운율의 전형을 보여주는 시형이 빠다짜뚜루르드흐바 군의 운율들인데, 비교적 난해하다고 할 수 있는 이 운율의 구조를 파악한다면 우드가따 등 여타의 이질 운율을 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빠다짜뚜루르드흐바 군(PU-g)의 모든 운율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음절 수는 8, 12, 16, 20으로 한정되지만 그 유형은 크게 ① ‘언제 어디서나 단음(laghu)과 장음(guru)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운율들’과 ② ‘단음과 장음의 위치가 엄격히 고정된 형태의 운율들’로 나누어진다. 전자를 대표하는 세부 운율은 빠다짜뚜루르드흐바(Padacaturūrdhva, PU)이고 후자를 대표하는 것은 아삐다(Āpīḍa, ĀP)이다. 전자는 네 구의 장단 구조가 완전히 자유로운 불규칙 시형으로 간혹 운율을 어긴 것으로 오해될 수 있는 운율이다. 후자의 경우, 비록 ‘네 구 전체’의 형식이 통일된 것은 아니지만 각각의 구별로 음절수와 장단 구조가 엄격하게 고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비(非)단일적 정형시로 파악된다. 필자는 일차적으로 가장 많은 이질 운율을 설명하고 있는 삥갈라의 Chandaḥśāstra (ChŚ)와 할라유드하브핫따(Hallayudhabhaṭṭa)의 주석서(ChŚ-Ybh)에 의거해서 빠다짜뚜루르드흐바 군의 일곱 운율을 정의하고 분석했다. 하지만 분석하는 과정에서 만자리(Mañjarī), 라발리(Lavalī), 아므릿따드하라(Amṛtadhārā)의 경우 ChŚ, ChŚ-Ybh의 정의와 해설이 라뜨나까라샨띠(Ratnākaraśānti)의 Chandoratnākara (ChR), 께다라브핫따(Kedārabhaṭṭa)의 Vṛttaratnākara (VṛK) 및 술하나(Sulhaṇa)의 주석(VṛKSbh)과 묘하게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다. 여러 가지 가능성을 두고 두 문헌을 조화시키기 위해 노력했지만 결론적으로, 대단히 이례적인 경우이지만 두 문헌의 정의 자체가 다른 것으로 판단했다. ChŚ, ChŚ-Ybh에 따르면 만자리, 라발리, 아므릿따드하라는 ‘언제 어디서나 장음과 단음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빠다짜뚜루르드흐바(PU-g)의 일종’이고 반면 ChR, VṛK, VṛK-Sbh에 따르면 세 운율은 아삐다(Āpīda)의 일종인데 아삐다는 모든 구의 마지막 두 음절만 장음(―)이고 그 외는 모두 단음(∪)으로 구성된 운율이다.

      • KCI등재

        고전 산스끄리뜨의 교차 운율(Ardhasamavṛtta) 연구-께다라브핫따(Kedārabhaṭṭa)의 Vṛttaratnākara와 강가다사(Gaṅgādāsa)의 Chandomañjarī 를 중심으로-

        박영길(Park Young-Gil)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0 동서인문 Vol.0 No.13

        산스끄리뜨 운율은 크게 음절(akṣara, syllable)의 수와 운각(韻脚, gaṇa)으로 구성된 시형과 ‘음절의 길이’(mātrā)로 분석되는 시형과 같은 두 유형으로 나누어지는데 전자는 일반적으로 브릿따(vṛtta) 운율로, 후자는 자띠(jāti) 운율로 불린다. 브릿따 운율은 다시 그 형식에 따라 세 유형으로 나누어지는데 첫 번째는 ‘네 구(4 pāda-s)의 음절수와 운각이 모두 동일한 형태’의 동일 운율(samavṛtta)’이고 두 번째는 ‘네 구의 음절수와 운각이 홀짝 구로 절반만 동일한 형태’의 교차 운율(ardhasamavṛtta)’이며 마지막은 ‘네 구의 음절수와 장단 구조가 제각각 다른 형태’의 이질 운율(viṣamavṛtta)’이다. 본고에서 다룰 교차 운율은 기본적으로 브릿따 범주의 운율 중 하나이므로 브릿따 운율에서 사용될 수 있는 운각 만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것은 야(Ya), 마(Ma), 따(Ta) 라(Ra), 자(Ja), 브하(Bha), 나(Na), 사(Sa)와 같은 ‘3음절로 된 운각’ 그리고 ‘1개의 장음’을 의미하는 구루(G) 및 ‘1개의 단음’을 의미하는 라그후(L)와 같은 10개이다. 교차 운율의 음절수는 10a+11b, 10c+11d 또는 11a+12b, 11c+12d이 일반적이고 드물게 12a+14b, 12c+14d와 같이 2음절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발견된다. 교차 운율은 가장 오래된 운율서인 삥갈라(Piṅgala)의 Chandaḥśāstra(ChŚ. 2-3 BC.)를 비롯해서 라뜨나까라샨띠(Ratnākaraśānti, 10-11 AD.) 의 Chandoratnākara(ChR, 11-12 AD.), 께다라 브핫따(Kedārabhaṭṭa)의 Vṛttaratnākara(VṛK, 11 AD.), 강가다사(Gaṅgādāsa)의 Chandomañjarī(ChM, 14-15 AD.) 등 거의 모든 운율서에서 정의되고 해설되었다. 문헌에 따라 교차 운율의 종류는 조금씩 다르지만 전체를 합치면 15종류이다. 본고에서는 VṛK와 ChM를 중심으로 ChŚ, ChR의 정의를 분석하고 해설했다.

      • KCI등재

        맥락 및 운율에 따른 고기능 자폐아동의 정서 이해 특성

        김찬희(Chan-Hee Kim),김영태(Young Tae Kim),이수정(Su-Jeo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적 운율이해능력의 특성을 살펴보고, 다양한 맥락(문장내용, 얼굴표정, 그림상황)의 정서와 운율이 불일치하는 경우, 화자의 정서를 이해하기 위하여 운율에 의존하는 정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9-12세의 고기능 자폐아동 15명, 일반아동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정서적 운율과제를 실시하였다. 과제는 운율 단독 제시상황에서 일치하는 정서를 판단하는 운율이해과제, 정서적 운율(정서 일치, 불일치)과 맥락(문장 내용, 얼굴표정, 그림상황)이 함께 제시되었을 때 정서를 판단하는 운율이해과제 및 운율의존도과제로 구성되었다. 결과는 집단을 집단간 요인으로, 정서 유형 및 맥락 유형을 집단 내 요인으로 하여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무의미 문장의 정서적 운율을 단독으로 제시하였을 때, 정서적 운율이해력에 있어서 집단 간이나 정서 유형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맥락의 정서와 일치하는 운율을 제시하였을 때에도 집단 및 맥락 유형 간 운율이해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맥락의 정서와 불일치한 운율을 제시하였을 때의 집단 및 맥락 유형 간 운율의존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고기능 자폐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하여, 맥락의 정서와 운율이 불일치할 때 운율에 의존하는 정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얼굴표정맥락에서의 운율의존도가 문장내용맥락, 그림상황맥락에서의 운율의존도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논의 및 결론: 고기능 자폐아동은 운율을 단독으로 제시하거나 정서가 일치하는 운율과 맥락을 동시에 제시하였을 때 비슷한 정서적 운율이해력을 보였다. 그러나, 정서가 불일치하는 운율과 맥락을 제시하였을때 고기능 자폐아동은 감정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일반아동보다 운율에 덜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text and affective prosody on emotional perception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HFA). Methods: Fifteen HFA children and 15 normal children who were matched on chronological age (range, 9 to 12 year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experiment was consisted of two different tasks, affective prosody perceptibility task and the extent of dependence on affective prosody task. Two way-mixed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the perceptibility of affective prosody, there was no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the groups and emotion types when prosody was given only. 2) For the perceptibility of affective prosody, there was no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the groups and contexts when prosody and contexts were given at the same time. 3) For the extent of dependence on affective prosody, there was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the groups. HFA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lower extent of dependence on affective prosody than normal children. There was also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contexts. The extent of dependence on affective prosod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facial expression than in lexical content and situation picture. Conclu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HFA children were as capable as normal children in affective prosody perceptibility. However, HFA children were less dependent on affective prosody to infer the speaker’s emotion than normal children when the emotion in various contexts (lexical contents, facial expressions, and situation pictures) conflicts with affective prosody.

      • KCI등재

        방송 언어의 운율 유형

        박숙희 한글학회 2012 한글 Vol.- No.296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t one aspect, the basic prosodic pattern of prosodic phrase of Korean through several different styles of speech data, viz. a radio & TV news report, a narration for a TV programme, press interviews, an open lecture in a TV programme, dialogues in a TV drama series. And at the other aspect, this study aims to describe what kinds of factors affect the realization of the prosodic pattern of prosodic phrase. The prosodic phrase, here, means a prosodic unit which can be clearly identified as having an evident break boundary at its final position in a sentence in the sense of perceptual viewpoint.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re are two basic pitch patterns of prosodic phrase which are decided by phonological condition and from these two basic patterns, 8 different pitch patterns are derived by pragmatic needs. The phonological condition which affect the realization of the pitch pattern is the type of onset consonant of the first syllable of an prosodic phrase. If the onset consonant have [+strong] feature, the prosodic phrase realizes the patterns of LHLⁿ, and the others realize HHLⁿ. The pragmatic needs are as follows, placing the focus, requiring attention, putting a question, carrying conviction. In addition, these pitch patterns can be represented in several different tones of the voice which is called ‘intonation pattern’ in this study. The conclusion which can be drawn from this study are these: there are 4 different intonation patterns of prosodic phrase, viz. ‘XH(a powerful tone), XL᷄(a recitative tone, a roundabout way), XH᷉(a powerful and recitative tone, an irritated question), XL᷈(an irritated tone, an exclamatory tone)’. Another important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we have seen the role of prosodic phrasing in sentence processing. For example, ‘언제(when)’ is preceding a verb in a given sentence, this sentence can be an interrogative one also be an infinitive one depends on their prosodic phrasing. When ‘언제’ and the following verb in a given sentence make one prosodic phrase, this sentence will be an interrogative one. Otherwise, this will be an infinitive one. 이 연구는 방송 언어에 나타나는 한국어 발화의 운율 유형을 일반화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발화의 운율 단위를 ‘운율구’로 규정하고 운율구에 나타나는 운율 실현 양상을 고저 유형과 어조 유형으로 나누어 유형화하여 그 생성 원인을 밝혀 보았다. 이를 통해 두 개의 기본 운율형 LHLⁿ형과 HHLⁿ형을 설정하고 화용론적 조건에 따른 몇 가지 변이 운율형을 도출하였다. 즉 운율구나 운율구의 일부 성분이 초점화될 때, 발화의 미종결성을 부각시켜 청자의 주의를 요청하거나 질문할 때, 발화의 확신․명료함을 드러낼 때 고저에 변화가 일어나는 변이 운율형이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운율구의 고저형 위에 특정 유형의 어조가 나타나는 일은 발화에 특정한 정서적 요인이 실릴 때인데, ‘박력조, 설명조, 완곡조, 짜증조, 감탄조’ 등이 그러한 정서적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의문문과 부정(不定)문을 중심으로 문장 안에서 운율구의 구조와 그 운율형이 달라짐으로써 통사적 변별이 일어나는 사실을 언급했다.

      • KCI등재

        문장 의미 처리에서 학령전기 아동의 운율 정보 이용

        최영은(Youngon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들이 문장의 의미와 구조의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운율 정보를 문장 의미 결정에 이용할 수 있는 조건들을 살펴보았다. 방법: 실험 1에서는‘어디 가요?’와 같은 의문문의 의미를 운율에 따라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지를 이야기를 듣고답하도록 하였고, 실험 2에서는 ‘기린/과자 먹어요.’와 같이 중의성을 띈 문장(‘기린이 과자를먹는다’ 혹은 ‘누군가 기린과자를 먹는다’)의 의미를 운율이나 형태소 정보에 따라 해석할 수있는지를 보기 위해, 문장을 듣고 의미에 맞는 그림 고르기 과제를 운율 정보만 제시한 조건,형태소 정보만 제시한 조건, 그리고 운율과 형태소를 함께 제시한 세 조건에서 수행하도록하여 아동의 문장 처리에서 운율 정보가 독자적으로 차지하는 중요도를 살펴보았다. 결과:실험 1과 같이 운율 정보가 문장의 구조와 무관하게 어휘의 의미에만 관련된 경우, 3~4세아동들도 운율 정보에 따라 문장을 잘 해석하였다. 반면에 운율 정보가 문장의 통사적 구조에직결된 실험 2의 문장들의 경우 5~6세 아동들도 운율 정보에 따라 문장을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보였다. 그러나 형태소 정보와 운율 정보를 모두 사용할 수 있을 때, 형태소만 사용할수 있는 조건보다 높은 수행을 보여 운율 정보가 아동의 문장 처리에 어느 정도 독자적 기여를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논의 및 결론: 학령전기 아동들은 운율 정보를 잘 탐지하고 문장처리와 해석에 이를 이용하지만, 문장 해석 조건에 따라 이러한 능력이 쉽게 제약을 받는것으로 나타나 이렇게 제약을 부여하는 조건들과 그 원인을 설명하는 이론과 관련 요소들을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sentential conditions that affect preschool-aged children’s ability to use prosody in sentence processing. Methods: In experiment 1, children were asked to respond to ambiguous questions, which can be disambiguated solely based on prosodic information, after listening to a series of stories that preceded the question. Experiment 2 examined whether the children can use prosody to determine sentence structures and meaning accordingly and compared the role of prosody in child parsing to that of morphological information, such as case markers, by presenting syntactically ambiguous sentences across three conditions: prosody-only, morphology-only, and prosody-morphology. This approach also allowed us to determine the unique contribution of prosody to child parsing above and beyond morphological information. Results: Children as young as 3 to 4 years of age were able to determine the target meaning of the ambiguous questions based on prosody in experiment 1,in which prosody was not relevant to sentence structure. By comparison, children as old as 6 years of age still showed some difficulty using prosody to determine sentence structure and meaning in which prosody was directly related to determining the structure of the target sentence in experiment 2. Experiment 2 also revealed that children performed better in prosody-morphology conditions than in morphology-only conditions, suggesting that prosody uniquely contributes to child parsing above and beyond morphological information. Discussion & Conclusion: We discussed both the specific conditions that seem to affect the child’s use of prosody in child parsing and why such variations in using prosody might emerge as children develop a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